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8317A -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8317A
KR20100078317A KR1020080136549A KR20080136549A KR20100078317A KR 20100078317 A KR20100078317 A KR 20100078317A KR 1020080136549 A KR1020080136549 A KR 1020080136549A KR 20080136549 A KR20080136549 A KR 20080136549A KR 20100078317 A KR20100078317 A KR 20100078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coal
storage container
coal
belt conveyor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2513B1 (ko
Inventor
김정훈
이성기
김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136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513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1/00Charging devices
    • C10B31/02Charging devices for charging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65G47/51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 B65G47/5195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materials in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1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seal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035Devices for monitoring the weight of quantities added to the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2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08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rate of feed or discharge
    • G01G11/086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rate of feed or discharge of the loss-in-weight feed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01Positioning the charge
    • F27D2003/0002Positioning the charge involving positioning devices, e.g. buffers,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코크스 오븐에 장입되는 원료탄의 장입밀도를 측정하는데 구비되는 원료탄의 이송 및 측정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오차 요인들을 개선하여 원료탄 성형에 의한 코크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은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원료탄을 저장하는 원료탄 저장소, 벨트 컨베이어의 일측 하부와 원료탄 저장소 사이에 배치되어 원료탄의 이송 라인을 형성하는 이송 레일, 이송 레일을 따라 안내되며,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원료탄의 일부를 저장하는 저장용기, 이송 라인에 구비되며, 저장용기에 담겨진 원료탄의 무게를 검출하는 원료탄량 검출부, 및 원료탄의 무게가 측정된 상태에서 이송되는 원료탄의 장입밀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한다.
코크스, 원료탄, 장입, 밀도, 저장, 측정

Description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MEASUREMENT SYSTEM OF BULK DENSITY OF COKING COAL IN COKEMAKING PROCESS}
본 발명은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크스 제조를 위한 원료탄의 장입밀도를 측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쇳물을 생산하는 용광로(blast furnace)에서 열원 및 환원제로 사용되는 제철용 코크스를 제조하기 위하여 점결성과 유동도(fluidity)가 있는 원료탄(coking coal)을 코크스 오븐에서 약 18~20시간 동안 건류한다.
코크스 제조용 원료탄은 전량 해외에서 수입되며, 호주, 캐나다, 중국 등의 순으로 공급받고 있다. 선박으로 운송된 원료탄은 야드(yard)에 저장되고, 리클레이머(reclaimer)에 의하여 불출되어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에 의하여 수송된다.
원료탄은 먼저, 임시 저장소에 저장된 후 크러셔(crusher) 설비에서 알맞은 입자크기로 파쇄된다. 그리고 배합조의 각 저장소(bin)에 탄종별로 저장된 후, 정량불출기(CWF ; constant weighting feeder)에 의해 배합설계 비율에 따라 약 10종의 탄종이 배합된다. 배합탄은 코크스 오븐의 원료탄 저장소(coal bin)에 저장된 후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에 장입된다.
원료탄의 장입은 장입차가 원료탄 저장소의 하부에서 4개의 호퍼(hopper)에 채탄을 하여, 장입할 탄화실로 이동하여 장입을 하게 된다. 장입작업은 장입차의 4개 스크류 피더(screw feeder)에 의하여 중력낙하에 의한 중력장입 방식이며, 코크스 오븐의 높이(로고)가 높을수록 높은 장입밀도가 형성된다.
기존의 장입밀도 측정작업은 테스트를 위하여 일시적으로 실시하며, 측정장치는 ASTM 표준에 따른다. 이 장치는 작업자가 직접 삽을 이용하여 호퍼에 원료탄을 채우고 하부 슬라이드 게이트(slide gate)를 열어 30.3㎤ 크기의 박스에 담긴 무게를 측정하여 산출한다. 그런데, 이러한 측정작업은 측정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어 데이터의 재현성과 반복성이 낮다.
