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580A - 배터리 및 휴대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및 휴대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580A
KR20100084580A KR1020107013677A KR20107013677A KR20100084580A KR 20100084580 A KR20100084580 A KR 20100084580A KR 1020107013677 A KR1020107013677 A KR 1020107013677A KR 20107013677 A KR20107013677 A KR 20107013677A KR 20100084580 A KR20100084580 A KR 20100084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erminal
conductive member
battery cell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6574B1 (ko
Inventor
히로유키 히로타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84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sea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제조 시에 있어서의 장착 공수가 삭감된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 측면에 양극 단자(21) 및 음극 단자(22)가 배치된 배터리 셀(20)과, 배터리 셀(20)의 한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제1 기판 단자(30a) 및 제2 기판 단자(30b)를 갖는 회로 기판(30)과, 양극 단자(21)와 제1 기판 단자(30a)를 도통시키는 제1 도통 부재(31)와, 음극 단자(22)와 제2 기판 단자(30b)를 도통시키는 제2 도통 부재(32)와, 회로 기판(30)과 배터리 셀(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커버부(41), 회로 기판(30)을 사이에 두고 제1 커버부(41)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커버부(42), 및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를 연결하는 연결부(43)를 가지며, 상기 회로 기판(30)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40)를 구비하고, 회로 기판(30)은,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배터리 셀(20)의 한 측면에 부착되는 배터리이다.

Description

배터리 및 휴대 전자기기{BATTERY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전화나 휴대 정보 단말 등의 휴대 전자기기에 이용되는 배터리로서, 배터리 셀의 한 측면에 단자 등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부재를 갖는 배터리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배터리 셀의 한 측면측에 기판이 배치됨과 더불어, 이 기판을 상면으로부터 보호하는 탑 커버와, 기판을 하면측(배터리 셀측)에서 지지하는 보텀 커버로 이루어지는 커버 부재를 갖는 배터리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2006-20265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배터리에 있어서는, 커버 부재로서의 탑 커버와 보텀 커버가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탑 커버를 보텀 커버에 부착하는 공정이 필요하여, 배터리의 제조 시에 있어서의 장착 공수가 많아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조 시에 있어서의 장착 공수를 삭감할 수 있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 측면에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가 배치된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한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제1 기판 단자 및 제2 기판 단자를 갖는 회로 기판과, 상기 양극 단자와 상기 제1 기판 단자를 도통시키는 제1 도통 부재와, 상기 음극 단자와 상기 제2 기판 단자를 도통시키는 제2 도통 부재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배터리 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커버부, 상기 회로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커버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를 접을 수 있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회로 기판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한 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또, 상기 제1 기판 단자 및 상기 제2 기판 단자는, 상기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한 측면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도통 부재 및 상기 제2 도통 부재는,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의 접힘 방향을 따라 접혀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 도통 부재 및 상기 제2 도통 부재의 각각은,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연결부에 의한 접힘을 수반하지 않는 열림 상태에 있어서,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의 각각과 상기 한 측면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부터의 용접에 의해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제1 기판 단자 및 상기 제2 기판 단자의 각각과 상기 교차 방향으로부터의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열림 상태로서 상기 제1 커버부가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한 측면에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가 접혀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결합부를 더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양극 단자에 결합된 상기 제1 도통 부재와 상기 음극 단자에 결합된 상기 제2 도통 부재에 의해 상기 배터리 셀에 대해 위치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가 배치된 한 측면에, 접을 수 있는 커버 부재를 열림 상태로 부착하는 공정과, 열림 상태의 상기 커버 부재에, 제1 기판 단자 및 제2 기판 단자를 갖는 회로 기판을 부착하는 공정과, 열림 상태의 상기 커버 부재에, 제1 도통 부재를 부착하여 상기 양극 단자와 상기 제1 기판 단자를 도통시키고, 또한, 제2 도통 부재를 부착하여 상기 음극 단자와 상기 제2 기판 단자를 도통시키는 공정과,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제1 도통 부재와 상기 제2 도통 부재가 부착된 열림 상태의 상기 커버 부재를 접어, 상기 회로 기판을 커버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또, 