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342A -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342A
KR20100082342A KR1020107009082A KR20107009082A KR20100082342A KR 20100082342 A KR20100082342 A KR 20100082342A KR 1020107009082 A KR1020107009082 A KR 1020107009082A KR 20107009082 A KR20107009082 A KR 20107009082A KR 20100082342 A KR20100082342 A KR 20100082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multimedia content
multimedia
networks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8756B1 (ko
Inventor
장 슈라키
헝 응우엔
Original Assignee
장 슈라키
헝 응우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 슈라키, 헝 응우엔 filed Critical 장 슈라키
Publication of KR20100082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1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digital transmiss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SMS or ISDN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3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8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5Control of image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apparatus, e.g. signalling capability
    • H04N2201/0025Adapting an image communication to a non-image communication or vice versa, e.g. data rate-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기존(existing)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protocol)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multimedia content)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은 변환(transformation) 장치(211) 및 재구성(reconstruction) 장치(251)를 포함한다. 상기 변환 장치(211)는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protocol)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후속(subsequent)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은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나타낸다. 상기 재구성 장치(251)는 상기 사운드 파일이 송신된 후에, 상기 사운드 파일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재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S AND SYSTEMS FOR TRANSFERRING MULTIMEDIA CONTENT USING AN EXISTING DIGITAL SOUND TRANSFER PROTOCOL}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multimedia)에 관한 것이다. 특히, 기존(existing)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protocol)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비디오 콘텐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트(multimedia content)의 전송에 관한 유럽의 제2 세대 모바일 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및 미국의 개인용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 PCS)는 현재 이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맞게 되는 어려움으로 인해 제한된다.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은 전화 네트워크(telephony network)를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하나의 해결 방안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하나 이상의 상당한 단점을 포함한다. 즉, 각 사업자(operator)에 대한 그리고 결과적으로, 클라이언트(client)에 대한 비용이 매우 높다.
따라서, UMTS는 너무 비용이 많이 든다. 이것이 모바일 전화 네트워크를 거쳐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더 저렴한 대안을 찾기 위해 모바일 전화의 사업자에 동기를 부여하는 주된 이유이다.
종래 기술의 이러한 문제점 및 단점은, 기존(existing)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protocol)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으로 직결되는 본 발명에 의해 다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multimedia content)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변환(transformation) 장치 및 재구성(reconstruction)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변환 장치는 기존(existing)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protocol)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후속(subsequent)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은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나타낸다. 상기 재구성 장치는 상기 사운드 파일이 송신된 후에, 상기 사운드 파일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재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후속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은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나타낸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운드 파일이 송신된 후에, 상기 사운드 파일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로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가지는 컴퓨터로 사용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후속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나타내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기 위한 컴퓨터로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은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나타낸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사운드 파일이 송신된 후에, 상기 사운드 파일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재구성하기 위한 컴퓨터로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송신 장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및 재구성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변환 장치는 후속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은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나타낸다.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는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가진다. 상기 재구성 장치는 상기 사운드 파일이 송신된 후에, 상기 사운드 파일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재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사운드 파일은 상기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쳐 상기 변환 장치에서 상기 재구성 장치로 송신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은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나타낸다.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상기 네트워크의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쳐 상기 사운드 파일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사운드 파일이 송신된 후에, 상기 사운드 파일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 특징 및 장점은 첨부하는 도면과 관련하여 판독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후술하는 세부적인 기술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르면,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예시적인 도면에 따라 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컴퓨터 처리(processing) 시스템(10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일 예시적인 시스템(2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시스템(3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일 예시적인 시스템(400)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기 위한 일 예시적인 방법(500)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운드 파일로부터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구성하기 위한 일 예시적인 방법(600)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기존(existing)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protocol)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으로 직결된다.
