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4928A -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 148-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막걸리 - Google Patents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 148-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막걸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4928A
KR20100074928A KR1020080133488A KR20080133488A KR20100074928A KR 20100074928 A KR20100074928 A KR 20100074928A KR 1020080133488 A KR1020080133488 A KR 1020080133488A KR 20080133488 A KR20080133488 A KR 20080133488A KR 20100074928 A KR20100074928 A KR 20100074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ity
strain
strains
makgeolli
ciba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4317B1 (ko
Inventor
차성관
안병학
김주령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3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3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4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Weisella cibaria) 148-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막걸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막걸리로부터 분리된 항암활성, 면역활성, 항염증활성 및 항산화활성의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 148-2 균주 및 상기의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 148-2 균주를 포함하는 기능성 막걸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막걸리로부터 분리된 젖산균주는 항암활성 등의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발효주의 접종균주가 될 수 있으며, 이 균주를 포함시켜 제조된 막걸리는 상기의 효능을 가지는 발효주로서 일반 수요자에게 건강기능식 전통주로써 제공되어 질 수 있다.
와이셀라 시바리아(Weisella cibaria) 148-2 균주, 항암활성, 면역활성, 항염증활성, 항산화활성, 세포 생장억제율, 막걸리

Description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 148-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막걸리{Weissella cibaria 148-2 lactic bacteria for functional healthy effect and Makgeolli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Weisella cibaria) 148-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막걸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막걸리로부터 분리된 항암활성, 면역활성, 항염증활성 및 항산화활성의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 148-2 균주 및 상기의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 148-2 균주를 포함하는 기능성 막걸리에 관한 것이다.
막걸리는 찹쌀·멥쌀·보리·밀가루 등을 쪄서 누룩과 물을 섞어 발효시킨 한국 고유의 술로, 원료는 곡류이며 분류는 약주에 포함되고 알콜농도는 보통 6~7도 정도가 되는 전통주이다. 막걸리는 탁주(濁酒)·농주(農酒)·재주(滓酒)·회주(灰酒)라고도 한다. 한국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된 술로, 빛깔이 뜨물처럼 희고 탁하며, 6∼7도로 알코올 성분이 적은 술이다.
막걸리는 각 지방의 관인(官認) 양조장에서만 생산되고 있는데, 예전에 농가에서 개별적으로 제조한 것을 농주라 한다. 고려시대부터 알려진 대표적인 막걸리로 이화주(梨花酒)가 있는데, 가장 소박하게 만드는 막걸리용 누룩은 배꽃이 필 무렵에 만든다 하여 그렇게 불렀으나, 후세에 와서는 아무때에나 만들게 되었고, 이화주란 이름도 점점 사라졌다. 중국에서 전래된 막걸리는 《조선양조사》에 “처음으로 대동강(大同江) 일대에서 빚기 시작해서, 국토의 구석구석까지 전파되어 민족의 고유주(固有酒)가 되었다”라고 씌어 있는데, 진위를 가리기는 어렵다.
제조방법은 주로 찹쌀·멥쌀·보리·밀가루 등을 찐 다음 수분을 건조시켜(이것을 지에밥이라고 한다) 누룩과 물을 섞고 일정한 온도에서 발효시킨 것을 청주를 떠내지 않고 그대로 걸러 짜낸다. 옛날 일반 가정에서는 지에밥에 누룩을 섞어 빚은 술을 오지그릇 위에‘井’자 모양의 겅그레를 걸고 그 위에 올려놓고 체에 부어 거르면 뿌옇고 텁텁한 탁주가 되는데 이것을 용수를 박아서 떠내면 맑은술[淸酒]이 된다. 이때 찹쌀을 원료로 한 것을 찹쌀막걸리, 거르지 않고 그대로 밥풀이 담긴 채 뜬 것을 동동주라고 한다. 좋은 막걸리는 단맛·신맛·쓴맛·떫은맛이 잘 어울리고 감칠맛과 시원한 맛이 있는 것으로서, 땀 흘리고 일한 농부들의 갈증을 덜어주어 농주로서 애용되어 왔다.