상기 커버 부재의 열림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통 부재 및 상기 제2 도통 부재의 각각을, 상기 한 측면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부터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의 각각에 용접시킴과 더불어, 상기 교차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기판 단자 및 상기 제2 기판 단자의 각각에 용접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 본체와, 상기 휴대 전자기기 본체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로서, 상기 배터리는, 한 측면에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가 배치된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한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제1 기판 단자 및 제2 기판 단자를 갖는 회로 기판과, 상기 양극 단자와 상기 제1 기판 단자를 도통시키는 제1 도통 부재와, 상기 음극 단자와 상기 제2 기판 단자를 도통시키는 제2 도통 부재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배터리 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커버부, 상기 회로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커버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를 접을 수 있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회로 기판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한 측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 시에 있어서의 장착 공수가 삭감된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를 구비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터리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배터리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배터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배터리에 있어서, 커버 부재에 회로 기판, 제1 도통 부재 및 제2 도통 부재를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1에 나타낸 배터리의 한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1에 나타낸 배터리의 한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도 1에 나타낸 배터리의 한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d는 도 1에 나타낸 배터리의 한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배터리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한 실시 형태에 의거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10)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 등의 휴대 전자기기(도시 생략)에 장착되는 2차 전지이며, 이 휴대 전자기기에 구비된 전기 요소에 대한 전력 공급원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배터리(10)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측면인 상측면(20a)에 양극 단자(21) 및 음극 단자(22)를 갖는 배터리 셀(20)과, 배터리 셀(20)의 상측면(20a)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제1 기판 단자(30a) 및 제2 기판 단자(30b)를 갖는 회로 기판(30)과, 양극 단자(21)와 제1 기판 단자(30a)를 도통시키는 제1 도통 부재(31)와, 음극 단자(22)와 제2 기판 단자(30b)를 도통시키는 제2 도통 부재(32)와, 회로 기판(30)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또, 배터리 셀(20)에 있어서의 상측면(20a)을 제외한 외면은, 라벨 시트(50)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배터리 셀(2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셀(20)은, 상측면(20a)에 양극 단자(21) 및 음극 단자(22)를 구비하고 있다. 배터리 셀(20)의 상측면(20a)은,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 음극 단자(22)는, 배터리 셀(20)의 상측면(20a)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배터리 셀(20)의 외면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셀(20)의 외면은, 음극 단자(22)를 제외한 영역이 양극의 기능을 갖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배터리 셀(20)의 상측면(20a)에 있어서 음극 단자(22)와는 별도로, 음극 단자(22)로부터 상측면(20a)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된 볼록형상의 영역을 양극 단자(21)라고 칭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배터리 셀(20)에 있어서 양극 단자(21) 및 음극 단자(22)가 위치하는 측을 상측으로 한다(도 1 참조).
회로 기판(3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 셀(20)의 상측면(20a)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가늘고 긴 판형상의 부재이다. 회로 기판(3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 근방에는, 제1 기판 단자(30a)가 설치되고,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단부 근방에는, 제2 기판 단자(30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기판 단자(30a)는, 제1 도통 부재(31)를 통해 배터리 셀(20)의 양극 단자(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기판 단자(30b)는, 제2 도통 부재(32)를 통해 배터리 셀(20)의 음극 단자(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도통 부재(31) 및 제2 도통 부재(3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회로 기판(30)에 있어서의, 제1 기판 단자(30a) 및 제2 기판 단자(30b)가 설치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외부 접속 단자(33)가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접속 단자(33)는, 양극 외부 단자(33a)와, 음극 외부 단자(33b)와, 통신 단자(33c)를 포함하고 있다.
양극 외부 단자(33a)는, 제1 도통 부재(31)를 통해 배터리 셀(20)의 양극 단자(21)와 도통된다. 음극 외부 단자(33b)는, 제2 도통 부재(32)를 통해 배터리 셀(20)의 음극 단자(22)와 도통된다. 통신 단자(33c)는, 배터리(10)가 장착되는 전자기기에 대해 배터리(10)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된다.
