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9620A -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9620A
KR20100079620A KR1020080138154A KR20080138154A KR20100079620A KR 20100079620 A KR20100079620 A KR 20100079620A KR 1020080138154 A KR1020080138154 A KR 1020080138154A KR 20080138154 A KR20080138154 A KR 20080138154A KR 20100079620 A KR20100079620 A KR 20100079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ion
answer
site
community
bulletin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정
배한익
조영호
방상희
홍민형
이석민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80138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9620A/ko
Publication of KR20100079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지식공유 사이트와 연동하여, 커뮤니티 사이트에 질문답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식공유 사이트로부터 전달받을 질문의 카테고리 및 키워드가 설정된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이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제 1 질문이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제 1 질문이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되는 단계와, 상기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제 2 질문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질문의 카테고리 및 키워드가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설정된 카테고리 및 키워드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2 질문이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문답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커뮤니티, 지식공유, 질문답변 게시판, 상호연동

Description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 서비스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Q&A BULLETIN BOARD SERVICE TO COMMUNITY SITE}
본 발명은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식공유 사이트와 커뮤니티 사이트가 상호 연동된 질문답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각종 네트워크를 이용한 커뮤니티 서비스가 여러 가지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즉 동일한 취미 또는 관심사를 갖는 사람들이 온라인 상에 생성된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고 회원들 간의 교류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뮤니티 서비스의 일례로 각 포털 사이트 등에서 제공하는 “카페” 서비스를 예로 들 수 있다. 인터넷 카페 등을 통해 동일한 관심사를 가진 사용자들이 정보를 서로 교류하게 되므로, 특정 인터넷 카페에 특정 주제에 대한 다양한 질문과 답변들이 게시된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많은 사용자들이 특정 인터넷 카페에 접근을 시도하게 된다. 하지만, 각 커뮤니티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고 획득하기 위해서는 해당 커뮤니티에 회원가입을 요청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자격을 얻어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한편, 각 포털 서비스 제공업체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지식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즉 지식공유 서비스의 게시판에 질문을 등록하면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이에 대하여 답변을 등록하도록 하고, 질문을 등록한 사용자가 답변을 채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의 질문과 답변이 공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포털 사이트의 검색기능과도 연동되어,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면, 지식공유 서비스의 질문 및 답변도 자동으로 검색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접근도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지식공유 서비스의 일례로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지식iN” 서비스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지식 공유 서비스는 커뮤니티 서비스에 비하여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답변을 획득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특정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는 전문가가 지식공유 서비스에 등록된 질문에 답변을 하기 위해서는 지식공유 서비스를 통해서만 답변을 등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커뮤니티 서비스의 특징인 질문 및 답변의 전문성과 지식공유 서비스의 특징인 접근의 편리성을 접목시켜 새로운 질문 답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커뮤니티 서비스와 지식공유 서비스를 연동하여 질문답변 게시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이 해당 질문과 관련된 커뮤니티의 질문답변 게시판에도 등록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대하여 커뮤니티 서비스의 사용자가 답변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이 해당 질문과 관련된 지식공유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도 등록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대하여 지식공유 서비스의 사용자가 답변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지식공유 사이트로부터 전달받을 질문의 카테고리와 키워드를 설정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지식공유 사이트로부터 전달된 질문을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시키는 지식공유 사이트와 커뮤니티 사이트를 상호 연동시킨 질문답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과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을 구분시켜 표시하는 질문답변 게시판을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지식공유 사이트로 입력된 질문, 답변과 커뮤니티 사이트로 입력된 질문, 답변을 관리하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 판에 상기 질문과 답변을 게시하는 커뮤니티 서버의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부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지식공유 사이트와 연동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식공유 사이트로부터 전달받을 질문의 카테고리를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질문들 중 전달받을 질문의 키워드를 하나 이상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받은 카테고리에 속하면서 상기 입력 받은 키워드에 해당하는 질문을 상기 지식공유 사이트로부터 전달받아 게시하는 질문답변 게시판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지식공유 사이트와 연동하여, 커뮤니티 사이트에 질문답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식공유 사이트로부터 전달받을 질문의 카테고리 및 키워드가 설정된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이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제 1 질문이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제 1 질문이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되는 단계와, 상기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제 2 질문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질문의 카테고리 및 키워드가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설정된 카테고리 및 