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6122A - 2단 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2단 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6122A
KR20100076122A KR1020080134055A KR20080134055A KR20100076122A KR 20100076122 A KR20100076122 A KR 20100076122A KR 1020080134055 A KR1020080134055 A KR 1020080134055A KR 20080134055 A KR20080134055 A KR 20080134055A KR 20100076122 A KR20100076122 A KR 20100076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rack
automatic warehouse
rack structure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4841B1 (ko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4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841B1/ko
Publication of KR20100076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단 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버켓을 2단으로 적재하여 랙 내에 보관하는 자동창고에서 랙 내의 일정 지점에 행거 존을 구성하여 출고작업 이전에 제품 분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출하시간의 단축 및 화물 반송설비의 가동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2단 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2단 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은, 버켓을 2단으로 적재하여 랙 내에 보관하는 랙 구조물이 구비된 자동창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랙 내에는 2단으로 적재된 버켓을 스태커크레인을 매개로 랙 내에서 분리 및 재적재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행거 존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자동창고, 랙, 버켓, 2단적재, 행거존, 컨베이어, 스태커크레인

Description

2단 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TWO STEP BUCKET SEPARATING APPARATUS OF AUTOMATIC WAREHOUSE}
본 발명은 2단 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켓을 2단으로 적재하여 랙 내에 보관하는 자동창고에서 랙 내의 일정 지점에 행거 존을 구성하여 출고작업 이전에 제품 분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출하시간의 단축 및 화물 반송설비의 가동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2단 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 자동화 분야에서 자동창고 시스템의 적용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인데, 상기 자동창고 시스템은 각종 하물의 보관을 위한 랙(rack)을 갖는 랙구조물이 구비되고, 상기 하물을 자동창고 내.외부로 선택적으로 입고시키거나 출고시키기 위한 컨베이어가 설치되며, 상기 랙구조물 측에는 랙구조물 사이에 설치된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측의 하물을 랙구조물에 입고시키거나 상기 랙구조물에 보관된 하물을 컨베이어 측을 통해 출고시키기 위한 스테커크레인이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랙구조물의 랙(rack) 내에 소정 하물을 보관할 시에는 하물 의 보관 및 이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버켓을 2단으로 적재하여 랙 내에 보관하도록 자동창고가 구성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버켓을 2단으로 적재하여 보관하는 자동창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자동창고의 랙(20) 내에는 버켓(10)이 2단으로 적재되어 보관된 상태에서, 소정 하물의 출하 시에는 스태커크레인(30)을 매개로 2단으로 적재된 버켓(10)이 랙구조물로부터 출고된 후, 컨베이어(40) 상에서 2단 버켓(10)의 분리 및 분류작업이 진행되게 된다.
또한, 상기 버켓(10)의 분리 및 분류작업을 통해 제품이 출하됨과 아울러, 생산동으로부터 제품이 공급되면 다시 잔량 버켓(10)은 2단으로 적재된 상태로 컨베이어(40)를 매개로 이동된 후 자동창고의 랙(20) 내에 재입고 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버켓을 2단으로 적재하는 자동창고에서는 거래처별로 버켓제품을 출하시킬 경우에 자동창고에서 스태커크래인을 매개로 2단으로 적재된 제품을 출고한 후 컨베이어 상에서 제품을 분리 및 분류하여 출하라인으로 반송시키게 되므로, 이는 잔량 버켓이 발생하는 빈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버켓의 처리물동량을 증대시켜 출하지연 및 반송설비의 가동부하를 높이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버켓을 2단으로 적재하여 랙 내에 보관하는 자동창고에서 랙 내의 일정 지점에 행거 존을 구성하여 출고작업 이전에 제품 분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출하시간의 단축 및 화물 반송설비의 가동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2단 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2단 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은, 버켓을 2단으로 적재하여 랙 내에 보관하는 랙 구조물이 구비된 자동창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랙 내에는 2단으로 적재된 버켓을 스태커크레인을 매개로 랙 내에서 분리 및 