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409A - 조립식 갱폼조립체 - Google Patents
조립식 갱폼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84409A KR20100084409A KR1020090003885A KR20090003885A KR20100084409A KR 20100084409 A KR20100084409 A KR 20100084409A KR 1020090003885 A KR1020090003885 A KR 1020090003885A KR 20090003885 A KR20090003885 A KR 20090003885A KR 20100084409 A KR20100084409 A KR 201000844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support
- support
- horizontal
- horizontal support
- fast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갱폼조립체는,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거치바와 수직지지대 체결너트가 일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거푸집; 상기 수직지지대 체결너트에 체결되는 수직지지대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거푸집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면이 상기 거치바의 저면에 밀착되는 거치블록을 구비하는 수직지지대; 수평지지대 체결너트 및 수평지지대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수직지지대에 결합되는 수평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갱폼조립체는, 거푸집과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 간의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므로 일부 구성요소가 파손되었을 때 파손된 구성요소만을 교체할 수 있고, 거푸집이 수직지지대에 거치된 이후 거푸집과 수직지지대의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거푸집과 수직지지대 간의 결합이 용이해지고, 인양 시 거푸집의 하중이 분산되어 지지되므로 거푸집의 추락 우려가 현저히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갱폼, 거푸집, 수직지지대, 수평지지대, 조립식, 거치, 추락
Description
본 발명은 거푸집과 수직지지대 및 수평지지대를 포함하는 조립식 갱폼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각 구성요소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며, 인양 시 거푸집의 추락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조립식 갱폼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갱폼조립체는 고층아파트 및 대형 토목 구조물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건축자재의 일종으로써, 특히 수직 및 평탄도가 우수하여 벽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여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갱폼조립체의 구조는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과, 상기 거푸집의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지지대 및 수평지지대는 상기 거푸집의 수직도와 수평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상기 갱폼의 평탄도를 높이는 역할과, 이후 추가되는 작업발판 및 작업대의 체결대상이 된다.
그러나 종래의 갱폼조립체는 거푸집과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가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있는바, 적재과정 및 시공상에서 발생하는 충돌로 인해서 상기 수직지지대 또는 수평지지대가 파손될 경우 파손된 부위만을 교체할 수 없고, 갱폼조립체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 또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이후 갱폼조립체를 떼어내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에 접착되었던 거푸집이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는 파손되지 아니하였더라도 상기 거푸집과 함께 폐기되어야 한다다.
즉, 파손된 일부분 때문에 상당한 비용으로 제작된 갱폼조립체를 전체적으로 폐기 및 교체해야 한다는 원가절감 및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매우 심각한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거푸집과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가 조립식으로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립식 갱폼(대한민국등록특허 10-0839645호)이 제안된 바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조립식 갱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갱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조립식 갱폼의 수직단면도이다.
종래의 조립식 갱폼은, 벽체(A)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110)과, 상기 거푸집(110)의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구비하는 수직지지대(120)와, 상기 수직지지대(120)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지지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푸집(110)은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다수개의 나선축(111)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지지대(120)는 일측에 브라켓(121)을 구비하여 상기 나선축(111)을 관통시킨 후 체결구(122)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상기 수평지지대(130)는 전방에 걸림턱(141)을 구비하여 상기 수직지지대(120)의 내측에 걸려서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지지대(130)의 외측에 맞닿아 전방으로 밀착하기 위한 클램프(140)를 형성한 후 상기 수직지지대(120)의 내측에 맞닿도록 구비되는 지지브라켓(142)과 상기 