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9100A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확장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확장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9100A
KR20100079100A KR1020080137512A KR20080137512A KR20100079100A KR 20100079100 A KR20100079100 A KR 20100079100A KR 1020080137512 A KR1020080137512 A KR 1020080137512A KR 20080137512 A KR20080137512 A KR 20080137512A KR 20100079100 A KR20100079100 A KR 20100079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cd
sliding
key
mobile termina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2582B1 (ko
Inventor
임세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7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582B1/ko
Priority to US12/640,849 priority patent/US8275420B2/en
Publication of KR20100079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확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영화, 게임, 네비게이션 및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엔터테인먼트 키 입력이 감지되면 시스템 메뉴 설정에 따라 메인 LCD내에 구비된 플렉시블 LCD를 슬라이딩하여 화면을 확장하고, 이 상태에서 음성호가 수신되거나 낙하가 가 감지되면 상기 확장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LCD를 원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영화, 게임, 네비게이션 및 디지털 방송을 감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플렉시블 LCD, 화면확장, 시스템 메뉴, 단말기 낙하

Description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확장방법{MOBILE TERMINAL USING FLEXIBLE LCD AND PICTURE ENLARG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확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이동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상기 기능에 부가하여 현재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지지하고 증대하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추가 및 개량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 중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또는 플렉시블 LCD)는 모양을 마음대로 변형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현재 그 연구가 본격화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공상영화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완전히 종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두루마리처럼 가지고 다니기까지는 앞으로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개발이 진행되어 사용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기 전까지는 과도기적 형태가 많이 사용될 것이며 이 형태는 현재의 단말기 구조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현재 개발되고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이동 단말기에 사용될 때 그 사용 형태 및 그 보호방법에 대하여 기술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큰 화면으로 영화나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기에 편리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확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확장방법은 엔터테인먼트 키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키 입력을 감지되면 시스템 메뉴 설정에 따라 메인 LCD내에 감겨있는 플렉시블(Flexible) LCD를 슬라이딩하여 화면을 확장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이 확장된 상태에서 호가 수신되거나 단말기가 낙하할 경우 상기 확장된 플렉시블 LCD를 원 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시블 LCD가 슬라이딩되는 정도는 단말기의 동작모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거나 디폴트로 설정된다.
상기 화면을 확장하는 단계는 엔터테인먼트 키가 입력되면 LCD슬라이딩 메뉴의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LCD 슬라이딩 메뉴가 온 상태로 설정된 경우 메인 LCD에 현재의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표시하고, 플렉시블 LCD를 자동으로 슬라이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시블 LCD를 복귀시키는 단계는 수신된 호가 음성 호이면 플렉시블 LCD를 원 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호가 영상호인 경우 메인 LCD에 영상통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LCD를 복귀시키는 단계는 이동 단말기의 낙하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긴급모드로 플렉시블 LCD를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인 LCD와; 메인 LCD내에 구비되어 화면이 확장되도록 슬라이딩되는 플렉시블 (Flexible) LCD와; 키 입력을 감지되면 플렉시블 LCD를 슬라이딩하여 화면을 확장시키고, 상기 화면이 확장된 상태에서 호가 수신되거나 낙하가 발생하면 상기 플렉시블 LCD를 원 상태로 복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LCD는 측면부에 플렉시블 LCD는 슬라이딩하기 위한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플렉시블 LCD는 빳빳함을 유지하기 위하여 후면에 일정 크기의 강한 재질이 부착된다.
상기 키는 이동단말기를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엔터테인먼트 키 또는 상기 플렉시블 LCD를 수동으로 슬라이드하기 위한 슬라이드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엔터테인먼트 키는 영화 재생 키, DMB 시청 키, 게임 키 및 네비게이션 키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시블 LCD가 슬라이딩되는 정도는 단말기의 동작모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거나 디폴트로 설정된다.
상기 제어부는 엔터테인먼트 키가 입력되면 LCD 슬라이딩 메뉴가 온 상태로 설정된 경우 메인 LCD에 이동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표시하고, 보조 LCD를 자동으로 슬라이딩한다.
