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6040A - 오디오 콘텐츠 청취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콘텐츠 청취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6040A
KR20100076040A KR20107011169A KR20107011169A KR20100076040A KR 20100076040 A KR20100076040 A KR 20100076040A KR 20107011169 A KR20107011169 A KR 20107011169A KR 20107011169 A KR20107011169 A KR 20107011169A KR 20100076040 A KR20100076040 A KR 20100076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resentation content
display
identifiers
pres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7011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9036B1 (ko
Inventor
아파르 툴리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76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15/00Data processing: presentation processing of document, operator interface processing, and screen saver display processing
    • Y10S715/977Dynamic icon, e.g. animated or live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콘텐츠 식별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되는 미디어 제공자로부터 실질적 라이브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오디오 콘텐츠 청취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listening to audio content}
개시된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 말하면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인터넷이나 공중파 라디오 방송국들 같은 라이브 (live) 오디오 콘텐츠를 서치할 때, 그러한 오디오 콘텐츠의 선택은 느리게 진행되는 프로세스이다. 오디오 콘텐츠는 일반적으로 리스트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표시되거나, 사용자가 방송국들 사이를 스크롤 할 수 있도록 방송국별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공중파 라디오 방송의 경우, 한 방송국 식별자가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기기의 한 입력을 조작할 때 디스플레이가 다른 방송 식별자를 보일 수 있게 되고, 여기서 방송 식별자들은 한 번에 하나씩 표시된다 (가령, 한 번에 하나씩 라디오 방송국들 사이를 스크롤 함). 방송국 식별자들은 일반적으로 상승하는 번호 순이나 하강하는 번호의 순으로 표시된다. 라디오 방송국들이 가령 주파수 스펙트럼 대의 양극단에 자리할 때 한 라디오 방송국에서 다른 라디오 방송국으로 전환하는 것은 지리한 일이 된다. 특정 라디오 방송국들과 결부되도록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램된 라디오 사전 설정사항들 (presets)이 라디오 방송국들을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사전 설정된 라디오 방송국들 역시 일반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그 사전 설정된 방송국들 사이를 스크롤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정의 리스트 안에 디스플레이된다.
또 다른 예로서, 인터넷 라디오 방송의 경우,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 식별자들은 일반적으로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된다.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들을 브라우징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방송을 선택한 후 오디오 콘텐츠가 기기의 메모리에 버퍼링 될 때까지 대기하지 않으면,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콘텐츠를 청취하거나 샘플링할 수 없다. 각각의 방송국이 선택될 때 그 각각의 방송을 버퍼링하는 것은 느리면서도 또한 다른 인터넷 오디오 콘텐츠를 샘플링하는 흐름을 깨게 된다.
다른 오디오 콘텐츠를 신속하고도 직관적인 방법으로 샘플링할 수 있다면 유익할 것이다.
한 양태로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에 해당하는 콘텐츠 식별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한 콘텐츠 식별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하는 미디어 제공자로부터 실질적인 라이브 (live)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로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그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데, 이때 그 프로세서는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을 선택하고,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에 해당하는 콘텐츠 식별자들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한 콘텐츠 식별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하는 미디어 제공자로부터 실질적인 라이브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즉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양태로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기기의 메모리 안에 수록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청구항들에 개시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수록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로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그 시스템은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의 선택 및 미디어 제공자의 선택을 일으키도록 구성된 입력부, 선택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의 미디어 제공자들에 해당하는 콘텐츠 식별자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와 연결되어, 해당 콘텐츠 식별자의 선택시 선택된 미디어 제공자로부터 실질적 라이브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즉시 제공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로도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의 선택 및 미디어 제공자의 선택을 일으키도록 구성된 입력부, 선택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의 미디어 제공자들에 해당하는 콘텐츠 식별자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와 연결되어, 해당 콘텐츠 식별자의 선택시 선택된 미디어 제공자로부터 실질적 라이브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즉시 제공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기 양태들 및 기타 특징들이,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선택된 이하의 상세 내용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실시예들의 양태들이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의 블록도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개시된 실시예들의 양태들이 적용될 수 있는 전형적 환경의 예이다.
도 3은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스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a-3h는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형적 스크린 샷들의 도해들이다.
도 4a-4j는 개시된 실시예들의 한 양태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형적 스크린 샷들의 도해들이다.
도 4k 및 4l은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형적 콘텐츠 식별자들의 도해들이다.
도 5는 개시된 실시예들의 한 양태에 따라 기기에서의 전형적 오디오 콘텐츠 선택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개시된 실시예들의 한 양태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형적 스크린 샷의 도해이다.
도 7a 및 7b는 개시된 실시예들의 양태들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기기 예들의 도해들이다.
도 8은 개시된 실시예들의 양태들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특징들을 포함하는 전형적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7a 및 7b의 전형적 기기들이 사용될 수 있는 전형적 시스템의 일반 구조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은 개시된 실시예들의 양태들이 사용될 수 있는 시스템(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양태들은 도면에서 보이고 이하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해 설명되겠지만, 그 양태들이 여러 대안적인 형태들로도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임의의 적절한 사이즈, 모양 또는 종류의 구성요소들 또는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 같은 기기나 시스템의 사용자가 기기에서 수신된 임의의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신속하고도 직관적으로 샘플링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는, 기기로 방송되고,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전에 기기에서 버퍼링 되거나 기기에 의해 획득될 ("pre-fetched)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콘텐츠일 수 있다 (종합하여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라고 부름).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는 임의의 적절한 미디어 제공자로부터 획득될 수 있는 아날로그나 디지털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나,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디어 제공자들은 가령 공중파 라디오나 텔레비전 방송국들(200a-200n)이나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들(210a-210n)로부터의 라이브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방송들, 혹은 인터넷이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가능한 오디오/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나, 그러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예로 들 목적에 따라, 가령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국들로부터의 공중파 오디오 콘텐츠는 임의의 알맞은 주파수들 (가령, AM (amplitude modulation), FM (frequency modulation), VHF (very high frequency) 및 UHF (ultra high frequency)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역시 예로 들기 위한 것으로서, 디지털 비디오 방송들은 DVB-H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T (digital video broadcast-terestrial, DVB-SH (digital video broadcast-satellite to handheld) 및 DVB-MDS (digital video broadcast-multipoint video distribution systems)와 같은 비한정적 예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프로토콜들을 이용해 시스템(100)에서 송수신 될 수 있다. 그러나, 개시된 실시예들이 라디오 및/또는 텔레비전 프레젠테이션 콘텐츠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았으므로, 임의의 적절한 오디오 또는 비디오 콘텐츠가 이하에 개시되는 것과 거의 유사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음악 재생기, 비디오 재생기 및 팟 캐스트 (podcast) 재생기들을 포함하나 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닌 임의의 적절한 미디어 재생기들에 적용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신속하게 미디어 제공자 (가령, 라디오, 텔레비전 등등)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콘텐츠 식별자들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것을 허용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또한, 사용자가 경험하는 (가령, 인터넷 방송의 버퍼링은 그 방송을 샘플링할 때 사용자에게 그대로 보여진다) 인터넷 프레젠테이션 콘텐츠의 버퍼링 타임을 최소화하는 한편 인터넷 기반의 프레젠테이션 콘텐츠의 빠른 샘플링도 지원한다.
