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385B1 - 가습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가습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385B1
KR100775385B1 KR1020060137433A KR20060137433A KR100775385B1 KR 100775385 B1 KR100775385 B1 KR 100775385B1 KR 1020060137433 A KR1020060137433 A KR 1020060137433A KR 20060137433 A KR20060137433 A KR 20060137433A KR 100775385 B1 KR100775385 B1 KR 100775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k
shaft
handl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7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형
양승대
김화옥
장준호
소일호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7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385B1/ko
Priority to US11/942,097 priority patent/US8313569B2/en
Priority to CN2007103068839A priority patent/CN101301555B/zh
Priority to JP2007300809A priority patent/JP4643629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하우징에는 디스크축 손잡이의 손잡이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디스크축 손잡이가 하우징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찰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축 손잡이, 하우징

Description

가습공기청정기{Air washer}
도 1은 종래의 가습공기청정기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하우징 내부 부분 사시도.
도 4는 스위치 설치상태 사시도.
도 5는 스위치 측면도.
도 6은 제2틀 부분 사시도.
도 7은 디스크어셈블리 분리 측면도.
도 8은 디스크 어셈블리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8의 A-A 단면도.
도 10은 캡 배면도.
도 11은 디스크축 손잡이 설치상태도.
도 12는 하부하우징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3은 살균수단 케이스 사시도.
도 14는 디스크축 손잡이 사시도.
도 15는 디스크축 손잡이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부하우징 110 : 제1지지부
111 : 삽입홈 112 : 지지돌기
113 : 걸림편 120 : 제2지지부
130 : 돌출부 131 : 홈
140 : 지지리브 141 : 안착홈
151 : 장착돌기 152 : 절개부
153 : 홈 154 : 결합돌기
160 : 인출홈 300 : 제2상부하우징
310 : 제1틀 320 : 중간부
321 : 토출구 322 : 설치면
330 : 제2틀 331 : 인출홈
332 : 관통공 333 : 전선 가이드
334 : 스위치 설치부 335 : 장착파이프
336 : 제2장착후크 400 : 제1상부하우징
401 : 흡입구 402 : 조절부
500 : 구동부 510 : 송풍팬
520 : 설치브라켓 600 : 디스크 어셈블리
610 : 디스크축 611 : 제1돌기
612 : 걸림돌기 613 : 관통공
614 : 장착돌기 615 : 제2돌기
616 : 표시부 617 : 제1볼록부
618 : 제2볼록부 619 : 리브
618a : 홈 620 : 디스크
630 : 스페이서 631 : 기어이
632 : 리브 640 : 캡
641 : 플랜지 642 : 걸림부
643 : 삽입공 650 : 디스크축 손잡이
651 : 삽입부 652 : 회동부
653 : 끼움공 654 : 끼움돌기
655 : 걸림턱 656 : 손잡이부
657 : 삽입공 658 : 관통공
700 : 살균수단 케이스 710 : 제1판
720 : 제2판 711 : 걸림턱
712, 722 : 수용홈 713, 723 : 끼움돌기
714 : 관통공 715, 725 : 유출입구
721 : 걸림후크 726 : 결합홈
800 : 스위치
810 : 접속단자 820 : 삽입공
830 : 스위칭부 840 : 택트스위치
850 : 브라켓 851 : 가이드 돌기
852 : 끼움후크 853 : 제1장착후크
한국등록실용 제20-0157935호
본 발명은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하우징에는 디스크축 손잡이의 손잡이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디스크축 손잡이가 하우징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찰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습 및 공기정화기는 한국등록실용 제20-0157935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도면에서 10은 상부 케이스, 20은 내부에 물이 담기는 하부 케이스를 각각 보인 것으로, 상부 케이스(10)에 형성된 고정틀(11)에 모터(30)가 고정되고, 모터(30)의 축에는 송풍팬(31)이 고정되어있으며, 고정틀(11)의 하측 결합부(12)에는 한쌍의 롤러(40)가 결합되어있어, 상기 모터(30)가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하면 송풍팬(31)이 회전하고, 한쌍의 롤러(4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예컨데,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모터(30)의 축과 롤러(40)의 축에는 서로 맞물리는 웜과 웜기어가 결합됨으로써 모터(30)의 축이 회전함에 따라 롤러(40)가 구동되는 구조로 되어있으며, 상부 케이스(10)의 일측부에는 전원을 온,오프하고 송풍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노브(50)가 결합되어있다.
도면에서 100은 디스크 롤러 조립체를 보인 것으로, 이 디스크 롤러 조립체(100)는 디스크A와 디스크B가 롤러 형태로 조립되어 디스크 롤러(101)를 이루고 있으며, 양쪽의 디스크 롤러(101)가 상기 롤러(40)와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롤러 조립체(100)는 한쌍의 디스크 롤러(101)와, 이 한쌍의 디스크 롤러(101)에 결합된 축봉(111)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지지간과, 양쪽 지지간이 결합되는 손잡이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디스크 롤러(101)는, 지지관의 중간부에 복수개의 디스크B가 결합된과 아울러 디스크B의 양쪽부에 중간 지지판이 결합되고, 지지관의 양측부에 복수개의 디스크A가 결합됨과 아울러 지지관의 단부에 캡이 각각 고정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디스크A와 디스크B는 중간부에 결합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결합공의 주연부에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절결부가 방사방향으로 형성되며, 일면에는 복수개의 연결돌기가 형성됨과 아울러 다른면에는 연결홈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중간 지지판은 중간부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결합공의 주연부에 환상 결합리브가 형성됨과 아울러 환상 결합리브에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어있으며, 일면에 복수개의 연결돌기가 형성되고, 다른면에 연결홈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캡은 중간부에 고정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관부의 단부에 환상 걸림턱이 형성되어있으며, 고정관부의 주위로 복수개의 원형통공이 형성되고, 고정관부의 외면에는 쐐기형 걸림턱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지지관은 상기 디스크A와 디스크B 및 중간 지지판의 걸림홈이 삽입되는 걸림리브가 형성되고, 지지관의 중간부에는 상기 중간 지지판의 결합리브가 결합고정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있으며, 지지관의 양단부에는 상기 캡의 고정관부가 삽입되어 그의 걸림턱이 걸려 고정되는 걸림공이 각각 형성되어있다.