키워드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2 질문이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문답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질문답변 게시판을 커뮤니티 사이트에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버에 있어서, 상기 질문답변 게시판은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들이 표시되는 제 1 영역 및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들 중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설정된 카테고리 및 키워드에 해당하는 질문이 표시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티 서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측면은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 장치에 있어서,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들 중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설정된 카테고리 및 키워드에 해당하는 질문을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시키는 질문 등록부와,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을 상기 지식공유 사이트로 전달하는 질문 송수신부 및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되는 질문에 대하여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입력되는 답변 또는 상기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로 전달되는 답변을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시키는 답변 등록부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버의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지식공유 사이트로부터 전달받을 질문의 카테고리와 키워드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여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질문의 카테고리뿐만 아니라 키워드도 설정하므로, 동일 카테고리 포함되는 질문들 중 전달 받을 질문을 보다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지식공유 사이트로부터 전달된 질문을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시켜, 지식공유 서비스 사용자뿐만 아니라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자들도 해당 질문에 대해 답변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커뮤니티 사용자들의 전문성이 가미된 답변이 제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답변을 제공한 커뮤니티를 지식공유 사이트에 노출시킴으로써 커뮤니티가 일반 사용자에게 널리 홍보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과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을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표시시켜 편리성을 도모한다. 또한 각 질문의 위치를 명확히 구별시켜 각 질문의 해결여부와 같은 상태파악을 용이하게 한다. 특히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을 별도의 영역에 위치시켜,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의 유무를 커뮤니티 사용자가 보다 신속하게 확인하도록 한다. 그 결과 질문의 해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지식공유 사이트로 입력된 질문, 답변 또는 추천과 커뮤니티 사이트로 입력된 질문, 답변 또는 추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각 질문답변 게시판에 표시함으로써 지식공유 사이트와 커뮤니티 사이트를 상호 연동시키는 질문답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커뮤니티 사이트”는 특정 관심사를 공유하는 동호회의 회원들이 상호 교류하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생성된 웹사이트를 의미하며,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에 게재된 각종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동호회의 회칙에 따라 일정한 가입절차를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를 “커뮤니티 서비스”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식공유 사이트”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질문 및 답변을 등록시켜 다양한 분야에 대하여 지식을 공유할 수 있도록 생성된 웹사이트를 의미하며, 상기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를 “지식공유 서비스”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질문 답변 게시판”은 질문이 등록되고, 이에 대해 덧글 등의 형태로 답변이 등록되는 일반 게시판과 달리 질문과 답변에 적합한 UI(user interface)를 가진 전용 게시판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문답변 연동 시스템을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와 지식공유 서비스의 질문답변 게시판 연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질문답변 게시판 연동 시스템(100)은 커뮤니티 서버(110), 커뮤니티 데이터 베이스(120), 복수의 커뮤니티 사이트(130, 132, 134), 지식공유 서버(140), 지식공유 데이터 베이스(150), 지식공유 사이트(160),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80, 182, 184)를 포함한다.
커뮤니티 서버(110)는 커뮤니티 서비스의 제공을 관리하는 커뮤니티 서버 관리부(112), 지식공유 서버(140)와 접속되어 커뮤니티 서비스와 지식 공유 서비스간 상호 연동된 형태의 질문답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부(114)를 포함한다.
커뮤니티 서버 관리부(112)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복수의 커뮤니티 사이트를 생성하고, 커뮤니티 사이트의 운영에 필요한 각종 게시판, 회원 관리도구 등을 제공한다. 또한 커뮤니티 데이터 베이스(120)에 커뮤니티 사이트의 회원 정보, 각종 자료 등을 저장하거나, 커뮤니티 데이터 베이스(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 각 커뮤니티 사이트에 제공한다.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부(114)는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입력 받은 질문, 답 변, 추천수 등을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하여 표시한다. 또한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 받은 질문, 답변, 추천수 등을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하여 표시한다.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부(114)의 상세 구성은 추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커뮤니티 데이터 베이스(120)는 커뮤니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필요한 각종 회원정보, 커뮤니티 사이트에 제공되는 각종 게시물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질문 답변 서비스를 위해, 질문들의 내용이 저장되는 질문 데이터 베이스(122)와 답변들의 내용이 저장되는 답변 데이터 베이스(124)를 포함한다.
복수의 커뮤니티 사이트(130, 132, 134)는 하나 이상의 질문 답변 게시판을 포함하거나, 질문답변 게시판이 아닌 일반 게시판만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커뮤니티 사이트(130)와 같이 복수의 질문답변 게시판을 포함하거나, 제 2 커뮤니티 사이트(132)와 같이 하나의 질문답변 게시판을 포함하거나, 제 i 커뮤니티 사이트(134)와 같이 일반 게시판만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질문답변 게시판의 카테고리 및 전달받을 질문의 키워드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각 커뮤니티 사이트에 입력된 질문, 답변 또는 일반 게시물 등은 커뮤니티 서버(110)를 통하여 커뮤니티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다. 각각의 커뮤니티 사이트는 운영 회칙, 가입절차, 관심분야 등이 다를 수 있으므로,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과 커뮤니티 사이트와의 연관성도 각각 달라지게 된다.
지식공유 서버(140)는 지식공유 서비스의 제공을 관리하는 지식공유 서버 관 리부(142), 커뮤니티 서버(110)와 접속되어 지식공유 서비스와 커뮤니티 서비스간 상호 연동된 형태의 질문답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부(144)를 포함한다.
