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158B1 -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158B1
KR101695158B1 KR1020160108182A KR20160108182A KR101695158B1 KR 101695158 B1 KR101695158 B1 KR 101695158B1 KR 1020160108182 A KR1020160108182 A KR 1020160108182A KR 20160108182 A KR20160108182 A KR 20160108182A KR 101695158 B1 KR101695158 B1 KR 101695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waste
dry density
soil
target
density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원
양경택
Original Assignee
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원 filed Critical 민원
Priority to KR1020160108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01N9/02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measuring weight of a known volu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01N9/36Analysing materials by measuring the density or specific gravity, e.g. determining quantity of mois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01N9/02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measuring weight of a known volume
    • G01N2009/022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measuring weight of a known volume of solids
    • G01N2009/024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measuring weight of a known volume of solids the volume being determined directly, e.g. by size of contai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현장 밀도측정장치에서 측정되는 습윤밀도로부터 산출되는 건조밀도를 바탕으로 건설 폐토사의 투수계수를 판단하고, 필요한 경우 투수계수를 저하시킬 수 있는 수경성의 석분을 건설 폐토사에 혼합하여 매립장 복토재로 활용이 가능한 양질의 건설 폐토사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목표 건조밀도값을 세팅하는 단계(S10); 건설 폐토사의 함수비를 측정하는 단계(S20); 건설 폐토사의 습윤밀도를 측정하는 단계(S30); 상기 S20 단계에서 측정된 함수비와 상기 S30 단계에서 측정된 습윤밀도를 이용하여 건설 폐토사의 건조밀도를 산출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에서 산출된 현장 건조밀도값과 상기 S10 단계에서 세팅된 목표 건조밀도값을 비교하는 단계(S50); 상기 S50 단계에서 현장 건조밀도값이 목표 건조밀도값 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복토재로 사용이 가능한 양질의 토사인 것으로 판단하여 조건 변화 없이 토사를 그대로 생산하는 단계(S60); 및 상기 S50 단계에서 현장 건조밀도값이 목표 건조밀도값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건설 폐기물로부터 생산되는 석분을 건설 폐토사에 혼합하는 단계(S70);로 이루어진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Method for producing cover material}
본 발명은 건설 폐기물을 선별하고 파쇄하여 건설 폐토사와 석분 및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건설 폐토사의 습윤밀도를 현장에서 바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현장 밀도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습윤밀도로부터 얻어지는 건설 폐토사의 건조밀도에 기초하여 건설 폐토사의 투수계수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필요한 경우 수경성을 갖는 석분을 건설 폐토사에 혼합하여 투수계수를 더욱 저하시켜 복토재로써 활용이 가능하도록 건설 폐토사의 품질을 개량하는 방식을 갖는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립장에서는 지반안정과 폐기물의 비산 및 악취예방을 위해 매일 작업이 완료되거나 일정 층의 높이까지 폐기물을 성토하였을 때 실시하는 1일 복토공과, 매립장의 최종 층까지 폐기물을 성토하였을 때 실시하는 최종 복토공이 있다.
상기 복토공은 낮은 투수계수를 갖는 복토재의 사용이 요구되며, 통상 1일 복토재의 투수계수는 1×10-5cm/sec 이하, 최종 복토재의 투수계수는 1×10-7cm/sec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건축물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콘크리트, 폐벽돌, 폐블록 등의 건설 폐기물을 파쇄하고 선별하는 처리과정에서 건설 폐토사를 생산하고 있으나, 상기 건설 폐토사는 다양한 성상의 건설 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부산물로써 투수계수와 다짐밀도가 일정하지 않고 큰 폭으로 변화함에 따라 매립장의 복토재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또, 투수계수가 높아 복토재로 적합하지 않는 재료는 인공복토재를 사용하거나 시멘트의 수경성 또는 약액의 고화성능을 이용하는 기술이 있으나 이것들은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건설 폐기물을 파쇄하고 선별하는 시스템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건설 폐기물을 파쇄하고 선별하여 순환골재와 석분 및 건설 폐토사(이하 '건설 폐토사'라 함)를 생산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건설 폐기물 처리장에 반입된 건설 폐기물은 호퍼(1)를 통해 조크러셔(2)로 투입되어 1차 파쇄되고, 파쇄된 건설 폐기물은 조크러셔(2)의 배출구에 위치한 1차 스크린(3)을 거치게 된다.
한편, 1차 스크린(3)으로 유입되는 건설 폐기물 중, 1차 스크린(3)을 통과할 수 있는 정도로 작은 크기(일반적으로 10~25㎜)의 건설 폐기물은 트롬멜과 풍력 등의 2차 선별수단(4)을 통해 이물질의 선별과정을 거친 후, 지정된 장소에 적재되며, 이러한 공정을 통해 건설 폐토사가 생산된다.
