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172A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172A
KR20090034172A KR1020070099411A KR20070099411A KR20090034172A KR 20090034172 A KR20090034172 A KR 20090034172A KR 1020070099411 A KR1020070099411 A KR 1020070099411A KR 20070099411 A KR20070099411 A KR 20070099411A KR 20090034172 A KR20090034172 A KR 20090034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input
input box
indicator
uni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7510B1 (ko
Inventor
김태훈
정장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9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510B1/ko
Priority to TW097121911A priority patent/TWI435590B/zh
Priority to CN200810131551.6A priority patent/CN101404685B/zh
Priority to CN201410108030.4A priority patent/CN103838511A/zh
Priority to US12/173,680 priority patent/US8331991B2/en
Priority to DE202008018302U priority patent/DE202008018302U1/de
Priority to ES08164742.2T priority patent/ES2630477T3/es
Priority to EP08164742.2A priority patent/EP2045702B1/en
Priority to US12/242,208 priority patent/US9330180B2/en
Publication of KR20090034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172A/ko
Priority to US13/669,138 priority patent/US950751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단말기의 대기화면 상에 둘 이상의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텍스트 입력 박스가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 대기화면 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기능에 따라 바로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에 소정의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휴대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휴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휴대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최근에는 터치스크린이 장착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각종 명령을 입력 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도 많이 소개되고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화면 또는 터치스크린 화면이 어떻게 구성되었을 때 단말기 사용자가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가 편리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더욱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가 고려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가 최소한의 노력으로 자신이 원하는 명령을 휴대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대기 화면 상에 텍스트 입력 박스와,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의 둘 이상의 기능 중 선택된 한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기 화면 상에 텍스트 입력 박스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에 둘 이상의 기능이 부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단말기의 대기화면 또는 웹브라우저 상에 둘 이상의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텍스트 입력 박스가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대기화면 또는 웹브라우저 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기능에 따라 바로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에 원하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단말기의 대기화면 또는 웹브라우저 상에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와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의 기능에 부합하는 가상의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가상의 키패드를 통해 용이하게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에 원하는 텍스트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 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휴대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휴대 단말기(100)와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 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는 터치 스크린으로 기능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 단말기의 방위, 휴대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 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출력모듈(153)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출력모듈(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출력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출력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 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는 제1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한다.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구성된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폴더 타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 바디가 폴딩되게 구성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 칭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바디가 언폴딩되게 구성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 칭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에 대해 스윙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스윙 타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바디가 제 2 바디에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 칭할 수 있으며, 제 2 바디가 스윙되어 제 1 바디의 일부분이 노출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폴더 타입과 상기 스윙 타입에 따른 단말기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 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200),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음향출력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1 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음향출력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와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205),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245)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해서는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바디(205)의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바디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250)는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255)는 사용자가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출력모듈 (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음향출력모듈(152)는 제1바디(200)의 음향출력모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60)는 제2바디(205)(2) 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200)의 제 1 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1바디(200)와 제2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5)의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 등이 제2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60, 121 내지 250, 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200),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바디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바디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용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GPS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 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에 대해 실시예 별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후술되는 실시예들이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더형 단말기, 제 1 바디(200)가 본체이고, 제 2 바디(205)가 상기 본체 상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더형 단말기뿐만 아니라, 폴더형 단말기 또는 스윙형 단말기(이에 한정되지 않음)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1 실시예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6의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 화면(400)에는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대기화면에는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S51].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는 둘 이상의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은 제 1 기능 및 제 2 기능의 두 개의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고 설명을 계속한다. 제 1 기능 및 제 2 기능에 대해서는 이후 다시 예시된다.
또한, 상기 대기화면에는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가 제 1 기능 및 제 2 기능 중 어느 기능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420)가 디스플레이된다[S52].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스크린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해당 키조작(예를 들면, 소프트 키 조작)을 통해 도 6의 (6-1) 및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능 및 제 2 기능이 상호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S53, S54].
그러나,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상기 터치 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로 배치되어 터치스크린으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인디케이터(420)를 터치(예를 들면, 롱터치)함으로써 도 6의 (6-1) 및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능 및 제 2 기능이 상호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인디케이터(420)가 상기 제 1 기능 및 제 2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토글 스위치 형태의 선택자 역할을 겸할 수 있다[S53, S54].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을 계속한다.
