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6906A - 전자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6906A
KR20140096906A KR1020130010079A KR20130010079A KR20140096906A KR 20140096906 A KR20140096906 A KR 20140096906A KR 1020130010079 A KR1020130010079 A KR 1020130010079A KR 20130010079 A KR20130010079 A KR 20130010079A KR 20140096906 A KR20140096906 A KR 20140096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nterface
control device
user
touch sensor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도성
김홍표
박이삭
정수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0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6906A/ko
Priority to EP14151821.7A priority patent/EP2759995A1/en
Priority to US14/167,471 priority patent/US20140210755A1/en
Publication of KR20140096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2Remote control based on movements, attitude of remote control device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는, 전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제어 디바이스의 제1판면 상에 제공되는 제1입력 인터페이스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제1판면의 반대방향에 배치된 제어 디바이스의 제2판면 상에 제공되는 제2입력 인터페이스와; 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센서와; 자세선서에 의해 감지된 제어 디바이스의 자세에 따라서 제1입력 인터페이스 및 제2입력 인터페이스 중 기 설정된 제1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와, 제어 디바이스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측의 제1단부 및 제2단부 중에서 기 설정된 제2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를 판별하고, 판별된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제2입력 인터페이스가 제1단부 및 제2단부 중 제2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제공되게 제어하며, 제1방향을 향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없게 비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N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를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구조의, 전자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는 전기 등의 에너지에 의하여 전자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제반 장치들의 총칭이다. 예를 들면, 일반 사용자의 가정 내에서는 세탁기, 냉장고, 식기세척기와 같은 가전제품과, 셋탑박스, 광학미디어 재생장치, TV와 같은 A/V 디바이스와, 퍼스널 컴퓨터와, 모바일 폰,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 등, 다양한 형식 및 특성의 전자장치가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킨다.
전자장치의 일례로서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튜닝, 디코딩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채널의 영상을 제공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가 지원하는 여러 동작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사용자는 제어 디바이스 상에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의 커맨드를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시킨다.
이와 같은 제어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위치 및 방향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최초에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가 부적절한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어 디바이스의 상하를 뒤집어서 파지하거나 또는 제어 디바이스의 전후를 뒤집어서 파지한 경우에, 사용자는 이러한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 디바이스를 정상적인 상태로 다시 파지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전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제1판면 상에 제공되는 제1입력 인터페이스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1판면의 반대방향에 배치된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제2판면 상에 제공되는 제2입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센서와; 상기 자세선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자세에 따라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 중 기 설정된 제1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측의 제1단부 및 제2단부 중에서 기 설정된 제2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 중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제공되게 제어하며, 상기 제1방향을 향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없게 비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판면에 설치된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유아이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판면에 설치된 제2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유아이 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아이 영상이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1단부 또는 상기 제2단부를 기준으로 맞춰지도록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유아이 영상의 상하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상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1터치센서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 상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2터치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방향을 향하지 않으며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방향을 향한다고 판별하면, 상기 제1터치센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2터치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판면 및 상기 제2판면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상기 길이방향에 평행한 판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2방향에 대해 직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클릭 시에 기 설정된 커맨드를 각기 생성하도록 복수의 상기 커맨드에 대응하게 디폴트 설정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단부가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디폴트 설정을 유지하고, 상기 제2단부가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디폴트 설정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에 대한 상기 복수의 커맨드의 맵핑을 상하로 반전시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단부가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버튼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복수의 커맨드를 맵핑시킨 제1프로파일과, 상기 제2단부가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버튼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복수의 커맨드를 맵핑시킨 제2프로파일이 기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 중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판별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제1프로파일 또는 상기 제2프로파일을 호출하여 상기 복수의 버튼에 맵핑시킬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상기 제1판면 및 상기 제2판면 중 상기 제1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판별되는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유아이 영상을 선택적으로 반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1면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제1터치센서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면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제2면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제2터치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면이 상기 제1방향을 향하지 않으며 상기 제2면이 상기 제1방향을 향한다고 판별하면, 상기 제1터치센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2터치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자세에 따라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제1판면 상에 제공되는 제1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판면의 반대방향인 제2판면 상에 제공되는 제2입력인터페이스 중 기 설정된 제1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측의 제1단부 및 제2단부 중에서 기 설정된 제2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 중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제공하며, 상기 제1방향을 향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없게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판면에 설치된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유아이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판면에 