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6864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의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의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6864A
KR20100076864A KR1020090092411A KR20090092411A KR20100076864A KR 20100076864 A KR20100076864 A KR 20100076864A KR 1020090092411 A KR1020090092411 A KR 1020090092411A KR 20090092411 A KR20090092411 A KR 20090092411A KR 20100076864 A KR20100076864 A KR 20100076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cessing
setting
processing function
designated
execution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3145B1 (ko
Inventor
시오리 아라이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6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prior to start of transmission, input or output of the picture signal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16Multi-level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62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 H04N1/0097Storage of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customised instructions or different parameters for different user 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1/33369Storage of mode or retrieval of prestored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220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 H04N2201/33314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of reading or reproducing mode
    • H04N2201/33321Image or page size, e.g. A3, A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220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 H04N2201/33314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of reading or reproducing mode
    • H04N2201/33328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220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 H04N2201/33314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of reading or reproducing mode
    • H04N2201/33335Presentation, e.g. orientation, simplex,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220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 H04N2201/33378Type or format of data, e.g. colour or B/W, halftone or binary, computer image file or facsimil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복수의 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는, 기억부와, 지정부와, 기능 지정부와, 설정부와, 실행부를 구비한다. 기억부는,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기능의 실행을 위해 각각 설정되는 복수의 설정 항목과 각(各)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대응시킨 실행 조건을 적어도 1개 기억한다. 지정부는, 상기 적어도 1개 실행 조건으로부터 어느 하나를 지정한다. 기능 지정부는, 실행하는 정보 처리 기능을 지정한다. 설정부는, 상기 지정된 상기 실행 조건에 포함되는 상기 설정 항목 중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에서 설정가능한 적어도 1개의 설정 항목의 상기 설정 값을, 상기 지정된 상기 정보 처리 기능의 해당하는 적어도 1개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으로 설정한다. 실행부는, 상기 설정된 설정 값에 의거하여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을 실행한다.
기억부, 지정부, 기능 지정부, 설정부, 실행부, 정보 처리 장치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의 기억 매체{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의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복사 기능, 화상 판독 기능, 팩시밀리 통신 기능 등의 화상에 대한 복수의 정보 처리 기능(이하, 화상 처리 기능이라 함)을 구비한 화상 처리 장치에서는, 화상 처리 기능 및 화상 처리 기능에 대한 각종의 처리 항목의 설정이 이루어지고, 이 설정에 의거하여 화상 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화상 처리 장치에서는, 화상 처리 기능 및 화상 처리 기능에 대한 각종의 처리 항목의 설정 값(파라미터)을 미리 설정하고, 그 파라미터의 설정을 판독함으로써, 처리 기능 및 처리 기능에 대한 각종의 파라미터에 의거한 처리가 가능해 지는 구성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3-123925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4-67168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266466호).
이러한 화상 처리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복사 기능을 이용하여 원고 화상을 복사했을 때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팩시밀리 송신을 행할 경우도, 팩시밀리 기능을 선택한 후에, 각 항목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어느 정보 처리 기능에서 설정한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다른 정보 처리 기능의 설정 값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의 기억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복수의 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기능의 실행을 위해 각각 설정되는 복수의 설정 항목과 각(各)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대응시킨 실행 조건을 적어도 1개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적어도 1개 실행 조건으로부터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지정부와, 복수의 상기 정보 처리 기능으로부터 실행하는 정보 처리 기능을 지정하는 기능 지정부와, 상기 지정된 실행 조건에 포함되는 상기 설정 항목 중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에서 설정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설정 항목의 상기 설정 값을,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의 해당하는 적어도 1개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으로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된 설정 값에 의거하여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복수의 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이며,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기능의 실행을 위해 각각 설정되는 복수의 설정 항목과 