KR20100086416A -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416A
KR20100086416A KR1020090111109A KR20090111109A KR20100086416A KR 20100086416 A KR20100086416 A KR 20100086416A KR 1020090111109 A KR1020090111109 A KR 1020090111109A KR 20090111109 A KR20090111109 A KR 20090111109A KR 20100086416 A KR20100086416 A KR 20100086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roplet
electric field
high voltage
dispensing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1161B1 (ko
Inventor
김범주
임근배
김인태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00086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416A/ko
Priority to US12/947,863 priority Critical patent/US921657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7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 B41J2/075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for many-valued deflection
    • B41J2/095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for many-valued deflection electric field-contro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6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electric or magnetic fiel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391Affecting flow by the addition of material o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06Flow affected by fluid contact, energy field or coanda effect [e.g., pure fluid device or system]

Landscapes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한 전기장을 이용하여 단일 액적의 양을 극미량으로 줄이고, 동일 극성의 반발력을 이용해 분주되는 액적의 위치를 제어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의 상방에 이격 설치되어 압송되는 유체를 극미량의 액적으로 분주하는 분주팁, 및 상기 분주팁을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에 접촉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서로의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상기 분주팁 끝에 전기장을 한다.
액적, 전기장, 절연체, 분주팁, 양전하, 음전하

Description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Of Controlling Droplet Motion In Electric Field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한 전기장을 이용하여 단일 액적의 양을 극미량으로 줄이고, 동일 극성의 반발력을 이용해 분주되는 액적의 위치를 제어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극미량의 액적을 분주하는 액적 분주 장치에는 시린지 펌프(syringe pump)의 구동에 의한 것,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한 것, 및 압전소자(piezoelectric material)나 열변형(thermal type)을 이용한 잉크젯 노즐에 의한 것 등이 있다.
액적 분주 장치에서 분주되는 액적의 양을 극미량으로 제어하고, 또한 분주되는 액적의 위치를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강한 전기장을 이용하여 단일 액적의 양을 극미량으로 줄이고, 동일 극성의 반발력을 이용해 분주되는 액적의 위치를 제어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의 상방에 이격 설치되어 압송되는 유체를 극미량의 액적으로 분주하는 분주팁, 및 상기 분주팁을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에 접촉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서로의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상기 분주팁 끝에 전기장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전극은 고전압 인가 및 접지 중 하나로 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과 반대로 상기 접지 및 상기 고전압 인가 중 하나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각각 상기 고전압 인가시, 양전하 또는 음전하의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분주팁에 연결되는 튜브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를 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접지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분주팁에 연결되는 튜브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에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는,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전하노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하노출부재는, 상기 고전압의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분주팁 사이에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전하노출부재는, 상기 양전하 및 상기 음전하 중 하나를 노출시키는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주팁은, 상기 제1 전극의 상방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분주팁들은 서로 다른 크기의 토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튜브는, 일체에서 복수로 분지되어 복수의 상기 분주팁들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튜브의 일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튜브는, 복수로 분지되어 복수의 상기 분주팁들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튜브의 분지부 각각에 설치되고, 각각에 연결되는 스위치들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온/오프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는, 전극, 상기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 상방에 이격 설치되어 압송되는 유체를 극미량의 액적으로 분주하며 도전체로 형성되는 분주팁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과 상기 분주팁은, 서로의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상기 분주팁 끝에 전기장을 형성한다.
상기 전극은 고전압 인가 및 접지 중 하나로 되고, 상기 분주팁은 상기 전극과 반대로 상기 접지 및 상기 고전압 인가 중 하나로 될 수 있다.