상기 제어부는 음성호가 수신되면 보조 LCD를 원 상태로 복귀시키고, 영상호 가 수신되면 메인 LCD에 영상통화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의 낙하속도를 감지하여 낙하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긴급모드로 보조 LCD를 복귀시킨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엔터테인먼트 키 입력이 감지되면 메인 LCD내에 구비된 플렉시블 LCD를 슬라이딩하여 화면을 확장하고, 사이 상태에서 음성호가 수신되거나 단말기 낙하가 감지되면 상기 확장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LCD를 원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영화, 게임, 네비게이션 및 디지털 방송을 감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이동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상기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 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 (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 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 (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 (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이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 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로서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제1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한다. 폴더폰의 경우, 이동단말기(100)는 제1바디와, 제1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구성된 제2바디를 포함하게 될 것이다.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구성된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폴더 타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 바디가 폴딩되게 구성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 칭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바디가 언폴딩되게 구성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 칭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에 대해 스윙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스윙 타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바디가 제 2 바디에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 칭할 수 있으며, 제 2 바디가 스윙되어 제 1 바디의 일부분이 노출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폴더 타입과 상기 스윙 타입에 따른 단말기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200),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1 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음향출력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와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205),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2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들과 연동되어 사용되는 소위 소프트키와, 방향 지시 및 확인을 위한 네비게이션키(주로 4개의 방향키 및 중앙키로 구성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245)는 상기 이동 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 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해서는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바디(205)의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바디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이 추가 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250)는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255)는 사용자가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출력모듈 (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음향출력모듈(152)는 제1바디(200)의 음향출력모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60)는 제2바디(205) 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200)의 제 1 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1바디(200)와 제2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5)의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 등이 제2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60, 121 내지 250, 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 디(200),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바디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바디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현재의 이동 단말기 구조에서 게임, 영화등과 같이 큰 화면이 필요한 경우에 전체 플렉시블 LCD중 30~40%정도 외부로 확장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 LCD를 이동 단말기에 적용할 때 특히 화면 확장을 위하여 플렉시블 LCD가 이동 단말기 외측으로 확장되어 나올 때의 효과적인 화면표시 방법 및 LCD보호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에서, 센싱부(140)는 속도센서와 위치센서를 구비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 (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가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LCD확장 메뉴에서 "자동 슬라이딩 기능" 을 설정한 경우 다음과 같은 단말기 기능이 설정되면 플렉시블 LCD를 자동으로 확장시킨다.
- 게임 영화 관람등의 엔터테인먼트 기능 선택시 : 플렉시블 LCD확장
- 호수신시(incoming call)(영상통화 제외) : 플렉시블 LCD복귀
제어부(180)는 플렉시블 LCD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모터 구동부(미도시)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LCD슬라이딩 모터가 구동된다. 상기 LCD슬라이딩 모터는 소형으로, 순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단계별로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긴급시 최고 속도). 이때, 제어부(180)는 슬라이딩을 막는 외부 힘이 감지되면 상기 플렉시블 LCD를 슬라이딩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플렉시블 LCD(51)가 확장된 상태(슬라이딩 상태)에서 호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센싱부(140)에서 출력된 센싱신호를 근거로, 현재 인터페이스부(170)가 외부 헤드셋 (e.g., 블루투스 헤드셋)과 연결되어 있는지 체크한다. 체크결과 인터페이스부(170)가 현재 외부 헤드셋 (e.g., 블루투스 헤드셋)과 연결된 경우에는 슬라이딩 상태를 유지하고,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플렉시블 LCD(51)를 복귀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확장된 상태(슬라이딩 상태)에서 호 신호가 감지되거나, 상기 센싱부(140)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이동 단말기(100)의 가속/감속이 확인되면, 상기 슬라이딩된 플렉시블 LCD(51)를 복귀시킨다.
또한, 제어부(180)는 영화감상 등의 엔터테인먼트 수행시에 플렉시블 LCD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확장된 상태를 원래의 단말기 형태로 복귀시켜 플렉시블 LCD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슬라이딩 구조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게임 또는 영화감상 등의 엔터테인먼트 (entertainment)를 수행할 때 메인 LCD(50)의 외부로 플렉시블 LCD(51)가 메인 LCD(50)의 자동(또는 옵션 선택)으로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슬라이딩된 플렉시블 LCD(51)는 호(음성호 또는 영상호)가 수신시 또는 사용자의 버튼 입력에 따라 자동(또는 옵션 선택)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귀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부에는 사용자가 버튼 조작으로 플렉시블 LCD(50)를 확장시킬 수 있는 LCD슬라이드 버튼(52)가 구비된다. 상기 플렉시블 LCD는 LCD슬라이드 버튼(52)을 누르는 횟수마다 한 단계식 확장되며, 1초 정도 길게 누르면 최대 사이즈로 확장된다.
