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091A - 한 손으로 접는 유모차 - Google Patents

한 손으로 접는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091A
KR20100086091A KR1020090004697A KR20090004697A KR20100086091A KR 20100086091 A KR20100086091 A KR 20100086091A KR 1020090004697 A KR1020090004697 A KR 1020090004697A KR 20090004697 A KR20090004697 A KR 20090004697A KR 20100086091 A KR20100086091 A KR 20100086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lide housing
rear wheel
sea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국
Original Assignee
박용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국 filed Critical 박용국
Priority to KR1020090004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6091A/ko
Publication of KR20100086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0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the wheel axes being moved from each other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 가능한 유아용 시트와 상기 시트를 배치할 수 있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유모차로서, 상기 프레임은 메인 바와; 상기 메인 바에 대해 미끄럼운동 및 고정이 가능한 슬라이드 하우징; 상기 메인 암의 내부로 밀어넣거나 당겨 고정할 수 있는 푸쉬/풀 바를 갖는 푸쉬/풀 핸들;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의 축[1] 방향에 대한 일정범위의 회전운동 및 고정이 가능하며 양 끝단에 힌지가 부착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양 끝단 힌지에 결합되어 회전운동이 가능한 후륜 바; 상기 후륜 바에 지지된 후륜; 상기 메인 바에 지지된 된 전륜;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과 공통인 축[2] 방향에 대해 일정범위의 회전운동 및 고정이 가능한 좌측 및 우측 스윙 암과; 상기 스윙 암의 [축]3 방향으로 결합되어 회전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시트를 고정할 수 있는 시트고정판; 상기 스윙 암의 축[2] 방향에 대한 회전과 상기 시트고정판의 축[3] 방향에 대한 회전운동을 연동시켜 제어할 수 있는 풀리 한쌍과 벨트[좌/우 각각; 스프로켓과 체인, 기어열로 대체 가능]로 구성된다.
유모차, stroller, push chair, 한손