상기 전극 및 상기 분주팁은, 상기 고전압 인가시, 양전하 또는 음전하의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전극은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분주팁은 접지되어 상기 유체를 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전극은 접지되고, 상기 분주팁은 고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유체에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의 상방에 이격 설치되어 압송되는 유체를 극미량의 액적으로 분주하는 분주팁, 상기 절연체와 상기 분주팁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액적을 통과시키는 링 형상의 제1 전극, 및 상기 분주팁을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에 접촉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서로의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상기 분주팁 끝에 전기장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전극은 고전압 인가 및 접지 중 하나로 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과 반대로 상기 접지 및 상기 고전압 인가 중 하나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고전압 인가시, 양전하 또는 음전하의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분주팁에 연결되는 튜브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를 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접지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분주팁에 연결되는 튜브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에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방법은, 제1 전극과 분주팁을 상하 방향으로 마주 배치하고, 상기 제1 전극 상에 절연체를 배치하며, 상기 분주팁으로 유체를 압송하는 튜브에 제2 전극을 설치하여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유체에 접촉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제1 전극에 고전압 및 접지 중 하나를 인가하고, 상기 제2 전극에 나머지 하나를 인가하여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상기 분주팁 끝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분주 팁으로 액적들을 분주하여, 상기 절연체에 모이는 상기 액적들에 의하여 상기 제1 전극과 반대 극성을 가지는 제1 액적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분주팁에서 상기 제1 액적을 향하여 상기 제1 액적과 같은 극성을 가지는 제2 액적을 분주하여, 상기 제1 액적 주위에서 상기 제2 액적을 반발시켜, 상기 제2 액적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전극에 양전하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전극을 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액적에 음전하를 부여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2 액적에 음전하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전극에 음전하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전극을 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액적에 양전하를 부여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2 액적에 양전하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2 전극에 양전하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1 전극을 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액적에 양전하를 부여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2 액적에 양전하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2 전극에 음전하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1 전극을 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액적에 음전하를 부여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2 액적에 음전하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에서 형성되는 상기 제1 액적과 상기 제4 단계에서 형성되는 상기 제2 액적은, 서로 같은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전기장의 세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절연체의 면적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절연체의 두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1 전극에 설치되는 상기 절연체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2 액적의 낙하 방향에 대한 상기 제1 전극 노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된 전하노출부재에서 노출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2 액적의 낙하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액적의 크기나 모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1 액적의 위치 또는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극과 압송되는 유체에 접촉되는 제2 전극 중 하나에 고전압을 인가하며 나머지 하나를 접지시켜 제1, 제2 전극 사이에 큰 전위차를 형성하여, 분주팁 끝에 강한 전기장을 형성하므로 분주되는 단일 액적의 양을 극미량으로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체 상에 제1 전극의 반대 극성을 가지는 제1 액적을 형성하고, 분주팁에서 제1 액적과 동일 극성을 가지는 제2 액적을 분주하여, 제1 액적 주위에서 제2 액적을 반발시키므로 제2 액적의 위치를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의 개념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이하 "제어장치"라 한다)는 제1, 제2 전극(10, 20), 제1 전극(10) 상에 설치되는 절연체(11), 및 절연체(11)에 형성된 제1 액적(D1)의 상방에 제공되어 제1 액적(D1)을 향하여 제2 액적(D2)을 분주하는 분주팁(21)을 포함한다.
제1, 제2 전극(10, 20)은 각각 고전압이 인가되거나 접지될 수 있다. 즉 제1 전극(10)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제2 전극(20)은 접지되고, 제1 전극(10)이 접지되면 제2 전극(20)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제1 전극(10)과 제2 전극(20) 사이에, 즉 제1 전극(10)과 분주팁(21) 사이에 큰 전위차가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분주팁(21) 끝에 강한 전기장이 형성된다.
제1 전극(10)은 분주팁(21)의 아래에 배치되고, 제2 전극(20)은 유체(예를 들면, 물)에 직접 닿아 유체에 고전압을 인가하거나 유체를 접지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다. 고전압 인가시, 제1 전극(10) 및 제2 전극(20)은 각각 양전하의 고전압 또는 음전하의 고전압으로 인가될 수 있다.
즉 제1 전극(10)이 양전하 또는 음전하의 고전압으로 인가될 때 제2 전극(20)은 0볼트로 접지되고, 제2 전극(20)이 양전하 또는 음전하의 고전압으로 인가될 때 제1 전극(10)은 0볼트로 접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제어장치가 제1, 제2 액적(D1, D2)을 동일 극성으로 유도하면, 제1, 제2 액적(D1, D2)은 반발력에 의하여 서로 밀어낸다. 이를 액적 반발(Droplet repulsion) 현상이라 한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는 제1 전극(10)에 양전하 또는 음전하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제2 전극(20)을 접지시키며, 제1 전극(10)과 제2 전극(20) 사이에 분주팁(21)을 이송 및 배치한다.
제1 전극(10)에 양전하의 고전압이 인가되면, 제2 액적(D2) 및 제1 액적(D1)은 동일한 극성의 음전하를 띠게 된다. 또한 제1 전극(10)에 음전하의 고전압이 인가되면 제2 액적(D2) 및 제1 액적(D1)도 동일한 극성의 양전하를 띠게 된다.
분주팁(21)은 극미량의 액적을 분주하도록 절연체 또는 전도체로 형성될 수 있고, 분주팁(21)의 내경은 100㎛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분주팁(21)의 내경, 외 경, 토출구, 유속, 및 전기장의 세기는 단일 액적의 양을 한정한다. 또한 분주팁(21)은 일례인 테프론 튜브(22)를 이용하여 펌프(예를 들면, 시린지 펌프(미도시))에 연결되어 극미량의 액적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아 분주한다.