도 6의 (6-1)은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제 1 기능, 예컨대 구글 검색 기능 중에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구글 검색 기능을 위해,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선택된다.
그 다음,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도 6의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검색어가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로 입력된다.
상기 검색어의 입력 후, 상기 검색어에 대해 구글 검색을 실행하도록 명령이 입력되면, 도 6의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구글 검색의 결과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구글 검색의 실행 명령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해당 키조작(예를 들면, 소프트 키조작)을 통해 행해질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터치(예를 들면 숏터치)를 통해 행해질 수도 있다.
한편, 단말기가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제 2 기능, 예컨대 인터넷 주소 입력 기능 (즉, 인터넷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입력 기능)을 위해 사용되기를 원하는 경우를 살펴보자.
도 6의 (6-1)의 터치스크린 화면(400)에서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인디케이터(420)를 롱 터치한다. 그러면,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가 제 2 기능을 위해 사용되도록 전환된다. 상기 인디케이터(420)는 도 6의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인터넷 URL 입력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 다음,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도 6의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인터넷 URL이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로 입력된다.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선택될 때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 상에 상기 가상 키패드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가상의 키패드를 통해 상기 인터넷 URL이 입력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인터넷 URL의 입력 후, 상기 인터넷 URL로의 진입을 실행하도록 명령이 입력되면, 도 6의 (6-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넷 URL에 해당하는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인터넷 URL로의 진입 명령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의 해당 키조작( 예를 들면, 소프트 키조작)을 통해 행해질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인디케이터(420)의 터치(예를 들면 숏터치)를 통해 행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 1 기능 및 제 2 기능은 구글 검색 기능, 인터넷 URL 입력 기능에 각각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기능 및 제 2 기능을 위해, 제 1 사전설정된 웹사이트에 대한 검색 기능, 제 2 사전설정된 웹사이트에 대한 검색 기능, 인터넷 주소 입력 기능, 계산기 기능, 및 단말기 내의 파일 검색 기능을 포함하는 그룹(이에 한정되지 않음)에서 임의의 2개가 선택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7 및 도 8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8의 (8-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400)의 대기화면 상에 구글 검색 기능을 위한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S71]. 그리고,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구글 검색을 위해 사용됨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420)가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와 함께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의 텍스트 입력을 위한 실제 키패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 있음으로 해서 상기 실제 키패드가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S72].
이 때,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선택될 때, 도 8의 (8-2)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 상에 상기 가상 키패드(433)가 생성된다[S73, S74].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생성된 가상의 키패드를 통해 상기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가상의 키패드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실제 키패드가 활성화될 때(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기가 열린 상태가 되어 상기 실제 키패드가 실제로 외부로 노출될 때) 자동으로 사라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의 (8-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400)의 대기화면 상에 인터넷 주소 입력 기능을 위한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인터넷 주소 입력 기능을 위해 사용됨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420)가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와 함께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이 때,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선택되면, 도 8의 (8-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제 키패드가 비활성화되어 있어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 상에 가상키패드(435)가 생성되는 것은 도 8의 (8-2)의 경우와 대동소이하다.