일 실시예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입력 기기(104), 출력 기기(106), 네비게이션 모듈(122), 애플리케이션 영역(180), 저장/메모리 기기(182) 및 송수신기(17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70)는 아날로그나 디지털 공중파 전송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유무선 접속을 통해 인터넷으로 송수신 되는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 개시된 구성요소들은 단지 예로 들기 위한 것으로 시스템(100)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구성요소들을 다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았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은 모바일 통신 기기나 다른 그런 인터넷 및 애플리케이션 수행이 가능한 기기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기기의 애플리케이션들에는 비한정적인 예들로서 데이터 포착 (가령, 이미지, 비디오 및 사운드) 및 멀티미디어 재생기들 (가령, 비디오 및 음악 재생기들)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들에서 시스템(100)은 다른 적절한 기기들 및 그러한 기기 안에서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모니터하고 데이터를 포착하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기기(104) 및 출력 기기(106)는 별개의 기기로서 보이고 있지만, 일 실시예에서 입력 기기(104)와 출력 기기(10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2)를 구성하는 일부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2)는 아래에 설명되는 것과 같이 공중파나 인터넷 방송에 부수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나 근접 스크린 (proximity screen) 기기를 포함하는 기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여기 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양태들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애플리케이션들이나 시스템 콘텐츠의 선택 및 활성화를 가능하게 할 임의의 적절한 기기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선택" 및 "터치"라는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여기서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관련해 기술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그 용어들은 다른 입력 기기들과 관련해 요구되는 사용자 액션을 포괄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스크린 기기와 관련해, 사용자는 한 오브젝트나 다른 정보를 선택하기 위해 직접적인 접촉을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술한 용어들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그냥 기기와 근접한 거리 안에 있기만 해도 된다는 의미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스크린 기기와 관련해 "터치"라는 용어는 직접적인 접촉을 의미하기보다 근접 기기를 작동시키는 근거리 또는 근접 접촉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의도된 기기들의 범위는 하나의 터치나 접촉 기기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개 이상의 손가락들이나 다른 포인팅 기기들에 의한 접촉이 스크린과 그 주변에서 네비게이션 할 수 있는 멀티-터치 기기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포괄되는 것으로 의도되고 있다. 비 터치 기기들 역시 개시된 실시예들에 의해 포괄되도록 되어 있다. 비 터치 기기들은 비한정적인 예로서, 터치 스크린이나 근접 스크린 없이, 가령 시스템의 키들(110)을 통해서나 시스템의 음성 인식 기능에 따른 음성 명령들을 통해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네비게이션이 수행되는 기기들을 포함한다.
도 3 역시 참조하면,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스의 일례를 예시한 흐름도가 보여진다. 일례에서, 시스템(100)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14) 상에 표시할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을 선택한다 (도 3, 블록 300). 임의의 알맞은 개수의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들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일례에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들은 프레젠테이션 콘텐츠가 지리적 영역별, 장르별, 또는 사용자 정의 그룹화 방식별로 그룹화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비한정적 예로서, 락 음악에 대한 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 재즈 음악에 대한 한 방송 그룹, 핀란드 헬싱키 시에 있는 라디오 방송국들에 대한 한 방송 그룹, 이용가능한 텔레비전 방송들에 대한 한 방송 그룹 등등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에 따라 서로 그룹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들은 공중파 방송 및 인터넷 방송에 대해 별개의 그룹 짓기를 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인터넷 방송 및 공중파 방송이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들 중 한 개 이상의 그룹 안에서 서로 혼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 그룹은 인터넷 기반 라디오 방송국들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한 그룹은 공중파 기반의 라디오 방송국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삼의 그룹은 인터넷과 공중파 라디오 방송국들이 혼재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들은, 비한정적 예들로서 시스템(100)의 임의의 적절한 메뉴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100)의 멀티미디어 재생기 애플리케이션들 (가령,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재생기 애플리케이션들)의 메뉴들이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령 비한정적 예로서 하드 키나 소프트 키(110)를 포함하는 어떤 적절한 방식의 임의의 알맞은 메뉴로부터, 혹은 터치 스크린이나 근접 스크린(112)의 한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 블록 310).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을 선택할 때인 도 3a-3d를 참조할 때, 콘텐츠 식별자(391)가 애니메이션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3a-3d는 소정 시간 주기 동안 디스플레이의 맨 위를 향해 "슬라이드" 되거나 스크롤 되는 콘텐츠 식별자들을 도시한다. 다만 예로 들기 위한 것으로서, 타임 라인(395)이 보여지고 적어도 한 라인의 콘텐츠 식별자들이 가령 0.5초라는 시간 동안 슬라이드 되어 보여진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그 시간 주기는 0.5초를 넘거나 그에 못 미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디스플레이는 도 3a에서 "Jacaranda"에 해당하는 현재 선택된 미디어 제공자를 나타낸 미디어 제공자 섹션(390)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한 미디어 제공자로부터 다른 하나로 전환할 때, 새로 선택된 미디어 제공자(392)는 미디어 제공자들의 리스트(391) 안에서 여기 기술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 될 수 있다. 새로 선택된 미디어 제공자의 식별자(394)가 섹션(390) 안으로 스크롤 또는 "슬라이드" 되어 들어오는 한편, 이전 미디어 제공자의 식별자는 섹션(390) 밖으로 슬라이드 되어 나갈 수 있다. 이 예에서, 미디어 제공자 식별자(394)는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미디어 제공자 식별자들은 어떠한 적절한 방향으로라도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섹션(390) 내 미디어 제공자 식별자의 변경은 비한정적인 예로서 페이드인/아웃 (fading in/out)을 포함하는 임의의 알맞은 방식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