Description

한 손으로 접는 유모차 {The stroller which it folds by one hand}
본 발명은 유아용 시트를 탈/부착할 수 있으며, 접을 수 있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유아용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아를 동반하고 외출/이동 등을 할 경우의 대표적인 보조수단으로 유모차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모차는 대체로 접거나 펼칠 때 두 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유아가 탑승한 상태에서 보호자와 유아에게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대형 유모차들의 경우, 유아의 탑승시에는 만족할만한 편의를 제공하지만, 한 손으로는 접고 펼치는 조작이 거의 불가능하며 중량과 부피도 크기 때문에 계단이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서는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았다.
이는 휴대용 유모차에서도 발생 되며, 중량과 부피는 줄었지만 한 손으로 접거나 펴는 것은 마찬가지로 어려웠으며, 유아의 탑승시 보호자와 유아에게 만족할만한 편의를 제공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 손잡이에 부착된 한 개의 고정장치만을 해제하면 중력만을 이용해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펼친 상태에서의 편의성을 만족시키면서도 접었을 때의 중량과 부피를 줄여 수납이나 운반이 편리한 유모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의 탈/부착과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탈/부착시 방향(유아가 앉았을 경우 시선 방향)을 앞뒤로 전환하여 유아와 보호자가 더욱 다양한 편의를 누릴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메인 바를 중심으로 전륜과 후륜을 삼발이 형태로 배치하여 프레임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접을 경우 푸쉬/풀 바를 메인 바 안으로 밀어넣고, 시트와 후륜이 메인 바에 지지가 된 전륜방향으로 중력에 의한 회전운동 또는 미끄럼 운동을 하면서 모여들어 길이와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트와 프레임이 결합하는 부분의 형상을 대칭으로 구성하여 시트의 방향(유아가 앉았을 경우 시선 방향)을 앞/뒤로 전환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한 손으로 유모차를 접거나 펼 수 있으므로, 혼자 유아를 데리고 이동하다가 유모차를 접거나 펴는 조작이 필요한 상황에서 한 손으로 유아를 안은 채로도 편리하게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접었을 때의 전체 길이와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수납이 필요할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 유모차를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트의 방향전환에 의해 유아와 보호자가 마주보거나 유아가 전방을 바라보게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유모차[a]는 유아용 시트[20]와 프레임[b]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프레임[b]은 1개의 선회식 전륜[12]과 2개의 고정식 후륜[11]을 가지며, 유모차[a]를 사용자가 밀면서 이동할 경우 선회식 전륜[12]은 방향전환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상기 선회식 전륜[12]은 메인 바[4] 지지가 되며, 후륜[11]은 후륜 바[10]에 지지가 된다.
또한, 프레임[b]은 푸쉬/풀 핸들[14]과 푸쉬/풀 바[13]를 갖는다. 상기 푸쉬/풀 핸들[14]과 푸쉬/풀 바[13]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길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고정/해제가 용이한 고정장치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바[4]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과 고정이 가능한 슬라이 드 하우징[[7]을 갖는다.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7]에는 축[2] 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도의 회전이 가능한 샤프트[8]가 조립되며, 샤프트[8]의 양단 힌지에는 힌지 고정축에 대한 회전운동이 가능한 후륜 바[10]가 조립된다.
도 2는, 슬라이드 하우징[7]과 메인바[4]와 샤프트[8]와 후륜바[10]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2의 좌측은 프레임[b]의 펼친 상태의 부분단면도이며, 우측은 접은 상태의 부분단면도이다. 최초 펼친 상태에서 슬라이드 하우징[7]은 메인 바[4]의 상단에 고정된 운반손잡이[5-1]에 부착된 고정장치[6-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장치는 슬라이드 하우징[7]이 고정 위치로 이동했을 때 스프링 등의 작용에 의해 자동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운반손잡이에 부착되어 누르거나 당겨 작동시킬 수 있는 해제 레버를 갖는다.
프레임[b]을 접을 때에는 운반손잡이[5-1]를 잡고 위로 들어올리면서 고정장치[6-1]를 해제한다. 고정장치[6-1]가 해제되면 슬라이드 하우징[7]은 중력에 의해 운반손잡이[5-1]의 반대방향으로 낙하하며, 이때 스프링 등에 의해 샤프트[8]의 회전을 구속하고 있던 내부의 로킹레버[9-1]가 메인 바[4]의 돌출부에 의해 눌려서 해제되고 순차적으로 샤프트[8]의 양단 힌지에 조립된 후륜 바[10]의 무게에 의해 샤프트[8]와 후륜바[10]가 회전하게 된다. 회전시 후륜 바[10]는 축[1]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하우징[7]의 입체경사면과 샤프트[8]의 힌지 축방향에 대한 회전 운동에 의해 전륜[12]쪽으로 모이게 되어, 전륜[12]과 후륜[11]이 모두 근접하게 위치한다. 상기 샤프트[8]의 최대 회전각도는 샤프트[8]의 단면형상과 슬라이드 하우징[7]의 내부 형상 및 입체경사면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슬라이드 하우징[7]의 중력에 의한 미끄럼 운동은 고정장치[6-2]에 의해 제한되어 멈추게 되며, 이때 메인 바[4]의 스프링 등의 작용에 의해 메인 바[4]의 돌출부 형상에 의해 눌려있던 로킹레버[9-2]가 작동하며 샤프트[8]의 회전을 구속하며 동시에 고정장치[6-2]에 의해 슬라이드 하우징[7]도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동작을 통해 프레임[b]은 접힌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프레임[b]을 펼칠 경우에는 운반손잡이[5-2]를 쥐고 들어올리면서 고정장치 [6-2]를 해제하면 상기 내용의 역순으로 동작이 일어나며 펼쳐진 채로 고정되게 된다.
도 3은, 스윙 암[15]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좌측은 시트[20]를 세운 상태(보호자와 유아의 마주보기 상태에서는 눕힌 상태에 해당 됨)의 부분단면도이고, 우측은 시트[20]를 눕힌 상태(보호자와 유아의 마주보기 상태에서는 세운 상태에 해당 됨)의 부분단면도이다. 스윙 암[15]은 축[2]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에 대해 회전운동을 하며, 회전운동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갖는다. 또한, 상기 스윙 암[15]은 고정 풀리[16]와 벨트[17]와 가동 풀리[18]의 작용에 의해 시트 고정판[19]과 연동 되어 회전한다.
시트[20]를 눕힐 경우 시트 고정판[19]을 시트를 눕히는 방향(도면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시트 고정판[19]에 연결된 가동 풀리[18]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고정 풀리[16]가 슬라이드 하우징[7]에 대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동 풀리[18]는 시계 방향의 회전과 동시에 벨트[17]의 작용에 의해 고정 풀리[16]의 주변을 반시계 방향으로 유성 운동하게 되며, 이때 스윙 암[15]도 축[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함께 회전한다.
상기된 고정 풀리[16], 벨트[17], 가동 풀리[18]는 동일한 작용을 하는 스프로켓, 체인, 스프로켓 이나 복수의 기어열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연동한 스윙 암[15]과 시트 고정판[19]의 회전각은 고정 풀리[16]와 가동 풀리[18]의 기어 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시트[20]를 세울 경우에는 상기 내용의 역순으로 작동하게 된다.
도 4는, 유모차[a]의 접고 펼 때의 모습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외형도이다. 윗 열은 시트[20]를 떼어낸 프레임[b]의 모습이고, 아래 열은 시트[20]를 프레임[b]에 부착한 유모차[a]의 모습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유모차[a]를 접을 경우, 푸쉬/풀 핸들[14]과 푸쉬/풀 바[13]를 메인 바[4] 안으로 밀어 넣고, 시트[20]를 눕혀 스윙 암[15]이 전륜[12]방향으로 메인 바[4]에 밀착하게 하고, 운반손잡이[5-1]를 위로 들어올리면서 고정 장치[6-1]를 해제하여 중력에 의해 슬라이드 하우징[7]과 후륜 바[10]가 전륜 방향으로 모이게 하면 유모차[a]는 최소크기로 접히며 고정된다.
반대로 유모차[a]를 펼칠 경우, 운반손잡이 [5-2]를 위로 들어올리면서 고정장치[6-2]를 해제하여 중력에 의해 슬라이드 하우징[7]과 후륜 바[10]가 운반손잡이[5-1] 방향으로 펼쳐지게 하고, 유모차[a]를 바로 하여 푸쉬/풀 핸들[14]과 푸쉬/풀 바[13]를 펼치면 사용할 수 있게 펼쳐진 상태가 된다. 또한 시트[20]는 세우거나 눕힌 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펼쳤을 때와 접었을 때의 유모차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하우징과 샤프트의 작동원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서, 좌측은 펼쳤을 때의 부분 단면도이며 우측은 운반손잡이를 잡고 잠금장치를 해제하며 들어올려 접었을 때의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암의 작동원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서, 좌측은 시트를 세웠을 때의 부분 단면도이며 우측은 시트를 눕혔을 때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접거나 펼 때의 형태 변화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외형도.

