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231B1 - 가습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가습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231B1
KR101379231B1 KR1020110066583A KR20110066583A KR101379231B1 KR 101379231 B1 KR101379231 B1 KR 101379231B1 KR 1020110066583 A KR1020110066583 A KR 1020110066583A KR 20110066583 A KR20110066583 A KR 20110066583A KR 101379231 B1 KR101379231 B1 KR 101379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water
water level
water tank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165A (ko
Inventor
양승대
최석재
김희성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6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231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수조조립체; 상기 수조조립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디조립체; 상기 수조조립체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수위감지장치는 스틸(Steel)에 니켈(Ni)과 아연(Zn)이 함유된 합금을 도금한 재질로 이루어져, 수위감지장치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상 많은 주의를 요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으며, 부품 단가를 낮춰 경제적이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습공기청정기{Air washer}
본 발명은 수위감지장치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습공기청정기는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5520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상기의 공보에 따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를 포함한다. 이때, 본체(100)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주된 구성 부위로, 상하면은 개구되고, 테두리를 따라 그릴 형상의 토출구(110)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100) 내부에는 송풍팬(170)이 설치되는데, 송풍팬(170)은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브라켓(120)에 안착되어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케이스(200)의 흡입구(210)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게 된다.
수조(300)에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디스크조립체(350)가 설치된다. 또한, 수조(300)의 내벽 적소에는 감지봉(400)이 설치된다. 감지봉(40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대략 'T'자 또는 'ㄱ'자 형상과 같이 하방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면서 수조(300)의 내벽으로부터 일정거리(D)를 두고 이격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습공기청정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봉(400)은 알루미늄(Al) 재질에 아노다이징(Anodizing)으로 표면처리함으로써, 제조 공정 과정에서 아노다이징(산화피막) 처리부가 손상되어 부식이 진행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 과정에서 아노다이징(산화피막) 처리부가 손상되어 부식이 진행되고, 세척시 금속성 수세미를 사용할 경우 더욱 더 손상될 가능성이 크므로 사용상 많은 주의를 요함에 따라 사용상 불편함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Al) 재질에 아노다이징(Anodizing)으로 표면처리하여 부품의 단가가 높아져 생산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조조립체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장치의 부식방지를 위하여 재질 및 표면처리 방법을 변경한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조조립체; 상기 수조조립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디조립체; 상기 수조조립체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수위감지장치는 스틸(Steel)에 니켈(Ni)과 아연(Zn)이 함유된 합금을 도금한 재질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틸은 냉간압조용 탄소강선(SWCH)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장치는, 상기 수조조립체의 인케이스에 관통되어 수평하게 설치되는 전극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장치는, 상기 수조조립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봉으로부터 수위 신호를 전달받는 하부접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장치는, 합금을 도금한 도금층 위에 나노 입자 크기의 형태로 코팅한 코팅층이 더 형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습공기청정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부식이 쉬운 수위감지장치를 스틸에 니켈과 아연이 함유된 합금을 도금하여 도금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다시 나노 코팅한 나노 코팅층을 형성하여 표면처리한 재질로 변경함으로써, 수위감지장치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상 많은 주의를 요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나아가, 부품 단가를 낮춰 경제적이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습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의 바디조립체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바디조립체의 베이스바디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2의 바디조립체에 상부접점부가 설치된 상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Ⅶ-Ⅶ 단면도.
도 8은 도 2의 수조조립체 평면도.