재적재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행거 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행거 존은 상기 랙 내부의 양 측벽에 판형의 플레이트를 절곡 형성한 걸림부재가 상호 대응되게 설치됨에 따라 구성되어, 2단 적재된 버켓 중 상측 버켓의 양측 걸턱이 상기 걸림부재에 안착되어 매달리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버켓을 2단으로 적 재하여 랙 내에 보관하는 자동창고 시스템에서 랙 내의 일정 지점에 행거 존을 구성하므로서, 제품의 출고작업 이전에 버켓을 분리하여 제품 분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에, 제품 출하시간의 단축 및 화물 반송설비의 가동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물동량 처리능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설비 투자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단 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이 적용된 랙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2단 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을 통한 버켓의 분리 및 재적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2단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은, 특정 제품이 수납된 다수 개의 버켓(10)을 각각 2단으로 적재한 상태로 랙(20) 내에 보관하도록 랙 구조물이 구비된 자동창고 시스템에서, 상기 랙(20) 내의 일정 위치에 적어도 한 개이상의 행거 존(H)을 추가로 구성하여 2단으로 적재된 버켓(10)을 스태커크레인(30)을 매개로 랙(20) 내에서 분리 및 재적재한 후 출고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달성된다.
즉, 상기 자동창고 시스템은 특정 제품이 보관된 버켓(10)을 2단으로 적재하기 위한 다수 개의 랙(rack)(20)이 배열되어 이루어진 랙구조물과, 하물이 수납된 버켓(10)을 자동창고 내.외부로 선택적으로 입고시키거나 출고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컨베이어 및, 상기 랙구조물 측에 구비되어 상기 랙구조물 사이에 설치된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어장치의 운전제어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 측의 하물이 수납된 버켓(10)을 랙구조물의 해당 랙(20) 내에 입고시키거나 상기 랙구조물의 랙(20)에 보관된 하물이 수납된 버켓(10)을 컨베이어 측으로 출고시키기 위한 스테커크레인(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랙 구조물의 특정 랙(20) 내에는 행거 존(H)을 구성하도록 랙(20) 내부의 양 측벽에 판형의 플레이트를 절곡 형성하여 구성한 걸림부재(22)가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된다.
또, 상기 랙(20)의 양측벽에 구비되는 걸림부재(22)와 대응되도록 버켓(10)의 양측에는 걸턱(12)이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2단 적재되어 상기 랙(20) 내에 보관된 버켓(10) 중 상측 버켓(10a)의 양측 걸턱(12)을 상기 행거 존(H)의 걸림부재(22)에 안착시켜 매달리도록 한 후, 스태커크레인(30)을 매개로 하측 버켓(10b)만을 분리시켜 이동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걸림부재(22)를 통해 구성되는 행거 존(H)은 상기 랙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의 랙(20) 내에 복수 개로 구성할 수가 있으며, 그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자동창고 시스템에서 하물이 수납된 버켓(10)을 보관하는 랙(20) 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행거 존(H)을 설치하여 랙 구조물을 구성한 후, 2단으로 적재된 버켓(10)을 랙(20) 내에서 분류작업을 행하는데 있어서는,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버켓(10)을 랙(20)의 행거 존(H) 측으로 입고시킨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태커그레인(30)의 케리지를 하강시켜 2단으로 적재된 버켓(10) 중 상측에 위치한 버켓(10a)의 걸턱(12)이 행거 존(H)에 구비된 한 쌍의 걸림부재(22)에 걸려 걸림부재(22)를 통해 허공에 걸쳐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c에서와 같이 상기 2단 버켓(10)에서 분리된 하측 버켓(10b)을 랙(20)의 반대편 공간으로 이동시켜 다른 버켓(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태커크레인(30)의 캐리지를 상승시켜 한 쌍의 버켓(10)이 2단으로 적재되도록 하므로서, 랙(20) 내에서 2단으로 적재된 버켓(10)을 분리 및 재결합시켜 버켓(10)에 수납된 제품이나 점포 등에 따라 버켓(10)을 재결합 하거나 랙(20) 내에서 재배치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이를 통해 자동창고 시스템의 랙(20) 내에 구비된 행거 존(H)을 이용하여 2단으로 적재된 버켓(10)을 제품종류나 거래처 등에 따라 출고작업 이전에 사전 분류작업을 실시할 수가 있게 되므로, 출하시간 단축 및 스태커그레인(30) 및 컨베이어 등을 비롯한 각종 하물 반송설비의 가동부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버켓을 2단으로 적재하여 보관하는 자동창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단 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이 적용된 랙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2단 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을 통한 버켓의 분리 및 재적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버켓, 12: 걸턱,
20: 랙, 22: 걸림부재,
30: 스태커크레인, 40: 컨베이어,
H: 행거 존.

