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0496A -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0496A
KR20100080496A KR1020097011420A KR20097011420A KR20100080496A KR 20100080496 A KR20100080496 A KR 20100080496A KR 1020097011420 A KR1020097011420 A KR 1020097011420A KR 20097011420 A KR20097011420 A KR 20097011420A KR 20100080496 A KR20100080496 A KR 20100080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pf
regeneration
correction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1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4945B1 (ko
Inventor
히데노부 쯔까다
가즈노리 나까무라
쇼헤이 가미야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0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9/002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of filter regeneration, e.g. detection of clog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9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 F01N13/009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the purifying devices are arranged in a singl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01N3/02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using fuel burner or by adding fuel to exhaust
    • F01N3/025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using fuel burner or by adding fuel to exhaust adding fuel to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3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in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 F01N3/03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in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with catalytic reactors, e.g. catalysed diesel particulate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05General auxiliary catalysts, e.g. upstream or downstream of the main catalyst
    • F01N3/106Auxiliary oxidation cataly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50/00Monitoring or diagnosing the deterioration of exhaust systems
    • F01N2550/04Filtering activity of particulate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60/00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 F01N2560/06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 temperature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60/00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 F01N2560/08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 pressure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60/00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 F01N2560/14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having more than one sensor of one ki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53Sprayers or atomisers; Arrangement thereof in the exhaust apparatus
    • F01N2610/146Control thereof, e.g. control of injectors or inject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4Methods of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0408Methods of control or diagnosing using a feed-back lo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4Methods of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0416Methods of control or diagnosing using the state of a sensor, e.g. of an exhaust gas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14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xhaust g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디젤 엔진(2)의 기동 처리를 행할 때마다 디젤 엔진(2)을 기동하기 전에 제1 및 제2 압력 센서(21, 22) 각각의 검출값(P1, P2)과 미리 정한 기준값(Pref)의 차를 제1 및 제2 보정값(ΔP1, ΔP2)으로서 연산하여 기억하고, 제1 및 제2 압력 센서(21, 22)의 검출값과 제1 및 제2 보정값(ΔP1, ΔP2)을 사용하여 DPF(4)의 전후 차압(P12)을 연산한다. 이에 의해, 필터의 전후 차압의 검출에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높은 센서를 사용하여 필터의 전후 차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디젤 엔진, 기동 처리, 압력 센서, 검출값, 기준값

Description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OF DIESEL ENGINE}
본 발명은, 건설 기계에 탑재되는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터의 전후 차압을 연산하고, 그 전후 차압을 사용하여 필터에 퇴적된 입자상 물질을 소각 제거하는 재생 처리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젤 엔진 등의 내연 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관한 규제는 해마다 강화되어 오고 있으며, 이러한 규제의 강화에 대응하여 배기 가스 필터나, 그 필터에 사용하는 촉매의 기술도 급속하게 진보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젤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이하, 간단히 PM이라고 기재한다)을 저감하는 기술로서, 입자상 물질 제거 필터(Diesel Particulate Filter: 이하, 간단히 DPF라고 기재한다)가 개발되어 있다.
DPF는 디젤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PM을 포집함으로써 대기 중에 배출되는 PM의 양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DPF는 포집되어, 퇴적된 PM을 연소 제거함으로써 포집 능력을 회복한다(DPF의 재생). 통상, DPF에 퇴적된 PM은 어느 일정 이상의 고온의 배기 가스에 노출됨으로써 연소 제거되나(자연 재 생), 디젤 엔진에 대한 부하가 가벼운 경우에는 배기 가스의 온도는 PM의 연소에 필요한 고온에 도달하지 않으므로 DPF는 자연 재생되지 않고, 이 상태를 방치하면 PM이 과도하게 퇴적되어 DPF의 막힘이 발생한다.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일정 시간마다 배기 가스의 온도를 강제적으로 상승시켜 포집되어 있는 PM을 연소 제거하거나, DPF의 전후 차압으로부터 막힘량을 산출하여 막힘이 소정의 양을 초과한 경우에 PM을 강제적으로 연소 제거하거나 하는 것이 필요하다.
DPF의 전후 차압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1에는 1개의 차압 센서에 압력 도입관을 통하여 DPF의 상류측 및 하류측 각각의 압력을 입력하고, DPF의 전후 차압을 검출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2에는 DPF의 상류측 및 하류측 각각에 설치한 압력 센서에 의해 압력을 검출하여, 그 차를 취함으로써 DPF의 전후 차압을 검출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1 : 일본공개특허 제2005-344619호 공보
특허 문헌2 : 일본공개특허 평7-317529호 공보
PM의 퇴적 상황에 대하여, DPF의 재생 시기가 너무 늦은 경우에는 퇴적된 PM이 급속 연소됨으로써 DPF가 용손될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재생 시기가 너무 빠른 경우에는 연비가 악화되므로 PM의 퇴적량의 연산에 사용하는 DPF의 전후 차압의 검출에는 정확성이 요구된다. DPF의 전후 차압 검출에 있어서, 특허 문헌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차압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센서의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통상의 압력 센서와 비교하여 고가이고, 내구성도 상대적으로 낮다. 또한, 특허 문헌2에 기재된 기술과 같이 2개의 압력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센서의 편차에 의해 공차 범위 내에 있어서 센서의 검출값에 오차가 있어 정확한 차압을 측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의 전후 차압의 검출에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높은 센서를 사용하여 필터의 전후 차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젤 엔진의 배기계에 배치되어, 배기 가스 안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는 필터와, 이 필터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압력 센서와, 이 제1 및 제2 압력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의 전후 차압을 연산하는 차압 연산 수단을 갖고, 상기 차압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상기 필터의 전후 차압을 사용하여 상기 필터에 퇴적된 입자상 물질을 소각 제거하는 재생 처리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젤 엔진의 키 스위치의 ON 조작에 의해 상기 디젤 엔진의 기동 처리를 행할 때마다, 상기 디젤 엔진을 기동하기 전에, 상기 제1 및 제2 압력 센서 각각의 검출값과 미리 정한 기준값의 차를 제1 및 제2 보정값으로서 연산하는 보정값 연산 수단과, 상기 보정값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제1 및 제2 보정값을 기억하는 보정값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차압 연산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압력 센서의 검출값과 상기 보정값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1 및 제2 보정값을 사용하여 상기 필터의 전후 차압을 연산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보정값 연산 수단과 보정값 기억 수단을 설치하고, 디젤 엔진의 기동 처리를 행할 때마다 제1 및 제2 압력 센서 각각의 검출값과 미리 정한 기준값의 차를 제1 및 제2 보정값으로서 연산하여, 그 값을 기억하고, 차압 연산 수단이 제1 및 제2 압력 센서의 검출값과 그 제1 및 제2 보정값을 사용하여 필터의 전후 차압을 연산함으로써 제1 및 제2 압력 센서의 편차에 의한 센서의 검출값의 오차가 보정되기 때문에, 2개의 압력 센서(제1 및 제2 압력 센서)를 이용한 경우에도 필터의 전후 차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압력 센서는 통상의 압력 센서이어도 되기 때문에, 차압 센서를 사용할 경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해지고 또한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2)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의 상류측에 설치된 제1 온도 센서와, 상기 필터의 하류측에 설치된 제2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보정값 연산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온도 센서의 검출값의 차가 규정값의 범위 내인 경우에만 상기 보정값을 계산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것으로 한다.