각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대응시킨 실행 조건을 적어도 1개 기억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실행 조건으로부터 어느 하나를 지정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기능으로부터 실행하는 정보 처리 기능을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실행 조건에 포함되는 상기 설정 항목 중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에서 설정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설정 항목의 상기 설정 값을,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의 해당하는 적어도 1개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설정 값에 의거하여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컴퓨터에 정보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이며, 상기 정보 처리가, 복수의 정보 처리 기능의 실행을 위해 각각 설정되는 복수의 설정 항목과 각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대응시킨 실행 조건을 적어도 1개 기억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실행 조건으로부터 어느 하나를 지정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기능으로부터 실행하는 정보 처리 기능을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실행 조건에 포함되는 상기 설정 항목 중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에서 설정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설정 항목의 상기 설정 값을,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의 해당하는 적어도 1개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설정 값에 의거하여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들 태양에 의하면, 어느 정보 처리 기능에 대한 설정 값이 설정되어 있는 실행 조건을 사용하여, 다른 정보 처리 기능의 설정 값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상기 태양에서, 상기 기억부가, 또한 상기 설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처리 기능을 대응시켜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실행 조건을 기억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억되어 있는 실행 조건의 설정 항목 및 설정 값이, 어 느 정보 처리 기능을 위해 설정된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태양에서, 상기 설정부가,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과, 상기 지정된 실행 조건에 대응시켜진 정보 처리 기능이 다른 경우에, 양쪽의 정보 처리 기능 사이에서 공통의 상기 적어도 1개의 설정 항목에 대하여, 상기 지정된 실행 조건에 포함되는 상기 설정 값을,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의 설정 값으로 설정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등록할 때의 정보 처리 기능과, 재이용할 때의 정보 처리 기능이 다르더라도, 원하는 설정 값의 이용이 가능해 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복합기(10)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에는, 복합기(10)가 도시되어 있다. 복합기(10)는, 네트워크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기록지 등의 화상 형성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트 기능,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기록지에 형성하는 복사 기능,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판독하여 그 화상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캐너 기능, 및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판독하여 전화 회선 등의 통신 수단을 통하여 송신하는 팩시밀리 기능 등의 복수의 정보 처리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복합기(10)에서 는, 유저가 조작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정보 처리 기능으로서, 복사 기능, 스캐너 기능 및 팩시밀리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복합기(10)에는, 장치 상부에 원고 판독부(reading unit)(12)가 설치되고, 원고 판독부(12)의 아래쪽으로 화상 형성부(image formation unit)(14)가 배치되어 있다. 원고 판독부(12)는, 원고 커버(cover)(16) 내에 원고 반송부(conveyance unit)(18)를 구비하고 있다. 원고 반송부(18)는, 원고 커버(16)에 설치된 피더 트레이(feeder tray)(16A)에 장전된 원고(original)(20)를 순차적으로 인입하여 도시하지 않은 플래튼 글라스 위에 반송한다. 원고 판독부(12)에서는, 이 플래튼 글라스 위에 반송된 원고(20)에 기록된 화상을 판독하여, 화상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원고 반송부(18)는, 화상 판독이 종료한 원고(20)를 원고 배출 트레이(discharge tray)(16B) 위에 배출한다.
원고 판독부(12)에는, 유저에 의한 각종의 조작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22)가 설치되어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22)는, 각종의 정보의 표시가 행해지는 동시에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정보의 입력을 실현하는 표시 버튼이 표시되는 터치 패널 식의 디스플레이(24)와, 숫자 키나 시작 키 등의 하드웨어 키(26)를 포함하고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22)는, 디스플레이(24)의 표시 버튼이나, 하드웨어 키(26)에 의해, 예를 들면 복사 기능을 사용할 때의 배율, 팩시밀리 기능을 사용할 때의 통신처의 전화 번호 등의 각종의 정보가 입력됨으로써, 입력된 정보가 복합기(10)에 수신된다.
화상 형성부(14)는, 화상 형성 매체로서 사용되고 있는 기록지가 수용되는 급지 트레이(sheet feeding tray)(28)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부(14)에서는, 급지 트레이(28)로부터 기록지(recording sheet)를 1매씩 취출하고, 이 기록지를 반송하면서, 예를 들면 전자 사진 프로세스에 의해 화상 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형성한다. 또한, 화상 형성부(14)에서는, 화상 형성이 종료한 기록지를, 도시하지 않은 배지 트레이 상에 배출한다.
도 2에는, 복합기(10)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부(controller)(30)의 요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복합기(10)의 제어부(30)에는, 장치 전체의 동작을 담당하는 CPU(중앙 정보 처리 장치)(32)와, 각종의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34)과,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각종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억되는 ROM(Read 0nly Memory)(36)과, 각종의 데이터나 프로그램이 기억되는 HDD(Hard Disk Drive)(38)가 포함되어 있다. 이것들이 시스템 버스 등의 버스(Bus)(40)에 의해 접속되고, 일반적 구성의 컴퓨터가 형성되어 있다.
CPU(32)에서 실행되는 각종의 프로그램이나, CPU(32)에서의 처리에 사용되는 데이터 등은, ROM(36), HDD(38)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지만, 네트워크 등의 통신망, 통신 회선을 통하여 장치 외부로부터 데이터 신호로서 수신되는 것이어도 좋고, DVD-ROM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에 저장된 상태에서 제공되는 것이어도 좋다.
