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1224A - 드럼세탁기 안전장치 및 이러한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 안전장치 및 이러한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1224A
KR20100081224A KR1020090000541A KR20090000541A KR20100081224A KR 20100081224 A KR20100081224 A KR 20100081224A KR 1020090000541 A KR1020090000541 A KR 1020090000541A KR 20090000541 A KR20090000541 A KR 20090000541A KR 20100081224 A KR20100081224 A KR 20100081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ashing machine
unit
safety device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6494B1 (ko
Inventor
전규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90000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494B1/ko
Publication of KR20100081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 안전장치 및 이러한 안전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케이스에 내장되는 터브에 타단부가 고정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와이어부; 와이어부에 감겨 이동되는 감지부; 감지부의 이동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 안전장치 및 이러한 안전장치의 제어방법은 아이가 드럼에 들어가 갇힌 경우, 터브의 움직임을 통해 이를 감지하여 외부에 경고음을 제공한다.
드럼세탁기, 안전, 도어, 터브, 드럼

Description

드럼세탁기 안전장치 및 이러한 안전장치의 제어방법{SAFETY DEVICE FOR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이가 드럼에 들어가 갇힌 경우, 이를 감지하여 외부에 알리는 드럼세탁기 안전장치 및 이러한 안전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오염된 세탁물을 세척하기 위해 세탁과 헹굼 및 탈수과정을 진행한다.
드럼세탁기는 터브 내부의 드럼이 회전되면서 세탁물을 낙하시키므로, 적은 세탁수를 사용하여 비벼 빨기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드럼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드럼세탁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1)의 내부에 터브(12)가 설치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며, 터브(12) 내부에는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13)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케이스(11)의 일부는 개구되며 도어(15)는 케이스(11)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15)를 개방하여 세탁물을 드럼(13)에 인입하고, 세탁과정에서는 도어(15)를 폐쇄하여 세탁수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이때, 도어(15)에는 후크(16)가 구비되고, 케이스(11)에는 후크(16)가 걸림 고정되는 후크홀(17)이 형성된다.
종래 드럼세탁기는 외부에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아이들이 드럼 내부에 들어가서 도어가 닫히는 경우 드럼 내부에서 도어를 개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아이가 갇히는 경우 이를 다른 사람들에게 알려주는 드럼세탁기 안전장치 및 이러한 안전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터브에 타단부가 고정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와이어부; 상기 와이어부에 감겨 이동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이동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 내측면에 설치되며 코일 형상을 하여 길이가 가변되는 제1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에서 연장되며 상기 감지부를 감는 제2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에서 연장되며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제3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2와이어에 감겨 회전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서 연장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는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체에는 회전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회전돌기를 감아 상기 회전체에서 상기 제2와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지센서부에 의해 터브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브의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위험상황인지를 점검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상황인 경우 경고부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안전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위험상황인 경우 도어를 강제로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험상황은 세탁행정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가 폐쇄되는 상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험상황은 상기 감지부가 일정시간 동안 회전방향이 변동되는 상황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세탁행정이 수행되지 않는 상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센서부는 케이스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터브에 타단부가 고정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와이어부; 및 상기 와이어부에 감겨 이동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부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감지부의 회전방향이 변경되어 저항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 안전장치 및 이러한 안전장치의 제어방법은 드럼에 갇힌 아이가 도어를 미는 힘에 의해 이동되는 터브의 유동을 감지하여 드럼에 아이가 갇혀 있음을 외부에 알리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 안전장치 및 이러한 안전장치의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안전장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 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100)에는 전면이 개구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40), 케이스(40)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는 도어(50)가 구비된다.