상기 플렉시블 LCD(51)는 평상시에는 이동단말기의 본체 안으로 들어가 있고, 슬라이딩시에는 세로로 확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플렉시블 LCD(51)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모터등의 구동장치가 이동 단말기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본체의 측면부에는 플렉시블 LCD를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가이드(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되어 나오는 플렉시블 LCD(51)는 기존의 LCD와 같은 빳빳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조적인 설계를 반영한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딩되어 나오는 LCD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플렉시블 LCD(51)의 후면에 플라스틱 등의 강한 재질(54)을 덧붙인다.
또한, 본 발명은 영화감상 등의 엔터테인먼트 수행시 플렉시블 LCD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확장된 상태를 원래의 단말기 형태로 복귀시켜 플렉시블 LCD의 충 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플렉시블 LCD의 슬라이딩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자동 슬라이딩 모드와 보호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메뉴의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 시스템 메뉴는 플렉시블 LCD(51)를 확장시키기 위한 LCD슬라이딩 메뉴(LCD Auto Slide) (60)와, 이동 단말기에 소정의 충격이 발생되면 슬라이딩된 플렉시블 LCD(51)를 복귀시키기 위한 LCD보호메뉴(LCD Protection)(61)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상기 시스템 메뉴에서 LCD슬라이딩 메뉴(60)와 LCD보호메뉴(61)를 'On" 또는 "Off"상태로 설정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영화감상 또는 DMB시청시 자동으로 플렉시블 LCD(51)를 확장시키고, 상기 플렉시블 LCD(51)가 확장된 상태에서 단말기에 소정의 충격이 발생되면 플렉시블 LCD(51)를 자동으로 복귀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엔터테인먼트 수행시 자동으로 플렉시블 LCD를 슬라이딩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엔터테인먼트 키를 입력하면(터치하면) 제어부 (180)는 LCD슬라이딩 메뉴(50)의 설정상태를 체크한다. 상기 엔터테인먼트 키는 영화 재생 키(e.g., Divx player), DMB 시청 키, 게임 키 및 네비게이션 키를 포함한다.
체크결과 사용자가 LCD자동 슬라이딩 메뉴(50)를 "On"상태로 설정한 경우, 제어부(180)는 메인 LCD(50)의 화면에 영화관람 모드(Divx Play mode)를 표시한 후 모터 구동부를 통해 LCD슬라이딩 모터를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의 내부에 감겨 있던 플렉시블 LCD(51)를 자동으로 슬라이딩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LCD (50)와 플렉시블 LCD(51)에 의해 확장된 화면을 이용하여 영화를 관람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렉시블 LCD(51)가 외부로 슬라이딩되는 정도 즉, 플렉시블 LCD(51)가 외부로 노출되는 크기는 재생장르 즉, 게임, 영화 및 DMB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상기 재생장르에 따른 플렉시블 LCD(51)의 확장정보는 테이블등으로 메모리(160)에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생장르에 관계없이 플렉시블 LCD(51)가 외부로 노출되는 크기를 디폴트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LCD(51)가 외부로 노출되는 크기는 메뉴설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LCD(51)가 외부로 슬라이딩되는 도중에 이에 대항되는 힘 즉, 확장을 금지한다든지 어떤 물체에 닿으면 제어부(180)는 LCD슬라이딩 모터를 제어하여 플렉시블 LCD(51)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도 9는 이동 단말기의 하단부에 구비된 LCD슬라이드 버튼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플렉시블 LCD를 단계별로 확장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렉시블 LCD(51)는 이동 단말기의 하단부에 구비된 LCD슬라이드 버튼(52)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플렉시블 LCD는 사용자가 LCD슬라이드 버튼(52)이 짧게(1초 미만) 누를 때마다 최초상태 (최소길이)에서 한 단계씩 (1단계~3단계) 확장된다.
