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7782A -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 Google Patents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7782A
KR20100077782A KR1020080135822A KR20080135822A KR20100077782A KR 20100077782 A KR20100077782 A KR 20100077782A KR 1020080135822 A KR1020080135822 A KR 1020080135822A KR 20080135822 A KR20080135822 A KR 20080135822A KR 20100077782 A KR20100077782 A KR 20100077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broadcast
thumbnail
broadcast program
thumbnai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5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7782A/ko
Priority to PCT/KR2009/001096 priority patent/WO2010076917A2/en
Priority to EP09836238A priority patent/EP2374274A4/en
Priority to CN200980157060.1A priority patent/CN102326385B/zh
Priority to US12/407,573 priority patent/US8666228B2/en
Publication of KR20100077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3Processing operations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81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temporal resolution, e.g. by frame ski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 프로그램 녹화 중 채널이 전환되는 경우, 채널 전환된 방송 프로그램의 대표 썸네일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썸네일 이미지, 방송 수신기, 방송 프로그램, 타임 쉬프트, 진행 바

Description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OPERAING METHOD OF BROADCASTING RECEIVER STORING BROADCASTING PROGRAM AND BROADCASTING RECEIVER ENABLING OF THE METHOD}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 프로그램 녹화 중 채널이 전환되는 경우, 채널 전환된 방송 프로그램의 대표 썸네일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 후 녹화하여 저장하는 PVR(Personal Video Recorder)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녹화물의 용량에 커짐에 따라 사용자가 녹화물을 검색할 필요성도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의 방송 수신기에서는 녹화물의 진행 상황과 매칭되는 진행바를 출력하여, 녹화물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진행바만으로는 녹화물의 검색이 용이하지 않은 점이 있어, 사용자가 녹화물을 좀 더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수신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타임 쉬프트 기능을 사용하는 방송 수신기에서는 사용자가 타임 쉬프트 기능으로 녹화된 녹화물을 검색하여 녹화된 내용을 파악하고자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데, 종래 기술의 방송 수신기는 이러한 사용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타임 쉬프트 기능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에서 사용자가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의 내용을 좀 더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가 개발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중 채널이 전환되는 경우, 사용자가 녹화 중 채널 전환된 방송 프로그램을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 녹화 중 채널 전환된 방송 프로그래의 대표 썸네일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에서 단순히 일정 시간 간격으로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외에, 채널 전환된 방송 프로그램이 어떠한 프로그램인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 생성에 소요되는 계산 용량 및 저장 용량을 최소로 하면서 사용자에게 타임 쉬프트 중 채널 전환된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녹화중 채널 전환된 방송 프로그램을 더욱 편리하고 다양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은 소정의 튜너로 수신되는 제1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에서 제1 썸네일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중 채널이 전환되는 경우, 상기 채널이 전환된 제2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에서 제2 썸네일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썸네일 이미지,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 및 상기 제2 썸네일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방송 수신기는 소정의 튜너로 수신되는 제1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고,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중 채널이 전환되는 경우, 상기 채널 전환된 제2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저장 수단;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에서 제1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중 채널이 전환되는 경우, 상기 채널 전환된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에서 제2 썸네일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썸네일 이미지 추출 모듈;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 생성 모듈; 및 상기 제1 썸네일 이미지,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 및 상기 제2 썸네일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 녹화 중 채널 전환된 방송 프로그래의 대표 썸네일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에서 단순히 일정 시간 간격으로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외에, 채널 전환된 방송 프로그램이 어떠한 프로그램인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 녹화 중 채널 전환된 방송 프로그래의 대표 썸네일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에서 단순히 일정 시간 간격으로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외에, 채널 전환된 방송 프로그램이 어떠한 프로그램인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 생성에 소요되는 계산 용량 및 저장 용량을 최소로 하면서 사용자에게 타임 쉬프트 중 채널 전환된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녹화중 채널 전환된 방송 프로그램을 더욱 편리하고 다양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는 단계(S101)에서 사용자로부터 타임 쉬프트 명령을 수신한 후, 단계(S102)에서 소정의 튜너로 수신되는 제1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 수단에 저장한다.
이 때, 방송 수신기는 타임 쉬프트(time-shift) 명령에 대응하여, 튜너로 수신되는 제1 방송 프로그램을 소정 시간 만큼 지연(delay)시켜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수단은 방송 수신기에 포함되어,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 수단은 HDD(Hard Disk Drive)일 수 있다.