반면, 1차 스크린(3)을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큰 크기를 갖는 건설 폐기물은 더블조크러셔(5) → 2차 스크린(6) → 콘크러셔(7) → 3차 스크린(8)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작은 크기로 파쇄된다.
한편, 상기 콘크러셔(8)의 마모 마찰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미립분(약 5㎜ 이하)은 3차 스크린(8)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선별되는데 이것은 폐시멘트의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수경성의 석분으로써 생산되고, 3차 스크린(8)에 걸린 골재는 순환골재로 생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건설 폐기물을 파쇄하고 선별하여 건설 폐토사와 석분 및 순환골재를 생산함에 있어서, 건설 폐토사의 성상에 따른 구분 없이 단순히 크기에 따라 건설 폐토사를 선별함에 따라 다양한 성상의 흙이 건설 폐토사에 불규칙하게 혼합되므로, 건설 폐토사의 투수계수와 다짐밀도가 불량하고 이의 변동폭이 크다.
이처럼 건설 폐기물의 처리과정에서 부산물로써 생산되는 건설 폐토사의 경우 투수계수와 다짐밀도가 시시각각 큰 폭으로 변동되고, 흙의 입도와 다짐밀도는 흙의 투수계수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일정 수준 이하의 투수계수가 요구되는 복토재로써 건설 폐토사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0697250호(2007.03.21.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 폐기물로부터 생산되는 건설 폐토사의 밀도를 현장에서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현장 밀도측정장치에서 측정되는 습윤밀도로부터 산출되는 건조밀도를 바탕으로 건설 폐토사의 투수계수를 판단하고, 필요한 경우 투수계수를 저하시킬 수 있는 수경성의 석분을 건설 폐토사에 혼합하여 매립장 복토재로 활용이 가능한 양질의 건설 폐토사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현장 밀도측정간격(시간) 및 목표 투수계수에 상응하는 목표 건조밀도값을 세팅하는 단계(S10); 건설 폐기물로부터 생산되는 건설 폐토사의 함수비를 측정하는 단계(S20); 건설 폐기물로부터 선별된 후 토사적재장으로 이송되는 건설 폐토사의 일부를 현장 밀도측정장치에 투입하여 해당 건설 폐토사의 습윤밀도를 측정하는 단계(S30); 상기 S20 단계에서 측정된 함수비와 상기 S30 단계에서 측정된 습윤밀도를 이용하여 건설 폐토사의 건조밀도를 산출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에서 산출된 현장 건조밀도값과 상기 S10 단계에서 세팅된 목표 건조밀도값을 비교하는 단계(S50); 상기 S50 단계에서 현장 건조밀도값이 목표 건조밀도값 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복토재로 사용이 가능한 양질의 토사인 것으로 판단하여 조건 변화 없이 토사를 그대로 생산하는 단계(S60); 및 상기 S50 단계에서 현장 건조밀도값이 목표 건조밀도값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건설 폐기물로부터 생산되는 석분을 건설 폐토사에 혼합하는 단계(S70);로 이루어지며, 상기 S30 단계는, 건설 폐토사를 용기에 투입하는 단계(S31); 상기 용기에 투입된 건설 폐토사를 다지는 단계(S32); 상기 용기에 투입되어 다짐된 건설 폐토사의 높이를 측정하여 용기내 건설 폐토사의 부피를 산출하는 단계(S33); 상기 용기에 투입된 건설 폐토사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S34); 상기 건설 폐토사의 부피와 중량으로부터 습윤밀도를 산출하는 단계(S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에 있어서, 상기 S10 단계의 목표 건조밀도값은, 실내 시험을 통해 실내 건조밀도와 투수계수의 상관도를 조사하는 단계(S11); 실내 건조밀도와 현장 건조밀도의 상관도를 조사하는 단계(S12); 목표 투수계수를 설정하는 단계(S13); 및 상기 S11 단계와 S12 단계에서 조사된 상관도에 따라 목표 투수계수에 상응하는 목표 건조밀도값을 결정하는 단계(S14)를 통해 세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에 있어서, 상기 S70 단계는, 상기 현장 건조밀도값이 목표 건조밀도값을 추종하도록 목표 건조밀도값과 현장 건조밀도값의 차에 비례하는 양의 석분을 건설 폐토사에 혼합하여 수경성을 갖고 투수계수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에 있어서, 건설 폐토사와 석분이 혼합된 것으로 형성된 복토재를 양생시켜 안정처리를 하는 단계(S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 폐기물로부터 생산되는 건설 폐토사에 수경성의 석분을 혼합하는 방식으로 건설 폐토사의 투수계수를 일정한 수준으로 개선시킬 수 있게 되므로, 건설 폐토사를 매립장의 복토재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건설 폐기물을 파쇄하고 선별하는 시스템의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밀도측정장치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밀도측정장치의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 밀도측정장치의 요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 밀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건설 폐토사의 습윤밀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인 공정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슈트기구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 블록도,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의 공정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목표 건조밀도를 투수계수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과정을 보인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밀도측정장치의 정면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 밀도측정장치의 측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 밀도측정장치의 요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 밀도측정장치는 건설 폐기물로부터 건설 폐토사와 석분 및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현장에서 건설 폐토사의 습윤밀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써, 용기(110), 프레임(120), 제1실린더(130), 로드셀(140), 레벨측정센서(150), 제2실린더(160), 개폐기구(170), 콘트롤러(180)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110)는 건설 폐기물로부터 선별된 후, 토사적재장(Y1)으로 운반되는 건설 폐토사의 일부를 제공받아 해당 건설 폐토사에 대한 습윤밀도의 측정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건설 