설치된 제2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유아이 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유아이 영상이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1단부 또는 상기 제2단부를 기준으로 맞춰지도록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유아이 영상의 상하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상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1터치센서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 상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2터치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방향을 향하지 않으며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방향을 향한다고 판별하면, 상기 제1터치센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2터치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판면 및 상기 제2판면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상기 길이방향에 평행한 판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2방향에 대해 직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클릭 시에 기 설정된 커맨드를 각기 생성하도록 복수의 상기 커맨드에 대응하게 디폴트 설정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단부가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디폴트 설정을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2단부가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디폴트 설정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에 대한 상기 복수의 커맨드의 맵핑을 상하로 반전시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단부가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버튼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복수의 커맨드를 맵핑시킨 제1프로파일과, 상기 제2단부가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버튼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복수의 커맨드를 맵핑시킨 제2프로파일이 기 저장되고, 상기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 중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판별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제1프로파일 또는 상기 제2프로파일을 호출하여 상기 복수의 버튼에 맵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상기 제1판면 및 상기 제2판면 중 상기 제1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판별되는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유아이 영상을 선택적으로 반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1면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제1터치센서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면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제2면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제2터치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면이 상기 제1방향을 향하지 않으며 상기 제2면이 상기 제1방향을 향한다고 판별하면, 상기 제1터치센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2터치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전자장치와; 상기 전자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전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제1판면 상에 제공되는 제1입력 인터페이스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1판면의 반대방향에 배치된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제2판면 상에 제공되는 제2입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센서와; 상기 자세선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자세에 따라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 중 기 설정된 제1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측의 제1단부 및 제2단부 중에서 기 설정된 제2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 중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제공되게 제어하며, 상기 제1방향을 향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없게 비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 제어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어 디바이스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도 1의 제어 디바이스의 자세에 따라서 제어 디바이스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도 1의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제어 디바이스의 구성 블록도,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은 전자장치(10)와, 전자장치(10)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제어 디바이스(1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1)이 하나의 전자장치(10) 및 하나의 제어 디바이스(100)를 포함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나, 하나의 제어 디바이스(100)로 복수의 전자장치(10)를 제어하거나, 또는 복수의 제어 디바이스(100)가 하나의 전자장치(10)를 제어하는 시스템(1)도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10)가 TV인 것으로 설명한다. 다만, 전자장치(10)는 가전제품, A/V 디바이스, 퍼스널 컴퓨터, 모바일 디바이스 등 통상적인 의미의 전자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종류 및 특성을 한정하지 않는다.
제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전자장치(10)에 무선으로 전송함으로써 전자장치(10)를 사용자의 의도대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제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가 적합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진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00a)를 가진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00a)는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제어 디바이스(100)가 해당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마련된 제반 구성을 통칭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00a)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기계적 또는 전자적인 버튼이거나, 영상으로 표시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일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00)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디바이스(1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유선형의 판상인 외형을 가진다. 제어 디바이스(100)는 상판면을 형성하는 상판부(101)와, 상판부(101)의 반대방향에서 하판면을 형성하는 하판부(102)와, 제어 디바이스(10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를 형성하는 제1단부(103)와, 제1단부(103)의 반대방향에서 제어 디바이스(10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를 형성하는 제2단부(10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판부(101), 하판부(102), 제1단부(103) 및 제2단부(104)의 용어는, 제어 디바이스(100)의 외형의 각 부분을 상호 구별할 수 있도록 편의상 지칭하기 위한 표현일 뿐임을 밝힌다. 또한, 이러한 제어 디바이스(100)의 형상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음을 밝힌다.
제어 디바이스(100)가 이와 같이 일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지는 것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형태의 제어 디바이스(100)를 사용자가 파지하는 형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제어 디바이스(100)의 제1단부(103) 및 제2단부(104)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하고 제어 디바이스(100)를 제어 대상인 전자장치(10)로 향하게 하면, 제1단부(103) 및 제2단부(104) 중 다른 하나는 전자장치(10)를 향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어 디바이스(100)의 제2단부(104)를 파지하면 제1단부(103)는 제어 디바이스(100)의 제어 대상인 전자장치(10)를 향하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상판부(101) 및 하판부(102)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상판부(101)의 판면이 사용자를 향하고 있는 상태라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00a)는 상판부(101)에 형성되어야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하여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디바이스(100)를 기준으로,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을 상방향, 상방향의 반대방향으로서 지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향이라고 각각 지칭한다. 예를 들면, 상판부(101)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사용자가 제어 디바이스(100)를 파지하였다면, 상판부(101)는 상방향을 향하고 하판부(102)는 하방향을 향하는 상태이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100)를 기준으로, 제어 대상인 전자장치(10)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향, 전방향의 반대방향을 후방향이라고 각각 지칭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2단부(104)를 파지하였다면, 제1단부(103)는 전방향을 향하고 제2단부(104)는 후방향을 향하는 상태이다.