클램프(140)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구(143)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시공상에서 상기 수직지지대(120)가 파손될 경우, 작업자는 상기 체결구(122)를 회전시켜 결합력을 해지함으로써 수직지지대(120)를 분리 및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공상에서 상기 수평지지대(130)가 파손될 경우에 작업자가 상기 체결구(143)를 회전시켜 상기 클램프(140)와 수평지지대(130)의 사이에 발생한 밀착력을 해지함으로써 수평지지대(130)를 분리 및 교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갱폼은, 수직지지대(120)를 거푸집(11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브라켓(121)을 거푸집(110)의 특정 지점 즉, 체결구(122)가 체결되는 지점에 위치시켜야 하는데, 상기 수직지지대(120)는 통상적으로 그 매우 크고 무거워서 브라켓(121)의 거푸집(110)의 특정 지점에 위치되도록 수직지지대(120)를 위치를 조정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브라켓(121)이 거푸집(110)의 특정 지점에 위치된 이후에도 체결구(122)의 체결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수직지지대(120)는 흔들리지 아니하고 그대로 위치가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수직지지대(120)를 고정시키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갱폼은 지지브라켓(140)에 의해 수평지지대(130)가 수직지지대(120)에 결합되는데, 상기 지지브라켓(140)의 걸림턱(141)은 수직지지대(120)의 내측면에 걸리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수평지지대(130)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수직지지대(120)를 먼저 거푸집(110)으로부터 해체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의 갱폼은 수직지지대(120)에 인양후크를 결합시켜 인양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갱폼은 수직지지대(120)를 인양할 때 거푸집(110)의 하중이 브라켓(121)에 집중되는바, 상기 브라켓(121)이 파단되는 경우 거푸집(110)이 추락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거푸집(110)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브라켓(121)의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브라켓(121)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 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거푸집과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 간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며, 인양 시 거푸집의 추락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조립식 갱폼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갱폼조립체는,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거치바와 수직지지대 체결너트가 일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거푸집;
상기 수직지지대 체결너트에 체결되는 수직지지대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거푸집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면이 상기 거치바의 저면에 밀착되는 거치블록을 구비하는 수직지지대;
수평지지대 체결너트 및 수평지지대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수직지지대에 결합되는 수평지지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대의 일면에 밀착되는 체결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지지대 체결너트는 상기 체결브라켓의 일면에 위치되며, 상기 수평지지대 체결볼트는 상기 수직지지대에 결합되되 끝단이 상기 체결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지지대 체결너트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평지지대의 타면을 상기 수직 지지대의 일면에 압착시킨다.
상기 체결브라켓은 상기 수평지지대의 일면이 인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대는 상하로 이격되도록 쌍으로 배열되고,
상기 체결브라켓은 한 쌍의 수평지지대 일면을 덮도록 안착되며,
상기 수평지지대 체결볼트는 끝단이 상기 한 쌍의 수평지지대 이격공간을 지나 상기 체결브라켓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대는 일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빔으로 제작되며,
상기 한 쌍의 수평지지대 중 상측에 위치하는 수평지지대는 개방된 측이 상향을 향하고, 상기 한 쌍의 수평지지대 중 하측에 위치하는 수평지지대는 개방된 측이 하향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거치바는 저면이 수평을 이루는 사각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지지대 체결너트는 상측 외주면이 수평을 이루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갱폼조립체는, 거푸집과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 간의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므로 일부 구성요소가 파손되었을 때 파손된 구성요소만을 교체할 수 있고, 거푸집이 수직지지대에 거치된 이후 거푸집과 수직지지대의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거푸집과 수직지지대 간의 결합이 용이해지고, 인양 시 거푸집의 하중이 분산되어 지지되므로 거푸집의 추락 우려가 현저히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갱폼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갱폼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갱폼조립체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10)과, 상기 거푸집(10)의 수직도 및 수평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수직지지대(20) 및 수평지지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지지대(20) 및 수평지지대(30)는 하나의 거푸집(10)에 각각 복수 개 구비된다.