상기 디스크 롤러(101)는 조립할 때, 지지관에 하나의 중간 지지판, 예를 들어 두 개의 중간 지지판 중 우측 중간 지지판을 그의 걸림홈에 지지관의 걸림리브가 삽입되도록 맞춘후 밀어 넣으면 중간 지지판의 결합리브가 지지관의 걸림턱 사이에 끼워져 안정하게 고정된다. 이어서 복수개의 디스크B를 그의 걸림홈에 지지관의 걸림리브가 삽입되도록 맞춰 끼운후, 다른 하나의 중간 지지판을 위와 같이 삽입 결합한다. 이어서, 지지관의 양측부에 복수개의 디스크A를 위 디스크B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하고, 지지관의 내측으로 축단 지지관이 양단부에 고정된 축봉(111)을 삽입한후, 상기 지지관의 양단부에 캡의 고정관부를 삽입하면 고정관부에 형성된 걸림턱이 지지관의 걸림공에 끼워져 걸리고, 캡의 환상 걸림턱이 축봉(111)의 양단부에 고정된 축단 지지관의 내측단부에 걸려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로써 디스크 롤러(101)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디스크 롤러(101)는 지지간의 양단부에 형성된 축공에 축봉(111)의 양쪽 축단 지지관이 삽입됨으로써 디스크 롤러 조립체(100)를 이루게 되 며, 이와 같이된 디스크 롤러 조립체(100)의 양쪽 축단 지지관은 제2도와 같이 하부 케이스(20)의 내벽면에 형성된 축받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디스크 롤러 조립체(100)를 이루는 디스크A와 디스크B, 중간 지지판, 캡 및 지지관은 합성수지에 방향제, 항균제 및 살균제 등을 혼입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출성형으로 제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하부 케이스(20)의 내부에 소정 높이로 물을 담고 상,하부 케이스(10),(20)를 결합한후 모터(30)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키면 모터(30)의 회전력으로 송풍팬(31)이 회전하고, 송풍팬(31)과 연동하는 롤러(40)에 의해 디스크 롤러(101)가 회전하며 이에 따라 디스크 롤러(101)의 디스크A,B에 박막형으로 묻어있는 물이 디스크 A,B의 원심력과 송풍팬(31)에 의한 강제 송풍력에 의해 미세하게 분해되면서 공기와 함께 하부 케이스(20)의 주벽에 형성된 그릴을 통하여 실내에 사방으로 고르게 확산되어 실내에 가습하게 된다.
종래의 이러한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축 손잡이는 그 위치가 정해지지 않아서 좌우로 유동되어 마찰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우징에는 디스크축 손잡이의 손잡이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디스크축 손잡이가 하우징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찰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습공기청정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켜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팬과, 다수개의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가 끼워지는 디스크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크어셈블리와, 상기 디스크축에 끼워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크축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손잡이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디스크축 손잡이가 하우징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찰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손잡이부가 안착되는 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디스크축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크축 손잡이가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내벽에는 상하방향으로 지지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은 상기 지지리브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이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이 넓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하우징 내부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스위치 설치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스위치 측면도이고, 도 6은 제2틀 부분 사시도이며, 도 7은 디스크어셈블리 분리 측면도이고, 도 8은 디스크 어셈블리 분리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A-A 단면도이고, 도 10은 캡 배면도이며, 도 11은 디스크축 손잡이 설치상태도이고, 도 12는 하부하우징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13은 살균수단 케이스 사시도이고, 도 14는 디스크축 손잡이 사시도이며, 도 15는 디스크축 손잡이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습공기청정기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하우징(100)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공기가습청정본체와, 스위치본체와, 상기 스위치본체에 설치되어 가습공기청정기의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스위칭부(83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하우징에 설치되는 스위치(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하우징(100)에는 상기 스위칭부(830)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하우징(10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하우징은 제1상부하우징(400)과, 제1상부하우징(400)과 하부하우징(100) 사이에 배치되는 제2상부하우징(300)을 포함한다.
제1상부하우징(400)은 사각형상의 상면과, 상면을 둘러싸는 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흡입구(401)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401)는 그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구(401)는 방사방향으로 세개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401)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은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제1상부하우징(400) 측면에는 조절부(402)가 다이얼형식으로 구비되어 있어, 송풍팬(510) 또는 디스크(620)의 회전속도등을 조절하여 가습량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조절부(402)가 설치된 부분의 상부에는 흡입구(401)가 형성되지 않는다.