본 기술은 본 발명을 설명한다. 따라서 당업자가 본 명세서에 명확하게 기술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여러 가지 배치를 고안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예 및 조건문(conditional language)은 독자가 본 발명 및 본 기술을 발전시키는데 발명자에 의해 기여된 개념을 이해하는 것을 돕는 교시(pedagogical)의 목적으로 의도되며, 이러한 특정 언급된 예시 및 조건에 한정이 없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정 예뿐 아니라, 본 발명의 원리, 측면, 및 실시예를 언급하는 모든 진술은 본 발명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더불어, 이러한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 아니라 미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에 상관없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개발된 임의의 구성요소(element) 모두를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제시된 블록도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비슷하게, 임의의 플로 차트(flow chart), 순서도, 상태 전이도(state transition diagram), 의사코드(pseudocode) 등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서 실질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processor)가 명백하게 도시되었든지 안되었든지 이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여러 가지 프로세스를 나타낸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여러 가지 구성요소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hardware)뿐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software)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의 사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단일 공유 프로세서에 의해,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컨트롤러(controller)"라는 용어의 분명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만을 언급하는 것이 아니고,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리드-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및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소를 제한없이, 내포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종래 및/또는 관습상(custom)의 다른 하드웨어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비슷하게, 도면에 도시된 임의의 스위치는 단지 개념적인 것이다. 이들의 기능은 프로그램 논리(program logic)의 동작을 통해. 전용 논리를 통해, 프로그램 제어(control) 및 전용 논리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통해, 또는 수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정 기술은 문맥으로부터 더 자세히 이해됨에 따라 구현자에 의해 선택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임의의 구성요소는 예컨대, a) 그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구성요소의 조합 또는 b) 그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조합된 펌웨어(firmware), 마이크로코드(microcode)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그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러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언급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이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법으로 조합되고 함께 부합된다는 사실에 근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수단은 본 명세서에 도시된 것과 균등하다고 여겨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one embodiment)" 또는 "실시예(an embodiment)"의 본 명세서의 언급은 실시예와 관련된 특정 특징, 구조, 특성 등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여러 군데에서 나타나는 "일 실시예에서(in one embodiment)" 또는 "실시예에서(in an embodiment)"라는 구의 나타남은 동일한 실시예를 필연적으로 모두 언급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및/또는" 및 "중의 하나 이상(at least one of)"이라는 용어의 사용 예컨대, "A 및/또는 B" 및 "A 및 B 중의 하나 이상"의 경우에는 첫 번째 나열된 선택 사항 (A)만의 선택, 또는 두 번째 나열된 선택 사항 (B)만의 선택, 또는 두 가지 선택 사항 (A 및 B) 모두의 선택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다른 예로서, "A, B, 및/또는 C" 및 "A, B, 및 C 중의 하나 이상"의 경우에는, 이러한 구는 첫 번째 나열된 선택 사항 (A)만의 선택, 또는 두 번째 나열된 선택 사항 (B)만의 선택, 또는 세 번째 나열된 선택 사항 (C)만의 선택, 또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나열된 선택 사항 (A 및 B)만의 선택, 또는 첫 번째 및 세 번째 나열된 사항 (A 및 C)만의 선택, 또는 두 번째 및 세 번째 나열된 선택 사항 (B 및 C)의 선택, 또는 세 가지 선택 사항 (A 및 B 및 C) 모두의 선택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당업자에 의해 명확한 바와 같이, 이는 많은 아이템(item)이 나열됨에 따라 확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사운드 파일의 한 가지 타입으로 WAV 파일의 사용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WAV 파일의 사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유지하면서 다른 타입의 디지털 사운드 파일이 사용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디지털 사운드 파일의 타입은 디지털 사운드 파일의 무손실(lossless) 타입이어서 사운드 파일이 생성된 곳으로부터 멀티미디어 파일에 포함된 원본(original) 콘텐트는 그 전체로서 보존될 수 있다. 따라서, WAV 파일의 경우에, 비PCM(non-PCM) 변조(modulation) 기술이 이러한 WAV 파일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무손실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펄스 부호 변조(Pulse Code Modulation; PCM) 변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multimedia)"라는 용어는 사용자에게 직접 감지되는 둘 이상의 상이한 타입의 미디어[예컨대, 보여지는 비디오 및/또는 데이터 및 들려지는 오디오, 대(versus), 예컨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사용자에 의해 보여지기 보다는 사용자에 의해 보여지는 데이터 상에서 동작할 수 있는 사이드(side)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이하 "다른 데이터"라 함)]를 포함하는 콘텐트 또는 파일을 말한다. 멀티미디어 파일은 이러한 다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변환 및 재구성 프로세스로 이러한 다른 데이터를 용이하게 다룰 수 있지만, "멀티미디어 파일"과 관련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멀티미디어라는 용어의 "다중(multi)" 측면은 사용자에게 직접 감지되는 둘 이상의 상이한 타입의 데이터의 변형으로 직결됨이 인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컨대, MPEG-2 및 MPEG-4 AVC 파일에 의해 표시되는, 동영상(movie)에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동영상은 유성(non-silent) 동영상의 경우에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및 오디오 컴포넌트를 가질 것이고 두 컴포넌트 모두가 사용자에 의해 직접 감지되기 때문이다. 비디오 컴포넌트 및 오디오 컴포넌트를 가지는 광고(advertisement)도 본 발명에 따른 사용에 특히 적합할 것이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으로 직결된다. 송신될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파일은 원래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비디오 시퀀스(video sequence)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임의의 후술하는 파일 포맷(file format) 즉, 오디오 비디오 인터리브(audio video interleave; AVI); 국제 표준화 기구/국제 전기 표준 회의(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ion; ISO/IEC) 동영상 전문가 그룹-1(Moving Picture Experts Group-1; MPEG-1) 표준; ISO/IEC MPEG-2 표준, 국제 통신 연합, 통신 영역(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Telecommunication Sector; ISU-T) H.263 표준안(recommendation); ISO/IEC MPEG-4 파트(Part) 2 어드밴스드 비디오 코딩(Advanced Video Coding; AVC) 표준(이하 "MPEG-4 파트 2 표준"이라 함); ISO/IEC MPEG-4 파트 10 어드밴스드 비디오 코딩(AVC) 표준/ITU-T H.264 표준안(이하 "MPEG-4 AVC 표준"이라 함)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미지(image)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임의의 후술하는 파일 포맷 즉, 정지 영상 전문가 그룹(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JPEG); JPG; JPE; JFIF; JIF; 비트맵(bitmap; BMP); 태그 기반 이미지 파일 포맷(tagged image file format; TIFF); 태그 기반 이미지 파일 포맷/전자 사진(tagged image file format/ electronic photography; TIFF/EP); 그래픽 교환 포맷(graphics interchange format; GIF); 이동식 네트워크 그래픽(portable network graphics; PNG)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데이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임의의 후술하는 파일 포맷 즉, 텍스트(text); RAR; 이동식 문서 포맷(portable document format; PDF); ZIP; ASCII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적인 개요가 기술될 것이다. 하지만,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 본 발명의 주어진 교시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을 유지하면서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양한 다른 실시예 및 변형을 고려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콘텐트는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상응하는 대표(representative) 이진 값(binary value)으로 변환하는 이진 변환 프로세스(binary conversion process)로 입력된다.
