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394A -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394A
KR20210117394A KR1020200033434A KR20200033434A KR20210117394A KR 20210117394 A KR20210117394 A KR 20210117394A KR 1020200033434 A KR1020200033434 A KR 1020200033434A KR 20200033434 A KR20200033434 A KR 20200033434A KR 20210117394 A KR20210117394 A KR 20210117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air
microalgae
unit
cultur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2185B1 (ko
Inventor
박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아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아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아이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33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18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7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C12M27/04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with introduction of gas through the stirrer or mix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18External loop; Means for reintroduction of fermented biomass or liquid perco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1/00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 C12M31/10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by light emitting elements located inside the reactor, e.g. LED or OLE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4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volume or 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정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유동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유동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외기를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강제송풍시키는 송풍유닛과, 상기 유동공간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미세조류가 생장하는 배양액이 수용되는 저수공간이 마련된 배양수조와, 상기 유동공간으로 유입된 외기 중 이산화탄소를 소비하여 산소가 발생되도록 상기 미세조류가 광합성할 수 있게 상기 배양수조 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가 마련된 배양유닛과, 상기 유동공간의 유입된 외기 중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배양수조에 수용된 배양액 중 일부를 상기 유동공간을 통과하는 외기와 접촉시킨 다음, 상기 배양수조로 회귀시키는 접촉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미세조류가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소비하여 산소를 공급해주고 미세조류 배양액에 의해 공기 중 분진 등 미세물질이 제거될 수 있어 공기 오염이 저감될 수 있고 또 공기 중 산소 농도가 높아질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Air cleaner using microalgae}
본 발명은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공기 내의 산소 농도를 증가시키거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도심지역의 무분별한 개발은 극심한 대기오염과 도심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열섬 현상 등 많은 문제를 발생시켰다. 특히, 최근에는 문제가 되고있는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질에 관한 이슈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
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석탄 또는 석유등의 화석연료를 태울때나 공장 또는 자동차 등의 배출가스에서 많이 발생한다. 때문에 도심지역의 개발이 진행될수록 대기오염으로 인한 미세먼지 문제가 점점 더 악화되고 있다.
따라서, 위와같은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질과 관련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었던 바, 특히, 바이오를 이용한 친환경 기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바이오 기술중 미세조류의 광합성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상기 제안된 기술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안된 기술은 미세조류를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용 산소발생기(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0921호)로서, 미세조류의 광합성 반응 시 발생하는 산소를 포집하여 오염된 실내 공기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실내에 존재하는 과잉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으며 성장이 다 완료된 미세조류는 건조 후 동물 사료 또는 화훼용 거름으로 재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실내공기 정화는 물론 부산물로 얻어지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비료나 사료로 공급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미세조류의 광합성 반응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산소를 공급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점에서 본 발명과 유사하나 구체적인 구성이나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과 차이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092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미세조류가 배양되는 배양액과 오염된 공기가 충분히 상호 작용하여 공기 오염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고 공기 중 산소 농도가 높아질 수 있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내부에 유동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유동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외기를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강제송풍시키는 송풍유닛과, 상기 유동공간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미세조류가 생장하는 배양액이 수용되는 저수공간이 마련된 배양수조와, 상기 유동공간으로 유입된 외기 중 이산화탄소를 소비하여 산소가 발생되도록 상기 미세조류가 광합성할 수 있게 상기 배양수조 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가 마련된 배양유닛과, 상기 유동공간의 유입된 외기 중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배양수조에 수용된 배양액 중 일부를 상기 유동공간을 통과하는 외기와 접촉시킨 다음, 상기 배양수조로 회귀시키는 접촉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배양수조는 상기 유동공간 내에 유입된 외기가 상기 배양액에 접촉하여 해당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접촉유닛은 양단이 상기 배양수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과, 상기 배양수조에 수용된 배양액 중 일부가 표면에 잔류하도록 일부분이 상기 배양수조에 배양된 배양액에 침지되되, 나머지 부분이 상기 수조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디스크와, 상기 접촉 디스크의 표면에 잔류한 배양액이 상기 외기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구비한다.