도 3e-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식별자들(396)은 시스템(100)이 그 콘텐츠 식별자들(396)을 검색하거나 스캔하고 있다는 것이 보여 지게 하는 리스트 형식으로 보여 질 수도 있다. 이 예에서, 가령 백색 잡음으로 된 바(397)가 콘텐츠 식별자들의 리스트 안에 표시된다. 도 3e-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식별자(398)는 바(397) 안에 서서히 나타날 수 있다. 콘텐츠 식별자(398)가 완전히 디스플레이될 때 바는 도 3h에 도시된 것처럼 도 3a-3g와 관련해 위에서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또 다른 콘텐츠 식별자의 표시를 위해 리스트의 다음 라인으로 이동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콘텐츠 식별자들은 임의의 알맞은 방식 (가령 애니메이션을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는 방식) 및 임의의 적절한 설정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이제 도 4a-4c를 참조하면, 콘텐츠 식별자들(450)은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은 리스트 구성(410')이나 도 4c에 도시된 것 같은 그리드 구성(410)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콘텐츠 식별자들은 디스플레이 상에서 임의의 적절한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시스템(100)은 도면의 460에 보이는 것 같이 리스트와 그리드 구성들 사이를 스위칭하는 메뉴(460)를 제공할 수 있다. 메뉴는 도 4b에 도시된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적절한 구성으로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단지 예로 들기 위해, 이하에서 논의되는 예들에서 콘텐츠 식별자들은 도 4c에 보여진 그리드 구성과 관련해 설명될 것이지만 이하의 예들은 도 4a의 리스트 구성이나 어떤 다른 적절한 콘텐츠 식별자 구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이제 도 4c를 참조하면, 전형적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메뉴 또는 그룹 배치가 시스템(100)의 디스플레이(114) 등에 표시된다.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메뉴(410)는 어떤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이 선택되는지에 반응하여 그에 따라 표시된다. 단지 예로 들기 위한 것으로서, 도 4c에 도시된 선택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은 콘텐츠 식별자들(400a-400h)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콘텐츠 식별자들은 핀란드 헬싱키라는 지리적 영역 내 공중파 라디오 방송국 식별자들에 해당하지만, 다른 예들에서 메뉴(410) 및 콘텐츠 식별자들(400a-400h)은 어떠한 적절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에라도 부수될 수 있다. 여기서 기술되는 예들은 라디오 방송국들과 관련하여 기술되고 있지만, 이 예들이 여기 논의된 어떠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에라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 예에서, 그리드는 디스플레이(114) 상에서의 가용 스크린 공간 등에 따라 사이즈 (가령, 행과 열들의 수)가 가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식별자들은, 식별자들 전부를 보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스크롤 (가령, 상/하로, 혹은 좌/우로) 할 필요 없이, 전체 그리드가 디스플레이(114) 상에 표시되도록 사이즈가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한 콘텐츠 식별자(400a-400h)의 선택을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스크롤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크롤 지시자(470)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스크롤 지시자는 콘텐츠 식별자들(400a-400h)에 해당하는 꽉 채운 블록들(470a)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롤 지시자는 또, 이를테면 아직 버퍼링 되지 못한 콘텐츠 식별자들에 해당하는 빈 블록들(470b)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크롤 지시자는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식별하고 그들 사이를 스크롤 하게 하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롤 지시자(470)의 임의의 알맞은 부분을 선택해, 시스템(100)이 디스플레이 상에 해당 식별자들(400a-400h)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콘텐츠 식별자들은 사용자에게, 해당하는 라디오 방송국을 식별하는 임의의 적절한 이미지, 텍스트 또는 기타 지시자일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예에서, 식별자들(400a-400h)은 라디오 방송국 로고 이미지들이다. 콘텐츠 식별자들(400a-400h)은, 가령 라디오 방송국들, 그들의 주파수 및 라디오 방송국들 각자와 관련된 식별자들의 데이터베이스나 디렉토리 및 라디오 방송국들에 관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메타데이터를 구비한 백 엔드 (back end) 서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음)를 비한정적 예로서 포함하는 어떤 알맞은 방식에 따라 취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데이터베이스는 임의의 알맞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시스템(100)의 사용자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에 따라 라디오 방송국을 선택함으로써 (도 3, 블록 370) 콘텐츠 식별자들(400a-400h)에 대응하는 라디오 방송국들 중 하나 이상을 샘플링할 수 있다. 콘텐츠 식별자(400a-400h)를 활성화 또는 선택하는 일은 일반적으로, 입력 기기를 터치하거나 누르거나 이동하는 것을 포함해 콘트롤들을 선택하거나 활성화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포함한다. 입력 기기(104)가, 일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 패드나 근접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는 콘트롤(112)을 포함할 때, 터치 또는 근접 스크린과의 사용자 접촉이 필요한 입력을 제공할 것이다. 일례에서, 사용자는 가령 시스템(100)의 터치/근접 스크린(112) 상의 식별자(400d) 같이 원하는 방송국 식별자를 터치할 수 있다. 식별자가 선택될 때 그 식별자가 선택되었다는 것이 하이라이트 되거나 임의의 알맞은 방식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자(400d) 같은 선택된 식별자를 나타내기 위해 선택 식별자(430)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 4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식별자가 선택될 때, 그것은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이라이트 되고/되거나 임의의 알맞은 방식으로 디스플레이의 별도 부분(43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e에 도시된 예에서, 식별자(400d)는 확대되어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메뉴(410) 옆에 표시된다. 선택 식별자(430) 및/또는 도 4e에 도시된 확대된 식별자는, 일 실시예에서 애니메이션이 시스템(100)에 의해 제공되는 뮤지컬 콘텐츠의 비트 등에 동기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가령, 식별자의 적열 (glowing) 및 페이딩 (fading)) 애니메이션형 식별자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선택 식별자(430)나 별도의 영역(430')은 선택된 콘텐츠 식별자(400a-400h)를 나타내기 위한 임의의 알맞은 캐릭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기기(104)가 일례로서 키패드를 포함하는 기기를 구비할 수 있는 경우, 한 키를 누르는 것이 한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입력 기기(104)의 콘트롤(110)이 멀티기능 라커 스타일 스위치나 조이스틱(560) 역시 포함할 경우, 그 스위치(560)는 식별자들(400a-400h)을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례에서, 멀티기능 라커 키(560)는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 식별자(430)를 식별자(400d) 같은 라디오 방송국 식별자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도 5에서, 라커 키(560)는 방송국 식별자(580)로부터 방송국 식별자(585)로 선택 식별자(430)를 이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방송국 식별자들(400a-400h)를 선택하는 데 음성 인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스크롤 휠 (scroll wheel)이나 트랙 볼 (track ball) 기기가 사용되어 방송국 식별자들(400a-400h)을 선택할 수 있다.
