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486A -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486A
KR20090104486A KR1020080029927A KR20080029927A KR20090104486A KR 20090104486 A KR20090104486 A KR 20090104486A KR 1020080029927 A KR1020080029927 A KR 1020080029927A KR 20080029927 A KR20080029927 A KR 20080029927A KR 20090104486 A KR20090104486 A KR 20090104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buffering
terminal
broadca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5835B1 (ko
Inventor
조범석
유수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9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835B1/ko
Priority to US12/403,945 priority patent/US8170046B2/en
Priority to CN200910128577XA priority patent/CN101553025B/zh
Priority to EP20090004059 priority patent/EP2107703A3/en
Publication of KR20090104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2Arrangements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04H60/91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MPEG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채널을 선택받음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채널 각각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데이터를 일정 시간 동안 버퍼링하는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TERMINAL AND METHOD OF BUFFERING CHANNEL THEREIN}
본 발명은 방송 수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음성/영상 통화 기능, 정보 입/출력 기능 및 데이터 저장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기기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단말기는, 이동성 여부에 따라 이동형 및 고정형으로 나뉠 수 있고, 이동형 단말기는, 사용자의 휴대 여부에 따라 휴대형 및 거치형으로 나뉠 수 있다.
최근, 단말기는, 상술한 기능들에 더하여,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영상 촬영, 음악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게임, 방송 수신/출력, 길 안내 서비스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측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는, 특정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신호를 출력하면서, 특정 채널의 인접 채널에 대하여 계속하여 버퍼링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인접 채널에 대한 버퍼링 동작의 계속적 수행으로 인하여 전원 소모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채널 버퍼링 동작을 개선하여 전원 소모를 제어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채널 버퍼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채널 선택시 일정 시간 동안만 채널 버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채널별 식별 정보 및 방송 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채널을 선택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채널을 선택받음에 따라, 상기 수신된 채널별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방송 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각각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데이터를 일정 시간 동안 버퍼링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방송 관련 데이터의 버퍼링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채널 버퍼링 방법은, 채널별 식별 정보 및 방송 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채널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채널을 선택받음에 따라, 상기 수신된 채널별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방송 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각각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데이터를 일정 시간 동안 버퍼링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방송 관련 데이터의 버퍼링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정 시간 동안 채널 버퍼링을 수행하므로, 채널 버퍼링에 의한 배터리 소모가 감소할 수 있다.
둘째, 선택된 채널을 기준으로 인접 채널뿐만 아니라 선호 채널 등 다양한 타입의 채널들을 버퍼링할 수 있으므로, 버퍼링하고자 하는 채널에 대한 사용자 요구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에 대하여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MP3P(MPEG layer 3 Player) 등이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방송 수신 기능을 구 비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가 있는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 또는 단말기(100)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 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들 수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히 측정된 시간 및 거리를 이용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동작을 받아들여,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기(100)의 방위,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도 담당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 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TV 또는 컴퓨터 모니터 등과 연결되는 경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 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전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제 1 바디(200)와, 제 1 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바디(205)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가, 폴더 타입인 경우에, 제 1 바디와, 제 1 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folding) 또는 언폴딩(unfolding)되게 구성된 제 2 바디를 포함한다.
제 1 바디(200)가 제 2 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디(200)가 제 2 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 1 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바디(200),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 1 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 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1 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와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바디(205),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 2 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 3 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 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 1 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 2 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 3 사용자 입력부(245)는, 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 2 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단말기를 후면에서 바라본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 2 바디(205)의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 2 바디(205)에 장착된 카메라(121)는, 제 1 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 1 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250)는,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255)은, 사용자가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 2 바디(205)의 음향 출력 모듈(152)은, 제 1 바디(200)의 음향 출력 모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 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260)는 제 2 바디(205)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1 바디(200)의 제 1 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 1 바디(200)와 제 2 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 2 바디(205)의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카메라(121) 등이 제 2 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 1 바디(200),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 2 바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 1 바디(200)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로부터 식별 장치가 착탈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식별 장치는, SIM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 장치(310)는, 단말기(100)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단말기(100)에는, 식별 장치가 교체되어 장착될 수도 있다. 물론, 식별 장치(310)는, 인터페이스부(170)와 결합하여 단말기(100)에 장착될 수도 있고, 식별 장치(310)와의 결합을 위하여 별도로 구비된 커넥터와 연결되어 단말기(1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식별 장치(310)와 단말기(1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은, 단말기(100)의 후면, 측면, 정면 등 어느 부위라도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도 3a 및 도 3b에서 단말기로부터 식별 장치가 착탈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한 식별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에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 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 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채널 버퍼링 방법을 각 단계별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의 채널 버퍼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채널별 식별 정보 및 방송 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S511).