막걸리는 곡물을 이용해 누룩과 효모로 발효시킨 전통주로 일반 술에 비해 영양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갑작스런 혈당의 감소현상을 막아주기도 하며 위와 간에 부담을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막걸리의 제조 과정은 누룩 미생물 중 곰팡이의 아밀라아제에 의한 쌀전분의 당화 공정과 발효성 당의 알 콜로의 전환 과정(발효공정) 등 두 가지 공정을 여러 미생물의 제 효소 반응의 조화에 의해 병행 복 발효를 거친다. 시판되고 있는 막걸리의 경우 제조된 곡자 및 입국을 쓰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이들의 제조 과정에 누룩이나 효모뿐만 아니라 젖산균, 박테리아와 같은 여러 미생물들이 첨가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경우 막걸리의 품질은 곰팡이와 누룩에 의해 많은 부분 결정이 되나 젖산균과 박테리아가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글루코오스 등 당류를 분해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으로 유산균이라고도 한다. 젖산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젖산에 의해서 병원균과 유해세균의 생육이 저지되는 성질을 유제품·김치류·양조식품 등의 식품제조에 이용한다. 또, 포유류의 장내에 서식하여 잡균에 의한 이상발효를 방지하여 정장제(整腸劑)로도 이용되는 중요한 세균이다. 그람양성균이며, 통성혐기성 또는 혐기성이다. 락토바실루스속과 스트렙토코쿠스속에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다.
젖산균은 락트산균·유산균이라고도 한다. 젖산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젖산에 의해서 병원균과 유해세균의 생육이 저지되는 성질을 유제품(乳製品:요구르트·치즈 등)·김치류·양조식품(청주·된장·간장 등) 등의 식품제조에 이용한다. 또, 포유류의 장내에 서식하여 잡균에 의한 이상발효를 방지하여 정장제(整腸劑)로도 이용되는 중요한 세균이다. 그람양성균이며, 통성혐기성 또는 혐기성이다. 운동성은 없고 대부분이 카탈라아제 음성이고, 생육에는 각종 비타민, 아미노산, 어떤 종류의 펩티드 등을 요구한다.
젖산균은 미생물 분류학상으로는 유박테리알레스목(Eubacteriales)에 포함된 다. 이 과는 락토바실레아에족(Lactobacilleae)과 스트렙토코카세아에족(Streptococcaceae)으로 구분되는데, 전자에서는 락토바실루스속(Lactobacillus)이, 후자에서는 스트렙토코쿠스속(Streptococcus)·페디오코쿠스속(Pediococcus)·류코노스톡속(Leuconostoc)이 중요하다. 형태학상으로는 젖산 간균(桿菌:락토바실루스속)과 젖산 구균(球菌:스트렙토코쿠스속·페디오코쿠스속·류코노스톡속)으로 대별되고, 생리학적으로는 당을 혐기적으로 분해하여 주로 젖산만을 생성하는 호모발효균과, 젖산 외에 부산물(알코올·이산화탄소 등)을 생성하는 헤테로발효균으로 분류된다. 또, 생성된 젖산의 광회전성 등에 의해서도 나누어진다.