라디오 프레젠테이션 콘텐츠의 선택시, 시스템(100)은 해당 라디오 방송국 주파수에 주파수에 즉시 튜닝하여 그 라디오 방송국으로부터의 라이브 방송을 제공한다 (도 3, 블록 380).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때,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의 외관이 바뀌면서 해당 콘텐츠가 제공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배경으로 해당 라디오 주파수를 튜닝해, 튜닝이 일어나는 것이 사용자에게 명확히 보이게 한다. 시스템(100)은 또 라디오 방송국 이름과 주파수(420)를, 가령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4)의 임의의 적절한 영역 안에서 보여줄 수도 있다. 다른 콘텐츠 식별자들(400a-400h)이 선택될 때 라디오 주파수는 선택된 방송국의 주파수에 재튜닝 되고 그것이 명확히 보여진다.
이제 도 4f를 참조하면, 다만 예로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메뉴(410')가 콘텐츠 식별자들(500a-500h)이 그리드 포맷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콘텐츠 식별자들(500a-500h)은 도 4a에 도시된 리스트 포맷을 비한정적 예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콘텐츠 식별자들(500a-500h)은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들에 대응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 식별자들은 임의의 알맞은 미디어 콘텐츠 제공자에 대응할 수도 있을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메뉴 및 콘텐츠 식별자들의 그리드와 선택은 도 4c와 관련해 위에서 기술한 사항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예에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메뉴(410')가 선택될 때 시스템(100)은 그리드 안에 식별되는 임의의 적절한 수의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과 자동 접속하여 그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들 각각에서 현재 재생중인 콘텐츠의 클립을 다운로드 및 사전 버퍼링한다(pre-buffer, 가령, 청취나 미리보기를 위해 개별 방송국이 선택되기 전에 콘텐츠를 버퍼링함) (도 3, 블록 320). 예를 들어 시스템(100)은 한 번에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들 중 셋과 접속해 클립들을 사전 버퍼링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시스템(100)은 세 개를 초과하거나 그에 못 미치는 수의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들에 접속해 클립들을 사전 버퍼링할 수도 있다. 사전 버퍼링 된 콘텐츠의 클립들은 가령 15초와 같은 어떤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클립 길이는 15초를 넘거나 그에 못 미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클립 길이는 시스템(100)의 사용자에 의해 시스템(100)의 메뉴를 통하는 등의 어떤 적절한 방식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다. 클립들은 임시로 메모리(182) 같은 메모리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콘텐츠 식별자들 중 하나, 가령 식별자(500d)를 선택할 때 (도 3, 블록 330), 사전 버퍼링 된 콘텐츠가 즉시 시스템(100)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도 3, 블록 340). 한 식별자가 선택될 때 콘텐츠가 버퍼링 되지 못했으면, 버퍼링이 일어나는 동안 애니메이션, 이미지 또는 메시지 등의 도 4g에 도시된 것 같은 버퍼 대기 표시자(490)가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버퍼 대기 표시자(490)는, 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이 디스플레이를 위해 선택될 때처럼, 한 식별자가 선택되기 전에 시스템(100)이 미디어 제공자에게 접속할 때에도 표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버퍼 대기 표시자(490)는 가령 해당 콘텐츠가 버퍼링 되고 있는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 안이나 그 위와 같이 디스플레이(114)의 어떤 적절한 영역에서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전 버퍼링 된 콘텐츠 식별자와 버퍼 대기 콘텐츠 식별자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h-4j를 참조할 때, 식별자들(400a, 400b) 같이 해당 콘텐츠가 사전 버퍼링 된 콘텐츠 식별자들은 어둡거나 단색으로 되거나, 외관이 불투명할 수 있다. 해당 콘텐츠가 아직 버퍼링 되지 않은, 식별자들(400c, 400h) 같은 콘텐츠 식별자들은 밝거나 희미하거나 반투명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식별자들의 콘텐츠가 버퍼링 될 때, 해당 콘텐츠 식별자들 (도 4i 및 4j의 식별자들400c, 400h) 참조)의 외관은 더 진해지거나 더 불투명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4k를 참조할 때, 버퍼 진행 바(401)가 식별자(400e) 같은 콘텐츠 식별자 아래와 같은 곳에서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식별자(400e)의 콘텐츠가 버퍼링 될 때, 진행 바는 차츰 진해지거나 채워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진행 바는 자신과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와 임의의 알맞은 위치관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미리 보기 콘텐츠의 버퍼링이 임의의 적절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에게 나타내질 수도 있다.