여기에서, 채널별 식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각각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하고, 방송 관련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방송 신호를 구성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별 식별 정보 및 방송 관련 데이터는, 동일한 데이터 또는 각각 상이한 데이터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는, 네트워크상에서 방송 관련 정보를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DVB-H 방송 시스템이 적용된다고 가정하면 채널별 식별 정보 및 방송 관련 데이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DVB-H를 포함하여, DVB-T, DMB, Media FLO 등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ESG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채널별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채널별 식별 정보는, ESG 데이터 내에 포함된 세션 디스크립션 프로토콜(Session Description Protocol; 'SDP') 파일에 정의될 수 있다. 여기에서, SDP 파일은, 채널별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채널별 아이피 주소(IP address) 및 포트(port)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채널 선택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SDP 파일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 채널별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멀티프로토콜 인캡슐레이션(Multiprotocol Encapsulation; 'MPE')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MPE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한 각각의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방송 관련 데이터의 일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MPE 데이터는, 복수의 전송 스트림 패킷(transport stream packet)이 모여서 생성된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SDP 파일로부터 획득된 채널별 식별 정보를 이용하 여, 각각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다.
수신 단계(S511)에서, 단말기(100)는, 네트워크 종류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수신 모듈(무선 통신부(110)에 구비됨)을 이용하여 채널별 식별 정보 또는 방송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방송망을 이용하는 경우 방송 수신 모듈(111)을,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채널별 식별 정보 또는 방송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타임 슬라이싱(time slicing) 방식에 근거하여 수신 단계(S511)를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VB-H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기(100)는, 방송 관련 동작 구간(또는, 온(ON) 구간) 및 방송 관련 비동작 구간(또는, 오프(OFF) 구간)을 교대로 수행하고, 방송 관련 동작 구간에서만 수신 단계(S511)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단말기(100)는, 채널 버퍼링 조건을 설정한다(S513). 예를 들어, 설정 단계(S513)는, 제어부(18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채널 버퍼링 조건에는, 버퍼링 대상 채널, 버퍼링 대상 채널의 수, 버퍼링 수행 시간, 버퍼링 순서, 버퍼링 주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채널 버퍼링 조건 설정에 관련한 동작을 입력받음에 따라, 설정 단계(S513)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사용자 동작에 근거한 설정 단 계(S513)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7e는, 단말기(100)에서 버퍼링 조건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채널 버퍼링 조건 설정을 위한 메뉴 항목이 선택됨에 따라, 채널 버퍼링 조건 항목들로 구성된 리스트(이하 '버퍼링 조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버퍼링 조건 리스트로부터 "버퍼링 대상 채널"이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 타입으로 구성된 채널 타입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도 7a). 따라서,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채널 타입 리스트로부터 채널 타입이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채널 타입에 해당하는 버퍼링 대상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타입 리스트에는, 인접 채널, 사용자 선호 채널, 사용자 지정 채널, 이전 선택 채널, 채널 선택 패턴에 근거한 채널, 복합 채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접 채널은, 현재 선택된 채널에 인접하는 채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 1 채널부터 제 10 채널이 순서대로 할당된 경우를 가정하면, 현재 선택된 채널이 제 5 채널인 경우, 인접 채널은 제 4 및 제 6 채널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인접 채널은, 현재 선택된 채널을 기준으로 위/아래 방향으로 일정 개수의 채널들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선호 채널은, 사용자에 의해 선호 채널로 지정된 채널 또는 채 널별 사용 빈도 및/또는 사용량이 큰 순서로 지정된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채널별 사용 빈도 및/또는 사용량을 메모리(160)에 저장하고, 저장된 채널별 사용 빈도 및/또는 사용량이 큰 순서로 일정 개수의 채널을 사용자 선호 채널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지정 채널은, 채널 버퍼링의 대상으로서, 복수의 채널들 중 사용자에 의해 직접 지정된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지정 채널은, 복수의 채널들 중 사용자에 의해 일일이 지정된 채널뿐만 아니라, 채널 장르, 시청 제한 연령 또는 유/무료 채널 여부 등을 지정함으로써 그에 해당하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전 선택 채널은, 일정 기간 동안, 방송 시청을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8년 1월 1일부터 1월 10일까지의 일정 기간 동안 제 1 채널, 제 3 채널 및 제 5 채널이 선택되었다고 가정하면, 이전 선택 채널은, 제 1 채널, 제 3 채널 및 제 5 채널이 될 수 있다.