본 명세서의 아래의 세부 사항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이진 데이터는 변환(transformation)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디지털 사운드 파일로 변환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운드 파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WAV 파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WAV 파일은 이하 "FS"로 표시되는 변수[예컨대, 헤르츠(Hertz)의 측정 단위로]에 의해 나타내는 주파수 및 이하 "NBITS"로 표시되는 변수에 의해 나타내는 비트(bit)의 수를 가진다. WAV 파일은, 예컨대, 손실(lossy) 변조 포맷을 사용하는 WAV 파일, 무손실 변조 포맷[예컨대, 펄스 부호 변조(PCM)]을 사용하는 WAV 파일 등일 수 있다.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운드 파일로의 변환은 모든 타입의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하여 동일하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즉, 변환은 멀티미디어 파일의 성질(nature) 및 구조를 무시한다. 따라서, JPEG, MPEG-2 및 RAR 파일은 대표 이진 값을 얻기 위해 동일한 방식으로 판독된다. 특히, MPEG-2 표준 또는 MPEG-4 AVC 표준에 상응하는 파일의 경우에, 비디오 파트 및 오디오 파트 간의 동기화(synchronization)가 변환 동안에 변경되지 않고 보존된다.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에 상응하는 디지털 사운드를 포함하는 WAV 파일은 디지털 사운드를 실어 나르는데 사용되는 기존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목적지(destination)까지 송신될 것이다.
디지털 사운드를 가진 WAV 파일이 수신되면, 멀티미디어 콘텐트는 후술하는 본 명세서의 세부 사항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복구(recovery)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온전히 복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구된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품질은 이진 변환 전의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품질과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변환, 송신 및 재구성하는 무손실 방식을 제공한다. 물론, 이러한 무손실(absence of loss)은 사운드 파일과 관련된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변환 및 재구성에 관한 본 발명의 측면을 말하고, 예컨대, 본 발명에 따라 시스템에 입력되는 멀티미디어 콘텐트가 MPEG-4 AVC 표준에 따라 인코딩된(encoded) 파일의 경우처럼 이미 압축된 경우와 같이, 멀티미디어 콘텐트에 초기에 적용된 임의의 압축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컴퓨터 처리(processing) 시스템(10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컴퓨터 처리 시스템(100)은 다른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면, 컴퓨터 처리 시스템(100)은 모바일 전화에서 구현된다. 물론, 본 발명은 모바일 전화에서 구현된 컴퓨터 처리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면서 다른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tablet), 이-북(e-book)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유지하면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컴퓨터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장치의 종류의 단지 일부이다.
컴퓨터 처리 시스템(100)은 시스템 버스(104)를 통해 다른 컴포넌트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CPU)(102)를 포함한다. 리드 온리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106),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108), 디스플레이 어댑터(display adapter)(110), I/O 어댑터(112), 사용자 인터페이스(interface) 어댑터(114), 사운드 어댑터(170), 및 네트워크 어댑터(198)는 시스템 버스(104)로 연결되어 동작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16)는 디스플레이 어댑터(110)에 의해 시스템 버스(104)로 연결되어 동작한다. 저장 장치(예컨대, 자기 또는 광 디스크 저장 장치)(118)는 I/O 어댑터(112)에 의해 시스템 버스(104)로 연결되어 동작한다.
키보드(keyboard)(12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어댑터(114)에 의해 시스템 버스(104)로 연결되어 동작한다. 키보드(122)는 시스템(100)에 정보를 입력 및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물론, 컴퓨터 처리 시스템(100)은 입력 장치와 관련하여 오로지 키보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다른 입력 장치가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유지하면서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스피커(이하 "스피커")(185)는 사운드 어댑터(170)에 의해 시스템 버스(104)로 연결되어 동작한다.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모뎀(196)은 네트워크 어댑터(198)에 의해 시스템 버스(104)로 연결되어 동작한다. 모뎀(196)은 바람직하게는 무선(wireless) 모뎀이어서, 송신될 사운드 파일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이다.
컴퓨터 처리 시스템(100)의 구성요소 및 이러한 구성요소의 구성은 단지 예시적이며,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컴퓨터 처리 시스템의 구현은 상기 구성요소 및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 본 발명의 주어진 교시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을 유지하면서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와 상응하는 배치, 및 그 변형을 고려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사상을 유지하면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부가될 수 있으며/있거나, 구성요소의 상이한 구성이 존재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이 참조 번호 200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시된다.
시스템(200)은 변환 장치(211) 및 재구성 장치(251)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변환 장치(211)는 송신 장치(210)에 배치되고, 재구성 장치(251)는 수신 장치(250)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 장치(210) 및 수신 장치(250)는 개별 모바일 전화로 구현된다. 물론, 송신 장치(210) 및 수신 장치(250)의 구현은 오로지 모바일 전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따라서 다른 타입의 장치가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유지하면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타블렛, 이-북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유지하면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컴퓨터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장치의 종류의 단지 일부이다.
송신 장치(210) 및 재구성 장치(251) 간의 통신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이하 간단히 "네트워크"라 함)(280)를 거쳐 수행된다.