그러나, 도 8의 (8-4)의 가상키패드(435)는 도 8의 (8-2)의 가상키패드(433)와는 동일할 필요가 없다. 즉, 상기 생성되는 가상키패드는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가 사용될 기능에 가장 부합되는 형태로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의 (8-4)의 가상키패드(435)에는 인터넷 주소 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예컨대 "www", "com"와 같은 키버튼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대기화면 상에 하나의 텍스트 입력 박스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가 2개의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음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가 3개 이상의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9를 더욱 참조하면서 제 2 실시예로서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9의 (9-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400)의 대기화면에는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사용될 기능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420)가 상기 대기화면에 함께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도 9의 (9-1)에서, 상기 인디케이터(420)는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제 1 기능(예를 들면, 제 1 사전 설정된 웹사이트에 대한 검색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420)가 예컨대 롱 터치되거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140)에 해당 키조작이 행해지면, 도 9의 (9-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디케이터(420)는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제 2 기능(예를 들면, 제 2 사전 설정된 웹사이트에 대한 검색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표시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인디케이터(420)가 예컨대 롱터치되거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140)에 해당 키조작이 행해질 때마다, 도 9의 (9-3) 및 (9-4)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상기 인디케이터(420)는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차례로 제 3 기능(예를 들면, 인터넷 주소 입력 기능) 및 제 4 기능(예를 들면, 단말기 내의 파일 검색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표시한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필요한 기능이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에 할당될 때까지 상기 인디케이터(420)를 롱터치하거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에 해당 키조작을 함으로써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9-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를 예컨대 더블 터치하였을 때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에 최근에 입력했던 텍스트들의 리스트(415)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사용되는 기능의 갯수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뉴 조작을 통해 사전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
이상에서는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사용될 기능이 상기 인디케이터(420)를 단순 터치함으로써 변환되는 것이 예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기능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서 제 4 실시예로서 살펴본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0에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텍스트 입력 박스(410)와 인디케이터(44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 10의 인디케이터(440)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 관련되어 전술된 인디케이터(420)과는 다른 형태인 슬라이드 스위치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도 10의 (10-1)에서는 상기 인디케이터(440)가,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가 사용되는 기능이 예컨대 구글 검색 기능임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440) 내부의 슬라이드 스위치가 터치되어 좌측으로 드래그되면, 도 10의 (10-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의 기능이 인터넷 주소 입력 기능으로 변환되면서, 상기 인디케이터(440)는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가 인터넷 주소 입력을 위해 사용할 수 있음을 표시하고 있다.
도 11은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 자체가 상기 슬라이더 스위치로 사용되는 것에 대해 예시하고 있다.
도 11의 (11-1)에서는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의 우측에 상기 인디케이터의 일부(451)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의 일부(451)는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구글 검색과 관련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 자체가 터치되어 우측으로 드래그되면, 도 11의 (1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일부(451)를 가리면서, 상기 인디케이터의 다른 일부(453)를 노출하도록 이동된다.
상기 노출된 인디케이터의 다른 일부(453)는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인터넷 URL 입력과 관련되어 사용되도록 기능 변환되었음을 표시한다.
도 12의 (12-1) 및 (12-3)는, 도 10의 인디케이터(440)가 도 10의 텍스트 입력 박스(410) 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인디케이터(440)와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이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 내에 텍스트가 입력되면 상기 인디케이터(440)는 도 12의 (12-2) 및 (1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라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부연 설명의 없더라도 도 10과 관련된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될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6의 인디케이터(440)가 도 6의 텍스트 입력 박스(410) 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인디케이터(440)와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410)가 일체로 구성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도 13의 (13-1) 및 (13-3)은 텍스트 입력 필드(410)와,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들의 기능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개의 인디케이터들(451, 453, 455)이 동시에 상기 대기화면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인디케이터들 중 하나는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상기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하나의 인디케이터에 해당하는 기능을 위해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410)가 사용될 수 있음을 단말기 사용자가 쉽게 인지하도록 한다.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복수개의 인디케이터들을 한꺼번에 봄으로써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가 사용될 수 있는 기능들을 직관적으로 망라하여 이해할 수 있다.
도 14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대기화면 상에 서로 다른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둘 이상의 텍스트 입력 박스(413, 415)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 옆에는 상기 박스에 입력된 텍스트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명령하기 위한 실행 아이콘(46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제 5 실시예
이상에서는 대기화면 상에 텍스트 입력 박스와 이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예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와 이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가 웹브라우저 상에 구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15를 참조하면서 제 5 실시예로서 살펴본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5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5의 (1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400)에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웹브라우저(47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웹브라우저에는 제 1 및 제 4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텍스트 입력 박스(410) 및 이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42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도 15의 (15-1)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텍스트 이력 박스(410)에 원하는 인터넷 URL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웹브라우저가 상기 원하는 인터넷 URL의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도 6의 (6-6) 참조).
