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518A - 드럼세탁기 및 그 건조유닛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 및 그 건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518A
KR20100082518A KR1020090001856A KR20090001856A KR20100082518A KR 20100082518 A KR20100082518 A KR 20100082518A KR 1020090001856 A KR1020090001856 A KR 1020090001856A KR 20090001856 A KR20090001856 A KR 20090001856A KR 20100082518 A KR20100082518 A KR 20100082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shing machine
thermostat
heater
drum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7641B1 (ko
Inventor
이중희
김형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641B1/ko
Priority to EP09161466.9A priority patent/EP2206821B1/en
Publication of KR20100082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4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blowers or f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유닛의 하우징에 서머스탯을 설치하여 히터의 온도를 민감하게 감지하는 드럼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건조유닛을 포함하는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유닛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열을 발산하는 히터와, 상기 하우징에 밀착 설치되고 전도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 일면의 온도를 감지하는 서머스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럼세탁기 및 그 건조유닛{Drum washing machine and Drying unit thereof}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 및 그 건조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히터의 온도를 민감하게 감지하여 히터 과열에 의한 화재 발생의 가능성을 저감하도록 하는 드럼세탁기 및 그 건조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세탁기 본체의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드럼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세탁물이 세탁수와 함께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올려진 후에 낙하하게 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이러한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드럼은 세탁수를 수용하기 위한 터브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터브의 전면에는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물을 넣거나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드럼세탁기에는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건조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유닛은 그 양단에 공기 흡입구와 열풍 배출구가 마련되며 드럼과 연통되도록 터브의 상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히터를 구비한다. 따라서, 드럼의 회전에 의해 수행되는 세탁행정과 탈수행 정을 통하여 드럼에 담겨진 세탁물의 세탁이 완료되게 되면 건조유닛이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즉, 하우징에 설치된 히터가 작동하여 공기 흡입구를 통해 드럼의 내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열풍으로 바꾸어서 다시 열풍 배출구를 통해 드럼으로 보내는 순환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드럼에 담겨진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한편, 히터의 일측에는 드럼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머스탯이 장착된다. 서머스탯에 의하여 드럼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적절히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히터의 온도를 민감하게 감지하여 히터 과열에 의한 화재 발생의 가능성을 저감하도록 하는 드럼세탁기 및 그 건조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건조유닛을 포함하는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유닛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열을 발산하는 히터와, 상기 하우징에 밀착 설치되고 전도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 일면의 온도를 감지하는 서머스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머스탯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에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은 하측에 마련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공기가 유동하도록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서머스탯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조립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머스탯은 상기 세탁기 본체와의 간섭이 적게 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단차지게 절곡되는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및 제2하우징은 각각 상기 히터가 안착되는 제1 및 제2덮개부와, 상기 제1 및 제2덮개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및 제2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머스탯은 상기 히터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테두리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한, 제1테두리부에는 상기 서머스탯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제2테두리부에는 상기 서머스탯이 수용되도록 일측으로 패인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드럼세탁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드럼과 연통되게 배치되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 일면은 대류에 의하여 상기 히터의 열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머스탯은 상기 하우징의 테두리부에 끼워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의 과열이 방지되게 상기 히터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전류를 차단하는 바이메탈부와, 상기 바이메탈부에서 상기 히터에 연결 가능하게 설치된 터미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부가 상기 테두리부의 외부에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를 다른 측면에서 본다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과 연통되게 배치되는 건조하우징과, 상기 건조하우징의 내부에서 열풍이 생성되게 하는 히터와, 상기 건조하우징의 일면에 밀착 체결되어 상기 히터의 과열여부를 감지하는 서머스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건조하우징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서머스탯은 전도에 의하여 상기 건조하우징 일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건조하우징의 테두리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은 제1 및 제2하우징이 서로 조립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서머스탯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이 조립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이 조립되는 부위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서머스탯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이 조립되는 부위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서머스탯이 수용되도록 일측으로 패인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건조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고온의 열을 발산하는 히터와, 상기 하우징 일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히터의 과열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밀착 설치되는 서머스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서머스탯은 전도에 의한 열전달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 일면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대략 외관을 형성하는 세탁기 본체(100)와, 세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세탁수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터브(110)와, 터브(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120)과, 상기 드럼(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브(110)와 드럼(120)의 전면부는 드럼(120)의 내부로 세탁물을 넣거나 드럼(120)에 담겨진 세탁물을 꺼낼 수 있도록 개방되며, 세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터브(110)와 드럼(120)의 전면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40)가 힌지 결합된다.