그런데, 사용자가 제어 디바이스(100)를 최초 파지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어 디바이스(100)를 파지한 상태는 제1단부(103)가 전방향을 향하고 상판부(101)가 상방향을 향하는 상태가 아닐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의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2단부(104)를 파지하고 하판부(102)가 사용자를 향하는 상태이거나, 사용자가 제1단부(103)를 파지하고 상판부(101)가 사용자를 향하는 상태이거나, 사용자가 제1단부(103)를 파지하고 하판부(102)가 사용자를 향하는 상태일 수도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00a)가 제1단부(103)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판부(101) 상에 고정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00a)를 정상적으로 볼 수 있도록 제어 디바이스(100)를 파지하지 못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00a)를 정상적으로 볼 수 있도록 제어 디바이스(100)를 돌리거나 또는 뒤집어서 다시 파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안되는 바, 이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도 3은 제어 디바이스(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디바이스(100)는 전자장치(10)와 통신하는 통신부(120)와, 다양한 영상을 표시 가능한 제1디스플레이부(130) 및 제2디스플레이부(140)와, 제1디스플레이부(130) 상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1터치센서(150)와, 제2디스플레이부(140) 상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2터치센서(160)와, 제어 디바이스(100)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센서(170)와, 제어 디바이스(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통신부(120)는 전자장치(10)에 대해 기 설정된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무선으로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제어 디바이스(100)가 전자장치(10)를 제어하는 특성 상, 통신부(120)가 전자장치(10)에 신호를 전송하는 일방향 통신인 경우도 가능하지만, 통신부(120)는 전자장치(1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80)에 전달하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제어 디바이스(100) 및 전자장치(10) 사이의 통신을 위해, 적외선,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규격이 적용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부(130)는 상판부(101, 도 2 참조) 상에 설치되며, 다양한 종류의 UI를 표시한다. 제1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판부(101) 하측에 미세 LED(미도시)가 배치되고, LED(미도시)로부터의 광이 상판부(101)에 형성된 미세한 천공을 통해 외부로 조사됨으로써 기 설정된 UI를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부(130)를 구현한다.
제1디스플레이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화면은 예를 들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버튼의 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표시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2디스플레이부(140)는 하판부(102, 도 2 참조) 상에 설치되는 것 이외에, 기본적인 구성 방식은 제1디스플레이부(130)에 준한다. 즉, 제1디스플레이부(130) 및 제2디스플레이부(140)는 상호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바, 제1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화면이 상방향을 향한다면 제2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화면은 하방향을 향한다.
제1터치센서(150)는 제1디스플레이부(13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한다. 제1터치센서(150)에 의해 감지되는 터치 동작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제1디스플레이부(130)의 소정 위치를 접촉시키는 동작인 터치, 사용자가 제1디스플레이부(130)의 소정 위치를 터치한 이후에 손가락을 제1디스플레이부(130)로부터 떼지 않고 소정 구간을 이동시키는 동작인 드래그(drag), 사용자가 제1디스플레이부(130)의 소정 위치를 터치했다가 떼는 동작인 탭(tap) 동작이 있다.
제1터치센서(150)는 제1디스플레이부(130) 상에서 사용자가 어느 위치를 터치 또는 탭 하였는지 감지하며, 또한 드래그 시에 이동좌표 및 이동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제2터치센서(160)는 제2디스플레이부(14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것 이외에, 기본적인 구성 방식은 제1터치센서에 준한다.
자세센서(170)는 제어 디바이스(100)의 현재 자세를 감지한다. 자세센서(170)는 가로, 세로 및 높이의 3축 공간 좌표계 상에서, 현재 자세에서 제어 디바이스(100)의 상판부(101) 및 하판부(102) 중에서 어느 것이 상방향인지, 제1단부(103) 및 제2단부(104) 중에서 어느 것이 전방향인지 등을 감지 및 판단한다. 또는, 자세센서(170)는 제어 디바이스(100)의 기울기, 회전 및 모션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위하여, 자세센서(170)는 자이로센서, 틸트센서, 가속도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디스플레이부(130) 또는 제2디스플레이부(140) 상에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제1터치센서(150) 및 제2터치센서(160)의 감지에 따라서 대응 커맨드를 생성하여 통신부(120)에 전달한다.
예를 들면, 제1디스플레이부(130)에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터치센서(150)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동작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 상의 어느 위치에서 터치가 수행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일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중의 볼륨 다운 버튼 상에서 터치가 수행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80)는 볼륨 다운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통신부(120)를 통해 전자장치(10)에 전송한다.
그런데, 앞서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제1단부(103)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판부(101) 상에 고정적으로 나타나 있는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볼 수 있도록 제어 디바이스(100)를 고쳐서 파지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제안된다.