제어부(30)에는, 유저 인터페이스(22)에 접속되어, 유저 인터페이스(22)의 디스플레이(24)에의 각종의 정보 및 조작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부(display controller)(42)와, 유저 인터페이스(22)에 접속되어, 디스플레이(24)나 하드웨어 키(26)의 조작으로서 입력되는 조작 지시를 검출하는 조작 입력 검출부(operation input detector)(44)를 구비하고, 이것들이 버스(40)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30)는, 또한 원고 판독부(12)에 의한 광학적인 화상의 판독 동작, 및 원고 반송부(18)에 의한 원고 송신 동작을 제어하는 판독 제어부(reading controller)(46)와, 화상 형성부(14)에 의한 화상 형성 처리를 제어하는 화상 형성 제어부(image forming controller)(4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네트워크(통신망)(50)에 접속되어, 네트워크(50)에 접속된 화상 처리 단말 사이에서 통신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네트워크 I/F)부(52)와,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54)에 접속되어, 통신 회선(54)에 접속되어 있는 팩시밀리 기능을 구비한 것 외의 팩시밀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팩시밀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팩시밀리 인터페이스(팩시밀리 I/F)부(56)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30)에서는, 표시 제어부(42)를 통한 유저 인터페이스(22)의 디스플레이(24)에의 조작 화면의 표시, 및 각종의 메시지 등의 정보의 표시 제어와, 판독 제어부(46)를 통한 원고 반송부(18)를 포함하는 원고 판독부(12)의 작동 제어와, 화상 형성 제어부(48)를 통한 화상 형성부(14)의 작동의 제어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2)를 통한 통신 데이터의 송수신의 제어와, 팩시밀리 인터페이스부(56)를 통한 팩시밀리 데이터의 송수신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30)에서는, CPU(32)가 조작 입력 검출부(44)에 의해 검출되는 조작 정보에 의거하여 유저 인터 페이스(22)에서의 조작 내용의 파악이 행해지고, 이 조작 내용에 의거하여 각종의 제어가 행해진다.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 복합기(10)에서는, 디스플레이(24)에 복사 기능을 선택하는 카피 버튼, 스캐너 기능을 선택하는 스캐너 버튼, 및 팩시밀리 기능을 선택하는 팩시밀리 버튼이 포함되는 메뉴 화상이 표시되고, 이 메뉴 화면으로부터, 어느 버튼이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 검출한 버튼 조작에 따른 정보 처리 기능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복합기(10)에서는, 카피 버튼의 조작이 검출되면 카피 기능(복사 기능)을 실행하는 카피 모드에서 이행으로 한다. 이때에, 제어부(30)에서는, 디스플레이(24)에 카피 모드용의 조작 화면이 표시되고, 이 조작 화면상에서, 유저에 의해, 복사 매수, 배율, 기록지 사이즈, 컬러 모드인가 흑백 모드인가 등의 각종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 값의 설정(이하, 파라미터의 설정이라 함)이 될 수 있다. 이 후에, 제어부(30)에서는, 시작 버튼의 조작이 검출되면, 원고(20)에 기록된 화상을 판독하고, 판독한 화상을 기록지에 형성한다.
또한, 제어부(30)에서는, 팩스 버튼이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 팩시밀리 기능(팩시밀리 송신)을 실행하는 팩시밀리 모드로 이행하고, 스캐너 버튼이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 스캐너 기능을 실행하는 스캐너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복합기(10)의 카피 모드, 팩시밀리 모드 및 스캐너 모드에서의 화상 처리는, 기지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복합기(10)에서는, 미리 정보 처리 기능, 및 정보 처리 기능에 대한 각종의 설정 항목의 파라미터(설정 값)를 설정하고, 이것들을 일괄한 설정 정보를 실행 조건으로 하여,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HDD(38) 등의 기억 매체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이 정보 처리 기능에 의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설정하는, 복수의 설정 항목과 그 설정 값의 조합이 실행 조건으로서 기억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이의 실행 조건에는, 카피 기능(카피 모드), 팩시밀리 기능(팩시밀리 모드), 스캐너 기능(스캐너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정보 처리 기능(처리 모드)과, 그 정보 처리 기능에 적용하는 설정 항목의 파라미터(설정 값)가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설정 항목과 그 설정 값의 세트로서의 실행 조건을, 재이용하기 위해서 등록해 두는 기능을 잡 메모리라 부를 경우가 있다. 또한, 등록한 실행 조건(정보) 자체도 잡 메모리라 부를 경우가 있다.
즉, 유저는, 복수의 정보 처리 기능 중 어느 하나의 정보 처리 기능을 실행하는 것에서, 설정이 필요한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입력·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설정 항목에 대하여 설정 값을 입력한 경우에, 후일, 동일한 설정을 재이용하고 싶을 경우에는, 복수의 설정 항목 및 각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실행 조건을, HDD(38) 등에 저장해 둔다. 그때는, 모든 설정 항목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재이용을 바라는 설정 항목만을 선택하고, 선택된 설정 항목과 그 설정 값을 실행 조건으로 하여 기억해 두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정보 처리 기능에 대한 설정 항목을 실행 조건으로 하여 등록할 때에, 어느 정보 처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조건이었는지의 정보를, 실행 조건으로 하여 기억해도 좋다.
예를 들면, 카피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복사 기능의 설정 항목으로서, 복사 배율, 판독 원고의 한면/양면 설정, 농도를 설정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이때의 실행 조건으로서, 복사 배율, 한면/양면 설정, 농도를, 각각의 설정 값(파라미터)과 함께 잡 메모리(실행 조건)로서 기억한다. 이때에, 기억된 잡 메모리(실행 조건)가 카피 기능을 위한 설정인 것을 함께 기억해 두어도 좋다.
후일, 카피 기능을 동일한 설정에 의해 다시 이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유저는 기억해 둔 잡 메모리(실행 조건)를 판독하고, 설정 항목마다의 파라미터를 처리에 반영할 때마다, 동일한 파라미터에 의해 동일한 출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재이용하는 것에 맞추어서, 기억해 둔 실행 조건이 호출되어서 처리에 반영되지만, 그 이외의 설정 항목에 대해서는, 그때마다 유저가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도 좋다. 또한, 호출된 설정 항목의 파라미터에 관해서도, 일단 파라미터를 반영한 후에, 유저에 의해 설정 변경이 입력된 경우에는, 새롭게 입력된 파라미터가 반영되어도 좋다.
