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877A - 무인외곽경비시스템의 침입감지망 및 그 직조기 - Google Patents

무인외곽경비시스템의 침입감지망 및 그 직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877A
KR20100084877A KR1020090004247A KR20090004247A KR20100084877A KR 20100084877 A KR20100084877 A KR 20100084877A KR 1020090004247 A KR1020090004247 A KR 1020090004247A KR 20090004247 A KR20090004247 A KR 20090004247A KR 20100084877 A KR20100084877 A KR 20100084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intrusion detection
detection network
sensing
zigz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5142B1 (ko
Inventor
정대종
Original Assignee
정대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종 filed Critical 정대종
Priority to KR1020090004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142B1/ko
Priority to PCT/KR2009/007617 priority patent/WO2010082729A2/ko
Priority to JP2011546207A priority patent/JP2012515391A/ja
Publication of KR20100084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877A/ko
Priority to US13/173,294 priority patent/US2011025324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E04H17/05Wire mesh or wire fabr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9/00Making fencing or like material made partly of wir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지망이 쉽게 해체되거나 풀리지 않으면서도 현장에서 설치가 용이한 구조의 침입감지망과 그것을 직조하는 직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체가 하나의 감지선으로 직조되고, 반복되는 일정한 직조패턴을 포함하는 침입감지망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직조패턴은 지지선과, 상기 지지선의 일단부에서 시작하여 타단부에서 끝나면서 상기 지지선이 일편의 꼭지점들을 모두 연결하고 있는 지그재그 형상의 선과, 상기 지그재그 형상에서 타편의 꼭지점들을 모두 연결하는 다른 지지선과, 상기 다른 지지선을 기준으로 상기 지그재그 형상과 대칭으로 형성되는 다른 지그재그 형상의 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그재그 형상의 선과 상기 다른 지그재그 형상의 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그 각각의 선에 해당하는 2개의 감지선은 서로를 감아 걸고 있는 침입감지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가능한 원통부와, 원통부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침입감지망 직조기로서, 원통부에는 표면에서 돌출되는 다수의 핀의 열(列)이 둘레를 따라 다수 개 형성되고; 다수 개의 핀의 열은 다수의 핀이 한 줄로 배치되는 제1열과, 제1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웃하면서 제1열의 핀과 핀 사이의 영역을 마주하는 위치에 핀이 배치되는 제2열이 교번하여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침입감지망 직조기를 제공한다.
감지, 경비시스템, 직조기, 침입, 동축케이블

Description

무인외곽경비시스템의 침입감지망 및 그 직조기{Infiltration detecting net of unmanned intrusion surveillance System and weaving machine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인외곽경비시스템에 사용되는 침입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쉽게 풀리지 않으면서도 현장에서 설치가 용이한 구조의 침입감지망과 그것을 직조하는 직조기에 관한 것이다.
군부대, 공항, 발전소, 수용시설 등의 시설물은 적의 침투나 외부인의 침입 또는 내부자의 탈출시 국가의 안녕을 보장할 수 없거나, 사회 공공에 막대한 손실을 가할 수 있으므로 침입이나 탈출을 봉쇄할 수 있는 경계시설이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그러한 경계시설은 도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철망으로 이루어진 경계펜스가 흔히 설치되고 있으나, 단순히 경계펜스만으는 월담이나 절단에 의한 침입 등을 감지하고 조치를 취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므로 상기 경계펜스에 별도의 시스템을 구비하여 침입 등의 시도를 확인할 수 있는 침입감지시스템이 개발되어 운용되고 있다.
침입감지시스템으로는 감시카메라, 열선감지, 광섬유 등의 감지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침입여부에 대한 실시간 감시가 가능하고 침입시도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방식으로 광섬유를 센서로 이용하는 방식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는 경계가 필요한 부분에 침입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직조된 그물형태의 망을 경계펜스에 부착설치하여 침입시도를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방식은 도2에서와 같이 광섬유가 서로 단순 교차하는 방식으로 직조되어 기존 펜스의 기둥(120)에 설치된 것으로 출력제어부(100)에서 일정한 광신호를 광섬유망(130)에 입사시키고 상기 광섬유망(130)를 통과한 광신호를 입력제어부(110)에서 수신받는 것으로, 침입자가 광섬유망(130)을 벌리거나 절단하면 광신호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감지하여 외부의 침입 시도가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조치를 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광섬유망은 외부의 침입 시도에 민감하여 외부에서 틈을 벌리고 들어가기가 상당히 어려운 특징이 있으나, 바람이나 강우 등의 자연현상, 동물의 충돌 등에 대하여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침입시도의 오판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광섬유망을 경계펜스 등에 부착할 경우 망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울타리의 기둥에 묶는 방식으로 설치되게 되므로 상기 체결수단이 절단됨으로 인해 침입이 발생할 우려가 생긴다. 