예를 들면, 절연체(11)는 테프론 또는 아크릴로 형성되고, 제1 전극(10) 위에 설치되어, 떨어지는 제2 액적(D2)이 절연체(11) 위에 모여서 형성되는 제1 액적(D1)과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절연체(11)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절연 성질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절연체(11) 위에 있는 대형 제1 액적(D1)과 이를 향하여 떨어지는 소형 제2 액적(D2)이 동일 극성을 가지게 되므로 제1 액적(D1)을 향하여 떨어지는 제2 액적(D2)은 제1 액적(D1)의 근방에서 반발되는, 액적 반발 형상이 일어나게 된다. 액적 반발이 일어나는 과정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전극(10)에 양전하의 고전압(예를 들면, 4 내지 20kV)을 인가한 후, 시린지 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분주팁(21)에 미소유량(예를 들면, 0보다 크며 일례로써 10 내지 20㎕/min)을 걸어주면, 제1 전극(10) 주위에서 강한 양전하의 영향을 받아 분주팁(21) 내부에 있는 유체 분자들의 정렬이 음전하로 유도되고, 음전하로 유도된 유체가 분주팁(21) 끝으로 모인다. 유체가 분주팁(21) 끝에 모일수록 유체는 더 강한 정전기력(즉, 제1 전극(10) 양전하원과의 인력 및 분주팁(21) 내부 유체 음전하원과의 척력)을 받아 수직 방향으로 분주되고, 그 분주 속도는 더욱 가속된다.
수직 방향으로의 분주는 매우 빠르게 일어나며 일정하고 연속적으로 일어난 다. 제1 액적(D1)에 충분한 전하량이 모이면, 분주팁(21)에서 분주되는 작은 제2 액적(D2)을 정전기적으로 밀어낸다. 이때, 제2 액적(D2)이 커짐에 따라 제1 액적(D1)이 제2 액적(D2)과 같거나 작을 수도 있다.
도2는 도1의 제어장치에서 발생된 액적 반발 현상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2는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한 액적 반발 현상을 나타낸다. 제1 전극(10)에 양전하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예로 들면, 분주팁(21) 끝에서 나온 제2 액적(D2)은 수직방향으로 떨어지면서 아래에 있는 큰 제1 액적(D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기적인 척력에 의하여 튕겨나간다.
제1 액적들(D1)의 촬영 간격은 1/1200 초로 일정하다. 제2 액적(D2)이 분주팁(21) 끝에서 분주되는 순간 속도는 0이다. 따라서 촬영된 제2 액적(D2)의 궤적들 사이의 거리의 대소를 볼 때, 전체적인 속도분포는 가속, 감속, 액적 반발로 인한 방향 전환 및 가속의 순서로 진행된다.
초반의 가속 구간은 아래쪽 제1 전극(10) 양전하원의 인력에 따라 제2 액적(D2)이 가속운동을 하지만, 제1 액적(D1)과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제2 액적(D2)은 양전하원의 인력보다 큰 제1 액적(D1)과의 척력에 의한 영향을 더 받게 된다. 따라서 제2 액적(D2)은 감속운동을 한다.
제2 액적(D2)은 감속운동을 하면서 제1 액적(D1)과 지속적인 척력 영향으로 속도가 거의 0에 가깝게 수렴하고, 제1 액적(D1)을 피해가는 방향으로 진행 경로를 바꾸게 된다.
진행 경로를 바꾼 뒤, 제2 액적(D2)은 제1 액적(D1)과의 척력 영향으로 가속 운동을 하지만 척력이 약해짐에 따라 포물선 궤적을 그리며 제1 액적(D1)으로부터 수 cm 떨어진 지점에 최종적으로 도착한다.
한편, 액적 반발 현상은 여러 가지 변수들에 의해 서로 다른 실험결과를 나타내며, 조건에 따라서 일정한 경향성을 보인다. 본 실험에서 수행된 실험변수는 제1 전극(10)과 분주팁(21)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Electric field)의 세기, 절연체(11)의 면적 및 두께, 분주팁(21)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종류, 및 제어장치의 안정성을 포함한다.
먼저, 전기장의 세기에 대하여 살펴본다. 전기장의 세기가 커질수록 액적 반발 현상은 더 잘 일어난다. 전기장의 세기가 커지는 것은, 정전기력의 증가 및 제2 액적(D2)의 크기 감소와 같은 효과로 볼 수 있다.
분주팁(21)에서 분주되는 제2 액적들(D2)은 외부의 전기장에 의한 정전기력의 변화에 따라 분주 속도 및 제1 액적(D1)과의 반발력이 변하므로 각각 서로 다른 반발 형태를 나타낸다.
즉, 전기장의 세기가 커지면 제2 액적(D2)의 크기가 작아지고, 분주팁(21)의 내부에 있는 유체는 외부 전기장의 세기가 커질수록 더 강하게 음전하로 유도된다. 이때 유체는 급격히 증가한 전하량으로 인해 더 작은 제2 액적(D2)을 형성하고자 한다.
이는 레일리 불안정(Rayleigh instability) 이론에 나오는 바와 같이, 유체의 안정성을 위해 액적의 크기가 작아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도3은 도1의 제어장치에서 전기장 세기에 따른 제2 액적의 크기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제1 전극(10)에 양전하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예로 하여 도3을 참조 하면, 제1 전극(10)에 20kV의 양전하를 인가하고 제2 전극(20)을 접지시키며, 제1 전극(10)과 분주팁(21) 사이의 거리를 20mm에서 80mm까지 변화시키면서, 제2 액적(D2)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제1 전극(10)과 분주팁(21)의 유체에 일정한 전압이 걸리기 때문에, 제1 전극(10)과 분주팁(21)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기장의 세기는 감소하는데,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전기장의 세기가 커질수록(즉 거리가 짧을수록) 제2 액적(D2)의 크기가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 액적(D2)의 크기가 작아지면 그만큼 질량이 가벼워지므로 아래쪽의 제1 액적(D1) 근처에서 잘 튕겨나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어서, 절연체(11)의 면적 및 두께에 대하여 살펴본다. 절연체(11)의 면적 및 두께에 따라 액적 반발 현상은 영향을 받으며, 일정한 경향성을 가진다.
