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8914A - 가습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가습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8914A
KR20100078914A KR1020080137299A KR20080137299A KR20100078914A KR 20100078914 A KR20100078914 A KR 20100078914A KR 1020080137299 A KR1020080137299 A KR 1020080137299A KR 20080137299 A KR20080137299 A KR 20080137299A KR 20100078914 A KR20100078914 A KR 20100078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water tank
disk
water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2148B1 (ko
Inventor
전학규
이창익
김희성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7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148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4Free-coo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은 가습공기청정기는 수조조립체; 상기 수조조립체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크조립체; 상기 수조조립체 내부에 설치되는 초음파진동자를 포함한다.
상기 초음파진동자에 의해 상기 디스크조립체(즉, 디스크 및 기어디스크)에 묻어나는 각종 이물을 효과적으로 세척시킬 수 있으며, 수조 내에 고여 있는 물에 기생하는 대장균, 박테리아 및 세균을 파괴하여 항상 신선한 가습과 공기청정을 할 수 있다.
가습, 공기, 청정

Description

가습공기청정기{Air washer}
본 발명은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하부접점부가 설치된 수조조립체와, 상기 하부접점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상부접점부가 설치되며, 상기 수조조립체 상부에 배치되는 바디조립체와, 상기 수조조립체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가습하는 디스크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접점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이 상기 바디조립체에 의해 지지되는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습 및 공기정화기는 한국등록실용 제20-0157935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도면에서 10은 상부 케이스, 20은 내부에 물이 담기는 하부 케이스를 각각 보인 것으로, 상부 케이스(10)에 형성된 고정틀(11)에 모터(30)가 고정되고, 모터(30)의 축에는 송풍팬(31)이 고정되어있으며, 고정틀(11)의 하측 결합부(12)에는 한쌍의 롤러(40)가 결합되어있어, 상기 모터(30)가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하면 송풍팬(31)이 회전하고, 한쌍의 롤러(4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예컨데,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모터(30)의 축과 롤러(40)의 축에는 서로 맞물리는 웜과 웜기어가 결합됨으로써 모터(30)의 축이 회전함에 따라 롤러(40)가 구동되는 구조로 되어있으며, 상부 케이스(10)의 일측부에는 전원을 온,오프하고 송풍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노브(50)가 결합되어있다.
도면에서 100은 디스크 롤러 조립체를 보인 것으로, 이 디스크 롤러 조립체(100)는 디스크A와 디스크B가 롤러 형태로 조립되어 디스크 롤러(101)를 이루고 있으며, 양쪽의 디스크 롤러(101)가 상기 롤러(40)와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롤러 조립체(100)는 한쌍의 디스크 롤러(101)와, 이 한쌍의 디스크 롤러(101)에 결합된 축봉(111)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지지간과, 양쪽 지지간이 결합되는 손잡이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디스크 롤러(101)는, 지지관의 중간부에 복수개의 디스크B가 결합된과 아울러 디스크B의 양쪽부에 중간 지지판이 결합되고, 지지관의 양측부에 복수개의 디스크A가 결합됨과 아울러 지지관의 단부에 캡이 각각 고정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디스크A와 디스크B는 중간부에 결합공이 형성됨과 우울러 결합공의 주연부에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절결부가 방사방향으로 형성되며, 일면에는 복수개의 연결돌기가 형성됨과 아울러 다른면에는 연결홈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중간 지지판은 중간부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결합공의 주연부에 환상 결합리브가 형성됨과 아울러 환상 결합리브에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어있으며, 일면에 복수개의 연결돌기가 형성되고, 다른면에 연결홈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캡은 중간부에 고정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관부의 단부에 환상 걸림턱이 형성되어있으며, 고정관부의 주위로 복수개의 원형통공이 형성되고, 고정관부의 외면에는 쐐기형 걸림턱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지지관은 상기 디스크A와 디스크B 및 중간 지지판의 걸림홈이 삽입되는 걸림리브가 형성되고, 지지관의 중간부에는 상기 중간 지지판의 결합리브가 결합고정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있으며, 지지관의 양단부에는 상기 캡의 고정관부가 삽입되어 그의 걸림턱이 걸려 고정되는 걸림공이 각각 형성되어있다.
