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5720A - 편심 로터와 이 로터를 구비한 소형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 - Google Patents

편심 로터와 이 로터를 구비한 소형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5720A
KR20100075720A KR1020090091383A KR20090091383A KR20100075720A KR 20100075720 A KR20100075720 A KR 20100075720A KR 1020090091383 A KR1020090091383 A KR 1020090091383A KR 20090091383 A KR20090091383 A KR 20090091383A KR 20100075720 A KR20100075720 A KR 20100075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eccentric
rotor case
bearing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다오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시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5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Brushless Motor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편심(偏心) 웨이트(weight)의 중량을 확보하면서도 그 형상을 이용함으로써 충분한 베어링의 로터 케이스 설치 강도를 얻을 수 있는 편심 로터와 이 로터를 구비한 소형 브러시리스(brushless) 진동 모터를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그 해결 수단으로서는, 자성(磁性) 금속제 로터 케이스(1)의 버어링 구멍 (1a)에 끼워 넣어져서 수용부(2a)에서 걸리게 함과 아울러 어깨부(2b)가 상기 로터 케이스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 있고 어깨부를 바깥쪽으로 구부림으로써 고착된 베어링(2)과, 베어링의 바깥쪽에서 로터 케이스의 하면에 고착된 마그넷(3)의 바깥쪽으로 일부가 배치됨과 아울러 기타 부분이 로터 케이스의 상면에 배치된 편심 웨이트(4)가 구비되고, 기타 부분에 형성한 관통 오목부(凹部)(1e)에 로터 케이스에 형성한 돌기(1c)가 끼워 넣어져서 돌기와 관통 오목부의 부분에서 접합해서 된다.
편심로터, 브러시리스, 전동모터, 편심 웨이트

Description

편심 로터와 이 로터를 구비한 소형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 {Eccentric rotor and mini brushless vibrating motor}
본 발명은 이동체 통신 장치의 무음(無音) 알림 수단 등에 이용하기에 아주 적합한 것으로서 편심(偏心) 로터와 이 로터를 구비한 소형 브러시리스 (brushless) 진동 모터에 관한 것이다.
편평한 축방향 공극형(空隙型)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로서 코어리스 (coreless) 슬롯리스형으로 1개의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구동 회로가 구성된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로서는, 코어드형으로 복수 개의 등분(等分)으로 배치한 돌극(突極)에 전기자(電機子) 코일을 권회하여서 된 코어드형인데, 구동 회로부재를 스테이터의 옆쪽에 배치한 비(非)원형의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3 참조).
그러나 이러한 것은 측(側) 방향의 사이즈가 커져 버려, 세트된 인쇄 배선판에 SMD 방식에서는 실장(實裝) 효율이 나쁘고, 또한 코어드형이므로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을 수 없어 실용성이 없다.
또한 코어드, 슬롯리스 코어리스형을 포함한 것으로 복수 개의 전기자 코일의 일부를 삭제해서 빈 곳을 구성하고, 이 빈 곳에 구동 회로부재를 배치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4 참조)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특허문헌 1: 일본국 실개평4-13746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2-143767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2000-245103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개2002-142427호 공보(도 8∼도 11)
그런데 소형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에서는 로터 자체에서 중심을 반경 방향으로 겹치지 않게 엇갈리게 하여 원심력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텅스텐 소결 합금제의 편심 웨이트를 배치 고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편심 웨이트는 편심 로터로 하기에는 지름 방향의 사이즈가 희생되기 쉽다. 모터의 지름 방향 사이즈로서 지름 8mm 정도의 것이 요구되게 되면, 마그넷의 사이즈로서 최소한 지름 5.6mm는 필요하고, 통상은 마그넷의 바깥쪽으로 편심 웨이트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중량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진동량을 얻을 수 없고, 마그넷의 위쪽도 이용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단순히 면접착(面接着) 만으로는 강도를 확보할 수 없으므로 편심 웨이트의 고착 수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브러시리스 모터로서 1개의 홀 센서로써 구동시키는 단상형에서는 로터의 마그넷의 위치를 다음번에 확실하게 기동할 수 있는 특정한 곳에 정지시켜 두기 위해서 자성체로 된 디텐트 토오크(코깅 토오크라고도 한다) 발생부재가 필요하다.