한 예에서, 각자의 콘텐츠를 버퍼링하는 것과 관련해, 이용하고자 선택된 인터넷 방송국들의 샘플링이 다른 방송국들에 비해 우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 콘텐츠의 버퍼링은, 어떤 적절한 수의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들에 대해 그들과의 동시발생적 데이터 접속을 이용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한 예에서, 도 4l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식별자(400e) 같이, 한 선택된 콘텐츠 식별자가 선택되기만 하고 취득될 수는 (가령 버퍼링 되거나 튜닝 될 수는) 없을 때, 그 콘텐츠 식별자는 콘텐츠 식별자(400e')에 보인 것처럼 "백색 잡음"이나 전파잡음 (static)으로 나타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버퍼링 될 수 없거나 튜닝 될 수 없는 임의의 콘텐츠 식별자는 백색 잡음으로 나타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콘텐츠 식별자들이 버퍼링 되거나 튜닝 될 수 없다는 임의의 적절한 표시가,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와의 어떤 적절한 위치 관계 안에서 표시될 수도 있다.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들의 콘텐츠 클립들 (가령, 콘텐츠 미리 보기들)은, 이를테면 임의의 적절한 시간의 주기 뒤에 갱신 (refresh) 될 수 있다 (도 3, 블록 350). 예를 들어, 2초 후, 시스템(100)은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들에 재접속하고 업데이트 된 콘텐츠 클립을 다운로드 또는 버퍼링함으로써, 방송국들이 샘플링될 때, 사용자가 선택된 방송국들에서 현재 재생중인 것들을 계속해서 고지받을 수 있게 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갱신 주기는 2초를 넘거나 그에 못 미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들에서 사용자가 시스템(100)의 메뉴 등을 통해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그러한 갱신 주기를 선택하거나 설정할 수도 있다.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 콘텐츠의 갱신은 자동적이고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된다. 콘텐츠의 사전 버퍼링 및 콘텐츠의 갱신은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들에서 재생중인 콘텐츠의 라이브에 가까운 즉각적 샘플링을 가능하게 한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시스템(100)의 세 전형적 스크린 샷들(600a-600c)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스크린 샷 (600a)에 도시된 것 같은 식별자(600) 같은 콘텐츠 식별자를 선택하고 소정 시간 동안 가령 그 식별자에 대응되는 방송국에 초점을 맞춘 채로 있을 경우 (즉, 다른 방송국들을 샘플링하지 않고 선택된 방송국에만 주의를 기울임), 선택된 콘텐츠 식별자(600)는 이를테면 임의의 적절한 방식을 통해 스크린 샷(600c)에 도시된 것 같은 "now playing (지금 재생)" 보기로 전환한다. 소정 시간이란 임의의 적절한 시간 주기에 해당할 수 있다. 일례에서 소정 시간 주기는 시스템(100)의 제조 중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아니면 적절한 소프트웨어의 설치 중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소정 시간 주기는 사용자 설정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소정 시간 주기는 백엔드 (backend) 서버에 의해 통제되거나 시스템(100)에 의해 접근될 수 있다. 현재 재생되는 보기에서, 콘텐츠 식별자(600)는 시스템(100)의 디스플레이(114)를 실질적으로 꽉 채운다. 다른 예들에서, 선택된 식별자(600)는 디스플레이(114)의 임의의 적절한 부분을 채우도록 전환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콘텐츠 식별자(600)는 도 6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 "줌인 (zoom in)" 될 수 있으나, 다른 예들에서 콘텐츠 식별자는 도 4d 및 4e에 도시된 것 (가령, 확대된 콘텐츠 식별자)과 거의 유사한 방식 등과 같은 어떤 적절한 방식을 통해 현재 재생중인 보기 안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청취 옵션 역시 스크린 샷 600c에 도시된 현재 재생중인 보기 안에 표시된다. 사용자 옵션들은 비한정적인 예들로서 재생 리스트 또는 콘텐츠 정보(620) 또는 방송국 선택기(630)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옵션들일 수 있다. 재생 리스트들이나 콘텐츠 정보(620)는 가령 선택된 라디오 방송국에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노래 및/또는 이전에 재생된 노래들의 리스트 및/또는 재생될 노래들의 리스트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국 선택기(630)는 가령, 화살표를 터치하거나 키(560) 같은 라커 키를 이용해 활성화될 수 있는 네비게이션 화살표들(630a, 630b)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네비게이션 화살표들(630a, 630b)의 활성화는 사용자를 스크린 샷(600a)의 방송국 식별자의 그리드로 돌아가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방송국 선택기(630)는 스크린 샷(600a)에 도시된 방송국 식별자들의 그리드로 리턴 하지 않고 방송국 콘텐츠를 샘플링하거나 라디오 방송국을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청취 옵션들은 다만 예로 든 것일 뿐으로, 비한정적 예들로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메뉴들 (가령, 장르, 지역 등등)을 변경하는 옵션, 라디오 방송국들을 변경하는 옵션 및 재생되고 있는 노래들을 구매하기 위한 옵션들을 포함하는 옵션들 같은 임의의 적절한 옵션들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양태들이 실시될 수 있는 기기들의 예들이 도 7a 및 7b와 관련해 실시 및 예시될 수 있다. 단말 또는 모바일 통신 기기(700)는 키패드(710) 및 디스플레이(720)를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710)는 가령 멀티기능/스크롤 키(730), 소프트 키들(731, 732), 통화 키(733), 통화 종료 키(734) 및 문자/숫자 키들(735) 같은 임의의 적절한 사용자 입력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720)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디스플레이에 해당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기기(700)의 한 부분일 수도 있고, 아니면 디스플레이가 기기(700)와 연결된 주변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 가령 스타일러스 (stylus), 펜, 혹은 간단히 사용자의 손가락 같은 포인팅 기기가 디스플레이(72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임의의 적절한 포인팅 기기가 사용될 것이다. 다른 대안적 예들에서, 디스플레이는 통상적인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기기(700)는 가령 카메라, 확성기, 접속 포트 또는 촉각적 피드백 사양들과 같은 다른 알맞은 사양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모바일 통신 기기는, 디스플레이에 연결되어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고 디스플레이(720) 위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718)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02)는 프로세서(718)와 연결되어, 전화번호 엔트리, 캘린더 엔트리, 여기 개시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샘플러/재생기 등등과 같이 모바일 통신 기기(700)와 관련된 임의의 적절한 정보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기기(700)가 모바일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그 기기는 도 8에 도시된 것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에 적응될 수 있다. 그런 시스템에서, 셀룰라 음성 통화, www/wap (worldwide web/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징, 셀룰라 화상 통화, 데이터 통화, 팩시밀리 전송, 음악 전송, 정지 화상 전송, 동영상 전송, 전자 메시지 전송 및 전자 상거래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이 모바일 단말(800) 및, 다른 모바일 단말(806), 유선 전화(832), 퍼스널 컴퓨터(851, 인터넷 서버(822), 또는 라디오 방송국(들)(840) 같은 다른 기기들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800)의 다른 실시예들 및 다른 상황하에서 위에서 나타낸 통신 서비스들 중 일부가 이용가능할 수도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양태들은 그와 관련해 어떤 특정 서비스들의 집합에 국한되지 않는다.
모바일 단말들(800, 806)은 라디오 주파수 (RF) 링크들(802, 808)을 통해 기지국들(804, 809)을 거쳐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810)에 연결되고, 또 링크(841)를 통해 공중파 방송국들(840)에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810)는 이를테면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D-AMPS (digital 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CDMA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FOMA (freedom of mobile multimedia access) 및 TD-SCDMA (time division-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같은 임의의 상용 가능한 모바일 통신 표준에 부합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810)는 인터넷이나 그 일부일 수 있는 광역 네트워크(820)에 유효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인터넷 서버(822)는 데이터 ㅈ스토리저장부(824)를 포함하며 인터넷 클라이언트 컴퓨터(826)와 마찬가지로 광역 네트워크(820)에 연결된다. 서버(822)는 모바일 단말(800)로 월드와이드 웹/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worldwide web/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월드와이드 웹/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서버를 주재할 수 있다.