한편,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장에서 제작된 광섬유망을 경계펜스의 기둥에 감기도록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경계펜스의 기둥을 광섬유가 감는 방식으로 부착하기 위해 경계펜스의 설치와 동시에 또는 기존의 경계펜스를 재설치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진행될 필요가 있으므로 설치작업에 과도한 노동력이 소요되고, 광섬유가 유연하지 않아 견고한 체결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침입여부에 대한 오판의 염려가 없으면서도 해체가 쉽지 않은 직조구조를 가지는 침입감지망과 그것을 제작하는 직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에서의 설치가 보다 용이한 침입감지망과 그것을 제작하는 직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체가 하나의 감지선으로 직조되고, 반복되는 일정한 직조패턴을 포함하는 침입감지망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직조패턴은 지지선과, 상기 지지선의 일단부에서 시작하여 타단부에서 끝나면서 상기 지지선이 일편의 꼭지점들을 모두 연결하고 있는 지그재그 형상의 선과, 상기 지그재그 형상에서 타편의 꼭지점들을 모두 연결하는 다른 지지선과, 상기 다른 지지선을 기준으로 상기 지그재그 형상과 대칭으로 형성되는 다른 지그재그 형상의 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그재그 형상의 선과 상기 다른 지그재그 형상의 선이 만나는 부분에서 그 각각의 선에 해당하는 2개의 감지선은 서로를 감아 걸고 있는 침입감지망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그재그 형상의 선과 상기 다른 지그재그 형상의 선이 만나는 부분에서 그 각각의 선에 해당하는 상기 2개의 감지선은 상기 지지선 또는 상기 다른 지지선을 또한 감아 걸되, 한쪽에서 올리고 한쪽에서 누름으로써 상기 지지선 또는 상기 다른 지지선이 굴곡이 생기도록 감아 걸어 직조망의 사이사이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직조된 침입감지망에는 직조 시작부에서의 여유감지선과 직조종결부에서의 여유감지선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침입감지망의 둘레에는 다수의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에는 중심축의 방향이 서로 동일하지 않은 관통공과 감지선고정공이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감지선고정공은 감지선이 외부로부터 통과하여 상기 감지선고정공에 안착될 수 있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선고정공에는 상기 지그재그 형상의 선과 상기 다른 지그재그 형상의 선에 해당하는 감지선 중 하나 이상이 통과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침입감지망은 상기 침입감지망의 둘레를 연결하면서 상기 다수의 고정구의 상기 관통공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감지선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상기 감지선고정공보다 더 침입감지망의 중심을 향하는 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과 감지선고정공은 그 중심축의 방향이 서로 수직을 이루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침입감지망의 둘레의 안쪽에서 상기 지그재그 형상의 선과 상기 다른 지그재그 형상의 선이 만나는 지점에는 그 선들에 해당하는 감지선과, 상기 지지선 또는 상기 다른 지지선에 해당하는 감지선을 함께 고정시키는 클립이 설치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선은 동축케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중심축의 방향이 동일하지 않은 제1구멍과 제2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구멍에서 외측단부까지 갈라진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를 이용하여 하나의 감지선으로 직조하는 침입감지망 제작방법에 있어서, 한 열(列)의 고정구를 배열하는 제1단계, 상기 배열된 첫번째 고정구의 제2구멍을 감지선이 통과하고 상기 감지선이 제1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구들의 제2구멍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고정구들은 상기 제1지그재그 형태의 일편의 꼭지점 부분에 위치하도록 직조하는 제2단계, 상기 열(列)의 앞쪽에서 상기 제2단계의 고정구 중 상기 감지선이 마지막 통과한 고정구와 마주하는 위치에 고정구를 더 배치하고 상기 감지선을 그 고정구의 제2구멍으로 통과시키는 제3단계, 상기 제1지그재그 형태의 타편의 각 꼭지점 부근에서 꼭지점을 이루는 양쪽 선 사이를 감지선이 통과하되 상기 양쪽 선의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하는 것과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는 것이 교번하여 상기 타편의 각 꼭지점을 하나씩 이동하면서 진행되어 제1중심선을 형성하는 제4단계, 상기 첫 번째 고정구와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고정구를 더 배치하고, 그 고정구와 상기 첫 번째 고정구 각각의 제2구멍으로 감지선을 통과시키며, 상기 제1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단계에서 형성된 제1지그재그 형태의 선과 대칭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중심선과 만나는 부분에서는 상기 제1 지그재그 형태의 타편의 꼭지점을 이루는 선과 상기 제1중심선을 모두 감아 걸고 있는 제2 지그재그 형태의 선을 형성하는 제5단계, 상기 제1중심선과 만나지 않는 편에 있는 상기 제2 지그재그 형태의 꼭지점들에서 그 꼭지점을 형성하는 양쪽 선 사이를 감지선이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하는 것과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는 것이 교번하여 반복되어 제2중심선을 형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침입감지망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작방법은 상기 고정구의 상기 제1 구멍을 직조될 침입감지망의 안쪽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단계에서 배열하는 한 열(列)의 고정구는 짝수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회전가능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침입감지망 직조기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에는 돌출되는 다수의 핀의 열(列)이 둘레를 따라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핀의 열은 다수의 핀이 한 줄로 배치되는 제1열과, 상기 제1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웃하면서 상기 제1열의 핀과 핀 사이의 각 영역을 마주하는 위치에 핀이 배치되는 제2열이, 교번하여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침입감지망 직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직조기는 상기 원통부에 형성된 다수의 핀 사이의 간격이 모두 동일하고, 상기 다수의 열 사이의 간격도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열의 핀은 상기 제1열의 서로 이웃하는 핀과 핀 사이의 중간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핀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통부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원통부에서 직조되는 침입감지망을 감는 권취봉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통부는 둘레를 따라 설치된 다수의 핀지지봉(51)으로 그 형상이 이루어지고, 상기 핀은 상기 핀지지봉(51)에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침입감지망은,
첫째, 지그재그형태의 양쪽 감지선과 중심선이 서로 물고 있는 구조이므로 쉽게 해체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직조된 망의 틈 사이를 쉽게 벌릴 수 없어 침입감지망을 훼손하지 않으면 침입할 수 없으므로 침입시도를 완벽히 감지할 수 있다.