폐토사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용기몸체(111)와 밑판(1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몸체(111)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용기몸체(111)는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건설 폐토사의 투입 및 다짐이 이루어지고, 용기몸체(111)의 하단부를 통해 건설 폐토사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밑판(112)은 용기몸체(11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용기몸체(111)의 하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것으로, 한쪽 부분이 용기몸체(111)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전동작을 하면서 용기몸체(111)의 하단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밑판(112)은 건설 폐토사의 다짐작업이나 건설 폐토사의 중량측정작업이 이루어질 때는 용기몸체(111)의 하단부를 폐쇄하고, 건설 폐토사의 배출작업이 이루어질 때는 용기몸체(111)의 하단부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용기(110)는 다짐위치(P1)와 측정위치(P2)로 이송되며, 상기 다짐위치(P1)에 용기(110)가 위치한 경우, 용기(110)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20)에 구성된 개폐기구(170)에 의해 밑판(112)의 회전동작이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용기몸체(111)의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되고, 상기 측정위치(P2)에 용기(110)가 위치한 경우, 밑판(112)의 회전동작이 로드셀(140)에 의해 구속되어 용기몸체(111)의 하단부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120)은 다수의 막대형 부재와 판재가 결합되어 현장 밀도측정장치의 기초구조를 형성하는 구조물로써, 상기 제1실린더(130), 로드셀(140), 레벨측정센서(150), 제2실린더(160), 개폐기구(170), 콘트롤러(180)를 요구되는 위치에 고정하는 기능을 만족한다면, 그 구조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없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120)은 용기(110)가 놓이는 받침판(121)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121)에는 용기(110)에 마련된 밑판(112)의 회전동작을 허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개구부(122)가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22)는 다짐위치(P1)로 이송된 용기(110)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도록 받침판(121)에 형성되되, 용기몸체(111)의 하단부를 개방하기 위한 밑판(112)의 회전동작시 밑판(112)이 충분한 각도로 회전하여 용기몸체(111)의 하단부가 완전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밑판(112)의 회전동작 범위를 고려하여 충분히 큰 크기로 형성된다.
참고로, 도 2에 표시된 도면부호 124는 건설 폐토사를 용기(110)로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호퍼로써, 프레임(120)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130)는 다짐위치(P1)로 이송된 용기(110)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20)에 설치되되, 수직한 자세를 갖도록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용기(110)에 투입된 건설 폐토사를 가압하여 다지거나 밀어내기 위한 가압판(131)이 구비된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실린더(130)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될 제2실린더(160) 및 제3실린더(174) 또한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셀(140)은 측정위치(P2)로 이송된 용기(110)의 무게를 검출하는 것으로, 개구부(122)의 이웃한 곳에 위치하도록 받침판(121)에 설치된다.
이처럼 설치된 로드셀(140)은 측정위치(P2)로 용기(110)가 이송될 경우, 용기(11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용기(110)의 무게를 검출하는 것과 더불어 용기(110)의 하단부에 설치된 밑판(112)의 회전동작을 억제하여 용기몸체(111)의 하단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레벨측정센서(150)는 용기(110)에 투입된 후 다짐작업이 완료된 건설 폐토사의 높이값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측정위치(P2)로 이송된 용기(110)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20)에 설치되며, 용기(110)의 내부에 충전된 건설 폐토사로 초음파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건설 폐토사의 표면과의 거리를 검출하는 방식을 갖는 공지의 거리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레벨측정센서(150)와 용기(110) 바닥의 사이거리는 항상 일정한 상수이므로, 레벨측정센서(150)를 이용하여 레벨측정센서(150)와 용기(110)내 건설 폐토사의 표면과의 거리값을 검출하게 되면, 용기(110)에 충전된 건설 폐토사의 높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린더(160)는 용기(110)를 다짐위치(P1)와 측정위치(P2)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20)에 설치되고, 용기(110)와 연결되어 용기(110)를 밀거나 당기면서 용기(11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기구(170)는 다짐위치(P1)로 이송된 용기(110)에 투입된 건설 폐토사의 다짐작업시에는 밑판(112)의 회전동작이 억제되도록 개구부(122)를 폐쇄하고, 반대로 다짐위치(P1)로 이송된 용기(110)에 투입된 건설 폐토사의 배출작업시에는 밑판(112)의 회전동작이 허용되도록 개구부(122)를 개방하는 것으로, 회전억제부재(171)와 제3실린더(172)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억제부재(171)는 밑판(11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개구부(122)내에 위치하면서 밑판(112)의 회전동작을 억제하거나, 다짐위치(P1)의 수직하부로부터 이탈하여 밑판(112)의 회전동작을 허용하도록 이동하는 부재로써, 밑판(112)의 하부에서 밑판(112)과 접촉하면서 밑판(112)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접촉면적을 갖는 블록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억제부재(171)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개구부(122) 내에 위치하거나 다짐위치(P1)의 수직하부공간으부터 이탈하도록 구성된다.
