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447B1 - 장신구용 연결 장치 및 그 연결 구조를 갖는 장신구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연결 장치 및 그 연결 구조를 갖는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447B1
KR100953447B1 KR1020090097821A KR20090097821A KR100953447B1 KR 100953447 B1 KR100953447 B1 KR 100953447B1 KR 1020090097821 A KR1020090097821 A KR 1020090097821A KR 20090097821 A KR20090097821 A KR 20090097821A KR 100953447 B1 KR100953447 B1 KR 100953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ortion
male
case
protrusion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섭
이부광
변현우
Original Assignee
김영섭
이부광
변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섭, 이부광, 변현우 filed Critical 김영섭
Priority to KR1020090097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57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장신구용 연결 장치 및 그 연결 구조를 갖는 장신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 장치는, 외부 일측에 돌출부를 갖는 숫체결부; 숫체결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구 - 삽입구는 숫체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부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됨 -와, 숫체결부가 삽입되어 회전된 상태에서 돌출부가 걸리게 되어 숫체결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연결홈을 구비하는 암체결부; 및 숫체결부 및 암체결부 각각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두 개의 케이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히 끼움 형식으로 숫체결부와 암체결부를 결합시킨 후 살짝 돌리는 동작만으로 단단히 체결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신구용 연결 장치 및 그 연결 구조를 갖는 장신구를 제공할 수 있다.
장신구, 체결, 줄, 목걸이, 연결장치