이 디텐트 토오크 발생부재는, 소요의 디텐트 토오크 발생력을 얻기 위해서는 어느정도 두께가 필요하기 때문에, 브래킷(bracket) 위에 배치하는 것에서는 배치 공간이 상당히 얻어지지 않아 모터 자체의 박형화(薄型化)에 대하여 역행하는 문제로 되어버린다.
디텐트 토오크 발생부재를 공심(空心) 전기자(電機子) 코일의 내경부에 격납시켜 축방향으로 돌출하게 함으로써 디텐트 토오크 발생부재의 두께를 실질적으로 무시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제안되어 있지만, 이번에는 코일 내경의 사이즈가 제약되어 코일의 와인딩 수가 많이 얻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즉, 디텐트 토오크부의 배치 위치는, 기동 에러를 피하기 위해서 로터, 즉 마그넷이 자극(磁極)의 중심, 혹은 자극의 뉴트럴(neutral) 중의 어느 위치에서 동작을 정지하도록 되어있어도 좋게끔 코일의 중심으로부터 고의로 엇갈리게 할 필요가 있지만, 코일의 내경이 작으면 이 엇갈림각을 크게 할 수 없다. 소정의 엇갈림각을 유지할 수 없으면 토오크에 기여하는 유효 도체부의 개수와 위치가 희생되어 기동 토오크의 감소나 기동 에러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편심 웨이트의 중량을 확보하고, 이 편심 웨이트의 형상을 이용해서 로터 케이스와 접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함과 아울러 베어링의 설치 강도를 확보할 수 있게 한 편심 로터와, 디텐트 토오크 발생부재의 실질적인 두께를 무시할 수 있는 소형의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구항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성 금속제 로터 케이스와, 이 로터 케이스에 배치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바깥쪽에서 상기 로터 케이스의 하면에 고착된 축방향 공극형 마그넷과, 이 마그넷의 바깥쪽에 일부가 배치됨과 아울러 기타 부분이 상기 로터 케이스의 상면에 배치된 편심 웨이트가 구비된 편심 로터로서, 상기 베어링은 어느 일단이 상기 편심 웨이트의 기타 부분의 두께 이내에서 상기 로터 케이스 상면으로부터 돌출해 있고, 이 베어링의 어느 일단이 수용부로서 상기 로터 케이스의 회전중심 버어링 구멍에 걸려짐과 아울러 이 수용부의 반대 끝을 바깥쪽으로 구부림으로써 상기 로터 케이스에 고착되고, 이 로터 케이스와 상기 편심 웨이트를 고착하는 수단으로서 편심 웨이트의 기타 부분에 형성한 복수의 오목부(凹部)에 상기 로터 케이스에 형성한 돌기가 끼워 넣어져, 적어도 이 돌기와 상기 오목부의 부분에서 접합해서 되는 것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청구항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편심 웨이트의 기타 부분에 형성한 오목부는 관통해 있고, 상기 로터 케이스에 형성한 돌기에는 관통 부분이 형성되며, 접합 수단으로서 접착에 의한 것으로서 이 접착제가 편심 웨이트 상면에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청구항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넷의 고착 수단의 일부로서 이 마그넷의 내경(內徑)을 향하도록 상기 로터 케이스로부터 아래쪽으로 복수의 돌기 가 돌출되고, 이 돌기를 포함해서 이 마그넷 내경 부분에 접착제가 도포 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러한 편심 로터를 사용해서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로 하기 위해서는, 청구항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구항 1∼4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편심로터와, 이 편심 로터에 축방향 공극을 통해서 조합한 스테이터가 구비된 것으로서, 이 스테이터는 중앙에 축받이부(軸支部)가 배치된 브래킷과, 상기 축받이부의 바깥쪽에서 상기 브래킷 위에 첨가 설치된 플렉시블 인쇄 배선판으로 이루어진 스테이터 베이스와, 상기 스테이터 베이스 상면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배치된 디텐트 토오크 발생부재와, 상기 스테이터 베이스 상면에 배치된 단상 공심 전기자 코일과, 상기 단상 공심 전기자 코일과 중첩하지 않도록 상기 스테이터 베이스 위에 배치된 구동 회로부재가 구비된 것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나타낸 발명에서는, 베어링은 어느 일단이 상기 편심 웨이트의 기타 부분의 두께 이내에서 상기 로터 케이스 상면으로부터 돌출해 있고, 이 베어링의 어느 일단이 수용부로서 상기 로터 케이스의 회전 중심 구멍에 걸려짐과 아울러 이 수용부의 반대 끝을 바깥쪽으로 구부림으로써 상기 금속제 로터 케이스에 강고히 설치할 수 있고, 수용부와 구부린 반대 끝에서 지지하고 있으므로 축방향의 충격에 충분히 견디어낼 수 있다.
