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601A - 부가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부가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0601A
KR20110090601A KR1020100010478A KR20100010478A KR20110090601A KR 20110090601 A KR20110090601 A KR 20110090601A KR 1020100010478 A KR1020100010478 A KR 1020100010478A KR 20100010478 A KR20100010478 A KR 20100010478A KR 20110090601 A KR20110090601 A KR 20110090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nail image
content
additional information
inform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표
김한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0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0601A/ko
Priority to US12/981,223 priority patent/US20110191721A1/en
Publication of KR20110090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및 부가 정보를 획득하고, 부가 정보에 따라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부가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부가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of show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의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컨텐츠를 대표하는 썸네일 이미지에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부가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현재까지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 각종 기기는 단순히 동영상 파일의 이름을 텍스트로 나열하거나 썸네일 이미지를 추가로 보여주는 방식으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썸네일 이미지는 동영상 컨텐츠를 디코딩하여 동영상의 일부를 사용자에게 보여주어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을 돕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썸네일 표시 방식을 도시한 것으로, 각 컨텐츠를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110), 파일 이름(120), 파일 크기(121) 및 전체 재생 시간(122)으로 구성된 컨텐츠의 목록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썸네일 이미지 표시 방식에 의하면 컨텐츠 자체에 대한 특성만을 파악할 수 있을 뿐이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배터리 잔량 표시 방식을 도시한 것으로, 단순히 전력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에 불과하며, 현재의 배터리 잔량으로 컨텐츠를 얼마나 감상할 수 있는지 알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에 컨텐츠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부가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방법은,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및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부가 정보에 따라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하는 단계와, 상기 변형된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 이력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에 대한 최근 재생 중단 시점의 상대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서 상기 상대 위치의 좌측에 해당하는 부분과 우측에 해당하는 부분을 다르게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르게 표현하는 단계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서 상기 상대 위치의 좌측에 해당하는 부분을 그레이 스케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장치의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전력 잔량으로 상기 컨텐츠를 재생 가능한 시간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서 상기 재생 가능한 시간에 해당하는 부분과 나머지 부분을 다르게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르게 표현하는 단계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서 상기 재생 가능한 시간에 해당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을 그레이 스케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대한 예측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 전체를 상기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으로 매핑하고,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구간에 해당하는 부분과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구간에 해당하는 부분을 다르게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 정보에 따라 상기 썸네일 이미지의 일부 영역의 색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 표시 방법은, 복수의 컨텐츠에 대하여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하고 컨텐츠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목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및 부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부가 정보에 따라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하고, 상기 변형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출력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썸네일 표시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배터리 잔량 표시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실시예가 적용된 썸네일 이미지의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가 적용된 썸네일 이미지의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300)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부가 정보 표시 장치(300)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310),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330), 저장부(310)로부터 독출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여 그 결과를 출력부(330)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320)를 포함한다. 제어부(320)는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및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부가 정보 획득부(321)와 획득된 부가 정보에 따라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하는 썸네일 이미지 변형부(322)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출력부(330)에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320)의 상세한 기능 및 동작,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부가정보 획득부(321)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및 부가 정보를 획득한다(410). 썸네일 이미지는 컨텐츠를 대표하는 작은 이미지로서, 컨텐츠를 디코딩하여 출력된 첫번째 이미지 또는 첫번째 키 프레임을 가지고 만들 수도 있고 컨텐츠 제작자에 의해 제공되는 대표 이미지를 가지고 만들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가 정보는 썸네일 이미지에 표시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부가정보 획득부(321)는 부가 정보의 획득을 위해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컨텐츠의 어느 구간을 재생할 것이고 어느 구간을 재생하지 않을 것인지 예측한다. 이전에 사용자가 컨텐츠를 어디까지 시청했는지, 또는 장치에 남아 있는 전력량으로 컨텐츠를 얼마나 재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재생 시간의 예측에 사용될 수 있다.
썸네일 이미지 변형부(322)는 획득된 부가 정보에 따라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한다(420). 썸네일 이미지의 변형은 썸네일 이미지의 일정 영역을 다른 색으로 변경하거나 그레이 스케일로 변경하거나 크기나 모양을 변경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표시하고자 하는 부가 정보가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대한 예측 정보인 경우, 썸네일 이미지 전체를 해당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으로 매핑하고, 컨텐츠를 재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구간과 컨텐츠를 재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구간에 해당하는 부분을 다르게 표현한다.