도 3에는, 카피 모드, 팩시밀리 모드, 스캐너 모드의 각각 대한 설정 항목이 도시되어 있다. 복합기(10)에서는, 카피 모드 및 스캐너 모드에서, 배율 설정, 원고의 화질 설정, 농도 설정, 샤프니스(sharpness) 설정, 판독 원고의 한면/양면의 설정, 원고 사이즈 입력, 여백 주기 설정, 페이지 연사 설정, 컬러 모드 설정, 원고의 바탕색 제거 설정 등의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이 가능하며, 이것들의 설정 항목이 모드 사이에서 공통된 설정 항목으로 되어 있다. 또한, 카피 모드에서는, 이것에 부가하여, 기록지에의 출력에 대한 설정 항목으로서, 애노테이션 설정, 스테이플 설정, 샘플 카피 설정, 양면/한면 출력 설정 등이 있고, 이것들에 대한 파라 미터의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복합기(10)에서는, 팩시밀리 모드로, 배율 설정, 원고의 화질 설정, 카피 모드의 원고 농도에 대응하는 송신 농도 설정, 카피 모드의 한면/양면 설정에 대응하는 양면 원고 보냄 설정, 카피 모드의 원고 사이즈에 대응하는 판독 사이즈 등의 설정 항목의 각 파라미터의 설정이 가능해져 있고, 이것들의 설정 항목은 다른 모듈과 공통된 설정 항목으로 간주할 수 있다.
잡 메모리에서는, 이것들의 설정 항목마다의 파라미터가 설정된다. 제어부(30)에서는, 등록된 잡 메모리를 호출하는 조작이 검출되면, 잡 메모리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24)에 표시한다.
도 4에는, 디스플레이(24) 위에 잡 메모리를 표시하는 그래피컬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6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GUI(60)에서는, 잡 메모리의 리스트로서, 등록 번호와 등록 명칭이 표시되고, 번호 버튼(62)을 조작함으로써, 대응하는 잡 메모리가 선택된다. 또한, 잡 메모리의 리스트가 복수 화면에 걸칠 때에는, 업 버튼(62A), 다운 버튼(62B)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잡 메모리가 전환되는 등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잡 메모리의 리스트를 호출하는 기능은, 예를 들면 유저 인터페이스(22)의 디스플레이(24)에 소프트웨어 키로서 표시해도 좋고, 또한 하드웨어 키(26)로서 복합기(10) 본체에 설치하고 있어도 좋다. 디스플레이(24)로 표시하는 소프트웨어 키를 채용할 때에는, 카피 모드, 스캐너 모드, 팩시밀리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디스플레이(24)에 표시되는 메인 메뉴는, 카피 모드, 스캐너 모드, 팩시 밀리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을 때에, 선택된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24)에 표시되는 설정 메뉴 상에, 리스트 표시용의 버튼이 표시되는 것으로서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하드웨어 키(26)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유저 인터페이스(22)에 잡 메모리를 호출하는 하드웨어 키(26A)(도 5b 참조)가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4)로 표시하는 메인 메뉴로서, 도 5a에 도시되는 GUI(64)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GUI(64)에서는, 카피 모드를 선택하는 카피 버튼(66), 팩시밀리 모드를 선택하는 팩스 버튼(68), 스캐너 모드를 선택하는 스캐너 버튼(70) 등이 표시된다. 또한, 복합기(10)에서는, 스캐너 모드에서 판독한 원고(20)의 화상(화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로서, 복합기(10)의 HDD(38)에 보존하는 박스 보존과, 지정된 화상 처리 단말(퍼스널 컴퓨터 등)에 전자 메일의 첨부 파일로서 송신하는 메일 송신, 지정된 화상 처리 단말에 전송하는 PC 보존이 가능해져 있고, 스캐너 버튼(70)으로서 스캐너 버튼(70A, 70B, 70C)이 표시된다.
또한, 도 5b에는, 도 5a의 GUI(64)에서 스캐너 버튼(70A)이 조작되었을 때의 디스플레이(24)의 표시의 일례인 GUI(72)가 도시되어 있다. 이 GUI(72)에서는, 수신처 명(名)이 되는 전자 메일 주소(이하, 메일 주소라 함)의 입력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메일 주소는, 수신처 표 버튼(74A)의 조작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서 기억되어 있는 수신처 표로부터의 선택이 가능해서, 키보드 버튼(74B)의 조작에 의해, 하드웨어 키(26), 또는 디스플레이(24)에, 예를 들면 팝업(pop-up) 메뉴로서 표시하는 소프트웨어 키를 사용한 입력이 선택된다.
이 GUI(72)에는, 복수의 탭(76)(여기에서는, 일례로서 탭(76A, 76B, 76C, 76D, 76E)이 설치되어 있고, 복합기(10)에서는, 탭(76A ∼ 76E)을 선택하면서, 각각의 탭(76)으로 표시되는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 값의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합기(10)에서는, 도 5b의 GUI(72)가 표시되어 있을 때에, 하드웨어 키(26)에 설치되어 있는 잡 메모리 버튼(26A)이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 등록필만의 잡 리스트의 GUI(60)(도 4 참조)가 표시되어, 미리 잡 메모리에 등록하고 있는 설정 값을 사용한 처리가 가능해 진다.