배터리(10)가 전자기기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이들 외부 접속 단자(33)가 전자기기에 배치되어 있는 접속 커넥터의 단자와 맞닿음으로써, 배터리(10)와 전자기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회로 기판(3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40)를 구성하는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배터리 셀(20)의 상측면(20a)에 부착되어 있다. 또, 회로 기판(30)은, 제1 기판 단자(30a) 및 제2 기판 단자(30b)가 설치된 면이 배터리 셀(20)의 상측면(20a)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40)는, 회로 기판(30), 제1 도통 부재(31) 및 제2 도통 부재(32)를 배터리 셀(20)에 대해 고정하는 부재이다. 커버 부재(4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회로 기판(30)과 배터리 셀(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커버부(41)와, 회로 기판(30)을 사이에 두고 제1 커버부(41)와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커버부(42)와,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를 접을 수 있게 연결하는 연결부(43)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 부재(40)는, 제1 커버부(41), 제2 커버부(42) 및 연결부(43)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40)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계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커버부(4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상의 부재이다. 이 제1 커버부(41)의 외형은, 배터리 셀(20)의 상측면(20a)과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제1 커버부(41)에는, 상기 제1 커버부(41)가 배터리 셀(20)의 상측면(20a)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측면(20a)의 양극 단자(21) 및 음극 단자(2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양극 단자(21) 및 음극 단자(22)의 형상에 대응한 개구부(41a, 41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커버부(42)의 외형은, 제1 커버부(41)와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커버부(42)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 기판(30)의 복수의 외부 접속 단자(33)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외부 접속 단자(33)의 형상에 대응하는 개구부(4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 커버부(42)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30)이 배치되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돌기부(45, 45)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돌기부(45, 45)는 제2 커버부(42)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고, 모두 제2 커버부(42)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을 따른 측부의 한쪽에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돌기부(45, 45)는, 배터리(10)가 전자기기에 장착될 때에 전자기기 본체의 배터리 수납부에 배터리(10)를 고정하기 위한 부착부로서 기능하는 부분이다.
연결부(43)는, 커버 부재(40)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가 박육(薄肉)형상으로 성형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제1 커버부(4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측부의 한쪽과 제2 커버부(42)의 길이 방향을 따른 측부의 한쪽을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43)는, 제1 커버부(41) 및 제2 커버부(4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 근방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는, 길이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서는 서로 이간된 부분을 갖고 있다.
커버 부재(40)의 열림 상태(도 3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는,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는, 연결부(43)를 통해 평면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커버 부재(40)의 열림 상태란,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가 연결부(43)에 의해 접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커버 부재(40)는, 연결부(43)에서 약 180도 절곡됨으로써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가 접혀 포개어지고,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40)의 닫힘 상태란,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가 접혀 포개어진 상태이다.
커버 부재(40)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4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결합부(44)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44)는, 제1 커버부(41)에 설치된 한 쌍의 오목부(44a, 44a)와, 제2 커버부(42)에 설치된 한 쌍의 볼록부(44b, 44b)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오목부(44a, 44a)는, 제1 커버부(41)에 있어서의 연결부(43)와는 반대측의 측부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볼록부(44b, 44b)는, 제2 커버부(42)에 있어서의 연결부(43)와는 반대측의 측부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40)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는, 제2 커버부(42)에 설치된 한 쌍의 볼록부(44b, 44b)가, 제1 커버부(41)에 설치된 한 쌍의 오목부(44a, 44a)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고정되고, 커버 부재(40)의 닫힘 상태가 유지된다.