제2상부하우징(300)은 제1틀(310)과, 제1틀(310) 하부에 배치되는 중간부(320)와 중간부(320) 하부에 배치되는 제2틀(330)을 포함한다.
제1틀(310) 및 제2틀(330)은 제1상부하우징(400) 및 하부하우징(100)의 단면형상에 대응되게 사각형 고리형상의 골격으로 형성된다.
제1틀(310)의 각 모서리에는 원통형상의 장착파이프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틀(330)에도 각 모서리에 장착파이프(335)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장착파이프(335)의 끝단에는 단면적이 축소되는 축소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소부 내벽에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축소부로 인해 장착파이프(335) 내부에는 볼트의 머리가 안착되는 안착턱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축소부는 외경도 축소되어 제1틀(3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장 착파이프 끝단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 장착파이프 끝단 내벽에도 마찬가지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상기 축소부가 상기 제1틀(3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장착파이프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장착파이프(335)와 제2틀(330)을 연결하는 리브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강성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틀(310) 및 제2틀(330)의 각각의 모서리에는 관통공(332)이 형성되어 있다.
제1틀(310) 및 제2틀(330) 외주면의 둘레에는 상부 및 하부에 걸림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틀(310) 상부의 걸림돌출부는 제1상부하우징(400)이 걸리게 되고, 하부의 걸림돌출부는 중간부(320) 상부가 걸리게 된다.
제2틀(310) 상부의 걸림돌출부는 중간부(320) 하부가 걸리게 되고, 하부의 걸림돌출부는 하부하우징(100)이 걸리게 된다.
제2틀(330) 하부에는 전선을 안내하는 인출홈(331)이 두개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틀(330) 상부 내벽에는 두개의 인출홈(331) 사이에 배치되도록 전선 가이드(333)가 설치된다.
전선 가이드(333)는 제1가이드편과, 상기 제1가이드편에 이격되어 형성된 제 2가이드편을 포함하여, 상기 제1가이드편과 상기 제2가이드편 사이로 전선이 삽입되어 가이드 된다.
상기 제2가이드편은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2틀(330) 내벽에는 상기 제2가이드편 상부에 오도록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에 전선을 둘러싸는 전선 브라켓을 통과한 볼트가 체결되어 전선의 위치는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2가이드편은 상기 전선 브라켓을 지지하는 역할을 동시에 한다.
제2틀(330)에서 전선 가이드(333)이 형성된 변과 같은 변 내벽에는 스위치 설치부(3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의 제2틀(330)에는 제2장착후크(336)가 두개 돌출되어 형성되어 스위치 설치부(334)는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장착후크(336)는 장치의 내측으로 향할수록 제2장착후크(336)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두개의 제2장착후크(336)는 경사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양측의 제2장착후크(336)에는 각각의 내측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양측의 상기 돌기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돌기는 제2장착후크(336)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돌기와 제2장착후크(336)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돌기에는 장치의 상하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320)는 단면이 사각형인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중간부(320)는 양측면과 전면에 토출구(321)가 그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321)의 지지프레임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경사지게 배치된다.
중간부(320) 후면은 설치면(322)이 형성되어 있다.
설치면(322) 내벽에는 양측에 돌기가 형성되어 브라켓(850)이 끼워지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320)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장착파이프(335) 표면형상에 대응되도록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320) 상부에는 설치브라켓(520)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설치브라켓(520)의 중심부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설치브라켓(520)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장착파이프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설치브라켓(520)에는 조절부(402)와 연결된 전선이 통과하도록 전선인출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부하우징은, 제1상부하우징(400)에 제1틀(310)을 고정시키고, 제1틀(310)에 형성된 상기 장착파이프를 중간부(320)의 모서리에 형성된 홈에 끼워넣고 제2틀(330)에 형성된 장착파이프(335)를 중간부(320)의 모서리에 끼워넣 는 동시에 끝단을 상기 장착파이프에 끼워넣고, 장착파이프(335)에 볼트를 끼워넣은 후에 나사결합시키면 조립이 완성되게 된다.
상기 공기가습청정본체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종래기술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물을 통하여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공기에 가습한 후 외부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위치(800)는 스위치본체와, 상기 스위치본체에 설치되어 가습공기청정기의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스위칭부(83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하우징에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본체는 상부에 접속단자(810)가 두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본체는 마이크로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접속단자(810)는 하나는 전원연결선에 나머지 하나는 구동부(50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본체 하부에는 택트스위치(840)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스위치본체에는 양측에 삽입공(820)이 형성되어 있다.
스위칭부(830)는 상기 스위치본체의 택트스위치(840)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본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스위칭부(830)는 판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외부에서 힘을 가하게 되면 탄성변형되어 택트스위치(840)를 누르게 되고, 힘을 제거하게 되면 택트스위치(840)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스위칭부(830)는 전원연결선과 구동부(500)가 연결되거나 연결이 끊어지게 하여 가습공기청정기의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한다.
