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8787A -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8787A
KR20100078787A KR1020080137147A KR20080137147A KR20100078787A KR 20100078787 A KR20100078787 A KR 20100078787A KR 1020080137147 A KR1020080137147 A KR 1020080137147A KR 20080137147 A KR20080137147 A KR 20080137147A KR 20100078787 A KR20100078787 A KR 20100078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terminal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1079B1 (ko
Inventor
이정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37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079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에 어플리케이션 제공시 단말기에서의 지원 여부를 공지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로 어플리케이션 제공시 단말에서의 지원 여부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으로서, (a)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다운로드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고 다운로드를 요청받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된 단말기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단말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이동통신, 어플리케이션, 지원여부, 공지

Description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pplication by warning terminal compatibility inform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에 어플리케이션 제공시 단말기에서의 지원 여부를 공지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통신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통신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성능이나 기능의 개선과 함께 사용자들은 단말기 를 통해서 다양한 콘텐츠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콘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은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다운로드 받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사에서는 이러한 추세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와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제공하거나, 외부 어플리케이션 개발 업체에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도 시스템을 통해 이동통신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요즘에는 이동통신사에서 개발하는 어플리케이션보다는 이동통신사에 제휴되어 있는 콘텐츠 제공업체(CP)에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아울러, 현재 출시되어 사용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여 모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현재 제공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은 특정 모델의 단말기나 특정 소프트웨어 버전에서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상 동작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경우에는 가입자들의 불편 및 불만이 제기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이동통신 서비스의 품질이 하락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기존에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려는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자신의 단말기에 지원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지원 가능할 경우에만 다운로드하여 이용하였다. 또는, 다운로드 하려는 어플리케이션의 일정 부분만을 다운로드하여 지원 가능한지 여부를 테스트한 후, 가능한 경우에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사용자들이 일일이 지원 가능 여부를 확인해야 하거나 또는 미리 일정 부분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이를 다시 테스트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인의 단말기 모델을 잘 모르는 사용자들은 지원 가능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정상 구동 유무와 상관없이 다운로드가 진행된 시점에서 이미 사용자에게는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단순 불만을 넘어선 환불에 대한 절차 및 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과 단말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신사는 이런 문제점들로 인하여 단말기와 어플리케이션을 출시하기 전에 사전 검수제를 운영하지만 모든 단말기 모델에 대해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사전 검수하기에는 막대한 비용이 수반되며, 새로운 어플리케이션과 새로운 단말기가 출시될 때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아울러, 기존의 방법들은 사용자 스스로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측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지원 가능여부를 파악해야 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을 운용하는 측에서의 책임 회피 문제와 고객 불편 문제들이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로 어플리케이션 제공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전에 단말기와의 지원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로 어플리케이션 제공시 단말에서의 지원 여부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으로서, (a)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다운로드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고 다운로드를 요청받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된 단말기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단말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로 어플리케이션 제공시 단말에서의 지원 여부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으로서,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다운로드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고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수단;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단말기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단말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지원여부 판단 수단; 및 상기 지원여부 판단 수단에서 판단결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되지 않으 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지원정보 제공 수단;을 포함하는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로 어플리케이션 제공시에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려는 이동통신 단말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지원 가능 여부를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전에 이동통신 시스템 측에서 파악하여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지원을 보장할 수 없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이동통신 시스템 측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지원 여부를 미리 알려주어, 추후에 고객 불만을 줄여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객 불만 처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 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이 구현된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이 구현된 네트워크 구성은, 이동통신 단말(400), 이동통신망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200), 어플리케이션 제공 업체(300,301) 등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400)은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이동 중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지원하는 단말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400)은 이동통신망의 무선 접속망을 통해서 이동통신 시스템(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다른 이동통신 단말과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아울러, 상기 이동통신 단말(400)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저장, 설치, 실행 및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400)은 셀룰러 폰, 스마트 폰, PDA 등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400)은 이동통신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할 수 있는 다양한 기종과 모델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400)은 내부의 소프트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 펌웨어가 다양한 종류 또는 다양한 버전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200)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에 포함되며, 이동통신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 관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200)는 홈위치등록기(HLR), 고객 정보 관리시스템 또는 고 객 정보 관리시스템에 연동된 노드일 수 있다. 상기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200)는 후술할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에 연동하며, 요청에 따라 가입자 정보(단말기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400)에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이동통신망의 코어 네트워크에 포함되거나 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자체 제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다수의 외부 어플리케이션 제공 업체(300,301)에서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 관리하여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50)를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할 어플리케이션을 저장, 관리한다.