상기 거푸집(10)의 일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거치바(12)가 상호 평행하게 구비되며, 복수 개의 거치바(12) 중 하나 이상의 거치바(12) 저면에는 수직지지대 체결너트(14)가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20)는 상기 수직지지대 체결너트(14)에 체결되는 수직지지대 체결볼트(24)에 의해 상기 거푸집(1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수평지지대(30)는 수평지지대 체결너 트(32) 및 수평지지대 체결볼트(34)에 의해 상기 수직지지대(2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갱폼은, 거푸집(10)과 수직지지대(20)와 수평지지대(30)가 상호 용접되어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 해체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보관을 하거나 운반을 할 때에는 거푸집(10)과 수직지지대(20)와 수평지지대(30)를 각각 해체시킴으로써 적재공간의 최소화 및 운반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갱폼을 이용하면, 운반 및 설치 시 거푸집(10)과 수직지지대(20)와 수평지지대(30)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구성요소만을 교체할 수 있고, 콘크리트 양생 이후 갱폼을 떼어 내는 과정에서 거푸집(10)이 손상되는 경우 손상된 거푸집(10)은 폐기하더라도 수직지지대(20) 및 수평지지대(30)는 해체시켜 다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재활용 및 원가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갱폼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상기 거푸집(10)과 수직지지대(20)가 수직지지대 체결너트(14) 및 수직지지대 체결볼트(24)에 의해 완전히 결합되기 이전에 상기 거푸집(10)이 상기 수직지지대(20)에 걸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있다. 즉, 상기 수직지지대(20)에는 상면이 상기 거치바(12)의 저면에 밀착되는 거치블록(22)을 구비하는바, 거푸집(10)은 거치바(12)가 거치블록(22)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수직지지대(20)에 걸쳐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거푸집(10)이 수직지지대(20)에 걸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수직지지대 체결너트(14)와 수직지지대 체결볼트(24)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설정되므로, 작 업자는 상기 수직지지대 체결너트(14)의 높이와 수직지지대 체결볼트(24)의 높이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거푸집(10) 및 수직지지대(20)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 없이 거푸집(10)을 수직지지대(20)에 걸쳐놓는 작업만으로 상기 수직지지대 체결너트(14)와 수직지지대 체결볼트(24)를 매우 간편하게 체결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갱폼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거푸집(10)과 수직지지대(20)의 체결이 완료될 때까지 거푸집(10)과 수직지지대(20)를 들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크레인 등과 같은 인양장치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거치바(12)가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블록(22)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바(12)는 저면이 수평을 이루는 사각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지지대 체결너트(14)는 상측 외주면이 수평을 이루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푸집(10)의 거치바(12)가 수직지지대(20)의 거치블록(22)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수직지지대(20)를 인양시킬 때 거푸집(10)의 하중이 수직지지대 체결볼트(24)에만 인가되는 것이 아니라 거치블록(22)에도 나뉘어 인가되므로, 상기 수직지지대 체결볼트(24)의 전단 및 거푸집(10)의 추락이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치바(12)가 상면에 안착되는 거치블록(22)이 하나의 수직지지대(20)에 2개 구비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거치블록(22)의 개수는 거푸집(10)의 자중 및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 체결너트(14)가 거치바(12)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면, 상기 수직지지대(20)를 인양할 때 수직지지대 체결너트(14)가 거치바(12)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거푸집(10)의 하중이 거치블록(22)으로 집중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지지대 체결너트(14)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바(12)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수평지지대(30)를 수직지지대(20)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평지지대 체결볼트(34)는 헤드부가 수직지지대(20)에 결합되는데, 끝단이 상기 수평지지대(30)를 관통한 후 수평지지대 체결너트(32)와 체결될 수도 있고, 수평지지대(30)의 일면(수직지지대(20)와 접촉되는 반대측면)에 밀착되는 별도의 체결브라켓(40)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수평지지대 체결너트(32)는 상기 체결브라켓(40)의 일면에 위치되고, 상기 수평지지대 체결볼트(34)는 끝단이 상기 체결브라켓(40)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지지대 체결너트(32)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평지지대(30)의 