케이스(40)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60)가 설치된다. 터브(60)는 댐퍼(90)에 의해 케이스(40)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댐퍼(90)는 일단부가 케이스(4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부가 터브(60)에 고정 설치되어 터브(60)의 진동을 흡수한다.
터브(60) 내부에는 드럼(70)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드럼(70)에는 다수의 관통홀(71)이 형성되어 터브(60)에 저장된 세탁수가 출입되고, 세탁물이 저장된다.
미설명 부호 80은 터브(60)의 배면에 장착되고 드럼(70)에 결합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모터이다.
케이스(40) 내부에는 터브(60)의 이상진동을 감지하는 안전장치(20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200)에는 와이어부(210), 감지부(220), 제어부(230) 및 경고부(240)가 구비된다.
와이어부(210)는 터브(60)와 연계되며, 터브(60)의 움직임을 감지부(220)에 전달한다. 이러한 와이어부(210)는 일부가 감지부(220)를 감으며, 외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형상이나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감지부(220)는 와이어부(210)와 연계되며, 터브(60)의 이동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230)에 전송한다.
제어부(230)는 감지부(220)와 연계되며, 감지부(220)의 신호를 수신하며, 경고부(24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경고부(240)는 외부에 경고음을 생성하여 위험상황임을 알린다. 이러한 경고부(240)는 케이스(40)에 장착된 스피커가 되거나스피커가 구비되는 다른 전자제품과 연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부(210)에는 제1와이어(211), 제2와이어(212) 및 제3와이어(213)가 구비된다.
제1와이어(211)는 케이스(40)의 상단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코일 형상을 한다. 이러한 제1와이어(211)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길이가 늘어나고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다.
제2와이어(212)는 제1와이어(211)에서 연장되며 감지부(220)를 감싼다.
제3와이어(213)는 제2와이어(212)에서 연장되며 터브(60)의 전단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드럼(70)에 들어간 아이가 폐쇄된 도어(50)를 미는 경우, 터브(6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제3와이어(213)를 잡아당긴다. 이로 인해, 제1와이어(211)는 늘어나고 제2와이어(211)는 감지부(220)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220)에는 회전체(221), 회전축(222) 및 감지기(223)가 구비된다.
회전체(221)는 제2와이어(212)에 감기며, 제2와이어(212)에 장력이 작용함에 따라 회전된다. 회전축(222)은 회전체(221)에서 연장되며, 회전체(221)와 함께 회전된다. 감지기(223)에는 회전축(222)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감지기(223)는 케이스(40)에 고정 설치되고 회전체(221)의 회전을 감지하여 제어부(23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2와이어(212)는 회전체(221)의 외주면 및 회전체(221)에서 돌출되는 회전돌기(224)를 감는다. 따라서, 터브(60)의 후방이동에 따라 제3와이어(213)가 잡아당겨지면, 제2와이어(212)에 장력이 생성되어 회전체(221)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장력이 제거되면 제1와이어(211)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체(221)는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안전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드럼세탁기 안정장치의 제어방법은 먼저, 제어부(230)가 감지센서부(280)에 의해 터브(60)의 이동을 감지한다(S10). 감지센서부(280)에는 와이어부(210)와 감지부(220)가 구비된다.
와이어부(210)는 일단부가 케이스(40)에 고정되고 감지부(220)를 감은 다음, 타단부가 터브(60)의 전단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아이가 드럼(70)에 들어간 상태에서 도어(50)가 폐쇄된 경우, 아이가 도어(50)를 개방하기 위해 도어(50)를 밀면 반작용에 의해 터브(60)가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와이어부(210)는 터브(60)에 의해 장력이 형성되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감지부(2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아이가 도어(50)를 미는 힘이 제거되면, 와이어부(210)는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감지부(22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통상 아이들이 드럼(70)에 갇힌 경우, 긴장하여 수시로 도어(50)를 밀게 되므로, 이때마다 터브(60)가 유동되면서 감지부(220)는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반복 회전된다.
감지부(220)는 회전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저항이 가변되며, 이를 수신한 제어부(230)는 터브(60)가 이동됨을 인지한다.
상기한 단계에 의해 터브(60)의 이동이 감지되면, 제어부(230)는 현 상태가 위험상황인지를 점검한다(S30).
즉, 드럼세탁기(100)는 세탁행정을 수행하게되면 세탁물과 세탁수에 의해 터브(60)의 진동을 유발하므로, 제어부(230)는 현 상태가 일반적인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과정인지 위험상황인지를 분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위험상황이란 세탁행정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50)가 폐쇄됨을 의미한다. 세탁행정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는 사용자가 전원버튼이나 세탁동작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도어(50)의 폐쇄유무는 별도의 도어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위험상황이란 감지부(220)가 일정시간 동안 회전방향이 변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일반적인 세탁행정에서는 터브(60)가 전후로 이동되지 않으므로, 일정시간 지속적으로 감지부(220)가 가변되는 저항을 측정하면 아이가 드럼(70)에 갇혀 도어(50)를 지속적으로 미는 상태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위험상황에는 세탁행정이 수행되지 않으며 도어(50)가 폐쇄된 상태가 추가된다.
한편, 위험상황이 감지되면, 제어부(230)는 경고부(240)를 제어하여 경고음을 생성한다(S50). 이러한 경고음에 의해 외부 사람에게 아이의 위험을 알린다.
또한, 위험상황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230)는 도어(50)를 강제 개방한다(S70). 이를 위해 별도의 도어개방수단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드럼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도어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케이스 50 : 도어
60 : 터브 70 : 드럼
80 : 모터 90 : 댐퍼
210 : 와이어부 220 : 감지부
230 : 제어부 240 : 경고부
280 : 감지센서부

Claims (11)