젖산균을 이용한 막걸리 등의 전통주 제조방법에 대하여 많은 연구와 실험이 수행되고 오고 있다. 몸에 유용한 기능(항암, 면역작용, 항염증 등)을 하는 신 젖산균의 개발과 이용이 요구된다. 이를 통하여 우리의 전통주인 막걸리를 세계화 시킬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신균주의 탐색과 분리를 통하여 발효주에 이용 가능한 기능적 균주를 제공하고자 함이며,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항암활성 등의 효능을 가지는 전통주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막걸리로부터 분리된 항암활성, 면역활성, 항염증활성 및 항산화활성의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Weisella cibaria) 148-2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Weisella cibaria) 148-2 균주를 포함하는 막걸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막걸리로부터 분리된 젖산균주는 항암활성 등의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발효주의 접종균주가 될 수 있으며, 이 균주를 포함시켜 제조된 막걸리는 상기의 효능을 가지는 발효주로서 일반 수요자에게 건강기능식 전통주로써 제공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Weisella cibaria) 148-2 (KACC 91421P)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균주는 항암활성, 면역활성, 항염증활성 및 항산화활성의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균주는 막걸리에서 분리된 젖산균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Weisella cibaria) 148-2 균주를 포함하는 막걸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막걸리에서, 상기 균주는 항암활성, 면역활성, 항염증활성 및 항산화활성의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Weisella cibaria) 148-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막걸리에 대하여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막걸리로부터 젖산균의 일종으로 추정되는 미생물을 탐색하고, 탐색된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탐색하여 분리된 균주의 항암활성, 면역활성, 항염증활성 등을 통하여 목적으로 하는 기능을 가지는 균주를 선별하고, 선별된 균주를 가지고 세포 생장억제율 측정, QR(Quinone reductase) 활성 측정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의 선별된 균주를 포함하는 막걸리에 대한 세포 생장억제율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의 효능을 증명하였다.
<실시예> 균주의 분리
1. 균주의 분리 과정
본 실시예에서는 시판 막걸리와 실험실내에서 담근 막걸리에서 미생물들을 분리하였고, 이들이 가지는 건강기능활성을 측정하여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protease), 아밀라아제 (amylase) 활성과 다당류 생성이 우수한 균주를 우선적으로 선발하였고, 선발 균주들의 간이동정을 통해 젖산균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Protease, amylase 활성과 다당류 생성이 우수한 균주의 선발을 위하여 시중에서 수집한 막걸리 30개와 한국식품연구원 보유 누룩으로 제조한 막걸리 114개를 peptone dilution fluid를 이용하여 10배 희석법으로 희석하였고, protease 활성을 보기 위한 배지 (Plate count agar에 2%의 skim milk를 첨가한 것), 다당체 혈성을 보기 위한 배지 (Plate count agar에 10%의 sucrose를 첨가한 것) 그리고 amylase 활성을 보기 위한 배지 (0.05% congo red, 0.5% starch, 0.1% yeast nitrogen, 1.5% agar를 첨가한 것)와 같은 세 가지 배지를 이용하여 활성이 높은 균을 분리하였다.
2. 균주의 분리 결과
상기 1.과정을 통하여 분리된 균주를 광학 현미경에 의한 세포관찰, Gram staining, catalase test 그리고 oxidase test를 이용하여 미생물 간의 동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144개의 시료에서 총 265개의 미생물이 분리되었으며, 이들 265 미생물 중 상대적으로 단백질분해, 전분분해 활성 그리고 다당체 형성이 높은 균주, 그리고 미생물 간이동정을 통하여 젖산균으로 추정되는 균주 (Gram staining 양성, oxidase test 음성, catalase test 음성)를 선발한 결과는 아래 표 1 및 2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다. 시판 막걸리에서 3개, 누룩을 이용해 담은 막걸리에서 17개 총 20개의 균주가 1차로 선발되었다 (이하 표 1 및 2 참조).