제1 도통 부재(31)는, 니켈이나 철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띠판형상으로 형성된 도전 부재이며, 대략 L자형상을 갖고 있다. 제1 도통 부재(3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림 상태의 커버 부재(40)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측에,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의 경계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제1 도통 부재(31)는, 제1 커버부(41)가 배터리 셀(20)의 상측면(20a)에 부착되고, 회로 기판(30)이 제2 커버부(42)에 배치된 상태에서 한쪽의 단부가 개구부(41a)를 통해 배터리 셀(20)의 양극 단자(21)에 맞닿고, 다른 쪽의 단부가 회로 기판(30)의 제1 기판 단자(30a)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도통 부재(31)는, 제1 커버부(41) 및 제2 커버부(4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 근방에서 양자의 경계를 사이에 두고 있으며, 제1 도통 부재(31)가 사이에 두고 있는 경계 부분에는, 연결부(43)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2 도통 부재(32)도, 니켈이나 철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띠판형상으로 형성된 도전 부재이며, 대략 L자형상을 갖고 있다. 제2 도통 부재(3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림 상태의 커버 부재(40)에 있어서의 제1 도통 부재(31)가 배치된 것과는 반대의 단부측에,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의 경계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제2 도통 부재(32)는, 제1 커버부(41)가 배터리 셀(20)의 상측면(20a)에 부착되고, 회로 기판(30)이 제2 커버부(42)에 배치된 상태에서, 한쪽의 단부가 개구부(41b)를 통해 배터리 셀(20)의 음극 단자(22)에 맞닿고, 다른 쪽의 단부가 회로 기판(30)의 제2 기판 단자(30b)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2 도통 부재(32)도, 제1 커버부(41) 및 제2 커버부(4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근방에서 양자의 경계를 사이에 두고 있으며, 제2 도통 부재(32)가 사이에 두고 있는 경계 부분에는, 연결부(43)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1 도통 부재(31) 및 제2 도통 부재(32)는, 커버 부재(40)의 열림 상태에 있어서, 양극 단자(21) 및 음극 단자(22)와 배터리 셀(20)의 상측면(20a)에 교차하는 방향인 교차 방향(도 4에 있어서의 위쪽 방향)으로부터의 용접에 의해 도통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 제1 도통 부재(31) 및 제2 도통 부재(32)는, 제1 기판 단자(30a) 및 제2 기판 단자(30b)와도 동일한 수직 방향으로부터의 용접에 의해 도통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제1 도통 부재(31)와 양극 단자(21) 및 제1 기판 단자(30a)의 용접, 및 제2 도통 부재(32)와 음극 단자(22) 및 제2 기판 단자(30b)의 용접의 합계 4개소에 있어서의 용접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부터의 용접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이들 용접은, 예를 들면, 스폿 용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제1 도통 부재(31) 및 제2 도통 부재(32)는, 커버 부재(40)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는,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의 접힘 방향을 따라 접혀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도통 부재(31) 및 제2 도통 부재(32) 각각에 있어서의 제1 커버부(41)로부터 제2 커버부(42)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부분이,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의 경계 근방에서 꺾여져 적층되어 있다. 제1 도통 부재(31) 및 제2 도통 부재(32) 각각에 있어서의 꺾여져 적층된 부분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맞닿아 있다.
라벨 시트(50)는, 배터리 셀(20)을 피복하는 피복 부재의 일례이며, 배터리(10)의 외관면을 구성하고 있다. 라벨 시트(50)의 표면(배터리 셀(20)에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의 면)에는, 예를 들면, 배터리의 모델넘버나 규격, 배터리가 장착되는 전자기기의 제조사명 등이 표시되어 있다(도시 생략).
라벨 시트(50)를 형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 수지 재료가 이용된다. 라벨 시트(50)를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특히, 배터리 셀(20)의 외면을 형성하는 재료(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라벨 시트(5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장의 시트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라벨 시트(50)는, 배터리 셀(20)의 상측면(20a)에 커버 부재(40)가 부착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40)가 부착된 배터리 셀(20)에 있어서의 커버 부재의 상측면(40a)을 제외한 대략 전면을 피복한다(도 1 참조). 또한, 라벨 시트(50)는, 커버 부재(40)의 상측면(40a)을, 외부 접속 단자(33) 및 돌기부(45)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을 제외하고 피복하도록 해도 된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 셀(20)과 커버 부재(40)(제1 커버부(41))의 경계 부분, 및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의 경계 부분은, 라벨 시트(50)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라벨 시트(50)에 있어서의 커버 부재(40)의 연결부(43)가 설치된 면을 피복하는 부분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51)가 형성되어 있으며, 라벨 시트(50)를 감았을 때에 연결부(43)가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10)의 한 제조 방법에 대해 도 5a∼도 5d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a∼도 5d는, 도 1에 나타낸 배터리(10)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배터리(10)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우선,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 셀(20)의 상측면(20a)에, 열림 상태의 커버 부재(40)가 부착된다. 커버 부재(40)는, 제1 커버부(41)가 배터리 셀(20)의 상측면(20a)에 접착 부재(도시 생략) 등에 의해 접착(가고정)된다.
다음에,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 셀(20)에 부착된, 열림 상태의 커버 부재(40)에, 회로 기판(30), 제1 도통 부재(31), 및 제2 도통 부재(32)가 각각 장착된다.
상술하면, 회로 기판(30)은, 열림 상태의 커버 부재(40)에 있어서의 제2 커버부(42)에, 제1 기판 단자(30a) 및 제2 기판 단자(30b)를 갖는 면이 위쪽을 향하도록 하여, 제2 커버부(42)의 내면(도 5a에 있어서의 상면)측에 형성된 기판 수납부에 위치 결정되어 배치된다.