압력 센서는 온도 의존성이 있어, 온도가 변화되면 피측정 압력이 동일해도 압력 센서의 검출값(출력값)이 변화되므로 이 검출값에 근거하여 구하는 보정값도 변화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터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설치한 압력 센서간에 있어서, 동등한 온도 조건으로 압력을 검출하여 보정값을 계산할 수 있으므로, 필터의 전후 차압을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3) 또한,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의 상류측에 설치된 제1 온도 센서와, 상기 필터의 하류측에 배치된 제2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보정값 연산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온도 센서의 검출값이 각각 규정값의 범위 내인 경우에만 상기 보정값을 계산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필터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설치된 압력 센서 각각에 있어서, 미리 정한 온도 조건으로 압력을 검출하여 보정값을 계산할 수 있으므로, 필터의 전후 차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4) 또한,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압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상기 필터의 전후 차압이 소정의 값보다도 클 경우에 상기 필터에 퇴적된 입자상 물질을 소각 제거하는 재생 처리의 개시를 촉구하는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과, 재생 제어 스위치를 갖고, 이 재생 제어 스위치가 조작되면 상기 필터의 재생 처리를 개시하는 수동 재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필터의 입자상 물질의 퇴적 상황을 알고, 그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의 재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5) 또한,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에 퇴적된 입자상 물질을 소각 제거하는 재생 처리를 정기적으로 행하는 자동 재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보정값 연산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한 쪽이 고장난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보정값의 연산을 행하지 않는 동시에, 상기 자동 재생 수단은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간격을 짧게 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압력 센서의 고장으로 필터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압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간격을 짧게 하여 자동으로 필터의 재생 처리를 행하므로, 필터의 막힘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의 전후 차압의 검출에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높은 센서를 사용하여 필터의 전후 차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작업 차량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을 엔진 제어 시스템과 함께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엔진 제어 장치의 처리 기능의 상세를 도시하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 3은 엔진 제어부의 처리 기능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압력 센서 보정 제어부의 연산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DPF 감시 제어부의 연산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DPF 수동 재생 제어부의 연산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DPF 자동 재생 제어부의 연산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엔진 제어 시스템
2 : 엔진
2a : 전자 거버너
3 : 배기관
4 : DPF
4a : 산화 촉매
4b : 필터
5a, 5b : 온도 센서
6a, 6b : 압력 센서
7 : 재생 연료 분사 장치
8 : 엔진 제어 장치
9 : 모니터 제어 장치
10 : 표시부
11 : 차체 제어 장치
12 : 차체 네트워크
20 : 키 SW
21 : 제1 압력 센서
22 : 제2 압력 센서
23 : 제1 온도 센서
24 : 제2 온도 센서
25 : 엔진 회전 센서
26 : 엔진 컨트롤 다이얼
27 : DPS 재생 SW
30 : 키 SW 판정부
31 : 제1 압력 연산부
32 : 제2 압력 연산부
33 : 제1 온도 연산부
34 : 제2 온도 연산부
35 : 엔진 회전 연산부
36 : 엔진 목표 회전 연산부
37 : DPF 재생 SW 판정부
40 : 온도차 연산부
41 : 센서 에러 판정부
42 : 보정값 기억부
43 : 통신부
50 : 엔진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작업 차량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을 엔진 제어 시스템과 함께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참조 부호 2는 디젤 엔진이며, 디젤 엔진(이하, 간단히 엔진이라고 기재한다)(2)은 엔진(2)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전자 거버너(2a)와, 엔진(2)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3)을 구비하고 있다.
참조 부호 100은 엔진 제어 시스템이며, 엔진 제어 시스템(100)은 엔진(2)의 시동을 지시하는 키 SW(20)와, 엔진(2)의 목표 회전수를 지시하는 엔진 컨트롤 다이얼(26)과, 엔진(2)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 센서(25)와, 키 SW(20), 엔진 컨트롤 다이얼(26) 및 엔진 회전 센서(25)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소정의 연산 처 리를 행하여, 전자 거버너(2a)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 장치(8)를 구비하고 있다. 엔진 제어 장치(8)는 차체 네트워크(12)를 통하여 작업 차량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체 제어 장치(11)와 접속되어 각종 정보의 교환을 행한다.