[표 1] 시판 막걸리에서 분리된 균주의 1차 실험 결과
동정결과 1차 기능성
균주
번호
세포 형태(Cell morphology) Gram stain Catalase
test
Oxidase test protease
분해능
slime
형성능
Amylase
활성
11-2 rod + - - + (+) ++
11-3 rod + - - + (+) +
11-4 rod + - - + (+) ++
(상기 표 1에서 ' ++: 활성 큼, + : 활성 있음, - : 활성 없음, () : 활성이 나타나기는 하나 정도가 희미함 ' 을 의미한다. )
[표 2] 실험실내에서 누룩을 이용하여 담근 막걸리에서 분리한 균주의 1차 실험결과
동정결과 1차 기능성
균주
번호
세포 형태(Cell morphology) Gram stain Catalase
test
Oxidase test protease
분해능
slime
형성능
Amylase
활성
111-5 rod + - - ++ (++) ++
117-1 rod + - - + (+) ++
124-2 cocc1 + - - ++ (+) ++
125-3 rod + - - + (++) -
126-4 rod + - - + - +
148-1 rod + - - (++) - -
148-2 rod + - - (++) - -
148-6 rod + - - (+) - -
197-4 rod + - - (+) - -
197-5 rod + - - (++) - -
198-2 cocc1 + - - - (++) +
281-3 rod + - - (++) - -
281-4 rod + - - (++) - -
284-1 rod + - - (++) - -
284-2 rod + - - (++) - -
284-3 rod + - - (++) - -
286-3 rod + - - (++) (+) -
(상기 표 2에서 ' ++: 활성 큼, + : 활성 있음, - : 활성 없음, () : 활성이 나타나기는 하나 정도가 희미함 ' 을 의미한다. )
<실험예 1> 항암활성 효과에 관한 실험
1. 항암활성 효과의 측정방법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1차로 선발된 20개의 선발균주를 이용하여 먼저 항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MTT assay를 실시하기 위해서 우선 균주를 MRS agar 배지를 이용해 24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다 자란 미생물은 PBS를 이용하여 희석시킨다음 autoclave를 이용해 균을 사멸시킨 후 시료로 이용하였다.
MTT assay는 정상세포주인 CHO-K1와 대장암 세포주인 SNU-C4를 이용해 준비된 균 시료를 10% 농도로 투여한 다음 72 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배양 후 MTT 시약 을 처리하여 세포 생장 억제율을 측정하였다.
2. 항암활성 효과 측정결과
암세포주인 SNU-C4와 정상세포주인 CHO-K1의 생장 억제율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정상세포주인 CHO-K1의 생장 억제율이 낮은값을 가진 동시에 암세포 SNU-C4의 생장 억제율이 높은 균을 항암활성 우수균주로 판정하였다. 세 번에 걸친 실험 결과 148-2 균주가 가장 항암활성 효과가 좋은 균주로 밝혀졌으며, 이외에도 148-1, 284-2, 197-4 균주가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이하 표 3 참조).
[표 3] 균주를 처리한 정상 세포주와 대장암 세포주에서의 생장 억제율(세포 억제율은 % 농도로 나타냄)
Figure 112008088873983-PAT00001
<실험예 2> 면역활성 효과에 관한 실험
1. 면역활성 효과의 측정방법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1차로 선발된 균주의 면역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면역증강 물질 중의 하나인 NO (nitric oxide)를 측정하였다. 선발균주의 면역활성 측정은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주에 균주시료 10% 희석액을 처리하고 20시간 동안 배양시킨 다음, Griess 시약을 이용해 배지내에 생성된 NO의 양을 측정 하였다.
2. 면역활성 효과의 측정결과
면역활성 효과의 경우 3번의 반복된 실험에서 실험의 오차가 많이 나서 뚜렷 한 경향을 보이는 균주는 보이지 않았으나 125-3, 198-2, P11-3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하 표 4 참조).
[표 4] 균주를 처리한 대식세포에서의 NO 생성 정도
Figure 112008088873983-PAT00002
<실험예 3> 항염증활성 효과에 관한 실험
1. 항염증활성 효과 측정방법
상시 실시예에 의하여 1차 선발된 균주의 항염증 효과를 보기 위하여 대식 세포인 RAW 264.7 세포주에 염증 유발 인자인 LPS를 처리하고, 여기에 균 시료 10% 희석액을 처리한 다음 20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사용한 배지를 이용해 여기에 포함되어 있는 NO의 양을 Griess 시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항염증활성 효과 측정결과
20개 1차 선발균주의 항염증 효과 측정결과 124-2가 NO의 과발현을 가장 많이 억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도 P11-4, 128-4, 111-5, 125-3, 148-2, 198-2, 197-4 등에서도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도 1 참조).