또한, 채널 선택 패턴에 근거한 채널은,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들의 선택 방향에 근거한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방향이 채널 번호 증가 방향(또는, 채널 번호 감소 방향, 홀수/짝수 채널 등)인 경우, 채널 선택 패턴에 근거한 채널은, 현재 선택된 채널보다 채널 번호가 큰 일정 개수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채널은, 상술한 모든 채널 타입들 중 복수의 채널 타입을 복합적으로 지정한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채널은, "인접 채널 및 사용 자 선호 채널", "인접 채널 및 이전 선택 채널" 등의 될 수 있다.
버퍼링 조건 리스트로부터 "버퍼링 대상 채널의 수"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버퍼링 대상 채널의 수를 선택받을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도 7b). 따라서,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버퍼링 대상 채널의 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7b(a)는, 버퍼링 대상 채널이 하나인 경우를 도시하고, 도 7b(b)는 버퍼링 대상 채널이 복수인 경우(버퍼링 대상 채널이 복합 채널인 경우)를 도시한다.
버퍼링 조건 리스트로부터 "버퍼링 수행 시간"이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버퍼링 수행 시간을 선택받을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도 7c). 따라서,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버퍼링 수행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버퍼링 조건 리스트로부터 "버퍼링 순서"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버퍼링 순서 타입으로 구성된 버퍼링 순서 타입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도 7d). 예를 들어, 버퍼링 대상 채널인 인접 채널인 경우, 버퍼링 순서 타입은, 인접한 순서, 선호 순서, 이전 선택 순서, 채널 선택 패턴 순서, 사용자 임의 지정 순서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버퍼링 순서 타입에 따라, 버퍼링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버퍼링 조건 리스트로부터 "버퍼링 주기"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버퍼링 주기를 선택받을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도 7e). 따라서,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버퍼링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링 수행 시간이 60초이고 버퍼링 주기가 10초인 경우, 단말기(100)는, 60초 동안 10초 주기로 총 6회의 버퍼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로 복귀하여, 단말기(100)는, 상술한 사용자 동작 없이, 단말기(100) 상태에 대한 제어부(180)의 판단에 근거하여 설정 단계(S513)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잔류 배터리 량, 다른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호 연결, 메시지 작성, MP3 재생 등) 구동 여부 등에 근거하여, 버퍼링 대상 채널, 버퍼링 대상 채널의 수, 버퍼링 수행 시간, 버퍼링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잔류 배터리 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구동 중인 경우, 버퍼링 수행에 따른 배터리 소모를 줄일 필요가 있으므로, 버퍼링 수행 시간을 기준 시간(예를 들어, 60초) 이하로 설정하거나, 버퍼링 주기를 기준 주기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설정 단계(S513)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버퍼링 조건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수신된 무선 신호에 포함된 채널 버퍼링 조건에 따라 설정 단계(S513)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방송 사업자(또는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사용자 동작에 근거한 채널 버퍼링 조건이 설정된 경우라도, 단말기(100) 상태 또는 채널 버퍼링 조건을 포함한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채널 버퍼링 조건이 재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 상태 또는 채널 버퍼링 조건을 포함한 무선 신호에 근거한 채널 버퍼링 조건이 설정된 경우라도, 상술한 사용자 동작에 근거하여 채널 버퍼링 조건이 재설정될 수 있다. 또한, 채널 버퍼링 조건을 포함한 무선 신호에 근거한 채널 버퍼링 조건이 설정된 경우라도, 단말기(100) 상태에 근거하여 채널 버퍼링 조건이 재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동작, 단말기(100) 상태, 채널 버퍼링 조건을 포함한 무선 신호 중 어느 것에 근거하여 채널 버퍼링 조건을 설정할 것인지 선택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설정 단계(S513)는, 도 5에 도시된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단계들 중 어느 단계의 앞 단계 또는 뒤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채널을 선택받는다(S513).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채널 진입 및 채널 전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명령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선택 단계(S513)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채널 진입은, 방송 신호 출력 전 채널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채널로의 진입을 의미하고(도 8 참조), 채널 전환은, 방송 신호 출력 중 다른 채널로의 전환을 의미한다(도 10 참조).
