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9924A -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 Google Patents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9924A
KR20100079924A KR1020080138522A KR20080138522A KR20100079924A KR 20100079924 A KR20100079924 A KR 20100079924A KR 1020080138522 A KR1020080138522 A KR 1020080138522A KR 20080138522 A KR20080138522 A KR 20080138522A KR 20100079924 A KR20100079924 A KR 20100079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delay
rotation
plat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5296B1 (ko
Inventor
양홍익
안길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8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296B1/ko
Priority to US12/641,838 priority patent/US8119942B2/en
Priority to EP09180173.8A priority patent/EP2204827B1/en
Priority to ES09180173.8T priority patent/ES2587606T3/es
Priority to CN2009102657483A priority patent/CN101770905B/zh
Publication of KR20100079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spring motor
    • H01H3/3005Charging means
    • H01H3/3026Charging means in which the closing spring charges the opening spring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spring motor
    • H01H3/3005Charging means
    • H01H3/3015Charging means using cam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66Power reset mechanisms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의 차단에 사용되는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는 투입동작 및 차징동작을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로서, 플레이트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투입 스프링,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투입 스프링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투입 스프링의 신축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레버,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캠,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레버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복수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기구, 플레이트의 측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링크기구의 작동에 의해 터미널과 접촉되는 가동 접촉자, 및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투입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한 캠의 회전력을 감쇠시키는 캠 지연기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캠 지연기구에 의해 캠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여 링크기구에 토글작용이 안정적으로 완전하게 이루어지고, 투입 스프링의 복원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작동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차징, 투입, 스프링, 캠, 지연기구

Description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CIRCUIT BREAKER HAVING DELAYING FUNCTION FOR A ROTATION OF CAM}
본 발명은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되는 캠에 의해 부하 측에 대한 ON/OFF 작동을 기구적으로 수행하는 상태에서 캠의 회전으로 인하여 투입동작이 완료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차단기는 전원 측과 부하 측 사이의 선로를 선택적으로 온, 오프, 과부하, 단락사고, 누전 및 감전 발생시 선로를 차단하는 장치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42291호에는 회로 차단기에 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4229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회로 차단기는 투입 스프링에 탄성에너지를 축적시키는 차징 동작과, 투입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가동 접촉자를 터미널에 접속시키는 투입동작 및 가동 접촉자를 터미널로부터 분리시키는 차단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차징동작은 가동 접촉자가 터미널로부터 분리된 차단상태에서, 수동 또는 자동에 의한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캠이 회전하게 되고, 캠의 회전에 따라 캠 에 접촉되는 구동레버가 회전되고, 구동레버의 회전에 의해 투입 스프링이 압축이 되는 과정으로 수행된다.
또한, 투입동작은 투입 스프링의 탄성에너지가 개폐기구부의 각 링크기구들을 통하여 전달되어 제3링크와 연결된 개폐축이 회전되고, 개폐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레그에 의해 터미널 측으로 뻗어지는 가동 접촉자가 터미널에 접촉되어 전류가 통전되는 과정으로 수행된다. 투입동작 과정에서 레그의 하부에 설치된 차단 스프링의 연결축이 터미널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차단 스프링은 인장된다.
이때, 차단동작은 투입동작 시 인장된 차단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레그가 반대로 회전되고 가동접촉자가 터미널로부터 이격되어 원래 상태로 복귀되는 과정으로 수행된다.
여기서, 링크기구는 제1링크, 제2링크 및 제3링크를 포함하는 토글기구로서, 터미널에 대한 가동 접촉자의 투입동작 시에 발생되는 반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토글 동작을 수행한다. 제1링크와 제2링크는 제1회전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2링크와 제3링크는 제2회전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회로 차단기의 차징동작을 참조하면, 투입과정에서 투입 스프링이 압축될 때, 투입 스프링의 복원력은 구동레버와 캠에 접촉되도록 구동레버에 설치된 베어링 핀을 통하여 캠에 반력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투입동작으로 참조하면, 투입 스프링의 복원력은 작동기구의 투입래치가 회전되어 압축된 상태에서 투입 스프링이 신장될 때 캠은 캠 샤프트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때, 투입스프링의 힘이 캠의 원위치 복귀에 필요한 크기보다 크게 설정되면, 투입동작 시 캠에 작에 작용하는 힘도 크게 되고, 캠의 시계방향에 대한 회전력도 과도해져 캠의 복귀회전에서 캠은 원 위치보다 시계방향으로 보다 많이 회전되고, 구동레버의 복귀회전을 방해하는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다.