단계(S103)에서 방송 수신기는 제1 방송 프로그램에서 제1 썸네일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추출한다.
이 때, 방송 수신기는 저장 수단에서 방송 프로그램을 판독한 후, 소정 시간 간격으로 방송 프로그램의 이미지를 추출한 후, 제1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데, 제1 썸네일 이미지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생성될 수 있다.
단계(S104)에서 방송 수신기는 방송 프로그램 녹화 중 채널이 전환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S104)의 판단 결과, 제1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중 채널이 전환되는 경우, 단계(S105)에서 방송 수신기는 채널 전환된 제2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한다.
단계(S106)에서 방송 수신기는 채널 전환된 제2 방송 프로그램에서 제2 썸네일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추출한다.
이 때, 방송 수신기는 저장 수단에서 방송 프로그램을 판독한 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제2 방송 프로그램의 이미지를 추출한 후, 제2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데, 제2 썸네일 이미지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생성될 수 있다.
단계(S107)에서 방송 수신기는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생성한다.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은 전환된 방송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생성되는 이미지로써, 실시예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으며,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는 방송 프로그램별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부가 정보 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는데, 방송 수신기는 제2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에서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추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로서,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시스템의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시스템의 SI(System Information)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별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은 부가 정보로 전송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별도의 부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또는 HDD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에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방송 수신기는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기는 제2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에 포함된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제목, 방송 시간, 방송 상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생성한다.
단계(S108)에서 방송 수신기는 제1 썸네일 이미지,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 및 제2 썸네일 이미지를 출력한다.
이 때, 방송 수신기는 제1 썸네일 이미지와 제2 썸네일 이미지 사이에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1 썸네일 이미지, 제2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고,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생성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송 수신기는 타임 쉬프트 명령에 따라 제1 방송 프로그램으로부터 제1 썸네일 이미지(201)를 순차적으로 추출한다. 제1 방송 프로그램 녹화 중 채널이 전환되면, 채널 전환된 제2 방송 프로그램으로부터 제2 썸네일 이미지(202)를 순차적으로 추출한다.
이 때, 채널 전환된 방송 프로그램을 안내하기 위하여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203)을 생성하거나, 추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1썸네일 이미지, 제2 썸네일 이미지 및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출력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는 제1 방송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제1 썸네일 이미지(301), 제2 방송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제2 썸네일 이미지(303) 및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302)을 출력한다. 이 때, 방송 프로그램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진행바도 같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타임 쉬프트 명령을 선택한 후, 제1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제2 방송 프로그램(예를 들어, '히어로즈')으로 채널 전환한 경우, 방송 수신기는 제2 방송 프로그램 '히어로즈'의 대표 썸네일을 부가 정보로부터 추출하거나,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후 출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방송 프로그램 선택 후, 채널 전환하여 제3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경우, 제3 방송 프로그램의 제3 썸네일 이미지(305) 및 제3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304)을 출력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은 제1 썸네일 이미지 또는 상기 제2 썸네일 이미지와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은 사이즈를 크게 하거나, 테두리를 삽입하거나, 테두리 색상을 상이하게 하거나, 텍스트를 포함하여 썸네일 이미지들과는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1썸네일 이미지, 제2 썸네일 이미지 및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출력하는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송 수신기는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는 제1 방송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제1 썸네일 이미지(401), 제2 방송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제2 썸네일 이미지(403) 및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402)을 출력한다.
이 때, 방송 프로그램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진행바도 같이 출력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402)은 방송 수신기가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것일 수 있는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에 포함된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제목, 방송 시간, 방송 상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타임 쉬프트 명령을 선택한 후, 제1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제2 방송 프로그램(예를 들어, '히어로즈')으로 채널 전환한 경우, 방송 수신기는 제2 방송 프로그램 '히어로즈'의 대표 썸네일을 부가 정보로부터 추출하거나,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후 출력할 수 있다.