상기 디스크 롤러(101)는 조립할 때, 지지관에 하나의 중간 지지판, 예를 들어 제5도에 도시한 두 개의 중간 지지판 중 우측 중간 지지판을 그의 걸림홈에 지지관의 걸림리브가 삽입되도록 맞춘후 밀어 넣으면 중간 지지판의 결합리브가 지지관의 걸림턱 사이에 끼워져 안정하게 고정된다. 이어서 복수개의 디스크B를 그의 걸림홈에 지지관의 걸림리브가 삽입되도록 맞춰 끼운후, 다른 하나의 중간 지지판을 위와 같이 삽입 결합한다. 이어서, 지지관의 양측부에 복수개의 디스크A를 위 디스크B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하고, 지지관의 내측으로 축단 지지관이 양단부에 고정된 축봉(111)을 삽입한후, 상기 지지관의 양단부에 캡의 고정관부를 삽입하면 고정관부에 형성된 걸림턱이 지지관의 걸림공에 끼워져 걸리고, 캡의 환상 걸림턱이 축봉(111)의 양단부에 고정된 축단 지지관의 내측단부에 걸려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로써 디스크 롤러(101)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디스크 롤러(101)는 지지간의 양단부에 형성된 축공에 축 봉(111)의 양쪽 축단 지지관이 삽입됨으로써 디스크 롤러 조립체(100)를 이루게 되며, 이와 같이된 디스크 롤러 조립체(100)의 양쪽 축단 지지관은 제2도와 같이 하부 케이스(20)의 내벽면에 형성된 축받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디스크 롤러 조립체(100)를 이루는 디스크A와 디스크B, 중간 지지판, 캡 및 지지관은 합성수지에 방향제, 항균제 및 살균제 등을 혼입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출성형으로 제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하부 케이스(20)의 낼부에 소정 높이로 물을 담고 상,하부 케이스(10),(20)를 결합한후 모터(30)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키면 모터(30)의 회전력으로 송풍팬(31)이 회전하고, 송풍팬(31)과 연동하는 롤러(40)에 의해 디스크 롤러(101)가 회전하며 이에 따라 디스크 롤러(101)의 디스크A,B에 박막형으로 묻어있는 물이 디스크 A,B의 원심력과 송풍팬(31)에 의한 강제 송풍력에 의해 미세하게 분해되면서 공기와 함께 하부 케이스(20)의 주벽에 형성된 그릴을 통하여 실내에 사방으로 고르게 확산되어 실내에 가습하게 되며, 그외 작용은 종래 가습 및 공기정화기와 같다.
전술한 것과 같이 일반적으로 자연가습청정기는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수조내 가습수를 퍼올려 대기중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가습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습 및 공기정화기는 상부 케이스(10)에 마이크로스위치(미도시)를 설치하여, 상부 케이스(10)를 하부케이스(20)로부터 분리하면 장치가 작동을 멈추도록 하거나, 하부케이스(20)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미도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마이크로스위치로 구비하여 제조단가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구조도 복잡해지고, 마이크로스위치에 설치된 스프링도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등으로 구비되어 접점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디스크에 이물질이 흡착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수조 내에 대장균, 박테리아 및 세균이 기생하여 가습공기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디스크에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수조 내에 대장균, 박테리아 및 세균이 기생하여 가습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은 가습공기청정기는 수조조립체; 상기 수조조립체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크조립체; 상기 수조조립체 내부에 설치되는 초음파진동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은 가습공기청정기는, 상기 수조조립체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수조조립체 내부의 수위가 일정범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상기 수위감지장치에 의해 상기 초음파진동자의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습공기청정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초음파진동자에 의해 상기 디스크조립체(즉, 디스크 및 기어디스크)에 묻어나는 각종 이물을 효과적으로 세척시킬 수 있다.