송신 장치(210) 및 수신 장치(250)가 개별 모바일 전화로 구현되는 경우에, 임의의 송신 장치(210) 및 수신 장치(250)는 카메라(262), 디스플레이(264), 및 스피커(26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수신 장치(210)의 카메라(262)는 멀티미디어 파일이 생성되는 비디오 시퀀스를 포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이러한 멀티미디어 파일은 MPEG-2 파일일 수 있다. 송신 장치(210)(예컨대, 모바일 전화)의 변환 장치(211)는 MPEG-2 파일을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수신 장치(250)의 재구성 장치(251)는 예컨대, 네트워크(280)의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네트워크(280)를 거쳐 사운드파일이 송신된 후에, 사운드 파일로부터 MPEG-2 파일을 재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수신 장치(250)의 디스플레이 장치(264)는 재구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예컨대, 재구성된 MPEG-2 파일)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비디오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수신 장치(250)의 스피커(266)는 재구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오디오 부분을 들을 수 있게 재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의 시스템(200)의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의 배치는 단지 예시적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 본 발명의 주어진 교시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을 유지하면서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와 상응하는 배치, 및 그 변형을 고려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사상을 유지하면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부가될 수 있으며/있거나, 구성요소의 상이한 구성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기술된 실시에에서 송신 장치(210)에 배치된 변환 장치(211) 및 수신 장치(250)에 배치된 재구성 장치(251)를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변환 장치(211)는 송신 장치(210)와 분리하여 배치될 수 있고, 재구성 장치(251)는 수신 장치(250)와 분리하여 배치될 수 있어서, 변환 장치(211) 및 재구성 장치(251)는 송신 장치(210) 및 수신 장치(250)와 관련하여 분리된 구성요소로서 구현된다. 이러한 경우에, 변환 장치(211)는 송신을 위해 변환된 멀티미디어 콘텐트(예컨대, WAV 파일)를 송신 장치(210)로 제공하는 기능과 함께 제공되고, 재구성 장치(251)는 수신 장치(250)로부터 변환된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수신하는 기능과 함께 제공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변환 장치(211)는 송신 장치(210)를 포함하는 장치(예컨대, 모바일 전화, PDA, 이-북 등)에 포함될 수 있고, 재구성 장치(251)는 수신 장치(250)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에 각각 포함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 본 발명의 주어진 교시에서, 본 발명의 사상을 유지하면서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른 변형 및 도 2의 구성요소의 구현이 당업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시스템이 참조 번호 300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시된다.
시스템(300)은 변환 장치(311) 및 재구성 장치(251)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변환 장치(311)는 송신 장치(310)에 배치되고, 재구성 장치(351)는 수신 장치(350)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 장치(310)는 멀티미디어 서버(server)로 구현되고 수신 장치(350)는 모바일 전화로 구현된다. 물론, 송신 장치(310) 및 수신 장치(350)의 구현은 오로지 서버 및 모바일 전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따라서 다른 타입의 장치가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유지하면서 사용될 수 있다.
송신 장치(310) 및 재구성 장치(351) 간의 통신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이하 간단히 "네트워크"라 함)(380)를 거쳐 수행된다.
수신 장치(350)가 모바일 전화로 구현되는 경우에, 수신 장치(350)는 디스플레이(364), 및 스피커(36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장치(350)는 카메라(362)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모바일 전화의 사용자는 예컨대, MPEG-2 파일로 표시된 동영상을 주문할 수 있다. 송신 장치(310)(예컨대, 서버)의 변환 장치(311)는 MPEG-2 파일을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수신 장치(350)의 재구성 장치(351)는 예컨대, 네트워크(380)의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네트워크(380)를 거쳐 사운드파일이 송신된 후에, 사운드 파일로부터 MPEG-2 파일을 재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수신 장치(350)의 디스플레이 장치(364)는 재구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예컨대, 재구성된 MPEG-2 파일)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비디오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수신 장치(350)의 스피커(366)는 재구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오디오 부분을 들을 수 있게 재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의 시스템(300)의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의 배치는 단지 예시적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 본 발명의 주어진 교시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을 유지하면서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와 상응하는 배치, 및 그 변형을 고려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사상을 유지하면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부가될 수 있으며/있거나, 구성요소의 상이한 구성이 존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이 참조 번호 400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시된다. 도 4의 방법(400)은 설명을 위해 도 2의 구성요소와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이는 도 3의 상응하는 구성요소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함이 인식되어야 한다.
단계(405)에서, 멀티미디어 파일,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대표(representative)는 변환 장치(211)로 입력된다. 일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은 예컨대, 데이터, 이미지, 및 비디오 중의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파일은 예컨대, 오디오 및 비디오의 조합일 수 있다.
단계(410)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은 변환 장치(211)를 사용하여 사운드 파일로 변환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운드 파일은 예컨대, WAV 파일일 수 있다.
단계(415)에서, 사운드 파일은 변환 장치(211)에서 송신 장치(210)로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2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기술된 바와 같이, 변환 장치(211)가 송신 장치(250)에 배치되면, 단계(415)는 단순히 예컨대, 버스 등을 거쳐 사운드 파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사운드 파일은 예컨대,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280)를 거쳐 송신 장치(210)에서 수신 장치(250)로 송신된다.
단계(425)에서, 수신 장치(250)에 의해 수신된 사운드 파일은 재구성 장치(251)로 제공된다.
단계(430)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은 재구성 장치(251)를 사용하여 사운드 파일로부터 재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재구성 장치(251)에 의해 재구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에 의해 표시된 멀티미디어 콘텐트는 변환 장치(211)에 의한 변환 전의 멀티미디어 콘텐트와 동일하다.
단계(435)에서, 재구성된 멀티미디어 파일의 콘텐트는 사용자에게 재생(예컨대, 디스플레이 또는 들을 수 있게 재생)된다.
변환 장치(211) 및 재구성 장치(251)의 기능은 본 명세서의 아래의 세부 사항에서 기술될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기 위한 위한 예시적인 방법이 참조 번호 500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도 4의 방법(400)의 단계(410)에 상응한다.
단계(505)에서, 멀티미디어 콘텐트 파일은 판독을 위해 열린다.
단계(510)에서, 이진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콘텐트 파일로부터 판독되고, "샘플(sample)" 및 "채널(channel)"으로 표시되는 차원(dimension)을 가진 행렬(matrix) Y에 기록된다. 차원 "샘플"은 행렬 Y의 행[line(row)]의 수를 나타내고, 차원 "채널"은 행렬 Y의 열(column)의 수를 나타낸다.
단계(515)에서, 행렬 Y가 벡터(vector)인지 여부가 결정된다. 벡터라면, 상기 방법은 단계(520)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방법은 단계(525)로 진행한다.
단계(520)에서, 행렬 Y는 열(column)이 되도록 강제된다.