한편, 단말기 사용자는 예컨대 상기 인디케이터(420)를 롱터치함으로써, 도 15의 (1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가 특정 검색 엔진(예를 들면 구글)의 검색어 텍스트 입력 박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웹브라우저가 어떤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지 상관없이, 도 15의 (15-2)의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에 원하는 검색어 텍스트를 입력하면, 상기 웹브라우저는 상기 특정 검색 엔진에서 상기 검색어 텍스트 로 검색한 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도 6의 (6-3) 참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5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Claims (12)

  1. 디스플레이부;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대기 화면 상에 텍스트 입력 박스와,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의 둘 이상의 기능 중 선택된 한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호 레이어 구조로 배치되어 일체로 터치스크린으로서 동작하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둘 이상의 기능 중 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의 둘 이상의 기능이, 제 1 사전 설정된 웹사이트에 대한 검색 기능, 제 2 사전 설정된 웹사이트에 대한 검색 기능, 인터넷 주소 입력 기능, 계산기 기능, 및 단말기 내 파일 검색 기능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토글 스위치 또는 슬라이드 스위치 형태로 구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와 일체로 구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와 함께 슬라이드 스위치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가 일방향으로 드래그됨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기능 중 한 기능이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의 둘 이상의 기능에 각각 해당하는 복수개의 터치 아이콘들로서 디스플레이되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터치 아이콘들 중에 한 아이콘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둘 이상의 기능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의 현재 기능에 부합하는 가상 키패드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실제 키패드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제키패드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가 선택되더라도 상기 가상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진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실제 키패드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제 키패드가 활성화되면,상기 디스플레이된 가상 키패드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가 선택되었을 때, 최근 입력했던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대기 화면 상에 텍스트 입력 박스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입력 박스에 둘 이상의 기능이 부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070099411A 2007-10-02 2007-10-02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87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411A KR101387510B1 (ko) 2007-10-02 2007-10-02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TW097121911A TWI435590B (zh) 2007-10-02 2008-06-12 行動式終端機與控制此終端機之方法
CN201410108030.4A CN103838511A (zh) 2007-10-02 2008-07-11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200810131551.6A CN101404685B (zh) 2007-10-02 2008-07-11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12/173,680 US8331991B2 (en) 2007-10-02 2008-07-15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E202008018302U DE202008018302U1 (de) 2007-10-02 2008-09-19 Mobiles Endgerät
ES08164742.2T ES2630477T3 (es) 2007-10-02 2008-09-19 Terminal móvil y método de control del mismo
EP08164742.2A EP2045702B1 (en) 2007-10-02 2008-09-19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2/242,208 US9330180B2 (en) 2007-10-02 2008-09-30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3/669,138 US9507517B2 (en) 2007-10-02 2012-11-05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411A KR101387510B1 (ko) 2007-10-02 2007-10-02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172A true KR20090034172A (ko) 2009-04-07
KR101387510B1 KR101387510B1 (ko) 2014-04-21

Family

ID=40114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411A KR101387510B1 (ko) 2007-10-02 2007-10-02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331991B2 (ko)
EP (1) EP2045702B1 (ko)
KR (1) KR101387510B1 (ko)
CN (2) CN101404685B (ko)
DE (1) DE202008018302U1 (ko)
ES (1) ES2630477T3 (ko)
TW (1) TWI43559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937A (ko) * 2014-12-03 2016-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190138436A (ko) * 2018-06-05 2019-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기를 통해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3872B2 (en) * 2005-04-22 2019-02-12 Neopad Inc. Creation method for characters/words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method thereby
JP5155287B2 (ja) * 2009-12-02 2013-03-06 シャープ株式会社 操作機器、その操作機器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画像処理装置ならびに操作方法
JP5091267B2 (ja) * 2010-02-18 2012-12-05 シャープ株式会社 操作機器、その操作機器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画像処理装置ならびに操作方法
US8970500B2 (en) * 2010-02-26 2015-03-03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content from a data item to separately display portions of such data
US8858329B2 (en) * 2010-03-22 2014-10-14 Christine Hana Kim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dedicated game interfa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projector capability
DE102010035373A1 (de) * 2010-08-25 2012-03-01 Elektrobit Automotive Gmbh Technik zur bildschirmbasierten Routenmanipulation
US8832564B2 (en) * 2011-02-11 2014-09-09 Sony Corporation Personalized second display browsing experience due to multiple session feature