제어부(180)는 자세센서(170)에 의해 감지된 제어 디바이스(100)의 자세에 따라서 상판부(101) 및 하판부(102) 중에서 상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와, 제1단부(103) 및 제2단부(104) 중에서 전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판부(101) 및 하판부(102) 중에서 상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 상에, 제1단부(103) 및 제2단부(104) 중에서 전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디바이스(100)는 상판부(101) 상에 제1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하판부(102) 상에 제2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제어부(180)는 자세센서(170)에 의해 감지된 제어 디바이스(100)의 자세에 따라서 제1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및 제2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중 상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와, 제1단부(103) 및 제2단부(104) 중에서 전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를 각기 판별한다.
제어부(180)는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방향을 향하는 제1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제2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제1단부(103) 및 제2단부(104) 중 전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방향을 향하지 않는다고 판별된 제1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제2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없게 비활성화시킨다.
도 4는 제어 디바이스(100)의 자세에 따라서 제어 디바이스(100)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사용자는 하판부(102)가 마주 보이고 제1단부(103)를 파지하는 형태로 제어 디바이스(100)를 파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하판부(102)는 상방향(U), 상판부(101)는 하방향(D), 제2단부(104)는 전방향(F), 제1단부(103)는 후방향(B)을 각각 향하게 된다.
제어 디바이스(100)는 자세센서(170)에 의해 이러한 제어 디바이스(100)의 자세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서 제어 디바이스(100)의 어느 영역이 상방향 및 전방향을 향하는지 판단한다.
제어 디바이스(100)는 하판부(102)가 상방향(U)을 향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하판부(102)에 형성된 제2디스플레이부(140) 상에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100b)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2단부(104)가 전방향(F)을 향하므로, 제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100b)의 상하가 제2단부(104)를 기준으로 맞춰지도록 표시한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100a)이 동작할 수 있도록 제2터치센서(160)를 활성화시킨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100a)은 포함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상하의 구별을 필요로 한다. 만일 본 실시예에서 제1단부(103) 및 제2단부(104) 중 어느 것이 전방향을 향하는지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100a)을 표시하지 않는다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100a)이 하판부(102) 상에 상하가 뒤집힌 상태로 사용자에게 인지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편, 하방향(D)을 향하는 것으로 판단된 상판부(101)에 대하여, 제어 디바이스(100)는 제1디스플레이부(130) 상에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100a)을 표시하지 않고, 제1터치센서(150)를 비활성화시킨다. 이에 의하여, 만일 사용자가 제어 디바이스(100)를 바닥에 놓는 등의 행동으로 인해 상판부(101) 상에서 터치가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커맨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디스플레이부(130) 및 제2디스플레이부(140) 각각에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제2디스플레이부(140)에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제1디스플레이부(130)에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에 비해 간략화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어떻게 제어 디바이스(100)를 파지하더라도, 제어 디바이스(100)의 현재 자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볼 수 있도록 제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 디바이스(100)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0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디바이스(100)는 현재 제어 디바이스(100)의 자세를 감지한다(S100). 제어 디바이스(100)는 감지 결과에 따라서, 제어 디바이스(100)의 상판면 및 하판면 중에서 상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를 판별하고(S110), 제어 디바이스(1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측단의 제1단부 및 제2단부 중에서 전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를 판별한다(S120).
제어 디바이스(100)는 상방향을 향한다고 판별된 상판면 또는 하판면 상에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S130). 이 때, 제어 디바이스(100)는 전방향을 향한다고 판별된 제1단부 또는 제2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표시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의 상하방향을 조정한다(S140). 여기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의 상하방향은, 상판면 또는 하판면에 평행한 방향을 따르는 경우의 상하를 의미한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100)는 하방향을 향한다고 판별된 상판면 또는 하판면 상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파지 형태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제어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한 제1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설계변경의 적용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300)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3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상의 외형을 가진다. 제어 디바이스(300)는 앞선 제1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상판면을 형성하는 상판부(301)와, 하판면을 형성하는 하판부(302)와, 제어 디바이스(3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양측의 단부를 각기 형성하는 제1단부(303) 및 제2단부(304)를 포함한다.
제어 디바이스(300)의 외측의 형상은 앞선 제1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00)와 유사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300)는 중앙 영역에 상판부(301) 및 하판부(302)를 관통하는 홀(305)이 형성되며, 이 홀(305)을 중심으로 상판부(301)의 판면을 따라서 상하좌우 4방향에 대응하는 복수의 버튼(311, 312, 313, 314)이 설치된다.
홀(305)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진다. 사용자는 홀(305)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제어 디바이스(300)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이들 버튼(311, 312, 313, 314)은 상판부(301)에만 설치될 수 있으며, 상판부(301) 및 하판부(302) 각각에 상호 대칭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각 버튼(311, 312, 313, 314)은 제1단부(303)를 상측이라고 할 때, 좌측의 제1버튼(311), 우측의 제2버튼(312), 상측의 제3버튼(313), 하측의 제4버튼(314)을 포함한다. 이러한 버튼(311, 312, 313, 314)의 구조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버튼(311, 312, 313, 314)은 제1단부(303) 및 제2단부(304) 중 어느 하나를 상측으로 하더라도 동일한 배치 형태를 나타내도록, 제어 디바이스(3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홀(305)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이 대칭적인 배치 형태를 가진다.