둘째, 현장 설치시 여유감지선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관통공)이 형성된 고정구와 현장설치작업에 필요한 여유감지선이 형성되어 있어 현장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셋째, 전체 침입감지망이 하나의 감지선으로 연결됨에도 불구하고 침입감지망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 고정구의 구멍을 여유감지선이 통과하면서 기존 경계펜스의 기둥과 함께 묶게 됨으로써 이상신호의 발생없이는 기존 경계시설물(펜스)과 분리될 수 없고, 기존 경계시설물(펜스)에 빈틈없이 부착하기만 하면 확실한 침입감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넷째, 전체 침입감지망이 하나의 감지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직조된 망의 틈사이가 벌어지지 않는 구조이므로 절단에 따른 신호의 차단여부만을 감지하게 되는 바, 외부충격 등에 의한 오판의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조기는,
상기와 같은 침입감지망이 완성되기까지 전체적인 구조를 유지시켜 주며 보 다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하므로 상기 침입감지망의 제작작업을 쉽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침입감지망의 설치 높이 및 길이에 따라 적절히 그 치수를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수요처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치수의 침입감지망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감지망(10)을 도시한 것으로 도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경계펜스 등에 부착하여 침입시도 시 발생하는 침입감지망(10)의 절단이나 탈락에 따라 침입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침입감지망(10)은 도1의 경계펜스와 같은 경계시설물에 상부, 하부 또는 지중부(땅속)의 치수에 맞도록 직조하여 순차적으로 부착해 나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침입감지망이나 시스템을 절단하거나 훼손하는 것 없이는 상기 경계시설물을 통한 침투가 이루어질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경계시설물에는 경계의 편의를 위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단위, 예를 들어 30m 길이로 침입감지망을 직조하고 펜스에 순차적으로 부착해 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부착한 침입감지망(10)이 절단되게 되면 감지신호의 변화를 감지기(40)에서 감지하게 되고 각 감지기(40)에서 감지한 신호는 통신수단을 통해 중앙관제센터에 송신되며, 중앙관제센터에서는 각 구역별 감시카메라를 통한 상황확인, 경계병의 파견, 비상상황발생 통지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도3에서 도시된 침입감지망(10)은 시작부(11)에서 종결부(12)까지 끊김이 없 도록 단일의 감지선(15)으로 직조되는 것으로 침입감지망은 일정한 직조패턴이 반복하여 나타나도록 직조되고,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조된 침입감지망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모양이며, 상기 둘레의 외측에는 묶음부(13)가 다수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일정한 직조패턴은 지지선(16)과, 그 지지선의 일단부에서 시작하여 타단부에서 끝나면서 상기 지지선이 일편의 꼭지들을 모두 연결하고 있는 지그재그 형상의 선(17)과, 그 지그재그 형상에서 타편의 꼭지들을 모두 연결하는 다른 지지선(18)과, 상기 다른 지지선(18)을 기준으로 상기 지그재그 형상과 대칭으로 형성되는 다른 지그재그 형상의 선(19)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작부(11)와 종결부(12)는 직조된 후에 남아있는 여유감지선으로서, 감지신호의 입력부과 출력부의 역할을 하도록 감지기(40)에 연결되고 감지기(40)의 감지신호는 중앙관제소와 통신망으로 연결된다. 상기 침입감지망(10)은 동축케이블(15)로 직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동축케이블은 바람이나 동물에 의한 충격에 너무 민감했던 광감지선의 단점을 보완하는 것으로 한 줄의 중심도체와 이것을 동심적으로 둘러싸는 외부의 원통형 도체를 조합한 것이어서 단순한 충격이나 외부의 교란신호에 의한 영향이 적으며, 절단 시에 감지신호가 발생하고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직조방식에 따라 직조됨으로써 풀리거나 직조된 망의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침입감지망을 동축케이블로 제작하는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작부(11)와 종결부(12)가 모두 감지기(40)로 유입되어 중심도체를 이용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시작부(11)나 종결부(12) 중 어느 하나만 이 감지기(40)로 유입되고 나머지 하나는 단부의 중심도체와 외부의 원통형 도체를 전기적으로 묶는 것만으로도 전체 감지망에 신호가 입력 및 출력될 수 있으므로 감지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면부호 13은 침입감지망(10)의 직조가 완성되고 난 후 현장의 경계시설에 침입감지망(10)을 부착하는 경우에 이음부(14)와 경계시설의 기둥이나 철망을 서로 한데 묶는 부위를 나타낸다. 따라서, 침입감지망(10)이 생산공장에서 완성될 때에는 현장에서 경계시설에 부착할 수 있도록 시작부(11)나 종결부(12)의 감지선(15)이 여유있게 남아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이음부(14)는 침입감지망의 둘레를 따라가며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고, 각 이음부에는 모두 도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고정구(20)가 설치되어 상기 시작부(11)나 종결부(12)의 여유선에 의한 경계시설물에의 부착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4a~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침입감지망(10)을 직조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행으로 늘어선 핀(22)이 설치되어 있고(1행) 그 다음 행에는 앞의 행의 핀과 핀 사이에 핀(22)이 설치되어 있으며(2행), 이와 같은 상기 행들이 교번하여 반복적으로 원통체(5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핀의 세트는 원통형태가 아니라도 평면상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나, 감지기(10) 망이 수십미터까지 직조되어야 하므로 평면상에 설치되는 것보다는 원통체의 표면에 핀을 설치하여 원통체(50)를 회전시키면서 직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22)의 배열 중 직조될 침입감지망(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핀에는 고정구(2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구(2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5에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구(20)는 고정구(20)의 관통공(23)에 핀(22)이 끼워져 원통체에 설치되게 된다. 상기 고정구(20)는 상기 핀에 끼워지는 관통공(23)외에도 그 중심축의 방향이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의 방향과 동일하지 않은, 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별도 설치된 감지선고정공(24)이 구비되며, 상기 감지선고정공(24)의 일편에는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개부(25)가 형성되어 있어 감지선고정공(24)에 감지선을 끼울 때 벌어지면서 감지선고정공(24)안으로 감지선을 끼워넣어 감지선이 상기 감지선고정공(24)을 통과한 상태로 상기 고정구에 걸려 있도록 할 수 있다.