제1 도통 부재(31) 및 제2 도통 부재(32)는, 회로 기판(30)이 제2 커버부(42)에 배치된 후에,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의 경계를 사이에 두고 양자에 걸쳐 배치된다.
제1 도통 부재(31)는, 한쪽의 단부가, 제1 커버부(41)의 개구부(41a)를 통해 배터리 셀(20)의 양극 단자(21)에 맞닿고, 다른 쪽의 단부가 회로 기판(30)의 제1 기판 단자(30a)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제2 도통 부재(32)도, 그 한쪽의 단부가, 제1 커버부(41)의 개구부(41b)를 통해 배터리 셀(20)의 음극 단자(22)에 맞닿고, 다른 쪽의 단부가 회로 기판(30)의 제2 기판 단자(30b)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도통 부재(31), 및 제2 도통 부재(32)는, 제1 커버부(4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대략 L자형상의 홈에 끼워져 커버 부재(40)에 대해 위치 결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열림 상태의 커버 부재(40)에 배치된 제1 도통 부재(31) 및 제2 도통 부재(32)는, 각각 배터리 셀(20)의 양극 단자(21) 및 음극 단자(22), 및 회로 기판(30)의 제1 기판 단자(30a) 및 제2 기판 단자(30b)에 스폿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이들 4개의 접합은, 모두 상측면(20a)의 면 방향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도 5b에 있어서의 위쪽 방향)으로부터의 스폿 용접에 의해 행해진다.
여기에서, 제1 도통 부재(31)와 양극 단자(21)가 접합되고, 제2 도통 부재(32)와 음극 단자(22)가 접합됨으로써, 제1 도통 부재(31) 및 제2 도통 부재(32)와 배터리 셀(20)의 상측면(20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커버부(41)는, 배터리 셀(20)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된다.
다음에,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40)는, 연결부(43)에서 약 180도 절곡됨으로써,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가 접혀 포개어진다.
커버 부재(40)에는, 제1 커버부(41)에 설치된 한 쌍의 오목부(44a, 44a)와, 제2 커버부(42)에 설치된 한 쌍의 볼록부(44b, 44b)로 구성되는 결합부(44)가 설치되어 있다(도 5b 참조).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가 접혀 포개어진 상태(커버 부재(40)의 닫힘 상태)에서는, 한 쌍의 볼록부(44b, 44b)가 한 쌍의 오목부(44a, 44a)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커버 부재(40)의 닫힘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에,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벨 시트(50)가, 배터리 셀(20) 및 배터리 셀(20)에 연결 설치된 커버 부재(40)에 접착 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부착된다. 여기에서, 라벨 시트(50)는, 이면에 접착 부재가 미리 도포된 시일 부재이다. 그 때문에, 이 라벨 시트(50)를 배터리 셀(20) 및 커버 부재(40)에 감음으로써,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1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로서의 휴대전화기(100)의 전력 공급원으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 휴대전화기(100)는, 휴대전화기 본체(110)와, 이 휴대전화기 본체(110)에 장착되는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10)와, 휴대전화기 본체(110)에 장착된 배터리(10)를 덮는 배터리 커버(120)를 구비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10)에 의하면, 커버 부재(40)는, 회로 기판(3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1 커버부(41)와, 회로 기판(3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커버부(42)가, 연결부(43)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를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배터리(10)의 조립에 이용되는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터리(10)의 제조 시에 있어서의 장착 공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부품수가 삭감됨으로써, 배터리(10)의 제조에 관련된 부재비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도통 부재(31)가 양극 단자(21)에 용접되고, 제2 도통 부재(32)가 음극 단자(22)에 용접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도통 부재(31) 및 제2 도통 부재(32)와 배터리 셀(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커버부(41)는, 배터리 셀(20)의 상측면(20a)에 있어서의 소정의 장소에 확실하게 위치 결정된다. 또, 배터리 셀(20)과 커버 부재(40)를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도통 부재(31)의 양극 단자(21) 및 제1 기판 단자(30a)로의 용접, 및 제2 도통 부재(32)의 음극 단자(22) 및 제2 기판 단자(30b)로의 용접은, 모두 동일 방향으로부터의 스폿 용접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모든 스폿 용접을 한 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어, 장착 공수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 제1 도통 부재(31) 및 제2 도통 부재(32)가 꺾여지는 부분인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의 경계 부분에는, 연결부(43)는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는 이간되어 있다. 그 때문에, 커버 부재(40)가 접혀질 때에, 제1 도통 부재(31) 및 제2 도통 부재(32)에 있어서의 꺾여지는 부분이 연결부(43)에 접촉하여 제1 도통 부재(31) 및 제2 도통 부재(32)의 꺾여짐이 저해되는 경우가 없다.