이후 상기 3단계 확장상태(최대길이)에서 사용자가 다시 LCD슬라이드 버튼 (52)이 짧게 누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부(180)는 다시 플렉시블 LCD를 한 단계씩(3단계~1단계) 복귀시키며, 1초 정도 길게 누르는 경우에는 최초상태 (최소길이)로 복귀시킨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최초상태 또는 소정 확장단계 (1단계~2단계)에서 LCD슬라이드 버튼(52)을 약 1초 정도 길게 누르면 최대 길이 (3단계)로 확장되고, 최대길이(3단계)에서 또는 소정 확장단계 (1단계~2단계)에서 LCD슬라이드 버튼(52)을 약 1초 정도 길게 누르면 최초상태(최소길이)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플렉시블 LCD(51)의 확장 및 축소는 시스템 메뉴의 설정 및 사용자의 버튼입력으로 수행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슬라이딩된 플렉시블 LCD(51)의 축소를 호 수신 시 또는 낙하 감지시에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호 수신시 플렉시블 LCD를 원 상태로 복귀시키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렉시블 LCD(51)는 LCD슬라이딩 메뉴(60)의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확장되거나, 사용자가 LCD슬라이드 버튼(52)을 눌러 수동으로 확장된다. 상기
플렉시블 LCD(51)가 확장된 상태에서 호(incoming call)가 수신되면, 제어부 (180)는 호의 종류에 따라 플렉시블 LCD(51)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상기 수신된 호가 음성호인 경우 제어부(180)는 "LCD슬라이딩 메뉴(60)"의 상태를 체크하여, "On"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확장된 화면에 수신한 호 메시지를 보여준 후 플렉시블 LCD(51)를 원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후 이동 단말기의 메인 LCD(50)에 호 메시지가 표시된다.
반면에, 수신한 호가 영상호인 경우 제어부(18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렉시블 LCD(51)가 확장된 상태에서 메인LCD(50)의 화면에 영상통화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된 호가 영상호인 경우라 하더라도 시스템 메뉴의 설정에 따라 음성호와 동일하게 적용하거나 사용자에게 소정의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허락한 경우에만 플렉시블 LCD(51)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플렉시블 LCD(51)의 화면에 "원상태로 복귀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55)를 표시한다.
도 14는 낙하 감지시 플렉시블 LCD를 원 상태로 복귀시키는 예를 나타낸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와 사용상의 편리함을 위하여 소형 및 경량화로 제작된다. 따라서, 휴대 중에 또는 사용 중에 실수로 떨어뜨리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며, 휴대 단말기가 떨어지게 되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심한 경우에는 일부 메인 LCD(50) 및 플렉시블 LCD(51)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동 단말기의 낙하(drop)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시스템 메뉴에서, LCD슬라이딩 메뉴(50)와 LCD보호메뉴(51)를 "On"으로 설정하고, 메모리(150)에 단말기의 낙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 즉, 가속도 임계값 (threshold)을 저장한다. 상기 메뉴들이 설정되면 제어부(180)는 모터 구동부, 모터 및 센싱부(140)를 동작시킨다. 상기 센싱부(140) 가 속센서와 위치센서를 포함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영화 또는 DMB등의 엔터테인먼트가 실행되면, 제어부 (180)는 모터 구동부를 통해 LCD슬라이딩 모터를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의 내부에 감겨 있던 플렉시블 LCD(51)를 자동으로 확장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확장된 화면을 통하여 영화 또는 DMB등을 시청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이동 단말기의 낙하가 발생되면, 센싱부(140)의 가속센서는 이동 단말기의 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800로 출력하고, 제어부(180)는 감지된 가속도와 메모리(160)에 지 저장된 가속도 임계값을 비교하여 단말기의 낙하 여부를 판단한다. 비교결과 감지된 가속도가 가속도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이동 단말기가 낙하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LCD슬라이딩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슬라이딩된 플렉시블 LCD를 빠른 속도로 복귀시킨다(긴급모드 적용)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화면확장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LCD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화면확장방법을 나타내 순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같이, 영화, 게임 및 DMB시청을 위한 키 입력(예를들면 Divx player 또는 별도의 엔터테인 먼트 키, DMB진입 키등)이 감지되면(S10), 제어부 (180)는 먼저 시스템 메뉴에 포함되어 있는 LCD슬라이딩 메뉴(50)의 설정상태를 체크한다(S11,S12).