<실험예 4> 2차 선발된 균주의 효과에 관한 실험
1. 20개의 1차 선발균주를 이용한 항암활성 (MTT assay). 면역활성 및 항염증 활성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세 균주 (148-2, 197-4, 284-2)를 2차 선발하였고, 이들 3개의 2차 선발균주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건강기능활성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추가적인 건강 기능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균주들이 분비하는 물질과 균주의 세포독성을 별도로 보기위해 물질을 균과 분리하여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해독효소계의 활성효과를 보기위해 QR (Quinone reductase)활성을 측정하였고, 항산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ORAC assay를 이용해 전자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2. 세포 생장 억제율 측정
먼저 2차 선발균주 (148-2, 197-4, 284-2)를 이용하여 이들이 생성하는 분비물질과 균주자체를 분리시켜 이들의 세포 생장억제율을 측정한 결과는 도 2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았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생장 억제율은 30% 내외를 보였으며, 3가지 모든 균주에서 균주 자체에 의한 생장 억제율이 분비물질에 의한 것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148-2 균주가 가장 높은 암 세포주 생장 억제율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도 2 참조).
3. QR(quinone reductase)활성 측정
2차 선발균주 (148-2, 197-4, 284-2)를 이용하여 간암세포주인 Hepa1c1c7를 이용한 무독화 효소들 중의 하나인 QR(quinone reduct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도 3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았다.
간암세포주인 Hepa1c1c7을 배양하여 10%의 균주시료 희석액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를 회수하여 QR(quinone reduct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3가지 선발균주 모두에서 QR 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48-2 균주의 QR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3 참조).
4. 항산화활성 측정
2차 선발균주 (148-2, 197-4, 284-2)를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 결과는 도 4 및 도 5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았다.
세 가지 모든 균주가 peroxyl radical과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hydroxyl radical의 경우에 148-2 균주의 항산화활성이 다른 균주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4 및 5 참조).
5. 균주의 동정과 염기서열 분석
1) 위의 결과를 종합했을 때 3개의 2차 선발균주 중 148-2 균주가 건강기능활성 효과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최종적으로 148-2 균주를 선발하게 되었다.
2) 상기 1)의 선발된 균주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을 하였으며, 동정 결과 148-2 균주는 와이셀라 시바리아(Weisella cibaria)인 균종으로 밝혀졌으며, 균주 동정 결과 와이셀라 시바리아(Weisella cibaria)와 99% 정도의 상동성을 나타내어, 와이셀라 시바리아(Weisella cibaria) 148-2 균주로 명명하였으며, 상기 와이셀라 시바리아 148-2 균주는 농업생명공학연구원에 2008년 12월 9일 미생물 수탁번호 KACC 91421P로 기탁을 하였다. 와이셀라 시바리아 148-2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 분석결과는 이하 표 5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았다(이하 표 5 참조).