즉, 수조의 물을 초음파로 진동을 주게 되면 디스크에 흡착된 각종 이물의 세척효과가 탁월하게 높아진다.
또한, 초음파 진로상의 매질(물)은 부분적으로 가열되고, 장력 때문에 액체 내의 공동현상(Caviation)인 작은 기포가 발생한다.
이 기포가 터지면서 순간압력과 방전현상으로 대장균, 박테리아 및 세균 등을 파괴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수조내에 고여 있는 물에 기생하는 대장균, 박테리아 및 세균을 파괴하여 항상 신선한 가습과 공기청정을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바디조립체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바디조립체의 베이스바디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바디조립체에 상부접점부가 설치된 상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Ⅶ-Ⅶ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2의 수조조립체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2의 수조조립체의 수조 인케이스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Ⅹ-Ⅹ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XI-XI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개념도 이다.
본 발명에 따은 가습공기청정기는 수조조립체; 상기 수조조립체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크조립체; 상기 수조조립체 내부에 설치되는 초음파진동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은 가습공기청정기는, 상기 수조조립체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수조조립체 내부의 수위가 일정범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상기 수위감지장치에 의해 상기 초음파진동자의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습공기청정기는, 수조조립체(3000)와, 상기 수조조립체(3000) 상부에 배치되는 바디조립체(1000)와, 상기 수조조립체(3000)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가습하는 디스크조립체(400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조립체(1000)는 상기 수조조립체(3000) 상부에 배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조립체(1000)는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바디커버(1300)와, 바디커버(1300)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입구(1400)와, 바디커버(1300)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1700)과, 송풍팬(1700) 하부 에 배치되어 송풍팬(1700)을 회전시키는 팬모터(1600)와, 팬모터(1600) 및 송풍팬(1700)을 둘러싸며 바디커버(1300) 내부에 배치되는 슈라우드(1800)와, 슈라우드(18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양측에 토출구(1210)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바디(1200)와, 슈라우드(1800)와 베이스바디(1200) 사이에 배치되며 디스크조립체(4000)의 기어디스크(4200)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1500)와, 슈라우드(1800)와 베이스바디(1200) 사이에 배치되며 바디커버(130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11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바디조립체(1000)는 슈라우드(1800)가 바디커버(1300)의 상면에 볼트를 통해 고정되고, 슈라우드(1800)에 베이스바디(1200)가 볼트를 통해 고정되어 조립이 완성된다.
바디조립체(1000)는 직사각형과 같이 대각선에 대해 비대칭인 다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바디(1200)는 둘레벽(1202)과, 둘레벽(1202) 하부에는 온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1201)를 포함한다. 플랜지(1201)는 둘레벽(1202)의 하단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바디조립체(1000)와 수조조립체(3000)를 조립할 때에 상기 수조의 인케이스(3100) 측벽(3120) 상단은 둘레벽(1202) 내부에 끼워진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케이스(3100)의 플랜지(3110)와 베이스바디(1200)의 플랜지(1201)는 이격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바디조립체(1000)를 분리할 때에 두개의 플랜지(3110, 1201) 사이에 손을 넣어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바디(1200) 하부에는 둘레벽(1202) 내부에 배치되도록 돌기(3500)가 삽입되는 홈(123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일측에만 돌기(3500)와 홈(1230)이 구비되어, 상기 수조와 바디조립체(1000)를 조립할 때에 상기 수조에 대해 바디조립체(1000)가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지 않게 되면 바디조립체(1000)가 상기 수조에 대해 들뜨게 되어 사용자가 한눈에 오결합된 사실을 알 수 있게 되어, 단순한 구조로 상기 수조와 바디조립체(1000)가 오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조와 바디조립체(1000)는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사용자가 한번에 상기 수조와 바디조립체(1000)를 결합시킬 수 있어서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조립체(1000)의 베이스바디(1200) 상부에는 둘레벽(1202)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부접점부(331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상부접점부(1221)가 설치된다.