드럼(120)의 내주면에는 리프터(121)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드럼(120)이 회전함에 따라 세탁물과 세탁수를 상부로 끌어올린 후에 일정 높이에서 낙하시켜서 세탁물이 세탁되도록 한다.
세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기 위한 급수호스(150)와 공급되는 세탁수에 세제가 혼합되도록 하기 위한 세제함(160)이 설치되며, 세탁기 본체(100)의 바닥에는 세탁기 본체(100)의 외부로 세탁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펌프(170)와 배수호스(180)가 설치된다.
터브(110)의 상부에는 드럼(120)에 담겨진 세탁물에 고온의 공기를 불어 넣어서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유닛(200)이 설치된다. 건조유닛(200)은 그 양단부가 터브(110)의 전부와 후부에 마련된 출입구(110a,110b)에 연결되어서 드럼(120)과 연통되게 배치되어서 드럼(120) 내부의 공기가 건조유닛(200)을 통과함에 따라 고온의 공기가 되도록 한다.
터브(110)의 후방에는 응축덕트(111)가 설치된다. 응축덕트(111)에는 드럼(120)을 통과하여 세탁물로부터 발산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고온의 공기를 냉 각시켜서 습도가 낮은 저온의 공기로 만들기 위한 냉각장치(112)가 배치된다. 따라서, 세탁이 완료되면 드럼(120)을 저속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건조유닛(200)을 작동시켜서, 드럼(120) 내부의 공기가 출입구(110a,110b)들을 통해 드럼(120)과 건조유닛(200)을 따라 순환하게 하여서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세탁물로부터 발산되어 공기 중에 포함되는 다량의 수분은 냉각장치(112)을 통해 분사되는 물에 의해 응축되어서 습도가 낮은 저온의 공기가 건조유닛(200)으로 유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조유닛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유닛(200)은 양단부가 터브(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 드럼(120)과 연통되는 하우징(300)과, 하우징(300)의 일측 단부에 장착되는 팬 어셈블리(400)와, 하우징(3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고온의 열을 발생하는 히터(500)와, 히터(500)가 설정온도 이상 오르면 히터(500)의 전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우징(300)에 밀착 설치되는 서머스탯(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300)은 드럼(120)과 함께 폐회로를 형성하여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건조유닛(200)의 외관을 형성한다. 하우징(300)은 열전달이 우수한 금속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stainless steel)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인리스에는 STS430이 사용되어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300)은 하측에 마련되는 제1하우징(310)과, 제1하우징(310)의 상측에 안착되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320)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310)과 제2하우징(320)은 터브(110)와 연통될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된다. 제1하우징(310)과 제2하우징(320)의 사이에는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통로(300a)가 형성된다. 하우징(300)의 내부에는 이러한 통로(300a)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1하우징(310)의 제1덮개부(311)와 제2하우징(320)의 제2덮개부(321)가 소정공간(300a)을 형성하면서 결합된다.
제1덮개부(311)는 일측 단부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팬 안착부(313)가 형성된다. 팬 안착부(313)의 바닥에는 소정 크기로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3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덮개부(311)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측면덮개부(311a)로 연장되는데, 측면덮개부(311a)의 가장자리에는 제1테두리부(312)가 형성된다. 제1테두리부(312)에는 후술하는 서머스탯(6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패인 홈(31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덮개부(321)의 가장자리에는 제2테두리부(322)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2테두리부(322)는 제1테두리부(312)와 나사 또는 그 이외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하우징(300)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제2테두리부(322)는 제2덮개부(321)에서 높이차를 가지고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며, 이러한 제2테두리부(322)에는 서머스탯(6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홀(322a)이 형성된다.
