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1247A - 스팀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스팀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1247A
KR20100081247A KR1020090000564A KR20090000564A KR20100081247A KR 20100081247 A KR20100081247 A KR 20100081247A KR 1020090000564 A KR1020090000564 A KR 1020090000564A KR 20090000564 A KR20090000564 A KR 20090000564A KR 20100081247 A KR20100081247 A KR 20100081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artition wall
cover
steam
water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4041B1 (ko
Inventor
김성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90000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041B1/ko
Publication of KR20100081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3Boxes split longitudinally in main cable dir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스팀발생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물주입구를 갖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일측에 수증기 토출구를 갖는 커버와, 공간부에 배치되고, 수증기를 수증기 토출구 측으로 유도하는 유도부를 갖는 격벽을 포함하고, 격벽은 케이스 또는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돌기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부를 이루는 케이스와 커버가 스테인리스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위생상 안전할 뿐 아니라 공간부 내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스팀, 오븐, 히터

Description

스팀발생장치{STEAM GENE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생상 안전할 뿐 아니라 공간부 내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팀발생장치는 물통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만드는 장치로, 이러한 스팀발생장치를 오븐에 설치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음식물에 고온의 스팀이 골고루 전달되어 음식물이 타거나 덜 익지 않게 조리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에 적당한 수분이 함유되어 음식물이 촉촉한 상태로 조리되며, 음식물에 포함된 지방과 염분이 스팀과 함께 빠져 나와서 다이어트와 건강에도 좋은 저칼로리 및 저염도의 음식물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종래 오븐의 스팀발생장치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제작되는데,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알루미늄의 신축 작용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게 되며, 그 정도가 심한 경우 알루미늄 미세 조각이 떨어져 나와 오븐의 조리실 내로 유입되어 음식물에 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종래 스팀발생장치는 알루미늄 미세 조각이 떨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팀발생장치의 내부를 테프론 코팅을 하지만, 이 경우에도 히터 온도가 500 ~ 700 °C 에 이르게 되면 테프론 코팅면이 알루미늄 표면으로부터 박리되기 쉽고, 이를 억제하기 위해 히터 온도를 400 °C 정도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스팀발생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위생상 안전할 뿐 아니라 공간부 내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팀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는: 물주입구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일측에 수증기 토출구를 갖는 커버;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고, 수증기를 상기 수증기 토출구 측으로 유도하는 유도부를 갖는 격벽 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돌기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는 스테인리스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벽은 연속된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벽의 하측에 배치되고, 수증기를 상기 격벽 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는 보조격벽을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격벽은 상기 공간부의 외곽을 이루는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탄성 장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격벽은 중앙부가 활 형상을 이루고, 양단부는 일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부와 상기 안내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벽과 상기 보조격벽은 스테인리스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에 의하면, 공간부를 이루는 케이스와 커버가 스테인리스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위생상 안전할 뿐 아니라 공간부 내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에 의하면, 격벽과 보조격벽이 스테인리스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위생상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에 의하면, 케이스 또는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돌기를 이용하여 격벽의 위치를 고정하므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에 의하면, 보조격벽은 자체 형상에 의해 공간부 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므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에 의하면, 케이스, 커버, 격벽 및 보조격벽을 별물로 구성하여 조립하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격벽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보조격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S)를 갖는 오븐의 캐비넷(1)은 전면이 개구되는 직육면체 상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상자(2)와 내부상자(3)를 조합시킴으로써 구성된다. 내부상자(3)의 내부는 전면이 개구되어 음식물이 입출되는 조리실(4)을 이룬다. 캐비넷(1)에는 캐비넷(1)의 전면 하단부에 위치되는 수평축을 중식으로 회전 가능한 도어(5)가 장착된다. 조리실(4)의 전면은 도어(5)가 수직 위치로 회전될 때 폐쇄되고, 도어(5)가 수평 위치에 놓일 때 개방된다.
조리실(4)의 좌우측 벽면(도 1 기준)에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레일(6)이 형성되고, 상부레일(6)에는 상부조리접시(미도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거치된다. 또한, 조리실(4)의 좌우측 벽면에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레일(8)이 형성되고, 하부레일(8)에는 하부조리접시(미도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거치된다.
조리실(4)의 후면에는 복수의 관통홀부로 이루어지는 상부토출구(14), 하부토출구(15) 및 흡입구(16)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토출구(14)는 상부레일(6) 보다 상측에 형성되고, 하부토출구(15)는 하부레일(8) 보다 하측에 형성되며, 흡입구(16)는 상부레일(6)과 하부레일(8)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조리실(4) 후면에 배치되는 팬장치(미도시)가 동작될 때 상부토출구(1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부레일(6) 상측을 지나 전방으로 흐르고, 하부토출구(15)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하부레일(8) 하측을 지나 전방으로 흐르며, 전방으로 흘러 도어(5)에 접촉되는 공기는 상부레일(60과 하부레일(8) 사이를 통과하여 흡입구(16)를 통해 조리실(4) 후면으로 흡입된다.
내부상자(3)의 후면에는 케이싱(미도시)이 장착되며, 케이싱의 내부에는 팬(미도시), 팬모터(미도시) 및 히터(미도시) 등이 장착된다. 히터는 팬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화하는 것으로, 히터의 구동 시에는 상부토출구(14) 및 하부토출구(15)를 통해 조리실(4) 내로 열풍이 공급된다.
