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489A - 충격흡수용 에어백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용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489A
KR20100083489A KR1020090002891A KR20090002891A KR20100083489A KR 20100083489 A KR20100083489 A KR 20100083489A KR 1020090002891 A KR1020090002891 A KR 1020090002891A KR 20090002891 A KR20090002891 A KR 20090002891A KR 20100083489 A KR20100083489 A KR 20100083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helicopter
aircraft
absorbing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모
김규영
김아영
조범동
Original Assignee
김아영
김규영
김준모
조범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아영, 김규영, 김준모, 조범동 filed Critical 김아영
Priority to KR1020090002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3489A/ko
Publication of KR20100083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4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5/00Emergency apparatus 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19/2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 B60R19/205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inflatable in the direction of an obstacle upon impending impact, e.g. usin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4Floats
    • B64C25/56Floats 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06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025/325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specially adapted for heli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201/00Airbags mounted in aircraft for any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리콥터 등 항공기의 비상착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헬리콥터가 부득이 비상착륙을 해야하는 경우 헬리곱터 아래에 장착된 비상용 에어백을 사용하여 비상랜딩시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시켜주고, 나아가 해상에 비상랜딩하게 되는 경우 부력을 발생시켜 구조대가 도착할 때까지 기체의 침몰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는 충격흡수용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격흡수용 에어백 {The Airbag for mechanism}
본 발명은 충격흡수용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헬리콥터 등 항공기의 비상 착륙 시 동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충격 흡수용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기존 에어백과 갖는 차이점은 사람이 아닌 기체 등 기계의 보호를 위하여 적용된다는 점에 있으며, MAV, 차량, 선박 등 다양한 기계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다른 항공기와 다르게 회전익기에 해당하는 헬리콥터의 경우 구조적 특성 및 사용용도의 특성상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헬리콥터는 구조활동, 소화작업, 정찰, 취재, 군용 등의 용도로 사용되어 악천후에도 운항을 강행하는 경우가 잦고, 메인 로터가 회전하면서 동시에 양역을 발생시켜야하며, 테일로터가 메인 로터에 의하여 발생하는 동체의 회전력을 상쇄 시켜주어야 하는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헬리콥터는 다수의 엔진을 장착하고 비행하는 일반적인 중항공기의 경우처럼 엔진이 고장나는 경우 대체 엔진을 사용하여 비상착륙을 하거나 연료가 부족한 경우 활공하여 인근 활주로에 착륙하거나 하는 등의 대응을 하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기계적 결함도 추락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에어백의 경우 충격흡수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탑승자의 2차적인 안전을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탑승자가 타고 있는 구조물이 심한 충격을 받는 경우 기존의 에어백은 아무런 의미가 없게 된다. 항공 사고의 경우 사고시 동체가 심한 손상을 입게 되기 때문에 동일한 이유에서 에어백을 사용하지 않아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헬리콥터 등에 장착하여 비상시 동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동체와 내부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해상에 비상착륙하는 경우 부력을 발생시켜 동체의 침몰을 예방하여 동체와 내부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헬리콥터 등에 장착하여 비상상황에서 예측되는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사전에 에어백을 부풀려서 헬리콥터 등 동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동체 및 동체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해상에 비상착륙하는 경우 에어백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력을 이용하여 동체의 침몰을 예방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용 에어백은 헬리콥터 등에 장착하여 비상착륙 등으로 인하여 동체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하고, 동체 및 동체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 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해상에 비상착륙하는 경우 에어백을 부풀려서 부력을 발생시켜 동체의 침몰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헬리콥터 등 항공기뿐만 아니라 MAV, 차량, 선박 등에도 장착하여 비상상황에서 외부적 충격을 흡수하고, 부력을 발생시키는 상기에 언급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충격흡수용 에어백은, 에어백(1a: 평상시, 2a: 팽창시)과 에어백 팽창여부를 결정하는 센서(1b)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에어백이 장착된 헬리콥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비상시 충격흡수용 에어백을 팽창시킨 헬리콥터의 사시도이다.