그리고, 단말기(100)는, 선택 단계(S515)에서 채널을 선택받음에 따라, 수신 단계(S511)에서 수신된 채널별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단계(S515)에서 수신된 방송 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각각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데이터를 일 정 시간 동안 버퍼링한다(S517). 특히, 버퍼링 단계(S517)는, 제어부(18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채널 버퍼링은, 현재 선택된 채널에서 다른 채널로의 전환을 신속하게 하기 위하여, 다른 채널(예를 들어, 인접 채널, 사용자 선호 채널 등)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관련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두는 것을 의미한다.
단말기(100)는, 설정 단계(S513)에서 설정된 버퍼링 조건에 따라 버퍼링 단계(S517)를 수행할 수 있다.
버퍼링 조건에 따른 버퍼링 단계(S517)의 수행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버퍼링 수행 시간이 60초이고, 선택된 채널이 '제 3 채널'이라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버퍼링 대상 채널 및 수가 인접 채널 2개인 경우, 단말기(100)는, 제 3 채널의 인접 채널인 제 2 및 제 4 채널에 대한 버퍼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버퍼링 대상 채널 및 수가 사용자 선호 채널 4개인 경우, 단말기(100)는, 사용자 선호도가 높은 순서대로 4개 채널에 대한 버퍼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버퍼링 대상 채널 및 수가 사용자 지정 채널 3개인 경우,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버퍼링 대상 채널로 지정된 3개 채널에 대한 버퍼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버퍼링 대상 채널 및 수가 이전 선택 채널 4개인 경우, 단말기(100)는,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력이 있는 4개 채널에 대한 버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선택 이력이 있는 채널이 4개를 초과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4개 채널, 이용 빈도/이용량이 큰 순서의 4개 채 널, 제 3 채널에 인접한 순서의 4개 채널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버퍼링 대상 채널로 지정할 수 있다.
또는, 버퍼링 대상 채널 및 수가 채널 선택 패턴에 근거한 채널 2개인 경우, 단말기(100)는, 일정 기간 동안 채널 선택 방향이 채널 번호 증가 방향이라고 가정하면, 제 3 채널로부터 채널 번호 증가 방향에 위치한 제 4 및 제 5 채널에 대하여 버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버퍼링 대상 채널 및 수가 인접 채널 2개, 사용자 선호 채널 2개인 경우, 단말기(100)는, 제 3 채널에 인접한 채널인 제 2 및 제 4 채널, 그리고 사용자 선호도가 높은 순서의 2개 채널에 대한 버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버퍼링 순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버퍼링 단계(S517)에서, 단말기(100)는, 채널별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식별 정보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각각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데이터를 버퍼링할 수 있다. 이때, 방송 관련 데이터에는, 어느 채널에 해당하는 데이터인지가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설정 단계(S513)에서 버퍼링 대상 채널 및 버퍼링 대상 채널 수로써 인접 채널 2개가 설정된 경우, 단말기(100)는, 채널별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 단계(S515)에서 선택된 채널(예를 들어, 제 3 채널) 및 선택된 채널에 대한 인접 채널(예를 들어, 제 2 및 제 4 채널)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인접 채널 각각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데이터를 버퍼링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버퍼링 단계(S517)를 수행하면서,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채널 버퍼링에 관련된 아이콘(이하 '채널 버퍼링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519).