즉, 캠이 투입동작 시 구동레버의 회전을 막게 되고 링크기구의 토글 핀이 제1 링크의 상방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완전한 토글 동작을 하지 못하게 되며, 구동레버의 복귀회전이 캠에 의해 저지됨으로써 구동레버의 하부에서 구동레버의 멈춤 핀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제2의 서포트 샤프트까지 멈춤 핀은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투입 스프링은 원래상태로 신장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회로 차단기는 투입 스프링의 설정된 인장력에 의해 캠이 과도한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으므로, 불안정한 상태로 작동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캠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여 링크기구에 토글작용이 안정적으로 완전하게 이루어지고, 투입 스프링의 복원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작동을 제공하는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의 구성은 투입동작 및 차징동작을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로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투입 스프링;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 스프링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 스프링의 신축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레버;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캠;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레버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복수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기구; 상기 플레이트의 측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링크기구의 작동에 의해 터미널과 접촉되는 가동 접촉자; 및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한 캠의 회전력을 감쇠시키는 캠 지연기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캠 지연기구는 상기 플레이트에 탄력적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캠의 시계방향 회전을 감쇠하는 지연링크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투입동작 및 차징동작을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로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투입 스프링;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 스프링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 스프링의 신축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레버;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캠; 상기 캠과 동일한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캠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캠보다 회전반경이 크게 형성된 보조 캠;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서 토글 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레버에 연결되어 토글 동작되는 복수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기구; 상기 플레이트의 측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링크기구의 작동에 의해 터미널과 접촉되는 가동 접촉자; 및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한 캠의 회전력을 감쇠시키는 캠 지연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캠 지연기구는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보조 캠에 접촉되는 지연링크; 상기 지연링크에 삽입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지연링크의 회전을 제공하는 회전 핀; 및 상기 지연링크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연링크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지연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연링크는 상기 보조 캠의 외주부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연링크의 상기 보조 캠에 대한 접촉부분은 둥글게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지연링크는 안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연 스프링은 상기 안착 홈에 구속되는 제1 걸이 및 상기 플레이트에 구속되는 제2 걸이를 포함할 수 있 다.
또한, 상기 보조 캠은 상기 지연링크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 가능한 접촉 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캠은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 캠에는 상기 캠이 결합되는 결합홀이 상기 캠의 중심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투입동작 및 차징동작을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로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투입 스프링; 상기 투입 스프링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 스프링과 함께 신축되어 상기 투입 스프링의 복원속도를 감쇠하는 댐퍼;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 스프링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 스프링의 신축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레버;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캠; 상기 캠과 동일한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캠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캠보다 회전반경이 크게 형성된 보조 캠;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서 토글 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레버에 연결되어 토글 동작되는 복수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기구; 상기 플레이트의 측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링크기구의 작동에 의해 터미널과 접촉되는 가동 접촉자를 포함하여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댐퍼는 서로 슬라이드 결합되어 신축이 가능한 이중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는 캠과 함께 회전되게 구성된 보조 캠의 원주면에 보조 캠의 복귀회전을 늦추는 캠 지연기구를 제공함으로써 캠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여 링크기구에 토글작용이 안정적으로 완전하게 이루어지고, 투입 스프링의 복원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작동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의 내부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캠 지연기구에 의해 보조 캠이 접촉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캠 지연기구에 의한 캠의 지연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캠 지연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대한 투입작용이 완료된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는 투입동작 및 차징동작을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로서, 플레이트(100), 투입 스프링(105), 구동레버(110), 캠(115), 보조 캠(120), 링크기구(130), 터미널(140), 가동 접촉자(135) 및 캠 지연기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플레이트(10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데, 도 1 및 도 2에는 하나의 플레이트(100)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플레이트(100)의 하부에는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투입 스프링(105)이 설치되어 있다. 투입 스프링(105)의 좌측 단부에는 플레이트(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원판(102)이 결합된다. 투입 스프링(105)의 우측 단부에는 구동레버(1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캡(103)이 설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구동레버(110)는 상부가 플레이트(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투입 스프링(105)의 우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레버(110)는 투입 스프링(105)이 압축되는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신장되는 상태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플레이트(100)에는 구동레버(110)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캠(115)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캠(115)은 외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구동레버(110)의 좌측 상부에 설치된 베어링(112)을 가압하고, 베어링(112)에 접촉되는 캠(115)의 회전반경이 증가함에 따라 베어링(112)이 밀어 올려짐으로써 구동레 버(1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캠(115)에는 캠(115)과 동일한 회전축에 설치되어 캠(115)과 함께 회전되며 캠(115)보다 회전반경이 크게 형성된 보조 캠(120)이 연결된다. 보조 캠(120)은 투입 스프링(105)의 압축 및 신장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기와 물리적으로 연동된다.