먼저, 도4a의 상단부에서 나타내는 작업과 같이 감지선(11)을 1행 맨 처음 위치하는 고정구(20a)의 감지선고정공(24)을 통과시키고 2행의 첫 번째 핀(22a)에 걸고 다시 고정구(20b)의 감지선고정공(24)을 통과하고 2행의 두 번째 핀(22b)에 거는 식으로 작업을 계속 진행하여 1행과 3행의 맨오른쪽 핀에 설치된 고정구의 각 감지선고정공(24)을 순차적으로 통과시킨다.
이후, 도4a의 중단부에서 나타내는 작업과 같이, 작업감지선(15a)과 여유감지선(15b)이 함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첫 번째 핀(22c)이 설치된 교차점에서는 기존에 설치된 지그재그형 감지선을 아래에서 위로 통과시키고(원으로 표시된 그림참조), 그 다음 핀(22d) 부근에서는 위에서 아래로 통과시키고(원으로 표시된 그림참조), 그 다음 핀(22e)에서는 아래에서 위로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작업을 반복한다.
그후, 도4a의 하단부에서 나타내는 작업과 같이, 좌측까지 이동한 작업감지 선(15a)과 여유감지선(15b)은 좌측의 고정구(20a)와 고정구(20f)의 감지선고정공(24)에 각각 걸어놓게 된다. 이때, 상기 작업감지선(15a)과 여유감지선(15b)을 상기 고정구에 걸때에는 도면과 같이 한번 꼬아서 양쪽 고정구에 걸게 된다.
상기의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감지선(15a)은 지그재그 형상의 각 꼭지점을 연결하는 중심선이 된다. 이후, 도4b의 상단부에서 나타내는 작업과 같이, 여유감지선(15b)을 3행의 핀(22f)과 핀(22g)에 순차적으로 걸어서 고정시키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핀(22f)과 핀(22g)에 여유감지선(15b)을 거는 작업은 도4b의 중단부의 확대된 그림과 같은 구조가 형성되도록 한번은 중심선의 위에서 여유감지선(15b)을 당겨서 핀(22f)에 걸고 다음 핀(22g)에서는 여유감지선(15b)을 중심선의 아래에서 당겨서 핀(22g)에 거는 방식으로 교번하여 작업이 진행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그재그 형태의 감지선이 다른 지그재그 형태의 감지선을 감아 걸고 있을 뿐 아니라 중심선도 동시에 감아 걸고 있는 형상이 나타나고, 양쪽 지그재그 형태의 감지선으로 인해 중심선의 한쪽은 위쪽으로 받쳐지고 한쪽에는 아래쪽으로 내려 누르고 있어 상기 핀들(22j, 22k) 부근에서 중심선에 굴곡을 발생시키는 직조형태가 생길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도4b의 중단부 도면에서 원모양의 2개의 확대된 그림(핀 22j, 22k 부근의 직조상태)을 참고할 때, 직선으로 뻗어있는 중심선이 왼쪽의 확대된 그림(핀 22j 부근)에서는 지그재그 형태의 양쪽 감지선이 왼쪽에서 중심선의 상부를 지나고 있어 중심선이 눌려지고 오른쪽에서는 중심선의 하부를 지나고 있으므로 떠 받쳐짐으로써 중심선의 상하굴곡이 발생하고, 오른쪽의 확대된 그림(핀 22k 부근)에서는 지그재그 형태의 양쪽 감지선에 의해 오른쪽이 눌려 지고 왼쪽에서 떠 받쳐짐으로써 중심선의 상하굴곡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중심선의 굴곡으로 인하여 핀 22j, 22k ... 부근에서 서로 감아 걸고 있는 지그재그 형태의 감지선이 중심선을 따라 좌우로 미끄러지기 어려운 상태가 되고 그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직조망은 침입을 위해 사이사이의 틈을 벌려서 넓히기 어려운 구조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직조형태는 1행에서 좌우로 배치되는 고정구(20a, 20b, 20c, ...)가 짝수개 배치된 경우 나타나는 직조형태이고, 홀수개 배치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중심선의 굴곡은 없고 양쪽 지그재그 형상의 감지선이 서로 감아 걸면서 중심선을 함께 감아걸고 있는 도4d의 확대된 그림과 같은 직조형태만 나타나게 된다.
상기 작업이 진행된 후에는 도4b의 하단부에서 나타내는 작업과 같이, 3행 맨 오른쪽의 고정구(20g)에 감아 고정시키고 이후, 다시 작업감지선(15c)과 여유감지선(15d)이 만들어지며, 상기 작업감지선(15c)과 여유감지선(15d)이 화살표 방향으로 작업이 진행되면서 감지선의 교차부분(핀이 설치된 부분)에서는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원으로 확대 표시된 그림 참조) 교번하여 통과하는 식으로 순차적인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후, 감지선(15)이 3행의 맨 왼쪽 고정구(20h)의 감지선고정공(24)를 통과하고 난 후에는 여유감지선(15d)이 4행의 첫 번째 핀(22h)과 그 다음의 핀(22i)에 순차적으로 걸려 고정되게 된다. 이때, 핀에 감지선을 거는 방식도 도4c 상단부의 확대된 그림의 직조형태가 나타나도록 상기 여유감지선(15d)을 중심선의 아래에서 당겨 걸고 그 다음은 중심선 위에서 당겨 거는 방식으로 교번하여 작업이 진행되어 4행의 모든 핀에 감지선을 걸게 된다.
상기와 같이 4행의 모든 핀에 감지선을 건 이후에는 감지선을 3행의 고정구(20i)와 5행의 고정구(20j)의 감지선고정공(24)을 통과시키고 이후 생긴 작업감지선과 여유감지선을 화살표방향으로 진행시키면서 다시 도4a 중단부에서 나타내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위에서 설명한 작업이 반복되게 된다.