도4는 도1의 제어장치에서 절연체의 면적에 따른 시작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1 전극(10)에 양전하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예로 하여 도4를 참조하면, 절연체(11)의 면적(절연체의 직경으로 도시)을 변화시키면서 시작전압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시작전압은, 제어장치의 제1 전극(10)과 제2 전극(20)에 인가하는 전압을 0V부터 점점 올려갈 때, 비로소 반발 현상이 일어나는 시점의 전압, 즉 액적 반발 현상이 시작되는 개시전압을 의미한다.
시작전압이 낮을수록 더 낮은 전압에서 액적 반발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의 미하므로 시작전압이 낮다는 것은 액적 반발이 더 잘 일어나는 환경조건임을 의미한다. 도4를 보면, 절연체(11)의 면적이 클수록 시작전압이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분주되는 제2 액적(D2)과 아래에 있는 제1 액적(D1)에 노출되어 있는 제1 전극(10) 양전하원의 면적(즉 절연체(11)의 면적)이 작을수록 액적 반발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기장의 세기가 일정할 때에도, 노출된 제1 전극(10) 양전하원의 면적(즉 절연체(11)의 면적)이 클수록 액적 반발 현상이 더 잘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5는 도1의 제어장치에서 절연체의 두께에 따른 시작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1 전극(10)에 양전하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면, 절연체(11)의 면적과 함께 절연체(11)의 두께도 시작전압에 영향을 미친다. 실험예 1 및 2에서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5는 절연체(11)의 두께에 따른 시작전압의 경향성을 나타낸다. 도5를 참조하면, 절연체(11)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시작전압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절연체(11)가 두께가 두꺼울수록 액적 반발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절연체(11)의 두께는 분주팁(21)에서 분주되는 제2 액적(D2) 보다 절연체(11) 위에 놓인 제1 액적(D1)에, 즉 제1 액적(D1)의 유도 전하량에 영향을 더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절연체(11)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제1 액적(D1)과 제1 전 극(10) 양전하원과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제1 액적(D1)의 유도 전하량 역시 감소한다.
이어서 제2 액적(D2)을 형성하는 유체의 종류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실험에서 유체로 대부분 순수 물을 이용했으며, 액적 반발 결과는 전기장 내부에서 유체의 극성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본다.
유체의 극성변화율은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와 깊은 관련이 있는데, 순수 물의 유전상수는 80이며, 다른 물질과 비교할 때 대체로 높은 편이다. 따라서 극성이 전혀 없는 물질, 다시 말해 무극성 물질을 이용해 실험을 하였다. 일례로서, 실험에 사용된 무극성 액체는 벤젠이며, 벤젠의 유전상수는 0이다. 예상대로, 벤젠은 액적 반발 현상을 전혀 일으키지 않았다.
그러나 액적 반발 현상이 유체의 유전상수에만 관여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유전상수의 여러 가지 물질을 실험(편의상, 실험 결과는 생략한다)에 적용시켜 보았지만 유전상수에만 비례해서 경향성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유전상수 외에 액적 반발 현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는 대표적으로 유체의 표면장력 및 밀도 등을 포함한다. 표면장력의 수치가 작을수록 분주팁(21) 끝에서 분주되는 제2 액적(D2)의 크기가 더 작아지므로 액적 반발 현상에 더 유리해진다.
마찬가지로, 밀도의 수치가 작을수록 질량대비 표면 전하량이 많아지므로 액적 반발 현상에 더 유리해진다.
본 실험의 결과, 유체의 종류에 따라 유전상수, 표면장력 및 밀도 등의 값들 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실험에 적용되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액적 반발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전기장 내에서 제2 액적(D2) 운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후술한다. 이에 대하여 설명하기 전에, 제어장치의 안정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실험 결과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위 외란이나 실험 환경에 대하여 액적 반발 현상은 민감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면, 미세한 공기의 유동, 광원, 또는 주위 실험 장비에서 나오는 저주파 신호는 실험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주 높은 전압(예를 들면, 20kV 초과)을 인가할 때에는, 레일리 불안정에 의하여 제2 액적(D2)이 너무 작아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제어장치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기장 내에서 제2 액적(D2) 운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양전하원을 이용하여 제2 액적(D2)의 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은 도1의 제어장치에서 양전하원의 노출 위치에 따른 제2 액적의 운동방향을 비교 촬영한 사진이다. 제1 전극(10)에 양전하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예로 하여 도6을 참조하면, 제1 전극(10)에 양전하를 인가하고 제2 전극(20)을 접지시키면, 본 실험에서 분주팁(21)으로부터 분주되는 제2 액적(D2)은 음전하를 띤다.