로터 케이스와 상기 편심 웨이트를 고착하는 수단으로서 편심 웨이트의 기타 부분에 형성한 복수의 오목부(凹部)에 상기 로터 케이스에 형성한 돌기가 끼워 넣 어지고, 이 돌기와 오목부의 부분에서 접착이나 용접에 의해 접합해서 되기 때문에 단순한 면접착이 아니므로 내충격성 등이 확보된 신뢰성이 높은 편심 로터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2에 나타낸 발명에서는, 오목부(凹部)는 관통해 있으므로, 상면으로부터 레이저 용접하거나 접착접합하는 것에서는 관통 부분에 의해 접착제가 들어가므로 돌기가 골격으로서 기능하게 되어 강도가 확보된다.
청구항 3에 나타낸 발명에서는, 돌기에 접착제가 들어가서 마그넷의 고착 강도가 충분해진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디텐트 토오크 발생부재는, 예를 들면 스테이터 베이스나 브래킷에 끼워 넣은 구성에 의해 그 두께를 무시할 수 있으므로 높이가 낮은 스테이터가 되고, 짧은 지름이면서 편심 웨이트는 기타 부분에 의해 중량도 충분히 확보되므로, 소형이면서도 충분한 진동량을 기대할 수 있는 모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제1의 실시의 형태(실시예 1)에 의한 편심 로터의 평면도, 도 2는 스테이터 부분의 평면도, 도 3은 편심 로터와 스테이터를 구비한 축방향 공극형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의 세로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제2의 실시의 형태(실시예 2)에 의한 편심 로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편심 로터(R)는, 회전 중심에 수직 하방향의 원통부를 형성한 자성 금속제 로터 케이스(1)와, 상기 수직 하방향의 원통부에 배설된 베어링(2)과, 베어링(2)의 바깥쪽에서 상기 로터 케이스(1)의 하면에 고착된 축방향 공극형 마그넷(3)과, 상기 마그넷(3)의 바깥쪽에 일부가 배치됨과 아울러 기타 부분이 상기 로터 케이스(1)의 상면에 배치된 편심 웨이트(4)가 구비된 편심 로터(R)이고, 상기 베어링(2)은 수직 하방향의 부분에 끼워 넣어져서 수용부(2a)에서 수용되며, 반대 끝이 어깨부(2b)로서 상기 편심 웨이트(4)의 기타 부분의 두께 이내에서 상기 로터 케이스(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해 있고, 상기 어깨부(2b)를 바깥쪽으로 잘라 굽힘으로써 상기 로터 케이스(1)에 고착되고, 상기 로터 케이스(1)와 상기 편심 웨이트 (4)를 고착하는 수단으로서 편심 웨이트(4)의 기타 부분에 형성한 복수의 관통 오목부(凹部)(4c)에 상기 로터 케이스(1)에 형성한 돌기(1a)가 끼워 넣어져, 적어도 이 돌기(1a)와 상기 관통 오목부(4c)의 부분에서 접합해서 된다.