또한, 엔진 제어 시스템(100)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1)은 배기관(3)의 도중에 구비되고, 엔진(2)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PM(Particulate Matter: 이하, 간단히 PM이라고 기재한다)을 포집하는 필터(4b)와 그 상류측에 위치하는 산화 촉매(4a)를 갖는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이하, 간단히 DPF라고 기재한다)(4)와, DPF(4)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배기관(3)의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 및 제2 온도 센서(23, 24)와, DPF(4)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배기관(3)의 내부의 압력을 검출하는 제1 및 제2 압력 센서(21, 22)와, DPF(4)의 재생 제어(후술)를 지시하는 DPF 재생 SW(27)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센서류 및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는 엔진 제어 장치(8)에 입력된다. 엔진 제어 장치(8)는 그들 신호를 기초로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1)으로서의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한다.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1)은, 또한 표시부(10)와, 이 표시부(10)를 제어하는 모니터 제어 장치(9)를 갖고, 모니터 제어 장치(9)는 차체 네트워크(12)에 접속되어 있으며, 엔진 제어 장치(8)의 처리 결과를 기초로 한 각종 정보(후술)가 차체 네트워크(12)를 통하여 모니터 제어 장치(9)로 보내어져, 표시부(10)에 표시된다.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1)은, 또한 엔진 제어 장치(8)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DPF의 상류측에 미연소 연료를 분사하는 재생 연료 분사 장치(7)를 구비하고 있다. 키 SW(20), 엔진 컨트롤 다이 얼(26), DPF 재생 SW(27) 및 표시부(10)는 작업 차량의 운전실(도시하지 않음) 내에 배치되어 있어, 오퍼레이터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는 엔진 제어 장치(8)의 처리 기능의 상세를 도시하는 기능 블럭도이다.
엔진 제어 장치(8)는 키 SW 판정부(30), 제1 압력 센서 출력값 연산부(31), 제2 압력 센서 출력값 연산부(32), 제1 온도 센서 출력값 연산부(33), 제2 온도 센서 출력값 연산부(34), 엔진 회전 연산부(35), 엔진 목표 회전 연산부(36), DPF 재생 SW 판정부(37), 온도차 연산부(40), 센서 에러 판정부(41), 보정값 기억부(42), 엔진 제어부(50), 통신부(43)의 각종 기능을 갖고 있다.
키 SW 판정부(30) 및 DPF 재생 SW 판정부(37)는, 각각 키 SW(20) 및 DPF 재생 SW(27)로부터의 각 스위치 신호를 입력하고, 그 판정 결과를 각각 엔진 제어부(50)에 입력한다.
제1 압력 연산부(31) 및 제2 압력 연산부(32)는 각각 제1 압력 센서(21) 및 제2 압력 센서(22)로부터의 각 신호를 입력하고, 그 연산 결과를 각각 제1 압력 및 제2 압력으로서 엔진 제어부(50)에 입력한다.
제1 온도 연산부(33) 및 제2 온도 연산부(34)는, 각각 제1 온도 센서(23) 및 제2 온도 센서(24)로부터의 각 신호를 입력하고, 그 연산 결과를 각각 제1 온도 및 제2 온도로서 온도차 연산부(40) 및 엔진 제어부(50)에 입력한다.
엔진 회전 연산부(35)는 엔진 회전 센서(25)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고, 그 연산 결과(엔진 회전수)를 엔진 제어부(50)에 입력한다.
엔진 목표 회전 연산부(36)는 엔진 컨트롤 다이얼(26)로부터의 전압 신호를 입력하고, 그 연산 결과(엔진 목표 회전수)를 엔진 제어부(50)에 입력한다.
또한, 센서 에러 판정부(41)는 제1 압력 연산부(31), 제2 압력 연산부(32), 제1 온도 연산부(33), 제2 온도 연산부(34) 및 엔진 회전 연산부(35)로부터의 각종 신호를 입력하고, 이들 신호에 기초하여 센서(21 내지 25)의 에러 판정을 행하여 그 판정 결과를 엔진 제어부(50)에 입력한다.
보정값 기억부(42)는 엔진 제어부(50)에 의해 연산된 제1 및 제2 압력 센서(21, 22)의 보정값(후술)을 기억한다.
통신부(43)는 차체 네트워크(12)를 통하여 모니터 제어 장치(9) 및 차체 제어 장치(11)와 접속되어 있으며, 엔진 제어부(50)로부터의 정보를 모니터 제어부(9) 및 차체 제어 장치(11)로 송신하거나, 모니터 제어부(9) 및 차체 제어 장치(11)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여 엔진 제어부(50)에 입력하거나 한다.
도 3은 엔진 제어부(50)의 처리 기능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엔진 제어부(50)는 압력 센서 보정 제어부(50a), DPF 감시 제어부(50b), 엔진 회전 제어부(50c), DPF 수동 재생 제어부(50d), DPF 자동 재생 제어부(50e)의 각종 기능을 갖고 있다.
압력 센서 보정 제어부(50a)는, 키 SW 판정부(30)의 판정 결과, 제1 압력 연산부(31), 제2 압력 연산부(32), 제1 온도 연산부(33), 제2 온도 연산부(34), 온도차 연산부(40)의 연산 결과 및 센서 에러 판정부(41)의 판정 결과를 입력하고,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여 보정값 기억부(42), 통신부(43), 엔진 회전 제어부(50c) 및 DPF 자동 재생 제어부(50e)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DPF 감시 제어부(50b)는 제1 압력 연산부(31)와 제2 압력 연산부(32)의 연산 결과 및 보정값 기억부(42)에 기억된 보정값을 입력하고,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여 통신부(43) 및 DPF 수동 재생 제어부(50d)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엔진 회전 제어부(50c)는 키 SW 판정부(30)의 판정 결과, 엔진 회전 연산부(35)와 엔진 목표 회전 연산부(36)의 연산 결과 및 압력 센서 보정 제어부(50a)와 DPF 수동 재생 제어부(50d)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하고, 전자 거버너(2a)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DPF 수동 재생 제어부(50d)는, DPF 감시 제어부(50b)로부터의 제어 신호 및 DPF 재생 SW 판정부(37)의 판정 결과를 입력하고,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여 엔진 회전 제어부(50c) 및 재생 연료 분사 장치(7)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DPF(4)의 재생 제어를 행한다(후술). DPF 자동 재생 제어부(50e)는, 압력 센서 보정 제어부(50a)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하고, 이 제어 신호에 따라 엔진 회전 제어부(50c) 및 재생 연료 분사 장치(7)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DPF 수동 재생 제어부(50e)와 마찬가지로 DPF(4)의 재생 제어를 행한다.