여기에서, 채널 버퍼링 아이콘은, 이모티콘(emoticon), 이미지(image), 심볼(symbol), 애니메이션(animation), 플래시(flash), 텍스트, 프로그래시브 바(progressive bar) 등의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진동, 알림음, 음성 신호 등의 다양한 피드백(feedback)수단을 이용하여, 채널 버퍼링 중임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알릴 수도 있다.
또한, 채널 버퍼링 아이콘은, 채널 버퍼링 중임을 알리거나, 채널 버퍼링 진행 정도를 알릴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채널 버퍼링 아이콘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채널 버퍼링 관련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버퍼링 단계(S517) 및 디스플레이 단계(S519)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채널 진입시 버퍼링 수행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채널 리스트 중 특정 채널 '제 3 채널'을 선택받음에 따라, 제 3 채널로 진입할 수 있다.
도 9a에 의하면, 단말기(100)는, 제 3 채널로 진입함에 따라, 제 3 채널 진입 중임을 알리면서, 채널 버퍼링 중임을 알리기 위한 채널 버퍼링 아이콘(910)을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도 9b에 의하면, 단말기(100)는, 제 3 채널로 진입함에 따라, 제 3 채널 진입 중임을 알리면서, 채널 버퍼링 정도를 알리기 위한 프로그레시브 바 타입의 채널 버퍼링 아이콘(9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도 9c에 의하면, 단말기(100)는, 제 3 채널로 진입함에 따라, 제 3 채널 진입 중임을 알리면서, 채널 버퍼링에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버퍼링 수행 시간, 버퍼링 대상 채널, 버퍼링 대상 채널의 수 등을 알리는 창(930) 및 채널 버퍼링 아이콘(910)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버퍼링 수행 시간 이전에 제 3 채널로의 진입이 성공한 경우라도, 단말기(100)는, 제 3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신호(비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버퍼링 아이콘을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채널 전환시 버퍼링 수행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제 3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신호 출력 중 사용자로부터 특정 채널 '제 4 채널'을 선택받음에 따라, 제 4 채널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채널 리스트로부터 제 4 채널을 선택하거나, 채널 선택 키(예를 들어, 방향 키)를 이용하여 제 4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1a에 의하면, 단말기(100)는, 제 4 채널로 전환함에 따라, 제 4 채널 전환 중임을 알리면서, 채널 버퍼링 중임을 알리기 위한 채널 버퍼링 아이콘(1110)을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도 11b에 의하면, 단말기(100)는, 제 4 채널로 전환함에 따라, 제 4 채널 전환 중임을 알리면서, 채널 버퍼링 정도를 알리기 위한 프로그레시브 바 타입의 채널 버퍼링 아이콘(11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도 11c에 의하면, 단말기(100)는, 제 4 채널로 전환함에 따라, 제 4 채널로 전환 중임을 알리면서, 채널 버퍼링에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버퍼링 수행 시간, 버퍼링 대상 채널, 버퍼링 대상 채널의 수 등을 알리는 창(1130) 및 채널 버퍼링 아이콘(1110)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12a 및 도 12b에 의하면, 단말기(100)는, 제 4 채널로의 전환시(또는, 제 3 채널로의 진입시), 현재 배터리 잔류량에 따라, 버퍼링 조건(상술함)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버퍼링 조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채널 버퍼링 아이콘(1210)을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버퍼링 수행 시간 완료 이전에 제 4 채널로의 전환이 성공한 경우라도, 단말기(100)는, 제 4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도 11a 내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버퍼링 아이콘을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버퍼링 시간 동안 채널 버퍼링 관련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버퍼링 수행 시간은 60초라고 가정한다.
단말기(100)는, 버퍼링 수행 시간 60초 이전에 제 4 채널로의 전환(또는, 제 4 채널로의 진입)이 성공한 경우, 화면상에 제 4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신호(특히,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면서 일 영역에 채널 버퍼링 아이콘(14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3a 및 도 13b). 그리고, 단말기(100)는, 채널 버퍼링 진행 정도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화면의 다른 영역에 버퍼링 진행 시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채널 버퍼링 아이콘(1410)은, 채널 버퍼링 진행 정도에 따라, 색상, 명암, 채도, 진하기, 크기 등의 외형적 요소가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버퍼링 수행 시간 60초가 지남에 따라, 채널 버퍼링의 수행을 중단하고, 화면상에 제 4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신호를 계속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채널 버퍼링 명령 신호 또는 버퍼링 대상 채널 편집 신호(후술함)를 입력받기 위하여, 채널 버퍼링 아이콘(1410)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도 13c).
