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342A - 볼 타입의 장신구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볼 타입의 장신구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342A
KR20100084342A KR1020090003775A KR20090003775A KR20100084342A KR 20100084342 A KR20100084342 A KR 20100084342A KR 1020090003775 A KR1020090003775 A KR 1020090003775A KR 20090003775 A KR20090003775 A KR 20090003775A KR 20100084342 A KR20100084342 A KR 20100084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ub
type
ba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헌리
Original Assignee
하헌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헌리 filed Critical 하헌리
Priority to KR1020090003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4342A/ko
Priority to CN2009201749021U priority patent/CN201536708U/zh
Publication of KR20100084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3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19Hooks
    • A44C5/2033Hooks provided with pivoting closure mea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 타입의 장신구 연결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일측에 탄성 걸고리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및 밀폐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장식부 메인 본체와; 장식부 본체의 일측에 일체로 마련되며, 내부에 볼형 체인의 일단부 볼이 회동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도록 내부에 환형 홈이 형성된 장식부 서브 본체와; 일측면이 장식부 메인 본체의 걸림홈에 걸림되도록 걸림구멍이 형성된 A형 메인 바아와; 메인 바아의 일측에 일체로 마련되며, 내부에 볼형 체인의 타단부 볼이 회동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도록 내부에 환형 홈이 형성된 서브 바아;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장식부와 A바아 상에 볼 타입의 장신구가 직접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됨으로써 부품수 절감에 따른 생산단가 절감을 꾀할 수 있으며, 특히 연결이 매우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볼 타입의 장신구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for a necklace}
본 발명은 볼 타입의 장신구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걸이나 발찌, 팔찌 등의 액세서리로 사용되는 볼 타입의 장신구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의 일종인 목걸이는 의복과 함께 사용자의 신체를 장식하여 아름다움을 표현되게 하는 액세서리의 일종으로 그 구성은 각종 장식형상(귀금속재에 의한 고리 연결내지 구슬연결 등)을 취하는 체인이 형성되고, 이 체인에 보석추(다이아몬드, 진주, 큐빅 등) 및 귀금속의 메달이 연결되며, 이러한 목걸이를 신체에 착용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목줄의 양끝단부에는 연결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목걸이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줄에 다수의 볼을 결합하여 체인으로 사용하는 볼형 장신구 타입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목걸이용 볼 타입의 장신구를 연결하는 구조를 보면, 일측에 탄성 걸고리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및 밀폐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장식부를 기준으로 하 여, 일측에는 C링을 통해 캡이 연결되고, 이 캡에는 볼 타입의 장신구가 연결된다.
한편, 장식부의 타측으로는 장식부의 걸림홈에 걸림되는 A바아가 역시 C링을 통해 캡과 연결되고, 이 캡에는 볼 타입의 장신구가 연결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종래 목걸이용 볼 타입의 장신구 연결구조는, 다수의 부품 즉, 장식부와 A바아, C링과 캡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을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생산성이 떨어지고 단가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C링과 캡을 사용하지 않고도 장식부 및 A바아에 볼 타입의 장신구를 간단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 및 단가 절감을 꾀할 수 있는 목걸이용 볼 타입의 장신구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볼 타입의 장신구 연결구조는, 일측에 탄성 걸고리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및 밀폐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장식부 메인 본체와; 상기 장식부 본체의 일측에 일체로 마련되며, 내부에 볼형 체인의 일단부 볼이 회동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도록 내부에 환형 홈이 형성된 장식부 서브 본체와; 일측면이 장식부 메인 본체의 걸림홈에 걸림되도록 걸림구멍이 형성된 A형 메인 바아와; 상기 메인 바아의 일측에 일체로 마련되며, 내부에 볼형 체인의 타단부 볼이 회동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도록 내부에 환형 홈이 형성된 서브 바아;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장식부 서브 본체와 서브 바아 볼 삽입부측 외측면에는 각 볼들을 연결하는 줄이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장식부와 A바아 상에 볼 타입의 장신구가 직접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됨으로써 부품수 절감에 따른 생산단가 절감을 꾀할 수 있으며, 특히 연결이 매우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형 장신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형 장신구 연결구조의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볼 타입의 장신구 연결구조는, 크게 장식부 메인 본체(100)와, 장식부 서브 본체(110) 그리고 A형 메인 바아(200)와 A형 서브 바아(210) 및 볼형 장신구(1)로 이루어진다.
먼저 장식부 메인 본체(100)의 상세 구조를 보면, 일측에 탄성 걸고리(12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및 밀폐되는 걸림홈(L)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장식부 서브 본체(110)는 메인 본체(100)의 일측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볼형 체인의 일단부 즉, 볼형 장신구의 일단부에 마련된 하나의 볼이 회동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도록 환형 홈(111)이 형성된다.
이때 환형 홈(111)과 볼간의 결합은 장식부 서브 본체(110)를 절첩 가능하게 형성한 상태에서 환형 홈(111)으로 볼을 삽입하고, 절첩된 장식부 서브 본체(100)를 강한 압착력으로 압착하게 되면 볼이 환형 홈(1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A형 메인 바아(200)는, 일측에 상술한 장식부 메인 본체(100)의 걸림홈(L)에 걸림 될 수 있도록 걸림구멍(H)이 형성된다.
A형 서브 바아(210)는 A형 메인 바아(200)의 일측에 역시 일체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일측 내부에는 볼형 체인 즉, 볼형 장식구의 타단부측 하나의 볼이 회동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도록 환형 홈(211)이 형성된다.
이때 이 서브 바아(210)와 볼의 결합은 전술한 장식부 서브 본체(110)의 결 합과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한편, 장식부 서브 본체(110)와 서브 바아(210)의 볼 삽입부측 외측면에는 각 볼들을 연결하는 줄이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 홈(112,212)이 마련함이 바람직한 바, 이는 어느 정도 볼들을 연결하고 있는 줄이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야만 끊김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볼 타입의 장신구 연결구조는, 종래와 같이 캡이나 C링을 구비하지 않고도, 장식부 서브 본체(110)와 A형 서브 바아(210)상에 마련된 환형 홈(111,211)으로 볼형 장식구(1)의 양단에 마련된 볼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들 장식부 서브 본체(110)와 A형 서브 바아(210)가 장식부 메인 본체(100)와 A형 메인 바아(200)에 각각 일체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볼형 장식구(1)와의 연결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것은 목걸이용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볼 타입의 체인 즉, 장신구를 갖는 팔찌나 발찌, 군대에서 사용되는 군번줄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것은 주지할 수 있는 사실일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형 장신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형 장신구 연결구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장식부 메인 본체 110 : 장식부 서브 본체
111 : 환형홈 112 : 가이드 홈
200 : A형 메인 바아 210 : A형 서브 바아
211 : 환형홈 212 : 가이드 홈
1 : 볼형 장식구