도 9는 도 2의 수조조립체의 수조 인케이스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Ⅹ-Ⅹ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XI-XI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습공기청정기는, 수조조립체(3000)와, 상기 수조조립체(3000) 상부에 배치되는 바디조립체(1000)와, 상기 수조조립체(3000)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가습하는 디스크조립체(400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조립체(1000)는 상기 수조조립체(3000) 상부에 배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조립체(1000)는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바디커버(1300)와, 바디커버(1300)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입구(1400)와, 바디커버(1300)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1700)과, 송풍팬(1700) 하부에 배치되어 송풍팬(1700)을 회전시키는 팬모터(1600)와, 팬모터(1600) 및 송풍팬(1700)을 둘러싸며 바디커버(1300) 내부에 배치되는 슈라우드(1800)와, 슈라우드(18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양측에 토출구(1210)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바디(1200)와, 슈라우드(1800)와 베이스바디(1200) 사이에 배치되며 디스크조립체(4000)의 기어디스크(4200)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1500)와, 슈라우드(1800)와 베이스바디(1200) 사이에 배치되며 바디커버(130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11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바디조립체(1000)는 슈라우드(1800)가 바디커버(1300)의 상면에 볼트를 통해 고정되고, 슈라우드(1800)에 베이스바디(1200)가 볼트를 통해 고정되어 조립이 완성된다.
바디조립체(1000)는 직사각형과 같이 대각선에 대해 비대칭인 다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바디(1200)는 둘레벽(1202)과, 둘레벽(1202) 하부에는 온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1201)를 포함한다. 플랜지(1201)는 둘레벽(1202)의 하단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바디조립체(1000)와 수조조립체(3000)를 조립할 때에 상기 수조의 인케이스(3100) 측벽(3120) 상단은 둘레벽(1202) 내부에 끼워진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케이스(3100)의 플랜지(3110)와 베이스바디(1200)의 플랜지(1201)는 이격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바디조립체(1000)를 분리할 때에 두개의 플랜지(3110, 1201) 사이에 손을 넣어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바디(1200) 하부에는 둘레벽(1202) 내부에 배치되도록 돌기(3500)가 삽입되는 홈(123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일측에만 돌기(3500)와 홈(1230)이 구비되어, 상기 수조와 바디조립체(1000)를 조립할 때에 상기 수조에 대해 바디조립체(1000)가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지 않게 되면 바디조립체(1000)가 상기 수조에 대해 들뜨게 되어 사용자가 한눈에 오결합된 사실을 알 수 있게 되어, 단순한 구조로 상기 수조와 바디조립체(1000)가 오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조와 바디조립체(1000)는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사용자가 한번에 상기 수조와 바디조립체(1000)를 결합시킬 수 있어서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조립체(1000)의 베이스바디(1200) 상부에는 둘레벽(1202)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부접점부(331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상부접점부(1221)가 설치된다.
베이스바디(1200)에는 상부접점부(1221)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제1걸림벽(1223)과 제2걸림벽(1224)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1걸림벽(1223)은 상부접점부(1221)의 타단 외측에 배치되며, 제2걸림벽(1224)은 상부접점부(1221)의 일단 외측에 배치된다. 제1걸림벽(1223)에는 상부접점부(1221)가 관통되는 관통공(1226)이 형성되고, 제2걸림벽(1224)은 제1걸림벽(1223)보다 높게 형성된다.
나아가, 베이스바디(1200)에는 제1걸림벽(1223)과 제2걸림벽(1224) 사이에 상부접점부(122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후크(1227)가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바디(1200)에는 제1걸림벽(1223)의 외측에 스토퍼(1225)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스토퍼(1225)는 제1걸림벽(1223)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벽형상이다.