다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플레이트(100)에는 토글 핀(13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레버(110)에 연결되어 토글 동작되는 복수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기구(130)가 설치된다. 링크기구(130)는 구동레버(110)와 연동되는 세 개의 링크(130a, 130b, 130c)를 포함하고 있다. 차징 동작에서 구동레버(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투입 스프링(105)이 압축되는 상태에서 하나의 링크(130a)는 고정된다. 다른 두 개의 링크(130b, 130c)는 투입 동작에서 압축된 투입 스프링(105)의 신장에 의해 구동레버(11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고정된 하나의 링크(130a) 측으로 회전됨으로써 가동 접촉자(135)에 연결되는 레그(13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링크기구(130)는 기중 차단기의 공지된 구성요소로서, 상세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플레이트(100)의 측방에는 링크기구(130)와 연동되는 레그(132)에 의해 터미널(140) 측으로 회전되는 가동 접촉자(13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동 접촉자(135)는 투입 스프링(105)이 압축된 차징 상태에서 신장되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링크기구(130)와 연동되어 터미널(140) 측으로 접촉되며, 차단 스프링(133)의 인장력에 의해 레그(132)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터미널(140) 측에서 분리될 수 있다. 가동 접촉자(135)가 터미널(140)에서 분리됨으로써 부하 측에 대한 전원이 차단된다.
그리고, 투입 스프링(105)이 압축된 상태에서 신장될 때, 캠(115)은 구동레버(110)의 베어링(112)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차징 동작의 직전 상태로 복귀된다. 이때, 캠(115)은 투입 스프링(105)의 신장에 의한 베어링(112)의 가압에 의해 투입 스프링(105)을 지나기 전까지 회전되어야 하는데, 투입 스프링(105)의 탄력성이 지나치면 180도 이상 회전하여 회전반경이 가장 작은 부분에 의해 구동레버(110)의 베어링(112)을 지지할 수 있을 때까지 회전될 수 있다. 캠(115)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구동레버(110)의 베어링(112)이 간섭되는 상태에서는 구동레버(110)가 반 시계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될 수 없게 되며, 구동레버(110)는 원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투입 스프링(105)의 신장에 의해 캠(115)이 회전될 때, 캠(115)의 회전속도를 지연시키는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이때, 캠(115)의 회전속도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캠(115)에 결합되어 있는 보조 캠(120)의 회전속도를 감쇠시킴으로써 캠(115)은 회전속도가 지연되게 제어될 수 있다. 즉, 보조 캠(120)의 상부에는 보조 캠(120)에 접촉되어 캠(115)이 복귀되는 회전구간에서 보조 캠(120)의 회전속도를 지연시키는 캠 지연기구(150)가 설치된다.
여기서,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캠 지연기구(150)는 플레이트(100)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보조 캠(120)에 접촉되는 지연링크(151), 지연링크(151)에 삽입되고 플레이트(100)에 결합되어 지연링크(151)의 회전을 제공하는 회전 핀(153) 및 지연링크(151)와 플레이트(100) 사이에 설치되어 지연링크(151)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지연 스프링(154)을 포함한다. 회전 핀(153)은 지연링크(151)의 우측 부분에 삽입되어 플레이트(100) 결합되고, 지연링크(151)는 회전 핀(153)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지연링크(151)는 안착 홈(151a)을 포함하고, 지연 스프링(154)은 안착 홈(151a)에 구속되는 제1 걸이(154a) 및 플레이트(100)에 구속되는 제2 걸이(154b)를 포함한다.