코크스 오븐에 장입되는 원료탄의 장입밀도를 측정하는데 구비되는 원료탄의 이송 및 측정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오차 요인들을 개선하여 원료탄 성형에 의한 코크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은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원료탄을 저장하는 원료탄 저장소, 벨트 컨베이어의 일측 하부와 원료탄 저장소 사이에 배치되어 원료탄의 이송 라인을 형성하는 이송 레일, 이송 레일을 따라 안내되며,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원료탄의 일부를 저장하는 저장용기, 이송 라인에 구비되며, 저장용기에 담겨진 원료탄의 무게를 검출하는 원료탄량 검출부, 및 원료탄의 무게가 측정된 상태에서 이송되는 원료탄의 장입밀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한다.
이송 레일은 벨트 컨베이어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풀리 하부에서부터 원료탄 저장소의 잔탄 처리구까지 설치되며, 이송 레일의 양단부에는 저장용기의 이송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를 커버하는 분진 방지판을 더 포함하며, 분진 방지판에는 저장용기의 이송 위치에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분진 방지판의 개구부 주변에서 저장용기의 상측에 근접하는 위치에 결합되며, 저장용기에 담겨진 원료탄의 상측 레벨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원료탄량 조절부 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원료탄량 조절부재는 저장용기에 담겨진 원료탄의 상측과 접하는 일단부가 저장용기의 상측으로부터 설정된 간격으로 조절되어 분진 방지판에 결합될 수 있다.
원료탄량 조절부재는 분진 방지판의 개구부 상측에 결합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가공되는 결합구멍을 갖는 결합부, 및 결합부의 하부에서 저장용기의 진입방향 폭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트부는 저장용기의 원료탄과 접하는 부분이 일정각도를 갖고 경사지며, 커트부의 경사는 벨트 컨베이어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용기는 상부가 개구되는 육면체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하부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구비되어 상부로 원료탄이 유입되고 하부의 도어가 열리면 원료탄이 배출될 수 있다.
저장용기와 이송 레일 사이에 구비되어 저장용기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며, 거치대의 양측에 이송 롤러가 결합될 수 있다.
거치대의 일측에 결합되어 저장용기로 이송력을 전달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은 종래의 측정방법에 비해 측정작업이 용이하며, 측정시간도 단축된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원료탄이 수송되는 과정에서 조업에 전혀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장입밀도를 측정하여 원료탄 성형에 의한 장입밀도 증대효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코크스 품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저장용기의 이송 라인을 통해 원료탄이 이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의 이송 라인에서 저장용기와 주변 구성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 원료탄이 담겨져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은 원료탄 저장소(20, coal bin), 이송 레일(30), 저장용기(40), 원료탄량 검출부(50), 측정부(60)를 포함한다.
원료탄 저장소(20)는 벨트 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되는 원료탄(100)을 저장한다.
이송 레일(30)은 벨트 컨베이어(10)의 일측 하부와 원료탄 저장소(20) 사이에 배치되어 원료탄(100)의 이송 라인을 형성한다. 이송 레일(30)은 벨트 컨베이어(1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풀리(12) 하부에서부터 원료탄 저장소(20)의 잔탄 처리구(22)까지 설치된다. 이송 레일(30)의 양단부에는 저장용기(40)의 이송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90, 92)가 결합된다.
이송 레일(30)을 구비함에 따라 원료탄(100)의 운반도중 충격 및 진동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료탄(100)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다져진 원료탄으로 인해 실제 장입밀도보다 더 높게 나오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저장용기(40)는 이송 레일(30)을 따라 안내되며, 벨트 컨베이어(10)로부터 이송되는 원료탄(100)의 일부를 저장한다. 저장용기(40)는 상부가 개구되는 육면체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하부는 개폐가능한 도어(44)가 구비되어 상부로 원료탄(100)이 유입되고 하부의 도어(44)가 열리면 원료탄(100)이 배출된다.