조리실(4)의 좌측 벽면에는 조리실(4) 내의 공기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20)가 장착된다. 캐비넷(1)에는 외부상자(2)와 내부상자(3) 사이의 공간부를 칭하는 전장실(21)이 형성되며, 출력홀부(23)를 통해 조리실(4) 내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그네트론(22)이 전장실(21) 내에 수납된다.
캐비넷(1)에는 스팀발생장치(S)가 구비된다. 스팀발생장치(S)는 조리실(4) 내에 수증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조리실(4) 좌측의 전장실(21) 내에 상부레일(6)과 하부레일(8) 사이의 높이에 설치되며, 크게 케이스(100), 커버(200), 격벽(300) 및 보조격벽(400)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00)와 커버(200)는 결합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500)를 형성한다.
캐비넷(1)의 하측에는 물탱크(35)가 장착된다. 물탱크(35)는 호스(38)를 통해 스팀발생장치(S)의 물주입구(110)와 연통되고, 호스(38)에 설치되는 펌프(36)의 작동에 의해 스팀발생장치(S)에 물을 공급한다. 공급되는 물은 스팀발생장치(S)의 공간부(500) 저면에 낙하된다.
케이스(10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장착홈부(120)에는 증발용 열원에 해당하는 히터(미도시)를 내장하는 히터케이스(700)가 장착된다. 히터는 시즈히터(sheathed heater)로 구성되며, 히터케이스(700)는 히터에서 생성되는 열을 축적한다.
히터케이스(700)는 장착홈부(120)에 안착되어 케이스(100)에 밀착 배치되므로, 물주입구(110)를 통해 공간부(500)의 저면에 낙하되는 물은 히터에 의해 간접 가열되어 공간부(500) 내에서 수증기로 변환된다. 이렇게 생성되는 수증기는 공간부(500) 내에서 상승하게 되어 결국 커버(200)의 수증기 토출구(210)를 통해 조리실(4) 측으로 토출된다.
한편, 히터의 작동에 의해 이미 고온 상태가 된 공간부(500)의 저면에 물이 낙하되면 물은 사방으로 튀게 되는데, 수증기로 변환되지 않은 물이 수증기 토출구(210)를 통해 조리실(4) 측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간부(500)에는 격벽(300) 및 보조격벽(400)이 배치된다. 따라서, 후술할 격벽(300)의 유도부(310)와 보조격벽(400)의 안내부(410)는 서로 엇갈리게, 즉 일직선상에 놓이지 않게 배 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격벽(400)은 공간부(500)의 하부에 배치되며, 공간부(500)의 외곽을 이루는 케이스(100) 또는 커버(200)의 내측면에 탄성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보조격벽(400)은 중앙부가 탄성 변형이 가능한 활 형상을 이루며, 양단부가 일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양단부에 내측으로 외력을 가하면 중앙부가 탄성 변형되므로 공간부(500) 내에 보조격벽(400)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이후 외력을 해제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케이스(100) 또는 커버(200)의 내측면에 보조격벽(400)이 견고히 고정되어 공간부(500)에의 배치가 완료된다.
보조격벽(400)은 수증기로 변환되지 않은 물이 수증기 토출구(210)를 통해 조리실(4) 측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공간부(500)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상측에 배치되는 격벽(300) 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부(410)를 구비한다. 안내부(410)는 수증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홈부로 도시하였으나(도 7 참조)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동일한 역할을 할 수 있는 홀부 등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격벽(300)은 공간부(500)의 상부, 즉 보조격벽(400)의 상측에 배치되며, 케이스(100) 또는 커버(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돌기(60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다. 즉, 격벽(300)은 연속된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측 모서리부를 돌기(600) 사이에 배치하면 돌기(600)가 격벽(30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격벽(300)의 하측 모서리부를 돌기(600) 사이에 배치하는 것만으로 격벽(300) 설치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격벽(300) 설치를 위한 별도의 구성 및 장치가 요구 되지 않게 되어 제조 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해진다.
격벽(300)은 수증기로 변환되지 않은 물이 수증기 토출구(210)를 통해 조리실(4) 측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공간부(500)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수증기 토출구(210) 측으로 유도하는 유도부(310)를 구비한다. 유도부(310)는 수증기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홈부로 도시하였으나(도 6 참조)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동일한 역할을 할 수 있는 홀부 등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돌기(600)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케이스(100) 또는 커버(20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돌기(600) 구성을 추가하기 위해 별도의 제조 공정을 추가할 필요가 없어, 제조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격벽(300)과 보조격벽(400)은 전체적으로 미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공간부(500) 내에서 생성되는 수증기가 특정 수증기 토출구(210) 측으로 편중되어 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공간부(500)를 이루는 케이스(100)와 커버(200)는 스테인리스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증기가 생성되는 공간부(500) 표면이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온도 조절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알루미늄 부스러기가 생기거나 테프론 코팅이 벗겨질 염려를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어 위생상 안전하다.
또한, 공간부(500) 내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수증기 토출구(210) 측으로 유도하는 격벽(300) 및 보조격벽(400)도 스테인리스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종래와 같이 알루미늄 부스러기가 생기거나 테프론 코팅이 벗겨질 염려가 없어 위생상 안전하다.
커버(200)에는 상부레일(6)과 하부레일(8) 사이에 다수의 수증기 토출구(210)가 형성된다. 수증기 토출구(210)는 조리실(4) 측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공간부(500) 내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조리실(4) 측으로 토출한다.
조리실(4)의 좌측면에는 다수의 가이드부(45)를 갖는 증기가이드(44)가 형성된다. 각 가이드부(45)는 수증기 토출구(210)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공간부(500) 내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조리실(4) 내로 안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먼저, 오븐의 조작패널(미도시)을 조작하여 스팀발생 기능을 선택하면, 물탱크(35)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 펌프(36)의 작동에 의해 호스(38)를 통해 스팀발생장치(S)로 공급된다. 공급된 물은 케이스(100)와 커버(200)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간부(500)의 저면으로 낙하되며, 낙하된 물은 케이스(100)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히터케이스(700) 내의 히터에 의해 간접 가열되어 점차적으로 수증기로 변환된다. 변환된 수증기는 보조격벽(400)의 안내부(410) 및 격벽(300)의 유도부(310)를 통과하면서 수증기 토출구(210) 측으로 안내되고, 이후 수증기 토출구(210)와 연통되는 가이드부(45)를 따라 조리실(4) 내로 공급되어 음식물에 고온의 수증기가 골고루 전달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격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보조격벽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케이스 200 : 커버
300 : 격벽 400 : 보조격벽
500 : 공간부 600 : 돌기
700 : 히터케이스