단계(525)에서, 변수 "FS"[예컨대, 헤르츠(Hertz)로 명시되는]로 표시되는 샘플 레이트(sample rate) 및 이하 "NBITS"로 언급되는 변수로 표시되는 비트의 수를 사용하여 wavefile의 파일명을 가지는 사운드 파일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NBITS의 값은 8, 16, 24, 또는 32 중의 하나로 제한된다.
단계(530)에서, bytes_per_sample, total_sample, 및 total_bytes와 같은 변수가 계산된다. 일 실시예에서, 변수는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여기서 연산자 "/"는 나눗셈을 나타내고, 연산자 "*"는 곱셈을 나타내며, 연산자 "+"는 덧셈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또한, 단계(530)에서, 상이한 청크(chunk) 내의 바이트(byte)의 수가 riff_cksize, fmt_cksize, 및 data_cksize와 같은 변수와 관련하여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이한 청크 내의 바이트의 수는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Figure pct00002

단계(535)에서, WAV 파일은 파일 식별자(identifier)로 변수 "fid"를 기록하고 사용하기 위해 열린다.
단계(540)에서, 청크 필드(field) 구조가 준비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 청크는 하나 이상의 아래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3

일 실시예에서, 첫 번째 두 개의 필드(chunk.filename 및 chunk.fid)는 모든 청크에 대하여 동일하다.
단계(545)에서, RIFF 청크(청크 데이터가 아님)가 아래와 같이 기록된다.
Figure pct00004

단계(550)에서, WAV 서브청크(subchunk)(청크 데이터가 아님)가 아래와 같이 기록된다.
Figure pct00005

단계(555)에서, <fmt-ck> 청크(청크 데이터가 아님)가 아래와 같이 기록된다.
Figure pct00006

단계(560)에서, <wave format> 청크가 아래의 컴포넌트와 함께 아래와 같이 기록된다.
Figure pct00007

단계(565)에서, <data-ck> 청크가 아래와 같이 기록된다.
Figure pct00008

단계(570)에서, 웨이브 데이터(행렬 Y의 값)가 기록된다. 단계(570)는 웨이브파일을 획득하기 위해 통과될 <wave format> 구조를 포함함이 인식되어야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운드 파일로부터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구성하기 위한 위한 예시적인 방법이 참조 번호 600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600)은 도 4의 방법(400)의 단계(430)에 상응한다.
단계(605)에서, WAV 파일은 파일 식별자로 변수 fid를 사용하여 판독을 위해 열린다.
단계(610)에서, 제1 청크는 파일 식별자(fid)에 의해 특정된 현재 파일 위치로부터 검색함으로써 판독된다.
단계(615)에서, RIFF 파일은 웨이브 데이터 타입으로 확인된다.
단계(620)에서, 단계(610) 및 단계(615)는 <fmt-ck> 청크 및 WAV 서브청크를 획득하기 위해 반복된다.
단계(625)에서, <wave format> 청크가 하나 이상의 청크 구조 필드로부터 판독된다.
단계(630)에서, 웨이브 데이터 청크는 하나 이상의 <wave format> 구조로부터 판독되고 샘플 및 채널의 차원을 가지는 행렬 Y로 배치된다.
단계(635)에서, 멀티미디어 콘텐트 파일은 기록을 위해 열린다.
단계(640)에서, 행렬 Y에 포함된 이진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콘텐트 파일[단계(635)에서 열린]로 기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의도된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아래의 설명적인 예를 고려한다. MPEG-4를 사용하여 인코딩되고 640x480의 해상도(resolution) 및 44분의 재생 시간(duration)과 함께 227,562KB의 파일 크기를 가진 비디오 시퀀스는 50초 이내에 WAV 파일로 변환된다[예컨대, 도 4의 방법(400)의 단계(410) 및/또는 도 5a 내지 도 5c의 방법(500)의 단계(505 내지 570)에 따라]. 상호(reciprocal) 프로세스[예컨대, 도 4의 방법(400)의 단계(430) 및/또는 도 6의 방법(600)의 단계(605 내지 640)에 따른]도 50초를 넘게 걸리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1GB의 RAM 메모리 및 1.83GHz의 프로세서 속도를 가진 인텔 센트리노 듀오(INTEL CENTRINO DUO) T2400 프로세서를 가진 도시바(TOSHIBA) MSAT010AIV10의 특성을 갖는 이러한 타입의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획득된다. 변환을 위한 CPU 타임(time)은 처리될 비디오의 특성에 의존한다.
당업자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많은 분야에 광범위한 적용 가능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모바일 전화, 위성에 의한 텔레비전 송신 등과 같은 응용에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전화와 관련된 본 발명의 응용이 기술될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모바일 전화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예를 도시함이 인식되어야 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제2 세대 모바일 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및 미국의 개인용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 PCS)는 모두 예컨대, 비디오 콘텐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는 것과 관련하여 그 기능이 제한된다. 또한,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은 전화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하나의 해결 방안을 제공하지만, UMTS는 또한 하나 이상의 상당한 단점을 포함한다. 즉, 각 사업자(operator)에 대한 그리고 결과적으로, 클라이언트(client)에 대한 비용이 매우 높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정확하고 종래 접근법보다 덜 복잡하면서 매우 낮은 비용으로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는 해결 방안을 제공한다.
모바일 전화 실시예에서, 두 가지 새로운 기능이 예컨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GSM, PCS, 및/또는 UMTS에 기반하는 등의 기존 모바일 전화에 부가될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 새로운 기능은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디지털 사운드로의 변환, 및 상응하는 상호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모바일 전화의 제1 변환 프로세스의 목적은 예컨대, 모바일 전화의 집적된 카메라에 의해 포착된, 비디오 시퀀스를 디지털 사운드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일 디지털 사운드는 GSM, PCS, UMTS 등의 기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른 모바일 전화로 송신될 것이다.