나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이동통신 단말(400)에서 선택하고 다운로드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전에, 해당 단말로 제공할 어플리케이션의 지원여부(정상 설치, 실행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400)로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 이션 제공 서버(10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모듈(110), 지원여부 판단 모듈(120), 지원정보 제공 모듈(130)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50) 등을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모듈(110)은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400)로 단말 사용자가 희망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모듈(110)에는 선택 처리부(112)와 다운로드 처리부(114) 등이 구비된다.
상기 선택 처리부(112)는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선택 처리부(112)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 관리중인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고,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다운로드를 희망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는다.
상기 다운로드 처리부(114)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다운로드 처리부(114)는 상기 선택 처리부(112)에서 선택받은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데이터베이스(150)에서 추출하여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다운로드 처리부(114)는 후술할 지원정보 제공 모듈(130)에서의 다운로드 처리 지시가 있기 전까지는 다운로드 처리를 개시하지 않는다.
상기 지원여부 판단 모듈(120)은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할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지원 가능 여부란, 이동통신 단말로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단말 내에 서 설치 또는 실행이 정상적으로 가능한지 여부를 의미한다. 상기 지원여부 판단 모듈(120)에는 단말기 정보 추출부(122), 지원 가능 목록 추출부(124), 비교 판단부(126) 등을 구비한다.
상기 단말기 정보 추출부(122)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려는 이동통신 단말의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단말기 정보 추출부(122)는 이동통신 망에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통해서 해당 단말의 단말기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단말기 정보로는, 단말기 기종, 모델, 소프트웨어 버전,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fy) 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기 단말기 정보 중 IMEI 정보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기기 고유 정보로 상기 IMEI 정보 중 SNR 파트는 단말의 모델을 나타낸다. 아울러, 상기 소프트웨어 버전은 단말기 내에 구비된 시스템 소프트웨어 버전, 펌웨어 버전 또는 어플리케이션 처리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 정보 추출부(122)는 상기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200)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통한 단말기 정보를 제공받는다. 즉, 상기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200)와 연동하여,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와 단말기 정보를 의뢰하고 해당 정보를 제공받는다. 다른 실시예로는, 이동통신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 접속시 또는 어플리케이션 요청시의 메시지 또는 프로토콜에 포함된 정보를 통해서 단말기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기 정보 추출부(122)에서 단말기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은, 이동통신 망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에 접속한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직접 추출하는 방법과 기존 가입자 데이터베이스(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200))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이 있다. 나아가, 위와 같은 방법들은 동시에 구현이 가능하며 망에 접속하는 단말기에서만 정보를 추출할 경우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200)와 연동을 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고, 정확한 정보 추출이 안되었을 경우에는 추가로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200)에서 추출한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통신사의 구현 이슈에 따르는 내요응로 쉬차선택 및 복수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지원 가능 목록 추출부(124)는 이동통신 단말이 다운로드하기 위해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의 단말 지원가능 정보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선택 처리부(112)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원가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다. 상기 지원가능 정보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지원(정상 설치 및 실행 가능)하는 단말기 정보가 포함된다.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단말기 목록이 포함된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단말인지 여부는 해당 특정 어플리케이션 제작 시 사전 검수(테스트)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비교 판단부(126)는 이동통신 단말의 단말기 정보와 다운로드하려는 어플리케이션의 지원가능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단말기 정보 추출부(122)에서 추출한 단말기 정보와, 상기 지원 가능 목록 추출부(124)에서 추출한 지원가능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 정보가 상기 지원가능 정보에 포함되었는지를 판별하고, 포함되면 지원 가능한 것으로, 포함되지 않으면 지원 불가능 또는 정상 지원을 보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정보가 상기 지 원가능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를 보다 명확하게 정의하자면, 해당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것인지 지원 불가능한 것인지 알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지원 가능 여부를 보장할 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지원가능 정보에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이동통신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지원하지 않을 경우 이미 다운로드한 이후이므로 고객 불만 및 불편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지원정보 제공 모듈(130)은 이동통신 단말에 다운로드할 어플리케이션의 지원 가능 여부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지원 여부 판단 모듈(120)에서 판단한 결과 정보를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400)로 전송하여 공지한다. 상기 지원 정보 제공 모듈(130)에는 안내 정보 제공부(132), 정상 처리부(134) 등이 구비된다.