Claims (9)

  1. 물주입구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일측에 수증기 토출구를 갖는 커버;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고, 수증기를 상기 수증기 토출구 측으로 유도하는 유도부를 갖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돌기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는 스테인리스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연속된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하측에 배치되고, 수증기를 상기 격벽 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는 보조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격벽은 상기 공간부의 외곽을 이루는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탄성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격벽은 중앙부가 활 형상을 이루고, 양단부는 일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와 상기 안내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과 상기 보조격벽은 스테인리스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KR1020090000564A 2009-01-05 2009-01-05 스팀발생장치 KR101554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564A KR101554041B1 (ko) 2009-01-05 2009-01-05 스팀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564A KR101554041B1 (ko) 2009-01-05 2009-01-05 스팀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247A true KR20100081247A (ko) 2010-07-14
KR101554041B1 KR101554041B1 (ko) 2015-09-18

Family

ID=42641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564A KR101554041B1 (ko) 2009-01-05 2009-01-05 스팀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0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535B1 (ko) 2019-09-27 2022-06-10 지영한 고순도 스팀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0487A (ja) 1999-10-13 2001-04-20 Denso Corp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接続構造
KR200425391Y1 (ko) 2006-06-19 2006-09-01 동양매직 주식회사 오버히트 방지부가 구비된 스팀 발생기
JP2008032304A (ja) 2006-07-28 2008-02-14 Sanyo Electric Co Ltd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器用の蒸気発生装置
JP4267681B2 (ja) * 2008-03-26 2009-05-27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041B1 (ko) 201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071B1 (ko) 가열조리장치
CN101112288B (zh) 加热烹调器及加热烹调器用的蒸汽产生装置
KR100629336B1 (ko) 스팀 오븐의 증기 발생 장치
JP6128341B2 (ja) 加熱調理器
KR20060006472A (ko) 가열조리장치
WO2010024273A1 (ja) 加熱調理器
KR20090085965A (ko) 오븐
KR20080060394A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JP3689708B2 (ja) 加熱調理器
KR101307659B1 (ko) 스팀 용수 배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조리기기
KR20100081247A (ko) 스팀발생장치
KR20080020875A (ko) 조리기기
KR100691225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춘 조리장치
KR100848912B1 (ko) 조리기기
KR100676250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춘 오븐
KR101593229B1 (ko)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2015105773A (ja) 給水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JP2011007493A (ja)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器用の蒸気発生装置
KR100819080B1 (ko) 가열조리장치
KR102512751B1 (ko) 조리기기
KR20100012726A (ko) 전기 오븐
JP6209733B2 (ja) 加熱調理器
KR20110058153A (ko) 스팀발생장치
JP7381401B2 (ja) 加熱調理器
KR100780335B1 (ko) 가열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