또, 커버 부재(40)에는,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를 결합하는 결합부(4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를 용이하게 걸어 맞추게 할 수 있어, 커버 부재(40)의 닫힘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40)가 부착된 배터리 셀(20)에 있어서의 배터리 셀(20)과 커버 부재(40)(제1 커버부(41))의 경계 부분, 및 결합부(44)를 포함하는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의 경계 부분은, 라벨 시트(50)로부터 피복된다. 그 때문에, 배터리 셀(20)과 커버 부재(40)의 결합 상태를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의 걸어 맞춤 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커버 부재(40)에 있어서의 연결부(43)는, 제1 커버부(41) 및 제2 커버부(4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 근방에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1 커버부(41) 및 제2 커버부(4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연결부(43)를 설치하지 않는 영역을 형성하고, 제1 도통 부재(31) 및 제2 도통 부재(32)는, 연결부(43)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 제1 커버부(41)와 제2 커버부(42)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 제1 도통 부재(31) 및 제2 도통 부재(32)의 형상은, 대략 L자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I자형상 등이어도 된다.
또, 피복 부재는, 배터리 셀(20)에 감겨져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되는 라벨 시트(50)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피복 부재는, 예를 들면, 열 수축성을 갖는 튜브형상의 필름에 의해 형성되어, 배터리 셀(20)을 피복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휴대 전자기기로서의 휴대전화기(100)에 적용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을, 정보 휴대 단말(PDA), 노트 퍼스널컴퓨터, 디지털카메라, 소형 오디오플레이어 등의 다른 휴대 전자기기에 적용해도 된다.
10 : 배터리
20 : 배터리 셀
20a : 상측면(한 측면)
21 : 양극 단자
22 : 음극 단자
30 : 회로 기판
30a : 제1 기판 단자
30b : 제2 기판 단자
31 : 제1 도통 부재
32 : 제2 도통 부재
33 : 외부 접속 단자
40 : 커버 부재
41 : 제1 커버부
42 : 제2 커버부
43 : 연결부
44 : 결합부
44a : 오목부
44b : 볼록부
45 : 돌기부
50 : 라벨 시트
51 : 절결부

Claims (9)

  1. 한 측면에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가 배치된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한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제1 기판 단자 및 제2 기판 단자를 갖는 회로 기판과,
    상기 양극 단자와 상기 제1 기판 단자를 도통시키는 제1 도통 부재와,
    상기 음극 단자와 상기 제2 기판 단자를 도통시키는 제2 도통 부재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배터리 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커버부, 상기 회로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커버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를 접을 수 있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회로 기판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한 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단자 및 상기 제2 기판 단자는, 상기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한 측면에 대향하는 측의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도통 부재 및 상기 제2 도통 부재는,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의 접힘 방향을 따라 접혀져 있는, 배터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통 부재 및 상기 제2 도통 부재의 각각은,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연결부에 의한 접힘을 수반하지 않는 열림 상태에 있어서,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의 각각과 상기 한 측면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부터의 용접에 의해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제1 기판 단자 및 상기 제2 기판 단자의 각각과 상기 교차 방향으로부터의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배터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열림 상태로서 상기 제1 커버부가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한 측면에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에 의해 지지되는, 배터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가 접혀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결합부를 더 갖는, 배터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양극 단자에 결합된 상기 제1 도통 부재와 상기 음극 단자에 결합된 상기 제2 도통 부재에 의해 상기 배터리 셀에 대해 위치 결정되는, 배터리.