변형된 썸네일 이미지는 출력부(330)에 디스플레이된다(430). 이때 대응하는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예컨대 컨텐츠 파일의 이름이나 컨텐츠의 타이틀 등이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썸네일 이미지에 표시된 부가 정보를 의미하는 텍스트, 컨텐츠 크기 등의 정보도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컨텐츠의 목록일 수 있으며, 목록의 각 항목은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와 단계 410 및 420에 의해 획득된 변형된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정보가 텍스트로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썸네일 이미지의 변형을 통해 표현되므로, 사용자는 부가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파악된 부가 정보는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에 도움을 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방법의 흐름도로서, 사용자가 최근에 컨텐츠를 어디까지 시청하다가 중단하였는지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컨텐츠의 재생 이력 정보를 획득한다(510). 재생 이력 정보는 이전의 컨텐츠 재생 중단 시점을 포함한다. 각 컨텐츠의 재생 중단 시점은 재생 로그 파일이나 컨텐츠의 재생 이력을 저장해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 가능하다. 단계 520에서는 재생 중단 시점이 컨텐츠의 중간 부분인지 판단한다. 재생 중단 시점이 컨텐츠의 시작이라면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를 시청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할 필요가 없다. 재생 중단 시점이 컨텐츠의 마지막이라면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끝까지 재생시켰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할 필요가 없다. 재생 중단 시점이 컨텐츠의 중간 부분이라면 이 재생 중단 시점을 나타내기 위해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할 필요가 있다.
최근에 컨텐츠의 재생이 중간에 중단된 것으로 판단되면,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이 정보는 컨텐츠의 메타 정보나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 가능하다.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 중 최종 재생 중단 시점의 상대 위치를 계산한다(530). 상대 위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재생 시간이 60분인 컨텐츠를 12분 시청하다가 중단한 경우, 상대 위치는 0.2이다.
수학식 1:
상대 위치 = 재생 중단 시점 / 전체 재생 시간
컨텐츠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획득한다(540). 컨텐츠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는 컨텐츠의 첫번째 키 프레임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는, 디코더와 연동하여 단계 530에서 계산된 상대 위치에 해당하는 키 프레임을 컨텐츠에서 추출하여 썸네일 이미지로 사용할 수 있다. 획득된 썸네일 이미지는 단계 530에서 계산된 상대 위치에 따라 변형되는데, 썸네일 이미지의 가로 길이 중 상대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의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을 다르게 표현한다(550). 예를 들어, 상대 위치의 좌측에 해당하는 부분은 사용자가 이미 시청한 부분이므로 그레이 스케일로 변경하고 상대 위치의 우측에 해당하는 부분은 앞으로 시청할 것으로 예측되는 부분이므로 원래의 썸네일 이미지를 그대로 사용한다. 다른 예로, 상대 위치의 좌측 부분을 다른 색상으로 변경하는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변형된 썸네일 이미지는 출력부(330)에 디스플레이된다(560).
컨텐츠 선택을 위한 컨텐츠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는 단계 510 내지 560까지의 과정을 각 컨텐츠에 대해 반복하고, 변형된 썸네일 이미지와 함께 컨텐츠 파일의 이름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최근에 컨텐츠를 끝까지 시청한 경우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경우도 시청한 적이 없는 다른 컨텐츠와 구별하고 해당 컨텐츠를 이미 끝까지 시청했다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썸네일 이미지 전체의 색상을 그레이 스케일로 변경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에 표시된 시청 이력에 대한 정보를 통해 자신이 이전에 컨텐츠를 어느 정도 시청했었는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실시예가 적용된 썸네일 이미지의 예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전체 재생 시간이 100분인 동영상 컨텐츠를 20분 시청한 후 중단한 경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되는 상대 위치는 0.2이므로 썸네일 이미지의 20%에 해당하는 상대 위치 좌측 부분(610)은 그레이 스케일로 변경하고 나머지 부분(620)은 원래의 색상을 그대로 사용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전체 재생 시간이 100분인 동영상 컨텐츠를 50분 시청한 후 중단한 경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되는 상대 위치는 0.5이므로 썸네일 이미지의 50%에 해당하는 상대 위치 좌측 부분(630)은 그레이 스케일로 변경하고 나머지 부분(640)은 원래의 색상을 그대로 사용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전체 재생 시간이 100분인 동영상 컨텐츠를 80분 시청한 후 중단한 경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되는 상대 위치는 0.8이므로 썸네일 이미지의 80%에 해당하는 상대 위치 좌측 부분(650)은 그레이 스케일로 변경하고 나머지 부분(660)은 원래의 색상을 그대로 사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방법의 흐름도로서, 현재의 전력 잔량으로 컨텐츠를 어디까지 시청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장치(300)의 전력 정보를 획득한다(710). 장치(300)의 전력 정보는 현재 남아 있는 전력 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현재의 전력 잔량으로 컨텐츠를 얼마나 재생할 수 있는지 재생 가능 시간을 예측한다(720). 재생 가능 시간의 예측에는 컨텐츠에 대한 내부 정보 중 비트 레이트(bit rate), 영상의 길이, 영상의 가로 및 세로 크기가 필요하다. 컨텐츠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획득하고(730), 썸네일 이미지에서 재생 가능 시간에 해당하는 부분과 나머지 부분을 다르게 표현하도록 변형한 후(740), 디스플레이 한다(750).