팬 어셈블리(400)는 공기가 축방향으로 유입되어 반경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팬(410)과, 송풍팬(410)의 상측에 위치되어 송풍팬(410)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430)와, 송풍팬(410)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에어 가이 드(420)와, 에어 가이드(420)의 상부면에서 소정 높이와 직경으로 돌출되어 팬 모터(430)를 수용하는 모터 하우징(300)과, 모터 하우징(30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팬 모터(430)를 지지하는 모터 마운트(440)로 이루어진다.
히터(500)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만들어져서 하우징(300) 내부의 통로에서 전체 폭에 걸쳐서 배치된다. 이러한 히터(500)는 전류가 흐르는 전선이 연결되는 단자부(510)와, 단자부(510)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어 공기 누설을 방지하는 히터 실(520)과, 단자부(510)에서 소정직경과 길이를 가지고 다수 회 절곡 형성되는 발열부(530)로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 700은 제1하우징(310)의 타측 단부에 장착되어 건조유닛(200)이 터브(110)와 연결되도록 하는 결합부재이며, 미설명부호 315는 제1하우징(310)의 측면덮개부(311a)에 형성되어 히터 실(520)이 삽입되도록 하는 히터 실 안착홈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건조유닛(200)은 먼저, 건조 과정이 시작되면 상기 팬 모터(430)로 전원이 인가되어 송풍팬(410)이 회전하게 되고, 히터(500)에 전원이 인가되어 고온으로 가열된다. 그리고, 송풍팬(410)에 의하여 드럼(120) 내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되는 공기는 하우징(300) 내부로 유입되어 히터(500)와 열교환하여 고온으로 가열된다. 그리고, 고온으로 가열된 공기는 결합부재(700)를 통하여 터브(11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터브(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드럼(120) 내부의 세탁물에 스며 있는 수분을 증발시켜 세탁물이 건조되도록 한다.
그리고, 하우징(300)의 테두리부(312,322)에는 서머스탯(600)이 장착되어 건조유닛(200)의 내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서는 두 개의 서머스탯(600)이 직렬방식으로 연결된 구성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하나의 서머스탯(600)만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건조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건조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서머스탯(600)은 하우징(300)의 제1 및 제2테두리부(312,322)에 끼워지는 몸체부(610)와, 몸체부(610)의 내측에 설치되어 히터(500)의 과열이 방지되도록 히터(500)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전류를 차단하는 바이메탈부(620)와, 바이메탈부(620)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히터(500) 및 전원(미도시)에 연결 가능하게 설치된 터미널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610)는 히터(500)에 의해 가열된 하우징(300)의 온도를 전도(conduction)에 의한 열전달 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300)에 밀착 설치된다. 즉, 하우징(300)의 내부에는 열을 발산하는 히터(500)가 구비되는데, 서머스탯(600)은 하우징(300)에 밀착 설치되어 히터(500)의 온도를 감지하므로 히터(500)가 설정 온도 이상 오르면 히터(500)의 전류를 신속하고 민감하게 차단할 수 있다.
몸체부(610)는 하우징(300)의 제1 및 제2테두리부(322)에 결합되는데, 이러한 몸체부(610)는 제2테두리부(322)의 홀(322a)을 통과하여 제1테두리부(312)의 홈(312a)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테두리부(312)의 홈(312a)과 제2테두리부(322)의 홀(322a)은 하우징(300) 내부에 마련된 측면덮개부(311a)에서 소정거리(L)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전도는 고체 물질을 열전달 매체로 하여 열이 이동하는 현상으로서 열전달 매체가 고체의 금속재질로 된 경우에 열전도율(Kcal/℃)이 대류(convection)에 비해 훨씬 높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열전달 매체로 스테인레스를 이용하면 20℃에서의 열전도율이 20(Kcal/℃)이 됨에 반하여, 열전달 매체로 공기를 이용하면 20℃에서의 열전도율이 0.026(Kcal/℃)에 불과하게 된다. 따라서, 열전달 매체를 고체의 금속재질로 하여 전도에 의한 열전달 방식(Heat transfer mechanism)을 이용하면 신속하고 민감하게 열이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우징(300)에 밀착 설치된 서머스탯(600)이 하우징(300)의 온도를 전도에 의한 열전달 방식으로 민감하게 감지하므로 히터(500)의 과열에 의한 화재 발생의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터미널부(630)는 전원에 결합되는 제1터미널부(630)와, 히터(500)의 어느 하나의 단자부(510)에 연결되는 제2터미널부(630)로 구성된다. 터미널부(630)는 서머스탯(600)의 제작, 운반, 장착이 용이하도록 같은 길이로 가급적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머스탯(600)은 히터(500)의 단자부(510)와 인접한 위치에서 하우징(300)의 제1 및 제2테두리부(312,322)에 손쉽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히터(500)의 단자부(510)와 터미널부(630)의 꺽임 현상이 최소로 된 상태에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다음 이러한 건조유닛을 갖는 드럼세탁기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본다.