도 3에 도시한 압력 센서 보정 제어부(50a), DPF 감시 제어부(50b), DPF 수동 재생 제어부(50d), DPF 자동 재생 제어부(50e)의 연산 처리의 상세를 도 4 내지 도 7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압력 센서 보정 제어부(50a)의 연산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압력 센서 보정 제어부(50a)는, 키 SW(20)가 OFF로부터 ON으로 절환되면 엔진(2)의 기동 처리로서 도 4에 도시하는 연산 처리를 행한다. 우선, 센서 에러 판정부(41)의 판정 결과로부터 센서류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1OO), 판 정 결과가 "예"이면 엔진 회전 연산부(35)의 연산 결과로부터 엔진(2)이 정지 중인지의 여부와, 온도차 연산부(40)의 연산 결과로부터 DPF(4)의 전후 온도차가 일정 범위 내(예를 들어, 0 내지 3℃)에 있는지의 여부와, 제1 및 제2 온도 연산부(33, 34)의 연산 결과로부터 DPF(4)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온도의 양쪽이 보정 가능 범위 내(예를 들어, 10 내지 30℃)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102, S104, S106), 모든 판정 결과가 "예"이면 제1 및 제2 압력 센서(21, 22)의 검출값을 보정하는 보정값(ΔP1, ΔP2)을 산출한다(스텝 S108, S110). 이 보정값(ΔP1, ΔP2)은 제1 및 제2 압력 센서(21, 22)의 검출값(P1, P2)과 제1 및 제2 압력 센서(21, 22)의 기준 출력값(Pref)의 차이며,
보정값 ΔP1=검출값 P1-기준 출력값 Pref
보정값 ΔP2=검출값 P2-기준 출력값 Pref
의 계산에 의해 산출된다. 제1 및 제2 압력 센서(21, 22)의 기준 출력값(Pref)은 배기관(3) 내의 압력이 주위 대기압과 동일 압력일 때의 제1 및 제2 압력 센서(21, 22)의 출력값의 설계값이다. 즉, 제1 및 제2 압력 센서(21, 22)는 측정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왜곡 게이지를 점착한 다이어프램의 편측에 압력 도입실을 설치하여 피측정 압력을 도입하고, 반대측을 대기압으로 개방함으로써 대기압에 대한 피측정압의 상대압을 검출하는 것이며, 스텝 S108, S110에서는 다이어프램의 편측에 도입되는 피측정 압력이 대기압과 동일한 경우의 압력을 상대압(P1, P2)으로서 검출하여, 그 값과 그 설계값(통상 O)의 차를 보정값(ΔP1, ΔP2)으로서 산출하는 것이다.
다음에, 그 2개의 보정값(ΔP1, ΔP2)이 미리 정한 보정 가능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112), 판정 결과가 "예"이면, 그 2개의 보정값(ΔP1, ΔP2)을 보정값 기억부(42)에 기억하고(스텝 S114), 그 후 통상 엔진 제어를 행한다(스텝 S120). 보정값(ΔP1, ΔP2)이 보정 가능 범위인지의 여부란, 그들의 값이 설계값에 대하여 공차(설계상의 허용 오차)의 범위 내인지의 여부라고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스텝 S102, S104, S106, S112 중 적어도 1개의 스텝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보정 범위 외 경고 처리를 행하고(스텝 S118), 그 후 통상 엔진 제어를 행한다(스텝 S120). 또한, 스텝 S100에서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센서 이상 경고 처리와 보정 범위 외 경고 처리를 행하고(스텝 S116, S118), 그 후 통상 엔진 제어를 행한다(스텝 S120).
스텝 S116에서 도시한 센서 이상 경고 처리에서는, 제어 신호로서 센서 이상 경고 신호를 DPF 자동 재생 제어부(50e)로 출력하는 동시에, 통신부(43) 및 차체 네트워크(12)를 통하여 모니터 제어 장치(9)로 센서 이상 경고 신호를 송신하고, 모니터 제어 장치(9)는 그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부(10)에 센서 이상 경고를 표시한다. 또한, 스텝 S118에서 도시한 보정 범위 외 경고 처리에서는 통신부(43) 및 차체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니터 제어 장치(9)로 보정 범위 외 경고 신호를 송신하고, 모니터 제어 장치(9)는 그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부(10)에 보정 범위 외 경고를 표시한다.
도 5는 DPF 감시 제어부(50b)의 연산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DPF 감시 제어부(50b)는, 우선 제1 및 제2 압력 센서(21, 22)의 검출값(P1, P2)을 입력하고(스텝 S200), 이 검출값(P1, P2)과 보정값 기억부(42)로부터 판독한 보정값(ΔP1, ΔP2)을 사용하여 하기의 연산을 행하여 보정 압력(P11, P22)을 연산한다(스텝 S202).
보정 압력 P11=P1-ΔP1
보정 압력 P22=P2-ΔP2
계속해서, 보정 압력(P11)으로부터 보정 압력(P22)을 빼서 차압[DPF(4)의 전후 차압](P12)을 계산한다(스텝 S204). 다음에, 차압(P12)이 미리 정한 제1 기준 차압(Pc)보다도 큰지의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206), 판정 결과가 "예"이면 오퍼레이터에 수동 재생 제어의 개시를 촉구하는 DPF 수동 재생 경고를 표시부(10)에 표시하고(스텝 S208), 차압(P12)을 DPF 수동 재생 제어부로 출력하고(스텝 S210),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차압(P12)을 DPF 수동 재생 제어부로 출력하고(스텝 S210), 처리를 종료한다. DPF 감시 제어부(50b)는, 도 5에 도시한 연산 처리를 정기적(예를 들어 0.1초마다)으로 행하고 있다.