동영상의 길이 즉 전체 재생 시간을 T라고 하고, 실제 재생 가능한 시간을 t라고 할 때, 다음과 같이 썸네일 이미지의 변형이 수행될 수 있다.
수학식 2:
if x ≤ (t × W)/T, I'(x,y) = I(x,y)
else I'(x,y) = G(I(x,y))
W를 썸네일 이미지의 넓이, H를 썸네일 이미지의 높이라 할 때, I(x,y)는 썸네일 이미지의 (x,y) 좌표(0 ≤ x < W, 0 ≤ y < H) 상의 픽셀값을 의미하며, G() 연산은 픽셀값의 컬러 정보를 삭제하여 픽셀을 그레이 스케일로 바꾸는 연산을 말하며, I'(x,y)는 변형의 결과로 생성된 썸네일 이미지의 (x,y) 좌표의 픽셀값이다.
썸네일 이미지로 표현할 컨텐츠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방법을 반복하여 각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하고 디스플레이한다.
모바일 기기와 같이 배터리 수명에 한계가 있는 경우 남아 있는 배터리 수명과 컨텐츠 재생에 필요한 전력량의 비교를 통해 어떤 컨텐츠를 어느 정도나 재생 가능한지 알려주므로, 사용자는 각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만 보고서도 전력 잔량을 고려한 컨텐츠 선택을 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가 적용된 썸네일 이미지의 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현재의 전력 잔량으로 컨텐츠를 60%만 재생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예측 결과에 따라 썸네일 이미지에서 재생 가능한 시간에 해당하는 부분(810)은 그대로 두고 나머지 부분(820)은 그레이 스케일로 변경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또는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17)

  1.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및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부가 정보에 따라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하는 단계와,
    상기 변형된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정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 이력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에 대한 최근 재생 중단 시점의 상대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서 상기 상대 위치의 좌측에 해당하는 부분과 우측에 해당하는 부분을 다르게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정보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르게 표현하는 단계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서 상기 상대 위치의 좌측에 해당하는 부분을 그레이 스케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정보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장치의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전력 잔량으로 상기 컨텐츠를 재생 가능한 시간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서 상기 재생 가능한 시간에 해당하는 부분과 나머지 부분을 다르게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정보 표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르게 표현하는 단계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서 상기 재생 가능한 시간에 해당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을 그레이 스케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정보 표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대한 예측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 전체를 상기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으로 매핑하고,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구간에 해당하는 부분과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구간에 해당하는 부분을 다르게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정보 표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 정보에 따라 상기 썸네일 이미지의 일부 영역의 색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정보 표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하여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하고 컨텐츠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목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정보 표시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부가 정보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및 부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부가 정보에 따라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하고, 상기 변형된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출력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정보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 이력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에 대한 최근 재생 중단 시점의 상대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서 상기 상대 위치의 좌측에 해당하는 부분과 우측에 해당하는 부분을 다르게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정보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서 상기 상대 위치의 좌측에 해당하는 부분을 그레이 스케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정보 표시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 정보 표시 장치의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전력 잔량으로 상기 컨텐츠를 재생 가능한 시간을 예측하고,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서 상기 재생 가능한 시간에 해당하는 부분과 나머지 부분을 다르게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정보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서 상기 재생 가능한 시간에 해당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을 그레이 스케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정보 표시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대한 예측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썸네일 이미지 전체를 상기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으로 매핑하고,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구간에 해당하는 부분과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구간에 해당하는 부분을 다르게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정보 표시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 정보에 따라 상기 썸네일 이미지의 일부 영역의 색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정보 표시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하여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변형하고 컨텐츠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목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정보 표시 장치.
KR1020100010478A 2010-02-04 2010-02-04 부가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10090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478A KR20110090601A (ko) 2010-02-04 2010-02-04 부가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US12/981,223 US20110191721A1 (en) 2010-02-04 2010-12-29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478A KR20110090601A (ko) 2010-02-04 2010-02-04 부가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601A true KR20110090601A (ko) 2011-08-10

Family

ID=4434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478A KR20110090601A (ko) 2010-02-04 2010-02-04 부가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91721A1 (ko)
KR (1) KR201100906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9620B2 (en) * 2013-05-07 2016-01-05 Kobo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user e-book collections
USD778920S1 (en) * 2013-06-28 2017-02-14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4045S1 (en) * 2013-06-28 2016-12-13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ro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50324088A1 (en) * 2014-05-09 2015-11-12 Lyve Minds, Inc. Thumbnail image creation
US10401934B2 (en) 2017-01-11 2019-09-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cess-level activity tagging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7390A (en) * 1997-04-04 2000-08-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gress-indicating mouse pointer
US20060064716A1 (en) * 2000-07-24 2006-03-23 Vivcom, Inc. Techniques for navigating multiple video streams
US7103847B2 (en) * 2002-07-18 2006-09-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use of a resource in a processing system
DE10232907A1 (de) * 2002-07-19 2004-02-05 Agere Systems, Inc. Visuelle graphische Anzeige der Anzahl restlicher Zeichen in einem Editierungsfeld eines elektronischen Gerätes.