송풍팬(410)과 히터(500)가 작동하게 되면 공기 유입구(314)를 통해 드럼(120) 내부의 공기가 하우징(300)으로 유입되어 히터(500)가 마련된 통로에 골고루 분산 안내되어서 균일한 온도로 바뀌게 된다. 그리고, 결합부재(700)를 통해 다시 드럼(120)로 보내져서 드럼(120)에 담겨진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하우징(300)의 표면에서는 히터(500)의 열을 전달받게 되며, 서머스탯(600)은 전도에 의한 열전달 방식으로 하우징(300) 표면의 온도를 신속하고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므로, 히터(500)의 과열에 의한 화재 발생의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머스탯(600)이 제2덮개부(321)에서 단차를 가지고 하측으로 절곡된 제2테두리부(322)에 설치됨에 따라서 세탁기 본체(100)와 일정한 이격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세탁기 본체(100)와의 간섭을 적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컴팩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서머스탯(600)이 하우징(500)이 조립되는 부위에 설치되므로 서머스탯(600)을 하우징(500)의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별도의 틈새가 불필요하게 되어 하우징 (500)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하우징(500)의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이러한 유출에 따라서 히터(500)의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게 되어 발생할 수 있는 화재발생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건조유닛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에 서머스탯을 밀착되게 설치함으로써 전도에 의한 열전달방식 으로 히터의 온도를 민감하게 감지하므로 히터의 과열에 의한 화재 발생의 가능성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조유닛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건조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건조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세탁기 본체 110...터브
120...드럼 200...건조유닛
300...하우징 310...제1하우징
320...제2하우징 400...팬 어셈블리
500...히터 600...서머스탯

Claims (16)

  1. 건조유닛을 포함하는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유닛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열을 발산하는 히터와, 상기 하우징에 밀착 설치되고 전도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 일면의 온도를 감지하는 서머스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머스탯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에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측에 마련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공기가 유동하도록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서머스탯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조립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머스탯은 상기 세탁기 본체와의 간섭이 적게 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단차지게 절곡되는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은 각각 상기 히터가 안착되는 제1 및 제2덮개부와, 상기 제1 및 제2덮개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및 제2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머스탯은 상기 히터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테두리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테두리부에는 상기 서머스탯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제2테두리부에는 상기 서머스탯이 수용되도록 일측으로 패인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세탁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드럼과 연통되게 배치되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일면은 대류에 의하여 상기 히터의 열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드럼세탁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머스탯은 상기 하우징의 테두리부에 끼워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의 과열이 방지되게 상기 히터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전류를 차단하는 바이메탈부와, 상기 바이메탈부에서 상기 히터에 연결 가능하게 설치된 터미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가 상기 테두리부의 외부에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11.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과 연통되게 배치되는 건조하우징과,
    상기 건조하우징의 내부에서 열풍이 생성되게 하는 히터와,
    상기 건조하우징의 일면에 밀착 체결되어 상기 히터의 과열여부를 감지하는 서머스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우징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서머스탯은 전도에 의하여 상기 건조하우징 일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건조하우징의 테두리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및 제2하우징이 서로 조립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서머스탯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이 조립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조립되는 부위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서머스탯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이 조립되는 부위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서머스탯이 수용되도록 일측으로 패인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15.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고온의 열을 발산하는 히터와,
    상기 하우징 일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히터의 과열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밀착 설치되는 서머스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건조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서머스탯은 전도에 의한 열전달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 일면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건조유닛.