타면(수직지지대(20)와 접촉되는 면)을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일면에 압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체결브라켓(40)을 이용하여 수평지지대(30)를 수직지지대(20)에 결합시키게 되면, 수평지지대 체결너트(32) 및 수평지지대 체결볼트(34)의 체결에 의해 발생되는 압착력을 넓은 면적에 걸쳐 수평지지대(30)에 가할 수 있으므로 수평지지대(30)를 보다 안정적으로 수직지지대(20)에 결합시킬 수 있고, 상기 수평지지대 체결볼트(34)의 관통을 위한 관통공을 수직지지대(20)에 형성할 필 요가 없으므로 작업공정 단순화 및 수평지지대(30)의 훼손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브라켓(40)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지지대(30)가 상하로 흔들리지 아니하도록, 상기 체결브라켓(40)에는 상기 수평지지대(30)의 일면이 인입될 수 있는 안착홈(4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지지대(30)가 별도의 체결브라켓(40)에 의해 수직지지대(2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면, 하나의 체결브라켓(40)으로 복수 개의 수평지지대(30)를 수직지지대(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수평지지대(30)가 상하로 이격되도록 쌍으로 배열되는 경우, 상기 체결브라켓(40)은 한 쌍의 수평지지대(30) 일면을 덮도록 안착되며, 상기 수평지지대 체결볼트(34)는 한 쌍의 수평지지대(30)에 고르게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끝단이 상기 한 쌍의 수평지지대(30) 이격공간을 지나 상기 체결브라켓(40)을 관통한 후 수평지지대 체결너트(32)에 체결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대(30)가 일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빔으로 제작되는 경우, 한 쌍의 수평지지대(30)의 개방된 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면 상기 수평지지대 체결볼트(34)의 체결력에 의해 개방된 부위가 오므려지도록 상기 수평지지대(30)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수평지지대(30)는 개방된 측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즉, 상측에 위치하는 수평지지대(30)는 개방된 측이 상향을 향하고, 상기 한 쌍의 수평지지대(30) 중 하측에 위치하는 수평지지대(30)는 개방된 측이 하향을 향하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갱폼은, 수평지지대(130)를 수직지지대(120)에 결합시키기 위한 지지브라켓(140)에 체결구(143)를 체결시키는 경우 상기 지지브라켓(140)이 회전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지지브라켓(140)의 끝단에는 수직지지대(120)의 내측에 걸리는 걸림턱(141)이 필수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수평지지대(130)를 위해 지지브라켓(140)을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직지지대(120)를 먼저 분리시켜야 한다는 작업상의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갱폼조립체는, 수평지지대(30)를 수직지지대(20)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브라켓(40)이 한 쌍의 수평지지대(30)를 수직지지대(20)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평지지대 체결볼트(34)가 한 쌍의 수평지지대(3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체결되는바, 상기 체결브라켓(40)은 수직지지대(20)에 걸리는 걸림턱이 없더라도 수평지지대 체결볼트(34) 체결 시 회전될 우려가 없다. 즉, 수평지지대(30)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수직지지대(20)를 분리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수평지지대(30) 분리 작업이 매우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20) 역시 수평지지대(30)와 마찬가지로 두 개가 쌍을 이루며 좌우로 이격되도록 배열되고, 수직지지대 체결볼트(24) 또한 수직지지대(2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별도의 밀착브라켓(40′)을 관통한 후 쌍을 이루는 수직지지대(20) 사이를 지나 수직지지대 체결너트(14)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직지지대(20)를 거푸집(10)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수직지지대(20)가 거푸집(10)에 결합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효과는, 체결브라켓(40)을 이용하여 수평지지대(30)를 수직지지대(20)에 결합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효과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갱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조립식 갱폼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갱폼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갱폼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거푸집 12 : 거치바
14 : 수직지지대 체결너트 20 : 수직지지대
22 : 거치블록 24 : 수직지지대 체결볼트
30 : 수평지지대 32 : 수평지지대 체결너트
34 : 수평지지대 체결볼트 40 : 체결브라켓
42 : 안착홈
Claims (7)