(실시예 1)
도 1∼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의 편심 로터(R)는 0.15mm 정도의 금속제 로터 케이스(1)와, 이 금속제 로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베어링(2)과, 상기 베어링의 바깥쪽에서 상기 로터 케이스의 하면에 고착된 마그넷(3)과, 이 마그넷(3)의 바깥쪽에 일부(4a)가 배치됨과 아울러 기타 부분(4b)이 상기 로터 케이스(1)의 상면에 배치된 텅스텐 합금제 편심 웨이트(4)가 구비된 편심 로터이고, 상기 베어링(2)은 상기 로터 케이스(1)의 원통부분이 있는 회전중심 버어링 구멍(1a)에 끼워 넣어져, 상기 버어링 구멍(1a)의 하단의 수용부(2a)에서 걸려서 지지됨과 아울러 수용부의 반대 끝이 어깨부(2b)로서 상기 로터 케이스(1)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기타 부분(4b)의 두께 이내에서 돌출해 있고, 상기 어깨부(2b)를 쐐기형 지그(jig) 등에 의해 전체 둘레를 바깥쪽으로 잘라 굽힘으로써 상기 로터 케이스(1)에 고착시키고 있다. 이렇게 하면, 어깨부(2b)는 편심 웨이트(4)의 기타 부분(4b)의 두께를 이용해서 공극(空隙)을 희생함이 없이 잘라 굽힘의 범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베어링의 유지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베어링(2)은 완충벽(2c)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베어링 손실을 경감시키고 있다. 이 완충벽(2c)으로 구성하는 수단으로서는, 하부(2d)가 축과의 적정한 클리어런스(clearance)를 유지하면서 그 위쪽을 축에 대하여 수 미크론 확대하고, 어깨부를 잘라 굽힐 때의 내경부로 좁혀지는 변위를 이용해서 적정 클리어런스를 형성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 베어링의 설치 강도가 부족해지면 접착제의 도포, 혹은 2, 3점의 레이저, 납땜 등의 용접에 의해서 강도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어링 구멍(1a)은 베어링의 축직도(軸直度)를 유지하기 위해서 원통부분이 필요하다.
상기 로터 케이스(1)와 상기 편심 웨이트(4)를 고착하는 수단으로서 편심 웨이트의 기타 부분(4b)에 형성한 복수의 오목부(凹部)[여기서는 관통한 투공(透孔)](4c)에 상기 로터 케이스(1)로부터 프레스에 의해 다리 격자 모양으로 형성한 돌기(1c)가 끼워 넣어지고, 적어도 상기 돌기(1c)와 상기 오목부 (4c)의 부분에 접착제(5)를 도포해서 채워 넣음으로써 이들 부분이 접합해서 되는 것이다. 이때 돌기(1c)는 다리 격자 모양으로 형성했으므로, 관통 부분(1d)이 형성되고 접착제 (5)는 이 관통 부분을 통하여 연속해 있기 때문에 강도가 충분해진다. 또한 접합 수단으로서 상기 돌기(1c)를 레이저 스폿함으로써 로터 케이스(1)와 편심 웨이트 (4)를 용접해도 좋다.
상기 편심 웨이트(4)의 기타 부분(4b)에는, 회전중심을 향하는 위치에 돌기(4d)가 형성되고, 상기 로터 케이스(1)의 수직 하방향 부분 근방에 배설한 다른 관통 구멍(1e)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지름 방향의 강도를 확보하고, 더욱이 접착제(5)를 마그넷(3)의 내경 부분에 이르기까지 도포해서 축방향의 강도도 확보하고 있다.