체크결과 사용자가 LCD자동 슬라이딩 메뉴(50)를 "On"상태로 설정한 경우, 제어부(180)는 메인 LCD(50)의 현재의 단말기모드(영화관람모드 또는 DMB모드)를 표시한 후 LCD슬라이딩 모터를 제어하여, 메인 LCD(50)의 내부에 감겨 있던 플렉시블 LCD(51)를 세로 방향으로 자동으로 슬라이딩시킨다(S13).
이 경우 상기 플렉시블 LCD(51)가 외부로 슬라이딩되는 정도 즉, 플렉시블 LCD(51)가 외부로 노출되는 크기는 게임, 영화 및 DMB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상기 플렉시블 LCD(51)가 외부로 슬라이딩되는 도중에 이에 대항되는 힘이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LCD슬라이딩 모터를 제어하여 플렉시블 LCD(51)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호 수신시 이동 단말기의 화면복귀방법을 나타내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플렉시블 LCD(51)는 LCD슬라이딩 메뉴(60)의 설정에 따라 제어부(180)가 자동으로 확장시키거나, 사용자가 직접 LCD슬라이드 버튼(52)을 눌러 수동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S20). 사용자는 메인 LCD(50)와 플렉시블 LCD(51)에 의해 확장된 화면을 이용하여 예를들면 영화를 관람할 수 있다.
상기 확장된 화면에서 영화를 관람하는 도중에 호(incoming call)가 수신되면, 제어부 (180)는 상기 수신된 호가 음성호인지 판별한다(S21). 판별결과, 수신된 호가 음성호이면, 제어부(180)는 LCD슬라이딩 메뉴(60)의 상태를 체크한다(S23). 체크결과 LCD슬라이딩 메뉴(60)가 "On"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80)는 확장된 화면에 수신한 호 메시지를 보여준 다음 플렉시블 LCD(51)를 원 상태로 복 귀시킨다(S24).
반면에, 수신한 호가 영상호인 경우 제어부(180)는 플렉시블 LCD(51)가 확장된 상태에서 메인LCD(50)의 화면에 영상통화 화면을 표시한다(S24).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낙하 감지시 이동 단말기의 화면복귀방법을 나타내 순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렉시블 LCD(51)는 제어부(180)에 의해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가 LCD슬라이드 버튼(52)을 눌러 수동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S30). 상기 플렉시블 LCD(51)에 의해 확장된 화면에서 영화를 관람하는 도중에 외부 충격이나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특정 위치에서 낙하될 수 있다(S30). 일 예로 손에 들고 있는 상태에서 낙하하거나 책상과 같이 특정 물체 위에서 아래로 낙하된다.
상기 플렉시블 LCD(51)가 확장된 상태에서 단말기의 낙하가 감지되면, 제어부 (180)는 센싱부(140)의 가속센서로부터 이동 단말기의 낙하속도를 제공받아, 감지된 가속도(또는 속도)와 메모리(160)에 기 저장된 가속도 임계값을 비교한다(S31, S32). 상기 임계값은 LCD파손이 우려되는 높이에서 떨어질 때의 가속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감지된 가속도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것은 LCD가 파손됨을 의미한다.