스위칭부(83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끝단에 아래로 볼록하게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치(800)는 한국공개실용 제20-1998-0032017호에 제시된 것이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이를 참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스위치(800)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을 하부하우징(100)에 조립시키게 되면 스위칭부(830)가 하부하우징(100)의 제2지지부(120)에 접촉되면서 스위칭부(830)는 회동되어 택트스위치(840)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전원연결선과 구동부(500)가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을 하부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스위칭부(830)가 하부하우징(100)의 제2지지부(120)로부터 이탈되면서 스위칭부(830)는 그 위치가 복귀되어 택트스위치(840)를 누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원연결선과 구동부(500)의 연결이 끊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100) 분리시 자동으로 장치의 전원이 차단되어 사용자가 물 보충 및 디스크(620) 세척할 때 사용자가 송풍팬(510) 등으로부터 상해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브라켓(850)은 상기 상부하우징의 중간부(320) 후면에 설치되며 스위치(800)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은 장치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브라켓(850)은 스위치(800)가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부는 스위치(800)의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설치부보다 단면적이 작도록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는 하단 양측에 제1장착후크(853)가 제2장착후크(336)와 마주보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제1장착후크(853)는 장치의 중심측으로 향할수록 두께가 넓어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850)의 상기 설치부에는 상기 안착홈의 양측에 오도록 끼움후크(852)가 형성된다.
끼움후크(852)는 제1장착후크(853)의 상부에 배치된다.
끼움후크(852)는 브라켓(850)의 양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브라켓(850)의 내측을 향할수록 두께가 작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나아가, 브라켓(850)의 내벽에는 양측의 끼움후크(852) 사이에 배치되도록 삽입공(820)에 끼워지는 돌기(854)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854)는 브라켓(850)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눌러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스위치(800) 및 브라켓(850)은, 브라켓(850)의 상기 안착홈에 스위치(800)를 끼워넣게 되면 양측의 끼움후크(852)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게 되면서 돌기(854)가 삽입공(820)에 삽입되게 되어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800)는 브라켓(85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브라켓(850)은 제1장착후크(853)를 제2장착후크(336) 사이에 끼워넣어 스위치(800)를 상기 상부하우징의 중간부(320)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스위치(300)를 상기 브라켓(850)에 원터치식으로 조립할 수 있 고, 브라켓(850)을 상기 상부하우징에 원터치식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어 단순한 구조로 조립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브라켓(850)을 통해 스위치(300)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가이드부 내주면에는 양측 내벽에 연결전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851)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851)는 양측 내벽에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돌기(851)를 통해 연결전선을 안정적으로 브라켓(850) 내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브라켓(850) 상단 외주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다른 구성과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가습청정본체는 크게 실내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흡입하여 실내로 토출시키는 송풍팬(510)과 흡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가습하는 디스크어셈블리(600)와 송풍팬(510) 및 디스크어셈블리(60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송풍팬(510)은 중간부(320)의 설치브라켓(520)에 설치되어 흡입구(401)로 유입된 실내의 공기를 설치브라켓(520)의 관통공을 통해 이송시킨 후 토출구(321)로 토출시킨다.
디스크어셈블리(600)는 일단에 걸림돌기(612)가 형성되는 디스크축(610)과, 상기 디스크축(610)에 삽입되는 디스크(620)와, 상기 디스크축(610) 끝단에 끼워지 는 캡(6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디스크축(610)은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외주면에 걸림돌기(612)가 형성된다.
디스크축(610) 일단에는 제1돌기(611)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1돌기(611)는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다른 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또한, 디스크축(610) 타단에는 제2돌기(615)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2돌기(615)는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다른 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제2돌기(615)는 제1돌기(611)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돌기(615)에는 외주면에 디스크축(610)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제2돌기(615)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크축(610) 타단의 단차직 턱인 끝단에는 장착돌기(61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장착돌기(614)는 서로 마주보도록 두개 형성되어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돌기(614)의 전체적인 형상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장착돌기(614)는 일단은 디스크축(6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절곡되어 디스크축(61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돌기(612)는 플랜지 형상으로 디스크축(610)의 모든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612)는 제2돌기(615)와 제1돌기(611) 사이에 배치되며, 제1돌기(611)에 더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디스크축(610)에서 걸림돌기(612)와 제2돌기(615) 사이의 단면형상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하비대칭이며 좌우비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디스크축(610)이 형성되면, 디스크축(610)에 디스크(620)를 끼울때 정해진 방향으로만 디스크(620)를 끼울 수 있게 되며, 반대방향으로 디스크(620)가 될 경우 디스크(620)가 디스크축(610)에 끼워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축(610)에서 디스크(620)가 끼워지는 부분의 단면형상이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디스크(620) 세척할 때 디스크(620)를 디스크축(610)으로부터 분리하여 다시 조립할 경우에, 디스크(620)가 전후방향이(전면과 배면의 방향이) 바뀌어서 디스크축(610)에 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크(620)의 조립방향이 바뀌는 것을 방지하여 디스크(620)에 형성된 리브가 항상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재조립하게 되어도 상기 리브가 하부하우징(100)으로부터 물을 효과적으로 퍼올릴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디스크축(610)의 상기 단면형상이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각선에 대해 대칭되게 형성되어, 좌우균형이 맞게 되어 디스크축(610)에 디스크(620)를 끼워놓은 상태로 바닥에 놓았을 때 디스크(620)가 균형을 잡고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축(610)은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면 어떠한 형상으로든지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축(610)의 상기 단면형상은 상부에 위로 볼록한 제1볼록부(617)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제1볼록부(617)와 엇갈리게 아래로 볼록한 제2볼록부(618)가 형성되어 있다. 즉, 디스크축(610)은 전체적으로 상기 단면형상이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2볼록부(618)의 내측단이 제1볼록부(617)의 내측단과 연결되도록 제2볼록부(618)는 형성된다.