도6의 (a)에서와 같이, 제1 전극(10) 상의 절연체(11)를 일측(도6에서 우측)으로 이동시켜 제1 전극(10) 양전하원의 일측(도6에서 좌측)을 노출시킨다.
이때, 분주팁(21) 끝으로부터 분주되는 제2 액적(D2)은 자체의 음전하로 인 하여 제1 전극(10) 노출 위치의 양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낙하 방향을 제1 전극(10)의 노출부 쪽(도6에서 좌측)으로 전환한다.
또한, 도6의 (b)에서와 같이, 제1 전극(10) 상의 절연체(11)를 일측(도6에서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1 전극(10) 양전하원의 일측(도6에서 우측)을 노출시킨다.
이때, 분주팁(21) 끝으로부터 분주되는 제2 액적(D2)은 자체의 음전하로 인하여 제1 전극(10) 노출 위치의 양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낙하 방향을 제1 전극(10)의 노출부 쪽(도6에서 우측)으로 전환한다.
즉 제1 전극(10)의 노출 위치에 따라 제2 액적(D2)에 작용하는 인력 방향이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10)의 노출 위치, 즉 양전하원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제2 액적(D2)의 최종 낙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액적 반발 현상을 이용하지 않고, 단순히 고전압만을 이용하여 떨어지는 제2 액적(D2)의 위치 조절도 가능하다. 그러나 고전압원만을 이용한 제2 액적(D2)의 위치 조절에 비해, 액적 반발을 이용한 제2 액적(D2)의 위치 조절은 액적 반발시, 제2 액적(D2)의 속도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보다 유리하게 제2 액적(D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및 앞의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유사 내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의 개념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제어장치는 제1 전극(10)을 접지하고, 제2 전극(20)에 양전하 또는 음전하의 고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제2 전극(20)은 분주팁(21)에 연결되는 튜브(22)에 설치되어, 튜브(22)로 공급되는 유체에 직접 양전하 또는 음전하의 고전압을 인가한다.
제1 전극(10) 및 제2 전극(20)의 어느 일측에 고전압이 인가되고 다른 일측을 접지하는 경우에도, 즉 제1, 제2 실시예는 동일한 액적 반발 현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의 개념도이다. 제1 전극(10)에 양전하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으로 하여 도8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제어장치는 제1 전극(10) 양전하원에 연결되는 전하노출부재(30)를 더 포함한다. 전하노출부재(30)는 끝에 노출부(31)를 형성하여, 노출부(31)의 양전하원에 의하여 반발된 음전하의 제2 액적(D2)이 인력을 받고 따라오게 한다.
도9 및 도10은 도8의 제어장치에서 전하노출부재를 움직임에 따라 제2 액적의 운동방향을 비교 촬영한 사진이다. 제1 전극(10)에 양전하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전하노출부재(30)를 도9의 상태에서 도10의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액적(D1)에서 반발된 제2 액적(D2)은 전하노출부재(30)의 노출부(31) 족으로 끌려 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전하노출부재(30)가 제1 전극(10)의 상방에 있는 경우, 낙하하던 제2 액적(D2)은 전하노출부재(30)를 향하여 위쪽으로 이동하여 이동 궤적(L1)을 그리고, 전하노출부재(30)가 제1 전극(10)의 측방에 있는 경우, 낙하하던 제2 액적(D2)은 전하노출부재(30)를 향하여 옆쪽으로 이동하여 이동 궤적(L2)을 그린다. 즉 제2 액적(D2)은 반발된 후, 반발에 따른 진행 방향에서 중간에 궤도 수정되므로 나선형 모양의 이동 궤적(L1, L2)을 그린다.
한편, 전하노출부재(30)를 제2 전극(20)에 연결하는 경우(미도시)에도 제2 액적(D2)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제1 전극(10)에 전하노출부재(30)를 연결하는 경우, 제2 액적(D2)이 가지는 음전하로 인하여 제1 전극(10) 양전하원과 인력이 작용한다. 그러나 제2 전극(20)에 전하노출부재(30)를 연결하는 경우, 제2 액적(D2)이 가지는 음전하로 인하여 제2 전극(20) 음전하원과 척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제2 전극(20)이 설치된 튜브(22) 및 분주팁(21)의 방향 이동이나 제2 전극(20)에 전하노출부재(30)를 연결하는 경우, 제1 전극(10)에 전하노출부재(30)를 연결하는 경우와 정반대의 실험 결과를 얻게 된다.