즉, 개구부(122)의 좌우 양측 또는 전후 양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호 평행한 구조를 갖는 두 가이드 레일(123)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123)에 결합된 채로 가이드 레일(123)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173)이 회전억제부재(171)의 양측면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123)과 가이드 블록(173)의 구조에 의하면, 용기(110)의 하부에 위치한 회전억제부재(171)가 가이드 블록(173) 및 가이드 레일(123)에 의해 받침판(121)과 연결되어 받침판(121)의 지지를 받게 되므로, 밑판(112)의 회전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속할 수 있고, 회전억제부재(171)의 안정적인 수평이동이 가능하며, 다짐작업시 제2실린더(160)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실린더(172)는 프레임(120)에 설치되고, 회전억제부재(171)와 연결되어 회전억제부재(171)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억제부재(17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가질 경우, 상기 제3실린더(172)는 회전억제부재(171)를 수평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면서 회전억제부재(171)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콘트롤러(180)는 제1실린더(130)와 제2실린더(160) 및 제3실린더(174)와 같이 현장 밀도측정장치에 마련된 작동기구를 제어하는 기능과, 로드셀(140)와 레벨측정센서(150)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하여 해당 건설 폐토사의 습윤밀도와 건조밀도를 산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참고로, 건설 토사의 습윤밀도(rt)는 하기 [수학식 1]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6082717400-pat00001
--------- [수학식 1]
여기서, W는 용기(110)에 충전된 건설 폐토사의 중량이고, V는 용기(110)에 충전된 건설 폐토사의 부피이다.
참고로, 용기(110) 자체의 무게는 항상 일정한 상수이므로, 로드셀(140)에서 측정되는 무게값으로부터 용기(110) 자체의 무게를 빼게 되면, 용기(110)에 충전된 토사의 중량(W)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110)의 체적 중 면적은 용기(110)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일정한 상수이므로, 결국 용기(110)에 충전된 건설 폐토사의 높이값을 레벨측정센서(150)를 이용하여 검출하여 면적에 높이 값을 곱하면, 용기(110)에 충전된 건설 폐토사의 부피(V)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토사의 건조밀도(rd)는 하기 [수학식 2]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6082717400-pat00002
--------- [수학식 2]
여기서, 함수비는 건설 폐기물로부터 선별되어 토사적재장(Y1)으로 운반되는 건설 폐토사의 함수비로써,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급속 함수량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급속 함수량 측정기에서 측정되는 함수비는 작업자에 의해 콘트롤러(180)에 입력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 밀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건설 폐토사의 습윤밀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인 공정도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슈트기구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현장 밀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건설 폐토사의 습윤밀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건설 폐기물로부터 선별된 건설 폐토사가 토사운반 컨베이어(10)에 의해 토사적재장(Y1)으로 운반되고, 상기 토사운반 컨베이어(10)의 일측에는 토사운반 컨베이어(10)에 의해 운반되는 토사의 일부를 토사운반 컨베이어(10)의 측면으로 밀어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슈트기구(190)가 마련되며, 현장 밀도측정장치에 구비된 용기(110)가 토사운반 컨베이어(10)의 타측에 배치되어 배출슈트기구(190)의 작동에 의해 토사운반 컨베이어(10)의 측면으로 밀려나는 건설 폐토사가 용기(110)로 투입되는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배출슈트기구(190)는 배출유도판(191)과 상기 배출유도판(191)을 이동시키는 제4실린더(192)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가정에 따르면, 배출슈트기구(190)의 작동을 통해 건설 폐토사를 용기(110)로 자동 투입할 수 있게 되므로, 현장 밀도측정간격(시간)을 미리 콘트롤러(180)에 입력해두게 되면, 일정한 주기로 반복하여 자동으로 건설 폐토사의 습윤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장 밀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건설 폐토사의 습윤밀도를 측정하기 앞서 급속 함수량 측정기를 이용하여 토사의 함수비를 측정하는 작업을 실시하고, 측정된 함수비를 콘트롤러(180)에 입력하게 된다.
한편, 건설 폐토사가 용기(110)로 투입되면, 제1실린더(130)의 작동에 의해 가압판(131)이 하강하면서 용기(110)에 투입된 건설 폐토사를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건설 폐토사의 정적다짐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상기 제1실린더(130)는 항상 일정한 조건으로 가압판(131)을 하강시켜 건설 폐토사의 종류나 상태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하게 정적다짐을 실시하게 된다.