비교결과 감지된 가속도가 기 설정된 가속도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 (180)는 시스템 메뉴에 포함된 LCD보호메뉴(61)의 상태가 "On"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체크한다(S33, S34)). 체크결과 LCD보호메뉴 (61)가 "On"으로 설정된 경우, 제 어부(180)는 긴급모드로 LCD슬라이딩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슬라이딩된 플렉시블 LCD(51)를 빠른 속도로 복귀시킨다. 반면에, LCD보호메뉴(61)의 상태가 "Off"로 설정된 경우에는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영화나 게임 및 DMB 시청시에는 본체의 메인 LCD내에 감겨 있는 플렉시블 LCD를 외부로 슬라이딩시켜 화면을 확장하고, 상기 영화나 게임 및 DMB시청시에 호가 수신되거나 단말기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확장된 플렉시블 LCD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슬라이딩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플렉시블 LCD의 후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자동 슬라이딩 모드와 보호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메뉴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엔터테인먼트 수행시 자동으로 플렉시블 LCD를 슬라이딩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이동 단말기의 하단부에 구비된 LCD슬라이드 버튼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플렉시블 LCD를 단계별로 확장시키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이동 단말기의 하단부에 구비된 LCD슬라이드 버튼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플렉시블 LCD를 단계별로 축소시키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LCD슬라이드 버튼을 길게 눌러 수종으로 플렉시블 LCD를 최소상태와 치대상태로 확장시키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 및 도 13은 호 수신시 플렉시블 LCD를 원 상태로 복귀시키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낙하 감지시 플렉시블 LCD를 원 상태로 복귀시키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렉시블 LCD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화면확장방법을 나타내 순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호 수신시 이동 단말기의 화면복귀방법을 나타내 순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낙하 감지시 이동 단말기의 화면복귀방법을 나타내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무선통신부 111 : 방송수신모듈
112 : 이동통신모듈 113 ; 무선인터넷모듈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80 : 제어부

Claims (22)

  1. 엔터테인먼트 키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키 입력을 감지되면 시스템 메뉴 설정에 따라 메인 LCD내에 구비된 보조 LCD를 슬라이딩하여 화면을 확장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이 확장된 상태에서 호가 수신되거나 소정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확장된 보조 LCD를 원 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확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터테인먼트 키는
    영화 재생 키, DMB 시청 키, 게임 키 및 네비게이션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확장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LCD는
    플렉시블(Flexible) LC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확장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LCD는
    메인 LCD의 측면내측에 위치한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확장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LCD는
    후면에 소정 크기의 빳빳한 재질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확장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LCD가 슬라이딩되는 정도는
    단말기의 동작모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LCD가 슬라이딩되는 정도는
    디폴트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을 확장하는 단계는
    엔터테인먼트 키가 입력되면 LCD슬라이딩 메뉴의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와;
    LCD 슬라이딩 메뉴가 온 상태로 설정된 경우 메인 LCD에 상기 엔터테인먼트 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모드를 표시하고, 보조 LCD를 자동으로 슬라이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LCD를 복귀시키는 단계는
    수신된 호가 음성 호인지 판별하는 단계와;
    수신된 호가 음성 호이면 외부 헤드셋이 연결되어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헤드셋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보조 LCD를 원 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와;
    수신된 호가 영상호인 경우 메인 LCD에 영상통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확장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LCD를 복귀시키는 단계는
    이동 단말기의 낙하속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낙하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긴급모드로 보조 LCD를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확장방법.
  11. 메인 LCD와;
    메인 LCD내에 구비되어 화면이 확장되도록 슬라이딩되는 보조 LCD와;
    키 입력을 감지되면 보조 LCD를 슬라이딩하여 화면을 확장시키고, 상기 화면이 확장된 상태에서 호가 수신되거나 낙하가 발생하면 상기 보조 LCD를 원 상태로 복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LCD는
    측면부에 보조 LCD는 슬라이딩하기 위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LCD는
    플렉시블(Flexible) LC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LCD는
    빳빳함을 유지하기 위하여 후면에 일정 크기의 강한 재질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엔터테인먼트 키 또는 슬라이드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엔터테인먼트 키는
    영화 재생 키, DMB 시청 키, 게임 키 및 네비게이션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LCD가 슬라이딩되는 정도는
    단말기의 동작모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LCD가 슬라이딩되는 정도는
    디폴트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엔터테인먼트 키가 입력되면 LCD 슬라이딩 메뉴가 온 상태로 설정된 경우 메인 LCD에 이동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표시하고, 보조 LCD를 자동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성호가 수신되면 보조 LCD를 원 상태로 복귀시키고, 영상호가 수신되면 메인 LCD에 영상통화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슬라이드버튼의 입력 횟수에 따라 보조 LCD를 순차적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의 낙하속도를 감지하여 낙하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긴급모드로 보조 LCD를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80137512A 2008-12-30 2008-12-3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확장방법 KR101562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512A KR101562582B1 (ko) 2008-12-30 2008-12-3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확장방법
US12/640,849 US8275420B2 (en) 2008-12-30 2009-12-17 Portable terminal having flexible display and screen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512A KR101562582B1 (ko) 2008-12-30 2008-12-3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확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100A true KR20100079100A (ko) 2010-07-08
KR101562582B1 KR101562582B1 (ko) 2015-10-22

Family

ID=4228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512A KR101562582B1 (ko) 2008-12-30 2008-12-3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확장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75420B2 (ko)
KR (1) KR10156258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7783A1 (ko) * 2015-09-30 2017-04-06 신진철 역폴딩 되는 확장화면형 이동단말기.