저장용기(40)와 이송 레일(30) 사이에 구비되어 저장용기(40)를 거치하는 거치대(46)를 더 포함하며, 거치대(46)의 양측에 이송 롤러(42)가 결합될 수 있다. 거치대(46)의 일측에 결합되어 저장용기(40)로 이송력을 전달하는 손잡이(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원료탄량 검출부(50)는 이송 라인에 구비되며, 저장용기(40)에 담겨진 원료탄(100)의 무게를 검출한다. 원료탄량 검출부(50)는 일종의 저울 기능을 하며, 로드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정부(60)는 원료탄(100)의 무게가 측정된 상태에서 이송되는 원료탄(100) 의 장입밀도를 측정한다. 측정부(60)는 제조실시시스템(MES ;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에 포함될 수 있다. 원료탄(100)의 장입밀도 측정은 주기적으로 실시되어 제조실시시스템에서 조회가 가능하다. 따라서, 코크스 품질의 변동시 주요 영향인자인 장입밀도의 분석이 가능하다. 참고로, 제조실시시스템은 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반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벨트 컨베이어(10)를 커버하는 분진 방지판(70)을 더 포함한다. 분진 방지판(70)에는 저장용기(40)의 이송 위치에 개구부(72)를 갖는다. 분진 방지판(70)의 개구부(72) 주변에서 저장용기(40)의 상측에 근접하는 위치에는 원료탄량 조절부재(80)가 결합된다.
여기서, 원료탄량 조절부재(80)는 저장용기(40)에 담겨진 원료탄(100)의 상측 레벨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원료탄량 조절부재(80)는 저장용기(40)에 담겨진 원료탄(100)의 상측과 접하는 일단부가 저장용기(40)의 상측으로부터 설정된 간격으로 조절되어 분진 방지판(70)에 결합된다. 원료탄량 조절부재(80)는 분진 방지판(70)의 개구부(72) 상측에 결합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부(82)와 커트부(84)를 포함한다.
결합부(8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가공되는 결합구멍(85)을 갖는다. 결합구멍(85)은 필요에 따라 원형으로 가공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구멍(85)의 형태는 다양한 설계변경을 통해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원료탄량 조절부재(80)를 통해 저장용기(40)의 원료탄(100) 레벨이 조절되는 구조이면 모두 가능하다. 한편, 분진 방지판(70)에서 개 구부(72)의 상측에는 결합구멍(85)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구멍(74)이 가공된다. 체결구멍(74)에는 볼트(76)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커트부(84)는 결합부(82)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부분이며, 저장용기(40)의 진입방향 폭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커트부(84)는 저장용기(40)의 원료탄(100)과 접하는 부분이 일정각도(Θ)를 갖고 경사지며, 커트부(84)의 경사는 벨트 컨베이어(10)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커트부(84)는 저장용기(40)에 담겨진 원료탄(100)의 상측 레벨을 조절하므로 일정한 양의 원료탄(100)을 저장용기(40)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용기(40)에 담겨진 원료탄(100)이 저장용기(40) 상측으로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정한 양의 원료탄(100)이 저장용기(4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료탄(100)이 코크스 오븐에 장입되기 전 저장되는 원료탄 저장소(20)에 입조되는 위치에서 원료탄(100)의 장입밀도를 측정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원료탄(100)의 이송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변수를 제외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장입밀도를 측정하면서 발생 가능한 오차를 감소시키고 반자동으로 장입밀도를 측정함으로써 업무부하의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측정된 데이터는 제조실시시스템에서 조회가능하며, 코크스 품질 이상시 장입밀도 변화에 의한 원인인지 분석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과정을 설명한다.
원료탄의 장입밀도는 코크스 강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장입밀도가 증가 할 경우 석탄 입자간 간격이 감소하여 결합력 증대 및 가스방출 지연으로 고강도 조직발달에 유리하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시험규모의 테스트 코크스 오븐에서 각기 다른 장입밀도의 원료탄으로 코크스를 제조한 후 냉간강도를 분석한 결과, 장입밀도 10kg/㎥ 증대 시 코크스 냉간강도가 0.2%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세계적으로 코크스 제조용 원료탄의 수급이 악화되고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 점결성과 유동도가 다소 저급(low grade)한 저가의 미점탄을 증대 사용하면, 코크스품질에는 불리하게 된다. 또한, 고로의 대형화를 지향하고 고출선 조업을 위하여 코크스 품질향상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식소화설비(CDQ ; cokes dry quenching)등의 코크스 품질 향상설비가 부재한 상황에서 코크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바인더리스 원료탄 성형(binderless coal forming) 설비를 도입하기도 한다.