건설 폐토사의 다짐작업이 완료되면, 제2실린더(160)가 작동하여 다짐위치(P1)에 있는 용기(110)를 측정위치(P2)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용기(110)가 측정위치(P2)로 이송되면, 측정위치(P2)에 마련된 로드셀(140)은 용기(110)의 무게를 검출하고, 레벨측정센서(150)는 건설 폐토사의 표면과의 거리를 검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검출된 무게값과 거리값은 콘트롤러(180)로 전달되고, 콘트롤러(180)는 사전에 입력된 용기(110) 자체의 무게값을 검출 무게값으로부터 차감하여 건설 폐토사의 순수한 무게값을 산출하게 되며, 이와 마찬가지로 사전에 입력된 거리값(레벨측정센서(150)와 용기(110) 바닥의 사이 거리값)에서 검출 무게값을 차감하여 건설 페토사의 높이값을 산출하게 되며, 산출된 높이값과 용기(110) 내부의 단면적을 이용하여 건설 폐토사의 부피값을 산출하게 된다.
이처럼 산출된 건설 폐토사의 무게값과 부피값으로부터 해당 건설 폐토사의 습윤밀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습윤밀도와 미리 입력된 함수비로부터 건조밀도를 산출하게 된다.
이처럼 콘트롤러(180)에 의해 산출되는 건설 폐토사의 건조밀도는 별도의 화면을 통해 화면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해당 건설 폐토사의 품질관리를 위한 자료로써 저장된다.
한편, 해당 건설 폐토사에 대한 밀도측정작업이 완료되면, 제2실린더(160)는 측정위치(P2)에 있는 용기(110)를 밀어 측정위치(P2)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후 제3실린더(174)가 작동하여 회전억제부재(171)를 다짐위치(P1)의 수직하부공간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제1실린더(130)가 작동하여 가압판(131)을 하강시키게 되면, 밑판(112)이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용기몸체(111)의 하단부가 개방되고, 용기(110)내의 건설 폐토사는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건설 폐토사의 배출이 완료되면, 제3실린더(174)가 작동하여 회전억제부재(171)를 개구부(122)내에 위치시키게 되고, 이러한 회전억제부재(171)의 이동과정에서 밑판(112)은 회전억제부재(171)와의 간섭에 의해 밀려나면서 용기몸체(111)의 하단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현장 밀도측정장치에 의하면, 건설 폐기물의 처리현장에서 건설 폐토사의 건조밀도를 바로 측정할 수 있게 되므로, 건설 폐토사의 품질관리를 보다 엄격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설 폐토사의 품질 개량을 위한 기초데이터로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 블록도를,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를,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의 공정도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목표 건조밀도를 투수계수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과정을 보인 공정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은 앞서 설명된 현장 밀도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건설 폐토사의 건조밀도를 기반으로 하여 복토재로의 사용을 위해 건설 폐토사의 품질 개량이 요구되는 경우, 건설 폐기물의 처리과정에서 함께 생산되는 석분을 건설 폐토사에 혼합하여 매립장의 복토재로 사용이 가능한 적절한 투수계수를 갖도록 건설 폐토사의 품질을 개량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은 현장 밀도측정간격(시간) 및 목표 건조밀도값을 세팅하는 단계(S10); 건설 폐기물로부터 생산되는 건설 폐토사의 함수비를 측정하는 단계(S20); 건설 폐기물로부터 선별된 후 토사적재장(Y1)으로 이송되는 건설 폐토사의 일부를 현장 밀도측정장치에 투입하여 해당 건설 폐토사의 습윤밀도를 측정하는 단계(S30); 상기 S20 단계에서 측정된 함수비와 상기 S30 단계에서 측정된 습윤밀도를 이용하여 건설 폐토사의 건조밀도를 산출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에서 산출된 현장 건조밀도값과 상기 S10 단계에서 세팅된 목표 건조밀도값을 비교하는 단계(S50); 상기 S50 단계에서 현장 건조밀도값이 목표 건조밀도값 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복토재로 사용이 가능한 양질의 토사인 것으로 판단하여 조건 변화 없이 토사를 그대로 생산하는 단계(S60); 및 상기 S50 단계에서 현장 건조밀도값이 목표 건조밀도값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건설 폐기물로부터 생산되는 수경성의 석분을 건설 폐토사에 혼합하는 단계(S70);로 구성된다.