상기 접촉 디스크는 잔류하는 상기 배양액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인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인입홈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환형으로 연장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접촉 디스크는 잔류하는 상기 배양액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표면에 마이크로 패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양유닛은 상기 배양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배양액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유동공간으로 유입된 외기를 개방된 상기 배양수조의 상부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가이드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도록 내부에 연통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에서 개방된 상기 배양수조의 상부에 인접되도록 연장되되, 단부에 상기 연통유로를 통과한 외기가 상기 배양수조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유출구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배양수조의 상부에 인접되게 유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단부에, 상기 배양수조의 상부 측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가이드판넬과, 상기 서브 가이드판넬을 진퇴시키는 액츄에이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상기 유동공간 내의 외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양수조 및 배출구 사이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배양수조를 통과한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유동공간 내의 외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양수조 및 배출구 사이의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외기가 통과하는 제1 및 제2통과구가 형성된 필터 프레임과, 상기 제1통과구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필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통과구를 통과하는 외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와, 상기 제2통과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프레임에 설치되는 개폐댐퍼를 구비한다.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필터 프레임 및 배양수조 사이의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외기 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측정하는 공기 감지 센서와, 상기 공기 감지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외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 외기가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2통과구를 폐쇄하고, 상기 외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상기 기준값 미만일 경우,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도록 상기 제2통과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댐퍼를 제어하는 댐퍼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배출구가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로 빗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배출구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상기 본체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본체 주위로 확산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지붕유닛에 마련된 확산 가이드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상기 배양수조의 배양액을 회수하여 여과하고, 여과된 상기 배양액을 상기 배양수조로 주입하는 배양액 여과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배양액 여과부는 여과용기와, 상기 배양수조의 배양액을 상기 여과용기로 유입시키는 배양액 회수부와, 상기 여과용기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양액 회수부에서 유입되는 배양액이 통과되어 여과되는 양액 필터부와, 상기 약액 필터부에 여과된 배양액을 상기 배양수조에 주입하는 배양액 주입부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미세조류의 생장을 위한 액체배지가 수용되는 액체배지 용기와, 상기 액체배지 용기에 수용된 상기 액체배지를 상기 배양수조에 공급하는 배지 공급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상기 배양액이 수용되는 배양액 용기와, 상기 배양액 용기에 수용된 배양액을 상기 배양수조에 공급하는 배양액 공급부와, 상기 배양수조 내의 배양액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배양수조에 설치된 수위센서와, 상기 수위센서에서 제공되는 측정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배양수조 내의 배양액의 수위가 기설정된 기준수위 이하인 경우, 해당 배양수조에 배양액이 공급되도록 상기 배양액 공급부를 제어하는 약액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상기 송풍유닛, 배양유닛 또는 접촉유닛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작동 감지 센서와, 상기 본체의 유동공간 내의 공기 상태를 감지하는 공기 감지 센서와, 광고제공서버와 통신하며 해당 광고제공서버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모듈과,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 감지 센서, 공기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모듈에서 수신된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미세조류가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소비하여 산소를 공급해주고 미세조류 배양액에 의해 공기 중 분진 등 미세물질이 제거될 수 있어 공기 오염이 저감될 수 있고 또 공기 중 산소 농도가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의 접촉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의 접촉유닛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100)는 내부에 유동공간(201)이 마련되며, 상기 유동공간(201)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202) 및 배출구(203)가 형성된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에 설치되어 외기를 상기 유입구(202)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203)로 배출되도록 강제송풍시키는 송풍유닛(300)과, 상기 유동공간(201)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미세조류가 생장하는 배양액이 수용되는 배양유닛(400)과, 상기 유동공간(201)의 유입된 외기 중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배양유닛(400)에 수용된 배양액 중 일부를 상기 유동공간(201)을 통과하는 외기와 접촉시킨 다음, 상기 배양유닛(400)으로 회귀시키는 접촉유닛(500)과, 상기 유동공간(201) 내의 외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양유닛(400) 및 배출구(203) 사이의 본체(200)에 설치되어 상기 배양유닛(400)을 통과한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유닛(700)과, 상기 배양유닛(400)의 배양액을 여과하거나 배양유닛(400)에 배양약을 공급하는 공급유닛(800)을 구비한다.
본체(200)는 내부에 유동공간(201)이 마련된 사각 구조물로 형성된다. 또한, 본체(200)는 유동공간(201) 하측에, 공급유닛(8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204)이 마련되어 있다. 유입구(202)는 복수개가 본체(200)의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되되, 유동공간(201)에 연통되도록 유동공간(20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구(203)는 본체(20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20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작업자가 유동공간(201) 내에 배양유닛(400)을 세팅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개방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200)는 유동공간(201)의 바닥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해당 레일들은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송풍유닛(300)은 배출구(203)에 인접된 상기 본체(200)의 상측 내부에 설치되며, 유동공간(201) 내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송풍시킬 수 있도록 송풍팬이 적용된다. 한편, 송풍유닛(300)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외기가 본체(200)의 유동공간(201)을 통과할 수 있도록 공기를 강제송풍시킬 수 있는 송풍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배양유닛(400)은 상기 유동공간(201)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미세조류가 생장하는 배양액이 수용되는 저수공간(411)이 마련된 배양수조(410)와, 상기 유동공간(201)으로 유입된 외기 중 이산화탄소를 소비하여 산소가 발생되도록 상기 미세조류가 광합성할 수 있게 상기 배양수조(410) 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420)와, 상기 배양수조(410)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배양액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부(430)를 구비한다.