도 6은 DPF 수동 재생 제어부(50d)의 연산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DPF 수동 재생 제어부(50d)는, 우선 DPF 재생 SW(27)가 ON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300),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그 처리를 반복하고, 판정 결과가 "예"이면, 도 5의 스텝 S210에서 출력된 DPF 감시 제어부(50b)로부터의 DPF(4)의 전후 차압(P12)이 제1 기준 차압(Pc)보다도 큰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02). 판정 결과가 "예"이면, DPF 재생 제어를 행하고(스텝 S304), 또한 차압(P12)이 제2 기준 차압(Pc2)보다도 큰지의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306), 판정 결과가 "예"이면 다시 스텝 S304, S306의 처리를 행하고, 스텝 S306의 판정 결과가 "아니오"가 되면, DPF 재생 제어를 종료하고, 통상 엔진 제어를 행한다(스텝 S308). 또한, 스텝 S302에 있어서,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마찬가지로 DPF 재생 제어를 종료하고, 통상 엔진 제어를 행한다(스텝 S308). DPF 재생 제어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강제적으로 상승시켜 필터(4b)에 포집되어 있는 PM을 연소 제거하는 제어이다. 예를 들어, 엔진(2)의 회전수를 소정의 회전수(예를 들어 1800rpm)로 유지하고, 배기 가스의 온도를 상승시켜 이 상태로 재생 연료 분사 장치(7)에 의해 배기관(3) 내로 미연소 연료를 분사하고, 이 연료를 DPF(4) 내의 산화 촉매(4a)로부터 연소시켜 이 연소열에 의해 필터(4b)에 포집된 PM을 연소 제거한다.
도 7은 DPF 자동 재생 제어부(50e)의 연산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DPF 자동 재생 제어부(50e)는, 우선 압력 센서 보정 제어부(50a)로부터 센서 이상 경고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400),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기준 시간(Ta=Ta1)을 설정하고(스텝 S402), 판정 결과가 "예"이면 기준 시간(Ta=Ta2)을 설정한다(스텝 S404). 다음에, 전회 DPF 재생 제어를 행하고 나서의 시간(T1)이 기준 시간(Ta)을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406),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스텝 S406의 판정 처리를 다시 행한다. 스텝 S406에 있어서, 판정 결과가 "예"이면 DPF 재생 제어를 개시하고(스텝 S408), 계속하여 DPF 재생 제어를 개시하고나서의 시간(T2)이 미리 설정한 시간(Tb)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410), 판정 결과가 "아니오"이면 DPF 재생 제어를 속행하여 다시 스텝 S410의 판정을 행하고(스텝 S408, S410), 스텝 S410의 판정 결과가 "예" 이면 DPF 재생 제어를 종료하여 통상 엔진 제어를 행한다(스텝 S412).
이상에 있어서, 엔진 제어부(50)의 압력 센서 보정 제어부(50a)는, 엔진(2)의 키 스위치(20)의 ON 조작에 의해 엔진(2)의 기동 처리를 행할 때마다 엔진(2)을 기동하기 전에, 제1 및 제2 압력 센서(21, 22) 각각의 검출값과 미리 정한 기준값의 차를 제1 및 제2 보정값으로서 연산하는 보정값 연산 수단을 구성하고, 보정값 기억부(42)는 보정값 연산 수단[압력 센서 보정값 제어부(50a)]에 의해 연산된 제1 및 제2 보정값을 기억하는 보정값 기억 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DPF 감시 제어부(50b)는 제1 및 제2 압력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필터의 전후 차압을 연산하는 차압 연산 수단을 구성하고, 또한 그 차압 연산 수단은 제1 및 제2 압력 센서의 검출값과 상기 보정값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1 및 제2 보정값을 사용하여 필터의 전후 차압을 연산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엔진 기동 시>
오퍼레이터가 키 SW(20)를 OFF로부터 ON으로 절환하면 키 SW 판정부(30)가 키 SW(20)의 ON을 판정하여 그 판정 결과가 엔진 제어부(50)의 압력 센서 보정 제어부(50a)로 입력된다. 압력 센서 보정 제어부(50a)는 그 판정 결과를 받아, 엔진(2)의 기동 처리를 하여 도 4에 도시한 연산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센서류(21, 22, 23, 24, 25)가 모두 정상이고, 엔진(2)이 정지 중이며, DPF(4)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배기 가스[배기관(3) 내]의 온도가 미리 정한 규정값의 범위 내이며, DPF(4)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배기 가스[배기관(3) 내]의 온도차가 미리 정한 규정값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 제1 및 제2 압력 센서(21, 22)의 보정값(ΔP1, ΔP2)이 산출되고(도 4의 스텝 S100→S102→S104→S106), 이 보정값이 미리 정한 규정값의 범위 내이면 그 보정값이 보정값 기억부(42)에 기억되고(도 4의 스텝 S112, S114), 그 후 통상의 엔진의 2의 기동 제어가 행해진다(도 4의 스텝 S120). 또한, 센서류(21, 22, 23, 24, 25) 중 어느 1개라도 정상이 아닌 경우, DPF(4)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배기 가스[배기관(3) 내]의 온도가 미리 정한 규정값의 범위 내가 아닐 경우, DPF(4)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배기 가스[배기관(3) 내]의 온도차가 미리 정한 규정값의 범위 내가 아닌 경우에는 보정 범위 외 경고가 표시부(10)에 표시되어 통상 엔진 제어를 행한다(도 4의 스텝 S118, S120). 또한, 센서류(21, 22, 23, 24, 25)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센서 이상 경고가 표시부(10)에 표시되고, 또한 DPF(4)의 자동 재생 제어 처리부(도시하지 않음)에 센서 이상 경고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그 후 엔진 기동 제어를 행한다(도 4의 스텝 S116, S118, S120).
이와 같이, DPF(4)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배치한 압력 센서(21, 22) 각각에 대하여 보정값(ΔP1, ΔP2)을 산출하고, 이 보정값을 사용하여 압력 센서(21, 22)의 검출값(P1, P2)을 보정하므로 보다 정확한 검출값(P11, P22)을 얻을 수 있다.