직조작업이 진행된 결과, 원하는 길이의 감지망이 형성되고 난 이후에는 마무리 작업으로서 도4c의 하단부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지막 행의 모든 핀에 고정구(20)를 배치하고 감지선을 핀에 거는 대신 고정구(20)의 감지선고정공(24)에 걸어 고정시키고 마지막 고정구를 통과한 감지선은 여유 감지선(12)으로서 적정길이를 남겨놓게 된다. 상기 여유감지선은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둘레에 설치된 고정구(20)의 관통공(23)을 통과하는 작업이 다시 이루어져야 하고 또한 현장에서 테두리부를 따라 재차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약 30m 길이의 침입감지망이라면 이후 설명할 작업을 고려하여 120m이상의 여유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6은 직조된 침입감지망(10) 내부의 감지선의 교차부에 설치되는 클립(30)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4a~도4c의 핀, 예를들어 핀(22a), 핀(22b) 등의 감지선 교차부는 상기 핀에서 침입감지망 전체가 이탈되더라도 감지선이 상호 꼬여 있어 저절로 풀리거나 엉키는 일은 없으나, 상기 교차부의 위치와 형태를 보다 확실히 잡아주기 위하여 클립(3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클립(30)은 구멍(31)이 가운데 설치된 판형태로서 일편에 갈라진 부분(3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감지선의 교차부에서 감지선들을 상기 갈라진 부분(32)를 통하여 클립의 구멍(31)에 안착시키고, 이 때 상기 구멍(31)의 지름이 크지 않으므로 감지선들을 억지로 안착시키면 조여지게 되므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도7은 침입감지망(10)의 직조작업이 완료된 후 침입감지망(10)을 펼쳐놓은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그와 같이 펼쳐진 침입감지망(10)에 대한 검사작업을 수행하고 그 상태로 현장에서 여유감지선(11, 12)으로 상기 각 고정구의 관통공(23)과 경계시설물의 기둥을 한데 묶는 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인 침임감지망의 형상을 유지시키고 풀어헤져지지 않는 보다 견고한 감지망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여유 감지선이 침입감지망의 테두리를 따라 고정구의 관통공(23)을 통과하는 마무리 작업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마무리 작업은 하나의 여유감지선(11)을 고정구 21b에서부터 고정구 21k 까지 둘레를 따라 순차적으로 관통공(23)(직조작업시 핀이 삽입되어 있던 구멍)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관통공(23)을 통과할 때는 위에서 아래로 통과하고, 아래에서 위로 통과하는 작업을 하나씩 교번하여 수행한다. 마지막 고정구 21k의 관통공(23)을 통과한 이후에는 왔던 방향을 되돌아 가면서 그러한 작업을 반복하게 되는 바, 상기 여유감지선(11)은 이미 통과해서 지나온 관통공(23)을 역방향에서 한번 더 통과하여 지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나머지 여유감지선(12)도 테두리를 따라 고정구 21l에서부터 고정구 21a 까지 순차적으로 관통공(23)을 위에서 아래로 통과시키고, 다음 고정구에서는 아래에서 위로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고정구를 이동하면서 교번하여 수행한다. 이 작업이 완료되어 마지막 고정구 21a의 관통 공(23)을 통과시킨 후에는 왔던 방향으로 되돌아가며 한번 더 동일한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고정구의 관통공(23)에는 위에서 아래로 통과한 여유감지선과 아래에서 위로 통과한 여유감지선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가 되며, 이러한 직조형태를 가짐으로써 직조과정에서 테두리부에 모이는 고리형태의 감지선들이 풀리지 않도록 상기 여유감지선이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예를 들면, 도4c의 중단부에서 도시하고 있는 고정구 20i에 모이고 있는 3개의 감지선 고리를 고리의 안쪽에서 걸고 있는 상태를 만들기 위해, 여유감지선이 고정구 20i의 관통공(23)을 위에서 아래로 통과하면서 지나가고 다시 아래에서 위로 통과하면서 지나간 상태로 설치되므로, 상기 3개의 감지선 고리들이 서로 헤체되거나 풀릴 수 없는 직조형태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이때, 고정구(20)의 관통공(23)은 3개의 모든 감지선 고리가 감아돌고 있는 안쪽(직조되는 침입감지망의 안쪽을 향하는 방향으로서 고정구 20i의 도시된 구멍위치 참조)에 위치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 후에 작업장에서 이루어지는 침입감지망이 완성되게 되고 이후 남아있는 여유감지선으로 설치현장에서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고정구 21b에서부터 고정구 21k 까지와, 고정구 21l에서부터 고정구 21a 까지의 통과작업은 테두리를 따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이루어져도 상관이 없으며 테두리 전체에서 절반씩 작업이 이루어지면 된다. 상기와 같은 직조작업에 의하여 생성된 침입감지망은 풀어헤져지지 않고 감지망의 틈이 벌어지기 어려운 구조를 갖게 된다.
경계펜스 등 경계시설물이 설치된 현장에서 상기 직조된 침입감지망(10)을 부착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부착위치에 상기 침입감지망(10)을 맞대고 남아있는 여유감지선(11, 12)으로 테두리부를 돌아가며 경계시설물의 기둥과 고정구(20)의 관통공(23)을 묶는 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침입감지망(10)의 테두리부 중 감지선이 모이는 지점(14)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구(20)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3에서 침입감지망(10)의 설치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20)의 관통공(23)과 경계시설물의 기둥을 묶는 묶음부(13)가 침입감지망(10)의 둘레부에 설치된 고정구의 갯수만큼 형성됨으로써 상기 침입감지망(10)이 경계시설물에 부착되게 된다.