또한, 잡 메모리는, 정보 처리 기능(이하, 처리 모드)을 지정하고, 지정한 처리 모드에 대한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설정하는 것이다. 복합기(10)에서는, 잡 메모리에서 지정되어 있는 처리 모드와 다른 처리 모드에 대하여, 잡 메모리의 설정 값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복합기(10)에서는, 카피 모드로서 등록된 잡 메모리를 이용하여, 이 잡 메모리에서 설정되어 있는 설정 값을, 팩시밀리 모드 또는 스캐너 모드에 적용되도록 설정 값의 전개를 행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피 모드와 팩시밀리 모드에서는, 배율 설정, 원고의 화질 설정, 농도 설정, 양면 한면 설정(양면 원고 보냄 설정), 원고 사이즈 입력 설정(판독 사이즈 설정)의 설정 항목이 공통하고 있다. 또한, 카피 모드와, 스캐너 모드에서는, 배율 설정, 원고의 화질 설정, 농도 설정, 샤프니스 설정, 양면 한면 설정(양면 원고 보냄 설정), 원고 사이즈 입력 설정(판독 사 이즈 설정), 여백 주기 설정, 페이지 연사 설정, 컬러 모드 설정, 바탕색 제거 설정의 설정 항목이 공통하고 있다.
여기로부터, 복합기(10)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부(30)에서는, 다른 처리 모드 사이에서 공통하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는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 값의 설정을 공통하여 이용하도록 전개 처리를 행한다.
제 1 실시예에서의 잡 메모리를 사용한 화상 처리를 설명한다.
도 6에는, 잡 메모리를 사용한 화상 처리의 개략을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30)는 유저 인터페이스(22)의 디스플레이(24)에 메인 메뉴로 이루어지는 GUI(64)를 표시하고(스텝(100)), 스텝(102)에서 어느 처리 모드가 지정된 것을 검출하면, 스텝(104)에서, 지정된 처리 모드의 조작 화면(예를 들면, GUI(72))을 표시하고, 지정된 처리 모드로 이행한다.
스텝(106)에서, 하드웨어 키(26)로서 설치되어 있는 잡 메모리 버튼(26A)이 조작된 것을 검출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잡 리스트 버튼(26A)의 조작이 검출되지 않으면, 스텝(106)에서 부정 판정하여 스텝(108)으로 이행한다. 스텝(108)에서는, 메뉴얼 설정에서의 각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 값이 설정되고, 설정된 설정 값을 사용한 화상 처리를 실행한다.
잡 메모리 버튼(26A)이 조작된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스텝(106)에서 긍정 판정되어서 스텝(110)으로 이행하고, 등록되어 있는 잡 메모리의 리스트(GUI(60))를 표시한다.
잡 메모리의 표시가 선택되었지만, 어느 잡 메모리도 지정되지 않고, 취소 (리스트 표시의 취소)되는 등으로 했을 때에는, 스텝(112)에서 부정 판정되어서 스텝(108)으로 이행하고, 통상의 화상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대하여, 어느 잡 메모리가 지정된 것을 검출하면, 스텝(110)에서 긍정 판정하여 스텝(114)으로 이행한다. 스텝(114)에서는, 현재의 처리 모드와, 선택된 잡 메모리에서 설정되어 있는 처리 모드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스텝(104)에서 카피 모드로 이행했을 때에, 카피 모드에 설정되어 있는 잡 메모리가 지정되면, 스텝(114)에서 긍정 판정하여 스텝(116)으로 이행한다.
스텝(116)에서는, 잡 메모리에서 설정되어 있는 설정 값을, 그대로, 화상 처리를 행하는 설정 값으로서 설정하고, 설정한 설정 값에 의거한 화상 처리를 실행한다(스텝(118)).
이에 대하여, 현재의 처리 모드와, 지정한 잡 메모리에서 설정되어 있는 처리 모드가 다를 때에는, 스텝(114)에서 부정 판정하여 스텝(122)으로 이행한다. 스텝(122)에서는, 잡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설정 항목 중 공통하는 설정 항목의 설정 값(공통 파라미터)을 현재의 처리 모드의 설정 값으로 하여 사용하는지의 여부의 확인을 재촉하는 표시를 디스플레이(24)에 표시하고, 설정 값의 전개 지시가 입력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복합기(10)가 스캐너 모드로 이행하고 있을 때에, 도 4의 GUI(60) 상의 1번에 등록되어 있는 카피 잡의 잡 메모리가 지정되었을 때에는, 메모리 잡에 등록된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스캐너 모드에서 사용하는 지의 여부의 확인을 재촉한다. 도 7a 및 도 7b에는, 이때에 디스플레이(24)에 표시하는 확인 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 확인 화면은, 팝업 표시 등에서 잡 리스트에 중복하여 표시하는 등의 표시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a에 도시되는, GUI(78)에서는, 잡 메모리를 스캐너 모드에 전개하는 지의 여부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시에, 전개를 지시하는 버튼(80A)과, 지정을 취소하는 버튼(80B)이 표시된다. 또한, 도 7b에 도시되는 GUI(82)에서는, 파라미터가 전개되는 설정 항목을 도시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버튼(80A)이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 도 6에서는, 스텝(122)에서 긍정 판정되어서 스텝(124)으로 이행한다. 스텝(124)에서는, 잡 메모리에서 설정되어 있는 설정 값을, 스캐너 모드의 파라미터로 하여 전개하고, 스캔 모드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설정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캔 모드의 초기 설정 값으로서, 컬러 모드가 흑백(2계조), 양면 원고 보냄이 한면, 원고 화질이 문자, 출력 파일 형식이 TIFF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 이들의 설정 값에 도 5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정된 잡 메모리의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컬러 모드가 풀 컬러, 양면 원고 보냄이 한면, 원고 화질이 문자/사진, 출력 파일 형식이 PDF 등이 설정된다.