상기 S10 단계는 건설 폐토사의 품질확인을 위한 건조밀도 측정작업이 이루어지는 주기 및 목표 건조밀도를 세팅하는 공정으로, 건조밀도 측정간격(시간) 및 목표 건조밀도값을 콘트롤러(180)에 입력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흙의 투수계수는 흙의 건조밀도와 부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즉 점토와 실트 같이 입경이 작고 입도분포가 우수하며 다짐이 잘되어 다짐밀도가 높은 특성을 나타내는 흙일수록 투수계수가 낮으므로, 다짐밀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건조밀도를 기준으로 흙의 투수계수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은 생산하고자 하는 복토재의 목표 투수계수에 상응하는 목표 건조밀도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목표 건조밀도값을 콘트롤러(180)에 입력하여 건조밀도를 기준으로 건설 폐토사의 품질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매립장 복토재를 생산하게 된다.
한편, 상기 S10 단계의 목표 건조밀도값은, 사전 실내 시험을 통해 흙의 실내 건조밀도와 투수계수의 상관도를 조사하는 단계(S11); 실내 건조밀도와 현장 건조밀도의 상관도를 조사하는 단계(S12); 복토재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목표 투수계수를 설정하는 단계(S13); 및 상기 S11 단계와 S12 단계에서 조사된 상관도에 따라 목표 투수계수에 상응하는 목표 건조밀도값을 결정하는 단계(S14)를 통해 세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11 단계 및 S12 단계는 투수계수와 현장 건조밀도의 관계를 규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구축하는 단계로써, 서로 다른 조건하에서 실제 흙의 건조밀도와 투수계수를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투수계수 측정방법과 건조밀도 측정방법을 이용해 반복하여 측정하는 작업을 통해 관련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처럼 구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목표 투수계수에 상응하는 목표 건조밀도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S20 단계는 건설 폐토사의 함수비를 측정하고, 측정된 함수비를 콘트롤러(180)에 입력하는 공정으로, 건설 폐기물로부터 선별되어 토사운반 컨베이어(10)에 의해 토사적재장(Y1)으로 운반되는 건설 폐토사를 급속 함수량 측정기에 투입하여 함수비를 측정하고, 측정된 함수비를 현장 밀도측정장치에 마련되어 있는 콘트롤러(180)에 입력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S30 단계 및 S40 단계는 현장 밀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건설 폐토사의 습윤밀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습윤밀도에 기초하여 건조밀도를 산출하는 공정이다.
이때 상기 S30 단계는 건설 폐토사를 용기에 투입하는 단계(S31); 상기 용기에 투입된 건설 폐토사를 다지는 단계(S32); 상기 용기에 투입되어 다짐된 건설 폐토사의 높이를 측정하여 용기내 건설 폐토사의 부피를 산출하는 단계(S33); 상기 용기에 투입된 건설 폐토사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S34); 및 상기 건설 폐토사의 부피와 중량으로부터 습윤밀도를 산출하는 단계(S35);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토사의 습윤밀도와 건조밀도를 산출하는 과정은 이미 설명된 바 있으므로, 상기 S30 단계 및 S40 단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S50 단계는 S40 단계에서 산출된 현장 건조밀도값과 목표 건조밀도값을 비교하는 공정으로, 콘트롤러(180)에 입력된 현장 건조밀도값과 목표 건조밀도값을 콘트롤러(180)가 비교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목표 건조밀도값에서 현장 건조밀도값을 뺀 결과값을 이용하여 해당 토사의 품질을 판단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결과값이 0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해당 건설 폐토사의 건조밀도가 목표 건조밀도를 초과하거나 같은 것을 의미하므로, 해당 건설 폐토사는 복토재로써 사용이 가능한 투수계수를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결과값이 0 보다 큰 경우, 해당 건설 폐토사의 건조밀도가 목표 건조밀도에 도달하지 못한 것을 의미하므로, 해당 건설 폐토사는 매립장 복토재로써의 사용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건설 폐기물로부터 건설 폐토사를 생산하는 현장에서 토사의 건조밀도를 측정하여 복토재로의 활용이 가능한 양질의 토사와 저질의 토사를 구분할 수 있게 되므로, 생산되는 토사의 품질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 S60 단계는 건조밀도의 측정 및 비교결과, 현장 건조밀도값이 목표 건조밀도값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건설 폐토사가 복토재로 활용이 가능한 양질의 토사인 것으로 판단하여 아무런 조건변화나 조치없이 원래의 작업상태 및 조건을 유지하면서 건설 폐토사를 생산하도록 하는 공정이다.
상기 S70 단계는 건조밀도의 측정 및 비교결과, 현장 건조밀도값이 목표 건조밀도값 보다 작은 경우, 해당 건설 폐토사가 복토재로의 활용이 불가능한 저질의 토사인 것으로 판단하여 수경성 석분의 보충을 통해 투수계수를 저하시켜 양질의 토사로 개량하는 공정이다.
즉, 콘트롤러(180)는 목표 건조밀도값에서 현장 건조밀도값을 뺀 결과값이 0 보다 큰 경우, 상기 결과값의 크기에 비례하는 양의 수경성의 석분을 건설 폐토사에 혼합하는 방식으로 저질의 토사를 양질의 토사로 개량하게 된다.