상기 침입감지망(10)의 부착 후에는 상기 여유감지선(11, 12)은 감지기(40)에 연결되어 절단 등으로 인한 감지선의 신호변화가 감지되는 것이다. 상기 감지선이 동축케이블과 같이 내부가 복선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인 경우, 두 개의 여유감지선(11, 12)이 모두 감지기로 들어가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감지선만 감지기에 연결되고 나머지 감지선은 케이블 내부의 복선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8에는 상기 침입감지망(10)을 직조하는 직조기를 도시하고 있다. 직조기의 몸체를 이루는 기대(80)는 전체 부품들을 지지하는 몸체의 역할을 하면서 침입감지망(10)이 직조되는 원통체(50)를 베어링(65)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상기 원통체(50)의 일측에는 기어(63)가 상기 원통체(50)의 축에 결합되고 구동모터(60)의 회전축에 결합된 기어(61)와 체인(62)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60)의 회전에 따라 원통체가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원통체(50)에서 직조하 는 작업이 핀이 늘어선 행단위로 완료되고 난후 그 다음 행으로 이동하는 방식이므로 하나 또는 두 개 행의 작업이 끝날때마다 원통체(50)가 적당한 간격만큼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모터(60)는 스텝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원통체(50)의 회전시점은 작업자가 모터스위치(69)를 한번 누를 때마다 구동모터가 작동하여 원통체(50)가 일정량씩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원통체에는 도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에 돌출되는 다수의 핀의 열(列)이 둘레를 따라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핀이 한 줄로 배치되어 하나의 열을 형성하며 그 하나의 열과 이웃하는 열에서는, 상기 하나의 열의 핀과 핀 사이의 영역을 마주하는 위치에 핀이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그러한 열과 열이 교번하여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구조이다(도8의 원통체의 핀의 배치를 참조). 상기 원통부에 형성된 다수의 핀 사이의 간격과, 상기 다수의 열 사이의 간격이 모두 동일하고, 하나의 열은 그 이웃하는 열의 핀과 핀 사이의 중간지점과 대응하는 위치에 핀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통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드럼체로 된 원통체를 성형하여 그 표면에 상기 다수의 핀을 돌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나, 직조기의 제작이 보다 용이할 수 있도록 하나의 핀의 열(列)이 형성되어 있는 핀지지봉(51)을 양쪽 원판체(52,53) 사이에서 둘레를 따라 배치함으로써 원통체의 형상을 제작할 수 있고, 이러한 제작방법은 드럼체의 표면에 핀을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직조기에서 직조되는 침입감지망(10)의 너비는 상기 원통체에서 직조되 는 폭으로 결정되는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고정구(20)를 핀(22)에 설치한 후 직조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제작되는 침입감지망(10)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하지 않는 비상시를 대비하여 수동식 회전기(64)가 원통체(50)의 축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통체(50)의 타측에는 작업구간 표시기(67)가 원통체의 축과 연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작업구간표시기(67)에는 작업종료경보기(68)가 연결되어 원통체(50)의 회전량, 환산된 침입감지망의 길이 등 작업의 진행상황을 나타내고, 설정된 종료시점, 예를 들어 설정된 길이에서 경보를 울림으로써 작업이 종료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직조기에서 작업이 이루어질때는 원통체(50)의 작업속도에 따라 일정량식 회전하면서 앞에서 설명한 직조방식으로 침입감지망(10)이 직조되고, 직조작업이 계속 진행됨에 따라 침입감지망(10)의 길이가 점점 증가하게 되면 원통체(50)의 둘레를 직조된 침입감지망(10)이 타고 넘어가게 되며, 뒤쪽으로 타고넘어간 침입감지망(10)은 일정지점에서 원통체의 회전에 따라 저절로 원통체(50)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는 이탈한 침입감지망(10)이 원통체와 인접하여 원통체(50)의 회전과 연동되어 있는 별도의 권취봉(70)에 감기도록 구성되어 있고, 침입감지망(10)이 일정길이 이상 직조된 후에 원통체(50)의 1행에 설치된 고정구들을 상기 권취봉(70)의 핀(74)에 각각 걸게 되면 상기 권취봉(70)이 회전하면서 침입감지망(10)을 감게 되며, 원통체(50)에서 직조되는 침입감지망(10)은 원통체(5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각도 이상 회전한 상태에서 핀에서 저절로 이탈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원통체(50)의 축의 단부에는 연결기어(66)가 설치되고 이 연결기어(66)는 직조작업이 이루어진 침입감지망(10)을 권취하는 권취봉(70)과 벨트 또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원통체(50)의 회전과 권취봉(70)의 회전이 연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직조된 침입감지망(10)이 원통체(50)에서 벗어나는 길이와 권취봉(70)에 감기는 길이가 일치하지 않고, 권취봉에 감기는 침입감지망(10)이 증가함에 따라 권취봉의 전체 지름이 점점 커지게 되므로 양 자의 회전비율을 작업의 진행에 따라 달리해 주어야 하는 바(권취봉의 회전량은 직조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감기는 침입감지망이 늘어나 그 지름이 증가하게 되므로 점점 줄어들어야 한다) 별도의 제어장치를 설치하여 원통체(50)의 회전속도 및 회전량에 따라 그 속도를 달리하도록 설정해 놓거나, 변속기어(71)를 설치하여 작업의 진행량에 따라 권취봉(70)의 회전속도를 줄이도록 한다.
권취봉(70)에 감긴 침입감지망(10)은 직조작업이 종료된 후 적정길이를 가진 별도의 봉체(75)에 다시 감겨지게 되고, 침입감지망(10)이 감겨진 봉체(75)는 장소를 이동한 후 펼쳐놓고 검사작업이나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바로 설치현장으로 이동하여 경계시설물에 부착시키게 된다.
도1은 종래의 경계펜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2는 종래 기술인 광감지망을 이용한 침입감지장치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감지망을 도시하고 있다.