사용자가 제어 디바이스(300)로 TV의 동작을 제어할 때, 4방향 버튼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제어 커맨드에 맵핑된다. 4개의 방향 버튼 중에서, 좌향 버튼은 이전 채널로 전환, 우향 버튼은 이후 채널로 전환, 상향 버튼은 볼륨 업, 하향 버튼은 볼륨 다운을 지시하는 커맨드에 각기 대응한다. 이러한 대응 관계는 통상적인 사용자의 사용 행태를 반영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를 본 도면에 대입하면, 사용자가 제1버튼(311)을 조작하면 이전 채널로 전환을 지시하는 커맨드가 생성되며, 제2버튼(312)은 이후 채널로 전환을 지시하는 커맨드에, 제3버튼(313)은 볼륨 업을 지시하는 커맨드에, 제4버튼(314)은 볼륨 다운을 지시하는 커맨드에 대응한다.
사용자가 제2단부(304)를 파지한 상태에서, TV의 볼륨 업을 원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제3버튼(313)을 클릭할 것이다.
그런데, 만일 사용자가 제1단부(303)를 파지한 상태라면, 본 도면의 상태와는 반대로 제3버튼(313)이 하측에 위치하고 제4버튼(314)이 상측에 위치한다. 즉, 제3버튼(313)과 제4버튼(314)의 상하 위치가 바뀌게 된다. 이 뿐만이 아니라, 제1버튼(311) 및 제2버튼(312)도 좌우 위치가 바뀌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TV의 볼륨 업을 원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상측에 있는 버튼을 클릭하게 될 수 있다. 사용자가 클릭하는 버튼은 제3버튼(313)이 아닌 제4버튼(314)이므로, 종래 기술의 경우라면 TV의 볼륨 다운이 실행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제안된다.
제어 디바이스(300)는 각 버튼(311, 312, 313, 314)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커맨드를 맵핑시킨다. 제어 디바이스(300)는 현재 제어 디바이스(300)의 자세를 감지함으로써 제1단부(303) 및 제2단부(304) 중에서 전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를 판별한다. 제어 디바이스(300)는 판별 결과에 대응하여 각 버튼(311, 312, 313, 314)에 대응하는 각 커맨드의 맵핑을 조정한다.
예를 들면, 좌향 버튼은 이전 채널로 전환, 우향 버튼은 이후 채널로 전환, 상향 버튼은 볼륨 업, 하향 버튼은 볼륨 다운을 지시하는 커맨드에 대응하도록 커맨드 맵핑 프로파일(command mapping profile)이 기 설정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커맨드 맵핑 프로파일이란, 사용자가 버튼을 클릭함에 따라서 생성되는 커맨드를 지정한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제어 디바이스(300)는 제1단부(303)가 전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1버튼(311)이 이전 채널로 전환, 제2버튼(312)이 이후 채널로 전환, 제3버튼(313)이 볼륨 업, 제4버튼(314)이 볼륨 다운을 지시하는 커맨드에 각기 대응하도록 맵핑한다.
반면, 제어 디바이스(300)는 제2단부(304)가 전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1버튼(311)이 이후 채널로 전환, 제2버튼(312)이 이전 채널로 전환, 제3버튼(313)이 볼륨 다운, 제4버튼(314)이 볼륨 업을 지시하는 커맨드에 각기 대응하도록 맵핑을 조정한다.
또는, 제어 디바이스(300)는 제1단부(303)가 전방향을 향하는 경우의 커맨드 맵핑 프로파일과, 제2단부(304)가 전방향을 향하는 경우의 커맨드 맵핑 프로파일을 기 저장한다. 제어 디바이스(300)는 제1단부(303) 및 제2단부(304) 중에서 어느 것이 전방향을 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해당하는 경우의 커맨드 맵핑 프로파일을 호출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제1단부(303) 및 제2단부(304) 중 어느 쪽을 파지하는 상태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버튼을 조작하여 원하는 전자장치의 동작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 디바이스(30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판부(301) 및 하판부(302) 상에는 제1실시예와 유사한 구조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제어 디바이스(300)의 자세에 따라서 각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되는 UI의 표시 상태가 조정될 수 있는 바, 이는 제1실시예의 경우를 응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한 제2실시예에서는 버튼(311, 312, 313, 314)이 상판부(301) 상에 형성된 경우만 설명하였으나, 하판부(302) 상에도 동일 내지 유사한 버튼(311, 312, 313, 314)의 구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 디바이스(300)는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상판부(301) 및 하판부(302) 중에서 상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를 판별하며, 상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판별된 상판부(301) 또는 하판부(302)의 버튼(311, 312, 313, 314)에 대해서 상기한 방법을 적용한다. 반면, 제어 디바이스(300)는 하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판별된 상판부(301) 또는 하판부(302)의 버튼(311, 312, 313, 314)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없게 비활성화시킨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300)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어 디바이스(30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디바이스(300)의 제1단부(303)가 전방향을 향하는 경우 및 제2단부(304)가 전방향을 향하는 경우 각각의 커맨드 맵핑 프로파일이 기 설정되어 있는 것을 초기상태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디바이스(300)는 현재 제어 디바이스(300)의 자세를 감지한다(S200). 제어 디바이스(300)는 감지 결과에 따라서, 제1단부(303) 및 제2단부(304) 중에서 어느 것이 전방향을 향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210).