또한, DPF(4)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온도차가 규정값의 범위 내일 경우에만 압력 센서(21, 22)의 보정값(ΔP1, ΔP2)을 산출한다. 여기서, 압력 센서(21, 22)는 온도 의존성이 있어, 압력 센서(21, 22)의 검출값(P1, P2)은 온도에 따라 변화되고, 이 검출값을 사용하여 산출되는 보정값(ΔP1, ΔP2)도 온도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DPF(4)의 전후 온도차가 규정의 범위 내인 경우(동등한 온도 조건일 경우)에만 보정값(ΔP1, ΔP2)을 산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검출값(P11, P22)을 얻을 수 있다.
또한, DPF(4)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배치한 압력 센서(21, 22) 각각의 온도가 미리 정한 온도 조건일 경우에만 검출값(P1, P2)을 검출하여 보정값(ΔP1, ΔP2)을 산출하므로, 보다 정확한 검출값(P11, P22)을 얻을 수 있다.
<통상 작동 시>
1. DPF 감시 제어
엔진 기동 후의 통상 작동 시에는 DPF 감시 제어부(50b)에 의해 DPF(4)의 전후 차압(P12)이 연산되어 감시되고 있다. 여기서, DPF 감시 제어부(50b)는 엔진 기동 시에 연산한 압력 센서(21, 22)의 보정값(ΔP1, ΔP2)을 보정값 기억부(42)로부터 판독하고, 이 보정값(ΔP1, ΔP2)을 사용하여 압력 센서(21, 22)의 검출값(P1, P2)을 보정하여 압력(P11, P22)을 산출하고, 이 압력(P11, P22)을 사용하여 DPF(4)의 전후 차압(P12)을 산출한다(도 5의 스텝 S200 내지 S204). 이와 같이, 보정값(ΔP1, ΔP2)을 사용하여 검출값(P1, P2)을 보정하고, 보정 후의 압력(P11, P22)을 사용하여 DPF(4)의 전후 차압(P12)을 산출하므로, DPF(4)의 전후 차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전후 차압(P12)과 미리 정한 제1 기준 차압(Pc)을 비교하여 전후 차압(P12)이 제1 기준 차압(Pc)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전후 차압(P12)이 제1 기준 차압(Pc)보다도 큰 경우에는 DPF(4)의 PM 퇴적량이 규정값을 초과했다고 해도 표시부(10)에 수동 재생 경고를 표시하여 오퍼레이터 에게 수동 재생의 개시를 촉구한다(도 5의 스텝 S206, S208). 이 스텝 S200 내지 S210의 처리는 정기적(예를 들어 0.1초마다)으로 실행되고 있다.
2. DPF 자동 재생 제어
엔진 기동 후의 통상 동작 시에는 상술한 DPF 감시 제어부(50b)에 의한 DPF 감시 제어와 평행하게 DPF 수동 재생 제어부(50e)에 의해 DPF(4)의 자동 재생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자동 재생 제어부(50e)는 센서 이상 경고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통상 시에는 PM의 퇴적량이나 그 밖의 조건에 의하지 않고, 정기적(예를 들어 3시간마다)으로 DPF(4)의 재생 제어를 행한다. 센서 이상 경고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DPF(4)의 재생 제어를 실행하는 간격을 짧게 하여(예를 들어 2시간마다), 이 시간마다 DPF(4)의 재생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DPF(4)의 PM의 퇴적 상태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는 경우(센서 이상 시)에 있어서도, PM이 퇴적되어 막히는 것에 의한 PM 포집 능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PM의 퇴적량에 대하여 DPF(4)의 재생 처리가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PM의 급속 연소에 의한 DPF(4)의 용손을 방지할 수 있다.
3. DPF 수동 재생 제어
엔진 기동 후에 있어서, DPF 감시 제어부(50b)에 의해 표시부(10)에 수동 재생 경고가 표시된 경우, 오퍼레이터는 DPF 재생 SW(27)를 눌러 수동 재생 제어부(50d)를 제어함으로써 DPF(4)의 재생 제어를 행한다.
오퍼레이터가 DPF 재생 SW(27)를 누르면 DPF(4)의 재생 제어가 개시되어, DPF(4)의 전후 차압(P12)이 미리 정한 제2 기준 차압(Pc2)보다도 작아질 때까지, 즉 DPF(4)에 퇴적된 PM이 제거되었다고 판단하는 기준 차압보다도 작아질 때까지 DPF 재생 제어를 계속하다가, 이 조건을 만족하면 DPF 재생 제어를 종료한다(도 6의 스텝 S300 내지 S310).
표시부(10)에 수동 재생 경고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 오퍼레이터가 DPF 재생 SW(27)를 누르면 DPF 재생 제어는 개시되지 않는다(도 6의 스텝 S302, S308).