베이스바디(1200)에는 상부접점부(1221)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제1걸림벽(1223)과 제2걸림벽(1224)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1걸림벽(1223)은 상부접점부(1221)의 타단 외측에 배치되며, 제2걸림벽(1224)은 상부접점부(1221)의 일단 외측에 배치된다. 제1걸림벽(1223)에는 상부접점부(1221)가 관통되는 관통공(1226)이 형성되고, 제2걸림벽(1224)은 제1걸림벽(1223)보다 높게 형성된다.
나아가, 베이스바디(1200)에는 제1걸림벽(1223)과 제2걸림벽(1224) 사이에 상부접점부(122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후크(1227)가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바디(1200)에는 제1걸림벽(1223)의 외측에 스토퍼(1225)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스토퍼(1225)는 제1걸림벽(1223)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벽형상이다.
나아가, 바디조립체(1000)의 베이스바디(1200)에는 하부접점부(3310)가 인출되는 인출공(1228)이 상부접점부(1221)의 양단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인출공(1228)은 제1걸림벽(1223)과 후크(1227)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인출공(1228)이 형성되어, 하부접점부(3310)가 인출공(1228)을 통해 가이드되어 접점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베이스바디(1200)에는 인출공(1228) 주위를 둘러싸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부접점부(1221)가 베이스바디(1200)로부터 이격되게 유지되어, 상부접점부(1221)를 교체할 때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공구를 베이스바디(1200)와 상부접점부(1221) 사이에 넣어서 용이하게 상부접점부(1221)를 베이스바디(1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부접점부(1221)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 상부로 절곡된 절곡부(12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부(1222)는 가습공기청정기의 제어부(미도시) 및 디스플레이부(1100)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부접점부(1221)는 전극(3320)으로부터 수위 신호를 전달받는 하부접점부(331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제어부(미도시) 및 디스플레이부(1100)에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부접점부(1221)가 하부접점부(3310)로부터 신호를 받지 않게 되면(즉, 상부접점부(1221)와 하부접점부(3310)가 분리되었을 때), 송풍팬(1700)이 정지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세척 등을 위해 바디조립체(1000)를 분리할 때 자동으로 송풍 팬(1700)이 정지되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부접점부(1221)가 하부접점부(3310)로부터 저수위 신호를 받게 되면, 송풍팬(1700)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1100)를 통해 저수위임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바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소비전력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접점부(1221)는 상부접점부(1221)의 타단을 관통공(1226)에 끼워넣는 다음에 상부접점부(1221)의 일단을 후크(1227) 쪽으로 밀어넣으면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상부접점부(1221)는 원터치로 조립이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상부접점부(1221)는 양단이 스토퍼(1225)와 제2걸림벽(1224)에 의해 걸려서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되지 않게 되며, 상부가 제1걸림벽(1223) 및 후크(1227)에 의해 걸려서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접점부(1221)는 양측이 베이스바디(1200)에 의해 지지되어, 상부접점부(1221)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동시에 상부접점부(1221)의 양측이 고정되지 않고 거치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부접점부(1221)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접점부(3310)와 상부접점부(1221)가 접촉시에 면접촉 또는 선접촉되어 접촉면적이 넓어짐으로써, 접점 신뢰성이 향상되고, 상부접점부(1221)의 구조도 단순해서 제조비용도 절감된다.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바디(1200)의 하부 양측에는 에어가이드(1240)이 설치된다. 에어가이드(1240)는 경사진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토출구(121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에어가이드(1240)를 통 해 가습량 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조립체(4000)는 수조조립체(3000)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가습한다. 디스크조립체(4000)는 디스크축(4100)에 여러개의 디스크(4300)가 끼워지게 되고, 디스크축(4100)의 양단에는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어이가 형성된 기어디스크(4200)가 끼워진다. 이와 같이 기어디스크(4200)가 양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디스크조립체(4000)를 앞뒤를 바꿔서 끼더라도 디스크조립체(4000)는 회전되게 된다. 상기 기어디스크(4200)에는 상기 디스크축(4100) 방향으로 관통공(421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210)은 다수개가 형성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이와 같이 기어디스크(4200)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디스크조립체(4000)를 용이하게 들 수 있다. 디스크(4300) 및 기어디스크(4200)에는 리브(422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리브(4220)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보다 가장자리에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며, 직선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는 시계방향을 따라 굴곡되는 제1굴곡부와 반시계방향을 따라 굴곡되는 제2굴곡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리브(4220)로 인해 가습과 공기정화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수조조립체(3000)는 물이 채워지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를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는 아웃케이스(3200)와 아웃케이스(3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케이스(3100)를 포함한다.