제어 디바이스(300)는 제1단부(303) 및 제2단부(304) 중에서 전방향을 향한다고 판별된 어느 하나의 커맨드 맵핑 프로파일을 호출하여 적용한다(S220).
제어 디바이스(300)는 사용자에 의해 버튼이 클릭되면(S230), 호출한 커맨드 맵핑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생성한다(S240). 제어 디바이스(300)는 생성한 커맨드를 제어 대상인 전자장치에 전송함으로써, 해당 커맨드에 따라서 전자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250).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500)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500)는, 앞선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상의 외형을 가지며, 상판부(501), 하판부(502), 제1단부(503) 및 제2단부(504)를 가진다.
여기서, 제어 디바이스(500)는 투명 디스플레이(530)를 포함한다. 투명 디스플레이(530)는 상판부(501) 및 하판부(502)를 관통하도록 제어 디바이스(500)에 설치된다. 제어 디바이스(500)는 투명 디스플레이(530) 상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500a)을 표시할 수 있다.
외부광을 관통시키는 투명 디스플레이(530)의 특성 상,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530)에 표시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500a)을 상방향(U) 및 하방향(D)에서 모두 볼 수 있다. 다만,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500a)이 상방향(U)을 기준으로 표시되는 경우, 즉 사용자가 상방향(U)에서 볼 때에 정상적으로 보이도록 표시되는 경우라면, 동일 화면을 사용자가 하방향(D)에서 보면 반전되게 보일 것이다.
도 9는 제어 디바이스(500)의 구성 블록도이다.
제어 디바이스(500)는 통신부(520), 투명 디스플레이(530), 제1터치센서(550), 제2터치센서(560), 자세센서(570) 및 제어부(58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부(520) 및 자세센서(570)의 구성은 앞선 제1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투명 디스플레이(530)는 제어부(580)의 제어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530)는 투명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한 자발광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별도의 발광성분 없이 외부광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는 등 다양한 구조의 패널로 구현된다.
제1터치센서(550)는 투명 디스플레이(530)의 양 판면 중에서, 상판부(501) 방향의 판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다. 반면, 제2터치센서(560)는 투명 디스플레이(530)의 양 판면 중에서, 하판부(502) 방향의 판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다. 즉, 제1터치센서(550)는 UI가 표시되는 투명 디스플레이(530)의 상면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며, 제2터치센서(560)는 투명 디스플레이(530)의 하면에 대한 터치를 감지한다.
제어부(580)는 자세센서(570)에 의해 감지된 제어 디바이스(500)의 자세에 기초하여 투명 디스플레이(530)의 상면 및 하면 중에서 상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와, 제1단부(503) 및 제2단부(504) 중에서 전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를 판별한다. 제어부(580)는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투명 디스플레이(530)에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580)는 투명 디스플레이(530)의 상면이 상방향을 향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80)는 제1단부(503) 및 제2단부(504) 중 전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의 상하를 조정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580)는 투명 디스플레이(530)의 상면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도록 제1터치센서(550)를 활성화시키며, 투명 디스플레이(530)의 하면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지 않도록 제2터치센서(560)를 비활성화시킨다.
반면, 제어부(580)는 투명 디스플레이(530)의 하면이 상방향을 향하는 경우에, 상방향의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이러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을 반전시켜 표시한다. 즉, 앞선 경우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이 투명 디스플레이(530)의 상면을 기준으로 표시되었다면, 이번 경우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은 투명 디스플레이(530)의 하면을 기준으로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580)는 제1단부(503) 및 제2단부(504) 중 전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의 상하를 조정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580)는 투명 디스플레이(530)의 하면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도록 제2터치센서(560)를 활성화시키며, 투명 디스플레이(530)의 상면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지 않도록 제1터치센서(550)를 비활성화시킨다.