바인더리스 원료탄 성형설비는 기존의 원료탄 성형설비와는 다르게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도 바인더 첨가 및 믹싱(mixing) 장치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투자비 및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
원료탄 성형설비는 조업초기 기술미흡으로 성형효율이 낮고 성형탄이 분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원료탄 성형설비의 주요 개선대상인 장입밀도를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그런데,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장입밀도의 측정작업은 측정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어 데이터의 재현성과 반복성이 낮다.
참고로, 원료탄의 장입밀도 측정시 측정데이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각각의 요인에 대해 비교예와 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비교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개선되기 이전에 측정과정을 말한다.
1) 원료탄 샘플링 작업
(비교예)
원료탄의 장입밀도를 측정하기에 앞서 원료탄을 약 30kg 정도 샘플링하는 작업을 해야한다. 이러한 샘플링 작업을 위하여 조업 가동중인 벨트 컨베이어를 중지하여 커버를 탈착한다. 원료탄 샘플링 작업에는 최소 2명이 실행하여야 하며, 숙련자의 경우에도 30분 이상이 소요된다. 뿐만 아니라, 원료탄 샘플을 위하여 벨트 컨베이어를 중지함으로써 조업에 지장을 초래하며, 자주 실시할 경우 모터 등의 설비에도 무리를 줄 수 있다.
(실시예)
벨트 컨베이어(10) 단부의 풀리(12) 하부에까지 이송 레일(30)을 설치하여 저장용기(40)가 전, 후진하도록 되어있다. 참고로, 이송 레일(30) 양 끝에는 스토퍼부재(90, 92)가 설치되어 저장용기(40)가 이송 레일(30)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풀리(12) 아래에서 저장용기(40)에 원료탄(100)이 채워지고 이송 레일(30)을 따라 후진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원료탄(100)의 샘플링 작업을 위해 벨트 컨베이어(10)의 구동을 중지하지 않아도 된다.
2) 원료탄의 운반과정
(비교예)
이렇게 샘플링된 원료탄은 적절한 용기에 담아서 장입밀도 측정장치가 있는 장소까지 운반하여야 한다. 그러나 운반도중 충격 및 진동으로 인하여 원료탄이 다져질 경우 장입밀도의 측정데이터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작업자에 의한 원료탄 용기를 옮기는 과정에서 다져진 원료탄은 실제 장입밀도보다 더 높게 나올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실시예)
원료탄(100)이 담겨지는 저장용기(40)는 이송 레일(30)을 따라 이송된다. 이송 레일(30)은 벨트 컨베이어(10) 단부의 풀리(12) 하부에서부터 원료탄 저장소(20)의 잔탄 처리구(22)까지 설치되며, 저장용기(40)는 손잡이(48)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이송 레일(30)을 따라 전, 후진한다. 이송 라인에는 풀리(12) 아래에서 원료탄(100)이 채워진 후, 넘친 양을 깎는 원료탄량 조절부재(80)와 저장용기(40)에 담겨진 원료탄(100)의 무게를 측정하는 원료탄량 검출부(50)가 있다.
이송 레일(30)을 구비함에 따라 원료탄(100)의 운반도중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및 진동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료탄(100)의 이송시 원료탄(100)에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감소시켜 실제 장입밀도보다 더 높게 나오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저장용기(40)를 이송하면서 발생 가능한 오차를 감소시키고 업무부하의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호퍼에 원료탄을 채우는 과정
(비교예)
용기에 의하여 측정장치가 위치한 장소에 운반된 원료탄을 삽을 이용하여 호 퍼에 채운다. 이 과정에서 삽을 이용하여 용기에서 퍼내는 방법과 호퍼에 넣는 방법에 따라 장입밀도의 결과가 상이할 수 있다. 작업자마다 그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측정자간 오차가 발생한다.