전기장 내에서 제2 액적(D2)의 운동을 제어하는 방법 중, 양전하원의 위치를 바꾸는 것 이외의 조건을 변경하여 제2 액적(D2)의 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에서, 제2 액적들이 일정 거리로 반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제1 전극(10)에 양전하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액적(D1)의 크기, 위치 또는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제2 액적(D2)의 위치를 제어한다. 즉 분주팁(21)에서 수직 방향으로 분주되는 제2 액적들(D2)이 아래쪽 에 위치하는 제1 액적(D1)에 근접했을 때, 제1 액적(D1)의 크기, 위치 또는 방향에 따라 반발되어 나가는 각도 및 속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복수의 제2 액적들(D2)이 반발되는 것을 연속적으로 보면 각각 똑같은 이동 궤적을 그리며 같은 방향으로 반발되어 나가지만, 제2 액적들(D2)이 모두 동일전하를 가지므로 한번 떨어진 제2 액적들(D2)을 피하는 경향이 있다. 도11을 보면 잘 나타나 있다. 즉 제2 액적들(D2)은 제1 액적(D1)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한 반경(R)을 가지며, 순차적으로 반발되어 최종적으로 낙한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1 액적(D1)의 크기나 모양 외에 제1 전극(10)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제2 액적(D2)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동일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제2 액적(D2)은 도11에서와 같이 제1 액적(D1)을 중심으로 동일 반경(R)을 그리지만 인가전압에 따라 서로 다른 반발 거리(R1, R2)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인가전압이 강할수록 반발 거리가 짧아진다. 즉 제1 액적(D1) 근처에서 반발된 제2 액적들(D2)은 위로 튀어 오르게 되는데, 이때 아래쪽 제1 전극(10)의 인가전압이 강할수록 제1 전극(10) 측 즉, 아래쪽으로의 인력이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인가전압이 약한 경우에 비교하여, 제2 액적들(D2)은 덜 튀어 오르게 되고, 제1 전극(10)을 벗어나려는 수평 방향의 힘이 방해를 받는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의 개념도이다. 도11을 참조하고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설명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는 분주팁(221)을 복수로 구비한다.
복수의 분주팁들(221)은 제1 전극(10)과의 사이에서 동일하게 형성되는 전위 차에 의하여 끝에 강한 전기장을 형성하고, 각각 제2 액적(D22)을 분주한다. 복수의 분주팁(221)은 일체형에서 분지된 각각의 튜브(222)에 연결되어 동일한 종류의 액체를 동시에 분주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20)은 튜브(222)의 일체부에 설치되어 유체에 접촉됨으로써 각 튜브(222)로 공급되는 유체에 고전압을 인가하거나, 유체를 접지시킬 수 있다.
또한, 분주팁들(221)은 내경 또는 토출구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액체을 동시에 분주하는 경우, 그 분주량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도 있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의 개념도이다. 도12를 참조하고 제4 실시예와 비교하여 설명하면,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는 분주팁들(221) 각각에 연결되는 튜브들(222)을 복수로 분지하여 형성된다. 복수로 분지된 튜브들(222) 및 분주팁들(221)은 동일한 또는 다양한 종류의 액체를 동시에 분주할 수 있게 한다.
제2 전극들(20)은 분지된 튜브들(222) 각각에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각각에 연결되는 스위치들(20S)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온/오프 제어된다. 따라서 제2 전극들(20)은 스위치들(20S)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튜브들(222) 및 분주팁들(221)로 분주되는 유체에 서로 다른 고전압을 인가하거나, 유체를 접지시킬 수 있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의 개념도이다. 도14를 참조하고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설명하면, 제6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는 제1 전극(10)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분주팁(21)을 직접 접지시킨다. 즉 분주팁(21)이 액적을 분주함과 동시에 접지된 제2 전극(20)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제6 실시예의 제어장치는 제1 실시예의 제2 전극(20)을 구비하지 않는다.
제6 실시예의 분주팁(21)은 접지시키도록 도전체로, 예를 들면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주팁(21)은 제4, 제5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전극(10) 상에 복수로 배치되고, 각각을 접지시킬 수도 있다(미도시).
도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의 개념도이다. 도15를 참조하고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설명하면, 제7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는 제1 전극(10)을 접지시키고, 분주팁(21)에 고전압을 직접 인가한다. 즉 분주팁(21)이 액적을 분주함과 동시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제2 전극(20)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제7 실시예의 제어장치는 제2 실시예의 제2 전극(20)을 구비하지 않는다.
제7 실시예의 분주팁(21)은 고전압을 인가하도록 도전체로, 예를 들면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분주팁(21)은 제2 실시예에서 제2 전극(20)에 양전하 또는 음전하의 고전압을 인가하는 것과 같이, 양전하 또는 음전하의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분주팁(21)은 제4, 제5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전극(10) 상에 복수로 배치되고, 각각에 고전압을 인가할 수도 있다(미도시).
도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의 개념도이다. 도16을 참조하고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설명하면, 제8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는 제1 전극(20)을 링으로 형성하여, 절연체(11)와 분주팁(21) 사이에 배 치하고, 제2 전극(20)을 분주팁(21)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접촉하도록 구성한다. 제1 전극(20)은 분주팁(21)에서 분주되는 제2 액적(D2)을 통과시킨다.