아웃케이스(3200)는 바닥과 상기 바닥 상부를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한다. 이 러한 아웃케이스(3200)는 수평단면형상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웃케이스(3200)의 측벽 상단 내측에는 삽입돌출부(3210)가 온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즉, 삽입돌출부(3210)는 아웃케이스(320)의 측벽 외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케이스(3200)의 바닥에는 하부로 돌출된 단차바닥부(3240)가 형성된다. 즉, 단차바닥부(3240)는 아웃케이스(3200)의 측벽 외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단차바닥부(324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습공기청정기를 운반하고자 할 때 아웃케이스(3200)의 바닥이 걸림턱 역할을 하여 아웃케이스(3200)의 측벽 하부와 단차바닥부(3240) 사이에 손을 끼워넣어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단차바닥부(3240)의 상면에는 지지돌기(3220)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지지돌기(3220)의 상면은 원호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지돌기(3220)가 형성되어 아래로 볼록한 형상의 인케이스(3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지지돌기(3220)에는 하부로 돌출되게 다리부(32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다리부(3230)가 형성되어 상기 수조조립체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케이스(3100)는 측벽(3120)과, 상기 측벽(3120)의 하부에 연결되는 바닥(31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인케이스(3100)는 직사각형과 같이 대각선에 대해 비대칭인 다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바디조립체(1000)를 두번(180도)만 회전시켜 보면 수조조립체(3000)에 정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측벽(3120)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디스크지지부(3121)가 형성된다. 이러한 디스크지지부(312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크조립체(4000)의 양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부에 배치되는 측벽(3120)에는 전방과 후방 하부에 살균부재장착부(3122)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살균부재장착부(3122)는 얇은 박스 형상의 살균부재(미도시)가 안정적으로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살균부재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다.
측벽(3120)의 상부에는 플랜지(3110)가 온 둘레에 형성된다. 플랜지(3110)는 측벽(3120)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플랜지(3110)의 하부에는 도 10의 확대부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삽입돌출부(3210)가 삽입되는 홈(3111)이 형성되고, 홈(3111) 내부에 배치되도록 융착돌기(3112)가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융착돌기(3112)는 삽입돌출부(3210)의 상면과 접촉되게 되고, 아웃케이스(3200)의 측벽 상단과 플랜지(3110)의 하단은 맞닿게 된다.
이와같이 인케이스(3100)에는 융착돌기(3112)가 형성되어, 인케이스(3100)와 아웃케이스(3200)는 초음파융착을 통해 결합된다. 초음파융착시 융착돌기(3112)는 고주파진동에 의한 마찰에 의해 용융되어 삽입돌출부(3210)에 융착된다. 이러한, 초음파융착을 시키는 장치는 한국공개특허 제1992-0004125호에 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인케이스(3100)와 아웃케이 스(3200)는 초음파융착을 통해 결합되면, 인케이스(3100)와 아웃케이스(3200)의 이음부가 초음파융착되어 상기 수조의 수밀성이 향상되고, 이물질 등이 인케이스(3100)와 아웃케이스(320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수조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아웃케이스(3200)의 측벽 상단과 플랜지(3110)의 하단이 수평하게 맞닿아서 플랜지(3110)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으며, 상기 수조의 외관미도 향상된다.