배양수조(410)는 유입구(202) 하측의 유동공간(201)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유동공간(201) 내에 유입된 외기가 상기 배양액에 접촉하여 해당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양액은 미세조류인 광생물유기체가 배양된 양액이 적용된다.
한편, 배양수조(410)는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면에 다수의 이동바퀴(412)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이동바퀴(412)에 의해 배양수조(41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작업자는 보다 용이하게 배양수조(410)를 본체(200)에 설치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배양수조(41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부에 수용된 배양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 배출관이 설치될 수도 있다.
광원부(420)는 배양수조(410)의 저수공간(411) 하부에 설치되어 저수공간(411) 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다수의 엘이디를 구비한다. 이때, 배양수조(410)의 하부는 광원부(420)에서 조사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엘이디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다수개가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다. 상기 광원부(420)는 배양수조(410) 내에 배양되는 미세조류가 광합성할 수 있도록 소정 파장의 광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광원부(420)에서 발생된 광에 의해 배양수조(410) 내의 미세조류는 광합성하여 유동공간(201)으로 유입된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공기에 산소를 공급한다.
기포발생부(430)는 배양수조(410)의 저수공간(411) 바닥면에 설치되며, 배양수조(410) 내의 배양액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노즐부재(431)와, 상기 노즐부재(431)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노즐부재(431)는 배양수조(410)의 저수공간(411) 바닥면 중앙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에어가 유입되는 유입공간이 마련되되, 상면에는 에어가 분사되는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다.
에어공급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일단이 상기 노즐부재(431)에 설치되는 에어공급관과, 에어공급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에어공급관을 통해 노즐부재(431)의 유입공간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컴프레셔를 구비한다. 상술된 기포발생부(430)는 배양수조(410) 내의 배양액에 기포를 발생시켜 배양액을 교반시킨다.
접촉유닛(500)은 상기 유동공간(201)의 유입된 외기 중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배양수조(410)에 수용된 배양액 중 일부를 상기 유동공간(201)을 통과하는 외기와 접촉시킨 다음, 상기 배양수조(410)로 회귀시키는 것으로서, 회전축(510), 접촉 디스크(520) 및 회전부(530)를 구비한다.
회전축(510)은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며, 양단부가 각각 배양수조(4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축(510)은 복수개가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양수조(4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디스크(520)는 상기 회전축(5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축(510)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배양수조(410)에 수용된 배양액 중 일부가 표면에 잔류하도록 일부분이 상기 배양수조(410)에 배양된 배양액에 침지되되, 나머지 부분이 상기 수조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접촉 디스크(520)는 잔류하는 상기 배양액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의 인입홈(521)이 형성되어 있다. 해당 인입홈(521)은 상기 회전축(510)을 중심으로 환형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인입홈(521)은 접촉 디스크(520)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다.
한편, 접촉 디스크(52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잔류하는 상기 배양액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표면에 마이크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해당 마이크로 패턴은 접촉 디스크(520)의 표면에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되, 마이크로 단위 내지 나노단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패턴은 접촉 디스크(52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도 있다. 접촉 디스크(520)는 상기 인입홈(521) 및 마이크로 패턴에 의해 표면에 잔류하는 배양액이 증가하여 유동공간(201)을 통과하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공기 내에 포함된 이물질에 대한 제거효율 및 이산화탄소의 흡수효율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접촉 디스크(520)는 다수개가 회전축(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부(530)는 회전축(510)의 단부에 인접된 위치의 배양수조(410)에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모터(미도시)와, 상기 구동모터들의 구동축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기어(531)와, 상기 구동기어(531)와 치합되며, 회전축(510)들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피동기어(532)를 구비한다. 상술된 회전부(530)는 상기 접촉 디스크(520)의 표면에 잔류한 배양액이 상기 외기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510)을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회전부(530)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회전축(510)들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회전부(530)에 의해 회전축(510)은 회전하며 배양액에 침지된 접촉 디스크(520)의 일부분이 유동공간(201) 내의 공기에 노출되어 배양액과 공기가 접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100)는 상기 유입구(202)를 통해 상기 유동공간(201)으로 유입된 외기를 개방된 상기 배양수조(410)의 상부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00)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부재(6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재(600)는 상기 유입구(202)에 연통되도록 내부에 연통유로(601)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202)에서 개방된 상기 배양수조(410)의 상부에 인접되도록 연장되되, 단부에 상기 연통유로(601)를 통과한 외기가 상기 배양수조(410)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유출구(602)가 형성된다. 가이드부재(600)는 유입구(202)로부터 배양수조(410) 측으로 돌출되되, 단부가 하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가이드부재(600)는, 공기의 유동에 대해 보다 견고하게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단부 가장자리가 파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가이드부재(600)에 의해 유입구(202)로 유입된 공기는 개방된 배양수조(410)의 상부 및 접촉 디스크(520) 측으로 가이드되어 공기 정화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필터유닛(700)은 상기 유동공간(201) 내의 외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양수조(410) 및 배출구(203) 사이의 본체(200) 내부에 설치되며, 외기가 통과하는 제1 및 제2통과구(711,712)가 형성된 필터 프레임(710)과, 상기 제1통과구(711)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필터 프레임(710)에 설치되어 상기 제1통과구(711)를 통과하는 외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720)와, 상기 제2통과구(7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프레임(710)에 설치되는 개폐댐퍼(730)를 구비한다.
