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7461A - 이동단말기 및 그의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그의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7461A
KR20090097461A KR1020080022603A KR20080022603A KR20090097461A KR 20090097461 A KR20090097461 A KR 20090097461A KR 1020080022603 A KR1020080022603 A KR 1020080022603A KR 20080022603 A KR20080022603 A KR 20080022603A KR 20090097461 A KR20090097461 A KR 20090097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mobile terminal
unit
display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4429B1 (ko
Inventor
이창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2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429B1/ko
Priority to US12/369,636 priority patent/US8169448B2/en
Priority to EP09002102.3A priority patent/EP2101243B1/en
Priority to CN2009101274332A priority patent/CN101533604B/zh
Publication of KR20090097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06F1/169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the I/O peripheral being a secondary touch screen used as control interface, e.g. virtual buttons or sli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 및 그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는 투명 발광소자로 구성되며 양면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향하는 방향을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감지된 화면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놓인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디스플레이부의 놓인 상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 방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이 위로 향하는 제1방향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이 위로 향하는 제2방향 중 어느 하나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투명한 표시장치를 이용하므로 표시장치의 양면을 사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며 표시장치의 놓인 상태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를 전환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흥미 및 재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동단말기, 정보 전환, 디스플레이, 화면 방향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그의 표시 방법{MOBI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놓인 상태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를 전환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이동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동단말기의 표시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이동단말기는 표시장치의 일면을 통해 단말기 동작으로 발생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놓인 상태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를 전환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의 표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는 투명 발광소자로 구성되며 양면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향하는 방향을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감지된 화면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놓인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디스플레이부의 놓인 상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전환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면 방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이 위로 향하는 제1방향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이 위로 향하는 제2방향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단말기는 투명 표시장치를 사용하므로 표시장치의 양면을 통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장치의 조작으로 변경되는 표시장치의 놓인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놓인 상태에 따라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정보를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재미 및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 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동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도시된 이동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단말기(100)와 이동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 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 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단말기의 방위, 이동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 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 레이부(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 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 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 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는 제1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한다.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1프론트 케이스(220)와 제1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프론트 케이스(220)와 제1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프론트 케이스(220)와 제1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바디(200), 구체적으로 제1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1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음향출력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2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2프론트 케이스(230)와 제2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
제2바디(205), 구체적으로 제2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2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 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사용자 입력부(245)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 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2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이동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바디(205)의 제2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바디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250)는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255)는 사용자가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 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출력모듈 (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음향출력모듈(152)는 제1바디(200)의 음향출력모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60)는 제2바디(205)(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200)의 제1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1바디(200)와 제2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2바디(205)의 제2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카메라(121)) 등이 제2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2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60, 121 내지 250, 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200), 주로는 제1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1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바디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바디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바디의 카메 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용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 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GPS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디스플레이부(151), 메모리(160),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단말기(100)와 이동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간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부(110)는 방송수신모듈(111), 이동통신모듈(112), 무선인터넷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 종료, 취소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1사용자 입력부(210), 숫자 또는 문자,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제2사용자 입력부(215), 사진촬영 또는 방송수신, 멀티미디어 재생 등과 같은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3사용자 입력부(2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단말기(100)의 방위 및 가속/감속 등과 같은 이동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센싱 신호를 발생시켜 후술되 는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센싱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향하는 화면 방향을 감지하여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화면 방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이 위로 향하는 제1방향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이 위로 향하는 제2방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지축 센서 및 지자기 센서 등과 같이 방위 및 회전 방향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후술되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장착되어 회전으로 인해 변경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방향을 감지한다. 또는, 바 형태의 이동단말기(100)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구현되는 경우, 상기 센싱부(140)는 이동단말기(100) 내에 장착되어 이동단말기(100)의 방위 및 회전 상태를 감지하므로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에 따른 상태 및 결과를 표시하며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표시장치로서뿐만 아니라 입력장치로서의 역할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투명 유기 발광 다이오드(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OLED')와 같이 비발광 시 투명하고 발광 시에 양쪽에서 발광하는 특징을 갖는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소 정의 투명도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어, 이동단말기(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과 후면을 통해 특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면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양면 터치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이동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반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160)는 각종 설정 정보 및 이동단말기(100) 동작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60)는 상기 센싱부(140)를 통해 감지된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방향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의 놓인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한 구성 요소들을 각각 제어하여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센싱부(14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놓인 상태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시 제어부(180)는 상기 판단된 디스플레이부(151)의 놓인 상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고 있는 정보를 다른 정보로 전환하거나 또는 설정 화면 등으로 전환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놓인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정보가 정방향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특정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회전되면 상기 센싱부(140)는 변화된 디스플레이부(151)의 놓인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알린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센싱부(140)로부터의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변경된 디스플레이부(151)의 놓인 상태에 대응되는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다른 정보가 정방향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 이동단말기는 투명 표시장치를 구비하며 표시장치의 양면을 통해 정보를 표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특정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를 조작하면 센싱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향하는 화면 방향을 감지한다(S101, S103).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이 지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향하고 있으며 특정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이 지면 방향으로 향하도록 회전시키면 센싱부(14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알린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이 지면과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경우 상기 센싱부(14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알린다.