나아가, 바디조립체(1000)의 베이스바디(1200)에는 하부접점부(3310)가 인출되는 인출공(1228)이 상부접점부(1221)의 양단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인출공(1228)은 제1걸림벽(1223)과 후크(1227)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인출공(1228)이 형성되어, 하부접점부(3310)가 인출공(1228)을 통해 가이드되어 접점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베이스바디(1200)에는 인출공(1228) 주위를 둘러싸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부접점부(1221)가 베이스바디(1200)로부터 이격되게 유지되어, 상부접점부(1221)를 교체할 때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공구를 베이스바디(1200)와 상부접점부(1221) 사이에 넣어서 용이하게 상부접점부(1221)를 베이스바디(1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부접점부(1221)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 상부로 절곡된 절곡부(12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부(1222)는 가습공기청정기의 제어부(미도시) 및 디스플레이부(1100)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부접점부(1221)는 전극봉(3320)으로부터 수위 신호를 전달받는 하부접점부(331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제어부(미도시) 및 디스플레이부(1100)에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부접점부(1221)가 하부접점부(3310)로부터 신호를 받지 않게 되면(즉, 상부접점부(1221)와 하부접점부(3310)가 분리되었을 때), 송풍팬(1700)이 정지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세척 등을 위해 바디조립체(1000)를 분리할 때 자동으로 송풍팬(1700)이 정지되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부접점부(1221)가 하부접점부(3310)로부터 저수위 신호를 받게 되면, 송풍팬(1700)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1100)를 통해 저수위임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바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소비전력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접점부(1221)는 상부접점부(1221)의 타단을 관통공(1226)에 끼워넣는 다음에 상부접점부(1221)의 일단을 후크(1227) 쪽으로 밀어넣으면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상부접점부(1221)는 원터치로 조립이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상부접점부(1221)는 양단이 스토퍼(1225)와 제2걸림벽(1224)에 의해 걸려서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되지 않게 되며, 상부가 제1걸림벽(1223) 및 후크(1227)에 의해 걸려서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접점부(1221)는 양측이 베이스바디(1200)에 의해 지지되어, 상부접점부(1221)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동시에 상부접점부(1221)의 양측이 고정되지 않고 거치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부접점부(1221)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접점부(3310)와 상부접점부(1221)가 접촉시에 면접촉 또는 선접촉되어 접촉면적이 넓어짐으로써, 접점 신뢰성이 향상되고, 상부접점부(1221)의 구조도 단순해서 제조비용도 절감된다.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바디(1200)의 하부 양측에는 에어가이드(1240)이 설치된다. 에어가이드(1240)는 경사진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토출구(121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에어가이드(1240)를 통해 가습량 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조립체(4000)는 수조조립체(3000)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가습한다. 디스크조립체(4000)는 디스크축(4100)에 여러개의 디스크(4300)가 끼워지게 되고, 디스크축(4100)의 양단에는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어이가 형성된 기어디스크(4200)가 끼워진다. 이와 같이 기어디스크(4200)가 양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디스크조립체(4000)를 앞뒤를 바꿔서 끼더라도 디스크조립체(4000)는 회전되게 된다. 상기 기어디스크(4200)에는 상기 디스크축(4100) 방향으로 관통공(421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210)은 다수개가 형성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이와 같이 기어디스크(4200)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디스크조립체(4000)를 용이하게 들 수 있다. 디스크(4300) 및 기어디스크(4200)에는 리브(422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리브(4220)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보다 가장자리에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며, 직선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는 시계방향을 따라 굴곡되는 제1굴곡부와 반시계방향을 따라 굴곡되는 제2굴곡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리브(4220)로 인해 가습과 공기정화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수조조립체(3000)는 물이 채워지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를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는 아웃케이스(3200)와 아웃케이스(3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케이스(3100)를 포함한다.
아웃케이스(3200)는 바닥과 상기 바닥 상부를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한다. 이러한 아웃케이스(3200)는 수평단면형상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웃케이스(3200)의 측벽 상단 내측에는 삽입돌출부(3210)가 온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즉, 삽입돌출부(3210)는 아웃케이스(320)의 측벽 외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케이스(3200)의 바닥에는 하부로 돌출된 단차바닥부(3240)가 형성된다. 즉, 단차바닥부(3240)는 아웃케이스(3200)의 측벽 외측면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단차바닥부(324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습공기청정기를 운반하고자 할 때 아웃케이스(3200)의 바닥이 걸림턱 역할을 하여 아웃케이스(3200)의 측벽 하부와 단차바닥부(3240) 사이에 손을 끼워넣어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단차바닥부(3240)의 상면에는 지지돌기(3220)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지지돌기(3220)의 상면은 원호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지돌기(3220)가 형성되어 아래로 볼록한 형상의 인케이스(3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지지돌기(3220)에는 하부로 돌출되게 다리부(32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다리부(3230)가 형성되어 상기 수조조립체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케이스(3100)는 측벽(3120)과, 상기 측벽(3120)의 하부에 연결되는 바닥(31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인케이스(3100)는 직사각형과 같이 대각선에 대해 비대칭인 다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바디조립체(1000)를 두번(180도)만 회전시켜 보면 수조조립체(3000)에 정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측벽(3120)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디스크지지부(3121)가 형성된다. 이러한 디스크지지부(312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크조립체(4000)의 양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부에 배치되는 측벽(3120)에는 전방과 후방 하부에 살균부재장착부(3122)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살균부재장착부(3122)는 얇은 박스 형상의 살균부재(미도시)가 안정적으로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살균부재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다.