즉, 제1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중 제2 방송 프로그램으로 채널 전환된 경우, 방송 수신기는 제2 방송 프램의 프로그램 제목 '히어로즈'(406), 방송 채널 'NBC'(407), 방송 상세 정보 중 소제목 'Our Father'(408), 방송 시간 'pm 6:00~7:00'(409)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402)을 생성하여 제2 방송 프로그램의 제2 썸네일 이미지(403) 앞에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방송 프로그램 선택 후, 채널 전환하여 제3 방송 프로그램 을 녹화하는 경우, 제3 방송 프로그램의 제3 썸네일 이미지(505) 앞에 제3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404)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타임 쉬프트 기능을 사용한 방송 프로그램 녹화 중 사용자가 채널 전환한 경우, 채널 전환된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타임 쉬프트 중 어떠한 방송 프로그램이 녹화되었는가를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 생성에 소요되는 계산 용량 및 저장 용량을 최소로 하면서 사용자에게 타임 쉬프트 중 채널 전환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녹화중 채널 전환된 방송 프로그램을 더욱 편리하고 다양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기는 추출되거나 생성된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의 리스트에 포함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에 포함하여 출력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송 수신기는 타임 쉬프트 기능을 사용하여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의 리스트 출력시, 각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정보(녹화 시간, 녹화된 기간) 등과 함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방송 프로그램이 녹화되었는지를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튜너(601), 저장 수단(602), 썸네일 이미지 추출 모듈(603),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 생성 모듈(604), 출력 모듈(606), 디스플레이부(606)를 포함한다.
튜너(601)는 사용자가 채널 선택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다.
저장 수단(602)은 소정의 튜너로 수신되는 제1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고,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중 채널이 전환되는 경우, 상기 채널 전환된 제2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한다
썸네일 이미지 추출 모듈(603)은 제1 방송 프로그램에서 제1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중 채널이 전환되는 경우, 상기 채널 전환된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에서 제2 썸네일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한다.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 생성 모듈(604)은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생성한다.
이 때,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 생성 모듈(604)은 제2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에서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 생성 모듈(604)은 제2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생성할 수도 있 다.
이 때,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 생성 모듈(604)은 제2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에 포함된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제목, 방송 시간, 방송 상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생성할 수 있다.
출력 모듈(605)은 상기 제1 썸네일 이미지,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 및 상기 제2 썸네일 이미지를 출력한다. 출력 모듈(605)에서 출력한 썸네일 이미지들 및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의 일실시예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출력 모듈(605)은 제1 썸네일 이미지와 상기 제2 썸네일 이미지 사이에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은 상기 제1 썸네일 이미지 또는 상기 제2 썸네일 이미지와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출력 모듈(605)은,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상기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에 포함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에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포함하여 출력하는 일실시예는 도 5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앞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이 도 6의 방송 수신기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내용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1 썸네일 이미지, 제2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고,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생성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1썸네일 이미지, 제2 썸네일 이미지 및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출력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1썸네일 이미지, 제2 썸네일 이미지 및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출력하는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에 포함하여 출력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1: 튜너
602: 저장 수단
603: 썸네일 이미지 추출 모듈
604: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 생성 모듈
605: 출력 모듈
606: 디스플레이부

Claims (14)

  1.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튜너로 수신되는 제1 방송 프로그램을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에서 제1 썸네일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중 채널이 전환되는 경우, 상기 채널이 전환된 제2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에서 제2 썸네일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썸네일 이미지,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 및 상기 제2 썸네일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에서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추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에 포함된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제목, 방송 시간, 방송 상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썸네일 이미지,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 및 상기 제2 썸네일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썸네일 이미지와 상기 제2 썸네일 이미지 사이에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은 상기 제1 썸네일 이미지 또는 상기 제2 썸네일 이미지와 구분되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상기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의 리스트에 포함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8.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소정의 튜너로 수신되는 제1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고,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중 채널이 전환되는 경우, 상기 채널 전환된 제2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저장 수단;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에서 제1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제1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중 채널이 전환되는 경우, 상기 채널 전환된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에서 제2 썸네일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썸네일 이미지 추출 모듈;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 생성 모듈; 및