이와 같이, 오퍼레이터는 수동 재생 경고에 의해 DPF(4)의 재생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어, DPF(4)의 수동 재생을 개시할 수 있으므로, PM이 퇴적되어 막히는 것에 의한 PM 포집 능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PM의 퇴적량에 대하여 DPF(4)의 재생 처리가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PM의 급속 연소에 의한 DPF(4)의 용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압력 센서 보정 제어부(50a)에 의해 연산되어, 보정값 기억부(42)에 기억된 제1 및 제2 보정값을 사용하여, DPF(4)의 상류측 및 하류측 각각에 설치한 압력 센서(21, 22)에 의해 검출된 압력(P1, P2)을 보정하고, 그 보정 후의 압력(P11, P22)에 기초하여 DPF(4)의 전후 차압(P12)을 산출하므로, 2개의 압력 센서(제1 및 제2 압력 센서)를 이용한 경우에도 DPF(4)의 전후 차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압력 센서(21, 22)는 통상의 압력 센서이어도 되기 때문에, 차압 센서를 사용할 경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해지고, 또한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DPF(4)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설치된 압력 센서(21, 22) 주위의 온도 차가 미리 정한 규정값의 범위 내인 경우에만 제1 및 제2 보정값(ΔP1, ΔP2)을 연산하므로, 압력 센서(21, 22)의 주위 온도의 차이에 의한 보정값(ΔP1, ΔP2)의 상대적인 오차를 억제할 수 있어 DPF(4)의 전후 차압을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DPF(4)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설치된 압력 센서(21, 22)의 주위 온도가, 각각 미리 정한 원하는 범위 내인 경우에만 제1 및 제2 보정값(ΔP1, ΔP2)을 연산하므로, 보정값(ΔP1, ΔP2)의 오차를 억제할 수 있어 DPF(4)의 전후 차압을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DPF 감시 제어부(50b)에 의해 DPF(4)의 전후 차압(P12)을 측정하여, 그 전후 차압(P12)이 미리 정한 소정의 값보다도 커진 경우, 즉 PM의 퇴적에 의해 DPF(4)의 재생 처리가 필요하게 된 경우에는 표시부(10)의 표시에 의해 오퍼레이터에게 재생 처리의 개시를 재촉하여 오퍼레이터는 그것을 보고 DPF(4)의 수동 재생을 개시하므로, PM의 퇴적 상태에 따른 적절한 타이밍으로 DPF(4)의 재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불필요한 재생 처리를 행하는 일이 없게 되므로 연비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PM이 과도하게 퇴적된 상태에서의 재생 처리에 의한 DPF(4)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DPF 자동 재생 제어부(50e)는 DPF(4)의 재생 처리를 정기적으로 행하는 동시에, 제1 및 제2 압력 센서(21, 22) 중 적어도 한 쪽이 고장난 경우에는 자동 재생 처리를 행하는 간격을 짧게 하므로 압력 센서(21, 22)의 고장에 의해 필터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압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필터의 막힘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디젤 엔진(2)의 배기계에 배치되어, 배기 가스 안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는 필터(4)와, 이 필터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압력 센서(21, 22)와, 이 제1 및 제2 압력 센서의 검출값(P1, P2)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의 전후 차압(P12)을 연산하는 차압 연산 수단(50b)을 갖고, 상기 차압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상기 필터의 전후 차압을 사용하여 상기 필터에 퇴적된 입자상 물질을 소각 제거하는 재생 처리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젤 엔진의 키 스위치(20)의 ON 조작에 의해 상기 디젤 엔진의 기동 처리를 행할 때마다, 상기 디젤 엔진을 기동하기 전에, 상기 제1 및 제2 압력 센서 각각의 검출값과 미리 정한 기준값(Pref)의 차를 제1 및 제2 보정값(ΔP1, ΔP2)으로서 연산하는 보정값 연산 수단(50b)과,
    상기 보정값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제1 및 제2 보정값을 기억하는 보정값 기억 수단(42)을 구비하고,
    상기 차압 연산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압력 센서의 검출값과 상기 보정값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1 및 제2 보정값을 사용하여 상기 필터의 전후 차압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4)의 상류측에 설치된 제1 온도 센서(23)와,
    상기 필터의 하류측에 설치된 제2 온도 센서(24)를 구비하고,
    상기 보정값 연산 수단(50a)은 상기 제1 및 제2 온도 센서의 검출값의 차가 규정값의 범위 내인 경우에만 상기 보정값(ΔP1, ΔP2)을 계산하여 상기 보정값 기억 수단(42)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4)의 상류측에 설치된 제1 온도 센서(23)와,
    상기 필터의 하류측에 배치된 제2 온도 센서(24)를 구비하고,
    상기 보정값 연산 수단(50a)은, 상기 제1 및 제2 온도 센서의 검출값이 각각 규정값의 범위 내인 경우에만 상기 보정값(ΔP1, ΔP2)을 계산하여 상기 보정값 기억 수단(42)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압 연산 수단(50b)에 의해 연산된 상기 필터(4)의 전후 차압(P12)이 소정의 값(Pc)보다도 큰 경우에 상기 필터에 퇴적된 입자상 물질을 소각 제거하는 재생 처리의 개시를 촉구하는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10)과,
    재생 제어 스위치(27)를 갖고, 이 재생 제어 스위치가 조작되면 상기 필터의 재생 처리를 개시하는 수동 재생 수단(50d)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4)에 퇴적된 입자상 물질을 소각 제거하는 재생 처리를 정기적으로 행하는 자동 재생 수단(50e)을 구비하고,
    상기 보정값 연산 수단(50a)은, 상기 제1 및 제2 압력 센서(21, 22) 중 적어도 한 쪽이 고장난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보정값(ΔP1, ΔP2)의 연산을 행하지 않는 동시에,
    상기 자동 재생 수단은,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간격을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
KR1020097011420A 2007-10-04 2008-07-17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 KR101414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60998A JP5001778B2 (ja) 2007-10-04 2007-10-04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JP-P-2007-260998 2007-10-04
PCT/JP2008/062959 WO2009044581A1 (ja) 2007-10-04 2008-07-17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496A true KR20100080496A (ko) 2010-07-08
KR101414945B1 KR101414945B1 (ko) 2014-07-04

Family

ID=40526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420A KR101414945B1 (ko) 2007-10-04 2008-07-17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02386B2 (ko)
EP (1) EP2199552B1 (ko)
JP (1) JP5001778B2 (ko)
KR (1) KR101414945B1 (ko)
CN (1) CN101568702B (ko)
WO (1) WO20090445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8330A (ko) * 2011-09-09 2013-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가스 정화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1436B2 (ja) * 2008-08-26 2012-12-19 ヤンマー株式会社 ディーゼルエンジン
US20100212299A1 (en) * 2009-02-25 2010-08-26 Jacob George Methods for determining when to regenerate exhaust gas particulate filters
JP5135286B2 (ja) * 2009-05-21 2013-02-06 日立建機株式会社 排気浄化システム
JP5388743B2 (ja) * 2009-08-07 2014-01-15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の表示装置
JP5155979B2 (ja) * 2009-10-21 2013-03-06 ヤンマー株式会社 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5271300B2 (ja) * 2010-03-19 2013-08-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表示装置
DE102010043135A1 (de) * 2010-10-29 2012-05-03 Deere & Company Hydraulische Anordnung
US9080494B2 (en) * 2011-06-07 2015-07-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articulate filter monitoring methods and systems
US9151015B2 (en) 2012-01-13 2015-10-0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DE102012203097B3 (de) * 2012-02-29 2013-04-1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stimmen eines Fehlers einer Druckmessung in einem Druckbehälter