참고로, 입자크기가 10㎜~25㎜인 건설 폐토사에 입자크기가 5㎜ 이하인 석분을 혼합시킬 경우, 건설 폐토사의 입자크기 분포가 넓어지고 상대적으로 입자크기가 큰 토사의 사이사이에 석분이 채워지게 되어 입도가 개선되고 이의 석분은 폐토사의 수분과 화합하여 초기경화가 일어나고 덮개 등을 씌워 양생을 하게 되면 복토재료로써 안정처리되어 건설 폐토사의 다짐특성은 향상되고, 투수계수는 낮아지게 된다.
즉, 상대적으로 입자크기가 큰 건설 폐토사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에 석분이 조밀하게 충전되므로, 건설 폐토사의 단위 부피당 중량이 증가하고, 석분의 수경성에 의해 폐토사가 경화되어 치밀해지므로 건조밀도를 높이고, 투수계수는 낮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처럼 석분을 건설 폐토사에 혼합하게 되면, 건설 폐토사의 건조밀도가 증가하게 되므로, 현장 건조밀도값이 목표 건조밀도값 보다 작은 경우, 현장 건조밀도값이 목표 건조밀도값을 추종하도록 상기 결과값에 비례하는 양의 석분을 건설 폐토사에 혼합시키게 되며, 이로써 복토재로 활용이 불가능한 저질 토사의 품질 개량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석분을 건설 폐토사에 혼합함에 있어서, 석분을 토사적재장(Y1)에 직접 공급할 수도 있으나, 건설 폐토사와 석분의 혼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토사운반 컨베이어(10)에 의해 토사적재장(Y1)으로 이동하는 건설 폐토사에 석분이 공급되게 하여 토사운반 컨베이어(10)를 타고 이동하는 과정 그리고 토사운반 컨베이어(10)로부터 토사적재장(Y1)으로 낙하하는 과정에서 건설 폐토사와 석분의 혼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석분 적재장(Y2)으로부터 토사운반 컨베이어(10)로 연장되는 반환용 컨베이어(20)를 현장에 마련하여 석분을 토사운반 컨베이어(10)로 공급하도록 관련설비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에 있어서, 상기 S70 단계가 이루어진 후, 건설 폐토사와 석분이 혼합된 것으로 형성된 복토재를 양생시켜 안정처리를 하는 단계(S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S80 단계는 S70 단계를 통해 형성된 복토재 전체를 자연상태에서 마대 등의 덮개로 씌워 초기 경화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정을 통해 복토재의 투수계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용기 111: 용기몸체
112: 밑판 120: 프레임
121: 받침판 122: 개구부
123: 가이드 레일 130: 제1실린더
140: 로드셀 150: 레벨측정센서
160: 제2실린더 170: 개폐기구
171: 회전억제부재 172: 제3실린더
173: 가이드 블록 174: 제3실린더
180: 콘트롤러 190: 배출슈트기구
191: 배출유도판 192: 제4실린더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현장 밀도측정간격(시간) 및 목표 투수계수에 상응하는 목표 건조밀도값을 세팅하는 단계(S10);
    건설 폐기물로부터 생산되는 건설 폐토사의 함수비를 측정하는 단계(S20);
    건설 폐기물로부터 선별된 후 토사적재장으로 이송되는 건설 폐토사의 일부를 현장 밀도측정장치에 투입하여 해당 건설 폐토사의 습윤밀도를 측정하는 단계(S30);
    상기 S20 단계에서 측정된 함수비와 상기 S30 단계에서 측정된 습윤밀도를 이용하여 건설 폐토사의 건조밀도를 산출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에서 산출된 현장 건조밀도값과 상기 S10 단계에서 세팅된 목표 건조밀도값을 비교하는 단계(S50);
    상기 S50 단계에서 현장 건조밀도값이 목표 건조밀도값 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복토재로 사용이 가능한 양질의 토사인 것으로 판단하여 조건 변화 없이 토사를 그대로 생산하는 단계(S60); 및
    상기 S50 단계에서 현장 건조밀도값이 목표 건조밀도값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건설 폐기물로부터 생산되는 석분을 건설 폐토사에 혼합하는 단계(S70);로 이루어지며,
    상기 S30 단계는,
    건설 폐토사를 용기에 투입하는 단계(S31);
    상기 용기에 투입된 건설 폐토사를 다지는 단계(S32);
    상기 용기에 투입되어 다짐된 건설 폐토사의 높이를 측정하여 용기내 건설 폐토사의 부피를 산출하는 단계(S33);
    상기 용기에 투입된 건설 폐토사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S34); 및
    상기 건설 폐토사의 부피와 중량으로부터 습윤밀도를 산출하는 단계(S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S10 단계의 목표 건조밀도값은,
    실내 시험을 통해 실내 건조밀도와 투수계수의 상관도를 조사하는 단계(S11);
    실내 건조밀도와 현장 건조밀도의 상관도를 조사하는 단계(S12);
    목표 투수계수를 설정하는 단계(S13); 및
    상기 S11 단계와 S12 단계에서 조사된 상관도에 따라 목표 투수계수에 상응하는 목표 건조밀도값을 결정하는 단계(S14);를 통해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건설 폐토사와 석분이 혼합된 것으로 형성된 복토재를 양생시켜 안정처리를 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
KR1020160108182A 2016-08-25 2016-08-25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 KR101695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182A KR101695158B1 (ko) 2016-08-25 2016-08-25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182A KR101695158B1 (ko) 2016-08-25 2016-08-25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158B1 true KR101695158B1 (ko) 2017-01-11

Family

ID=57832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182A KR101695158B1 (ko) 2016-08-25 2016-08-25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1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106B1 (ko) * 2017-12-15 2018-04-27 강수형 크러셔의 파쇄효율 측정장치와 크러셔의 파쇄효율 측정방법 및 크러셔의 파쇄효율을 이용한 골재생산방법