(실시예)
저장용기(40)는 저울의 위치까지 후진한 후 원료탄량 검출부(50)를 통해 무게를 측정하고, 잔탄 처리구(22)에서 저장용기(40) 밑바닥의 도어(44)가 개방되면서 저장용기(40) 내에 담겨진 원료탄(100)이 원료탄 저장소(20)에 낙하하게 된다. 원료탄(100)이 코크스 오븐에 장입되기 전 저장되는 원료탄 저장소(20)에 입조되는 위치에서 원료탄(100)의 장입밀도를 측정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원료탄(100)의 이송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변수를 감소시킨다.
4) 용기에 담겨진 원료탄의 넘치는 윗부분을 걷어내는 작업
(비교예)
호퍼에서 낙하된 원료탄이 용기에 넘쳐 담기게 된다. 이러한 경우 측정자가 용기의 크기에 맞게 원료탄의 넘치는 윗부분을 걷어내는 작업을 할 때 작업자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
풀리(12) 아래에서 저장용기(40)에 원료탄(100)이 채워지고 이송 레일(30)을 따라 후진하면서 원료탄량 조절부재(80)를 통해 자동적으로 저장용기(40)의 상측 형태에 맞도록 원료탄(100)의 넘치는 부분을 깎아낸다. 원료탄량 조절부재(80)의 높이는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원료탄(100)의 넘치는 윗부분을 걷어 내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하다. 그리고 저장용기(40)의 원료탄(100) 상측 레벨 오차를 감소시키고, 레벨을 맞추기 위한 업무부하의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의 장입밀도 측정방법에 비하여 작업이 용이하며, 측정자간 데이터의 신뢰성이 높은 장입밀도 측정장치를 포함하여 원료탄 성형설비의 가동에 따른 장입밀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코크스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원료탄(100)이 원료탄 저장소(20)에 입조되기 바로 직전의 위치에서 장입밀도를 측정하므로, 원료탄(100)의 이송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장입밀도의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원료탄 성형설비의 성형조건 변화에 따른 장입밀도 영향을 즉시 측정할 수 있어 성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입밀도의 측정은 측정부(60)를 통해 주기적으로 실시되어 장입밀도의 분석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료탄의 이송 라인에서 저장용기와 주변 구성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 원료탄이 담겨져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벨트 컨베이어 12 ; 풀리
20 ; 원료탄 저장소 22 ; 잔탄 처리구
30 ; 이송 레일 40 ; 저장용기
42 ; 이송 롤러 44 ; 도어
46 ; 거치대 48 ; 손잡이
50 ; 원료탄량 검출부 60 ; 측정부
70 ; 분진 방지판 72 ; 개구부
74 ; 체결구멍 76 ; 볼트
80 ; 원료탄량 조절부재 82 ; 결합부
84 ; 커트부 85 ; 결합구멍
90, 92 ; 스토퍼부재 100 ; 원료탄

Claims (11)

  1.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원료탄을 저장하는 원료탄 저장소;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일측 하부와 상기 원료탄 저장소 사이에 배치되어 원료탄의 이송 라인을 형성하는 이송 레일;
    상기 이송 레일을 따라 안내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원료탄의 일부를 저장하는 저장용기;
    상기 이송 라인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용기에 담겨진 원료탄의 무게를 검출하는 원료탄량 검출부, 및
    상기 원료탄의 무게가 측정된 상태에서 이송되는 원료탄의 장입밀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를 포함하는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레일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풀리 하부에서부터 상기 원료탄 저장소의 잔탄 처리구까지 설치되며, 상기 이송 레일의 양단부에는 상기 저장용기의 이송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를 더 포함하는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를 커버하는 분진 방지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진 방지판에는 상기 저장용기의 이송 위치에 개구부를 갖는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 방지판의 개구부 주변에서 상기 저장용기의 상측에 근접하는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저장용기에 담겨진 원료탄의 상측 레벨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원료탄량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탄량 조절부재는 상기 저장용기에 담겨진 원료탄의 상측과 접하는 일단부가 상기 저장용기의 상측으로부터 설정된 간격으로 조절되어 상기 분진 방지판에 결합되는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탄량 조절부재는
    상기 분진 방지판의 개구부 상측에 결합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가공되는 결합구멍을 갖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서 상기 저장용기의 진입방향 폭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커트부