지식공유 서버 관리부(142)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질문 또는 답변을 등록하고 표시한다. 또한 각각의 질문을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그에 대한 답변 역시 카테고리 별로 구분된다. 또한 각 질문에 대하여 사용자가 특정 답변을 채택하도록 하고, 일반 사용자들이 질문이나 답변 등에 추천을 하면 이를 누적하여 표시한다. 또한 지식공유 데이터 베이스(150)에 각각의 질문이나 답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지식공유 데이터 베이스(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 각 지식공유 사이트에 제공한다.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부(144)는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 받은 질문, 답변, 추천수 등을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하여 표시한다. 또한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입력 받은 질문, 답변, 추천수 등을 지식공유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하여 표시한다.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부(144)의 상세 구성은 추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지식공유 데이터 베이스(150)는 지식공유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지식공유 사이트에 제공되는 각종 게시물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질문 답변 서비스를 위해, 질문들의 내용이 저장되는 질문 데이터 베이스(152)와 답변들의 내용이 저장되는 답변 데이터 베이스(154)를 포함한다.
지식공유 사이트(160)는 각각 상이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복수의 질문 답변 게시판을 포함한다. 즉 제 1 내지 제 j 카테고리의 질문 답변 게시판(162, 164)이 포함된다. 이때 각 카테고리는 복수의 깊이(depth)를 갖는 계층구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디렉토리 중 하나인 “엔터테인먼트, 예술” 디렉토리를 선정하고, 그 하위 디렉토리인 “영화”, 그 하위 디렉토리인 “영화작품” 등이 선택되어 각 질문답변 게시판의 카테고리가 결정될 수 있다. 지식공유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이 갖는 카테고리의 분류체계와,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이 갖는 카테고리의 분류체계는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 지식공유 사이트에 입력된 질문, 답변 등은 지식공유 서버(140)를 통하여 지식공유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다.
네트워크(170)는 지식공유 사이트 또는 커뮤니티 사이트와 각 사용자 단말기를 접속시킨다. 네트워크(17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80, 182, 184)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지식공유 사이트 또는 커뮤니티 사이트와 접속되어, 지식공유 서비스 또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식공유 사이트로부터 전달받을 질문의 카테고리와 키워드를 설정한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 답변게시판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커뮤니티 사이트 또는 지식공유 사이트의 질문 답변 게시판에 접근하여 질문 또는 답변 등을 등록하거나, 그에 대한 추천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질문 답변 게시판에서 특정 질문 또는 답변을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80, 182, 184)는 네트워크를 통해 커뮤니티 사이트 또는 지식공유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부(114, 144)의 상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서버 및 지식공유 서버의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커뮤니티 서버(110)의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부(114)는 질문 등록부(210), 질문 송수신부(212), 답변 등록부(214), 답변 송수신부(216), 추천 등록부(218), 추천 송수신부(220), 질문답변 표시 제어부(222)를 포함한다.
또한 지식공유 서버(140)의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부(144)는 질문 등록부(230), 질문 송수신부(232), 답변 등록부(234), 답변 송수신부(236), 추천 등록부(238), 추천 송수신부(240), 질문답변 표시 제어부(242)를 포함한다.
커뮤니티 서버(110)의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부(114)에 의하여 관리되는 질문답변 게시판은 지식공유 서버(140)로부터 전달받을 질문의 카테고리 및 키워드가 미리 설정된다. 즉 각 게시판별로 질문의 카테고리를 특정하여 카테고리가 일치하는 질문만을 지식공유 서버(140)로부터 전달받아 게시한다. 또한 미리 설정한 키워드에 해당하는 질문을 지식공유 서버(140)로부터 전달받아 게시한다. 이를 위해 지식공유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카테고리의 분류체계와,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이 갖는 카테고리의 분류체계는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뮤니티 서버(110)의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부(114)에 포함된 질문 등록부(210)는 커뮤니티 서버로 입력되는 질문 또는 지식공유 서버로 입력되어 질문 송수신부(212)를 통해 전달되는 질문을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한다. 사용자가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질문을 입력하는 경우 질문 등록부(210)는 입력된 질문을 해당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한다.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의 경우, 질문 등록부(210)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설정된 카테고리 및 키워드를 기준으로 지식공유 서버(140)로부터 전달받을 질문을 요청한다. 그리고 지식공유 서버(140)에서 제공받은 질문을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하게 된다.
또한, 질문 송수신부(212)는 지식공유 서버(140)로부터 전달받은 질문을 질 문 등록부(210)로 전달한다. 또한, 질문 송수신부(212)는 커뮤니티 서버(110)로 입력된 질문을 지식공유 서버(140)의 질문 송수신부(232)로 전달한다. 실시예에 따라, 커뮤니티 서버(110)로 입력되는 질문이 직접 질문 등록부(210)로 전달되지 않고, 질문 송수신부(212)를 거쳐 질문 등록부(21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답변 등록부(214)는 커뮤니티 서버로 입력되는 답변 또는 지식공유 서버로 입력되어 답변 송수신부(216)를 통해 전달되는 답변을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한다. 지식공유 사이트로부터 답변이 전달되어 커뮤니티 사이트에 등록되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로는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이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된 경우, 지식공유 서비스의 사용자가 해당 질문에 답변을 등록하면, 해당 답변이 커뮤니티 사이트에 전달되어 등록된다. 두 번째로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의 일부 질문은 커뮤니티 서비스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식공유 사이트에 공개되며, 지식공유 서비스의 사용자가 해당 질문에 답변을 등록하면, 해당 답변이 커뮤니티 사이트에 전달되어 등록된다.