필터 프레임(710)은 유입구(202)과 배출구(203) 사이의 본체(200) 내부에 설치되며, 본체(200) 내부 단면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필터 프레임(710)은 중앙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제2관통구를 기준으로 필터 프레임(710)의 좌우측에 각각 제1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제1관통구는 필터 프레임(71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부재(720)는 다수개가 제1관통구들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필터 프레임(710)에 설치된다. 상기 필터부재(720)는 공기 중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파 필터(Hepa Filter) 등이 적용된다.
개폐댐퍼(730)는 상기 제2관통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관통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개폐 플레이트(731)와, 상기 개폐 플레이트(731)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플레이트(731)를 회동시키는 회동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 플레이트(731)는 제2관통구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자가 개폐댐퍼(730)를 작동시켜 제2관통구를 폐쇄할 경우, 유동공간(201) 내의 공기가 필터부재(720)들을 통과하므로 배출구(203)를 통해 본체(200)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은 줄어드는 반면에, 공기 내 포함된 이물질이 감소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본체(200)가 설치된 설치공간 내 공기의 상태가 비교적 좋지 않을 경우, 제2관통구를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개폐댐퍼(730)를 작동시켜 제2관통구를 개방할 경우, 공기가 제2관통구를 통해 필터부재(720)를 통과하지 않고 배출구(203)로 배출되므로 보다 많은 양의 미세조류의 배양액에 의해 산소가 풍부한 공기가 본체(200)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설치공간 내의 공기의 상태가 양호할 경우, 제2관통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필터유닛(700)은 상기 필터 프레임(710) 및 배양수조(410) 사이의 상기 본체(200) 내부에 설치되어 외기 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측정하는 공기 감지 센서(740)와, 상기 공기 감지 센서(740)에서 측정된 정보를 토대로 개폐댐퍼(730)를 제어하는 댐퍼 제어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공기 감지 센서(740)는 필터 프레임(710)과 배양수조(410) 사이의 본체(200) 내벽면에 설치되며,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측정한다. 여기서, 오염물질에는 미세먼지 등이 포함된다. 또한, 공기 감지 센서(740)는 오염물질 뿐 아니라 공기 내의 산소 농도, 이산화 탄소 농도 등과 같은 공기 상태를 감지할 수도 있다.
댐퍼 제어부는 상기 공기 감지 센서(740)에서 측정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외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 외기가 상기 필터부재(720)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2통과구(712)를 폐쇄하고, 상기 외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상기 기준값 미만일 경우, 상기 배출구(203)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도록 상기 제2통과구(712)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댐퍼(730)를 제어할 수 있다.
공급유닛(800)은 배양수조(410)의 배양액을 회수하여 여과하고, 여과된 상기 배양액을 상기 배양수조(410)로 주입하는 배양액 여과부(810)와, 배양수조(410)에 액체배지를 공급하는 액체 배지 충진부와, 상기 배양수조(410)에 배양액을 충진하는 배양액 충진부(830)를 구비한다.
상기 배양액 여과부(810)는 여과용기(811)와, 상기 배양수조(410)의 배양액을 상기 여과용기(811)로 유입시키는 배양액 회수부(812)와, 상기 여과용기(811)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양액 회수부(812)에서 유입되는 배양액이 통과되어 여과되는 양액 필터부(미도시)와, 상기 약액 필터부에 여과된 배양액을 상기 배양수조(410)에 주입하는 배양액 주입부(814)를 구비한다.