상기 마그넷(3)의 고착 수단은 접착제(5)에 따르지만, 면접착의 보조 수단의 일부로서 여기서는 상기 로터 케이스(1)로부터 이 마그넷(3)의 내경부를 향하도록 아래쪽으로 복수개의 제2의 돌기(1f)가 돌출되고, 이 돌기(1f)를 포함해서 이 마그넷 내경 부분에 상기 접착제(5)가 도포 되어서 강도를 보완하고 있다. 따라서 마그넷(3)은 외경이 상기 편심 웨이트(4)의 일부와 그 중심을 통해서 반대쪽으로 하향한 로터 케이스(1)의 측부(側部)(1g)에 의해 둘러싸이므로 충분한 고착 강도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편심 로터(R)에 조합되는 스테이터(S)는 비자성 혹은 약자성 스테인레스 판으로 두께가 0.2mm 정도의 박형(薄型)으로 형성된 브래킷(6)과, 상기 브래킷(6)의 상면에 첨가 설치된 스테이터 베이스(7)와, 이 스테이터 베이스(7)의 상면에 배설되어 단상 결선(單相結線)된 2개의 공심 전기자 코일(8, 8)이 대향해서 구성된 것인데, 브래킷(6)의 중앙에는 축(9)의 기단(基端)을 받는 얕은 버어링이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축(9)의 기단이 수용되고 바깥쪽으로부터 레이저 조사(Ll)해서 고정됨으로써 축 지지부(6a)로서 형성된다. 더욱이 이 브래킷(6)은 일부가 옆쪽에 급전(給電) 단자 재치부(6b)로서 연달아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터 베이스(7)는 인쇄 배선 랜드를 포함한 두께가 0.15mm 정도의 플랙시블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심 전기자 코일(8)의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각도의 위치에 디텐트 토오크 발생부재가 설치되는 투공(透孔)(7a)이 대향해서 뚤려 형성되어 있고, 이 투공(7a)에, 자성 스테인레스 판으로 형성되어 두께가 스테이터 베이스의 두께와 동등 이하로 된 상기 디텐트 토오크 발생부재(10)가 끼워 넣어지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코일의 와인딩 개시 단말이 찌부러지지 않도록 와인딩 개시 단말 도출용의 긴 구멍(7b)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공심 전기자 코일(8)의 와인딩 개시 결선 랜드(8a), 와인딩 종료 결선 랜드(8b)와 구동 회로부재(11)의 접속 랜드(11a)가 형성된다. 이 스테이터 베이스(7)에는, 또한 측외방으로 상기 급전 단자 재치부(6c)의 위치에 중첩하도록 급전 단자부(7c)가 연달아 설치된다. 당연히 각 랜드는 각 땜납 결선부를 제외하고 레지스트 처리된다.
상기 디텐트 토오크 발생부재(10)의 배치 개각(開角)은, 조합하고자 하는 로터의 축방향 공극형 마그넷의 자극(磁極)의 개각(開角)이 60°인 경우, 자극(磁極)의 피크, 중립인 어느 곳에 이 마그넷이 정지하더라도 자기동(自起動)할 수 있는 위치로서 정해지고, 코일 중심으로부터의 위치로서 약 15°를 기본으로 해서 이 위치로부터 모두 자극의 개각과 동등한 위치에 있으면 대향시킬 필요는 없다.
상기 스테이터 베이스(7)에는 공심 전기자 코일(8), 구동 회로부재(11) 등은 UV 경화형 혐기성 접착제(55)로써 고착된다.
또한 도 3에서는, 복잡해지므로 공심 전기자 코일 단말, 각 결선 랜드 등은 생략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 스테이터 베이스(7)는 자외선 경화형 혐기성 접착제 등을 통해서 상기 브래킷(6)에 설치된다. 디텐트 토오크 발생부재(10)는 스테이터 베이스(7)에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수용되므로, 결과적으로는 그 두께는 전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공심 전기자 코일(5)의 내경에 무리하게 설치함이 없이, 즉 코일 내경과 무관계하게 되므로, 코일은 와인딩 수를 충분한 기동(起動) 토오크가 얻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한 편심 로터(R)는 축(9)을 통해서 스테이터(S)와 조합되며, 케이스(12)를 씌우고, 상기 축(9)의 선단을 축 지지부(12a)에 레이저 용접(L2) 하고, 더욱이 케이스(12)와 브래킷(6)의 부착 부분을 레이저 스폿(L3)해서 소형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로 해서 완성한다. 이렇게 하면 모터로서 조립 구조는 전체적으로 일체화된 구조가 되어서 비교적 얇은 부재이면서 강고한 것이 된다.