  7. 배터리 셀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가 배치된 한 측면에, 접을 수 있는 커버 부재를 열림 상태로 부착하는 공정과,
    열림 상태의 상기 커버 부재에, 제1 기판 단자 및 제2 기판 단자를 갖는 회로 기판을 부착하는 공정과,
    열림 상태의 상기 커버 부재에, 제1 도통 부재를 부착하여 상기 양극 단자와 상기 제1 기판 단자를 도통시키고, 또한, 제2 도통 부재를 부착하여 상기 음극 단자와 상기 제2 기판 단자를 도통시키는 공정과,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제1 도통 부재와 상기 제2 도통 부재가 부착된 열림 상태의 상기 커버 부재를 접어, 상기 회로 기판을 커버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열림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통 부재 및 상기 제2 도통 부재의 각각을, 상기 한 측면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부터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의 각각에 용접시킴과 더불어, 상기 교차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기판 단자 및 상기 제2 기판 단자의 각각에 용접시키는, 배터리 제조 방법.
  9. 휴대 전자기기 본체와, 상기 휴대 전자기기 본체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로서,
    상기 배터리는,
    한 측면에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가 배치된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한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제1 기판 단자 및 제2 기판 단자를 갖는 회로 기판과,
    상기 양극 단자와 상기 제1 기판 단자를 도통시키는 제1 도통 부재와,
    상기 음극 단자와 상기 제2 기판 단자를 도통시키는 제2 도통 부재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배터리 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커버부, 상기 회로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커버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를 접을 수 있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회로 기판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커버부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한 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
KR1020107013677A 2007-11-29 2008-11-26 배터리 및 휴대 전자기기 KR101076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09385A JP5236265B2 (ja) 2007-11-29 2007-11-29 バッテリー
JPJP-P-2007-309385 2007-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580A true KR20100084580A (ko) 2010-07-26
KR101076574B1 KR101076574B1 (ko) 2011-10-24

Family

ID=40678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677A KR101076574B1 (ko) 2007-11-29 2008-11-26 배터리 및 휴대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37179B2 (ko)
JP (1) JP5236265B2 (ko)
KR (1) KR101076574B1 (ko)
WO (1) WO20090696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389A (ko) *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회로 모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993B1 (ko) 2009-12-17 2011-12-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드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보호회로기판
US9385402B2 (en) * 2012-02-22 2016-07-05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pack of embedded type with novel structure
CN102651464B (zh) * 2012-05-25 2016-01-27 深圳市万拓电子技术有限公司 可拆式触点电源
US9362535B2 (en) * 2013-12-19 2016-06-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uch-type wrap for battery cell
US9614198B2 (en) * 2014-06-03 2017-04-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cell shrink-wrap method and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0362B1 (en) * 2000-08-22 2003-05-27 Motorola,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enhanced battery life and cooling
JP3754335B2 (ja) * 2001-08-31 2006-03-08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4797385B2 (ja) * 2005-01-21 2011-10-19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4639819B2 (ja) 2005-01-21 2011-02-23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2007179812A (ja) * 2005-12-27 2007-07-12 Kyocera Corp バッテリー及びバッテリーの製造方法
JP5077939B2 (ja) * 2007-09-27 2012-11-21 日立マクセルエナジ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389A (ko) *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회로 모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29744A1 (en) 2011-09-22
WO2009069673A1 (ja) 2009-06-04
JP5236265B2 (ja) 2013-07-17
US8637179B2 (en) 2014-01-28
JP2009134959A (ja) 2009-06-18
KR101076574B1 (ko) 201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3427B2 (en) Battery pack
JP5234126B2 (ja) 外装フィルムを使用した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US8435656B2 (en) Secondary battery with protection circuit module
KR101076574B1 (ko) 배터리 및 휴대 전자기기
JP5352560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US9088032B2 (en) Secondary battery
KR101255546B1 (ko)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KR102409424B1 (ko)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8313856B2 (en) Structure of thin battery covered by outer packaging film,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KR20140081657A (ko) 배터리 팩
JP4698171B2 (ja) パック電池
KR20140142649A (ko) 배터리 팩
KR20150122518A (ko) 베터리 팩
JP5164470B2 (ja) パック電池
US8541125B2 (en) Battery pack
JP2004273174A (ja) 電池パック
JP2012079536A (ja) 電池パック
CN111295777B (zh) 电池组
KR20170071137A (ko) 이차 전지
JP2007179812A (ja) バッテリー及びバッテリーの製造方法
KR100704290B1 (ko) 배터리 팩
CN111864128A (zh) 电池组
JP2011009155A (ja) 電池パック
JP5694044B2 (ja) 電池パック
JP2005190891A (ja) バッテリー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