도 2 및 4를 참조할 때, 지연링크(151)의 시계 방향회전은 지연 스프링(154)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지연링크(151)는 보조 캠(120)의 외주부에 삽입되게 돌출된 지지부(152)를 포함한다. 지지부(152)의 단부는 보조 캠(120)의 삽입부위에서 미끄럼 이동이 용이하게 둥글게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보조 캠(120)은 지연링크(151)의 지지부(152)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 가능하며, 지지부(152)에 의해 지지될 있게 형성된 접촉홈(121)을 포함한다. 보조 캠(120)이 회전될 때, 지연링크(151)의 지지부(152)가 접촉홈(121)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보조 캠(120)의 회전은 지연링크(151)에 의해 지지된다. 보조 캠(120)의 회전속도는 지지부(152)가 접촉홈(121)에서 이탈하여 접촉홈(121)의 외측 외주부로 이동될 때까지 감속된다.
즉, 지지부(152)가 접촉홈(121)의 내면부를 따라 이동하여 외주부로 이동하기 직전구간에서 보조 캠(120)의 회전속도는 감속된다. 지연링크(151)는 투입 스프링(105)의 초기 신장력에 의해 구동레버(110)가 회전될 때, 캠(115)의 회전을 저지하여 캠(115)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접촉홈(121)에서 안내면(122) 하부의 지지부(152)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은 캠(115)의 대면한 부분보다 경사가 급하게 형성된다. 이때, 접촉홈(121)의 상부에 형성된 안내면(122)은 캠(115)의 외주부로 지지부(152)의 유연한 이동을 제공한다.
한편, 보조 캠(120)은 회전축(125)의 양측에 설치되고, 보조 캠(120)에는 캠(115)이 결합되는 결합홀(123)이 캠(115)의 중심부를 따라 형성된다. 캠(115)은 결합홀(123)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16)를 포함한다. 캠(115)과 보조 캠(120)은 캠(115)의 형상을 따라 배치되는 삽입돌기(116) 및 결합홀(123)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됨으로써 구동레버(110)에 있는 베어링(112)에 대한 가압작용을 견딜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 캠(120)의 접촉홈(121)에 지지되는 지연링크(151)에 의해 보조 캠(120)의 회전속도는 감속될 수 있으며, 보조 캠(120)에 결합되어 있는 캠(115)의 회전속도도 감속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의 내부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댐퍼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는 투입동작 및 차징동작을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로서, 플레이트(100), 투입 스프링(105), 구동레버(110), 캠(115), 보조 캠(120), 링크기구(130), 터미널(140), 가동 접촉자(135) 및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투입 스프링(105)의 급격한 신장을 감쇠시키는 댐퍼(155)를 포함한다. 여기서, 플레이트(100), 투입 스프링(105), 구동레버(110), 캠(115), 보조 캠(120), 링크기구(130), 터미널(140) 및 가동 접촉자(135)는 전술한 실시예와 공통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공통되는 구 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댐퍼(155)는 투입 스프링(105)이 압축될 때는 작은 댐핑력을 제공하고, 투입 스프링(105)이 신장될 때는 보다 큰 댐핑력을 제공하여 투입 스프링(105)의 급격한 신장속도를 감쇠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도어에 링크구조로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은 신속하게 허용하고, 도어의 닫힘은 천천히 이루어지게 하는 도어댐퍼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댐퍼(155)는 투입 스프링(105)의 내부에 배치되고 서로 슬라이드 결합되어 신축이 가능한 이중관(156) 및 이중관(156) 사이에 배치되어 이중관(156)의 신장에 의해 압축되는 댐핑 스프링(157)에 의해 구성이 가능하다. 즉, 투입 스프링(105)이 신장될 때, 이중관(156)이 신장되며, 이중관(156) 사이에 배치된 댐핑 스프링(157)이 압축되므로 투입 스프링(105)의 신장속도는 감소되고, 구동레버(110)의 반시계방향 회전속도도 감소되며, 구동레버(110)에 연결된 링크기구(130)의 회전에 의한 캠(115)의 과도한 회전속도는 감소되고, 구동레버(110)의 회전을 간섭할 정도로 캠(115)의 과도한 회전은 방지된다.
또한, 댐퍼(155)는 투입 스프링(105)을 따라 투입 스프링(105)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되고, 댐핑을 위한 유체가 내부에 포함된 실린더 방식의 댐퍼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의 내부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캠 지연기구에 의해 보조 캠이 접촉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캠 지연기구에 의한 캠의 지연 상태도.
도 4는 도 2의 캠 지연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대한 투입작용이 완료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의 내부 정면도.