(실시예 2)
베어링과 로터 케이스, 및 편심 웨이트와 로터 케이스의 고착 수단으로서 도 4에 나타내는 형태도 실시할 수 있다.
즉, 도 3의 편심 로터 부분의 실시예와 베어링(22)을 상하 반대로 하고, 편심 웨이트(44)의 기타 부분(4b)의 두께를 이용해서 베어링(22)의 수용부(22a)를 반대쪽에 가지고 된 것인데, 회전중심 버어링부(1a)의 하단에 있는 바와 같이 역방향 어깨부(22b)의 전체 주위를 바깥쪽으로 접어 굽힘으로써 로터 케이스(1)에 고착시킨 것이다. 편심 웨이트의 기타 부분의 구성에 의해 이러한 형태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편심 웨이트(44)의 기타 부분(4b)에 형성한 오목부(凹部) (44c)는 막힌 형(型)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 밖의 부재에 대해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등 한 것은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위의 설명에서는 편심 웨이트와 로터 케이스와의 접합 수단으로서 접착에 의한 것을 개시했지만, 그 밖의 접합 수단으로서 보다 강고한 접합을 할 수 있다, 납땜, 레이저 용접 등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연히 이들 고착제는 로터 상면 이하가 되도록 배려된다. 또한 상기 버어링 구멍은 윗쪽으로 돌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특징으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위에서 설명한 이외에 여러 가지의 실시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한 실시의 형태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치지 않기 때문에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는 것이며, 명세서 본문에는 구속되지 않는다.
도 1은 제1의 실시 형태(실시예 1)에 의한 편심 로터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로터에 조합시킨 스테이터의 조립도.
도 3은 실시예 1에 의한 편심 로터와 스테이터를 구비한 축방향 공극형(空隙型)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의 종단면도.
도 4는 편심 로터의 제2의 실시의 형태(실시예 2)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자성(磁性) 금속제 로터 케이스 1a: 돌기
2, 22: 베어링 3: 마그넷
4, 44: 편심 웨이트 4a: 일부
4b: 기타 부분 4c: 관통 오목부(凹部) 44c: 막힌 오목부(凹部) 5: 접착제
6: 브래킷(bracket) 7: 스테이터 베이스 8: 공심(空心) 전기자(電機子) 코일 9: 축
10: 구동 회로부재 11: 케이스

Claims (4)

  1. 자성 금속제 로터 케이스와, 이 로터 케이스에 배치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바깥쪽에서 상기 로터 케이스의 하면에 고착된 축방향 공극형 마그넷과, 이 마그넷의 바깥쪽에 일부가 배치됨과 아울러 기타 부분이 상기 로터 케이스의 상면에 배치된 편심 웨이트가 구비된 편심 로터로서,
    상기 베어링은 어느 일단이 상기 편심 웨이트의 기타 부분의 두께 이내에서 상기 로터 케이스 상면으로부터 돌출해 있고, 이 베어링의 어느 일단이 수용부로서 상기 로터 케이스의 회전중심 버어링 구멍에 계지(係止)됨과 아울러 이 수용부의 반대 끝을 바깥쪽으로 잘라 굽힘으로써 상기 로터 케이스에 고착되고, 이 로터 케이스와 상기 편심 웨이트를 고착하는 수단으로서 편심 웨이트의 기타 부분에 형성한 복수의 오목부(凹部)에 상기 로터 케이스에 형성한 돌기가 끼워 넣어져, 적어도 이 돌기와 상기 오목부의 부분으로 접합해서 되는 편심 로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웨이트의 기타 부분에 형성한 오목부(凹部)는 관통해 있고, 상기 로터 케이스에 형성한 돌기에는 관통 부분이 형성되며, 접합 수단으로서 접착에 의한 것으로서 이 접착제가 편심 웨이트 상면에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편심 로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의 고착 수단의 일부로서 이 마그넷의 내경을 향하도록 상기 로터 케이스로부터 아래쪽으로 복수의 돌기가 돌출되고, 이 돌기를 포함해서 이 마그넷 내경 부분에 접착제가 도포 되어 있는 편심 로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편심 로터와, 이 편심 로터에 축방향 공극을 통해서 조합한 스테이터가 구비된 것으로서, 이 스테이터는 중앙에 축받이부가 배치된 브래킷과, 상기 축받이부의 바깥쪽에서 상기 브래킷 위에 첨가 배설된 플렉시블 인쇄 배선판 으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 베이스와, 이 스테이터 베이스 상면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배치된 디텐트 토오크 발생부재와, 이 스테이터 베이스 상면에 배치된 단상 공심 전기자 코일과, 이 단상 공심 전기자 코일과 중첩하지 않도록 상기 스테이터 베이스 위로 배치된 구동 회로부재가 구비된 소형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
KR1020090091383A 2008-12-25 2009-09-26 편심 로터와 이 로터를 구비한 소형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 KR201000757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29257 2008-12-25