여기에서, 단말기(100)는, 버퍼링 수행 중의 채널 버퍼링 아이콘 및 버퍼링 완료 후의 채널 버퍼링 아이콘을 사용자로 하여금 구별시키기 위하여, 서로 다른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상, 진하기, 굵기 등을 다르게 하거나, 버퍼링 수행 중의 채널 버퍼링 아이콘을 깜박이도록 디스플레이하거나(blinkling), 동적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5로 복귀하여,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채널 버퍼링 아이콘을 이용한 버퍼링 관련 신호를 입력받는다(S521).
여기에서, 버퍼링 관련 신호는, 버퍼링 중단 신호 또는 버퍼링 대상 채널 편 집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링 중단 신호는, 사용자로부터 채널 버퍼링 아이콘을 선택받음에 따라, 현재 진행 중인 버퍼링 동작의 중단 명령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버퍼링 대상 채널 편집 신호는, 사용자로부터 채널 버퍼링 아이콘을 선택받음에 따라, 버퍼링 대상 채널에 대한 변경, 삭제, 설정 등을 입력받기 위한 신호를 의미하고, 더 나아가 사용자로부터 채널 버퍼링 조건을 설정받기 위한 상태의 설정 명령 신호(도 6 내지 도 7e 참고)를 의미할 수도 있다.
입력 단계(S521)에 대하여,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단말기(100)에서 채널 버퍼링 중 버퍼링 중단 신호를 입력받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14에 의하면, 단말기(100)는, 채널 버퍼링 수행 중 채널 버퍼링 아이콘(13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a), 사용자로부터 채널 버퍼링 아이콘(1310)을 선택받음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채널 버퍼링 중단 여부를 선택하게 하는 창(13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따라서, 사용자는, 채널 버퍼링 수행 중이라도, 채널 버퍼링 아이콘을 이용하여 채널 버퍼링 중단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채널 버퍼링 아이콘(1310)을 선택받음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버퍼링 대상 채널에 대한 편집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창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버퍼링 수행 시간 완료 이전에 채널 전환(또는, 채널 진입)이 성공한 경우, 단말기(100)는, 화면상에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신호 및 채널 버퍼링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면서, 상술한 버퍼링 관련 신 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5로 복귀하여, 단말기(100)는, 일정 시간(또는, 버퍼링 수행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S523). 이때, 판단 단계(S523)는, 제어부(18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일정 시간의 시작 시점, 종료 시점 및 경과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타이머(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타이머로부터 일정 시간에 대한 확인 정보를 입력받아, 일정 시간 동안 버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판단 단계(S523)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버퍼링 단계(S517)에서의 채널 버퍼링 동작을 중단한다(S525).
한편, 판단 단계(S523)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버퍼링 단계(S517)로 복귀하여 채널 버퍼링 동작을 계속하여 수행한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출력부(150)를 통하여, 선택 단계(S515)에서 선택된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신호를 출력한다(S527).
도 5에 의하면, 출력 단계(S527)는, 채널 버퍼링이 중단된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채널 버퍼링 수행 중(또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이라도, 선택된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신호를 출력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방송 신호를 출력하면서, 채널 버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출력 단계(S527)의 수행 중, 출력 중인 방송 신호의 상태가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529).
상기 판단 단계(S529)에서 일정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방송 신호 출력 동작을 유지하면서, 버퍼링 단계(S517)로 복귀하여 채널 버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단 단계(S529)에서 일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방송 신호 출력 동작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정 조건은, 출력 중인 방송 신호가 특정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경우,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 시점 또는 종료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 시점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제 3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출력 중(도 15a), 출력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 시점 또는 종료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 시점(이하 '버퍼링 시작 시점)에 도달한 경우, 버퍼링 시작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버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도 15b 및 도 15c).
또한, 여기에서, 일정 조건은, 출력 중인 방송 신호가 광고 방송을 구성하는 경우, 출력 중인 광고 방송의 일정 시점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제 4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광고 방송의 출력 중(도 15a), 출력 중인 광고 방송의 임의 시점(이하 '버퍼링 시작 시점)에 도달한 경우, 버퍼링 시작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 간 동안 버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도 16b 및 도 16c).