나아가, 플랜지(3110)의 상면 일측에는 돌기(3500)가 형성된다. 돌기(3500)는 상기 수조의 후방에 배치된다. 돌기(3500)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측벽(3120)의 하부와 상부에는 관통공(3124)이 형성되고, 측벽(3120)의 내측에는 관통공(3124)에 연통되도록 안착홈(3123)이 형성된다. 측벽(3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관통공(3124)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측벽(3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통공(3124)은 수직하게 형성된다.
바닥(3130)은 중심부의 깊이가 가장 깊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 청정후에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한쪽으로 수렴되어 상기 수조 세척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수조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수조 내부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3130)은 바닥(3130)과 측벽(3120)의 사이각(θ)이 직각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바닥(3130)과 측벽(3120)의 연결부위는 원호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바닥(3130)이 형성되어, 바닥(3130)과 측벽(3120)의 연결부위에 이물질이 모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 며, 바닥(3130)과 측벽(3120)의 연결부위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닥(3130)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원판형상의 디스크조립체(4000)가 회전할 때에 간섭이 되지 않는 동시에 상기 수조의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이 최저 수위일 때도 디스크조립체(4000)에 효과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되어 가습 및 공기 청정효과도 최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3130)은 아웃케이스(3200)의 지지돌기(322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수위감지장치는 하부접점부(3310)와, 상기 수조의 인케이스(3100)에 관통되어 설치되는 전극(332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전극(3320)이 관통되어 설치되어, 전극(3320)에 물때가 많이 끼어서 수위 감지에 오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수조를 세척할 때에 상기 수조와 접촉되는 부분이 작아서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되어 가정 내에서 쓰일 때에 외관미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극(3320)이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 작아서 디스크조립체(4000)가 회전할 때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장치를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수조의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전극(3320)은 길이가 짧은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측벽(3120) 하부에 배치되는 관통공(3124)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전극(3320)은 수평하게 배치되어, 수위 감지의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3320)은 일측에 단차부(3322)가 형성되며, 단차부(3322)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전극(3320)은 타단과 단차부(3322) 사이에는 단차부(3322)보다 단면적이 넓은 플랜지부(3321)가 형성된다. 플랜지부(3321)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안착홈(3123)에 안착되어, 전극(3320)은 상기 수조의 인케이스(3100)에 대해 회전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전극(3320)은 단차부(3322)가 형성되어, 상기 수조에 전극(3320)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로 전극(3320)을 수조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단차부(3322)에는 너트(3323)가 체결되어, 전극(3320)은 인케이스(31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안착홈(3123)에는 실링부재(3324)가 안착되고, 플랜지부(3321)와 인케이스(3100) 사이에는 실링부재(3324)가 배치되어 전극(3320)과 상기 수조 사이를 효과적으로 실링할 수 있다.