또한, 답변 송수신부(216)는 지식공유 서버(140)로부터 전달받은 답변을 답변 등록부(214)로 전달한다. 또한 커뮤니티 서버(110)로 입력된 답변을 지식공유 서버(140)의 답변 송수신부(236)로 전달한다. 실시예에 따라, 커뮤니티 서버(110)로 입력되는 답변이 직접 답변 등록부(214)로 전달되지 않고, 답변 송수신부(216)를 거쳐 답변 등록부(214)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답변 송수신부(216)가 커뮤니티 서버(110)로 입력된 답변을 지식공유 서버(140)의 답변 송수신부(236)로 전달 하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로는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이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된 경우, 커뮤니티 서비스의 사용자가 해당 질문에 대해 답변을 등록하면, 해당 답변이 지식공유 사이트에 전달되어 등록된다. 두 번째로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될 일부 질문은 커뮤니티 서비스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식공유 사이트에 공개되며, 커뮤니티 서비스의 사용자가 해당 질문에 답변을 등록하면, 해당 답변이 지식공유 사이트에 전달되어 등록된다.
또한 답변 송수신부(216)가 지식공유 서버(140)의 답변 송수신부(236)로부터 답변을 전달받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로는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이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된 경우, 지식공유 서비스의 사용자가 해당 질문에 답변을 등록하면, 해당 답변이 커뮤니티 사이트에 전달되어 등록된다. 두 번째로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될 일부 질문은 커뮤니티 서비스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식공유 사이트에 공개되며, 지식공유 서비스의 사용자가 해당 질문에 답변을 등록하면, 해당 답변이 커뮤니티 사이트에 전달되어 등록된다.
한편, 추천 등록부(218)는 커뮤니티 서버로 입력되는 추천 또는 지식공유 서버로 입력되어 추천 송수신부(220)를 통해 전달되는 추천을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한다. 상기 추천은 답변에 대한 추천 또는 질문에 대한 추천이 될 수 있으며, 답변 또는 질문 게시자 이외의 사용자들이 답변 또는 질문의 내용을 보고 그에 대한 평가로서 게시판에 등록하게 된다.
또한, 추천 송수신부(220)는 지식공유 서버(140)로부터 전달받은 추천을 추천 등록부(218)로 전달한다. 또한 커뮤니티 서버(110)로 입력된 추천을 지식공유 서버(140)의 추천 송수신부(240)로 전달한다. 실시예에 따라, 커뮤니티 서버(110)로 입력되는 추천이 직접 추천 등록부(218)로 전달되지 않고, 추천 송수신부(220)를 거쳐 추천 등록부(218)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추천 송수신부(220)가 커뮤니티 서버(110)로 입력된 추천을 지식공유 서버(140)의 추천 송수신부(240)로 전달하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로는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이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된 경우, 이때의 질문 또는 답변에 대해 커뮤니티 서비스의 사용자가 추천을 등록하면, 해당 추천이 지식공유 사이트에 전달되어 등록된다. 두 번째로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될 질문 중 일부가 지식공유 사이트에 공개된 경우, 커뮤니티 서비스의 사용자가 추천을 등록하면, 해당 추천이 지식공유 사이트에 전달되어 등록된다.
또한 추천 송수신부(220)가 지식공유 서버(140)의 추천 송수신부(240)로부터 추천을 전달받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로는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이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된 경우, 지식공유 서비스의 사용자가 추천을 등록하면, 해당 추천이 커뮤니티 사이트에 전달되어 등록된다. 두 번째로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될 질문 중 일부가 지식공유 사이트에 공개된 경우, 지식공유 서비스의 사용자가 추천을 등록하면, 해당 추천이 커뮤니티 사이트에 전달되어 등록된다.
질문답변 표시 제어부(222)는 커뮤니티 서버(110)로 입력된 질문과 지식공유 서버(140)로부터 전달된 질문을 구분하여 표시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이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c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의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질문의 변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문 답변 게시판(300)은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들이 표시되는 제 1 영역(310)과,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이 표시되는 제 2 영역(320)을 포함한다. 제 1 영역(310)의 일례로서 도 3b의 제 1 영역(340)이 도시되어 있으며, 제 2 영역(320)의 일례로서 도 3b의 제 2 영역(350)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영역(310)에는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312, 314, 316)들이 특정 기준에 따라 정렬되어 표시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문의 일부 내용과 함께, 사용자 ID, 게시된 날짜, 답변의 유무, 답변의 개수, 추천수 등의 정보가 각 질문 별로 부가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 질문에 대한 답변 또는 댓글 등이 각 질문에 연이어서 표시될 수 있다.