모바일 사업자는 또한 동영상(film)을 디지털 사운드로 변환하기 위해 제1 변환 프로세스를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운드를 클라이언트의 모바일 전화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변환 프로세스의 목적은 모바일 전화 사업자로부터 또는 다른 모바일 전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파일(예컨대, WAV 파일)에 포함된 수신된 디지털 사운드를 예컨대, 비디오 시퀀스로 또는 동영상으로 재변환(re-transform)하는 것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전화 네트워크를 거쳐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는데 사용을 위하여 종래 기술의 포화(saturation) 문제에 대해 그리고 이용 가능한 주파수의 희귀성(rarity)에 대해 해결 방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전화 사업자가 본질적으로 상당한 추가 비용 없이 그 평상시의(usual) 주파수(즉, 음성 통신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파수)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 장치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고 이용 가능한 주파수의 부족(scarcity)의 현 문제를 겪지 않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 전화 네트워트를 거쳐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는 특징을 지원하기 위해 추가 중계국(relay station)이 만들어 지거나 유지될 필요가 없을 것이므로 환경 보호에도 기여할 것이다.
또한, 전화 네트워크 또는 위성 서비스 범위(satellite coverage) 밖의 영역의 경우에, 본 발명은 전파(radio wave)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송신 및 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크린(screen) 및/또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 상의 이러한 콘텐트의 후속 재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사운드를 실어 나를 수 있는 임의의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고화질(high definition)로 기록한 동영상은 고화질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수신단에서 온전하게 유지하면서, 고화질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송신을 위해 특정된 것과 다른 주파수로 수송(transit)할 수 있을 것이다.
멀티미디어 파일을 송신하기 위해 디지털 사운드 파일을 사용함으로써 상당한 장점이 획득됨이 또한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사운드 파일의 사용은 디지털 사운드 파일 및 그로 인해 표시된 멀티미디어 콘텐트가 음성 통신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 및 전화 응용 분야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송신 및 수신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별개의 프로토콜(멀티미디어 송신을 위한 전용) 및, 몇 가지 경우에서의 별개의 채널(멀티미디어 송신을 위한 전용)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값비싼 비용 및 종래 접근법과 관련된 다른 원치 않는 결점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많은 수반 장점/특징 중의 일부의 기술이 이제 주어질 것이며, 그 중 일부는 상기 언급되었다. 예를 들면, 일 장점/특징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은 변환 장치 및 재구성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변환 장치는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후속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은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나타낸다. 상기 재구성 장치는 상기 사운드 파일이 송신된 후에, 상기 사운드 파일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재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장점/특징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변환 장치 및 재구성 장치를 가진 시스템이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는 전화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은 상기 전화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기존 음성 통신 송신 프로토콜에 상응한다.
또 다른 장점/특징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변환 장치 및 재구성 장치를 가진 시스템이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는 멀티미디어에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음성 통신을 송신하도록 한정되고, 상기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은 음성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상응한다.
또, 다른 장점/특징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변환 장치 및 재구성 장치를 가진 시스템이다. 여기서 상기 변환 장치 및 상기 재구성 장치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이 생성되는 비디오 시퀀스를 포착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재구성 후에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중의 하나 이상을 가지는 모바일 전화에 포함된다.
또한, 다른 장점/특징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변환 장치 및 재구성 장치를 가진 시스템이다. 여기서 상기 변환 장치는 무손실 변환을 사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상기 사운드 파일로 변환한다.
또한, 다른 장점/특징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변환 장치 및 재구성 장치를 가진 시스템이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는 개인용 통신 서비스(PCS), 제2 세대 모바일 통신 글로벌 시스템(GSM) 및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 중의 하나 이상에 상응한다.
또한, 다른 장점/특징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변환 장치 및 재구성 장치를 가진 시스템이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은 상기 사운드 파일에의 포함을 위해 대표 사운드로 모두 변환되는 하나 이상의 비디오 시퀀스 및 상응하는 오디오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장점/특징은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은 송신 장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및 재구성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변환 장치는 후속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은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나타낸다.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는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가진다. 상기 재구성 장치는 상기 사운드 파일이 송신된 후에, 상기 사운드 파일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재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사운드 파일은 상기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쳐 상기 변환 장치에서 상기 재구성 장치로 송신된다.