  1. 케이스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터브에 타단부가 고정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와이어부;
    상기 와이어부에 감겨 이동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이동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 내측면에 설치되며 코일 형상을 하여 길이가 가변되는 제1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에서 연장되며 상기 감지부를 감는 제2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에서 연장되며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제3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안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2와이어에 감겨 회전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서 연장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신호 를 보내는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안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는 회전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회전돌기를 감아 상기 회전체에서 상기 제2와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안전장치.
  5. 감지센서부에 의해 터브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브의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위험상황인지를 점검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상황인 경우 경고부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황인 경우 도어를 강제로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황은 세탁행정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가 폐쇄되는 상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황은 상기 감지부가 일정시간 동안 회전방향이 변동되는 상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세탁행정이 수행되지 않는 상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는
    케이스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터브에 타단부가 고정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와이어부; 및
    상기 와이어부에 감겨 이동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감지부의 회전방향이 변경되어 저항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90000541A 2009-01-05 2009-01-05 드럼세탁기 안전장치 및 이러한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KR101586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541A KR101586494B1 (ko) 2009-01-05 2009-01-05 드럼세탁기 안전장치 및 이러한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541A KR101586494B1 (ko) 2009-01-05 2009-01-05 드럼세탁기 안전장치 및 이러한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224A true KR20100081224A (ko) 2010-07-14
KR101586494B1 KR101586494B1 (ko) 2016-01-18

Family

ID=42641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541A KR101586494B1 (ko) 2009-01-05 2009-01-05 드럼세탁기 안전장치 및 이러한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49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86801A (ja) * 2015-11-17 2017-05-25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機器
US9667070B2 (en) 2010-07-16 2017-05-30 Lg Electronics Inc. Network system
CN109427172A (zh) * 2017-08-23 2019-03-0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设备的强制报警方法
KR102226255B1 (ko) 2020-12-23 2021-03-10 한화시스템(주) 지향성 에너지 무기 시스템
KR102268099B1 (ko) 2020-12-23 2021-06-22 한화시스템(주) 지향성 에너지 무기 시스템의 에너지 유통용 회전 중심축 및 이를 구비한 지향성 에너지 무기 시스템
KR102433017B1 (ko) 2022-01-26 2022-08-18 한화시스템(주) 레이저무기 조준 시스템 및 조준 방법
KR102433018B1 (ko) 2022-02-10 2022-08-18 한화시스템(주) 동축형 레이저무기의 조준 장치
KR102449228B1 (ko) 2022-02-24 2022-09-30 한화시스템(주) 동축형 레이저무기의 조준 시스템
KR102449229B1 (ko) 2022-02-24 2022-09-30 한화시스템(주) 레이저무기 시스템을 위한 비축형 반사망원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9978A (ja) * 1996-12-25 1998-07-07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20060004364A (ko) * 2004-07-09 2006-01-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댐퍼를 이용한 진동감지장치
KR20080032368A (ko) * 2006-10-09 2008-04-1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9978A (ja) * 1996-12-25 1998-07-07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20060004364A (ko) * 2004-07-09 2006-01-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댐퍼를 이용한 진동감지장치
KR20080032368A (ko) * 2006-10-09 2008-04-1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7070B2 (en) 2010-07-16 2017-05-30 Lg Electronics Inc. Network system
JP2017086801A (ja) * 2015-11-17 2017-05-25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機器
CN109427172A (zh) * 2017-08-23 2019-03-0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设备的强制报警方法
KR102226255B1 (ko) 2020-12-23 2021-03-10 한화시스템(주) 지향성 에너지 무기 시스템
KR102268099B1 (ko) 2020-12-23 2021-06-22 한화시스템(주) 지향성 에너지 무기 시스템의 에너지 유통용 회전 중심축 및 이를 구비한 지향성 에너지 무기 시스템
KR102433017B1 (ko) 2022-01-26 2022-08-18 한화시스템(주) 레이저무기 조준 시스템 및 조준 방법
KR102433018B1 (ko) 2022-02-10 2022-08-18 한화시스템(주) 동축형 레이저무기의 조준 장치
KR102449228B1 (ko) 2022-02-24 2022-09-30 한화시스템(주) 동축형 레이저무기의 조준 시스템
KR102449229B1 (ko) 2022-02-24 2022-09-30 한화시스템(주) 레이저무기 시스템을 위한 비축형 반사망원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494B1 (ko) 201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1224A (ko) 드럼세탁기 안전장치 및 이러한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US11578445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4711819A (zh) 一种带有金属检测器的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2281411A (zh) 一种洗衣机
JP2012090831A (ja) ドラム式洗濯機
WO2015189743A1 (en) Laundry processing device with pause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20214B1 (ko)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JP6820456B2 (ja) 洗濯機
AU201828657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42649B2 (en) Laundry treat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145714B2 (ja) 洗濯機
JP4941462B2 (ja) 洗濯機
CN103614886B (zh) 红外测距式洗衣机
CN107090691A (zh)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JP6063851B2 (ja) 洗濯機
KR101373622B1 (ko) 도어 안전장치를 갖는 드럼세탁기
KR20100070865A (ko) 드럼 세탁기의 진동감지 안전장치
CN112111918B (zh) 一种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
JP2022131417A (ja) 衣類処理装置
KR101211587B1 (ko) 잔수누수 방지장치를 갖는 세탁기
CN103614884B (zh) 防水管断裂洗衣机
JP2001190893A (ja) 洗濯機
JP5197394B2 (ja) 電気洗濯機
KR101092429B1 (ko) 드럼세탁기의 배수시스템
KR20120073572A (ko) 세탁기용 불균형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