여과용기(811)는 본체(200)의 수납공간(204)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배양액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배양액 회수부(812)는 배양수조(410) 내의 배양액을 상기 여과용기(811)로 공급할 수 있도록 양단이 각각 배양수조(410)의 하부 및 여과용기(811)에 연결된 회수관(815)과, 회수관(815)에 설치되어 배양수조(410)의 배양액을 여과용기(811)로 펌핑하는 회수펌프(818)를 구비한다.
양액 필터부는 여과용기(811) 내부에 설치되며, 미세조류의 사체를 포함하는 배양액이 통과하여 필터링될 수 있도록 회수관(815)에 연통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양액 필터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배양액은 통과되되, 사체 및 이물질은 여과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액 필터부를 통과한 배양액은 여과용기(811) 내부에 수용된다.
배양액 주입부(814)는 여과용기(811)에 수용된 배양액을 배양수조(41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양단이 각각 여과용기(811) 및 배양수조(410)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1주입관(816)과, 상기 제1주입관(816)에 설치되어 여과용기(811)에 수용된 필터링된 배양액을 상기 배양수조(410)로 펌핑하는 제1주입펌프(817)를 구비한다. 한편, 배양액 여과부(810)는 주기적으로 배양수조(410)에 수용된 배양액을 여과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제1기준시간 간격으로 회수펌프(818) 및 제1주입펌프(817)를 온오프시키는 여과 제어모듈(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액체배지 충진부(820)는 미세조류의 생장을 위한 액체배지가 수용되는 액체배지 용기(821)와, 상기 액체배지 용기(821)에 수용된 상기 액체배지를 상기 배양수조(410)에 공급하는 배지 공급부(822)를 구비한다.
액체배지 용기(821)는 본체(200)의 수납공간(204)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액체배지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해당 액체배지는 미세조류를 생장하기 위한 액상의 배지가 적용된다.
배지 공급부(822)는 액체배지 용기(821)에 수용된 액체배지를 배양수조(41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양단이 각각 액체배지 용기(821) 및 배양수조(410)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2주입관(823)과, 상기 제2주입관(823)에 설치되어 액체배지 용기(821)에 수용된 액체배지를 배양수조(410)로 펌핑하는 제2주입펌프(824)와, 주기적으로 배양수조(410)에 액체배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제2기준시간 간격으로 제2주입펌프(824)를 온오프시키는 배지 제어모듈(미도시)을 구비한다.
배양액 충진부(830)는 상기 배양액이 수용되는 배양액 용기(831)와, 상기 배양액 용기(831)에 수용된 배양액을 상기 배양수조(410)에 공급하는 배양액 공급부(832)와, 상기 배양수조(410) 내의 배양액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배양수조(410)에 설치된 수위센서(833)와, 상기 수위센서(833)에서 제공되는 측정 데이터를 토대로 배양액 공급부(832)를 제어하는 약액 제어부(834)를 구비한다.
배양액 용기(831)는 본체(200)의 수납공간(204)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소정의 배양액이 충진되어 있다. 배양액 공급부(832)는 배양액 용기(831)에 수용된 배양액을 배양수조(41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양단이 각각 배양액 용기(831) 및 배양수조(410)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3주입관(835)과, 상기 제3주입관(835)에 설치되어 배양액 용기(831)에 수용된 배양액을 배양수조(410)로 펌핑하는 제3주입펌프(836)를 구비한다.
수위센서(833)는 배양수조(410) 내벽면에 설치되어 배양수조(410) 내의 배양액 수위를 측정한다. 해당 수위센서(833)는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위측정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약액 제어부(834)는 상기 수위센서(833)에서 제공되는 측정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배양수조(410) 내의 배양액의 수위가 기설정된 기준수위 이하인 경우, 해당 배양수조(410)에 배양액이 공급되도록 상기 배양액 공급부(832)를 제어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풍유닛(300)의 작동에 의해 본체(200) 외부공기는 유입구(202)를 통해 본체(200) 내부의 유동공간(201)으로 유입된다. 이때, 외부 공기는 가이드부재(600)를 통해 배양수조(410)의 상부로 유도된다. 이때, 배양수조(410) 내에 수용된 배양액의 미세조류는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며, 광원부(420)에서 제공되는 광에 의해 광합성하여 산소를 배출한다. 또한, 개방된 배양수조(410) 및 접촉유닛(500)에 의해 유동공간(201)을 통과하는 공기는 배양액에 접촉하여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필터링된다. 배양수조(410) 및 접촉유닛(500)을 통과한 공기는 필터유닛(700)을 통과한 다음 배출구(203)를 통해 본체(200)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100)는 미세조류가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소비하여 산소를 공급해주고 미세조류 배양액에 의해 공기 중 분진 등 미세물질이 제거될 수 있어 공기 오염이 저감될 수 있고 또 공기 중 산소 농도가 높아질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90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900)는 상기 배출구(203)로 빗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재(911)에 의해 상기 배출구(203)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상기 본체(200)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유닛(910)을 더 구비한다.