상기 안내 정보 제공부(132)는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할 어플리케이션의 단말에서의 지원 여부 정보를 안내 메시지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지원여부 판단 모듈(120)에서의 결과 정보에 따라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전에 메시지를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안내 메시지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정상 설치 및 실행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내 메시지는 팝업 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안내 정보 제공과 함께 다운로드 진행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다운로드 진행 여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안내 정보 제공부(132)는 상기 지원 여부 판단 모듈(120)에서 지원이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판단될 경우(지원을 보장할 수 없는 경우)에만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상 처리부(134)는 이동통신 단말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처리하도록 지시 및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지원 여부 판단 모듈(120)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지원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판단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모듈(110)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다운로드 처리하도록 지시한다. 아울러, 상기 정상 처리부(134)는 상기 지원 여부 판단 모듈(120)에서 지원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판단된 경우(지원을 보장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내 정보 제공부(132)에서 안내 정보 제공을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즉시 다운로드 처리를 수행하도록 지시 및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 정보 제공부(132)에서, 안내 정보 제공 후에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다운로드의 진행 요청을 입력받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다운로드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안내 정보 제공부(132)를 통해서 이동통신 단말로 지원을 보장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이라는 정보를 제공(공지)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로부터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정상 처리부(134)를 통해 정상적인 다운로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지원 여부를 보장할 수 없다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였기 때문에, 다운로드 받은 사용자로부터 추후에 어플리케이션 구동 불가 등의 이유로 불편 불만 신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안내 정보의 제공은 추후 사용자의 불편 불만 시의 반박의 증거로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50)는 어플리케이션 DB(152)와 지원정보 DB(154)를 구비한다. 아울러, 가입자 정보 또는 단말기 정보를 따로 저장 관리하는 단말정보 DB(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말정보 DB를 구비할 경우에는, 상기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200)의 연동 없이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DB(152)는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할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 관리된다. 상기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외부 어플리케이션 제공 업체(300,301)로부터 제공받거나, 또는 자체 제작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다.
상기 지원정보 DB(154)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DB(152)에 저장된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원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지원정보 DB(154)에는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지원가능 단말기 정보가 저장된다. 즉,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지원 가능한 단말기의 목록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단말기의 목록은, 단말기 모델 정보, IMEI 정보,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등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조합되어 저장된다. 아울러 지원정보 DB(154)에는 이동통신 시스템 측에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원가능 여부를 검수한 후 지원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작시 지원가능 단말기 정보를 테스트하여 가능한 단말기 정보를 목록으로 제공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통신 단말이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 접속한다. 이때에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접속하게 된다.(S10)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 이동통신 단말이 접속하면,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추출하여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동통신 단말에서는 제공받은 목록을 확인하고 다운로드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단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은 후에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단말로부터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20)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의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상기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의 단말기 정보는 접속시의 정보나 프로토콜을 통해서 확인하거나, 또는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와 연동하여 가입자 정보를 통해 단말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30)
이와 함께,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는 이동통신 단말이 선택하고 다운로드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원 가능 단말기 목록 정보를 추출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상기 지원 가능 단말기 목록 정보는 지원정보 DB에서 추출한다. 이 목록 정보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단말기들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S40)
이상에서와 같이 접속한 단말기의 정보를 추출하고, 다운로드 하려는 어플리 케이션에 대한 지원 가능 목록 정보를 추출하면, 추출한 위 두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즉, 추출한 단말기의 정보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지원 가능 목록 정보에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단말기 정보가 지원 가능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면, 지원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포함되지 않으면 지원 불가능한 것 또는 지원을 보장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S50)
위에서 지원 불가능 또는 지원 보장을 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해당 사실을 지원 안내 메시지로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즉, 다운로드하려는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이동통신 단말에서 지원이 불가능하거나 지원을 보장할 수 없다는 내용의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팝업 메시지로 상기와 같은 내용의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팝업 메시지가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된 예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는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지원 불가 안내 팝업 메시지의 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팝업 안내 메시지가 표시된다. 내용은 다운로드 하려는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단말에서 구동 또는 설치가 불가능할 수 있다는 내용을 포함한다. 아울러, 지원이 불가능하거나 지원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안내와 함께, 그래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것인지를 질문하는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S60)
여기서, 지원 안내 메시지 제공 후에,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수락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 처리하는 절차 (후술할 단계 S80)가 진행된다.