제 2 영역(320)에는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322)이 표시된다. 질문의 일부 내용과 함께, 사용자 ID, 게시된 날짜, 답변의 유무, 답변의 개수, 추천수 등의 정보가 각 질문 별로 부가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2 영역(320)에 는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복수의 질문들 중 어느 하나를 제 2 영역(320)에 선택적으로 표시시키는 표시 전환부(324)가 포함된다. 표시 전환부(352)는 전진 버튼(>, 354)과 후진 버튼(<, 356)을 포함한다. 이때 제 2 영역(320)에 표시되는 질문의 개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질문이 연속되어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표시 전환부(324)의 일례로서 도 3b의 표시 전환부(352)가 도시되어 있다. 전진 버튼(>, 354)은 제 2 영역(320)에 표시중인 제 n 번째 질문을 제 n+1 번째 질문으로 변경시킨다. 또한 후진 버튼(<, 356)은 제 2 영역(320)에 표시중인 제 n 번째 질문을 제 n-1 번째 질문으로 변경시킨다.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영역에 표시될 복수의 질문들(360~365)이 순환구조로 정렬되어 있다. 정렬 기준으로는 질문이 커뮤니티 게시판에 전달된 시점 또는 질문이 지식공유 사이트에 입력된 시점 등 다양한 기준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되는 질문은 전체 질문 중 일부의 개수만을 선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현재 제 2 영역에 표시 중인 질문이 제 2 질문(361)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전진 버튼(>, 354)이 활성화되면 제 3 질문이 제 2 영역에 표시된다. 그리고 후진 버튼(<, 356)이 활성화되면 제 1 질문이 제 2 영역에 표시된다. 일반화하면 현재 제 2 영역에 표시 중인 질문이 제 n 질문(364)이라고 가정할 때, 전진 버튼(>, 354)이 활성화되면 제 n+1 질문(365)이 제 2 영역에 표시되고, 후진 버튼(<, 356)이 활성화되면 제 n-1 질문(363)이 제 2 영역에 표시된다. 즉 표시 전환부(352)에 포함된 전진 버튼(>, 354) 또는 후진 버튼(<, 356)을 활성화시켜 표시되는 질문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진 버튼(>, 354)의 활성화 시에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이 제 1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롤링(rolling)되어 제 2 영역에 표시되도록 한다. 즉, 현재 표시 중인 질문이 제 n 질문(364)이라고 가정할 때, 전진 버튼(>, 354)이 활성화되면 제 n+1 질문(365),…, 제 1 질문(360), 제 2 질문(361), 제 3 질문(362),…, 제 n-1 질문(363) 등이 순차적으로 일정시간 동안 표시되며, 일정시간 경과 후에는 자동적으로 다음 질문이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후진 버튼(<, 356)의 활성화 시에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이 제 1 방향과는 상반되는 제 2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롤링되어 제 2 영역에 표시되도록 한다. 즉, 현재 표시 중인 질문이 제 n 질문(364)이라고 가정할 때, 전진 버튼(<, 356)이 활성화되면 제 n-1 질문(363),…, 제 3 질문(362), 제 2 질문(361), 제 1 질문(360),…, 제 n+1 질문(365) 등이 순차적으로 일정시간 동안 표시되며, 일정시간 경과 후에는 자동적으로 다음 질문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과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을 서로 구별되는 영역에 표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각 질문의 속성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지식공유 서버(140)의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부(144)에 의하여 관리되는 질문답변 게시판은 각 게시판 별로 별도의 카테고리를 갖게 된다. 질문답변 게시판의 카테고리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지식공유 서버(140)의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부(144)에 포함된 질문 등록부(230)는 지식공유 서버(140)로 입력되는 질문 또는 커뮤니티 서버(110)로 입력 되어 질문 송수신부(232)를 통해 전달되는 질문을 지식공유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한다. 사용자가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질문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질문이 게시될 질문답변 게시판의 카테고리가 설정된다. 또한 커뮤니티 서버(110)로 입력되는 질문의 경우 그 질문이 게시된 질문답변 게시판의 카테고리와 일치하는 지식공유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질문이 게시된다. 각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은 그 생성과정에서 특정 카테고리를 설정하게 된다. 이 카테고리와 일치하는 지식공유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커뮤니티 사이트로부터 입력 받은 질문이 전달된다.
또한, 질문 송수신부(232)는 커뮤니티 서버(110)로부터 전달받은 질문을 질문 등록부(230)로 전달한다. 또한 지식공유 서버(140)로 입력된 질문을 커뮤니티 서버(110)의 질문 송수신부(212)로 전달한다. 실시예에 따라, 지식공유 서버(140)로 입력되는 질문이 직접 질문 등록부(230)로 전달되지 않고, 질문 송수신부(232)를 거쳐 질문 등록부(23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답변 등록부(234)는 지식공유 서버(140)로 입력되는 답변 또는 커뮤니티 서버(110)로 입력되어 답변 송수신부(236)를 통해 전달되는 답변을 지식공유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한다. 커뮤니티 사이트로부터 답변이 전달되어 지식공유 사이트에 등록되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로는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이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된 경우, 커뮤니티 서비스의 사용자가 해당 질문에 답변을 등록하면, 해당 답변이 지식공유 사이트로 전달되어 등록된다. 두 번째로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 시판의 일부 질문은 커뮤니티 서비스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식공유 사이트에 공개되며, 커뮤니티 서비스의 사용자가 해당 질문에 답변을 등록하면, 해당 답변이 지식공유 사이트로 전달되어 등록된다. 한편 커뮤니티 사이트로부터 전달된 답변이 등록되는 경우 해당 커뮤니티 사이트에 대한 정보가 같이 게시됨으로써, 지식공유 서비스의 사용자가 어느 커뮤니티 사이트로부터 등록된 답변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답변 송수신부(236)는 커뮤니티 서버(110)로부터 전달받은 답변을 답변 등록부(234)로 전달한다. 또한 지식공유 서버(140)로 입력된 답변을 커뮤니티 서버(110)의 답변 송수신부(216)로 전달한다. 실시예에 따라, 지식공유 서버(140)로 입력되는 답변이 직접 답변 등록부(234)로 전달되지 않고, 답변 송수신부(236)를 거쳐 답변 등록부(234)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답변 송수신부(236)가 지식공유 서버(140)로 입력된 답변을 커뮤니티 서버(110)의 답변 송수신부(216)로 전달하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로는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이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된 경우, 지식공유 서비스의 사용자가 해당 질문에 답변을 등록하면, 해당 답변이 커뮤니티 사이트에도 전달되어 등록된다. 두 번째로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될 일부 질문은 커뮤니티 서비스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식공유 사이트에 공개되며, 지식공유 서비스의 사용자가 해당 질문에 답변을 등록하면, 해당 답변이 커뮤니티 사이트에도 전달되어 등록된다.