지지부재(91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개가 본체(200)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911)는 본체(200) 상면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911)들의 상단에는 지붕유닛(910)이 설치된다.
지붕유닛(910)은 배출구(203)로 빗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구(203)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배출구(203)에 대향되게 설치된다. 또한, 지붕유닛(910)의 상부는 빗물이 가장자리 측으로 유도되도록 중앙부가 가장자리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지붕유닛(910)은 배출구(203)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어 배출구(203)로 빗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지붕유닛(910)에 의해 배출구(203)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본체(200) 사방으로 확산될 수 있다.
또한, 지붕유닛(91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배출구(203)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본체(200) 주위로 확산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확산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확산 가이드부는 지붕유닛(910)의 하면에 돌출형성된 다수의 가이드돌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는 지붕유닛(910)의 하면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며, 지붕유닛(910)의 하면 중앙부에서 가장자리 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돌기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지붕유닛(91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95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950)는 상기 송풍유닛(300), 배양유닛(400) 또는 접촉유닛(5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작동 감지 센서(951)와, 상기 본체(200)의 유동공간(201) 내의 공기 상태를 감지하는 공기 감지 센서(740)와, 광고제공서버와 통신하며 해당 광고제공서버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모듈(952)과, 상기 본체(20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 감지 센서(951), 공기 감지 센서(740)에서 감지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모듈(952)에서 수신된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953)을 구비한다.
작동 감지 센서(951)는 송풍유닛(300), 배양유닛(400)의 광원부(420) 및 기포발생부(430), 접촉유닛(500)의 회전부(530)의 회전모터에 연결되어, 해당 송풍유닛(300), 광원부(420), 기포발생부(430) 및 회전모터의 작동상태를 감지한다. 작동 감지 센서(951)는 감지 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953)에 전송한다.
공기 감지 센서(740)는 필터 프레임(710)과 배양수조(410) 사이의 본체(200) 내벽면에 설치되며,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 공개 내의 산소 농도, 이산화 탄소 농도 등과 같은 공기 상태를 감지한다. 해당 공기 감지 센서(740)는 감지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953)에 전송한다.
수신모듈(952)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광고제공서버와 통신하며, 해당 광고 컨텐츠를 수신한다. 이때, 광고 컨텐츠는 관라지에게 광고료를 지급한 사업체에서 제공한 광고 영상이 적용된다. 수신모듈(952)은 수신한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패널(953)에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패널(953)은 본체(200)의 후면에 설치되며, 외부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LCD와 같은 표시수단이 적용된다. 디스플레이 패널(953)은 상기 작동 감지 센서(951), 공기 감지 센서(740)에서 감지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모듈(952)에서 수신된 광고 컨텐츠를 표시한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96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960)는 가이드부재(600)에 설치되어 외기가 유도되는 유로를 확장하기 위한 유로 확장부(961)를 더 구비한다.
상기 유로 확장부(961)는 상기 유입구(202)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배양수조(410)의 상부에 인접되게 유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600)의 단부에, 상기 배양수조(410)의 상부 측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가이드판넬(962)과, 상기 서브 가이드판넬(962)을 진퇴시키는 액츄에이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서브 가이드판넬(962)은 가이드부재(600)의 유출구(602) 상측에 설치되며, 유출구(602)의 전후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서브 가이드판넬(962)은 가이드부재(600)에서 배양수조(410) 측으로 경사지게 소정길이 연장된다. 상술된 서브 가이드판넬(962)은 단부가 가이드부재(600)에 대해 돌출되도록 하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부재(6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 서브 가이드판넬(962)은 가이드부재(600)의 상단부에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서브 가이드판넬(962)은 가이드부재(600)의 유출구(602) 좌측, 우측, 하측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액츄에이터는 일단이 본체(200) 내벽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서브 가이드판넬(962)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액츄에이터는 양단의 길이가 신축되는 유압실린더, 스크류잭과 같은 신축수단이 적용된다.