제1 전극(10)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제2 전극(20)을 접지시키면, 제1 전극(10)과 분주팁(21) 사이에서 큰 전위차가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분주팁(21)의 끝에 강한 전기장이 형성된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의 개념도이다. 도17을 참조하고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설명하면, 제9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는 제1 전극(20)을 링으로 형성하여, 절연체(11)와 분주팁(21) 사이에 배치하고, 제2 전극(20)을 분주팁(21)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접촉하도록 구성한다. 제1 전극(20)은 분주팁(21)에서 분주되는 제2 액적(D2)을 통과시킨다.
제1 전극(10)을 접지시키고, 제2 전극(20)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제1 전극(10)과 분주팁(21) 사이에서 큰 전위차가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분주팁(21)의 끝에 강한 전기장이 형성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의 개념도이다.
도2는 도1의 제어장치에서 발생된 액적 반발 현상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3은 도1의 제어장치에서 전기장 세기에 따른 제2 액적의 크기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4는 도1의 제어장치에서 절연체의 면적에 따른 시작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5는 도1의 제어장치에서 절연체의 두께에 따른 시작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6은 도1의 제어장치에서 양전하원의 노출 위치에 따른 제2 액적의 운동방향을 비교 촬영한 사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의 개념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의 개념도이다.
도9 및 도10은 도8의 제어장치에서 전하노출부재를 움직임에 따라 제2 액적의 운동방향을 비교 촬영한 사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에서 제2 액적들이 일정 거리로 반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의 개념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의 개념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의 개념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의 개념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의 개념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의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 전극 11 : 절연체
20, 220 : 제2 전극 21, 221 : 분주팁
22, 222 : 튜브 30 : 전하노출부재
31 : 노출부 D1 : 제1 액적
D2, D22 : 제2 액적 L1, L2 : 이동 궤적
R : 반경 R1, R2 : 반발 거리

Claims (38)

  1.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의 상방에 이격 설치되어 압송되는 유체를 극미량의 액적으로 분주하는 분주팁; 및
    상기 분주팁을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에 접촉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서로의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상기 분주팁 끝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고전압 인가 및 접지 중 하나로 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과 반대로 상기 접지 및 상기 고전압 인가 중 하나로 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각각 상기 고전압 인가시, 양전하 또는 음전하의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분주팁에 연결되는 튜브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를 접지시키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접지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분주팁에 연결되는 튜브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전하노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하노출부재는,
    상기 고전압의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분주팁 사이에 노출시키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노출부재는,
    상기 양전하 및 상기 음전하 중 하나를 노출시키는 노출부를 포함하는 전기 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주팁은,
    상기 제1 전극의 상방에 복수로 배치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분주팁들은 서로 다른 크기의 토출구를 가지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일체에서 복수로 분지되어 복수의 상기 분주팁들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튜브의 일체부에 설치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복수로 분지되어 복수의 상기 분주팁들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튜브의 분지부 각각에 설치되고,
    각각에 연결되는 스위치들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온/오프 작동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12. 전극;
    상기 전극 상에 배치되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 상방에 이격 설치되어 압송되는 유체를 극미량의 액적으로 분주하며 도전체로 형성되는 분주팁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과 상기 분주팁은,
    서로의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상기 분주팁 끝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고전압 인가 및 접지 중 하나로 되고,
    상기 분주팁은 상기 전극과 반대로 상기 접지 및 상기 고전압 인가 중 하나로 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및 상기 분주팁은,
    상기 고전압 인가시, 양전하 또는 음전하의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분주팁은 접지되어 상기 유체를 접지시키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접지되고,
    상기 분주팁은 고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유체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17. 절연체;
    상기 절연체의 상방에 이격 설치되어 압송되는 유체를 극미량의 액적으로 분주하는 분주팁;
    상기 절연체와 상기 분주팁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액적을 통과시키는 링 형상의 제1 전극; 및
    상기 분주팁을 통하여 공급되는 유체에 접촉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서로의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상기 분주팁 끝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기 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고전압 인가 및 접지 중 하나로 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과 반대로 상기 접지 및 상기 고전압 인가 중 하나로 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고전압 인가시, 양전하 또는 음전하의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분주팁에 연결되는 튜브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를 접지시키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21.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접지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분주팁에 연결되는 튜브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에 고 전압을 인가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22. 제1 전극과 분주팁을 상하 방향으로 마주 배치하고, 상기 제1 전극 상에 절연체를 배치하며, 상기 분주팁으로 유체를 압송하는 튜브에 제2 전극을 설치하여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유체에 접촉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제1 전극에 고전압 및 접지 중 하나를 인가하고, 상기 제2 전극에 나머지 하나를 인가하여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상기 분주팁 끝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분주팁으로 액적들을 분주하여, 상기 절연체에 모이는 상기 액적들에 의하여 상기 제1 전극과 반대 극성을 가지는 제1 액적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분주팁에서 상기 제1 액적을 향하여 상기 제1 액적과 같은 극성을 가지는 제2 액적을 분주하여, 상기 제1 액적 주위에서 상기 제2 액적을 반발시켜, 상기 제2 액적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방법.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전극에 양전하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전극을 접지시키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방법.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액적에 음전하를 부여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2 액적에 음전하를 부여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방법.