또한 답변 송수신부(236)가 커뮤니티 서버(110)의 답변 송수신부(216)로부터 답변을 전달받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로는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이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된 경우, 커뮤니티 서비스의 사용자가 해당 질문에 답변을 등록하면, 해당 답변이 지식공유 사이트에도 전달되어 등록된다. 두 번째로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될 일부 질문은 커뮤니티 서비스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식공유 사이트에 공개되며, 커뮤니티 서비스의 사용자가 해당 질문에 답변을 등록하면, 해당 답변이 지식공유 사이트에도 전달되어 등록된다.
한편, 추천 등록부(238)는 지식공유 서버(140)로 입력되는 추천 또는 커뮤니티 서버(110)로 입력되어 추천 송수신부(240)를 통해 전달되는 추천을 지식공유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한다. 상기 추천은 답변에 대한 추천 또는 질문에 대한 추천이 될 수 있으며, 답변 또는 질문 게시자 이외의 사용자들이 답변 또는 질문의 내용을 보고 그에 대한 평가로서 게시판에 등록하게 된다.
또한, 추천 송수신부(240)는 커뮤니티 서버(110)로부터 전달받은 추천을 추천 등록부(238)로 전달한다. 또한 지식공유 서버(140)로 입력된 추천을 커뮤니티 서버(110)의 추천 송수신부(220)로 전달한다. 실시예에 따라, 지식공유 서버(140)로 입력되는 추천이 직접 추천 등록부(238)로 전달되지 않고, 추천 송수신부(240)를 거쳐 추천 등록부(238)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추천 송수신부(240)가 지식공유 서버(140)로 입력된 추천을 커뮤니티 서버(110)의 추천 송수신부(220)로 전달하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로는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이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된 경우, 이때의 질문 또 는 답변에 대해 지식공유 서비스의 사용자가 추천을 등록하면, 해당 추천이 커뮤니티 사이트에도 전달되어 등록된다. 두 번째로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될 질문 중 일부가 지식공유 사이트에 공개된 경우, 지식공유 서비스의 사용자가 추천을 등록하면, 해당 추천이 커뮤니티 사이트에도 전달되어 등록된다.
또한 추천 송수신부(240)가 커뮤니티 서버(110)의 추천 송수신부(220)로부터 추천을 전달받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로는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이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된 경우, 커뮤니티 서비스의 사용자가 추천을 등록하면, 해당 추천이 지식공유 사이트에도 전달되어 등록된다. 두 번째로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될 질문 중 일부가 지식공유 사이트에 공개된 경우, 커뮤니티 서비스의 사용자가 추천을 등록하면, 해당 추천이 지식공유 사이트에도 전달되어 등록된다.
질문답변 표시 제어부(242)는 커뮤니티 서버(110)로 입력된 질문과 지식공유 서버(140)로부터 전달된 질문을 구분하여 표시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의 카테고리와 키워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의 생성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의 생성방법을 적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커뮤니티 서비스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질문답변 게시판의 생성 메뉴의 제공을 요청한다(S410). 이러한 요청에 대하여 커뮤니티 서버는 질문답변 게시판의 생성 메뉴를 제공한다(S42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뮤니티 서버는 질문답변 게시판의 생성 메뉴가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0)에는 질문답변 게시판의 초기 설정 메뉴(510), 질문답변 게시판의 카테고리 설정 메뉴(520), 질문답변 게시판의 키워드 설정 메뉴(530)가 포함되어 있다.