디스크축(610)의 걸림돌기(612)와 제2돌기(615) 사이에서, 제2볼록부(618)가 형성된 부분의 상부와, 제1볼록부(617)가 형성된 부분의 하부에는 홈(618a)이 디스크축(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길게 형성되어 있다.
홈(618a)은 각각의 제2볼록부(618)와 제1볼록부(617)의 형상에 대응되게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홈(618a)에는 디스크축(610) 폭방향으로 리브(619)가 두개 또는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디스크축(610)에서 리브(619)는 다수개의 디스크(620)가 끼워지는 부분이 끝나는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즉, 리브(619)는 디스크축(610)의 중심부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축(610)에서 걸림돌기(612)와 제2돌기(615)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의 홈(618a)에 연통되도록 관통공(613)이 두개씩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공(613)으로 인해 디스크축(610)으로 물이 흘러내릴 경우 디스크축(610)에 물이 머물지 않고 관통공(613)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양측의 관통공(613) 사이에는 표시부(616)가 형성되어 있다. 즉, 표시부(616)는 디스크축(61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축(610)의 양측에 디스크(620)가 다수개씩 끼워지게 되는데, 표시부(616)는 디스크(620)가 끼워지는 한계선을 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표시부(616)는 인쇄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616)는 양측에 화살표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은 전술한 관통공(613)과 같이 홈(618a)에 각각 연통되도록 두개 형성된다.
이러한, 표시부(616)는 표시역할을 하는 동시에 물빠짐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축(610)이 회동되어도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방향에서도 쉽게 표시부(616)를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크(620)는 디스크축(610)에 끼워지는 관통공(621)이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축(610)에 삽입된다.
관통공(621)은 디스크축(610)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도록 디스크(620)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즉, 관통공(621)의 단면형상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직사각형의 상부 우측과 하부 좌측에 원호형상으로 굴곡부가 형성된다.
디스크(620)는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디스크축(610)에 병렬로 배치된다.
디스크(620)는 디스크축(610) 양측에 표시부(616)의 끝단까지 오도록 끼워진다.
디스크(62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표면에 방사상으로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리브에는 원주방향으로 스토퍼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디스크(620) 전면 및 배면 표면에는 관통공(621)을 둘러싸도록 지지돌기(21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취약해질 수 있는 관통공(621)을 보강하고, 디스크(620)를 디스크축(610)에 끼워넣었을 때 디스크(620)와 디스크축(610)의 접촉면적이 넓어져서 디스크(620)가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디스크(620) 전면 및 배면에는 관통공(621)을 둘러싸는 원형상의 돌기가 상기 지지돌기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돌기는 관통공(621)과 상기 리브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원형상의 돌기는 다수개의 디스크(620)를 디스크축(610)에 끼워넣을 때 각각의 디스크(620)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디스크(620) 전면 또는 후면에만 형성되거나, 전면과 후면에 동시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전면과 후면에 동시에 형성될 경우에는 전면의 리브와 후면의 리브의 상단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리브는 디스크(620)의 중심부와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며,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리브에서 디스크(620)의 중심부에 근접한 끝단에 형성된 다.
상기 스토퍼는 원형상으로 원의 접선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리브에는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브에는 상기 만곡부와 상기 스토퍼 사이에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다. 즉, 리브는 전체적으로 후크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디스크(620)의 회전방향에 따라 만곡부 및 절곡부의 굴곡진 형상은 변형될 수 있다.
절곡부는 스토퍼에 근접하게 형성되며, 만곡부에 비해 짧게 형성된다.
나아가, 리브에서 가장자리 쪽 끝단 전면에 면취부가 형성되어 디스크(620)의 가장자리가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면취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디스크(620) 청소시 날카로운 리브 끝단으로 인해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크(620) 상부 및 하부에는 디스크(620)의 중심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어 디스크(620)를 디스크축(610)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바닥에 놓을 경우 굴러가는 것을 방지하여 디스크 어셈블리(600)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스페이서(630)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620)와 상기 디스크(620) 사이에는 배치되도록 디스크축(610)에 삽입된다.
스페이서(630)에 형성된 관통공도 디스크축(610)의 단면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630) 외주면에는 모든 둘레에는 기어이(631)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이(631)는 스페이서(630)의 일측에 편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630) 외주면에는 스페이서(630)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리브(632)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632)는 기어이(631)의 좌우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리브(632)를 통해 스페이서(630)가 보강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630)는 다수개의 디스크 유닛의 좌우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구동부(500)이 모터로부터 회동력을 디스크축(61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캡(64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디스크축(610) 끝단인 제2돌기(615)에 끼워진다.
캡(640) 끝단 외주면에는 플랜지(641)가 온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641)에는 장착돌기(614)가 끼워지는 삽입공(643)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공(643)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두개 형성된다.
캡(640)에는 플랜지(641) 상부에 오도록 걸림부(642)가 플랜지(641)에 단차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부(642)는 플랜지(641)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플랜지(641)에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는 삽입공(643)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외부에서 걸림부(642) 내부가 보이도록 걸림부(642) 상면에는 관통공이 상기 공간부에 연통되도록 형성 된다.