  25.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전극에 음전하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전극을 접지시키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방법.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액적에 양전하를 부여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2 액적에 양전하를 부여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방법.
  27.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2 전극에 양전하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1 전극을 접지시키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방법.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액적에 양전하를 부여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2 액적에 양전하를 부여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방법.
  29.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2 전극에 음전하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1 전극을 접지시키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방법.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액적에 음전하를 부여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2 액적에 음전하를 부여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방법.
  31.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형성되는 상기 제1 액적과 상기 제4 단계에서 형성되는 상기 제2 액적은,
    서로 같은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방법.
  32.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전기장의 세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방법.
  3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절연체의 면적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방법.
  34.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절연체의 두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방법.
  35.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1 전극에 설치되는 상기 절연체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2 액적의 낙하 방향에 대한 상기 제1 전극 노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방법.
  36.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된 전하노출부재에서 노출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2 액적의 낙하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방법.
  3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액적의 크기나 모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방법.
  38.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1 액적의 위치 또는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방법.
KR1020090111109A 2009-01-22 2009-11-17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131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47,863 US9216573B2 (en) 2009-01-22 2010-11-17 Apparatus for controlling droplet motion in electric field and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5700 2009-01-22
KR1020090005700 2009-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416A true KR20100086416A (ko) 2010-07-30
KR101131161B1 KR101131161B1 (ko) 2012-03-28

Family

ID=42645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109A KR101131161B1 (ko) 2009-01-22 2009-11-17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16573B2 (ko)
KR (1) KR1011311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9329B2 (ja) * 2017-05-09 2022-04-06 シャープ株式会社 放電装置および電気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22979A1 (de) * 1985-06-27 1987-01-02 Bayer Ag Verfahren zur erzeugung elektrisch geladenen spruehnebels aus leitfaehigen fluessigkeiten
JPH022058A (ja) 1988-06-15 1990-01-08 Ricoh Co Ltd 記録方法
US6105571A (en) * 1992-12-22 2000-08-22 Electrosols, Ltd. Dispensing device
KR0146540B1 (ko) * 1995-11-03 1998-08-17 김광호 잉크-젯 프린터의 헤드 장치 및 전사 방법
US20080119772A1 (en) * 2001-01-11 2008-05-22 Ronald Alan Coffee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material
AU2001247544A1 (en) * 2000-03-17 2001-10-03 Nanostream, Inc. Electrostati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liquids
US6520402B2 (en) * 2000-05-22 2003-02-1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igh-speed direct writing with metallic microspheres
JP4252451B2 (ja) * 2001-08-30 2009-04-08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混合液の液滴形成方法及び混合液の液滴形成装置
JP3956222B2 (ja) * 2002-09-24 2007-08-08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WO2005014179A1 (ja) * 2003-08-08 2005-02-17 Sharp Kabushiki Kaisha 静電吸引型流体吐出装置、静電吸引型流体吐出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描画パターン形成方法
JP4044012B2 (ja) * 2003-08-29 2008-02-06 シャープ株式会社 静電吸引型流体吐出装置
GB0709517D0 (en) * 2007-05-17 2007-06-27 Queen Mary & Westfield College An electrostatic spraying device and a method of electrostatic spray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14192A1 (en) 2011-05-19
KR101131161B1 (ko) 2012-03-28
US9216573B2 (en)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3365B2 (en) Spray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for polymer spray deposition device
EP0193348B1 (en)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WO2005117506A1 (ja) 除電装置
US20130233245A1 (en) Electrostatic spray printing appratus
EP2851129A1 (en) Spray nozzle and coating system using the same
CN108348934B (zh) 静电喷雾装置
KR101131161B1 (ko) 전기장 내의 액적 운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90103406A (ko) 비전도체 정전분무장치 및 정전분무 방법
JP2016198756A (ja) エレクトロスプレーイオン化法に用いる放電ノズル
US10173229B2 (en) Electrostatic atomizing device
KR19980087013A (ko) 정전분체 도장건
EP3737506B1 (en) Spray nozzle assembly and spray plume shaping method
US10370777B2 (en) Nanofiber manufacturing device and nanofiber manufacturing method
WO2016163046A1 (ja) エレクトロスプレーイオン化法に用いる放電ノズル
KR20050006848A (ko) 독립전위 가드판을 갖는 정전분무장치 및 그 방법
CN111247277B (zh) 电流体动力生产方法和系统
Ishida et al. Properties of ink-droplet formation in double-gate electrospray
CN214193536U (zh) 一种静电纺丝装置
WO2010149197A1 (en) Nozzle device and spray applicator comprising the same
WO2021068042A1 (en) Electrohydrodynamic atomizer
KR101692585B1 (ko) 정전 도포 방법 및 정전 도포 장치
TW201600178A (zh) 靜電塗覆裝置及靜電塗覆方法
이수홍 et al. Study on Variation of Onset Voltage by Electric Conductivity for Electrostatic Droplet Ejection
JP2002083700A (ja) 交流式イオナイ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