Claims (2)

  1. 버켓을 2단으로 적재하여 랙 내에 보관하는 랙 구조물이 구비된 자동창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랙 내에는 2단으로 적재된 버켓을 스태커크레인을 매개로 랙 내에서 분리 및 재적재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행거 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존은 상기 랙 내부의 양 측벽에 판형의 플레이트를 절곡 형성한 걸림부재가 상호 대응되게 설치됨에 따라 구성되어, 2단 적재된 버켓 중 상측 버켓의 양측 걸턱이 상기 걸림부재에 안착되어 매달리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
KR1020080134055A 2008-12-26 2008-12-26 2단 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 KR101014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055A KR101014841B1 (ko) 2008-12-26 2008-12-26 2단 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055A KR101014841B1 (ko) 2008-12-26 2008-12-26 2단 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122A true KR20100076122A (ko) 2010-07-06
KR101014841B1 KR101014841B1 (ko) 2011-02-15

Family

ID=4263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055A KR101014841B1 (ko) 2008-12-26 2008-12-26 2단 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8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5818A (ja) 1996-07-19 1998-02-10 Kawasaki Steel Corp 対組み自動倉庫
JP2001328703A (ja) 2000-05-22 2001-11-27 Murata Mach Ltd 自動倉庫
JP4552766B2 (ja) * 2005-06-10 2010-09-29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保管設備
JP4841960B2 (ja) 2006-01-19 2011-12-21 濱中ナット株式会社 ワークの保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4841B1 (ko) 201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2747B2 (ja) 注文調達及び保管ユニットの補充の方法
US10822166B2 (en) Object storage, handling, and retrieving system and method
JP6279730B2 (ja) 選別ステーションで保管ユニットを調製することによる注文調達方法
US9694975B2 (en) Lift interface fo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JP6321794B2 (ja) 選別ステーションにおいて所望の順序で保管ユニットを保管設備から利用できるようにすることによる注文調達方法
CN108438689B (zh) 一种基于智能立体仓库的拆零缓存方法及仓储系统
NZ745103A (en) Transport and handover system for storing and removing or relocating storage goods in high-bay warehouses, and storage and retrieval machine
US8851827B2 (e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order-picking or consolidating articles
EP2949604B1 (en) Method of commissioning in a storage facility having a plurality of lifts
JP2018167950A (ja) 自動物流システム
US20170217681A1 (en) Sorting system and sorting method
US8342792B2 (en) Article separation directly on storage and retrieval device
EP3182348A1 (en) Method of order fulfilling by making storage units available from a storage facility in a desired sequence at a picking station
WO2020066885A1 (ja) ピッキング荷合わせシステム
US20200385211A1 (en) Method of order fulfilling by making storage units available from a storage facility in a desired sequence at a pack station
EP3129306B1 (en) A multi-storey goods storage arrangement
JP2006103873A (ja) 仕分け設備
JP7111256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
AU2019291110B2 (en) System and method of order fulfilment
KR101014841B1 (ko) 2단 버켓 분리를 위한 자동창고의 행거 시스템
JP2008143610A (ja) 仕分保管装置
JP7275602B2 (ja) 自動倉庫制御装置及び自動倉庫のクレーン割付方法
KR20110101520A (ko) 자동물류용 소터장치
KR102309683B1 (ko) 머신러닝 자동 창고 시스템
JPH031472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