측벽(3120)의 상부에는 플랜지(3110)가 온 둘레에 형성된다. 플랜지(3110)는 측벽(3120)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플랜지(3110)의 하부에는 도 10의 확대부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삽입돌출부(3210)가 삽입되는 홈(3111)이 형성되고, 홈(3111) 내부에 배치되도록 융착돌기(3112)가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융착돌기(3112)는 삽입돌출부(3210)의 상면과 접촉되게 되고, 아웃케이스(3200)의 측벽 상단과 플랜지(3110)의 하단은 맞닿게 된다.
이와같이 인케이스(3100)에는 융착돌기(3112)가 형성되어, 인케이스(3100)와 아웃케이스(3200)는 초음파융착을 통해 결합된다. 초음파융착시 융착돌기(3112)는 고주파진동에 의한 마찰에 의해 용융되어 삽입돌출부(3210)에 융착된다. 이러한, 초음파융착을 시키는 장치는 한국공개특허 제1992-0004125호에 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인케이스(3100)와 아웃케이스(3200)는 초음파융착을 통해 결합되면, 인케이스(3100)와 아웃케이스(3200)의 이음부가 초음파융착되어 상기 수조의 수밀성이 향상되고, 이물질 등이 인케이스(3100)와 아웃케이스(320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수조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아웃케이스(3200)의 측벽 상단과 플랜지(3110)의 하단이 수평하게 맞닿아서 플랜지(3110)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으며, 상기 수조의 외관미도 향상된다.
나아가, 플랜지(3110)의 상면 일측에는 돌기(3500)가 형성된다. 돌기(3500)는 상기 수조의 후방에 배치된다. 돌기(3500)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측벽(3120)의 하부와 상부에는 관통공(3124)이 형성되고, 측벽(3120)의 내측에는 관통공(3124)에 연통되도록 안착홈(3123)이 형성된다. 측벽(3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관통공(3124)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측벽(3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관통공(3124)은 수직하게 형성된다.