Description

장신구용 연결 장치 및 그 연결 구조를 갖는 장신구{Connecting device for accessories and accessories having connecting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줄을 포함하는 장신구용 연결 장치 및 그 연결 구조를 갖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여성뿐 아니라 많은 수의 남성들도 목걸이, 팔찌 등의 장신구를 착용하고 있어 유행에 따라 여러 가지 디자인들의 장신구가 개발 및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장신구 중 목걸이, 팔찌 등과 같은 장신구는 줄의 양 끝단이 서로 체결되어 사용자의 몸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 수시로 착탈시켜야 하므로 디자인도 중요하지만 목걸이의 체결구조 또한 중요하다. 즉 목걸이, 팔찌 등과 같은 장신구는 체인 형상으로 길게 연속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 끝단에 이를 연결시켜 주는 체결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체결 구조로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장식줄(1) 일단에 고리형몸체(3)가 결합되어 있고, 장식줄(1) 타단에 걸림구멍(11)이 형성된 체결구(9)가 구비되어 있으며, 고리형몸체(3)에는 레버(7) 와 결합고리(5)를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 목걸이 체결구조는 레버(7)를 당겨 결합고리(5)를 젖힌 후 체결구(9)의 걸림구멍(11)에 고리형몸체(3)를 끼우고 나서 당기고 있던 레버(7)를 놓으면 결합고리(5)가 원래 자리로 돌아오면서 체결구(9)와 고리형몸체(3)가 체결되어 장식줄(1)의 양단이 연결된다. 레버(7)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탄성력을 받기 때문에, 레버(7)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결합고리(5)가 원래의 자리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목걸이 체결구조는 체결구(9)에 고리형몸체(3)를 체결시키기 위해 양손으로 각각 고리형몸체(3)와 체결구(9)를 파지하고 한 손으로 레버(7)를 당긴 후 체결구(9)의 걸림구멍(11)이 고리형몸체(3)를 정확히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그 체결작업이 매우 번잡하다. 더욱이, 목걸이와 같은 장신구에서는 체결구(9) 및 고리형몸체(3)가 작은 크기로 제작되기 때문에 그 체결작업이 쉽지 않다.
또한, 그 구조가 단순히 연결작용만을 할 뿐이어서 체결구(9)의 형태가 장식줄과 전혀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장식 줄과 어울리지 않아 디자인적으로 심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레버(7)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금과 같은 귀금속으로 제작될 수 없는데, 목걸이를 판매하는 과정에서 스프링의 무게를 금으로 환산하여 판매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연결 및 분리가 편리한 장신구용 연결 장치 및 그 연결 구조를 갖는 장신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신구의 줄과도 잘 어울리며, 장신구 전체적인 디자인과도 잘 융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장신구용 연결 장치 및 그 연결 구조를 갖는 장신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장신구용 연결 장치에 있어서, 외부 일측에 돌출부를 갖는 숫체결부; 상기 숫체결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구 - 상기 삽입구는 상기 숫체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됨 -와, 상기 숫체결부가 삽입되어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걸리게 되어 상기 숫체결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연결홈을 구비하는 암체결부; 및 상기 숫체결부 및 상기 암체결부 각각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두 개의 케이스부를 포함하는 장신구용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의 몸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숫체결부 및 상기 암체결부의 외측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돌출부는 상기 숫체결부 또는 상기 암체결부가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될 때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돌출부가 상기 고정홈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유도하는 유도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숫체결부 및 상기 암체결부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유도돌출부에 상응하는 유도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줄을 포함하는 장신구에 있어서, 줄; 상기 줄의 양 끝단에 연결되는 두 개의 케이스부; 하나의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돌출부를 갖는 숫체결부; 및 다른 하나의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숫체결부가 삽입되어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부에 의해 다시 분리되지 않는 걸림구조를 갖는 연결홈이 형성되는 암체결부를 포함하는 착탈이 용이한 연결구조를 갖는 장신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히 끼움 형식으로 숫체결부와 암체결부를 결합시킨 후 살짝 돌리는 동작만으로 단단히 체결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신구용 연결 장치 및 그 연결 구조를 갖는 장신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체결구조는 장신구의 줄과도 잘 어울릴 뿐 아니라, 장신구 전체적인 디자인과도 잘 융합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을 접목하기가 용이하다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 장치의 체결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 장치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 및 체결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 장치는 장신구의 줄 양끝단과 연결되는 두 개의 케이스부(10-1, 10-2, 이하 10으로 통칭)와, 서로 탈부착되는 구조를 갖는 암체결부(20)와 숫체결부(30)를 포함한다.
숫체결부(30) 및 암체결부(20)는 모두 각각 케이스부(10)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고정돌출부(22, 32)를 가지며, 케이스부(10)에는 고정돌출부(22, 32)에 상응하는 고정홈(12)이 외부 일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돌출부(22, 32)가 고정홈(12)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숫체결부(30) 또는 암체결부(20)는 케이스부(10)에 일부 또는 전체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부(10)의 내부 직경과 숫체결부(30) 또는 암체결부(20)(이하 통칭하여 체결부라 칭함) 중 케이스부(10)에 삽입되는 부분의 외부 직경은 서로 유사하기 때문에, 체결부의 고정돌출부(22, 32)로 인해 케이스부(10)로의 삽입이 용이하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출부(22, 32) 주위에는‘U’자형의 홈(29, 39)이 형성되어, 체결부가 케이스부(10)로 삽입될 시 고정돌출부(22, 32) 주위가 휘면서 고정돌출부(22, 32)가 아래로 내려가 삽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삽입이 완료된 이후에는 고정돌출부(22, 32)가 탄성력 등에 의해 원래 자리로 돌아와 고정홈(12)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케이스부(10)와 체결부를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부의 케이스부(10)에 삽입되는 부분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유도홈(24, 34)이 형성되고, 케이스부(10)에는 유도홈(24, 34)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유도돌출부(16, 도 6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체결부 및 케이스부(10)는 각각 복수개의 고정돌출부(22, 32) 또는 고정홈(12)을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케이스부(10)에 암체결부(20)가 삽입 및 고정되는 경우를 예시한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유도홈(24)에는 케이스부(10)의 유도돌출부(16)가 끼워진다. 이는 암체결부(20)의 고정돌출부(22)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고정홈(12)에 끼워 질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암체결부(20)와 케이스부(10)가 보다 더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조 고정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숫체결부(30)에도 유도홈(34)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반대로 케이스부(10)에 유도홈이 형성되고, 체결부의 외부에 유도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케이스부(10)의 줄과 연결되는 줄연결부(14)는 고리형태인 것을 예로 들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줄과 연결될 수 있는 모든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숫체결부(30)와 암체결부(20)가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숫체결부(30)의 삽입봉(38)은 숫체결부(30)와 암체결부(20)를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삽입봉(38)은 암체결부(20)의 내부에 삽입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체결부(20)에는 내부가 뚫린 원통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뚫린 홈 사이로 숫체결부(30)의 삽입봉(38)이 삽입된다. 삽입봉(38)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36)는 암체결부(20)에 삽입된 숫체결부(30)가 다시 암체결부(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암체결부(20)에는 숫체결부(30)의 돌출부(36)에 상응하는 연결홈(26)이 형성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홈(26)은‘ㄱ’형태로 형성되어, 도 3의 참조번호 320과 같이 돌출부(36)가 연결홈(26)에 대응되도록 숫체결부(30)가 암체결부(20)에 삽 입된 이후 회전된 상태에서는, 돌출부(36)가 연결홈(26)에 걸리게 되어 숫체결부(30)가 암체결부(20)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된다. 물론, 암체결부(20)로부터 숫체결부(3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체결 시 회전되었던 반대방향으로 숫체결부(30)가 다시 회전되어야만 한다.
여기서, 삽입봉(38) 및 돌출부(36)는 모두 원기둥 형상인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뿔,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암체결부(20) 및 숫체결부(30)의 다른 시선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는 장신구용이기 때문에 그 무게를 줄이기 위해, 숫체결부(30) 삽입봉(38)의 내부에 구멍이 뚫려있을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체결부(20) 및/또는 숫체결부(30) 중 케이스부(10)에 삽입되는 부위의 일측에 홈(39)을 형성하여 무게를 더 줄일 수도 있다.
숫체결부(30)와 암체결부(20)가 체결되어 결합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4 및 도 11을 참조하면, 숫체결부(30) 및 암체결부(20) 각각의 케이스부(10-1, 10-2)는 서로 맞닿게 됨으로써, 외부에서 보면 숫체결부(30) 및 암체결부(20)는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부(10) 자체에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어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 장치가 장신구의 전체 디자인에 악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오히려 다양한 디자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부(10)의 외부 모양을 장신구의 줄에 어울리는 디자인으로 구현하게 되면, 종래의 고리형태에 비해 훨씬 심미감이 뛰어난 목걸이 등의 장신구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고리형태의 장신구용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 장치의 체결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 장치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 및 체결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체결부 및 숫체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가 구비된 목걸이를 도시한 예시도.