또한, 다른 장점/특징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변환 장치 및 재구성 장치를 가진 시스템이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는 전화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은 상기 전화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기존 음성 통신 송신 프로토콜에 상응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본 명세서의 교시에 기반하여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시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특수 목적(special purpose) 프로세서,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교시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된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램 저장 장치(unit) 상에 실제로 구체화된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계는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와 같은 하드웨어를 가지는 컴퓨터 플랫폼 상에 구현된다. 컴퓨터 플랫폼은 또한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및 마이크로명령어 코드(microinstru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여러 가지 프로세스 및 기능은 CPU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마이크로명령어 코드의 일부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추가 데이터 저장 장치 및 프린팅(printing) 장치와 같은 여러 가지 다른 주변 장치가 컴퓨터 플랫폼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에 도시된 구성 시스템 컴포넌트 및 방법 중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기 때문에, 시스템 컴포넌트 또는 프로세스 기능 블록(block) 간의 실제 연결은 본 발명이 프로그래밍(programming)된 방식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주어진 교시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비슷한 구현 또는 구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예시적인 실시예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사상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모든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첨부하는 청구항에 제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5)

  1.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후속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나타내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장치(211, 311); 및
    상기 사운드 파일이 송신된 후에, 상기 사운드 파일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재구성하기 위한 재구성 장치(251, 3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는 전화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은 상기 전화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기존 음성 통신 송신 프로토콜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는 멀티미디어에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음성 통신을 송신하도록 한정되고,
    상기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은 음성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장치(211) 및 상기 재구성 장치(251)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이 생성되는 비디오 시퀀스를 포착할 수 있는 카메라(262) 및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재구성 후에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264) 중의 하나 이상을 가지는 모바일 전화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장치(211, 311)는,
    무손실 변환을 사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상기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은,
    개인용 통신 서비스, 제2 세대 모바일 통신 글로벌 시스템 및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 중의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은,
    상기 사운드 파일에의 포함을 위해 대표 사운드로 모두 변환되는 하나 이상의 비디오 시퀀스 및 상응하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8.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후속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나타내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410); 및
    상기 사운드 파일이 송신된 후에, 상기 사운드 파일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재구성하는 단계(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는 전화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은 상기 전화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기존 음성 통신 송신 프로토콜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는 멀티미디어에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음성 통신을 송신하도록 한정되고,
    상기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은 음성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단계(410)는 카메라를 가진 모바일 전화에 의해 수행되되,
    상기 카메라에 의해 포착된 비디오 시퀀스를 사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단계(410)는,
    무손실 변환을 사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상기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은,
    개인용 통신 서비스, 제2 세대 모바일 통신 글로벌 시스템 및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 중의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은,
    상기 사운드 파일에의 포함을 위해 대표 사운드로 모두 변환되는 하나 이상의 비디오 시퀀스 및 상응하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15.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후속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나타내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기 위한 컴퓨터로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사운드 파일이 송신된 후에, 상기 사운드 파일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재구성하기 위한 컴퓨터로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로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가지는 컴퓨터로 사용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는 전화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은 상기 전화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기존 음성 통신 송신 프로토콜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로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가지는 컴퓨터로 사용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는 멀티미디어에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음성 통신을 송신하도록 한정되고,
    상기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은 음성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로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가지는 컴퓨터로 사용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이 생성되는 비디오 시퀀스를 포착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재구성 후에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중의 하나 이상을 가지는 모바일 전화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로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가지는 컴퓨터로 사용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기 위한 컴퓨터로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는 무손실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로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가지는 컴퓨터로 사용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은,
    개인용 통신 서비스, 제2 세대 모바일 통신 글로벌 시스템 및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 중의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로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가지는 컴퓨터로 사용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은,
    상기 사운드 파일에의 포함을 위해 대표 사운드로 모두 변환되는 하나 이상의 비디오 시퀀스 및 상응하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친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로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가지는 컴퓨터로 사용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2. 후속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나타내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장치(211, 311);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280, 380);
    상기 사운드 파일이 송신된 후에, 상기 사운드 파일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재구성하기 위한 재구성 장치(251, 351)를 포함하되,
    상기 사운드 파일은 상기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280, 380)를 거쳐 상기 변환 장치(211, 311)에서 상기 재구성 장치(251, 351)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는 전화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은 상기 전화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기존 음성 통신 송신 프로토콜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24.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나타내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410);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거쳐 상기 사운드 파일을 송신하는 단계(420);