CN102855079B (zh) * 2011-05-24 2016-06-08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
CN102298536B (zh) * 2011-06-10 2015-06-10 邵永相 一种远程控制方法、装置和系统
KR20140143556A (ko) * 2013-06-07 2014-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2175103B1 (ko) * 2014-02-21 2020-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구동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9930167B2 (en) * 2014-07-07 2018-03-2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ssaging application with in-application search functionality
US9933940B2 (en) * 2014-09-30 2018-04-03 Crick Software Ltd. Accessible keyboard for mobile devices and tablets
CN104765558A (zh) * 2015-03-24 2015-07-08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超音波装置及其控制方法
CN107562348B (zh) * 2017-09-07 2022-03-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内容显示方法及装置
US10976833B2 (en) * 2018-03-11 2021-04-13 Nolan Jones Non-qwerty keyboard
CN109033296A (zh) * 2018-07-13 2018-12-18 网易传媒科技(北京)有限公司 用于搜索的方法、系统、介质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1138A (en) * 1993-06-04 1999-06-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base search facility having improved user interface
US5422656A (en) 1993-11-01 1995-06-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Personal communicator having improved contrast control for a liquid crystal, touch sensitive display
JP2813728B2 (ja) 1993-11-01 1998-10-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ズーム/パン機能付パーソナル通信機
KR19980076633A (ko) 1997-04-11 1998-11-16 윤종용 이동 정보 단말기에서의 정보 검색장치 및 방법
US20080028292A1 (en) 1997-12-22 2008-01-31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to facilitate reading of a document
US6322366B1 (en) * 1998-06-30 2001-11-27 Assessment Technology Inc. Instructional management system
TW546943B (en) 1999-04-29 2003-08-11 Inventec Corp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and system with virtual keyboard
NO20004375L (no) 1999-12-06 2001-06-07 Ziad Badarneh System og fremgangsmåte for fremvisning og assistering av manipuleringsbevegelser ved betjening av en manöverinnretning foret funksjonsutstyr
US7389221B1 (en) 2000-07-17 2008-06-17 Globalenglis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translation
KR100408021B1 (ko) 2000-12-29 2003-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엘씨디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2003143286A (ja) 2001-10-31 2003-05-16 Nec Corp 携帯電話機
US6977643B2 (en) 2002-01-10 2005-12-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implementing non-physical pointers for computer devices
US20030225787A1 (en) * 2002-03-12 2003-12-04 Songqiao Liu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retrieving thesaurus data
AU2003234144B2 (en) 2002-04-19 2008-12-04 Opentv, Inc. Supporting common interactive television functionality through presentation engine syntax
US20040061720A1 (en) * 2002-09-26 2004-04-01 Matt Weber Multi-function browser toolbar with method for online institutional administrative browser control
JP2004135177A (ja) 2002-10-11 2004-04-30 Sharp Corp 携帯電話機
TWM240740U (en) 2002-12-18 2004-08-11 Inventec Appliances Corp Handset with a sliding type casing
US6927763B2 (en) 2002-12-30 2005-08-09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disambiguated keypad
CN100477674C (zh) 2003-07-29 2009-04-08 京瓷株式会社 通信设备
JP4381761B2 (ja) 2003-09-26 2009-12-09 キヤノンソフトウェア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50085215A1 (en) 2003-10-21 2005-04-2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emergency calling in a touch screen mobile phone from a touch screen and keypad lock active state
EP1555795A1 (en) 2004-01-19 2005-07-20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of images and menu icons in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N1588367A (zh) * 2004-09-02 2005-03-02 魏新成 搜索栏输入字母提示搜索词和网名
US8126895B2 (en) * 2004-10-07 2012-02-28 Computer Associates Think, In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dexing, synchronizing and searching digital data
CN1761190A (zh) * 2004-10-14 2006-04-19 惠定国 一种访问互联网的方法
US7657842B2 (en) 2004-11-12 2010-02-02 Microsoft Corporation Sidebar tile free-arrangement
KR100617549B1 (ko) * 2004-11-25 2006-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디케이터 설정 정보 표시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US20060190441A1 (en) * 2005-02-07 2006-08-24 William Gross Search toolbar
US7643008B2 (en) 2005-02-23 2010-01-05 Nokia Corporation Changing keys drawn on a display and actuating them using a sensor-screen
WO2006096842A1 (en) 2005-03-09 2006-09-14 Medio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active ranking of browser search engine results
TWI260138B (en) 2005-04-07 2006-08-11 Gemtek System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oaming in 802.11 wireless networks
JP2006302184A (ja) 2005-04-25 2006-11-02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情報入力装置
US20060277482A1 (en) * 2005-06-07 2006-12-07 Ilighter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toring and retrieving selected document sections and user-generated notes