도4a~도4d는 본 발명에 따른 침입감지망의 직조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침입감지망에 설치되는 고정구를 도시하고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감지망에 설치되는 클립을 도시하고 있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감지망이 직조기에서 직조된 후 펼쳐놓은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감지망을 제작하는 직조기의 정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침입감지망을 제작하는 직조기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침입감지망 11 : 시작부 여유감지선
12 : 종결부 여유감지선 13 : 묶음부
14 : 이음부 15 : 감지선
16 : 지지선 17 : 지그재그형상 감지선
18 : 지지선 19 : 지그재그형상 감지선
20,20a~20j,21a~21t : 고정구 22,22a~22k : 핀
23 : 관통공 24 : 감지선고정공
25 : 절개부 30 : 클립
31 : 클립의 구멍 32 : 갈라진 부분
40 : 감지기 50 : 원통체
51 : 핀지지봉 52, 53 : 원판체
60 : 구동모터 61, 63 : 기어
62 : 체인 64 : 수동식회전기
65 : 베어링 66 : 연결기어
67 : 작업구간표시기 68 : 작업종료경보기
69 : 모터스위치 70 : 권취봉
71 : 변속기어 73 : 조임쇠
74 : 핀 75 : 봉체
76 : 핀 77 : 수동핸들
80 : 기대 82 : 고정구

Claims (17)

  1. 전체가 하나의 감지선으로 직조되고,
    반복되는 일정한 직조패턴을 포함하는 침입감지망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직조패턴은
    지지선(16)과,
    상기 지지선의 일단부에서 시작하여 타단부에서 끝나면서 상기 지지선이 일편의 꼭지점들을 모두 연결하고 있는 지그재그 형상의 선(17)과,
    상기 지그재그 형상에서 타편의 꼭지점들을 모두 연결하는 다른 지지선(18)과,
    상기 다른 지지선을 기준으로 상기 지그재그 형상과 대칭으로 형성되는 다른 지그재그 형상의 선(19)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그재그 형상의 선과 상기 다른 지그재그 형상의 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그 각각의 선에 해당하는 2개의 감지선은 서로를 감아 걸고 있는 침입감지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재그 형상의 선과 상기 다른 지그재그 형상의 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그 각각의 선에 해당하는 상기 2개의 감지선은 상기 지지선(16) 또는 상기 다른 지지선(18)을 또한 감아 걸되, 한쪽에서 올리고 한쪽에서 누름으로써 상기 지지선 또는 상기 다른 지지선이 굴곡이 생기도록 감아 걸고 있는 침입감지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된 침입감지망에는 직조 시작부에서의 여유감지선(11)과 직조종결부에서의 여유감지선(12)이 형성되어 있는 침입감지망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감지망의 둘레에는 다수의 고정구(20)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에는 중심축의 방향이 서로 동일하지 않은 관통공(23)과 감지선고정공(24)이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감지선고정공(24)은 감지선이 외부로부터 통과하여 상기 감지선고정공에 안착될 수 있는 절개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선고정공(24)에는 상기 지그재그 형상의 선과 상기 다른 지그재그 형상의 선에 해당하는 감지선 중 하나 이상이 통과하고 있는 침입감지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감지망의 둘레를 연결하면서 상기 다수의 고정구의 상기 관통공(23)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감지선을 더 포함하는 침입감지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23)은 상기 감지선고정공(24)보다 더 침입감지망의 중심을 향하는 쪽에 설치되는 침입감지망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23)과 감지선고정공(24)은 그 중심축의 방향이 서로 수직을 이루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감지망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감지망의 둘레의 안쪽에서 상기 지그재그 형상의 선과 상기 다른 지그재그 형상의 선이 만나는 지점에는,
    그 선들에 해당하는 감지선과, 상기 지지선(16) 또는 상기 다른 지지선(18)에 해당하는 감지선을 함께 고정시키는 클립(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감지망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선은 동축케이블인 침입감지망
  10. 중심축의 방향이 동일하지 않은 제1구멍과 제2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구멍에서 외측단부까지 갈라진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를 이용하여 하나의 감지선으로 직조하는 침입감지망 제작방법에 있어서,
    한 열(列)의 고정구를 배열하는 제1단계,
    상기 배열된 고정구 중 첫번째 고정구의 제2구멍을 감지선이 통과하고 상기 감지선이 제1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구들의 제2구멍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고정구들은 상기 제1지그재그 형태의 일편의 꼭지점 부분에 위치하도록 직조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고정구 중 상기 감지선이 마지막 통과한 고정구와 마주하는 위치에 고정구를 더 배치하고 상기 감지선을 그 고정구의 제2구멍으로 통과시키는 제3단계,
    상기 제1지그재그 형태의 타편의 각 꼭지점 부근에서 꼭지점을 이루는 양쪽 선 사이를 감지선이 통과하되 상기 양쪽 선의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하는 것과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는 것이 교번하여 상기 타편의 각 꼭지점을 하나씩 이동하면서 진행되어 제1중심선을 형성하는 제4단계,
    상기 첫 번째 고정구와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고정구를 더 배치하고, 그 고정구와 상기 첫 번째 고정구 각각의 제2구멍으로 감지선을 통과시키며, 상기 제1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단계에서 형성된 제1지그재그 형태의 선과 대칭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중심선과 만나는 부분에서는 상기 제1 지그재그 형태의 타편의 꼭지점을 이루는 선과 상기 제1중심선을 모두 감아 걸고 있는 제2 지그재그 형태의 선을 형성하는 제5단계,
    상기 제1중심선과 만나지 않는 편에 있는 상기 제2 지그재그 형태의 꼭지점들에서 그 꼭지점을 형성하는 양쪽 선 사이를 감지선이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하는 것과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는 것이 교번하여 반복되어 제2중심선을 형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감지망 제작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제1 구멍을 직조될 침입감지망의 안쪽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침입감지망 제작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배열하는 한 열(列)의 고정구는 짝수개인 침입감지망 제작방법
  13. 회전가능한 원통부(50)와, 상기 원통부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60)을 구비하는 침입감지망 직조기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50)에는 돌출되는 다수의 핀(22)의 열(列)이 둘레를 따라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핀의 열은