이러한 걸림부(642)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인해 외부에서 조립시에 걸림부(642)와 플랜지(641) 사이에 배치되는 장착돌기(614)의 위치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되어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나아가, 캡(640)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디스크축(610)의 제2돌기(615)에 나사결합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디스크어셈블리(600)는 디스크축(610)에 다수개의 디스크(620)를 표시부(616)의 좌측단까지 끼워넣고 디스크축(610)에 스페이서(630)를 끼워넣은 다음 디스크축(610)에 다시 다수개의 디스크(620)를 끼워넣는다. 이어서, 디스크축(610) 제2돌기(615)에 캡(640)을 끼워넣는 동시에 장착돌기(614)를 플랜지(641)의 삽입공(643)에 끼워넣은 후에 캡(640)을 돌기게 되면 장착돌기(614)는 걸림부(642)와 플랜지(641) 사이의 공간부에 안착되게 되어 조립이 완성되게 된다. 여기서, 장착돌기(614)는 걸림부(642)와 플랜지(641)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620)를 한방향에서 디스크축(610)에 끼워넣은 다음 캡(640)을 조립하여 조립공수가 줄어들며 조립이 용이하다.
구동부(500)는 송풍팬(510) 및 디스크어셈블리(600)를 회동시키도록 모터 등으로 구비된다.
구동부(500)는 송풍팬(510)과 디스크어셈블리(600)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브라켓(520)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부(500)는 종래기술에 기술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부하우징(100)은 바닥면과, 바닥면을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여, 상부가 개방된다.
이러한 하부하우징(100)은 내부에 물이 저장되어 저수조 역할을 한다.
하부하우징(100)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 및 후방의 측면에는 제1지지부(110) 및 제2지지부(120)가 각각 측면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지지부(110) 및 제2지지부(120)는 하우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된다.
제1지지부(110) 및 제2지지부(120)는 하부하우징(100)의 바닥면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제1지지부(110) 및 제2지지부(120)가 형성된 부분에는 하부하우징(100) 저면에 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은 장치를 이동시킬 때 손잡이로도 사용될 수 있다.
제1지지부(110) 및 제2지지부(120)는 하부하우징(100)의 측면에서 이격되도록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하부하우징(100)의 측면보다 높게 형성된다.
제1지지부(110) 및 제2지지부(120)의 상기 돌출부에는 디스크축(610) 및 캡(640)이 안착되는 원호형상의 삽입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111)에는 하부하우징(100)과 디스크축(610) 및 캡(640)이 선접촉되도록 지지돌기(112)가 삽입홈(111) 내벽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전방의 제1지지부(110) 상부에는 전방에 상부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걸림편(113)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편은 캡(640)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1지지부(110)의 상기 돌출부에는 장치의 전후방을 표시하는 표시문구가 새겨져있다.
후방의 제2지지부(120) 상부에는 상기 홈 후방에 배치되도록 걸림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지지부(120)의 걸림편 상부에는 디스크축(610)의 제1돌기(611)가 안착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100)의 제2지지부(120)의 돌출부는 스위칭부(830)를 지지하는 지지부 역할을 한다.
하부하우징(100)의 좌우측 측면 내벽에는 지지리브(14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지지리브(14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하우징(100) 측면에 수직하도록 장치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지지리브(140) 상부에는 안착홈(141)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안착홈(141)은 하부하우징(100) 내벽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안착홈(141)은 하부하우징(100)의 외측으로 향할수록 깊이가 더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안착홈(141)이 형성되어 경사지게 배치되는 디스크축 손 잡이(650)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손잡이부(656)가 안착되는 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지지리브(140) 상부와 하부하우징(100) 측면 사이에는 안착홈(141) 보다 낮은 깊이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하부하우징(100) 좌우측 측면 내벽에는 지지리브(140) 하부에 배치되도록 돌출부(130)가 측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30)는 하부하우징(100) 측면 외측 및 저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측면 및 저면에는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홈은 사용시 사용자가 손을 끼워넣어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홈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하우징(100) 내부에는 측면과 돌출부(130) 사이에 홈(131)이 형성된다.
하부하우징(100) 후측 측면 상부에는 인출홈(160)이 형성된다.
인출홈(160)은 하부로 향할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인출홈(160)을 통해 전원연결선이 장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100)은 내주면에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은 하부하우징(100)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은 하부하우징(100) 내벽에 두개 형성된 장착돌기(151)에 형성된다.
두개의 장착돌기(151)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각각 내측에 삽입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돌기(151)를 위에서 보면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장착돌기(151)에는 살균수단 케이스(70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절개부(152)가 형성된다. 즉, 절개부(152)는 장치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절개부(152)는 상기 삽입홈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하우징(100)의 장착돌기(151)에 살균수단 케이스(700)를 끼워넣게 되면 장착돌기(151)의 절개부(152)가 벌어지면서 탄성변형 되어 살균수단 케이스(700)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장착돌기(151)에 살균수단 케이스(700)가 견고하게 장착된다.
각각의 상기 삽입홈 내주면인 장착돌기(151) 내벽에는 수평방향으로 결합돌기(15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100) 바닥면에는 장착돌기(151) 사이에 배치되도록 홈(153)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수조 역할을 하는 하부하우징(100) 내부에는 살균수단이 배치된다.
상기 살균수단은 은망 또는 은볼과 같은 물질로 구비되어 하부하우징(100)에 저장되는 물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살균수단 케이스(700)는 제1판(710)과 제2판(720)을 포함하는 케이스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판(710)과 상기 제2판(720)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유출입구(715, 725)가 형성된다.
살균수단 케이스(700)는 하부하우징(100)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다.
제1판(710) 및 제2판(720)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면에 수용홈(712, 7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용홈(712, 722)으로 인해 상기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 상기 살균수단이 배치된다.