    상기 제1 썸네일 이미지,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 및 상기 제2 썸네일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 생성 모듈은,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에서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 생성 모듈은,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 생성 모듈은,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에 포함된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제목, 방송 시간, 방송 상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제1 썸네일 이미지와 상기 제2 썸네일 이미지 사이에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은 상기 제1 썸네일 이미지 또는 상기 제2 썸네일 이미지와 구분되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프로그램 대표 썸네일을 상기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에 포함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KR1020080135822A 2008-12-29 2008-12-29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KR20100077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822A KR20100077782A (ko) 2008-12-29 2008-12-29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PCT/KR2009/001096 WO2010076917A2 (en) 2008-12-29 2009-03-05 Operating method of broadcasting receiver storing broadcasting program and broadcasting receiver enabling of the method
EP09836238A EP2374274A4 (en) 2008-12-29 2009-03-05 METHOD FOR OPERATING A BROADCAST RECEIVER STORING A BROADCASTING PROGRAM AND BROADCAST RECEIVER OPERATING THE METHOD
CN200980157060.1A CN102326385B (zh) 2008-12-29 2009-03-05 存储广播节目的广播接收机的操作方法和执行该方法的广播接收机
US12/407,573 US8666228B2 (en) 2008-12-29 2009-03-19 Operating method of a broadcasting receiver storing a broadcasting program and providing thumbnail images of a channel-switched broadcasting program while storing the broadcasting program, and a corresponding broadcasting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822A KR20100077782A (ko) 2008-12-29 2008-12-29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782A true KR20100077782A (ko) 2010-07-08

Family

ID=42285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822A KR20100077782A (ko) 2008-12-29 2008-12-29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66228B2 (ko)
EP (1) EP2374274A4 (ko)
KR (1) KR20100077782A (ko)
CN (1) CN102326385B (ko)
WO (1) WO201007691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67068A (zh) 1998-07-14 2006-11-22 联合视频制品公司 交互式电视节目导视系统及其方法
KR101531911B1 (ko) * 2008-09-30 2015-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CN103559194B (zh) * 2013-09-12 2017-08-08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搜索方法、服务器、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67068A (zh) * 1998-07-14 2006-11-22 联合视频制品公司 交互式电视节目导视系统及其方法
US7158713B2 (en) * 2000-09-27 2007-01-02 Victor Company Japan, Lt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3091903U (ja) * 2002-08-05 2003-02-21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記録装置
JP2004088466A (ja) * 2002-08-27 2004-03-18 Nec Corp ライブ映像配信システム
KR100608712B1 (ko) * 2004-01-06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N100505858C (zh) * 2004-05-13 2009-06-24 索尼株式会社 图像数据处理装置和图像数据处理方法
JP4539207B2 (ja) * 2004-07-21 2010-09-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レイリスト作成装置、その方法、ダビングリスト作成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60168542A1 (en) * 2005-01-25 2006-07-27 Microsoft Corporation Space efficient lists for thumbnails
KR100710339B1 (ko) * 2005-08-30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813047B1 (ko) 2005-12-12 200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 표시방법 및 장치
KR100667846B1 (ko) * 2005-12-21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챕터링 기능을 내장한 타임 시프트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및 이를 이용한 av 기기
JP4945236B2 (ja) * 2006-12-27 2012-06-06 株式会社東芝 映像コンテンツ表示装置、映像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WO2008083868A1 (en) * 2007-01-12 2008-07-17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and/or video data
EP1971142B1 (en) * 2007-03-14 2012-12-19 Sony Deutschland GmbH Method for displaying video pictures
JP4992594B2 (ja) * 2007-07-27 2012-08-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1396998B1 (ko) * 2007-08-29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 및 이 영상기기에서 녹화물을 디스플레이하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74274A4 (en) 2012-07-04
CN102326385A (zh) 2012-01-18
WO2010076917A3 (en) 2010-10-21
WO2010076917A2 (en) 2010-07-08
US8666228B2 (en) 2014-03-04
CN102326385B (zh) 2015-09-16
EP2374274A2 (en) 2011-10-12
US20100166393A1 (en)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88646B (zh) 显示关于广播内容的信息的方法和设备
KR20100036721A (ko)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JP2006245907A (ja) 放送記録再生装置
WO2008004749A1 (en) Method of displaying electronic program guid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86551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recording
KR20100077782A (ko)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CN101444090B (zh) 用于显示记录的装置和方法
KR101351017B1 (ko) 데이터 방송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방송 수신기
US8068717B2 (en) Television program recording/reproducing device
JP2007208965A (ja) 映像システムおよびその映像選択方法
EP2302899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rogram table display method
JP4645463B2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記録装置
KR100459194B1 (ko) Pvr 시스템의 정보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9176497A (ja) 電子機器および映像再生方法
JP2012034235A (ja) 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再生方法
JP2009159484A (ja) 放送受信装置
KR101596959B1 (ko)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107545A (ko) 영상출력기기의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10011317A (ko) 방송 수신기 및 타임 시프트 영상 검색 방법
KR20100118786A (ko) 방송 신호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JP3897033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101235994B1 (ko) 셋톱박스에 적용되는 이피지 정보 저장 방법
KR20070006461A (ko) 디지털 복합기의 퀵 부팅 방법
JP2010011395A (ja) 映像記録再生装置および映像記録再生方法
JP2013157073A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511

Effective date: 2016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