-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거치바(12)와 수직지지대 체결너트(14)가 일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거푸집(10);상기 수직지지대 체결너트(14)에 체결되는 수직지지대 체결볼트(24)에 의해 상기 거푸집(1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면이 상기 거치바(12)의 저면에 밀착되는 거치블록(22)을 구비하는 수직지지대(20);수평지지대 체결너트(32) 및 수평지지대 체결볼트(34)에 의해 상기 수직지지대(20)에 결합되는 수평지지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수평지지대(30)의 일면에 밀착되는 체결브라켓(40)을 더 포함하고,상기 수평지지대 체결너트(32)는 상기 체결브라켓(40)의 일면에 위치되며, 상기 수평지지대 체결볼트(34)는 상기 수직지지대(20)에 결합되되 끝단이 상기 체결브라켓(40)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지지대 체결너트(32)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평지지대(30)의 타면을 상기 수직지지대(20)의 일면에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체결브라켓(40)은 상기 수평지지대(30)의 일면이 인입되는 안착홈(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수평지지대(30)는 상하로 이격되도록 쌍으로 배열되고,상기 체결브라켓(40)은 한 쌍의 수평지지대(30) 일면을 덮도록 안착되며,상기 수평지지대 체결볼트(34)는 끝단이 상기 한 쌍의 수평지지대(30) 이격공간을 지나 상기 체결브라켓(40)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수평지지대(30)는 일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빔으로 제작되며,상기 한 쌍의 수평지지대(30) 중 상측에 위치하는 수평지지대(30)는 개방된 측이 상향을 향하고, 상기 한 쌍의 수평지지대(30) 중 하측에 위치하는 수평지지대(30)는 개방된 측이 하향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수직지지대(20)는 좌우로 이격되도록 쌍으로 배열되고,상기 수직지지대 체결볼트(24)는, 쌍을 이루는 수직지지대(2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브라켓(40′)을 관통한 후 쌍을 이루는 수직지지대(20) 사이를 지나 수직지지대 체결너트(14)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조립체.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거치바(12)는 저면이 수평을 이루는 사각빔 형상으로 형성되고,상기 수직지지대 체결너트(14)는 상측 외주면이 수평을 이루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3885A KR20100084409A (ko) | 2009-01-16 | 2009-01-16 | 조립식 갱폼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3885A KR20100084409A (ko) | 2009-01-16 | 2009-01-16 | 조립식 갱폼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4409A true KR20100084409A (ko) | 2010-07-26 |
Family
ID=42643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3885A KR20100084409A (ko) | 2009-01-16 | 2009-01-16 | 조립식 갱폼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84409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9588Y1 (ko) * | 2012-06-27 | 2013-10-22 | 서보산업 주식회사 | 거푸집 정렬 장치 |
KR101345407B1 (ko) * | 2011-05-18 | 2013-12-30 | 서갑수 | 각 구성부들이 재활용되는 갱폼 |
-
2009
- 2009-01-16 KR KR1020090003885A patent/KR2010008440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5407B1 (ko) * | 2011-05-18 | 2013-12-30 | 서갑수 | 각 구성부들이 재활용되는 갱폼 |
KR200469588Y1 (ko) * | 2012-06-27 | 2013-10-22 | 서보산업 주식회사 | 거푸집 정렬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61190B2 (en) |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 |
KR101641340B1 (ko) | 상하부 작업대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갱폼 케이지 | |
KR20160129037A (ko) | 거푸집 지지 구조체를 위한 어댑터 | |
KR101266384B1 (ko) | 거푸집 장선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보 거푸집 지지구조의 시공방법 | |
TWM556760U (zh) | 預鑄版與預鑄版之間的梁位間隙封底結構 | |
KR20130007502U (ko) | 합벽 지지 장치 및 합벽 지지 장치의 발판 지지용 브라켓 | |
KR100862737B1 (ko) | 조립식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케이지장치 | |
KR20100084409A (ko) | 조립식 갱폼조립체 | |
KR100964155B1 (ko) | 리프팅 보조장치가 구비된 교량용 프리캐스트 바닥판 | |
KR101207013B1 (ko) | 알루미늄 패널로 된 조립식 갱폼 | |
JP6082580B2 (ja) | 床構造 | |
JP2019143392A (ja) | 梁部材複合体及び床構造 | |
KR100946192B1 (ko) | 거푸집 결합 및 해체장치 | |
KR101360287B1 (ko) | 조립식 갱폼 | |
JP4975051B2 (ja) | 足場の組立及び解体方法 | |
JP2018150781A (ja) | スラブの構築方法 | |
KR100948447B1 (ko) | 트러스 상판 해체 장치 및 방법 | |
KR100685440B1 (ko) | 거푸집용 지지구 | |
KR100788740B1 (ko) | 행거를 이용한 다단의 슬라브 시공을 위한 데크의 결합구조 | |
JP5812554B1 (ja) |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 |
KR200375945Y1 (ko) | 천정 거푸집 설치 구조물 | |
KR20110006970U (ko) | 목판과 스틸판으로 이루어진 거푸집 | |
JP2011184951A (ja) | バタ材締着金具a型およびバタ材締着金具b型およびセパレータ抜取り式の大型型枠移設工法 | |
JP6914822B2 (ja) | 型枠工法および吊上げ用型枠ユニット | |
KR102198600B1 (ko) | 슬라브 거푸집 지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