제2판(720)은 끝단에 단면적이 다른 부분보다 축소되게 형성되어 제1판(710)에 연결됨으로써, 제1판(7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제2판(720)은 제1판(710)과 완전히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판(720)은 제1판(710)에 걸림턱(711)와 걸림후크(721)의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판(720)과 상기 제1판(710)이 서로 연결되어 살균수단 케이스(700)를 저장 및 보관하기에 용이하다.
제1판(710) 및 제2판(720)에는 사각형상의 유출입구(715, 725)가 세개씩 형성되어 있다.
제1판(710) 양측 및 하부 외측면에는 걸림턱(711)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판(720) 양측 및 하부 외측면에는 걸림턱(711)에 걸리는 걸림후크(721)가 형성된다.
걸림후크(721)는 걸림턱(711)의 형성위치에 대응되게 가장자리를 따라 제1판(710)을 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후크(721)는 제1판(710)을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 어 있다.
이와 같이 걸림후크(721)와 걸림턱(711)에 의해 살균수단 케이스를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살균수단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케이스 몸체인 제1판(710)과 제2판(720) 외측면에는 끼움돌기(713, 723)가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끼움돌기(713, 723)는 제1판(710)과 제2판(720)의 하부에 형성된다.
끼움돌기(713, 723)는 일면이 제1판(710)과 제2판(720)의 하면에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끼움돌기(713, 723) 외측면에는 결합돌기(154)가 끼워지는 결합홈(726)이 형성된다.
살균수단 케이스(700)를 하부하우징(100)에 장착시 이중으로 고정되는 효과가 발생하여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이점이 있다.
살균수단 케이스(700)에는 유출입구(715, 725)와 상기 결합홈(726) 사이에 배치되도록 관통공(714)이 형성되어,
예를 들어, 끼움돌기(713, 723)에는 관통공(714)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공(714)으로 인해 상기 살균수단 케이스(700)를 상기 삽입홈에 삽입할 때 상기 살균수단 케이스(700)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여 살균수단 케이스(700)가 휘는 것을 방지하며 살균수단 케이스(700)가 상기 삽입홈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살균수단 케이스(700)에 형성된 상기 공간부에 살균수단을 배치시킨 후에 제 1판(720)을 회동시켜 각각의 걸림후크(721)를 걸림턱(711)에 걸리도록 하면 살균수단과 살균수단 케이스(700)의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살균수단이 포함된 살균수단 케이스(700)를 장착돌기(151)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홈(153) 상부에 오도록 배치시켜서 아래로 눌러주면 살균수단 케이스(700)의 끼움돌기(713, 723)가 장착돌기(151)의 삽입홈에 끼워지는 동시에 결합돌기(154)가 결합홈(726)에 끼워지면서 살균수단 케이스(7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살균수단 케이스(700)는 원터치 식으로 하부하우징(100)에 견고하게 설치되어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살균수단 케이스(700)의 유출입구(715, 725)를 하부하우징(100) 내부의 물이 통과하게 되어 상기 살균수단에 의해 물은 살균되게 되어 저장되는 물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크축 손잡이(650)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축(610)에 끼워지는 삽입부(651)와, 상기 삽입부(651)에 연결되는 손잡이부(656)를 포함한다.
손잡이부(656)에는 관통공(658)이 형성되며, 관통공(658)에 연통되도록 삽입공(657)이 형성된다.
손잡이부(656)는 삽입부(651)에 근접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삼각형상을 하고 있다.
관통공(658)은 손잡이부(656)의 전체적인 형상에 대응되도록 삽입부(651)에 근접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삽입공(657)은 디스크축 손잡이(65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디스크축 손잡이(650)는 디스크축(610)에 끼워진 상태로 하부하우징(100)에 형성된 안착홈(141)에 손잡이부(656)가 안착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디스크축 손잡이(650)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찰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크축 손잡이(650) 안착시 하부하우징(100)의 일부인 지지리부(140)의 상부가 삽입공(657)에 삽입되어 디스크축 손잡이(650)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삽입부(651)는 손잡이부(656)에 연결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652)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상기 회동부(652)는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회동가능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삽입부(651)는 디스크축 손잡이(650)의 폭방향으로 디스크축(610)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여기서, 디스크축(610)은 삽입부(651)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부(651)에 대해 회동가능하다.
또한, 삽입부(651)에는 디스크축 손잡이(650)의 길이방향으로 'ㄷ'자 형상의 절개부가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 저면에는 회동부(652)가 걸리는 걸림턱(655)이 디스크축 손잡이(65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걸림턱(655)이 형성되어 회동부(652)의 위치가 결정되어 끼움돌 기(654)를 끼움공(653)에 끼워넣기에 용이해진다.
상기 본체부에는 끼움공(653)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653)에 끼워지는 끼움돌기(654)가 회동부(652)에 형성된다.