US7290221B2 (en) * 2003-04-16 2007-10-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object fabrication status
US7788605B1 (en) * 2003-05-22 2010-08-31 Apple Inc. Morphing between views of data
JP2005080385A (ja) * 2003-08-29 2005-03-2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バッテリ残容量表示方法
US20050052659A1 (en) * 2003-09-05 2005-03-10 Jacobsen Dana A. Progress indicator for graphical display on printers
JP2005108066A (ja) * 2003-10-01 2005-04-21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方法を実施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559089B2 (en) * 2004-07-23 2009-07-07 Findaway World, Inc. Personal media player apparatus and method
KR20070072879A (ko) * 2004-09-17 2007-07-0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휘발성 메모리들에 관한 콘텐트 상태 제공
US8261189B2 (en) * 2005-11-30 2012-09-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base monitor replay
TW200723081A (en) * 2005-12-13 2007-06-16 Universal Scient Ind Co Ltd Circular multimedia playback progress indicator and method of indicating signals thereof
US7739622B2 (en) * 2006-10-27 2010-06-15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thumbnails for document navigation
US7984385B2 (en) * 2006-12-22 2011-07-19 Apple Inc. Regular sampling and presentation of continuous media stream
US7430675B2 (en) * 2007-02-16 2008-09-30 Apple Inc. Anticipatory power management for battery-powered electronic device
US8190994B2 (en) * 2007-10-25 2012-05-29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istening to audio content
US20090164152A1 (en) * 2007-12-20 2009-06-25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Power Consumption Notification and Management
US8555206B2 (en) * 2007-12-21 2013-10-08 Fisher-Rosemount 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present recipe progress status information
US8489992B2 (en) * 2008-04-08 2013-07-16 Cisco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with visual progression
US8527876B2 (en) * 2008-06-12 2013-09-03 Apple Inc. System and methods for adjusting graphical representations of media files based on previous usage
US8855459B2 (en) * 2008-06-17 2014-10-07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longing battery life of a media player
US20090319897A1 (en) * 2008-06-20 2009-12-24 Microsoft Corporation Enhanced user interface for editing images
US8375319B2 (en) * 2009-06-05 2013-02-12 Apple Inc. Progress indicator for loading dynamically-sized contents
US20100318913A1 (en) * 2009-06-15 2010-12-16 Shiraz Cupala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sually streaming media
EP2439895A4 (en) * 2009-06-19 2012-11-28 Shenzhen Tcl New Technology METHOD FOR DISPLAYING THE DOWNLOAD PROGRESS VIA A POSTER
US20110072378A1 (en) * 2009-09-24 2011-03-2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energy consumption of applications and actions
US20110154213A1 (en) * 2009-12-18 2011-06-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content download progr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91721A1 (en)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41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media
JP4283785B2 (ja) 立体視画像生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17204B1 (ko) 동적 영상물의 프레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이용한 장치
US20080216002A1 (en) Image Display Controller and Image Display Method
CN101631220B (zh) 再现设备
JP2011130279A5 (ko)
KR20110090601A (ko) 부가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US8643672B2 (en) Instant message analytics of historical conversations in relation to present communication
JP4667356B2 (ja) 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8292885A (ja) 学習装置および学習方法、情報加工装置および情報加工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508943B1 (ko)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컨텐츠 서비스 방법
JP5300296B2 (ja) 表示装置、サーバ装置、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US20210289266A1 (en) Video play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1151510A (ja) 表示制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11956295B2 (en) Client-end enhanced view prediction for multi-view video streaming exploiting pre-fetched data and side information
JP2009284103A (ja) 映像視聴履歴取得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71232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101977108B1 (ko) Vr 기반의 프레젠테이션 발표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hmd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07516550A (ja) 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前記再生方法を行う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7126856A (ja) 情報処理装置
JP5149616B2 (ja) ファイル管理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および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
CN105916035A (zh) 一种快速定位播放时间点的显示方法及装置
US20150006751A1 (en) Custom video content
JP2006323681A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JP2005005795A (ja) ユーザのプリファレンスに応じて映像オブジェクトの表示方法の変更を支援する映像呈示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