US9109481B2 (en) 2012-05-24 2015-08-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to control and diagnose an exhaust gas heat exchanger
US8959904B2 (en) * 2012-05-24 2015-02-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to control and diagnose an exhaust gas heat exchanger
WO2013191698A1 (en) * 2012-06-21 2013-12-27 Mack Trucks, Inc.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ly frequent diesel particulate filter regeneration, engine and exhaust after treatment system, and warning system and method
JP5907123B2 (ja) 2012-07-13 2016-04-20 井関農機株式会社 スート堆積演算表示装置
US8966882B2 (en) * 2012-09-12 2015-03-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ifferential pressure-based enablement of a particulate filter diagnostic
US10207567B2 (en) * 2012-10-19 2019-0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ter core isolation valve position detection
JP2015010478A (ja) * 2013-06-26 2015-01-19 ヤンマー株式会社 農作業車
EP2818658B1 (en) 2013-06-27 2016-03-23 Iseki & Co., Ltd. Soot deposition calculating display device
US20150020504A1 (en) * 2013-07-19 2015-01-22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Exhaust flow estimation
US9074507B2 (en) * 2013-08-07 2015-07-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vent-based deviation integration temperature control loop diagnostic system
US9328639B2 (en) * 2013-09-10 2016-05-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generation system to regenerate a particulate filter based on code clear diagnostic signal
DE102013018978B4 (de) * 2013-11-14 2024-05-23 Man Truck & Bus Se Verfahren zur Simulation des Betriebs eines Verbrennungsmotor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6319034B2 (ja) * 2014-10-10 2018-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ィルタ検査装置、フィルタ検査方法
JP6401811B2 (ja) * 2017-03-15 2018-10-10 Kyb株式会社 流体性状検出装置
US11333056B2 (en) * 2019-07-15 2022-05-17 Fca Us Llc Gasoline particulate filter brick detection techniques
JP7431960B2 (ja) 2020-05-27 2024-02-15 日立Astemo株式会社 内燃機関制御装置
CN114235271B (zh) * 2021-11-12 2024-01-12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压差传感器的露点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和设备
CN115013131B (zh) * 2022-07-26 2023-11-17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dpf状态监测方法、装置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0917U (ja) * 1982-12-24 1984-07-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微粒子処理装置
JPH04272419A (ja) * 1991-02-26 1992-09-29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フィルタ再生制御装置
JPH07317529A (ja) 1994-05-20 1995-12-05 Nippondenso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2002227631A (ja) * 2000-11-29 2002-08-14 Ibiden Co Ltd 排気ガス浄化装置、排気ガス浄化装置に用いられるフィルタの再生時期判断方法、排気ガス浄化装置用フィルタの再生時期判断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格納する記録媒体
JP2002364439A (ja) * 2001-06-07 2002-12-18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4244652B2 (ja) * 2003-02-13 2009-03-25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2005155444A (ja) * 2003-11-26 2005-06-16 Hino Motors Ltd 排気浄化装置
JP3900153B2 (ja) * 2003-12-26 2007-04-04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4341460B2 (ja) * 2004-04-20 2009-10-07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排気ガス浄化装置
JP4470593B2 (ja) 2004-06-03 2010-06-02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3824003B2 (ja) * 2005-02-24 2006-09-20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US7546762B2 (en) * 2005-09-01 2009-06-16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Acute angle pressure sensor probe and method
JP4534955B2 (ja) * 2005-11-04 2010-09-01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4534969B2 (ja) * 2005-11-25 2010-09-01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排気浄化装置
JP4591389B2 (ja) * 2006-03-16 2010-12-01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排気浄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8330A (ko) * 2011-09-09 2013-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가스 정화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68702A (zh) 2009-10-28
KR101414945B1 (ko) 2014-07-04
EP2199552B1 (en) 2017-03-01
US8302386B2 (en) 2012-11-06
WO2009044581A1 (ja) 2009-04-09
EP2199552A4 (en) 2015-05-20
JP2009091915A (ja) 2009-04-30
EP2199552A1 (en) 2010-06-23
JP5001778B2 (ja) 2012-08-15
US20100058743A1 (en) 2010-03-11
CN101568702B (zh)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0496A (ko)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
KR100588897B1 (ko) 배기 가스 정화 장치
US7168244B2 (en) Control method for an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and an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US8181449B2 (en) Control method of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and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KR100605836B1 (ko) 필터 제어 장치
US8429904B2 (en) Working machine
EP2037090B1 (en) Particulate filter failure detecting system
US20090145111A1 (en) Problem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in exhaust purifying apparatus
CN103122784B (zh) 控制压缩点火发动机的后处理构件中的再生的方法
JP4270175B2 (ja) パティキュレート堆積量推定装置
JP2007182849A (ja) 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再生処理時の過燃焼検出方法
EP1929136B1 (fr) Systeme de regeneration d&#39;un filtre a particules catalytique situe dans la ligne d&#39;echappement d&#39;un moteur diesel
JP2789921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3243418B2 (ja) 排気ガスフィルタの再生処理装置
US8180555B2 (en) Procedure and device for a pressure determination
JP4349219B2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3900153B2 (ja)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2019105181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H0559931A (ja) デイーゼル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4483394B2 (ja) 排気浄化装置
CN115503598A (zh) 再生过程驾驶员提示系统、方法、存储介质以及车辆
JP3608255B2 (ja) 内燃機関の排気ガス浄化装置の目詰まり検出方法
JP2005061363A (ja) 排気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