    다수의 핀이 한 줄로 배치되는 제1열과,
    상기 제1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웃하면서 상기 제1열의 핀과 핀 사이의 각 영역을 마주하는 위치에 핀이 배치되는 제2열이,
    교번하여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침입감지망 직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에 형성된 다수의 핀 사이의 간격이 모두 동일하고, 상기 다수의 열 사이의 간격도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감지망 직조기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의 핀은 상기 제1열의 서로 이웃하는 핀과 핀 사이의 중간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핀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감지망 직조기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50)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원통부(50)에서 직조되는 침입감지망을 감는 권취봉(70)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감지망 직조기
  17.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는 둘레를 따라 설치된 다수의 핀지지봉(51)으로 그 형상이 이루어지고, 상기 핀은 상기 핀지지봉(51)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침입감지망 직조기
KR1020090004247A 2009-01-19 2009-01-19 무인외곽경비시스템의 침입감지망 및 그 직조기 KR101055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247A KR101055142B1 (ko) 2009-01-19 2009-01-19 무인외곽경비시스템의 침입감지망 및 그 직조기
PCT/KR2009/007617 WO2010082729A2 (ko) 2009-01-19 2009-12-19 무인외곽경비시스템의 침입감지망 및 그 직조기
JP2011546207A JP2012515391A (ja) 2009-01-19 2009-12-19 無人外郭警備システムの侵入感知網及びその織機
US13/173,294 US20110253247A1 (en) 2009-01-19 2011-06-30 Intrusion sensing net for unmanned outdoor guarding system and weaving machine for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247A KR101055142B1 (ko) 2009-01-19 2009-01-19 무인외곽경비시스템의 침입감지망 및 그 직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877A true KR20100084877A (ko) 2010-07-28
KR101055142B1 KR101055142B1 (ko) 2011-08-08

Family

ID=42340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247A KR101055142B1 (ko) 2009-01-19 2009-01-19 무인외곽경비시스템의 침입감지망 및 그 직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253247A1 (ko)
JP (1) JP2012515391A (ko)
KR (1) KR101055142B1 (ko)
WO (1) WO201008272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3374A (zh) * 2013-04-19 2014-10-22 全泓棋 光纤网及其制造方法
WO2015026258A1 (ru) * 2013-08-22 2015-02-26 Zhirkevich Vasiliy Yul Evich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ая сеть
CN106760933A (zh) * 2016-12-22 2017-05-31 国网江苏省电力公司检修分公司 一种安全围栏
RU2770141C2 (ru) * 2020-09-28 2022-04-14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Институт "Оргэнергострой" Барабан с линейной частью с разомкнутым интерферометром с двумя плечами для контейнер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сборки линейной части извещателя охранного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го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3969A (ja) * 1992-02-25 1993-09-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光ファイバセンサー
KR970009968B1 (ko) * 1994-05-09 1997-06-19 김기훈 광망(光網) 경비 시스템
KR100245347B1 (ko) * 1998-03-20 2000-03-02 정기관 원형 가시철망의 제조장치
JP2001134851A (ja) * 1999-11-02 2001-05-18 Home Aiai To Keibi Kiki:Kk 光ファイバケーブルを利用した侵入監視センサ
KR100485609B1 (ko) * 2001-11-23 2005-04-28 정기관 가시철망 제조장치
KR20070108319A (ko) * 2005-10-10 2007-11-09 이금석 광섬유격자센서를 이용한 침입체 감지 방법
KR100614824B1 (ko) * 2006-02-20 2006-08-22 (주)폼가드 광케이블을 이용한 감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15391A (ja) 2012-07-05
WO2010082729A3 (ko) 2010-09-30
WO2010082729A2 (ko) 2010-07-22
US20110253247A1 (en) 2011-10-20
KR101055142B1 (ko) 2011-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142B1 (ko) 무인외곽경비시스템의 침입감지망 및 그 직조기
US4730809A (en) Taut wire fence system
US20210352855A1 (en) Crop netting material
JP2013504433A (ja) 編み込まれたワイヤを用いた防護金網、並びにその製造機械及び製造方法
US6161648A (en) Safety/debris net system
KR101396425B1 (ko)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
JPH11193510A (ja) 落石等防護工のロープ張設工法と落石等防護ネツト
KR101189013B1 (ko) 광케이블 망 및 그 제조방법
GB2448989A (en) Area partitioning of a sports pitch
KR101264029B1 (ko) 광케이블 망 및 그 제조방법
BR112016014009B1 (pt) Rede de cordoalhas e método para produzir uma rede de cordoalhas
KR20190122023A (ko) 안전 네트 및 안전 네트용 고정 유닛
KR102503751B1 (ko) 보안펜스 감시용 광케이블 장치 및 이를 생산하는 장치
KR100643664B1 (ko) 네트를 이용한 낙석방지책
CN117722081A (zh) 一种刺绳感知护栏的安装方法
US6000498A (en) Safety/debris net system
KR101132810B1 (ko) 낙석방지책 및 시공방법
JP6223762B2 (ja) 天井落下防止用ネット及び天井落下防止構造
CN117605292A (zh) 一种刺笼感知护栏的安装方法
KR102365705B1 (ko) 울타리용 광섬유 케이블 네트 직조장치
KR101487923B1 (ko) 광섬유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CN113564800B (zh) 一种网格布专用布线生产装置
CN103255574A (zh) 制绳设备
KR101514599B1 (ko) 보안펜스 하단 고정장치
KR101854525B1 (ko) 광섬유를 이용한 펜스 보안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