WO2017131283A1 (ko) * 2016-01-28 201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009542A1 (ko) * 2017-07-04 2019-01-10 신진철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WO2019139371A1 (ko) * 2018-01-12 2019-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부품 배치 구조
WO2019139314A1 (ko) * 2018-01-09 2019-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
WO2021221184A1 (ko) * 2020-04-27 2021-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1230404A1 (ko) * 2020-05-15 202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WO2022004908A1 (ko) * 2020-06-30 2022-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767B1 (ko) * 1999-04-02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에서 다기능키 이용방법
CN102419933A (zh) * 2010-09-28 2012-04-18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器及具有该显示器的电子装置
KR101821197B1 (ko) * 2010-12-21 201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711566B2 (en) *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US9342108B2 (en) 2011-09-16 2016-05-17 Apple Inc. Protecting an electronic device
JP5865722B2 (ja) * 2012-02-03 2016-02-17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KR102014791B1 (ko) * 2012-03-27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확장된 길이에 기초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최적화 방법
KR102047690B1 (ko) * 2013-01-24 2019-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US9432492B2 (en) 2013-03-11 2016-08-30 Apple Inc. Drop countermeasures for electronic device
US9505032B2 (en) 2013-03-14 2016-11-29 Apple Inc. Dynamic mass reconfiguration
US9715257B2 (en) 2014-04-18 2017-07-25 Apple Inc. Active screen protection for electronic device
WO2016035907A1 (ko) * 2014-09-03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9772180B2 (en) * 2014-12-26 2017-09-26 Intel Corporation Determining device curvature in smart bendable systems
US9877002B2 (en) 2015-10-02 2018-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onfigurable mobile device
KR102387115B1 (ko) 2015-11-18 2022-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500060B1 (ko) 2015-11-18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7086689A1 (ko) * 2015-11-18 2017-05-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203929B2 (en) 2017-06-13 2019-02-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tendable display strips
USD865783S1 (en) * 2017-07-19 2019-11-05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59382S1 (en) * 2017-09-27 2019-09-10 Lg Display Co., Ltd. Smart phone
JP1651861S (ko) * 2017-09-27 2020-02-03
KR102389189B1 (ko) 2017-11-29 2022-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088215B1 (ko) * 2018-01-22 2020-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262962B1 (ko) * 2018-02-14 202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기능 또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266152B1 (ko) * 2018-02-22 202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변경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55469B1 (ko) * 2018-03-06 202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0312001B (zh) * 2018-03-20 2021-07-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滑出结构的位置检测方法、检测组件及电子装置
WO2020095387A1 (ja) * 2018-11-07 2020-05-14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用電子機器及び携帯用電子機器の制御方法
CN111866222B (zh) 2019-04-25 2022-05-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具有柔性屏幕的终端
CN112243052B (zh) * 2019-07-17 2021-10-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天线控制方法及存储介质
WO2021160278A1 (en) * 2020-02-14 2021-08-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elf-adaptive display aspect ratio adjuster and gesture on rolling devices
USD963671S1 (en) * 2020-04-03 2022-09-1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63672S1 (en) * 2020-04-03 2022-09-1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210139060A (ko) * 2020-05-13 2021-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기능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EP4149091A4 (en) * 2020-06-05 202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DISPLAYS AND ASSOCIATED OPERATING METHOD
US20220147178A1 (en) * 2020-11-06 2022-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WO2022103014A1 (ko) * 2020-11-13 2022-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KR20220077647A (ko) * 2020-12-02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4213004A4 (en) * 2020-12-04 2024-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SCREEN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EP4239985A4 (en) * 2020-12-04 2024-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EXPANDABLE DISPLAY
KR20220154420A (ko) * 2021-05-13 2022-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3595B1 (en) * 1998-06-16 2001-06-05 Nortel Networks Limited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extendible section
EP1193953B1 (fr) * 2000-06-30 2004-11-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eillage électronique comportant un écran rétractable
US20020090980A1 (en) * 2000-12-05 2002-07-11 Wilcox Russell J. Displays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20030050019A1 (en) * 2001-09-07 2003-03-13 Dowling Eric Morgan Mobile units with fexible-retractable peripherals