KR1020090001856A 2009-01-09 2009-01-09 드럼세탁기 및 그 건조유닛 KR101537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856A KR101537641B1 (ko) 2009-01-09 2009-01-09 드럼세탁기 및 그 건조유닛
EP09161466.9A EP2206821B1 (en) 2009-01-09 2009-05-29 Drum washing machine and drying unit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856A KR101537641B1 (ko) 2009-01-09 2009-01-09 드럼세탁기 및 그 건조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518A true KR20100082518A (ko) 2010-07-19
KR101537641B1 KR101537641B1 (ko) 2015-07-20

Family

ID=42123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856A KR101537641B1 (ko) 2009-01-09 2009-01-09 드럼세탁기 및 그 건조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206821B1 (ko)
KR (1) KR1015376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0561A (ko) * 2013-10-07 2015-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04750A1 (en) * 2011-12-16 2013-06-1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usehold laundry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101555760B1 (ko) 2013-12-23 2015-10-0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벽걸이 세탁기의 건조장치
KR20150081602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951393B (zh) * 2016-05-31 2018-09-18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干衣机或洗干一体机
US11453973B2 (en) * 2019-11-14 2022-09-2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Heater assembly for an appliance having one or more thermostats
US20220145507A1 (en) 2020-11-06 2022-05-12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Heating The Clothes Load In A Tumbling Combination Washer/Dry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3537A (en) * 1956-04-19 1959-02-17 Gen Electric Combination washer and dryer with condenser means
US2936527A (en) * 1957-02-27 1960-05-17 Easy Washing Machine Company L Clothes drier
ES242354Y (es) * 1979-03-16 1979-11-16 Dispositivo de secado para maquinas lavadoras de ropa.
JP2005034163A (ja) * 2003-05-21 2005-02-10 Sanyo Electric Co Ltd 衣類乾燥機能を有する洗濯機
US7204040B2 (en) 2004-02-27 2007-04-17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supplying hot air in drum type washer with dry function
KR101036464B1 (ko) * 2004-02-27 201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건조덕트
KR20050101738A (ko) * 2004-04-20 2005-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100599042B1 (ko) * 2004-12-17 200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0561A (ko) * 2013-10-07 2015-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6821B1 (en) 2019-01-02
EP2206821A1 (en) 2010-07-14
KR101537641B1 (ko) 201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449B1 (ko) 세탁기
JP4880689B2 (ja) 洗濯機及びこれに装着される乾燥ダクトアセンブリ
JP5192586B2 (ja) 衣類処理装置
KR20100082518A (ko) 드럼세탁기 및 그 건조유닛
US8176755B2 (en) Heating part and laundry treat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196984B1 (ko)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및 이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어셈블리
US20080289212A1 (en) Clothes Dryer
US20060016092A1 (en) Washing machine or drying machine having drying duct with heater
KR101829833B1 (ko) 세탁기
JP2006021028A (ja) ドラム洗濯機及び乾燥装置
US9869053B2 (en) Heater assembly for an appliance
KR101207626B1 (ko)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및 이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어셈블리
KR101229200B1 (ko)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및 이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어셈블리
KR101207601B1 (ko)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및 이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어셈블리
KR101207747B1 (ko)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및 이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어셈블리
KR20040080138A (ko) 드럼세탁기
KR101443647B1 (ko) 세탁기 제어방법
KR20040013276A (ko) 가전제품용 히터의 코일 배치 구조
KR100599042B1 (ko) 의류건조기
RU2419697C2 (ru) Узел сушильного короба и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с таким узлом
KR101074704B1 (ko) 드럼 세탁기의 온도 휴즈 설치장치
KR100601435B1 (ko) 드럼 세탁기 건조 덕트의 온도 휴즈 설치구조
JP2021029680A (ja) 洗濯乾燥機
JP2004188064A (ja) 洗濯乾燥機
KR20100052780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