또한, 여기에서, 일정 조건은, 방송 신호 출력 중 사용자로부터 채널 버퍼링 명령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a 내지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제 4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신호의 출력 중 버퍼링 제어 영역(1510)을 선택받은 경우(도 17a), 사용자로 하여금 버퍼링 수행 여부를 선택하게 하는 창(15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7b).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버퍼링 수행이 선택되는 경우('예' 선택), 단말기(100)는, 채널 버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도 17c).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 설정된 버퍼링 수행 주기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버퍼링 수행 주기에 따라 버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링 수행 주기가 1시간인 경우, 단말기(100)는, 1시간 단위로 버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채널 버퍼링 동작은, 방송 사업자 서버(또는, 방송 관련 서버)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채널 버퍼링 동작의 수행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 버퍼링 동작은, 배터리 잔류량이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방송 기술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사업자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방송 기술(또는, 방송 사업자)뿐만 아니라 서로 상이한 방송 기술(또는, 방송 사업자)에 속하는 채널들을 본 발명에 따른 버퍼링 동작의 대상 채널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채널 버퍼링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로부터 식별 장치가 착탈되는 상태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의 채널 버퍼링 방법의 흐름도.
도 6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버퍼링 조건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
도 8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채널 진입시 버퍼링 수행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도.
도 10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채널 전환시 버퍼링 수행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버퍼링 시간 동안 채널 버퍼링 관련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채널 버퍼링 중 버퍼링 중단 신호를 입력받는 화면 구성도.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방송 프로 그램의 종료 시점을 고려한 버퍼링 시작 시점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광고 방송을 고려한 버퍼링 시작 시점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방송 출력 중 버퍼링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화면 구성도.

Claims (21)

  1. 채널별 식별 정보 및 방송 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채널을 선택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채널을 선택받음에 따라, 상기 수신된 채널별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방송 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각각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데이터를 일정 시간 동안 버퍼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방송 관련 데이터의 버퍼링을 중단하는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임 슬라이싱(time slicing) 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채널별 식별 정보 및 방송 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 및 상기 방송 관련 데이터의 버퍼링을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채널 진입 및 채널 전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명령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채널을 선택받는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채널별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식별 정보가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각각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데이터를 일정 시간 동안 버퍼링하는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은,
    상기 선택된 채널의 인접 채널, 사용자 선호 채널, 사용자 지정 채널, 이전 선택 채널, 채널 선택 패턴에 근거한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버퍼링 대상 채널, 버퍼링 대상 채널의 수, 버퍼링 수행 시간, 버퍼링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배터리 잔류량에 따라 상기 설정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일정 조건 만족시, 상기 출력부를 통한 방송 신호의 출력 중에 상기 방송 관련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신호가 특정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 시점 또는 상기 종료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 시점으로부터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방송 관련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신호가 광고 방송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광고 방송의 진행 중 일정 시점으로부터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방송 관련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말기.
  11.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채널 버퍼링에 관련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을 이용하여, 버퍼링 중단 신호, 버퍼링 명령 신호 및 버퍼링 대상 채널 편집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의 시작 시점, 종료 시점, 경과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14. 채널별 식별 정보 및 방송 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채널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채널을 선택받음에 따라, 상기 수신된 채널별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방송 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각각에 해당하는 방송 관련 데이터를 일정 시간 동안 버퍼링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방송 관련 데이터의 버퍼링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채널 버퍼링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채널 진입 및 채널 전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명령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수행되는 단말기의 채널 버퍼링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은,
    상기 선택된 채널의 인접 채널, 사용자 선호 채널, 사용자 지정 채널, 이전 선택 채널, 채널 선택 패턴에 근거한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채 널 버퍼링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버퍼링 대상 채널, 버퍼링 대상 채널의 수, 버퍼링 수행 시간, 버퍼링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채널 버퍼링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배터리 잔류량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확인된 배터리 잔류량에 따라 수행되는 단말기의 채널 버퍼링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퍼링 단계는,
    일정 조건 만족시, 상기 출력 단계의 진행 중에 수행되는 단말기의 채널 버퍼링 방법.