도 6의 흐름도에서는, 이 후, 스텝(120)으로 이행하여, 설정한 설정 값을 사용한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실제의 처리에서는, GUI(72) 상에서,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GUI(78, 82)에서 버튼(80B)의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스텝(122)에서 부정 판정되어서 스텝(108)으로 이행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텝(110)으로 이행하여, 새로운 잡 메모리의 지정을 재촉하도록 하고, 새로운 잡 메모리의 지정이 되지 않았을 때에, 스텝(108)으로 이행해도 좋다. 또한, 도 7c에 도시하는 GUI(78A)와 같이, 버튼(80C)을 설치하고, 이 버튼(80C)이 조작된 것을 검출했을 때에, 지정한 잡 메모리에서 설정되어 있는 처리 모드(여기에서는, 카피 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예시적인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와 동등의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처리 모드가 지정된 상태에서 잡 메모리를 지정했을 때의 흐름을 설명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잡 메모리를 지정했을 때에, 지정한 잡 메모리의 설정 값을 적용하는 처리 모드를 지정할 때를 예로 설명한다.
도 8에는, 제 2 실시예의 화상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 흐름도는, 처리 모드의 지정에 앞서, 스텝(130)에서 잡 메모리를 지정하는 메뉴 화면이 표시되도록 실행된다.
도 9a에는, 이의 메뉴 화면의 일례로서 디스플레이(24)에 표시되는 GUI(84)가 도시되어 있다. 이 GUI(84)에는, 소프트웨어 키로서 잡 메모리 버튼(86)이 설치되어 있고, 이 GUI(84) 상에서 잡 메모리 버튼(86)의 조작이 검출됨으로써, 등록되어 있는 잡 메모리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도 8의 흐름도에서는, 잡 메모리 버튼(86)이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 스텝(132)에서 잡 메모리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도 9b에는, 이의 잡 리스트의 일례로서 디스플레이(24)에 표시하는 GUI(60A)가 도시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잡 메모리로부터 처리 모드를 지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GUI(60A)에는, 잡 메모리에서 설정되어 있는 처리 모드를 지정할 경우와, 잡 메모리에서 설정되어 있는 처리 모드 이외의 처리 모드를 지정할 경우에 조작이 다른 것을 도시하는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번호 버튼(62)을 조작하여 잡 메모리를 지정한 때에는, 그대로 잡 메모리에서 설정되어 있는 처리 모드로 이행하도록 한다. 또한, 하드웨어 키(26)로서 설치되어 있는 # 키(26B)를 펑션 키(function key)로서, # 키(26B)를 조작하면서 또는 # 키(26B)를 조작한 후에 번호 버튼(62)을 조작하여 잡 메모리를 지정함으로써, 지정한 잡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설정 값을 전개하는 처리 모드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8의 흐름도에서는, 스텝(134)에서 다른 처리 모드로의 전개하는 지시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잡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처리 모드에서의 처리를 행하도록 잡 메모리가 지정된 것을 검출하면, 스텝(134)에서 부정 판정하여 스텝(136)으로 이행한다. 스텝(136)은, 도 6의 스텝(108)에 상당하고, 지정된 잡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처리 모드로 이행하고, 잡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설정 값에 의거한 화상 처리를 실행가능하게 한다.
이에 대하여, 지시된 잡 메모리의 설정 값을 다른 처리 모드로 전개하는 지시가 검출되면, 스텝(134)에서 긍정 판정하여 스텝(138)으로 이행한다. 스텝(138)에서는, 설정 값을 전개하는 처리 모드의 지정을 유저에 요구한다.
도 10a에는, 이때에 디스플레이(24)에 표시하는 선택 화면의 일례로 하는 GUI(88)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a에서는, 도 9b의 GUI(60A)에서 표시되는 1번에 등록되어 있는 카피 모드의 잡 메모리를 지정한 것으로 하고 있다.
이 GUI(88)에는, 소프트웨어 키로서 카피 버튼(90A), 팩스 버튼(90B), 스캔 버튼(90C)이 표시되고, 이것에 부가하여, 취소 버튼(90D)이 표시되어 있다. 지정한 잡 메모리가 카피 모드의 잡 메모리인 것으로부터, GUI(88)에서는, 카피 버튼(90A)의 조작이 가능하지 않도록 하고 있고, 팩스 버튼(90B) 또는 스캔 버튼(90C)의 조작에 의해 전개처의 처리 모드가 지정된다. 또한, 취소 버튼(90D)의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잡 메모리의 리스트 화면(GUI(60A))으로 돌아간다. 또한, 이 GUI(88)는, 팝업 화면으로서 표시되는 것이어도 좋다.
도 8의 흐름도에서는, 스텝(140)에서 처리 모드의 지정이 검출된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처리 모드의 지정 조작이 검출되면, 스텝(140)에서 긍정 판정하여 스텝(142)으로 이행한다.