관리자는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서브 가이드판넬(962)을 가이드부재(600)로부터 인출되게 이동시키면 외기가 유도되는 유로가 배양수조(410) 측에 접하게 확장되므로 보다 많은 양의 외기가 배양수조(410)에 공급되는 장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200: 본체
201: 유동공간
202: 유입구
203: 배출구
204: 수납공간
300: 송풍유닛
400: 배양유닛
410: 배양수조
420: 광원부
430: 기포발생부
500: 접촉유닛
510: 회전축
520: 접촉 디스크
530: 회전부
600: 가이드부재
700: 필터유닛
710: 필터 프레임
720: 필터부재
730: 개폐댐퍼
740: 공기 감지 센서
750: 댐퍼 제어부
800: 공급유닛

Claims (20)

  1. 내부에 유동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유동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외기를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강제송풍시키는 송풍유닛;
    상기 유동공간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미세조류가 생장하는 배양액이 수용되는 저수공간이 마련된 배양수조와, 상기 유동공간으로 유입된 외기 중 이산화탄소를 소비하여 산소가 발생되도록 상기 미세조류가 광합성할 수 있게 상기 배양수조 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가 마련된 배양유닛; 및
    상기 유동공간의 유입된 외기 중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배양수조에 수용된 배양액 중 일부를 상기 유동공간을 통과하는 외기와 접촉시킨 다음, 상기 배양수조로 회귀시키는 접촉유닛;을 구비하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정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수조는 상기 유동공간 내에 유입된 외기가 상기 배양액에 접촉하여 해당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정화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유닛은
    양단이 상기 배양수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
    상기 배양수조에 수용된 배양액 중 일부가 표면에 잔류하도록 일부분이 상기 배양수조에 배양된 배양액에 침지되되, 나머지 부분이 상기 수조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디스크;
    상기 접촉 디스크의 표면에 잔류한 배양액이 상기 외기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디스크는 잔류하는 상기 배양액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인입홈이 형성된,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홈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환형으로 연장형성된,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디스크는 잔류하는 상기 배양액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표면에 마이크로 패턴이 형성된,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유닛은 상기 배양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배양액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부;를 더 구비하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유동공간으로 유입된 외기를 개방된 상기 배양수조의 상부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가이드부재;를 더 구비하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도록 내부에 연통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에서 개방된 상기 배양수조의 상부에 인접되도록 연장되되, 단부에 상기 연통유로를 통과한 외기가 상기 배양수조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유출구가 형성된,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배양수조의 상부에 인접되게 유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단부에, 상기 배양수조의 상부 측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 가이드판넬;
    상기 서브 가이드판넬을 진퇴시키는 액츄에이터;를 더 구비하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공간 내의 외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양수조 및 배출구 사이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배양수조를 통과한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유닛;을 더 구비하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유동공간 내의 외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양수조 및 배출구 사이의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외기가 통과하는 제1 및 제2통과구가 형성된 필터 프레임;
    상기 제1통과구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필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통과구를 통과하는 외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 및
    상기 제2통과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프레임에 설치되는 개폐댐퍼;를 구비하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필터 프레임 및 배양수조 사이의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외기 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측정하는 공기 감지 센서; 및
    상기 공기 감지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외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 외기가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2통과구를 폐쇄하고, 상기 외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상기 기준값 미만일 경우,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도록 상기 제2통과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댐퍼를 제어하는 댐퍼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배출구가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로 빗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배출구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상기 본체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유닛;을 더 구비하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본체 주위로 확산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지붕유닛에 마련된 확산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수조의 배양액을 회수하여 여과하고, 여과된 상기 배양액을 상기 배양수조로 주입하는 배양액 여과부;를 더 구비하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 여과부는
    여과용기;
    상기 배양수조의 배양액을 상기 여과용기로 유입시키는 배양액 회수부;
    상기 여과용기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양액 회수부에서 유입되는 배양액이 통과되어 여과되는 양액 필터부;
    상기 약액 필터부에 여과된 배양액을 상기 배양수조에 주입하는 배양액 주입부;를 구비하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18. 제1항에 있어서,
    미세조류의 생장을 위한 액체배지가 수용되는 액체배지 용기; 및