도 7은 도 6의 댐퍼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플레이트 102: 회전원판
103: 캡 105: 투입 스프링
110: 구동레버 112: 베어링
115: 캠 116: 삽입돌기
120: 보조 캠 121: 접촉홈
122: 안내면 123: 결합홀
125: 회전축 130: 링크기구
131: 토글 핀 132: 레그
133: 차단 스프링 135: 가동 접촉자
140: 터미널 150: 캠 지연기구
151: 지연링크 151a: 안착홈
152: 지지부 153: 회전 핀
154: 지연 스프링 154a: 제1 걸이
154b: 제2 걸이 155: 댐퍼
156: 이중관 157: 댐핑 스프링

Claims (11)

  1. 투입동작 및 차징동작을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로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투입 스프링;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 스프링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 스프링의 신축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레버;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캠;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레버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복수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기구;
    상기 플레이트의 측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링크기구의 작동에 의해 터미널과 접촉되는 가동 접촉자; 및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한 캠의 회전력을 감쇠시키는 캠 지연기구를 포함하는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 지연기구는 상기 플레이트에 탄력적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캠의 회전을 감쇠하는 지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과 동일한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캠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캠보다 회전반경이 크게 형성된 보조 캠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기구의 복수의 링크는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서 토글 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레버에 연결되어 토글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캠 지연기구는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보조 캠에 접촉되는 지연링크;
    상기 지연링크에 삽입되고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지연링크의 회전을 제공하는 회전 핀; 및
    상기 지연링크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연링크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지연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링크는 상기 보조 캠의 외주부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 단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링크의 상기 보조 캠에 대한 접촉부분은 둥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링크는 안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연 스프링은 상기 안착 홈에 구속되는 제1 걸이 및 상기 플레이트에 구속되는 제2 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캠은 상기 지연링크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 가능한 접촉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캠은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 캠에는 상기 캠이 결합되는 결합홀이 상기 캠의 중심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10. 투입동작 및 차징동작을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로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투입 스프링;
    상기 투입 스프링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 스프링과 함께 신축되어 상기 투입 스프링의 복원속도를 감쇠하는 댐퍼;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 스프링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 스프링의 신축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레버;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레버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캠;
    상기 캠과 동일한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캠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캠보다 회전반경이 크게 형성된 보조 캠;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서 토글 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레버에 연결되어 토글 동작되는 복수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기구; 및
    상기 플레이트의 측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링크기구의 작동에 의해 터미널과 접촉되는 가동 접촉자를 포함하는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투입 스프링의 신축에 따라 공기의 출입이 이루어지는 통공이 형성되고, 서로 슬라이드 결합되어 신축이 가능한 이중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KR1020080138522A 2008-12-31 2008-12-31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KR101015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522A KR101015296B1 (ko) 2008-12-31 2008-12-31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US12/641,838 US8119942B2 (en) 2008-12-31 2009-12-18 Circuit breaker having delaying function for rotation of cam
EP09180173.8A EP2204827B1 (en) 2008-12-31 2009-12-21 Circuit breaker with delayed rotatable cam for spring motor
ES09180173.8T ES2587606T3 (es) 2008-12-31 2009-12-21 Disyuntor con leva rotatoria retardada para motor de resorte
CN2009102657483A CN101770905B (zh) 2008-12-31 2009-12-31 具有凸轮旋转延迟功能的断路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522A KR101015296B1 (ko) 2008-12-31 2008-12-31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924A true KR20100079924A (ko) 2010-07-08
KR101015296B1 KR101015296B1 (ko) 2011-02-15

Family

ID=4178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522A KR101015296B1 (ko) 2008-12-31 2008-12-31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19942B2 (ko)
EP (1) EP2204827B1 (ko)
KR (1) KR101015296B1 (ko)
CN (1) CN101770905B (ko)
ES (1) ES2587606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867U (ko) * 2017-09-28 2019-04-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85600B1 (fr) * 2012-01-06 2014-11-28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joncteur electrique de puissance a accumulateur d'energie et a dispositif de signalisation perfectionne de l'etat de fonctionnement
DE102012201260A1 (de) * 2012-01-30 2013-08-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einheit für ein elektrisches Schaltgerät sowie elektrisches Schaltgerät
CN103646827B (zh) * 2013-12-02 2017-03-08 上海良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断路器操作机构储能系统
CN106158532B (zh) * 2015-05-12 2018-08-28 现代电力与能源系统株式会社 断路器
KR101759601B1 (ko) 2015-12-28 2017-07-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 차단기용 지연시간 발생장치
KR101775063B1 (ko) 2016-01-14 2017-09-06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차단기의 스프링조작기
USD842258S1 (en) * 2016-03-29 2019-03-05 Kevin Somers Electrical circuit breaker charge cam
CN109449060B (zh) * 2018-10-23 2020-08-11 江苏高开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用测力传感器在线监测高压断路器机构弹簧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4796A (en) * 1976-12-30 1981-04-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having improved movable contact
US4968863A (en) * 1989-06-29 1990-11-06 Square D Company Unitary breaker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US5224590A (en) * 1991-11-06 1993-07-06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interrupter having improved operating mechanism
FR2701596B1 (fr) * 1993-02-16 1995-04-14 Merlin Gerin Disjoncteur télécommande à came de réarmement.