공공 교환 전화망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830)이 잘 알려진 방법으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810)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 전화(832)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화기 단말들이 그 공공 교환 전화망(830)에 연결될 것이다.
모바일 단말(800)은 로컬 링크(801 또는 851)를 통해 하나 이상의 로컬 기기들(803 또는 850)과 국지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로컬 링크들(801 또는 851)는 가령 블루투스, USB (Universal Serial Bus) 링크, W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링크, IEEE 802.11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링크, RS-232 시리얼 링크 등등과 같이 제한된 거리를 갖는 어떤 적절한 종류의 링크일 수 있다. 로컬 기기들(803)은 이를테면 로컬 링크(801)를 거쳐 모바일 단말(800)로 계측 값들을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일 수 있다. 위의 예들은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로 주어진 것이 아니며, 어떠한 알맞은 링크 종류라도 활용될 수 있다. 로컬 기기들(803)은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IEEE 802.16, WiFi (IEEE 802.11x) 또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을 구현하는 무선 랜을 이루는 지원 설비와 안테나들일 수 있다. 무선 랜은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모바일 단말(800)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810)나 무선 랜 또는 그 둘 모두를 이용해 무선 접속하는 멀티-라디오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810)와의 통신은 WiFi, WiMAX, 또는 어떤 다른 적절한 프로토콜들을 이용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그러한 통신은 미인가된 라디오 스펙트럼의 부분들 (가령, 미인가 모바일 액세스 (UMA, unlicensed mobile access)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의 네비게이션 모듈(122)이, 도 8과 관련해 설명된 시스템과 상호 교류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모바일 통신 기기상에서 그것을 이용해 구현된다고 기술되고 있으나, 개시된 실시예들이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메모리 및 지원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임의의 알맞은 기기상에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의 시스템(100)은 이를테면 도 7b에 도시된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타일 기기(700')일 수 있다. PDA(700'는 키패드(710'),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720') 및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720') 상에서 사용할 포인팅 기기(7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들에서, 기기는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터치 패드 기기,인터넷 태블릿, 랩 탑 또는 데스크 탑 컴퓨터, 모바일 단말, 셀룰라/모바일 전화기, 멀티미디어 기기, 퍼스널 커뮤니케이텨, 텔레비전이나 텔레비전 세탑 박스, DVD (digital video/versatile disk) 또는 고화질 재생기 또는 가령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114) 및 도 7의 프로세서(718)와 메모리(72) 같은 지원 전자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기일 수 있다.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2)는 네비게이션 모듈(122) 안에 메뉴 시스템들(124)을 포함할 수도 있다. 네비게이션 모듈(122)은, 비한정적 예로서 여기 개시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샘플러/재생기를 위한 네비게이션 콘트롤들을 포함하여 시스템(100)의 소정 프로세스들에 대한 제어를 지원한다. 메뉴 시스템(124)은 시스템(1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이나 프로그램들과 관련된 여러 툴들 및 애플리케이션 옵션들의 선택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뉴 시스템(124)은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메뉴(410)나, 콘텐츠 버퍼, 사용자 정의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메뉴들에 포함될 식별자들에 대한 설정 사양들 및 기타 여기 개시된 다른 사용자 설정가능 사양들과 같은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메뉴(410)와 관련된 사양들의 선택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네비게이션 모듈(122)은 가령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샘플러/재생기 같은 시스템(100)의 기능들에 관한 신호, 전송, 지시나 명령들과 같은 소정의 입력들을 수신한다. 그러한 입력들에 따라, 네비게이션 모듈은 명령들을 해석하고 그에 따라 프로세스 콘트롤(132)에 지시해 그 명령들을 실행토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할 때, 시스템(100)의 디스플레이(114)는 앞서 주지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근접 스크린 기기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같은 임의의 적절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4)는 시스템(100)의 일부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는 시스템(100)에 연결되거나 결합된 주변 디스플레이기일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 또는 단순히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포인팅 기기가 디스플레이(114)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임의의 적절한 포인팅 기기가 사용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는, 통상적으로 컬러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TFT) 매트릭스 같이, 백 라이트 옵션이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LCD)로 만들어진 평판 (flat)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통상의 액정 디스플레이 대신 터치 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100)은 또 카메라, 확성기, 접속 포트 또는 촉각적 피드백 사양들 등과 같은 다른 적절한 사양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여러 컴퓨터들에서 실행되는 상술한 프로세스 단계들 및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및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양태들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특징들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장치(900)에 대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이 장치(900)는 여기서 개시된 프로세스 단계들을 수행 및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902)은 또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904)과 링크되어, 컴퓨터들(902 및 904)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시스템(902)은 네트워크(906)와 통신하도록 된 서버 컴퓨터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들(902 및 904)은 모뎀, 무선, 유선 접속, 또는 광섬유 링크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통상적 방식에 따라 서로 링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두 컴퓨터 시스템들(902 및 904) 모두에서 보통 통신 채널이나 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라인 상의 다이얼-업 접속을 통해 전송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컴퓨터들(902 및 904)은 일반적으로, 그 컴퓨터들(902 및 904)로 하여금 여기 개시된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된 기계-판독가능 프로그램 소스 코드를 수록하는 프로그램 저장 기기들을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양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저장 기기들은 여기 개시된 과정들 및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해 광학, 자기적 특성 및/또는 전자공학을 활용하는 기계의 구성요소로서 고안, 제작 및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저장 기기들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및 실행가능한 디스켓이나 컴퓨터 하드 드라이브 같은 마그네틱 미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대안적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저장 기기들은 광학 디스크들, 읽기 전용 메모리 ("ROM") 플로피 디스크들 및 반도체 재료 및 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들(902 및 904)은 또한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터(902)는 정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자신의 프로그램 저장 기기상에 데이터 저장 기기(90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스들 및 방법의 단계들을 병합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소프트웨어가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902 및 904) 안의 통상의 프로그램 저장 기기상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들(902 및 90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910), 및 본 발명의 양태들이 액세스 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91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10) 및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912)는 조회와 명령이 시스템에 입력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그 명령과 조회의 결과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 개시된 실시예들은 새 콘텐츠 발견을 고무시키는 오락적인 방법으로 인터넷 프레젠테이션 콘텐츠의 거의 생성한 미리보기 및 공중파 프레젠테이션 콘텐츠의 생생한 미리보기를 허용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가령 한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을 선택한 후 사용자가 경함할 수 있는 콘텐츠 버퍼링 등과 관련된 어떤 청취 대기 시간을 최소화시킨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또한 사용자가 각각의 개별 방송국 주파수나 인터넷 기반의 방송국들의 리스트 사이를 스크롤할 필요 없이 원하는 방송국을 쉽게 선택할 수 있는 직관적인 방식으로 방송국 식별자들을 제공한다.