이상의 내용은 앞선 실시예들과 유사한 원리가 적용됨으로써 구현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50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디바이스(500)가 투명 디스플레이(530)의 상면을 기준으로 UI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것을 초기상태로 한다.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디바이스(500)는 현재 제어 디바이스(500)의 자세를 감지한다(S300). 제어 디바이스(500)는 감지 결과에 따라서, 투명 디스플레이(530)의 상면이 상방향인지 여부를 판별하고(S310), 제1단부(503) 및 제2단부(504) 중에서 어느 것이 전방향을 향하는지 판별한다(S320).
제어 디바이스(500)는 투명 디스플레이(530)의 상면이 상방향을 향한다고 판별되면(S330), 디폴트 설정대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을 투명 디스플레이(530)에 표시하며(S340), 판별된 제1단부(503) 또는 제2단부(504)를 기준으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의 상하방향을 조정한다(S350). 그리고, 제어 디바이스(500)는 제1터치센서(550)를 활성화시키고 제2터치센서(560)를 비활성화시킨다(S360).
반면, 제어 디바이스(500)는 투명 디스플레이(530)의 하면이 상방향을 향한다고 판별되면(S33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폴트 설정에서 반전시켜 투명 디스플레이(530)에 표시하며(S370), 판별된 제1단부(503) 또는 제2단부(504)를 기준으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의 상하방향을 조정한다(S380). 그리고, 제어 디바이스(500)는 제1터치센서(550)를 비활성화시키고 제2터치센서(560)를 활성화시킨다(S390).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상방향"이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방향"이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 대상인 전자장치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 설정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는 단계에서 다양한 변경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하방향"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이고, "상방향"은 중력을 거스르는 방향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또는, "하방향"은 지면을 향하는 방향이고, "상방향"은 하늘을 향하는 방향이라고 정의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 중에서 상대적으로 상측에 있는 단부가 "전방향"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하측에 있는 단부가 "후방향"에 위치한다고 정의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제어 디바이스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는 일단부가 사용자가 파지하지 않은 타단부에 비해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측 및 하측은 지면을 기준으로 구분한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시스템
10 : 전자장치
100 : 제어 디바이스
120 : 통신부
130 : 제1디스플레이부
140 : 제2디스플레이부
150 : 제1터치센서
160 : 제2터치센서
170 : 자세센서
180 : 제어부

Claims (19)

  1. 전자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제1판면 상에 제공되는 제1입력 인터페이스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1판면의 반대방향에 배치된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제2판면 상에 제공되는 제2입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센서와;
    상기 자세선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자세에 따라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 중 기 설정된 제1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측의 제1단부 및 제2단부 중에서 기 설정된 제2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 중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제공되게 제어하며, 상기 제1방향을 향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없게 비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판면에 설치된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유아이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판면에 설치된 제2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유아이 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아이 영상이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1단부 또는 상기 제2단부를 기준으로 맞춰지도록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유아이 영상의 상하방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상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1터치센서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 상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2터치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방향을 향하지 않으며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방향을 향한다고 판별하면, 상기 제1터치센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2터치센서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면 및 상기 제2판면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상기 길이방향에 평행한 판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2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클릭 시에 기 설정된 커맨드를 각기 생성하도록 복수의 상기 커맨드에 대응하게 디폴트 설정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단부가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디폴트 설정을 유지하고, 상기 제2단부가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디폴트 설정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에 대한 상기 복수의 커맨드의 맵핑을 상하로 반전시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단부가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버튼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복수의 커맨드를 맵핑시킨 제1프로파일과, 상기 제2단부가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버튼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복수의 커맨드를 맵핑시킨 제2프로파일이 기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 중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판별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제1프로파일 또는 상기 제2프로파일을 호출하여 상기 복수의 버튼에 맵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투명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상기 제1판면 및 상기 제2판면 중 상기 제1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판별되는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유아이 영상을 선택적으로 반전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1면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제1터치센서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면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제2면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제2터치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면이 상기 제1방향을 향하지 않으며 상기 제2면이 상기 제1방향을 향한다고 판별하면, 상기 제1터치센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2터치센서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10. 전자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자세에 따라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제1판면 상에 제공되는 제1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판면의 반대방향인 제2판면 상에 제공되는 제2입력인터페이스 중 기 설정된 제1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측의 제1단부 및 제2단부 중에서 기 설정된 제2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 중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제공하며, 상기 제1방향을 향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없게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판면에 설치된 제1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유아이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판면에 설치된 제2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유아이 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유아이 영상이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1단부 또는 상기 제2단부를 기준으로 맞춰지도록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유아이 영상의 상하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 상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1터치센서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 상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2터치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방향을 향하지 않으며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방향을 향한다고 판별하면, 상기 제1터치센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2터치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면 및 상기 제2판면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상기 길이방향에 평행한 판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2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클릭 시에 기 설정된 커맨드를 각기 생성하도록 복수의 상기 커맨드에 대응하게 디폴트 설정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단부가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디폴트 설정을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2단부가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디폴트 설정에서 상기 복수의 버튼에 대한 상기 복수의 커맨드의 맵핑을 상하로 반전시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단부가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버튼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복수의 커맨드를 맵핑시킨 제1프로파일과, 상기 제2단부가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버튼에 대응하게 기 설정된 복수의 커맨드를 맵핑시킨 제2프로파일이 기 저장되고,