도1은 충격흡수용 에어백이 장착된 평상시 모습으로 팽창되지 않은 상태의 에어백(1a)과 에어백 팽창여부를 결정하는 센서(1b)로 구성되어 있다. 팽창되지 않은 상태의 에어백(1a)은 헬리콥터 등 동체아래의 내부 혹은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장착된다. 에어백 팽창여부를 결정하는 센서(1b)는 지상근접여부와 수직이동속도를 감지하여 헬리콥터 등 본 충격흡수용 에어백이 장착된 항공기가 비정상적으로 빠른 속도로 하강하여 지상에 근접하는 경우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역할을 한다. GPWS(지상근접 경고시스템)와 VVI(수직속도계)가 장착된 항공기의 경우 추가적으로 센서(1b)를 설치하지 않고 기 장착된 GPWS와 VVI의 정보를 이용하여 항공기가 비정상적으로 빠른 속도로 하강하여 지상에 근접하는지를 파악하여 에어백 팽창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GPWS와 VVI가 장착되지 않은 항공기에 센서(1b)를 설치하지 않고 본 충격흡수용 에어백을 설치하는 경우 조종사의 판단에 의하여 에어백 팽창여부를 결장할 수 있도록 조종사가 에어백 팽창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스위치를 설치한다.
도2는 비상시 충격흡수용 에어백을 팽창시킨 모습으로 흔히 지면 또는 해수면과 우선충돌하게 되는 동체 아래쪽에서 에어백이 팽창한다. 사고에 따라서 동체의 측면 또는 윗면이 우선적으로 충돌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다수의 사고에서 헬리콥터 동체 아래쪽이 지면과 우선적으로 충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헬리콥터의 동체 측면과 상단에도 충격흡수를 위한 각각의 에어백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지만 이 경우 헬리콥터의 전체적인 무게증가로 인한 효율성저하, 비상상황에서 내부 탑승자의 비상탈출, 조종사의 비상운전 등을 위한 시야확보의 곤란, 비상착륙 후 헬리콥터 등 동체로부터 탑승자의 비상탈출의 장애물 형성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물론 헬리콥터 등 동체하부에 본 발명인 충격흡수용 에어백을 장착하는 경우 동체무게가 약간 증가하여 발생하는 효율성저하가 있을 수 있지만 헬리콥터의 경우처럼 비상착륙이 흔히 발생하는 경우 본 발명을 적용하여 발생하는 효용이 훨씬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팽창된 에어백은 팽창된 형태를 상당시간 유지한다. 기존의 자동차에어백의 경우처럼 탑승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에어백에 비하여 본 발명의 충격흡수용 에어백은 더 큰 외부적 충격을 받게되며, 비상착륙 후 추가적인 추락이 발생하는 경우 추가적인 외부적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해상에 비상착륙하는 경우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부력을 발생시켜 헬리콥터 등 동체의 침몰을 방지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충격흡수용 에어백을 헬리콥터에 장착한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 장착한 충격흡수용 에어백을 팽창시킨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a 팽창되지 않은 상태의 에어백과 케이스
1b 에어백의 팽창여부를 결정하는 센서
2a 팽창된 에어백

Claims (3)

  1. 헬리콥터 등 항공기 및 차량, 선박 등에 가해지는 외부적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용 에어백으로서,
    비상시 헬리콥터 등 항공기 및 차량, 선박 등에 가해지는 외부적 충격을 흡수하는 에어백과 에어백의 팽창여부를 결정하는 센서 또는 조종사 등 내부 탑승자가 에어백을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작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에어백.
  2. 헬리콥터 등 항공기에 가해지는 외부적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용 에어백으로서,
    비상시 헬리콥터 등 항공기에 가해지는 외부적 충격을 흡수하는 에어백과 에어백의 팽창여부를 결정하는 센서로 구성되며 이때 센서는 헬리콥터 등 항공기의 지상근접정도와 수직속도를 인지하여 하강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고, 지상과 근접한 경우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에어백.