    상기 사운드 파일이 송신된 후에, 상기 사운드 파일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재구성하는 단계(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는 전화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은 상기 전화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기존 음성 통신 송신 프로토콜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KR1020107009082A 2007-10-26 2007-10-26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278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07/004607 WO2009053772A2 (en) 2007-10-26 2007-10-26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ferring multimedia content using an existing digital sound transfer protoc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342A true KR20100082342A (ko) 2010-07-16
KR101278756B1 KR101278756B1 (ko) 2013-06-25

Family

ID=40332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082A KR101278756B1 (ko) 2007-10-26 2007-10-26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1)

Country Link
US (1) US20100216437A1 (ko)
EP (1) EP2210366B1 (ko)
JP (1) JP2011504313A (ko)
KR (1) KR101278756B1 (ko)
CN (1) CN102027710B (ko)
AP (1) AP2917A (ko)
AU (1) AU2007360514B8 (ko)
BR (1) BRPI0721996B1 (ko)
CA (1) CA2700024C (ko)
CY (1) CY1121621T1 (ko)
DK (1) DK2210366T3 (ko)
EA (1) EA020726B1 (ko)
EG (1) EG26302A (ko)
ES (1) ES2726827T3 (ko)
HR (1) HRP20190780T1 (ko)
HU (1) HUE043252T2 (ko)
IL (1) IL204554A (ko)
LT (1) LT2210366T (ko)
MA (1) MA31783B1 (ko)
MX (1) MX2010003166A (ko)
NO (1) NO342409B1 (ko)
NZ (1) NZ584763A (ko)
PL (1) PL2210366T3 (ko)
PT (1) PT2210366T (ko)
RS (1) RS58749B1 (ko)
SI (1) SI2210366T1 (ko)
SM (1) SMP201000063B (ko)
TN (1) TN2010000187A1 (ko)
UA (1) UA101630C2 (ko)
WO (1) WO2009053772A2 (ko)
ZA (1) ZA201002448B (ko)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3083A (ja) * 1990-11-16 1992-06-30 Mitsubishi Electric Corp 音声・画像同時通信型テレビ電話装置
US5675708A (en) * 1993-12-22 1997-10-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dio media boundary traversal method and apparatus
JPH07226927A (ja) * 1994-02-09 1995-08-22 Hitachi Ltd Tv電話装置
EP0711486B1 (en) * 1994-05-26 1999-12-29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High resolution digital screen recorder and method
JP3574252B2 (ja) * 1996-01-23 2004-10-06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
JPH1079892A (ja) * 1996-07-12 1998-03-24 Canon Inc 画像取り込み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するフィルム保持ユニット
JP4069339B2 (ja) * 1998-10-16 2008-04-02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変換装置および信号変換方法
US6760916B2 (en) * 2000-01-14 2004-07-06 Parkervision,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ducing and distributing enhanced media downstreams
US6216267B1 (en) * 1999-07-26 2001-04-10 Rockwell Collins, Inc. Media capture and compress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holographic optical classification, voice recognition and neural network decision processing
EP1356385A4 (en) * 2001-01-30 2008-09-24 Korea Electronics Telecomm METHOD AND DEVICE FOR DELIVERING METADATA SYNCHRONIZED WITH MULTIMEDIA CONTENT
US6950804B2 (en) * 2001-02-26 2005-09-27 Pika Media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targeted multimedia content and advertising
EP1378134A1 (en) * 2001-04-06 2004-01-07 Hellodies A/S Message distribution system
FI20011994A0 (fi) * 2001-10-12 2001-10-12 Wimeapp Oy Järjestely informaation välittämiseksi
JP4330346B2 (ja) * 2002-02-04 2009-09-16 富士通株式会社 音声符号に対するデータ埋め込み/抽出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システム
US8009966B2 (en) * 2002-11-01 2011-08-30 Synchro Arts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sound replacement with automatic synchronization to images
DE10305657A1 (de) * 2003-02-12 2004-08-2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Rekonstruktion von Multimedia-Objekt-Daten mit Digital-Audio-Broadcast (DAB-Empfänger)
KR100538704B1 (ko) * 2003-04-01 2005-12-23 주식회사 씬멀티미디어 카메라 내장형 이동 단말기의 오디오 비디오 인코딩 방법및 디코딩 방법
KR100576543B1 (ko) 2003-08-26 2006-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오디오 방송 전송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스트림 변환장치 및 그 방법
GB0426523D0 (en) * 2004-12-02 2005-01-05 British Telecomm Video processing
US7596149B2 (en) * 2004-12-09 2009-09-29 Omnivision Technologies, Inc. Low bit rate video transmission over GSM network
US20070078768A1 (en) * 2005-09-22 2007-04-05 Chris Dawson System and a method for capture and dissemination of digital media across a computer network
US7577156B2 (en) * 2006-04-13 2009-08-18 Directpacket Research, Inc. Highly adaptable proxy traversal and authent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S58749B1 (sr) 2019-06-28
PL2210366T3 (pl) 2019-08-30
AP2917A (en) 2014-05-31
CN102027710B (zh) 2016-06-29
LT2210366T (lt) 2019-05-10
ZA201002448B (en) 2011-11-30
EA020726B1 (ru) 2015-01-30
AU2007360514B8 (en) 2012-11-01
MA31783B1 (fr) 2010-10-01
HUE043252T2 (hu) 2019-08-28
EP2210366A4 (en) 2011-08-10
AU2007360514B2 (en) 2012-05-10
MX2010003166A (es) 2010-06-23
WO2009053772A2 (en) 2009-04-30
SMAP201000063A (it) 2010-11-12
KR101278756B1 (ko) 2013-06-25
CA2700024C (en) 2020-04-21
IL204554A (en) 2014-12-31
CN102027710A (zh) 2011-04-20
EA201000699A1 (ru) 2010-12-30
NZ584763A (en) 2012-05-25
DK2210366T3 (da) 2019-05-06
EG26302A (en) 2013-06-26
BRPI0721996B1 (pt) 2020-09-15
JP2011504313A (ja) 2011-02-03
ES2726827T3 (es) 2019-10-09
TN2010000187A1 (en) 2011-11-11
SI2210366T1 (sl) 2019-06-28
US20100216437A1 (en) 2010-08-26
AU2007360514A8 (en) 2012-11-01
NO342409B1 (no) 2018-05-14
EP2210366A2 (en) 2010-07-28
CA2700024A1 (en) 2009-04-30
NO20100763L (no) 2010-07-23
AU2007360514A1 (en) 2009-04-30
AP2010005242A0 (en) 2010-04-30
WO2009053772A3 (en) 2010-06-17
CY1121621T1 (el) 2020-07-31
HRP20190780T1 (hr) 2019-06-28
BRPI0721996A2 (pt) 2014-06-03
PT2210366T (pt) 2019-05-28
EP2210366B1 (en) 2019-02-13
SMP201000063B (it) 2011-09-09
UA101630C2 (ru) 2013-04-25
IL204554A0 (en) 201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874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data recording
US7062758B2 (en) File conversion method, file converting device, and file generating device
FI113602B (fi) Menetelmä ja järjestelmä vaihtoehtoisen videodatan järjestämiseksi ja lähettämiseksi videolähetysten katkojen aikana
US200701539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content to mobile devices
JP2006085681A (ja) データ転換及びシェア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663403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1561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고해상도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위한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화상 포맷변환 시스템
CN112562638A (zh) 语音预览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1390392A (zh) 视频监控应用、设备结构、及系统结构
KR101278756B1 (ko) 기존 디지털 사운드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송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7016543B2 (en) Method for providing a terminal with coded still image signals, communications system, network element and module
CN102118633A (zh) 视频文件播放的方法、装置及系统
EP1698139A1 (en) Data reception terminal and mail creation method
SG18472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ferring multimedia content using an existing digital sound transfer protocol
CN113141536B (zh) 视频封面的添加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TW200537926A (en) Digital camera and digital video recorder for storing multimedia message
CN113821748B (zh) 基于网页的数据录制方法、服务器、电子设备及介质
JP200412887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CN115640248A (zh) 一种可配置视频图像处理的采集卡及其视频图像处理方法
Setyono et al. Study and development of the transmission method for large multimedia file size using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technology
JP2009088787A (ja) 動画データ変換/送信装置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2006067146A (ja) 画像配信サーバおよび画像添付メール中継サーバならびにそれらの動作制御方法
JPH10173994A (ja) デジタルエフェクト装置及び方法並びにデジタル信号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