  20. 제 14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채널 버퍼링에 관련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의 채널 버퍼링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을 이용하여, 버퍼링 중단 신호, 버퍼링 명령 신호 및 버퍼링 대상 채널 편집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채널 버퍼링 방법.
KR1020080029927A 2008-03-31 2008-03-31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 KR101435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927A KR101435835B1 (ko) 2008-03-31 2008-03-31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
US12/403,945 US8170046B2 (en) 2008-03-31 2009-03-13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broadcasting therein
CN200910128577XA CN101553025B (zh) 2008-03-31 2009-03-17 终端及在其中控制广播的方法
EP20090004059 EP2107703A3 (en) 2008-03-31 2009-03-20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broadcasting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927A KR101435835B1 (ko) 2008-03-31 2008-03-31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486A true KR20090104486A (ko) 2009-10-06
KR101435835B1 KR101435835B1 (ko) 2014-08-29

Family

ID=4085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927A KR101435835B1 (ko) 2008-03-31 2008-03-31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70046B2 (ko)
EP (1) EP2107703A3 (ko)
KR (1) KR101435835B1 (ko)
CN (1) CN1015530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4294B2 (en) * 2007-12-10 2012-08-14 Lg Electronics Inc.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US8805439B2 (en) 2009-03-05 2014-08-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20149359A1 (en) * 2010-12-09 2012-06-14 Huang jun-sheng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using mobile phone
EP2946596B1 (en) 2013-01-18 2017-03-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ng a mobile network
US9794309B2 (en) * 2015-05-15 2017-10-17 Spotify Ab Method and a media device for pre-buffering media content streamed to the media device from a server system
CN115361367B (zh) * 2022-10-20 2023-02-07 湖南康通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应急广播的双通道广播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06768B4 (de) 2004-02-11 2006-01-05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r Vermeidung von Umschaltverzögerungen beim Kanalwechsel in digitalen Fernsehübertragungssystemen
KR100566240B1 (ko) * 2004-03-16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Ieee1394를 이용한 광 가입자 망의 가입자 분배 장치
KR100539886B1 (ko) * 2004-09-10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0640338B1 (ko) * 2004-09-20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전환 시 화면의 끊어짐이 없는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 수신 방법과 장치
US7659919B2 (en) 2005-08-25 2010-02-0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television channel switching system and method
KR100929073B1 (ko) 2005-10-14 2009-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다중 스트림 수신 장치 및 방법
US7929059B2 (en) * 2006-02-10 2011-04-19 Disney Enterprises, Inc. Changing channels in a digital broadcast system
US8135443B2 (en) * 2006-08-31 2012-03-13 Qualcomm Incorporated Portable device with priority based power savings control and method thereof
TW200814771A (en) * 2006-09-04 2008-03-16 Cyberlink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buffering programs broadcast on a plurality of chan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07703A3 (en) 2010-08-04
US20090247220A1 (en) 2009-10-01
US8170046B2 (en) 2012-05-01
CN101553025B (zh) 2013-05-01
EP2107703A2 (en) 2009-10-07
KR101435835B1 (ko) 2014-08-29
CN101553025A (zh)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963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동단말기의 데이터 편집 방법
KR20090087235A (ko)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20090053605A (ko) 충전메뉴 설정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상호 충전방법
KR2009005224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키 입력 방법
KR20090043373A (ko) 태양광을 이용한 무접점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
KR20090097461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표시 방법
KR2009004061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KR101397035B1 (ko)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기술 지원 방법
KR101435835B1 (ko)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
KR20090111039A (ko)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101548991B1 (ko)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2009011698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사업자 선택 방법
KR2009013299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10095224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방법
KR20090053319A (ko) 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41828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개인정보 보호방법
KR20090064832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편집 방법
KR101474417B1 (ko) 이동 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101461937B1 (ko)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090038194A (ko)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20090062640A (ko) 통신 기기 및 이것의 데이터 출력 방법
KR101490239B1 (ko)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리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422023B1 (ko) 통신 단말기 및 복수의 헤드셋과 통신하는 통신 방법
KR20090065095A (ko) 이동 단말기의 방송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KR10138751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출력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