상기 센싱부(14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방향을 감지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화면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놓인 상태를 판별하며 상기 놓인 상태의 변화가 발생했는지 판단한다(S105).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센싱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뒤집혔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이 위로 향하고 있는 상태 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조작으로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이 위로 향하게 되면 상기 센싱부(14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알린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놓인 상태가 변화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정보를 전환하여 표시한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놓인 상태가 변화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정보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본 실시 예는 사진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사진첩' 기능의 실행을 명령하면 제어부(180)는 '사진첩' 기능을 실행시키고, 사진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사진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이동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진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조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을 상 방향으로 향하도록 회전시키면, 센싱부(140)는 이를 감지하여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센싱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뒤집혔음을 감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사진을 해당 사진에 대한 사진정보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사진 정보는 메모, 파일 용량, 파일 이름, 생성 날짜, 파일 형식, 사진 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정보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본 실시 예는 사진 목록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30) 조작을 통해 '사진첩' 기능을 실행시키면 제어부(18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목록을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이동단말기(100)를 회전시키면 센싱부(14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알린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센싱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1)가 뒤집힘을 감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상기 사진 목록에 존재하는 사진들을 소정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진들을 슬라이드 쇼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사진 목록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진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사진들을 소정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정보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대기화면으로 시계를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화면으로 시계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회전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 되는 정보를 시계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설정 환경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가, 일자,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 환경을 제공한다. 이외 알람 및 모닝콜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설정 환경을 제공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세계시간 및 현재 시간, 알람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면 터치 입력을 통해 시계정보를 설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정보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본 실시 예는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가 메뉴 조작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발생되는 입력 데이터에 따라 '수신 메시지' 메뉴를 실행시키고 수신 메시지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수신 메시지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으면 제어부(180)는 해당 메시지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조작되면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상기 조작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놓인 상태를 확인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뒤집힌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메시지가 정방향으로 표시되도록 좌 우대칭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문자가 거꾸로 뒤집히거나 좌우가 뒤바뀌지 안도록 이를 바로 잡아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표시장치에 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 내지 도 11은 도 7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정보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경우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Claims (11)

  1.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놓인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감지된 놓인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놓인 상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유기 발광소자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양면을 사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향하는 화면 방향에 따라 상기 놓인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방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이 위로 향하는 제1방향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 면이 위로 향하는 제2방향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놓인 상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정방향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7. 표시장치의 놓인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놓인 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정보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표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비발광 시 투명하며 양면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표시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의 놓인 상태 감지 단계는,
    상기 표시장치의 화면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화면 방향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의 놓인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표시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방향은,
    상기 표시장치의 전면이 위로 향하는 제1방향과 상기 표시장치의 배면이 위로 향하는 제2방향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표시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정보 전환 단계는,
    상기 표시장치의 놓인 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정보를 정방향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표시 방법.