다음으로,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자가 질문답변 게시판의 기본 속성을 설정하는 초기설정 단계를 수행한다(S43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문답변 게시판을 읽을 수 있는 회원의 등급, 질문답변 게시판에 질문과 답변을 게시할 수 있는 회원의 등급, 게시물에 덧글을 첨부할 수 있는 회원의 등급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식공유 사이트로부터 전달받을 질문의 카테고리를 입력 받는다(S440). 질문답변 게시판의 속성을 규정하는 것으로, 지식공유 사이트에 등록되는 여러 질문들 중에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질문들 만을 전달받기 위한 설정단계이다. 이때 카테고리의 분류 체계는 지식공유 서비스에서 적용하는 분류 체계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카테고리는 복수의 깊이(depth)를 갖는 계층구조 형태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렉토리 중 하나인 “엔터테인먼트, 예술” 디렉토리를 선정하고, 그 하위 디렉토리인 “영화”, 그 하위 디렉토리인 “영화작품” 등이 선택되어 각 질문답변 게시판의 카테고리가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디렉토리 중 어느 하나의 디렉토리를 선택하고, 선택된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 중 어느 하나의 디렉토리를 선택하는 단 계를 반복 수행함으로써 질문답변 게시판의 카테고리를 설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지식공유 사이트로부터 전달받을 질문의 키워드를 하나 또는 둘 이상 입력 받는다(S450). 질문답변 게시판의 속성을 규정하는 것으로, 설정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질문만을 지식공유 사이트로부터 전달받기 위한 설정 단계이다. 키워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개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설정한 키워드를 모두 포함하는 질문을 전달받을 것인지(AND) 또는 설정한 키워드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질문을 전달받을 것인지(OR)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설정된 속성에 따라 질문답변 게시판의 생성을 요청하면(S460), 커뮤니티 서버는 전달받는 속성을 갖는 질문답변 게시판을 생성하고(S470), 이를 기초로 질문답변 게시판 서비스를 제공한다(S480). 질문답변 게시판 서비스의 상세내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연동된 지식공유 사이트와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커뮤니티 서버(110)는 지식공유 사이트로부터 전달받은 질문이 게시되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을 제공한다. 또한 지식공유 서버(140)는 지식공유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을 제공한다. 각각의 질문답변 게시판은 상호 연동되는 특성을 갖는다. 즉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은 지식공유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뿐만 아니라, 동일한 카테고리 특성을 갖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도 게시된다. 이에 대하여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자가 답변이나 추천 등을 등록하면 이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뿐만 아니라 지 식공유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도 게시된다. 한편,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은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뿐만 아니라, 동일한 카테고리 특성을 갖는 지식공유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도 게시된다. 이에 대하여 지식공유 서비스 사용자가 답변이나 추천 등을 등록하면 이는 지식공유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뿐만 아니라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도 게시된다.
다음으로, 커뮤니티 사이트의 사용자가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을 통해 제 1 질문을 입력한다(S610). 상기 입력된 제 1 질문은 커뮤니티 서버(110)로 전송되고(S620), 질문 등록부(210)를 통해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된다(S630). 이때 제 1 질문은 도 3에서와 같이 질문답변 게시판의 제 1 영역에 표시된다(S612).
또한, 지식공유 사이트의 사용자가 지식공유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을 통해 제 2 질문을 입력한다(S670). 상기 입력된 제 2 질문은 지식공유 서버(140)로 전송되고(S660), 질문 등록부(230)를 통해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된다(S650). 제 2 질문은 지식공유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표시된다(S672).
다음으로,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제 1 질문은 질문 송수신부(212)를 통해 지식공유 서버(140)로 전송되고(S640),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제 2 질문은 질문 송수신부(232)를 통해 커뮤니티 서버(110)로 전송된다(S642).
다음으로, 커뮤니티 서버의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부(114)는 미리 설정한 카테고리에 포함되고, 미리 설정한 키워드에 해당하는 제 2 질문을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한다(S632). 이때 제 2 질문은 도 3에서와 같이 질문답 변 게시판의 제 2 영역에 표시된다(S614).
또한, 지식공유 서버의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부(144)는 제 1 질문이 입력된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의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지식공유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제 1 질문을 등록한다(S652). 이때 제 1 질문은 지식공유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된다(S674).
이와 같이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대하여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자뿐만 아니라, 지식공유 서비스 사용자도 질문을 게시할 수 있다. 질문확인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과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을 구별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와 지식공유 서비스의 질문답변 게시판 연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서버 및 지식공유 서버의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이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의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질문의 변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의 생성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의 생성방법을 적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연동된 지식공유 사이트와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Claims (12)

  1. 지식공유 사이트와 연동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식공유 사이트로부터 전달받을 질문의 카테고리를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질문들 중 전달받을 질문의 키워드를 하나 이상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받은 카테고리에 속하면서 상기 입력 받은 키워드에 해당하는 질문을 상기 지식공유 사이트로부터 전달받아 게시하는 질문답변 게시판이 생성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 생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공유 서비스 사이트로부터 전달받을 질문의 카테고리를 입력 받는 단계는
    복수의 디렉토리 중 어느 하나의 디렉토리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 중 어느 하나의 디렉토리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디렉토리는 상기 지식공유 사이트의 디렉토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 생성 방법.