US7684791B2 (en) 2005-06-13 2010-03-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ultiple keyboard context sensitivity for application usage
US20070027848A1 (en) 2005-07-29 2007-02-01 Microsoft Corporation Smart search for accessing options
TWI286204B (en) 2005-10-13 2007-09-01 Arima Communication Corp Automatic system for verifying developed software and detecting function 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method for the same
US20070088680A1 (en) * 2005-10-14 2007-04-19 Microsoft Corporation Simultaneously spawning multiple searches across multiple providers
US7930236B2 (en) * 2005-10-28 2011-04-19 Adobe Systems Incorporated Direct tracking of keywords to ads/text
KR100738035B1 (ko) * 2005-10-28 2007-07-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대기화면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제공방법
WO2007059503A1 (en) * 2005-11-15 2007-05-24 Google Inc. Displaying compact and expanded data items
KR101062855B1 (ko) * 2005-11-22 2011-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KR100644399B1 (ko) * 2005-12-13 2006-11-10 엔에이치엔(주) 정보 액세스 지원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CN1786892A (zh) * 2005-12-19 2006-06-14 魏新成 通过手机触摸屏上的拇指屏幕键盘输入文字和切换窗口
US7669142B2 (en) * 2006-02-28 2010-02-23 Microsoft Corporation Viewable and actionable search results
US8117195B1 (en) * 2006-03-22 2012-02-14 Google Inc. Providing blog posts relevant to search results
US8396849B2 (en) * 2006-03-30 2013-03-12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browser search provider detection and usage
JP4963056B2 (ja) 2006-04-03 2012-06-27 株式会社フロム工業 ディスポーザの洗浄方法
US8725729B2 (en) * 2006-04-03 2014-05-13 Steven G. Lisa System, methods and applications for embedded internet searching and result display
US7779370B2 (en) * 2006-06-30 2010-08-17 Google Inc.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US8564544B2 (en) *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US20080115124A1 (en) 2006-11-10 2008-05-15 Charles J. Kulas Trial mode for selectively trying a component that adds functionality to base software
US20080139227A1 (en) 2006-12-12 2008-06-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tandby scratch pad
US20080189591A1 (en) 2007-01-31 2008-08-07 Lection David B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media presentation
US8316295B2 (en) 2007-03-01 2012-11-20 Microsoft Corporation Shared language model
US8244750B2 (en) 2007-03-23 2012-08-14 Microsoft Corporation Related search queries for a webpage and their applications
US8302033B2 (en) * 2007-06-22 2012-10-30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maps, directions, and location-based information
US8745067B2 (en) * 2009-08-12 2014-06-03 Google Inc. Presenting comments from various sour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937A (ko) * 2014-12-03 2016-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190138436A (ko) * 2018-06-05 2019-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기를 통해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45702B1 (en) 2017-01-04
CN101404685A (zh) 2009-04-08
EP2045702A2 (en) 2009-04-08
KR101387510B1 (ko) 2014-04-21
DE202008018302U1 (de) 2012-10-01
TWI435590B (zh) 2014-04-21
CN103838511A (zh) 2014-06-04
ES2630477T3 (es) 2017-08-22
CN101404685B (zh) 2014-04-16
US8331991B2 (en) 2012-12-11
TW200917799A (en) 2009-04-16
EP2045702A3 (en) 2011-04-27
US9507517B2 (en) 2016-11-29
US20090088218A1 (en) 2009-04-02
US20130067387A1 (en)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51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87527B1 (ko) 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44361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6965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15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96979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컨텐츠 합성방법
US8565828B2 (en)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ensor-equipped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169448B2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0943905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116971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2464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76506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3362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00169397A1 (en) Mobile terminal and unit converting method thereof
KR20100069435A (ko) 투명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화면 캡쳐 방법
KR101578000B1 (ko) 단말기,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100051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타 아이콘화 방법
KR20090033619A (ko) 휴대 단말기,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0003688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정보 전달방법
KR2009009922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1511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2429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웹 히스토리 표시 방법
KR10152065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웹사이트 접속 방법
KR101476177B1 (ko)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58317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팝업창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