    상기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 중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판별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제1프로파일 또는 상기 제2프로파일을 호출하여 상기 복수의 버튼에 맵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상기 제1판면 및 상기 제2판면 중 상기 제1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판별되는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유아이 영상을 선택적으로 반전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1면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제1터치센서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면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제2면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제2터치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면이 상기 제1방향을 향하지 않으며 상기 제2면이 상기 제1방향을 향한다고 판별하면, 상기 제1터치센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2터치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9.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장치와;
    상기 전자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전자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제1판면 상에 제공되는 제1입력 인터페이스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1판면의 반대방향에 배치된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제2판면 상에 제공되는 제2입력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센서와;
    상기 자세선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자세에 따라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 중 기 설정된 제1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측의 제1단부 및 제2단부 중에서 기 설정된 제2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단부 및 상기 제2단부 중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제공되게 제어하며, 상기 제1방향을 향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상기 제1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제2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없게 비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30010079A 2013-01-29 2013-01-29 전자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KR20140096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079A KR20140096906A (ko) 2013-01-29 2013-01-29 전자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EP14151821.7A EP2759995A1 (en) 2013-01-29 2014-01-20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4/167,471 US20140210755A1 (en) 2013-01-29 2014-01-29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079A KR20140096906A (ko) 2013-01-29 2013-01-29 전자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906A true KR20140096906A (ko) 2014-08-06

Family

ID=4994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079A KR20140096906A (ko) 2013-01-29 2013-01-29 전자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210755A1 (ko)
EP (1) EP2759995A1 (ko)
KR (1) KR201400969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856A1 (ko) * 2015-10-27 201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8935B2 (en) 2009-12-08 2019-02-0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activity based setup of a controlling device
USD746266S1 (en) * 2013-10-23 2015-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mote controller
US9886169B2 (en) * 2014-04-29 2018-02-0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dia service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USD785598S1 (en) * 2014-06-12 2017-05-02 Bernafon Ag Remote control
USD767509S1 (en) * 2015-01-20 2016-09-27 My Core Control Development, Llc Controller device for heating kit
USD798274S1 (en) * 2016-12-23 2017-09-26 Shanghai Knorvay Technology Ltd. Wireless presenter
USD798275S1 (en) * 2016-12-23 2017-09-26 Shanghai Knorvay Technology Ltd. Wireless presenter
USD912671S1 (en) * 2020-07-10 2021-03-09 Shenzhen Qianhai Patuoxun Network And Technology Co., Ltd Wireless present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0071B2 (en) * 2003-05-30 2006-05-23 Intel Corporation Layered rotational graphics driver
KR101446088B1 (ko) * 2007-08-23 2014-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를 제공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메뉴제공방법
KR101474429B1 (ko) * 2008-03-11 2014-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표시 방법
US20100164745A1 (en) * 2008-12-29 2010-07-01 Microsoft Corporation Remote control device with multiple active surfaces
KR101807622B1 (ko) * 2010-12-27 201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리모콘 및 이에 적용되는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856A1 (ko) * 2015-10-27 201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48993A (ko) * 2015-10-27 2017-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742922B2 (en) 2015-10-27 2020-08-1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10755A1 (en) 2014-07-31
EP2759995A1 (en)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6906A (ko) 전자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이를 가지는 전자장치
US201803142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482527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on head mounted display and head mounted display thereof
JP579020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遠隔操作システム
US8692767B2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virtual trackball operation
KR101383840B1 (ko) 리모트 컨트롤러와,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582541B1 (ko) 에지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165448B1 (ko) 중첩된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 방법
JP2011077863A (ja) 遠隔操作装置、遠隔操作システム、遠隔操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31641B1 (ko)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7010226A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その画面切り替え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US20130176223A1 (en) Display apparatus, user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CN103793137A (zh)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2016035739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KR101872272B1 (ko) 제어 기기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40145984A1 (en) Input device,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10134071A1 (en) Display apparatus and touch sensing method
US202003416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parameter
KR20130041052A (ko)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50081205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259434B1 (ko) 다기능 터치 펜
US20160124606A1 (en)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2164047A (ja) 情報処理装置
MX2013013349A (es) Configuracion de funcionalidad de elementos de control de un dispositivo de control basado en orientacion.
KR20110034137A (ko)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입력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