바닥(3130)은 중심부의 깊이가 가장 깊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 청정후에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한쪽으로 수렴되어 상기 수조 세척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수조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수조 내부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3130)은 바닥(3130)과 측벽(3120)의 사이각(θ)이 직각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바닥(3130)과 측벽(3120)의 연결부위는 원호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바닥(3130)이 형성되어, 바닥(3130)과 측벽(3120)의 연결부위에 이물질이 모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닥(3130)과 측벽(3120)의 연결부위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닥(3130)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원판형상의 디스크조립체(4000)가 회전할 때에 간섭이 되지 않는 동시에 상기 수조의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이 최저 수위일 때도 디스크조립체(4000)에 효과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되어 가습 및 공기 청정효과도 최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3130)은 아웃케이스(3200)의 지지돌기(322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수위감지장치는 하부접점부(3310)와, 상기 수조의 인케이스(3100)에 관통되어 설치되는 전극봉(33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위감지장치의 하부접점부(3310) 및/또는 전극봉(3320)은 스틸(Steel)에 니켈(Ni)과 아연(Zn)이 함유된 합금을 도금한 재질일 수 있다. 니켈과 아연의 함유량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도금 두께 또한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스틸은 냉간압조용 탄소강선(SWCH)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수위감지장치의 하부접점부(3310) 및/또는 전극봉(3320)은, 합금을 도금한 도금층 위에 은(Ag), 금(Au), 세라믹(Ceramics), 탄소(C) 등을 나노 입자 크기의 형태로 코팅한 코팅층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나열된 은(Ag), 금(Au), 세라믹(Ceramics), 탄소(C)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혼합물을 나노 입자 크기의 알갱이로 구성된 졸(sol) 상태로 만들어 진공 스프레이 분사법을 이용하여 도금층 위해 코팅하는 나노 코팅한 표면처리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스틸은 냉간압조용 탄소강선(SWCH)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부식이 쉬운 수위감지장치를 스틸에 니켈과 아연이 함유된 합금을 도금하여 도금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다시 나노 코팅한 나노 코팅층을 형성하여 표면처리한 재질로 변경함으로써, 수위감지장치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상 많은 주의를 요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나아가, 부품 단가를 낮춰 경제적이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전극봉(3320)이 관통되어 설치되어, 전극봉(3320)에 물때가 많이 끼어서 수위 감지에 오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수조를 세척할 때에 상기 수조와 접촉되는 부분이 작아서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되어 가정 내에서 쓰일 때에 외관미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극봉(3320)이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 작아서 디스크조립체(4000)가 회전할 때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장치를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수조의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전극봉(3320)은 길이가 짧은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측벽(3120) 하부에 배치되는 관통공(3124)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전극봉(3320)은 수평하게 배치되어, 수위 감지의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봉(3320)은 일측에 단차부(3322)가 형성되며, 단차부(3322)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전극봉(3320)은 타단과 단차부(3322) 사이에는 단차부(3322)보다 단면적이 넓은 플랜지부(3321)가 형성된다. 플랜지부(3321)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안착홈(3123)에 안착되어, 전극봉(3320)은 상기 수조의 인케이스(3100)에 대해 회전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전극봉(3320)은 단차부(3322)가 형성되어, 상기 수조에 전극봉(3320)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로 전극봉(3320)을 수조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단차부(3322)에는 너트(3323)가 체결되어, 전극봉(3320)은 인케이스(31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안착홈(3123)에는 실링부재(3324)가 안착되고, 플랜지부(3321)와 인케이스(3100) 사이에는 실링부재(3324)가 배치되어 전극봉(3320)과 상기 수조 사이를 효과적으로 실링할 수 있다.
이러한 전극봉(3320)은 단차부(3322)에 실링부재(3324)를 끼워넣은 후에, 인케이스(3100)의 안쪽에서 전극봉(3320)을 관통공(3124)에 끼워넣고, 인케이스(3100) 바깥쪽에서 단차부(3322)에 너트(3323)를 체결하여 조립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너트(3323)가 인케이스(3100) 바깥쪽에 배치되고, 플랜지부(3321)가 인케이스(3100) 안쪽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수조를 세척할 때 전극봉(3320)을 건드리게 되어 전극봉(3320)의 고정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극봉(3320)은 정전용량을 감지하고,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물이 전극봉(3320)이 설치된 위치까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케이스(3100)에서 전극봉(3320)이 설치되는 부분은 살두께가 다른부분보다 두껍도록 형성되어 전극봉(3320)이 설치되는 부분이 취약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부접점부(3310)는 측벽(3120) 상부에 배치되는 관통공(3124)에 끼워져서 상기 수조에 설치된다. 하부접점부(3310)는 전극봉(332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접점부(3310)의 단차부(미도시)와 전극봉(3320)의 단차부(3322)는 전선와이어를 통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전선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하부접점부(3310)와 전극봉(332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정해서 상기 수조에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측벽(3120) 외측면과 플랜지(3110) 하부 사이에는 리브(312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리브(3125)가 형성되어 상기 수조는 보강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조립체(3000) 내부 즉, 수조 내부에는 초음파진동자(3500)가 설치된다.