    상기 액체배지 용기에 수용된 상기 액체배지를 상기 배양수조에 공급하는 배지 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이 수용되는 배양액 용기;
    상기 배양액 용기에 수용된 배양액을 상기 배양수조에 공급하는 배양액 공급부;
    상기 배양수조 내의 배양액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배양수조에 설치된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에서 제공되는 측정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배양수조 내의 배양액의 수위가 기설정된 기준수위 이하인 경우, 해당 배양수조에 배양액이 공급되도록 상기 배양액 공급부를 제어하는 약액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 배양유닛 또는 접촉유닛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작동 감지 센서;
    상기 본체의 유동공간 내의 공기 상태를 감지하는 공기 감지 센서;
    광고제공서버와 통신하며 해당 광고제공서버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 감지 센서, 공기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모듈에서 수신된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구비하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KR1020200033434A 2020-03-18 2020-03-18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KR102352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434A KR102352185B1 (ko) 2020-03-18 2020-03-18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434A KR102352185B1 (ko) 2020-03-18 2020-03-18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394A true KR20210117394A (ko) 2021-09-29
KR102352185B1 KR102352185B1 (ko) 2022-01-20

Family

ID=77924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434A KR102352185B1 (ko) 2020-03-18 2020-03-18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1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6359A (ko) 2022-08-18 2024-02-28 아렐바이오로직스(주) 광합성 나노소낭과 이산화탄소 고정화 효소를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방법 및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921A (ko) 2009-12-29 2010-02-02 아이앤비에어 주식회사 미세조류를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용 산소발생기
KR20100078914A (ko) * 2008-12-30 2010-07-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
KR101249498B1 (ko) * 2010-08-18 2013-04-0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
KR20140057974A (ko) * 2012-11-05 2014-05-14 주식회사 위닉스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KR20150105797A (ko) * 2014-03-10 2015-09-18 주식회사 태종 가정용 식물재배장치
KR20180065164A (ko) * 2016-12-07 2018-06-18 그래메디스 주식회사 복합형 공기청정기
KR20190138913A (ko) * 2018-06-07 2019-12-17 주식회사 애니텍 지하철 승강장용 공기정화장치
KR102064532B1 (ko) * 2019-05-10 2020-01-09 주식회사 에스아이솔루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광생물 반응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914A (ko) * 2008-12-30 2010-07-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
KR20100010921A (ko) 2009-12-29 2010-02-02 아이앤비에어 주식회사 미세조류를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용 산소발생기
KR101249498B1 (ko) * 2010-08-18 2013-04-0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
KR20140057974A (ko) * 2012-11-05 2014-05-14 주식회사 위닉스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KR20150105797A (ko) * 2014-03-10 2015-09-18 주식회사 태종 가정용 식물재배장치
KR20180065164A (ko) * 2016-12-07 2018-06-18 그래메디스 주식회사 복합형 공기청정기
KR20190138913A (ko) * 2018-06-07 2019-12-17 주식회사 애니텍 지하철 승강장용 공기정화장치
KR102064532B1 (ko) * 2019-05-10 2020-01-09 주식회사 에스아이솔루션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광생물 반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185B1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7253B2 (en) Photobioreactor cell culture systems, methods for preconditioning photosynthetic organisms, and cultures of photosynthetic organisms produced thereby
AU2007273128B2 (en) Photobioreactor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CO2-enriched gas and producing biomass
US20050260553A1 (en) Photobioreactor and process for biomass production and mitigation of pollutants in flue gases
AU2005274791A1 (en) Photobioreactor cell culture systems, methods for preconditioning photosynthetic organisms, and cultures of photosynthetic organisms produced thereby
CN106698823A (zh) 一种曝气型污水处理装置及方法
KR102352185B1 (ko)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WO2007011343A1 (en) Photobioreactor and process for biomass production and mitigation of pollutants in flue gases
KR102129529B1 (ko) 도료 분진 집진장치
CN204134473U (zh) 一种新型生物滴滤塔装置
CN108404526A (zh) 一种空气净化器及空气净化系统
CN111892209A (zh) 一种便于充分催化氧化的废水处理装置及方法
KR20220040170A (ko)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청정기의 가이드장치
CN102764588A (zh) 超强污染空气分解器
EP0850882A3 (en)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waste water utilizing microorganisms
KR20180069544A (ko) 미생물을 이용한 습식 스크러버 및 상기 스크러버를 이용한 유해공기 정화방법
CN208161207U (zh) 一种空气净化器及空气净化系统
KR102297467B1 (ko) 미세조류를 이용한 대기오염 저감장치
KR102191454B1 (ko) 미세조류를 이용한 공기청정기의 배양액 순환시스템
CN212476256U (zh) 一种环保型生物膜法污水处理设备
CN111729508B (zh) 一种混合式诱导流喷淋除臭装置
CN202860403U (zh) 超强污染空气分解器
KR100510864B1 (ko) 바이오 트리클링 여과 장치
CN112275041A (zh) 一种燃油设备废气过滤及集尘系统
KR20160083492A (ko) 친환경 핼리오스탯 오염공기 저감장치
KR100463725B1 (ko) 악취 및 휘발성 유기물질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