끼움공(653)은 디스크축 손잡이(650)의 폭방향으로 양측에 두개 길게 장공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끼움돌기(654)는 회동부(652)의 자유단측 내벽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끼움돌기(654)는 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공(653)에 끼우기 용이하고 끼워진 후에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회동부(652)는 끝단의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에 연결됨으로써, 회동부(652)는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디스크축 손잡이(650)는 상기 본체부를 디스크축(610)에 끼워진 스페이서(630)의 상부에 올려놓고, 회동부(652)를 회동시켜 끼움돌기(654)를 끼움공(653)에 끼워넣으면, 디스크축 손잡이(650)는 디스크축(610)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크축 손잡이(650)를 디스크축(610)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에는 회동부(652)의 끼움돌기(654)를 끼움공(653)으로부터 빼내면 이탈되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축 손잡이(650)를 상기 디스크축(610)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디스크축 손잡이(650)를 통해 관통공(658)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고 들어올리면 디스크어셈블리(600)를 용이하게 하부하우징(100)으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가습공기청정기는 하부하우징(100) 내부에 살균수단 케이스(700)를 장착시키고, 디스크축 손잡이(650)가 설치된 디스크어셈블리(600)를 배치시키고 하부하우징(100) 상부에 구동부(500)가 장착된 상기 상부하우징을 결합시키면 조립이 완성된다.
이러한 가습공기청정기는 송풍팬(510)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게 되며, 이와 동시에 구동부(500)에 의해 디스크(620)가 회동되어 하부하우징(100)에 있는 물에 적셔진 부분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물이 적셔진 디스크(620)와 유입된 공기는 접촉하게 되면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물로 인해 제거되고 공기에는 습기가 포함되어 토출구(321)로 배출되게 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은, 가습공기청정기의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100)의 분리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100)의 분리여부에 따라 상기 가습공기청정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100)의 분리여부 다양한 방법으로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를 이용하거나,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위치(800)를 구비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단계에서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정보를 통해 자동으로 가습공기청정기의 전원을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상기 제어부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스위치(800)를 통해 감지와 전원제어를 동시에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100)이 분리되게 되면 상기 가습공기청정기의 구동부(500)에 전원을 끊고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100)이 결합되게 되면 상기 가습공기청정기의 구동부(500)에 전원을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습공기청정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우징에는 디스크축 손잡이의 손잡이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디스크축 손잡이가 하우징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찰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손잡이부가 안착되는 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디스크축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크축 손잡이가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내벽에는 상하방향으로 지지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은 상 기 지지리브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이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이 넓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켜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다수개의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가 끼워지는 디스크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크어셈블리;
    상기 디스크축에 끼워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크축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손잡이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손잡이부가 안착되는 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벽에는 상하방향으로 지지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은 상기 지지리브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KR1020060137433A 2006-11-20 2006-12-29 가습공기청정기 KR100775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433A KR100775385B1 (ko) 2006-12-29 2006-12-29 가습공기청정기
US11/942,097 US8313569B2 (en) 2006-11-20 2007-11-19 Air washer having humidifying function
CN2007103068839A CN101301555B (zh) 2006-11-20 2007-11-19 具有加湿功能的空气净化器
JP2007300809A JP4643629B2 (ja) 2006-11-20 2007-11-20 加湿空気清浄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433A KR100775385B1 (ko) 2006-12-29 2006-12-29 가습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385B1 true KR100775385B1 (ko) 2007-11-12

Family

ID=39061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7433A KR100775385B1 (ko) 2006-11-20 2006-12-29 가습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3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177B1 (ko) 2007-12-12 2010-05-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어셈블리
KR101307842B1 (ko) 2011-08-25 2013-09-12 주식회사 위닉스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어셈블리 핸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8811A2 (de) 1983-03-12 1984-09-19 Biocomfort Produkte zur Gesundheitspflege GmbH Vorrichtung zur Reinigung und/oder Befeuchtung von Luft oder Gasen
KR200157935Y1 (ko) 1997-04-28 1999-10-01 이경임 침전식 공기정화기
KR20010078986A (ko) * 2001-05-30 2001-08-22 김동현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기의 집진장치
KR100690064B1 (ko) 2006-05-02 2007-03-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8811A2 (de) 1983-03-12 1984-09-19 Biocomfort Produkte zur Gesundheitspflege GmbH Vorrichtung zur Reinigung und/oder Befeuchtung von Luft oder Gasen
KR200157935Y1 (ko) 1997-04-28 1999-10-01 이경임 침전식 공기정화기
KR20010078986A (ko) * 2001-05-30 2001-08-22 김동현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기의 집진장치
KR100690064B1 (ko) 2006-05-02 2007-03-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177B1 (ko) 2007-12-12 2010-05-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어셈블리
KR101307842B1 (ko) 2011-08-25 2013-09-12 주식회사 위닉스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어셈블리 핸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471B1 (ko) 가습공기청정기
JP4643629B2 (ja) 加湿空気清浄機
KR100805665B1 (ko) 공기가습청정기용 디스크 및 디스크 어셈블리
US3914349A (en) Portable humidifier
KR101433083B1 (ko)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KR20100013488A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0805666B1 (ko) 가습공기청정기용 디스크 어셈블리
KR100775384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0775385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0809468B1 (ko) 디스크 조립체 및 가습공기청정기
KR100809470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0780817B1 (ko) 살균수단 케이스 및 저수조 조립체
KR100809472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0809474B1 (ko) 디스크 어셈블리
KR101468969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634528B1 (ko) 에어워셔
EP2364418B1 (en) Air conditioner
KR20170127604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080062509A (ko) 저수조
KR200466909Y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027058B1 (ko) 가습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
KR100805667B1 (ko) 가습기 및 가습기용 디스크
KR102323338B1 (ko) 가습공기 청정기의 제어장치
KR20130022573A (ko) 가습공기청정기의 방향제 장착구조
KR100757407B1 (ko) 가습기용 디스크 및 디스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