CN112255139A (zh) * 2019-11-25 2021-01-22 宁波正信检测科技有限公司 宕渣标准干密度检测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8535B2 (ja) * 2000-05-18 2003-01-20 西日本地研株式会社 簡易締固め試験機及びこれを用いた突固めによる締固め試験方法
KR100697250B1 (ko) 2006-11-22 2007-03-21 주식회사 진흥중공업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20100078317A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
KR20100122339A (ko) * 2009-05-12 2010-11-22 한국기계연구원 금속 분말의 유동도 및 겉보기 밀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KR20130018017A (ko) * 2011-08-12 2013-02-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압축 및 비압축 조건하에서의 투수 및 압밀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8535B2 (ja) * 2000-05-18 2003-01-20 西日本地研株式会社 簡易締固め試験機及びこれを用いた突固めによる締固め試験方法
KR100697250B1 (ko) 2006-11-22 2007-03-21 주식회사 진흥중공업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20100078317A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탄 장입밀도 측정 시스템
KR20100122339A (ko) * 2009-05-12 2010-11-22 한국기계연구원 금속 분말의 유동도 및 겉보기 밀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KR20130018017A (ko) * 2011-08-12 2013-02-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압축 및 비압축 조건하에서의 투수 및 압밀시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106B1 (ko) * 2017-12-15 2018-04-27 강수형 크러셔의 파쇄효율 측정장치와 크러셔의 파쇄효율 측정방법 및 크러셔의 파쇄효율을 이용한 골재생산방법
CN112255139A (zh) * 2019-11-25 2021-01-22 宁波正信检测科技有限公司 宕渣标准干密度检测方法及装置
CN112255139B (zh) * 2019-11-25 2024-02-27 宁波正信检测科技有限公司 宕渣标准干密度检测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93638B (zh) 模拟现场碾压效果的公路基层材料圆柱体试件制备方法
Liu et al. Particle size ratio and distribution effects on packing behaviour of crushed GMZ bentonite pellets
Spreadbury et al. A field-scale evaluation of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ion bottom ash as a road base material: Considerations for reuse practices
Malasavage et al. Geotechnical performance of dredged material—steel slag fines blends: laboratory and field evaluation
KR101563125B1 (ko) 입도 분포조절이 가능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101969725B1 (ko) 골재의 단위용적질량과 생산량 동시 측정장치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KR101695158B1 (ko) 매립장 복토재 생산방법
US4472198A (en) Process and system of wasting fly ash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Coudray et al. Influence of crushing conditions on recycled concrete aggregates (RCA) leaching behaviour
Hribar et al. Large scale direct shear tests on surface mine spoil
CN105755909A (zh) 一种建筑垃圾生产铁路路基填料的方法
KR101756174B1 (ko) 건설 폐토사의 현장 전단강도 측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단강도 선별방법
KR101660245B1 (ko) 흙의 건조밀도를 기반으로 한 건설용 토사 생산방법
Drnevich et al. A study of effective soil compaction control of granular soils
Donaghe et al. A compaction test method for soil-rock mixtures in which equipment size effects are minimized
KR102072635B1 (ko) 단위용적질량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JP6319791B2 (ja) 地盤材料の粒度測定方法及びシステム
CN112255064B (zh) 一种粗土料相对密度测试及碾压参数测算方法
CN112945810B (zh) 一种建筑垃圾再生混合集料级配确定方法
Swamy et al. Effect of test geometry and aggregate texture on angle of repose of aggregates
Warren et al. Estimating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UCS) of emplaced cemented rockfill (CRF) from QA/QC cylinder strengths
Egretli et al. A laboratory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s of air void and water saturation on the collapse settlement of opencast mine backfill
Consoli et al. Determination of critical state line (CSL) for silty-sandy iron ore tailings subjected to low-high confining pressures
Swiertz et al. Asphalt mixture compaction and aggregate structure analysis techniques: State of the art report
Mokwa et al. Permeability of coarse-grain soil from void space and pore distrib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