상기 초음파진동자(3600)는 제어부와 연결된 발진부(3610)에 의해 작동한다.
상기 초음파진동자(3600)는 측벽(3120) 또는 바닥(3130)에 설치가능하다.
상기 발진부(3610)는 수위감지장치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부접점부(1221)가 하부접점부(3310)로부터 수조 내부의 수위가 일정범위 이하로 내려갔다는 저수위 신호를 받게 되면, 상기 발진부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초음파진동자(3600)가 정지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수조내부에 수위가 낮아진 상태에서 초음파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수조내부에 물을 채우는 때에 수조내부에 초음파가 차단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초음파진동자에 의해 상기 디스크조립체(4000)(즉, 디스크(4300)및 기어디스크(4200)에 묻어나는 각종 이물을 효과적으로 세척시킬 수 있다.
즉, 수조의 물을 초음파로 진동을 주게 되면 디스크에 흡착된 각종 이물의 세척효과가 탁월하게 높아진다.
또한, 초음파 진로상의 매질(물)은 부분적으로 가열되고, 장력 때문에 액체 내의 공동현상(Caviation)인 작은 기포가 발생한다.
이 기포가 터지면서 순간압력과 방전현상으로 대장균, 박테리아 및 세균 등을 파괴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수조내에 고여 있는 물에 기생하는 대장균, 박테리아 및 세균을 파괴하여 항상 신선한 가습과 공기청정을 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수조조립체(3000)의 디스크지지부(3121)에 디스크조립체(4000)의 디스크축(4100)을 안착시키고, 수조조립체(3000) 상부에 바디조립체(1000)를 놓아서 조립을 완성한다.
이러한 가습공기청정기에 전원을 인가하며, 팬모터(1600)에 의해 송풍팬(1700)이 회전되는 동시에, 구동기어(1500)가 회전되어 디스크조립체(4000)가 회전하게 되어 디스크(4300) 및 기어디스크(4200)에는 수조조립체(3000) 내부의 물에 적셔지게 된다. 이때, 실내의 공기는 흡입구(1400)를 통해 흡입되며, 에어가이드(1240)를 통해 가이드되어 물을 머금은 디스크(4300) 및 기어디스크(4200)에 접촉된 후 토출구(1210)를 통해 토출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물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공기에는 수분이 공급되게 된다.
상기 수위감지장치를 통해 저수위가 감지되었을 때에는 디스플레이부(1100)를 통해 저수위임을 자동으로 표시하고, 팬모터(1600) 및 구동기어(1500)는 작동을 자동으로 멈춘다.
한편, 사용자가 수조조립체(3000) 또는 디스크조립체(4000)를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 별도의 조작없이 바디조립체(1000)를 들어서 수조조립체(3000)와 바디조립체(1000)를 분리하면 팬모터(1600) 및 구동기어(1500)는 작동을 자동으로 멈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0 : 바디조립체 1100 : 디스플레이부
1200 : 베이스바디 1201 : 플랜지
1210 : 토출구 1221 : 상부접점부
1222 : 절곡부 1223 : 제1걸림벽
1224 : 제2걸림벽 1225 : 스토퍼
1226 : 관통공 1227 : 후크
1228 : 인출공 1230 : 홈
1240 : 에어가이드 1300 : 바디커버
1400 : 흡입구 1500 : 구동기어
1600 : 팬모터 1700 : 송풍팬
1800 : 슈라우드 3000 : 수조조립체
3100 : 인케이스 3110 : 플랜지
3111 : 홈 3112 : 융착돌기
3120 : 측벽 3121 : 디스크지지부
3122 : 살균부재장착부 3123 : 안착홈
3124 : 관통공 3125 : 리브
3130 : 바닥 3200 : 아웃케이스
3210 : 삽입돌출부 3220 : 지지돌출부
3230 : 다리부 3240 : 단차바닥부
3310 : 하부접점부 3320 : 전극
3321 : 플랜지부 3322 : 단차부
3323 : 너트 3324 : 실링부재
3600: 초음파진동자 3610: 발진부
3500 : 돌기 4000 : 디스크조립체

Claims (5)

  1. 수조조립체;
    상기 수조조립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디조립체;
    상기 수조조립체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수위감지장치는,
    스틸(Steel)에 니켈(Ni)과 아연(Zn)이 함유된 합금을 도금한 도금층 위에 은(Ag), 금(Au), 세라믹(Ceramics), 탄소(C)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혼합물을 나노 입자 크기의 형태로 코팅한 코팅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은 냉간압조용 탄소강선(SW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장치는,
    상기 수조조립체의 인케이스에 관통되어 수평하게 설치되는 전극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장치는,
    상기 수조조립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봉으로부터 수위 신호를 전달받는 하부접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5. 삭제