Claims (2)

  1. 일측에 탄성 걸고리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및 밀폐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장식부 메인 본체와;
    상기 장식부 본체의 일측에 일체로 마련되며, 내부에 볼형 체인의 일단부 볼이 회동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도록 내부에 환형 홈이 형성된 장식부 서브 본체와;
    일측면이 장식부 메인 본체의 걸림홈에 걸림되도록 걸림구멍이 형성된 A형 메인 바아와;
    상기 메인 바아의 일측에 일체로 마련되며, 내부에 볼형 체인의 타단부 볼이 회동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도록 내부에 환형 홈이 형성된 서브 바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형 장신구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 서브 본체와 서브 바아 볼 삽입부측 외측면에는 각 볼들을 연결하는 줄이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형 장신구 연결구조.
KR1020090003775A 2009-01-16 2009-01-16 볼 타입의 장신구 연결구조 KR20100084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775A KR20100084342A (ko) 2009-01-16 2009-01-16 볼 타입의 장신구 연결구조
CN2009201749021U CN201536708U (zh) 2009-01-16 2009-09-17 用于滚珠型装饰品的连接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775A KR20100084342A (ko) 2009-01-16 2009-01-16 볼 타입의 장신구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342A true KR20100084342A (ko) 2010-07-26

Family

ID=4258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775A KR20100084342A (ko) 2009-01-16 2009-01-16 볼 타입의 장신구 연결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84342A (ko)
CN (1) CN20153670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160B1 (ko) 2019-09-16 2021-03-16 양석진 장신구 줄 체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160B1 (ko) 2019-09-16 2021-03-16 양석진 장신구 줄 체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536708U (zh) 201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13720A1 (en) Jewelry clasp
US20060174649A1 (en) Interchangeable jewelry item
US20190029374A1 (en) Modular bracelet
KR100802100B1 (ko)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KR101535640B1 (ko)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CN208160224U (zh) 一种新型首饰卡扣
KR20100084342A (ko) 볼 타입의 장신구 연결구조
US7536757B2 (en) Clip for jewellery
KR100953447B1 (ko) 장신구용 연결 장치 및 그 연결 구조를 갖는 장신구
KR101784252B1 (ko) 회전 장신구
KR20140104869A (ko) 장신구 잠금장치
CN217013009U (zh) 连接手链的竖向锁扣以及手链
US20170231334A1 (en) Jewelry Clasp
KR101914552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200440565Y1 (ko)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
US11647816B2 (en) Clasp mechanism to enable concealment and use by those with limited dexterity
KR200468991Y1 (ko) 장신구용 커넥터
KR200313343Y1 (ko) 장신구 걸이용 목걸이 줄
KR200294280Y1 (ko) 인체용 띠장신구의 연결구
CN213962139U (zh) 一种带有装饰锁的手镯
CN209376889U (zh) 一种新型双向首饰扣
KR20190002461U (ko)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
CN209449873U (zh) 一种新型手镯搭扣
CN209915190U (zh) 一种饰品卡扣结构
KR200366020Y1 (ko) 띠장신구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