상술한 내용은 단지 실시예들의 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그러한 실시예들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다양한 치환과 변형된 버전을 고안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안에서 그러한 모든 치환, 변형 및 가변 버전들 모두를 포괄하도록 되어 있다.

Claims (20)

  1.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presentation content)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한 콘텐츠 식별자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되는 미디어 제공자로부터 실질적 라이브 (live)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 내 콘텐츠 식별자들에 대응되는 미디어 제공자들의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사전 버퍼링 (pre-buffering) 하는 단계; 및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사전 버퍼링 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리프레시 (refresh)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식별자들은 그리드 패턴으로 제공되고, 상기 그리드 패턴의 사이즈는 가변적일 수 있고 이용가능한 스크린 공간에 좌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들은 장르, 그래픽의 위치, 및 사용자 정의 그룹 짓기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그룹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제공자들은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들, 인터넷 텔레비전 방송국들,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공중파 라디오 방송국들 및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공중파 텔레비전 방송국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presentation content) 그룹을 선택하고,
    상기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한 콘텐츠 식별자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되는 미디어 제공자로부터 실질적 라이브 (live)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 내 콘텐츠 식별자들에 대응되는 미디어 제공자들의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사전 버퍼링 (pre-buffering) 하고,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사전 버퍼링 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리프레시 (refresh)하도록 추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들은 장르, 그래픽의 위치, 및 사용자 정의 그룹 짓기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그룹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제공자들은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들, 인터넷 텔레비전 방송국들,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공중파 라디오 방송국들 및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공중파 텔레비전 방송국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모바일 통신 기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기기의 메모리 안에서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제1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안에서 구현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컴퓨터로 하여금, 선택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 내 콘텐츠 식별자들에 대응되는 미디어 제공자들의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사전 버퍼링 (pre-buffering) 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및
    컴퓨터로 하여금,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사전 버퍼링 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리프레시 (refresh)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들은 장르, 그래픽의 위치, 및 사용자 정의 그룹 짓기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그룹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제공자들은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들, 인터넷 텔레비전 방송국들,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공중파 라디오 방송국들 및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공중파 텔레비전 방송국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5.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의 선택 및 미디어 제공자의 선택을 일으키도록 구성된 입력부;
    상기 선택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의 미디어 제공자들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에 연결되어, 해당 콘텐츠 식별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선택된 미디어 제공자로부터 실질적 라이브 (live)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 내 콘텐츠 식별자들에 대응되는 상기 미디어 제공자들의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사전 버퍼링 (pre-buffering) 하고,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사전 버퍼링 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리프레시 (refresh)하도록 추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들은 장르, 그래픽의 위치, 및 사용자 정의 그룹 짓기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그룹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제공자들은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들, 인터넷 텔레비전 방송국들,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공중파 라디오 방송국들 및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공중파 텔레비전 방송국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의 선택 및 미디어 제공자의 선택을 일으키도록 구성된 입력부;
    상기 선택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의 미디어 제공자들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자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에 연결되어, 해당 콘텐츠 식별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선택된 미디어 제공자로부터 실질적 라이브 (live)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 그룹 내 콘텐츠 식별자들에 대응되는 상기 미디어 제공자들의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사전 버퍼링 (pre-buffering) 하고,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사전 버퍼링 된 프레젠테이션 콘텐츠를 리프레시 (refresh)하도록 추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20107011169A 2007-10-25 2008-10-24 오디오 콘텐츠 청취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129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23,994 2007-10-25
US11/923,994 US8190994B2 (en) 2007-10-25 2007-10-25 System and method for listening to audio content
PCT/IB2008/002846 WO2009053831A2 (en) 2007-10-25 2008-10-24 System and method for listening to audio cont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040A true KR20100076040A (ko) 2010-07-05
KR101129036B1 KR101129036B1 (ko) 2012-03-23

Family

ID=4057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1169A KR101129036B1 (ko) 2007-10-25 2008-10-24 오디오 콘텐츠 청취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8190994B2 (ko)
EP (1) EP2208332B1 (ko)
KR (1) KR101129036B1 (ko)
CN (1) CN101878629B (ko)
ES (1) ES2615953T3 (ko)
PL (1) PL2208332T3 (ko)
WO (1) WO200905383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4384B2 (en) * 2005-05-25 2010-08-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Obtaining user feedback for unavailable content
JP5086867B2 (ja) * 2008-03-31 2012-11-28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US8634944B2 (en) * 2008-07-10 2014-01-21 Apple Inc. Auto-station tuning
DE102008051663B4 (de) * 2008-10-15 2017-10-19 Paragon Ag Vorrichtung mit Audiointerfacebox für Fahrzeuge
KR20100055882A (ko) * 2008-11-18 201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제어 장치 및 컨텐츠 제어 방법
US9680892B2 (en) * 2009-06-26 2017-06-13 Adobe Systems Incorporated Providing integration of multi-bit-rate media streams
US20110119626A1 (en) * 2009-11-19 2011-05-19 Robert Bosch Gmbh Entertainment system smart keys
KR20110090601A (ko) * 2010-02-04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부가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WO2011136703A1 (en) * 2010-04-26 2011-11-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playing out a media object
US8549430B2 (en) * 2010-08-25 2013-10-01 Dell Products L.P. Using expanded tiles to access personal content
US8989686B2 (en) * 2010-09-23 2015-03-24 Honda Motor Co., Ltd. Local radio mode for AM/FM broadcasts
US9128513B2 (en) * 2012-02-08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Display of an online catalog for concurrent downloading of files
US9355174B2 (en) 2012-09-07 2016-05-31 Iheartmedia Management Services, Inc. Multi-input playlist selection
US20140123005A1 (en) * 2012-10-25 2014-05-01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streaming media stations with virtual playback