KR1020080022603A 2008-03-11 2008-03-11 이동단말기 및 그의 표시 방법 KR101474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603A KR101474429B1 (ko) 2008-03-11 2008-03-11 이동단말기 및 그의 표시 방법
US12/369,636 US8169448B2 (en) 2008-03-11 2009-02-11 Mobi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of
EP09002102.3A EP2101243B1 (en) 2008-03-11 2009-02-16 Mobi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of
CN2009101274332A CN101533604B (zh) 2008-03-11 2009-03-11 移动终端及其显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603A KR101474429B1 (ko) 2008-03-11 2008-03-11 이동단말기 및 그의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461A true KR20090097461A (ko) 2009-09-16
KR101474429B1 KR101474429B1 (ko) 2014-12-19

Family

ID=40756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603A KR101474429B1 (ko) 2008-03-11 2008-03-11 이동단말기 및 그의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69448B2 (ko)
EP (1) EP2101243B1 (ko)
KR (1) KR101474429B1 (ko)
CN (1) CN1015336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8003680D1 (de) * 2008-05-29 2011-01-05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e Anzeige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KR101507797B1 (ko) * 2008-05-29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314859B2 (en) * 2008-05-29 2012-11-2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image capturing method thereof
EP2128686B1 (en) 2008-05-29 2017-07-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a solar cell module integrated under the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EP2129090B1 (en) * 2008-05-29 2016-06-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EP2129091A1 (en) * 2008-05-29 2009-12-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transparent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ATE504155T1 (de) 2008-05-29 2011-04-15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e anzeige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KR101526970B1 (ko) * 2008-05-29 201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285970B2 (en) 2008-07-25 2016-03-1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navigational views on a portable device
JP5454038B2 (ja) * 2009-09-17 2014-03-26 ソニー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動作制御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KR101669487B1 (ko) * 2009-10-09 201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9043732B2 (en) * 2010-10-21 2015-05-2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put for controlling displayed information
JP2014068145A (ja) * 2012-09-25 2014-04-17 Kyocera Corp 携帯端末、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1907949B1 (ko) * 2012-10-31 2018-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96906A (ko) * 2013-01-29 201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KR102043150B1 (ko) * 2013-05-09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3313025A (zh) * 2013-07-05 2013-09-18 福建邮科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互联网的访客快照实时采集及快照推送方法
CN104077986B (zh) * 2014-05-16 2019-12-10 智屏有限公司 透明展示装置的控制装置、控制方法及其透明展示装置
CN104361849A (zh) * 2014-11-27 2015-02-18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显示器的显示调节系统及调节方法
KR102121533B1 (ko) * 2015-01-09 202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CN104571999A (zh) * 2015-01-21 2015-04-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10783823B2 (en) * 2017-01-04 2020-09-2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LED device with controllable brightness
CN115278326A (zh) * 2021-04-29 2022-11-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展示方法、装置、计算机可读介质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9194B2 (en) 2001-11-30 2007-01-02 Palm, Inc. Orientation dependent functionality of an electronic device
US6927747B2 (en) 2003-07-30 2005-08-09 Motorola, Inc. Dual directional display for communication device
US20050046768A1 (en) * 2003-08-25 2005-03-03 Wu Heng Chung Reversible liquid crystal display
JP2007163891A (ja) * 2005-12-14 2007-06-28 Sony Corp 表示装置
US20070188450A1 (en) 2006-02-14 2007-08-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reversible display interface mechanism
KR100753397B1 (ko) 2006-04-04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자동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69448B2 (en) 2012-05-01
US20090231244A1 (en) 2009-09-17
CN101533604B (zh) 2013-01-02
KR101474429B1 (ko) 2014-12-19
EP2101243A1 (en) 2009-09-16
EP2101243B1 (en) 2014-04-23
CN101533604A (zh)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7461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표시 방법
KR2009005224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키 입력 방법
KR20090053605A (ko) 충전메뉴 설정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상호 충전방법
KR20090030012A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동단말기의 데이터 편집 방법
KR20090104484A (ko) 단말기 및 이것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수행 방법
KR2009006352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재생 방법
KR2009004061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KR2010002269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지오태깅 방법
KR2009007005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제어 방법
KR2009008079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진동 모터 제어 방법
KR20090063903A (ko) 가상 키보드 변환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변환방법
KR10095224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방법
KR2009007006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개인정보 보호방법
KR2009006510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컨텐츠 저작권 보호 방법
KR20090075977A (ko) 단말기,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100051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타 아이콘화 방법
KR2010003688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정보 전달방법
KR20100104388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사진 전송방법
KR20090064832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편집 방법
KR20110078051A (ko) 이동 단말기의 충전구조 및 그의 충전방법
KR20090055408A (ko) 이동 단말기의 무접점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90077603A (ko) 이동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9007432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2009007512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충전 알람 방법
KR2009005471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알람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