  3. 지식공유 사이트와 연동하여, 커뮤니티 사이트에 질문답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식공유 사이트로부터 전달받을 질문의 카테고리 및 키워드가 설정된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이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제 1 질문이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제 1 질문이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되는 단계와,
    상기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제 2 질문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질문의 카테고리 및 키워드가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설정된 카테고리 및 키워드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 2 질문이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질문답변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질문이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되는 단계는
    상기 질문답변 게시판의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질문을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질문이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게시되는 단계 는
    상기 제 1 영역과 구별되는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질문을 표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질문답변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과 구별되는 제 2 영역에 상기 제 2 질문을 표시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2 질문을 미리 설정된 개수 만큼씩 롤링(rolling)시키며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질문답변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된 제 2 질문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 2 질문이 게시된 지식공유 사이트로 이동하여 답변을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질문답변 서비스 제공 방법.
  7. 질문답변 게시판을 커뮤니티 사이트에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버에 있어서,
    상기 질문답변 게시판은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들이 표시되는 제 1 영역 및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들 중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설정된 카테고리 및 키워드에 해당하는 질문이 표시되는 제 2 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티 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답변 게시판은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질문을 변경시키는 표시 전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전환부는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중인 제 n 번째 질문을 제 n+1 번째 질문으로 변경시키는 전진 버튼 및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중인 제 n 번째 질문을 제 n-1 번째 질문으로 변경시키는 후진 버튼
    을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질문은 미리 설정된 개수 만큼씩 시간의 흐름에 따라 롤링되며 변경되어 표시되는 것인 커뮤니티 서버.
  10.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 장치에 있어서,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들 중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설정된 카테고리 및 키워드에 해당하는 질문을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시키는 질문 등록부와,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을 상기 지식공유 사이트로 전달하는 질문 송수신부 및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되는 질문에 대하여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입력되는 답변 또는 상기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로 전달되는 답변을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시키는 답변 등록부
    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버의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되는 질문 또는 답변에 대하여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입력되는 추천 또는 상기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로 전달되는 추천을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에 등록시키는 추천 등록부 및
    상기 지식공유 사이트로부터 전달받은 추천을 상기 추천 등록부로 전달하고,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추천을 지식공유 사이트로 전달하는 추천 송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버의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들을 상기 질문답변 게시판의 제 1 영역에 표시시키고,
    상기 지식공유 사이트를 통해 입력된 질문들을 상기 질문답변 게시판의 제 2 영역에 표시시키는 질문답변 표시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버의 질문답변 게시판 관리 장치.
KR1020080138154A 2008-12-31 2008-12-31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 서비스 제공방법 KR20100079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154A KR20100079620A (ko) 2008-12-31 2008-12-31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154A KR20100079620A (ko) 2008-12-31 2008-12-31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620A true KR20100079620A (ko) 2010-07-08

Family

ID=42640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154A KR20100079620A (ko) 2008-12-31 2008-12-31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962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5488A1 (ko) * 2012-02-01 2013-08-08 주식회사 엔스마트솔루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n 스크린 스마트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26501A (ko) 2017-09-05 2019-03-13 이재학 질문답변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90078015A (ko)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글로브포인트 3d 아바타를 이용한 게시판 관리 서버 및 방법
KR20220128875A (ko) 2021-03-15 2022-09-22 주식회사 퀴큰앤써 실시간 질문답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5488A1 (ko) * 2012-02-01 2013-08-08 주식회사 엔스마트솔루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n 스크린 스마트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26501A (ko) 2017-09-05 2019-03-13 이재학 질문답변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90078015A (ko)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글로브포인트 3d 아바타를 이용한 게시판 관리 서버 및 방법
KR20220128875A (ko) 2021-03-15 2022-09-22 주식회사 퀴큰앤써 실시간 질문답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803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ecommerce transactions in messaging via search, discussion and agent prediction
CN102782676B (zh) 基于地理标记推荐的在线搜索
CN102172007B (zh) 集成社交网站信息的会议网络系统
AU2018358041B2 (en) Knowledge search engine platform for enhanced business listings
US8595297B2 (en) Searching data in a social network to provide an answer to an information request
US8782141B2 (en) Communication system, device and program for exchanging messages between members of cyber communities
US11693863B1 (en) Query completions
CN102483753A (zh) 搜索结果中的计算机应用数据
US20090094345A1 (en) News server for trackback between news and blog and method for interconnection thereof
CN104380323A (zh) 经由雇员连接来标识前瞻雇员候选
US20070067288A1 (en) Community search system through network and method thereof
CN102779137A (zh) 针对网页的用户个性化反馈信息的处理方法和装置
US20150294020A1 (en) System and/or method for evaluating network content
US20150193537A1 (en) Navigation through a collection of electronic documents
Weld et al. eKichabi: information access through basic mobile phones in rural Tanzania
KR20100079620A (ko) 커뮤니티 사이트의 질문답변 게시판 서비스 제공방법
US9275421B2 (en) Triggering social pages
KR20090009386A (ko) 질문-답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와 그 서비스 제공방법
CN202309755U (zh) 一种信息服务系统和信息服务设备
CN102236689A (zh) 网站快速注册并浏览及管理的方法及系统
US201102521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elected officials
KR20140116334A (ko) 커뮤니티 생성방법 및 그 시스템
Blankemeyer et al. The new frontier: implementing OpenAthens at UNC Charlotte
JP4961537B2 (ja) Q&aシステム
KR100626714B1 (ko) 휴대전화기용 웹 페이지 검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