KR1020110066583A 2011-07-05 2011-07-05 가습공기청정기 KR101379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583A KR101379231B1 (ko) 2011-07-05 2011-07-05 가습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583A KR101379231B1 (ko) 2011-07-05 2011-07-05 가습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165A KR20130005165A (ko) 2013-01-15
KR101379231B1 true KR101379231B1 (ko) 2014-04-01

Family

ID=4783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583A KR101379231B1 (ko) 2011-07-05 2011-07-05 가습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2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6854A (zh) * 2014-12-18 2015-04-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移动空调及移动空调冷凝水消耗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1115A1 (ja) * 2022-03-22 2023-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加湿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7092A (ja) 2001-07-13 2003-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水位センサ
KR200317577Y1 (ko) 2003-02-26 2003-06-25 정용희 가습기
KR20070092147A (ko) * 2006-03-08 2007-09-12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수위검출용 전극봉, 수위검출방법, 보일러의 수위제어방법및 기수분리기의 수위제어방법
KR20100038657A (ko) * 2008-10-06 2010-04-1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7092A (ja) 2001-07-13 2003-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水位センサ
KR200317577Y1 (ko) 2003-02-26 2003-06-25 정용희 가습기
KR20070092147A (ko) * 2006-03-08 2007-09-12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수위검출용 전극봉, 수위검출방법, 보일러의 수위제어방법및 기수분리기의 수위제어방법
KR20100038657A (ko) * 2008-10-06 2010-04-1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6854A (zh) * 2014-12-18 2015-04-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移动空调及移动空调冷凝水消耗控制方法
CN104566854B (zh) * 2014-12-18 2017-08-2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移动空调及移动空调冷凝水消耗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165A (ko) 201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7220B1 (en) Weak acid solution nebulizer with cleaning function
CN100566759C (zh) 空气除菌装置
CN110168287B (zh) 超声波加湿器
KR101379231B1 (ko) 가습공기청정기
JP2011237161A (ja) 加湿器
JPH07213968A (ja) 小形洗浄器兼用の携帯用超音波加湿器
JP2022003298A (ja) 加湿器
KR101112148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027058B1 (ko) 가습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
JP4688784B2 (ja) 食器洗浄機
KR101270356B1 (ko) 가습기
KR101006992B1 (ko) 가습공기청정기
JP2002364890A (ja) ミストの発生装置
KR20100072419A (ko) 가습공기청정기
JP2005279604A (ja) 超音波洗浄装置
CN116115132A (zh) 清洁基站以及清洁系统
KR101304074B1 (ko) 가습기
CN208234550U (zh) 臭氧发生机构和清洗装置
KR20210117792A (ko) 전해수를 분무하는 초음파 가습기
KR20100038659A (ko) 가습공기청정기용 수조
KR20100038658A (ko) 가습공기청정기
CN105852766B (zh) 一种改进型商用净化水槽
KR200430954Y1 (ko) 미세공판을 이용한 부표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JP3148436U (ja) 振動子上のスケールの析出を防止することができる超音波加湿装置
KR102326497B1 (ko)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초음파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