JP2008329257A JP2010154636A (ja) 2008-12-25 2008-12-25 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小型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720A true KR20100075720A (ko) 2010-07-05

Family

ID=4249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383A KR20100075720A (ko) 2008-12-25 2009-09-26 편심 로터와 이 로터를 구비한 소형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0154636A (ko)
KR (1) KR20100075720A (ko)
CN (1) CN1017644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493Y1 (ko) * 2013-08-07 2013-10-17 유영묵 로터 샤프트의 회전 밸런스 조정 구조를 구비한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988B1 (ko) * 2016-07-19 2017-08-17 이상의 브러시리스 직류 진동 모터
CN106972686A (zh) * 2017-04-27 2017-07-21 浙江美茵电机有限公司 一种节能推杆电机
CN109038939B (zh) * 2018-07-13 2021-04-20 浙江省东阳市东磁诚基电子有限公司 一种永磁交流扁平振动马达及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493Y1 (ko) * 2013-08-07 2013-10-17 유영묵 로터 샤프트의 회전 밸런스 조정 구조를 구비한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64458A (zh) 2010-06-30
JP2010154636A (ja)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0274B2 (en) Thin stator, eccentric motor and axial air-gap brushless vibration motor equipped with the same
US7598638B2 (en) Stator and axial-gap brushless vibration motor incorporating the stator
US20060028077A1 (en) Flat vibration brushless motor
JP4187773B1 (ja) 薄型ステータと同ステ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JP2008193889A (ja) モータ
KR20100075720A (ko) 편심 로터와 이 로터를 구비한 소형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
JP3560606B1 (ja) 駆動回路が内蔵されたステータと同ステ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ブラシレスモータ
US7615901B2 (en) Slim type vibration motor
JP4067556B2 (ja) 薄型ステータと同ステ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JP2005027484A (ja) ステータと同ステ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ブラシレスモータ
KR100859633B1 (ko)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를 구비한 축방향 공극형브러시리스 진동모터
JP2010200513A (ja) 軸方向空隙型コアレス振動モータ及び無線通信装置
JP2004147468A (ja) 駆動回路が内蔵された軸方向空隙型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JP2009268196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3894368B2 (ja) モータ用電機子、同電機子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モータ
JP4402671B2 (ja) ステータと同ステ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JP2004297903A (ja) 軸方向空隙型ブラシレスモータ
JP3938397B2 (ja) ステータと同ステ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ブラシレスモータ
US7088022B2 (en) Axial air-gap vibration motor
JP3537816B1 (ja) ホールセンサと駆動回路が内蔵されたステータと同ステ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ブラシレスモータ
JP3616085B2 (ja) 偏心ロータと同偏心ロ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KR20040038594A (ko) 구동회로부재가 내장된 축방향 공극형 브러시리스 모터
JP2008049246A (ja) 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ブラシレス振動モータ
JP3863149B2 (ja) 軸固定型モータと同モータの製造方法
JP3985964B2 (ja) ディテントトルク発生手段を有するステータと同ステ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ブラシレス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