스텝(142)에서는, 잡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설정 값을, 지정된 처리 모드로 전개하는지의 여부의 확인 화면을 표시하고, 설정 값(파라미터)의 전개 지시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설정 값의 전개 지시가 된 것을 검출하면 스텝(142)에서 긍정 판정하여, 스텝(144)으로 이행한다. 스텝(144)에서는, 잡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설정 값 중 전개처의 처리 모드에서 적용가능한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전개처의 처리 모드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으로서 설정한다. 즉, 잡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처리 모드 와, 전개처로 하는 처리 모드의 사이에서, 공통하고 있는 설정 항목(공통 항목)에 대한 설정 값이 전개된다. 또한, 스텝(146)에서는, 지정된 처리 모드에서의 화상 처리가 가능해지도록 한다. 또한, 이 스텝(144, 146)은 도 6의 스텝(124, 120)의 처리에 상당한다.
도 10b에는, 전개 확인 화면의 일례로서 디스플레이(24)에 표시하는 GUI(82A)를 도시하고 있다. 이 GUI(82A)에는, 버튼(80A) 및 버튼(80B)이 표시되고, 설정 값의 전개를 지시하는지(버튼(80A)), 처리의 취소를 행할지(버튼(80B))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도 10b에서는, 팩시밀리 모드가 전개처로서 지정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는, 잡 메모리의 파라미터가 전개된 일례로 하는 팩시밀리 모드의 조작 화면으로 하는 GUI(92)를 도시하고 있다. 이 GUI(92)에서는, 복수의 탭(94)(여기에서는, 탭(94A, 94B, 94C, 94D))이 설치되고, 탭(94) 마다 분류되어 있는 설정 항목에 대한 설정 값의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GUI(92)에서는, 잡 메모리에 등록된 설정 값이 전개됨으로써, 초기값에 대한 설정이, 송신 농도 설정이 보통(중간)으로부터 약간 짙게 설정되어, 원고 화질 설정이 문자로부터 문자/사진으로 설정되고, 또한 송신 화질 설정이 보통으로부터 고화질로 설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설정된 설정 값은, GUI(92) 상에서 더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정보 처리 장치로서의 복합기(10)에서는, 실행 조건인 잡 메모리와, 정보 처리 기능인 처리 모드가 지정된 것이 검출되고, 또한 지정된 처리 모드와 잡 메모리에서 설정되어 있는 처리 모드가 다를 때에, 잡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설정 값을, 지정된 처리 모드의 설정 값으로 하여 전개하고, 지정된 처리 모드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으로 하여 설정한다.
지정된 처리 모드와, 잡 메모리에서 설정되어 있는 처리 모드에서 공통하고 있는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지정된 처리 모드의 해당 설정 항목의 설정 값으로 하여 설정하도록 설정 값의 전개를 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설정된 설정 값을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카피 모드에 설정된 잡 메모리의 설정 값을 이용하여 원고(20)를 복사했을 때와 동일한 마무리를 얻을 수 있도록, 스캔 모드에 의한 화상 데이터의 보존, 팩시밀리 모드에 의한 원고 화상의 송신을 행할 수 있다.
복합기(10)에서는, 잡 메모리를, 잡 메모리에 설정되어 있는 처리 모드와 다른 처리 모드에 적용하도록 지정함으로써, 잡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설정 값을, 지정한 처리 모드에 전개할 수 있다.
또한, 복합기(10)에서는, 처리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처리 모드의 설정이 지정되어 있는 처리 모드와 다른 잡 메모리를 지정했을 때에, 지정한 잡 메모리 설정 값을, 지정되어 있는 처리 모드에 전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잡 메모리의 설정 값을 이용하여, 다른 처리 모드에서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의 설정을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복합기(10)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기지(旣知)의 방법 으로 화상 형성을 행하는 것 외의 임의의 화상 처리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복사 기능, 팩스 통신 기능, 스캐너 기능을 구비한 복합기(10)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카피 기능과 팩시밀리 기능 등 적어도 2종 이상의 정보 처리 기능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복합기의 개요의 사시도.
도 2는, 복합기에 설치되는 제어부의 요부의 구성도.
도 3은, 정보 처리 기능마다의 설정 값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표.