  3. 헬리콥터 등 항공기에 가해지는 외부적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용 에어백으로서,
    비상시 헬리콥터 등 항공기에 가해지는 외부적 충격을 흡수하는 에어백과 에어백의 팽창여부를 결정하는 센서로 구성되며 이때 센서는 GPWS(지상근접 경고시스 템)와 VVI(수직속도계)로부터 정보를 받아 헬리콥터 등 항공기의 지상근접정도와 수직속도를 인지하여 하강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고, 지상과 근접한 경우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에어백.
KR1020090002891A 2009-01-14 2009-01-14 충격흡수용 에어백 KR201000834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891A KR20100083489A (ko) 2009-01-14 2009-01-14 충격흡수용 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891A KR20100083489A (ko) 2009-01-14 2009-01-14 충격흡수용 에어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489A true KR20100083489A (ko) 2010-07-22

Family

ID=42643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891A KR20100083489A (ko) 2009-01-14 2009-01-14 충격흡수용 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34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950B1 (ko) 2021-04-21 2021-07-13 주식회사 위젠텍에어로스페이스 회전익 항공기용 에어백
CN114572388A (zh) * 2022-02-21 2022-06-03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带限位功能的直升机应急漂浮系统及工作方法
KR102633171B1 (ko) * 2022-10-25 2024-02-05 김현수 동체, 날개 및 이륙과 착륙을 위한 복수의 랜딩기어를 갖는 경비행기의 동체 비상 부양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950B1 (ko) 2021-04-21 2021-07-13 주식회사 위젠텍에어로스페이스 회전익 항공기용 에어백
CN114572388A (zh) * 2022-02-21 2022-06-03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带限位功能的直升机应急漂浮系统及工作方法
CN114572388B (zh) * 2022-02-21 2024-03-29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带限位功能的直升机应急漂浮系统及工作方法
KR102633171B1 (ko) * 2022-10-25 2024-02-05 김현수 동체, 날개 및 이륙과 착륙을 위한 복수의 랜딩기어를 갖는 경비행기의 동체 비상 부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2001B2 (en) Collision air bag and flotation system
US5992794A (en) External airbag protection system for helicopters
EP1280699B1 (en) An aircraft with a detachable passenger escape cabin and an aircraft with airbags
US8474753B2 (en) Aircraft occupant protection system
JP3522371B2 (ja) 安全航空機
US20120101666A1 (en) Aircraft Occupant Protection System
CN102481980B (zh) 飞机乘员保护系统
CN102470921B (zh) 飞行器乘员保护系统
CN210707913U (zh) 一种置于座椅内的直升机安全气囊系统
KR20100083489A (ko) 충격흡수용 에어백
CN212556783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无人机
US10843651B2 (en) Monument mounted airbag
EP3805099B1 (en) Emergency landing device
RU2102289C1 (ru) Способ катапультирования и катапультируемое кресло
AU2001214072B2 (en) An aircraft with a detachable passenger escape cabin and an aircraft with airbags
RU2803165C1 (ru) Устройство безопасного приземления вертолёта при аварии
CN110588992A (zh) 一种置于座椅内的直升机安全气囊系统
KR102276950B1 (ko) 회전익 항공기용 에어백
CA2403158C (en) An aircraft with a detachable passenger escape cabin and an aircraft with airbags
CN111038709B (zh) 一种直升机安全气囊触发方法及其装置
CN205168812U (zh) 一种应用于救生艇的安全气囊系统
JP2023079702A (ja) 転落・墜落時事故防止用エアバッグ
KR20050109279A (ko) 항공기 기체용 낙하산. 에어백
JP2004051070A (ja) 航空機の墜落、不時着救援設備
CN115709622A (zh) 飞行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