Claims (4)

  1. 안전벨트를 포함하는 유아용 시트를 탈부착할 수 있으며 전/후륜과 핸들이 부착되어 이동 가능한 프레임으로 구성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전륜과 슬라이드 하우징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메인바;
    상기 메인 바에 대해 슬라이드 운동을 하며 후륜 바와 연결된 샤프트와 샤프트의 회전운동에 대한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하우징;
    상기 유아용 시트를 탈부착할 수 있는 시트고정판과 시트고정판의 각도조절 및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스윙 암;
    상기 후륜이 부착되고 슬라이드 하우징의 샤프트에 힌지로 연결되어 2축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후륜 바;
    상기 핸들이 부착되고 메인 바의 안쪽으로 밀어넣거나 빼내어 고정할 수 있는 푸쉬풀 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접는 유모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에 포함된 슬라이드 하우징 고정장치를 해제하면 슬라이드 하우징이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드 하우징 내부에 있는 두 개의 로킹레버가 메인 바에 형성된 돌출부의 형상에 연동 되어 후륜 바가 연결된 샤프트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슬라이드 하우징의 슬라이드 운동과 후륜바의 회전운동이 일어난 후 초기 고정위치와 반대쪽 고정위치에서 재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접는 유모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암은 내부에 고정풀리/ 벨트/ 가동풀리(스프로켓과 체인 또는 기어열로 대체 가능)를 가지고 있으며, 시트고정판과 연결된 가동풀리에 회전운동(시트고정판의 각도 변경)이 발생하면 벨트와 슬라이드 하우징에 연결된 고정풀리에 의해 가동풀리가 유성운동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해 스윙암이 연동되어 회전하게 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접는 유모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하우징과 스윙암, 후륜바의 동작에 의해, 유모차를 접을 때 후륜과 슬라이드 하우징, 유아용 시트가 전륜 쪽으로 모여들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접는 유모차.
KR1020090004697A 2009-01-20 2009-01-20 한 손으로 접는 유모차 KR201000860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697A KR20100086091A (ko) 2009-01-20 2009-01-20 한 손으로 접는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697A KR20100086091A (ko) 2009-01-20 2009-01-20 한 손으로 접는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091A true KR20100086091A (ko) 2010-07-30

Family

ID=4264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697A KR20100086091A (ko) 2009-01-20 2009-01-20 한 손으로 접는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60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5405A (zh) * 2018-09-18 2019-06-04 中山市西区青原贸易代理服务部 一种推车车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5405A (zh) * 2018-09-18 2019-06-04 中山市西区青原贸易代理服务部 一种推车车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8312B2 (ja) 折畳み式ベビーカー
TWI607927B (zh) 推車
CN101844576B (zh) 婴儿车
TWI507314B (zh) Baby carriage
WO2020064025A1 (zh) 折叠儿童推车
CN110239608A (zh) 婴幼儿推车
US10501141B2 (en) Folding tricycle
EP3272621B1 (en) A foldable stroller frame
TWI449555B (zh) Collapsible elliptical sports machine
CN107685758B (zh) 儿童推车
TWM524288U (zh) 可折疊之帶有輪子之手推車
US10850760B2 (en) Foldable wheeled carrier including wheel folding actuation handle
CN205327138U (zh) 一种多维度折叠的儿童手推车
WO2019148915A1 (zh) 可折叠轮椅
CN107985378B (zh) 儿童推车
CN107757693B (zh) 一种能实现四折的婴儿推车车架
CN201585735U (zh) 折叠轻便婴儿座椅
KR20100086091A (ko) 한 손으로 접는 유모차
JP2021059326A (ja) ベビーカー
CN205469222U (zh) 一种儿童推车
CN210174950U (zh) 用于婴儿车车架的支架及设有该支架的婴儿车车架
CN220905078U (zh) 一种儿童推车车架
CN107776641B (zh) 推车车架
CN110001845A (zh) 折叠式三轮车
WO2013160433A1 (fr) Chassis pliable de poussette canne pour enf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