이러한 전극(3320)은 단차부(3322)에 실링부재(3324)를 끼워넣은 후에, 인케이스(3100)의 안쪽에서 전극(3320)을 관통공(3124)에 끼워넣고, 인케이스(3100) 바깥쪽에서 단차부(3322)에 너트(3323)를 체결하여 조립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너트(3323)가 인케이스(3100) 바깥쪽에 배치되고, 플랜지부(3321)가 인케이스(3100) 안쪽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수조를 세척할 때 전극(3320)을 건드리게 되어 전극(3320)의 고정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극(3320)은 정전용량을 감지하고,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물이 전극(3320)이 설치된 위치까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케이스(3100)에서 전극(3320)이 설치되는 부분은 살두께가 다른부분보다 두껍도록 형성되어 전극(3320)이 설치되는 부분이 취약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부접점부(3310)는 측벽(3120) 상부에 배치되는 관통공(3124)에 끼워져서 상기 수조에 설치된다. 하부접점부(3310)는 전극(332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접점부(3310)의 단차부(미도시)와 전극(3320)의 단차부(3322)는 전선와이어를 통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전선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하부접점부(3310)와 전극(332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정해서 상기 수조에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측벽(3120) 외측면과 플랜지(3110) 하부 사이에는 리브(312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리브(3125)가 형성되어 상기 수조는 보강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조립체(3000) 내부 즉, 수조 내부에는 초음파진동자(3500)가 설치된다.
상기 초음파진동자(3600)는 제어부와 연결된 발진부(3610)에 의해 작동한다.
상기 초음파진동자(3600)는 측벽(3120) 또는 바닥(3130)에 설치가능하다.
상기 발진부(3610)는 수위감지장치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부접점부(1221)가 하부접점부(3310)로부터 수조 내부의 수위가 일정범위 이하로 내려갔다는 저수위 신호를 받게 되면, 상기 발진부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초음파진동자(3600)가 정지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수조내부에 수위가 낮아진 상태에서 초음파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수조내부에 물을 채우는 때에 수조내부에 초음파가 차 단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초음파진동자에 의해 상기 디스크조립체(4000)(즉, 디스크(4300)및 기어디스크(4200))에 묻어나는 각종 이물을 효과적으로 세척시킬 수 있다.
즉, 수조의 물을 초음파로 진동을 주게 되면 디스크에 흡착된 각종 이물의 세척효과가 탁월하게 높아진다.
또한, 초음파 진로상의 매질(물)은 부분적으로 가열되고, 장력 때문에 액체 내의 공동현상(Caviation)인 작은 기포가 발생한다.
이 기포가 터지면서 순간압력과 방전현상으로 대장균, 박테리아 및 세균 등을 파괴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수조내에 고여 있는 물에 기생하는 대장균, 박테리아 및 세균을 파괴하여 항상 신선한 가습과 공기청정을 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수조조립체(3000)의 디스크지지부(3121)에 디스크조립체(4000)의 디스크축(4100)을 안착시키고, 수조조립체(3000) 상부에 바디조립체(1000)를 놓아서 조립을 완성한다.
이러한 가습공기청정기에 전원을 인가하며, 팬모터(1600)에 의해 송풍팬(1700)이 회전되는 동시에, 구동기어(1500)가 회전되어 디스크조립체(4000)가 회전하게 되어 디스크(4300) 및 기어디스크(4200)에는 수조조립체(3000) 내부의 물에 적셔지게 된다. 이때, 실내의 공기는 흡입구(1400)를 통해 흡입되며, 에어가이드(1240)를 통해 가이드되어 물을 머금은 디스크(4300) 및 기어디스크(4200)에 접촉된 후 토출구(1210)를 통해 토출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물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공기에는 수분이 공급되게 된다.
상기 수위감지장치를 통해 저수위가 감지되었을 때에는 디스플레이부(1100)를 통해 저수위임을 자동으로 표시하고, 팬모터(1600) 및 구동기어(1500)는 작동을 자동으로 멈춘다.
한편, 사용자가 수조조립체(3000) 또는 디스크조립체(4000)를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 별도의 조작없이 바디조립체(1000)를 들어서 수조조립체(3000)와 바디조립체(1000)를 분리하면 팬모터(1600) 및 구동기어(1500)는 작동을 자동으로 멈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디스크에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수조 내에 대장균, 박테리아 및 세균이 기생하여 가습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에 적합하다.
도 1은 종래의 가습 및 공기정화기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의 바디조립체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바디조립체의 베이스바디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2의 바디조립체에 상부접점부가 설치된 상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Ⅶ-Ⅶ 단면도.