EP1298909B1 (en) * 2001-09-28 2007-04-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JP2003229934A (ja) * 2002-02-04 2003-08-15 Nec Corp 携帯電話機
US6931265B2 (en) * 2002-05-24 2005-08-16 Microsite Technologies, Llc Wireless mobile device
KR100703339B1 (ko) * 2003-09-24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이 무선단말기에서의 슬라이딩 제어 방법
US7667962B2 (en) * 2004-08-20 2010-02-23 Mullen Jeffrey D Wireless devices with flexible monitors and keyboards
TWI259715B (en) * 2005-01-25 2006-08-01 Wistron Corp Electronic device able to adjust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US7558057B1 (en) * 2005-06-06 2009-07-07 Alex Naksen Personal digital device with adjustable interface
US7409236B1 (en) * 2005-08-25 2008-08-05 Kyocera Wireless Corp.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xtendable visual display
KR200415299Y1 (ko) * 2006-02-07 2006-05-02 엄기호 보조 디스플레이수단을 갖는 무선통신단말장치
KR101122086B1 (ko) * 2006-06-07 2012-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144423B1 (ko) * 2006-11-16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CN101252607A (zh) * 2007-02-25 2008-08-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带有扩展显示屏的滑盖式手机
US7513472B2 (en) * 2007-07-10 2009-04-07 Shang-Wen Yang Adjustable stand
KR101486345B1 (ko) * 2008-03-21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KR101513023B1 (ko) * 2008-03-25 201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US8385992B2 (en) * 2008-12-19 2013-02-26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US20100159992A1 (en) * 2008-12-18 2010-06-24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sliding display screen and screen-dividing member
US20100331063A1 (en) * 2009-06-30 2010-12-3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liding display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7783A1 (ko) * 2015-09-30 2017-04-06 신진철 역폴딩 되는 확장화면형 이동단말기.
WO2017131283A1 (ko) * 2016-01-28 201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911586B2 (en) 2016-01-28 2021-02-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WO2019009542A1 (ko) * 2017-07-04 2019-01-10 신진철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WO2019139314A1 (ko) * 2018-01-09 2019-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
US11169619B2 (en) 2018-01-09 2021-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key button arrangement structure applied to same
US11561582B2 (en) 2018-01-12 2023-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applied to same
WO2019139371A1 (ko) * 2018-01-12 2019-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부품 배치 구조
US11755073B2 (en) 2018-01-12 2023-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applied to same
WO2021221184A1 (ko) * 2020-04-27 2021-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595505B2 (en) 2020-04-27 2023-02-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450960B2 (en) 2020-05-15 2022-09-20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ntennas
WO2021230404A1 (ko) * 2020-05-15 202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11334118B2 (en) 2020-06-30 2022-05-17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WO2022004908A1 (ko) * 2020-06-30 2022-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67791A1 (en) 2010-07-01
US8275420B2 (en) 2012-09-25
KR101562582B1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2582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확장방법
KR20090053605A (ko) 충전메뉴 설정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상호 충전방법
KR2009005224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키 입력 방법
KR20090034172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30012A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동단말기의 데이터 편집 방법
KR2009003362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11742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모드 선택 방법
US20100169397A1 (en) Mobile terminal and unit converting method thereof
KR10095224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방법
KR20090063903A (ko) 가상 키보드 변환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변환방법
KR20090104486A (ko)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
KR20100069434A (ko) 투명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방송제어 방법
KR20100069435A (ko) 투명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화면 캡쳐 방법
KR2011008039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프라이버시 정보 관리방법
KR201100051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타 아이콘화 방법
KR20090033619A (ko) 휴대 단말기,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090075977A (ko) 단말기,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10078051A (ko) 이동 단말기의 충전구조 및 그의 충전방법
KR20090064832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편집 방법
KR2009009922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38194A (ko)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20090064856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22023B1 (ko) 통신 단말기 및 복수의 헤드셋과 통신하는 통신 방법
KR10138751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출력 제어 방법
KR2010003222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데이터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