도 4은, 제 1 실시예에서 잡 메모리의 지정에 이용하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는 메인 메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b는 설정 값으로서 초기값이 설정된 스캐너 모드의 조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c는 도 5b로부터 설정 값으로서 잡 메모리의 설정 값이 설정된 스캐너 모드의 조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화상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a ~ 7c는 각각 확인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화상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9a는 잡 메모리의 판독에 사용하는 메뉴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잡 메모리의 지정에 사용하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확인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설정 값으로서 잡 메모리의 설정 값이 설정된 팩시밀리 모드의 조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복합기
12 : 원고 판독부
14 : 화상 형성부
16 : 원고 커버
18 : 원고 반송부
20 : 원고
22 : 유저 인터페이스
24 : 디스플레이
26 : 하드웨어 키
28 : 급지 트레이
30 : 제어부
32 : CPU
34 : RAM
36 : ROM
38 : HDD
40 : 버스
42 : 표시 제어부
44 : 조작 입력 검출부
46 : 판독 제어부
48 : 화상 형성 제어부
50 : 네트워크
52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54 : 통신 회선
56 : 팩시밀리 인터페이스

Claims (9)

  1. 복수의 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기능의 실행을 위해 각각 설정되는 복수의 설정 항목과 각(各)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대응시킨 실행 조건을 적어도 1개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적어도 1개 실행 조건으로부터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지정부와,
    복수의 상기 정보 처리 기능으로부터 실행하는 정보 처리 기능을 지정하는 기능 지정부와,
    상기 지정된 실행 조건에 포함되는 상기 설정 항목 중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에서 설정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설정 항목의 상기 설정 값을,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의 해당하는 적어도 1개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으로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된 설정 값에 의거하여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가, 또한 상기 설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처리 기능을 대응시켜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실행 조건을 기억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가,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과, 상기 지정된 실행 조건에 대응시켜진 정보 처리 기능이 다른 경우에, 양쪽의 정보 처리 기능의 사이에서 공통의 상기 적어도 1개의 설정 항목에 대하여, 상기 지정된 실행 조건에 포함되는 상기 설정 값을,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의 설정 값으로 설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복수의 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기능의 실행을 위해 각각 설정되는 복수의 설정 항목과 각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대응시킨 실행 조건을 적어도 1개 기억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실행 조건으로부터 어느 하나를 지정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기능으로부터 실행하는 정보 처리 기능을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실행 조건에 포함되는 상기 설정 항목 중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에서 설정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설정 항목의 상기 설정 값을,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의 해당하는 적어도 1개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설정 값에 의거하여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하는 것이, 또한 상기 설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처리 기능 을 대응시켜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실행 조건을 기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과, 상기 지정된 실행 조건에 대응시킨 정보 처리 기능이 다른 경우에, 양쪽의 정보 처리 기능 사이에서 공통의 상기 적어도 1개의 설정 항목에 대하여, 상기 지정된 실행 조건에 포함되는 상기 설정 값을,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의 설정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7. 컴퓨터에 정보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정보 처리가,
    복수의 정보 처리 기능의 실행을 위해 각각 설정되는 복수의 설정 항목과 각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대응시킨 실행 조건을 적어도 1개 기억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실행 조건으로부터 어느 하나를 지정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기능으로부터 실행하는 정보 처리 기능을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실행 조건에 포함되는 상기 설정 항목 중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에서 설정 가능한 적어도 1개의 설정 항목의 상기 설정 값을,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의 해당하는 적어도 1개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설정 값에 의거하여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억 매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하는 것이, 또한 상기 설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처리 기능을 대응시켜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실행 조건을 기억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억 매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과, 상기 지정된 실행 조건에 대응시켜진 정보 처리 기능이 다른 경우에, 양쪽의 정보 처리 기능 사이에서 공통의 상기 적어도 1개의 설정 항목에 대하여, 상기 지정된 실행 조건에 포함되는 상기 설정 값을, 상기 지정된 정보 처리 기능의 설정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기억 매체.
KR1020090092411A 2008-12-26 2009-09-29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의 기억 매체 KR101313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34899A JP2010157890A (ja) 2008-12-26 2008-12-26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JP-P-2008-334899 2008-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864A true KR20100076864A (ko) 2010-07-06
KR101313145B1 KR101313145B1 (ko) 2013-09-30

Family

ID=42284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411A KR101313145B1 (ko) 2008-12-26 2009-09-29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의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165373A1 (ko)
JP (1) JP2010157890A (ko)
KR (1) KR101313145B1 (ko)
CN (1) CN1017717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9748B2 (ja) * 2011-10-24 2015-10-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335544B2 (ja) * 2013-04-08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3830760A4 (en) * 2018-08-03 2022-03-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SUMPTION IDENTIF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6048B2 (ja) * 1989-10-06 1994-08-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操作手順一括登録装置
JP2001337765A (ja) * 2000-05-26 2001-12-07 Sharp Corp アイコンによる印刷制御操作システム
DE10040739B8 (de) * 2000-08-17 2012-09-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ensor zur Bestimmung des Niveaus und der Temperatur einer Flüssigkeit
US8116615B2 (en) * 2003-04-24 2012-02-14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storage medium, and program
JP4843987B2 (ja) * 2005-04-05 2011-12-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315167B2 (ja) * 2006-05-17 2009-08-19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71780A (zh) 2010-07-07
JP2010157890A (ja) 2010-07-15
US20100165373A1 (en) 2010-07-01
CN101771780B (zh) 2014-02-12
KR101313145B1 (ko) 201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411B1 (ko) 데이터 출력 장치, 데이터 출력 방법, 및 기억 매체
US8854639B2 (en) Control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ading device
JP6342689B2 (ja) 操作装置、並びに、操作装置を備える電子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9285987B2 (en) Opera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isplay format receiver for receiving instructions from a user for selecting a display format
JP4810213B2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6193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nforming function
JP5059141B2 (ja) 操作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3013646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4748785B2 (ja) 情報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記憶媒体、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313145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의 기억 매체
JP2006120087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5801354B2 (ja) 画像形成装置
JP4673037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5105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55451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2007249546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479627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47493A (ja) 印刷装置、複合機、印刷方法
JP5804239B2 (ja) 電子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256230B2 (ja) 操作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557756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548778B2 (ja) 操作装置、並びに、操作装置を備える電子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561455B2 (ja) 操作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4940043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2010103593A (ja) 画像送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