도 8은 도 2의 수조조립체 평면도.
도 9는 도 2의 수조조립체의 수조 인케이스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Ⅹ-Ⅹ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XI-XI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0 : 바디조립체 1100 : 디스플레이부
1200 : 베이스바디 1201 : 플랜지
1210 : 토출구 1221 : 상부접점부
1222 : 절곡부 1223 : 제1걸림벽
1224 : 제2걸림벽 1225 : 스토퍼
1226 : 관통공 1227 : 후크
1228 : 인출공 1230 : 홈
1240 : 에어가이드 1300 : 바디커버
1400 : 흡입구 1500 : 구동기어
1600 : 팬모터 1700 : 송풍팬
1800 : 슈라우드 3000 : 수조조립체
3100 : 인케이스 3110 : 플랜지
3111 : 홈 3112 : 융착돌기
3120 : 측벽 3121 : 디스크지지부
3122 : 살균부재장착부 3123 : 안착홈
3124 : 관통공 3125 : 리브
3130 : 바닥 3200 : 아웃케이스
3210 : 삽입돌출부 3220 : 지지돌출부
3230 : 다리부 3240 : 단차바닥부
3310 : 하부접점부 3320 : 전극
3321 : 플랜지부 3322 : 단차부
3323 : 너트 3324 : 실링부재
3600: 초음파진동자 3610: 발진부
3500 : 돌기 4000 : 디스크조립체

Claims (2)

  1. 수조조립체;
    상기 수조조립체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크조립체;
    상기 수조조립체 내부에 설치되는 초음파진동자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조립체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수조조립체 내부의 수위가 일정범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상기 수위감지장치에 의해 상기 초음파진동자의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KR1020080137299A 2008-12-30 2008-12-30 가습공기청정기 KR101112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299A KR101112148B1 (ko) 2008-12-30 2008-12-30 가습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299A KR101112148B1 (ko) 2008-12-30 2008-12-30 가습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914A true KR20100078914A (ko) 2010-07-08
KR101112148B1 KR101112148B1 (ko) 2012-03-14

Family

ID=4264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299A KR101112148B1 (ko) 2008-12-30 2008-12-30 가습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1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2179A2 (ko) * 2011-07-20 2013-01-24 주식회사 위닉스 가습형 공기청정기
KR20210117394A (ko) * 2020-03-18 2021-09-29 주식회사 에스아이솔루션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155A (ko) * 2001-10-17 2001-11-14 문근술 다기능 가습기
KR100809471B1 (ko) * 2006-12-29 2008-03-0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2179A2 (ko) * 2011-07-20 2013-01-24 주식회사 위닉스 가습형 공기청정기
WO2013012179A3 (ko) * 2011-07-20 2013-03-14 주식회사 위닉스 가습형 공기청정기
KR101307841B1 (ko) * 2011-07-20 2013-09-12 주식회사 위닉스 가습형 공기청정기
KR20210117394A (ko) * 2020-03-18 2021-09-29 주식회사 에스아이솔루션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2148B1 (ko)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355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859960B1 (ko) 가습청정장치
KR102457136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691259B1 (ko) 가습기
CN104566739A (zh) 加湿器
KR101112148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027058B1 (ko) 가습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
EP3330625B1 (en) Humidifier
JP2010007885A (ja) 加湿板、加湿装置および加湿機能付き空気清浄機
KR20100072419A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006992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379231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00038659A (ko) 가습공기청정기용 수조
KR20100038658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00006982U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00115418A (ko) 가습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
KR101677677B1 (ko) 분리형 살균 가습기
KR101270356B1 (ko) 가습기
KR200466909Y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0775385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0809470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0809472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30015445A (ko) 가습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7462517B2 (ja) 加湿フィルタ洗浄装置及び加湿装置
KR100780817B1 (ko) 살균수단 케이스 및 저수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