Claims (4)

  1. 장신구용 연결 장치에 있어서,
    삽입봉과, 상기 삽입봉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를 갖는 숫체결부;
    상기 삽입봉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봉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형성된 삽입구와,상기 삽입봉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를 가이드하고, 상기 삽입봉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면 걸릴 수 있도록 “ㄱ” 형태로 형성된 연결홈을 갖는 암체결부; 및
    상기 숫체결부 및 상기 암체결부 각각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두 개의 케이스부를 포함하는 장신구용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몸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숫체결부 및 상기 암체결부의 외측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돌출부는 상기 상기 숫체결부 또는 상기 암체결부가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될 때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돌출부가 상기 고정홈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유도하는 유도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숫체결부 및 상기 암체결부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유도돌출부에 상응하는 유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 장치.
  4. 줄을 포함하는 장신구에 있어서,
    줄;
    상기 줄의 양 끝단에 연결되는 두 개의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호 결합하는 숫체결부 및 암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숫체결부는 상기 케이스부 외부로 노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암체결부는, 상기 숫체결부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를 가이드하고 상기 숫체결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돌출부가 걸릴 수 있도록 “ㄱ” 형태로 형성된 연결홈을 갖는 착탈이 용이한 연결구조를 갖는 장신구.
KR1020090097821A 2009-10-14 2009-10-14 장신구용 연결 장치 및 그 연결 구조를 갖는 장신구 KR100953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821A KR100953447B1 (ko) 2009-10-14 2009-10-14 장신구용 연결 장치 및 그 연결 구조를 갖는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821A KR100953447B1 (ko) 2009-10-14 2009-10-14 장신구용 연결 장치 및 그 연결 구조를 갖는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447B1 true KR100953447B1 (ko) 2010-04-20

Family

ID=42220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821A KR100953447B1 (ko) 2009-10-14 2009-10-14 장신구용 연결 장치 및 그 연결 구조를 갖는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4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603Y1 (ko) 2011-03-11 2012-09-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신구 모듈
KR200468218Y1 (ko) 2013-05-03 2013-07-30 김희학 장신구
KR20220008159A (ko) * 2020-07-13 2022-01-20 최재명 목걸이 결속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4073A (en) 1987-07-11 1990-07-31 J. Kohle Gmbh & Co. Kg Plug fastener
JPH10262715A (ja) 1997-03-26 1998-10-06 Beaa:Kk 止め金具及びそれを用いた装飾用鎖
JP2000279219A (ja) 1999-03-30 2000-10-10 Irikura Kikinzoku Kogei:Kk 装身具用連結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4073A (en) 1987-07-11 1990-07-31 J. Kohle Gmbh & Co. Kg Plug fastener
JPH10262715A (ja) 1997-03-26 1998-10-06 Beaa:Kk 止め金具及びそれを用いた装飾用鎖
JP2000279219A (ja) 1999-03-30 2000-10-10 Irikura Kikinzoku Kogei:Kk 装身具用連結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603Y1 (ko) 2011-03-11 2012-09-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신구 모듈
KR200468218Y1 (ko) 2013-05-03 2013-07-30 김희학 장신구
KR20220008159A (ko) * 2020-07-13 2022-01-20 최재명 목걸이 결속장치
KR102405546B1 (ko) * 2020-07-13 2022-06-03 최재명 목걸이 결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1771B2 (en) Jewel and personal ornament
SG190001A1 (en) A detachable attachment device for jewelry
KR101535640B1 (ko)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0953447B1 (ko) 장신구용 연결 장치 및 그 연결 구조를 갖는 장신구
JP3519395B2 (ja) 装身具用連結金具
KR20180003543U (ko) 장신구용 줄의 길이조절 장치
US20160174670A1 (en) Interchangeable wafer rings
CN105146863A (zh) 方便调节长度的表带
KR200388464Y1 (ko) 장신구용 결합구
US20230059895A1 (en) Adjuster for changing a length of a jewelry string loop
JP2007313109A (ja) 装身具用連結具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TWM629880U (zh) 扣件組結構及具有扣件組結構的墜飾
JP2016202616A (ja) クラスプ
KR102419854B1 (ko) 원터치로 탈부착이 가능한 액세서리용 연결구
US20190090599A1 (en) Clasps for joining jewelry elements together in a string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JP3147797U (ja) 装身具の装飾体
JP3224771U (ja) 身飾品
KR200483175Y1 (ko) 악세사리
KR102186623B1 (ko) 장신구 연결 장치
KR20140104869A (ko) 장신구 잠금장치
US20120279026A1 (en) Ornament lock with wide opening ornament clasp
KR200376483Y1 (ko) 물품휴대용 줄
KR101974058B1 (ko) 장신구 결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