안내 메시지를 확인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시작 전에 해당 사실을 인지하며, 이에 따라 다운로드 취소를 요청하고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는 다운로드 취소 절차가 진행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의 다운로드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전에 미리 지원 불가 정보를 인지하여 불필요한 데이터 다운로드를 방지할 수 있다.(S70)
반면에, 상기 단계 S50에서 지원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별도의 안내 메시지 제공 절차 없이 해당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전송 처리가 이루어진다. 즉, 이동통신 단말에서 다운로드 요청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이동통신 망을 통해서 상기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로 다운로드 처리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지원 가능한 사실을 별도의 안내 메시지로 제공할 수도 있다.(S80)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이 구현된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지원 불가 안내 팝업 메시지의 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150 : 데이터베이스
200 : 가입자 정보 제공 노드 300,301 : 어플리케이션 제공 업체
400 : 이동통신 단말

Claims (14)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로 어플리케이션 제공시 단말에서의 지원 여부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으로서,
    (a)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다운로드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고 다운로드를 요청받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된 단말기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단말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미리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정상 설치 또는 실행이 가능한지를 사전 검수한 지원 가능 단말정보 목록과 상기 추출한 단말기 정보를 비교하여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단말 지원 여부 확인은,
    상기 지원 가능 단말정보 목록에 상기 추출한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면 지원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포함되지 않으면 단말에서의 정상 설치 또는 실행을 보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정상 설치 또는 실행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 가능 단말정보 목록은,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할 어플리케이션별로 사전 검수된 지원 가능한 단말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 지원정보 DB에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후에,
    (e)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정보는, 단말기 모델 정보, 단말기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fy) 정보, 단말기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처리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10.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로 어플리케이션 제공시 단말에서의 지원 여부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으로서,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다운로드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고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수단;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단말기 정보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단말기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단말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지원여부 판단 수단; 및
    상기 지원여부 판단 수단에서 판단결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지원정보 제공 수단;을 포함하는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여부 판단 수단은,
    상기 추출한 단말기 정보와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지원 가능 단말정보 목록을 비교하여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로 제공할 어플리케이션별로 사전 검수된 지원 가능한 단말 정보들을 지원 가능 단말정보 목록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 지원정보 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지원여부 판단 수단에서 판단결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수단을 통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14.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수단은,
    상기 지원정보 제공 수단에서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지시하기 전까지 다운로드 처리를 시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KR1020080137147A 2008-12-30 2008-12-30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1001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147A KR101001079B1 (ko) 2008-12-30 2008-12-30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147A KR101001079B1 (ko) 2008-12-30 2008-12-30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787A true KR20100078787A (ko) 2010-07-08
KR101001079B1 KR101001079B1 (ko) 2010-12-14

Family

ID=4263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147A KR101001079B1 (ko) 2008-12-30 2008-12-30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0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844A (ko) * 2010-08-31 201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8912A (ja) * 2004-12-24 2006-07-06 Fujitsu Ltd 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844A (ko) * 2010-08-31 201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1079B1 (ko) 201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286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appling history information of terminal in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environment, and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server, mobile communication and end device therefor
US20070156846A1 (en) Method of enabling a wireless information device to access customer support services
CN101483689A (zh) 可动态变更人机界面的电子装置及相关方法
WO2009133472A2 (en)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application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s
JP2008537375A (ja) 無線データ交換
CN110475229B (zh) 业务数据访问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8700030B1 (en) Handset diagnostic tool
KR20210020571A (ko) 차세대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5635934B (zh) 一种业务开通方法、装置和hss服务器
CN101959158A (zh) 一种彩铃的实现方法、系统及装置
US8249582B1 (en) Self-care client integration with diagnostic client
KR101001079B1 (ko) 단말 지원여부 정보를 공지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시스템
CN107426090B (zh) 信息处理方法、装置、介质、电子设备、服务器及系统
EP2356805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management of mobile stations
KR100608150B1 (ko) 무선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위한 무선컨텐츠 다운로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87359B1 (ko) 멀티밴드 멀티모드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접속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멀티밴드 멀티모드 단말
KR101936596B1 (ko) 데이터 망을 이용한 ar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41131B1 (ko) 웹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성능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00631683B1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유지보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727096B1 (ko) 모바일 단말에서의 콜 발신/수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12235784B (zh) 基于vSIM的码号管理方法、装置及设备
US8588775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management method
KR100673259B1 (ko) 무선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KR20090120210A (ko)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80600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a communication device based upon device cap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