    를 포함하는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트부는 상기 저장용기의 원료탄과 접하는 부분이 일정각도를 갖고 경사진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트부의 경사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상부가 개구되는 육면체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하부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구비되어 상부로 원료탄이 유입되고 하부의 도어가 열리면 원료탄이 배출되는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이송 레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용기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의 양측에 이송 롤러가 결합되는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용기로 이송력을 전달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
KR1020080136549A 2008-12-30 2008-12-30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장치 KR101082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549A KR101082513B1 (ko) 2008-12-30 2008-12-30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549A KR101082513B1 (ko) 2008-12-30 2008-12-30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317A true KR20100078317A (ko) 2010-07-08
KR101082513B1 KR101082513B1 (ko) 2011-11-10

Family

ID=42639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549A KR101082513B1 (ko) 2008-12-30 2008-12-30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5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053B1 (ko) * 2011-09-28 2013-02-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석탄 장입 시험 장치
KR101695158B1 (ko) * 2016-08-25 2017-01-11 민원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
CN107487644A (zh) * 2017-08-08 2017-12-19 天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煤矿自助式汽车装车系统及方法
WO2019058383A1 (en) 2017-09-19 2019-03-28 Tata Steel Limited STAMPED BOX SYSTEM WITH APPARENT DENSITY MEASUREMENT IN SITU
KR20190078397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 빈의 부착광 측정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053B1 (ko) * 2011-09-28 2013-02-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석탄 장입 시험 장치
KR101695158B1 (ko) * 2016-08-25 2017-01-11 민원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
CN107487644A (zh) * 2017-08-08 2017-12-19 天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煤矿自助式汽车装车系统及方法
WO2019058383A1 (en) 2017-09-19 2019-03-28 Tata Steel Limited STAMPED BOX SYSTEM WITH APPARENT DENSITY MEASUREMENT IN SITU
KR20190078397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 빈의 부착광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2513B1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513B1 (ko)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장치
KR20120064421A (ko) 운송설비의 운송물 탑재 유도장치
CN110834967A (zh) 一种配置在线取样装置的连续式拌和站料仓与取样方法
KR101896345B1 (ko) 원료 장입 장치
CN108341276B (zh) 一种应用于散货混配作业的斗轮取料机
CN101941598B (zh) 一种颗粒货物的称量和装车的方法
CN211282950U (zh) 高炉废钢上料及加料系统
KR100931355B1 (ko) 석탄 파쇄 방법
CN110836636B (zh) 激光扫描式火车装车检测装置
CN108456535B (zh) 顶装捣固一体化焦炉用的给煤系统
KR101160004B1 (ko) 고로 취입용 미분탄의 혼합비 제어방법
CN102175758A (zh) 用磁感应线圈检测装置在线检测烧结矿FeO含量的方法
CN218470590U (zh) 一种水泥窑生料在线采集系统
KR101129177B1 (ko) 탄화실 내 석탄 장입량 제어 시스템
KR101400601B1 (ko) 콜타워
KR101857749B1 (ko) 성형탄의 회전강도 측정 장치
KR101197959B1 (ko) 부착탄 제거장치
CN212892818U (zh) 一种熔融还原工艺物料配料及输送系统
CN104552586A (zh) 耐火砖自动上下料机
CN111103164B (zh) 一种在线取样和弃料回收装置
CN103253673B (zh) 大型碳化硅冶炼炉装炉设备及大型碳化硅冶炼炉装炉方法
KR101442975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시료채취장치
JP5682827B2 (ja) コークス原料炭の搬送装置及びその停止方法
CN220062547U (zh) 供料系统以及提炼系统
CN220322016U (zh) 供料系统以及提炼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