FR2785444B1 (fr) * 1998-10-30 2000-12-15 Schneider Electric Ind Sa Appareillage de coupure comportant un organe mecanique de visualisation a trois positions
KR100325408B1 (ko) * 1999-10-26 2002-03-04 이종수 회로차단기용 접점개폐장치
EP1244124A1 (en) * 2001-03-21 2002-09-25 Technoelectric s.r.l. A spring-operated energy accumulation control for medium and high-voltage circuit breakers
KR20030078090A (ko) * 2002-03-28 2003-10-08 이수진 인터넷을 이용한 cd 이미지 제작 방법
KR100455775B1 (ko) * 2002-11-13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토퍼가 구비된 휴대폰 폴더 힌지장치
US20050224590A1 (en) * 2004-04-13 2005-10-13 John Melngailis Method and system for fabricating integrated circuit chips with unique identification numbers
US7005594B2 (en) * 2004-04-16 2006-02-28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Movable contactor assembly of circuit breaker
KR200378090Y1 (ko) 2004-12-22 2005-03-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기중차단기 작동기구
US20080122563A1 (en) * 2006-08-28 2008-05-29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Instantaneous trip mechanism for mould cased circuit breaker
DE602007003928D1 (de) * 2006-10-17 2010-02-04 Ls Ind Systems Co Ltd Betriebszähler-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Druckluftschalter
KR100807546B1 (ko) * 2006-10-17 2008-02-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 차단기 및 그에 사용되는 링크
KR100771918B1 (ko) * 2006-10-17 2007-11-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개폐기구
KR200442291Y1 (ko) * 2006-12-29 2008-10-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 및 그에 사용되는 링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867U (ko) * 2017-09-28 2019-04-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베어링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70905A (zh) 2010-07-07
CN101770905B (zh) 2013-06-19
EP2204827A3 (en) 2013-09-11
US20100163380A1 (en) 2010-07-01
KR101015296B1 (ko) 2011-02-15
ES2587606T3 (es) 2016-10-25
EP2204827B1 (en) 2016-06-01
US8119942B2 (en) 2012-02-21
EP2204827A2 (en) 201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296B1 (ko) 캠 회전 지연기능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KR100771922B1 (ko) 기중 차단기
RU2594867C2 (ru) Шарнир
KR101360601B1 (ko) 힌지장치 및 개폐장치 및 휴대기기
CN110189955B (zh) 一种隔离开关的双储能操作机构
KR200442291Y1 (ko) 기중차단기 및 그에 사용되는 링크
EP2874172B1 (en) Circuit breaker with input load increasing means
KR102226948B1 (ko) 순시차단용 구동장치
EP2204826A2 (en) Elastic Pressing Unit and Molded Case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JP6199300B2 (ja) ケーブル装置
EP2874165A1 (en) Circuit breaker
KR100479431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회동 제한장치
JP4604584B2 (ja) 開閉装置の操作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開閉装置
CN220121689U (zh) 一种隔离开关的驱动转矩传递装置
US11842869B2 (en) Reclosing switch capable of stably opening and closing
KR20170060309A (ko) 스프링 조작 장치
JP2001266719A (ja) 遮断器の操作装置
RU2699076C1 (ru) Пружинное при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26908Y1 (ko) 휴대폰 및 휴대용 단말기의 오토 클릭 힌지
KR200398419Y1 (ko) 진공 차단기의 다절 링크식 작동기구
CN206353490U (zh) 一种转换开关用的触头机构
JP2856493B2 (ja) 開閉装置
CN113838693A (zh) 止挡机构和包括该止挡机构的双电源转换开关
CN116705528A (zh) 一种转矩驱动隔离开关
CN116631794A (zh) 一种隔离开关的驱动转矩传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