US20140123004A1 (en) 2012-10-25 2014-05-01 Apple Inc. Station creation
CN105100862B (zh) * 2014-04-18 2018-04-2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网格移动的显示处理方法及其系统
US20150317690A1 (en) * 2014-05-05 2015-11-05 Spotify Ab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edia content with music-styled advertisements, including use of lyrical information
US10956936B2 (en) 2014-12-30 2021-03-23 Spotify Ab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user-sponsor interaction in a media environment, including support for shake action
US9930507B2 (en) 2015-03-06 2018-03-27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emergency communication session termination
US10574372B1 (en) * 2018-11-22 2020-02-25 Inntot Technologies Private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service switching time between frequencies in a digital radio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4195A (en) * 1993-05-24 1996-06-04 Sun Microsystems,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 television with an animated agent
US5630081A (en) * 1995-09-07 1997-05-13 Puma Technology, Inc. Connection resource manager displaying link-status information using a traffic light iconic representation
US6104397A (en) * 1997-06-30 2000-08-15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improved progress indicators
US6920479B2 (en) * 1999-06-16 2005-07-19 Im Networks, Inc. Internet radio receiver with linear tuning interface
US6957264B1 (en) * 2000-06-13 2005-10-1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internet-based broadcast sources
US20060064716A1 (en) * 2000-07-24 2006-03-23 Vivcom, Inc. Techniques for navigating multiple video streams
US6766376B2 (en) 2000-09-12 2004-07-20 Sn Acquisition, L.L.C Streaming media buffering system
US7761326B2 (en) * 2001-04-20 2010-07-20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Token type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token type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portable user terminal
US6762773B2 (en) * 2001-05-23 2004-07-13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text-sensitive instructional user interface icon in a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US20050134578A1 (en) * 2001-07-13 2005-06-23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environment
US7055104B1 (en) * 2002-03-29 2006-05-30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focused navigation using filters
US7293275B1 (en) * 2002-02-08 2007-11-06 Microsoft Corporation Enhanced video conten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video programs
JP4443833B2 (ja) 2002-02-27 2010-03-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再生方法、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7073193B2 (en) 2002-04-16 2006-07-04 Microsoft Corporation Media content descriptions
US7231607B2 (en) * 2002-07-09 2007-06-12 Kaleidescope, Inc. Mosaic-like user interface for video selection and display
AU2003298797A1 (en) 2002-12-04 2004-06-23 Entriq Inc. Multiple content provider user interface
EP1652185A1 (en) * 2003-04-10 2006-05-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retrieval
SE0302040L (sv) 2003-07-10 2005-01-11 Telia Ab System och metod för att lagra tjänster
US20060008256A1 (en) 2003-10-01 2006-01-12 Khedouri Robert K Audio visual player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of content distribution using the same
US8689113B2 (en) * 2004-01-22 2014-04-01 Sony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content
JP2005333434A (ja) * 2004-05-20 2005-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モジュール
US20070192711A1 (en) * 2006-02-13 2007-08-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a primary actions menu on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US20060020971A1 (en) * 2004-07-22 2006-01-26 Thomas Poslinski Multi channel program guide with integrated progress bars
KR100539886B1 (ko) * 2004-09-10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99641A (ko) 2005-01-07 2007-10-0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타임 시프트 버퍼들을 동작하는 방법
US7761812B2 (en) * 2005-07-27 2010-07-20 Microsoft Corporation Media user interface gallery control
US20070240185A1 (en) * 2005-08-26 2007-10-11 Weaver Timothy H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livering audio content on demand
US8769408B2 (en) * 2005-10-07 2014-07-01 Apple Inc. Intelligent media navigation
KR20080010898A (ko) 2006-07-28 200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전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US7747968B2 (en) * 2006-09-11 2010-06-29 Apple Inc. Content abstraction presentation along a multidimensional path
US20080111822A1 (en) 2006-09-22 2008-05-15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video
US8832742B2 (en) * 2006-10-06 2014-09-09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cquiring, categorizing and delivering media i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s
US8276098B2 (en) * 2006-12-22 2012-09-25 Apple Inc. Interactive image thumbnails
US8832290B2 (en) * 2007-02-23 2014-09-09 Microsoft Corporation Smart pre-fetching for peer assisted on-demand media
US7996782B2 (en) * 2007-06-08 2011-08-09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Data transfer indicator icon in a dia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15953T3 (es) 2017-06-08
US20140047338A1 (en) 2014-02-13
CN101878629A (zh) 2010-11-03
CN101878629B (zh) 2017-03-01
WO2009053831A2 (en) 2009-04-30
US8190994B2 (en) 2012-05-29
US8566720B2 (en) 2013-10-22
US9032294B2 (en) 2015-05-12
EP2208332A2 (en) 2010-07-21
US20120240046A1 (en) 2012-09-20
WO2009053831A3 (en) 2009-06-25
KR101129036B1 (ko) 2012-03-23
US20090113300A1 (en) 2009-04-30
EP2208332B1 (en) 2017-01-11
PL2208332T3 (pl) 201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036B1 (ko) 오디오 콘텐츠 청취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6772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media items
KR101188857B1 (ko) 투명 층 애플리케이션
JP5356818B2 (ja) 電子機器用のグラフィカル・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CN102291548B (zh) 在显示设备上显示菜单项的方法
US20100289756A1 (en) Accelerometer-based control for radio broadcast receivers
US20070078857A1 (en) Method and a device for browsing information feeds
US200900494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agging Items
US20080109764A1 (en) Interface for selecting audio-video sources in a limited display environment
US201101618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hapter utilization in video player ui
US20130176246A1 (en) Information processor
KR20060056267A (ko) 차량 탑재 장치 및 콘텐츠 제공 방법
KR20110113777A (ko) 정보 디스플레이
CA2737088A1 (en) Visual shuffling of media icons
US20100303450A1 (en) Playback control
US20100262493A1 (en) Adaptive soft key functionality for display devices
JP2006011862A (ja) 画像表示装置
KR101523954B1 (ko) 휴대 단말기의 음악 파일 검색 방법 및 장치
US20120127181A1 (en) Av device
JP2004326402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入力受け付け方法、入力受け付け方法のプログラム、入力受け付け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80268910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preference item therein
JP2004013609A (ja) 情報表示装置
KR10136632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송 채널 전환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113622A (ko) Epg정보를 이용한 디지탈방송의 프로그램 선택방법
JP2007336438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