[표 5] Weisella cibaria 148-2 균주의 염기서열
1 CTCAGGATGA ACGCTGGCGG CGTGCCTAAT ACATGCAAGT CGAACGCTTT GTGGTTCAAC
61 TGATTTGAAG AGCTTGCTCA GATATGACGA TGGACATTGC AAAGAGTGGC GAACGGGTGA
121 GTAACACGTG GGAAACCTAC CTCTTAGCAG GGGATAACAT TTGGAAACAG ATGCTAATAC
181 CGTATAACAA TAGCAACCGC ATGGTTGCTA CTTAAAAGAT GGTTCTGCTA TCACTAAGAG
241 ATGGTCCCGC GGTGCATTAG TTAGTTGGTG AGGTAATGGC TCACCAAGAC GATGATGCAT
301 AGCCGAGTTG AGAGACTGAT CGGCCACAAT GGGACTGAGA CACGGCCCAT ACTCCTACGG
361 GAGGCAGCAG TAGGGAATCT TCCACAATGG GCGAAAGCCT GATGGAGCAA CGCCGCGTGT
421 GTGATGAAGG GTTTCGGCTC GTAAAACACT GTTGTAAGAG AAGAATGACA TTGAGAGTAA
481 CTGTTCAATG TGTGACGGTA TCTTACCAGA AAGGAACGGC TAAATACGTG CCAGCAGCCG
541 CGGTAATACG TATGTTCCAA GCGTTATCCG GATTTATTGG GCGTAAAGCG AGCGCAGACG
601 GTTATTTAAG TCTGAAGTGA AAGCCCTCAG CTCAACTGAG GAATTGCTTT GGAAACTGGA
661 TGACTTGAGT GCAGTAGAGG AAAGTGGAAC TCCATGTGTA GCGGTGAAAT GCGTAGATAT
721 ATGGAAGAAC ACCAGTGGCG AAGGCGGCTT TCTGGACTGT AACTGACGTT GAGGCTCGAA
781 AGTGTGGGTA GCAAACAGGA TTAGATACCC TGGTAGTCCA CACCGTAAAC GATGAGTGCT
841 AGGTGTTTGA GGGTTTCCGC CCTTAAGTGC CGCAGCTAAC GCATTAAGCA CTCCGCCTGG
901 GGAGTACGAC CGCAAGGTTG AAACTCAAAG GAATTGACGG GGACCCGCAC AAGCGGTGGA
961 GCATGTGGTT TAATTCGAAG CAACGCGAAG AACCTTACCA GGTCTTGACA TCCCTTGACA
1021 ACTCCAGAGA TGGAGCGTTC CCTTCGGGGA CAAGGTGACA GGTGGTGCAT GGTTGTCGTC
1081 AGCTCGTGTC GTGAGATGTT GGGTTAAGTC CCGCAACGAG CGCAACCCTT ATTACTAGTT
1141 GCCAGCATTC AGTTGGGCAC TCTAGTGAGA CTGCCGGTGA CAAACCGGAG GAAGGTGGGG
1201 ATGACGTCAA ATCATCATGC CCCTTATGAC CTGGGCTACA CACGTGCTAC AATGGCGTAT
1261 ACAACGAGTT GCCAACCCGC GAGGGTGAGC TAATCTCTTA AAGTACGTCT CAGTTCGGAT
1321 TGTAGGCTGC AACTCGCCTA CATGAAGTCG GAATCGCTAG TAATCGCGGA TCAGCACGCC
1381 GCGGGTGAAT ACGTTCCCGG GTCTTGTACA CACCGCCCGT CACACCATGA
<실험예 5> 막걸리에 첨가한 와이셀라 시바리아 148-2 균주에 관한 효과 실험
최종적으로 선발된 와이셀라 시바리아 148-2 균주를 막걸리에 첨가했을 때 균주가 건강 기능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서 살균된 시판 막걸리에 와이셀라 시바리아 148-2 균주를 첨가하고 일주일 동안 5℃에 보관한 다음 이들의 세포 생장 억제율을 확인하였다.
대장암 세포주인 SNU-C4를 이용해서 72시간 동안 처리하고 생장 억제율을 측정한 결과, 균주를 첨가하지 않은 막걸리보다 균주를 첨가한 막걸리에서 세포의 생장 억제율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 참조).
본 발명의 젖산균주는 건강에 좋은 발효주의 스타터가 되어 기능성을 가지는 전통주를 제공하여 일반 수요자의 욕구과 건전한 음주문화 형성에 이바지 하며, 생산자의 이윤창출 및 수출촉진에도 기여하여, 궁극적으로 국가의 산업발전에 공헌 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LPS(염증유발인자)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주에서의 NO 생성 억제 정도를 나타낸다(vehicle은 세포주에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경우이다.).
도 2는 균주와 균주가 생성한 물질의 세포독성을 나타낸다(total은 균주와 균주가 생성한 분비물질 전체를 말하는 것이고, pellet은 균주 자체, supernatant는 균주가 생성한 분비물질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균주의 QR(Quinone reductase) 활성화를 나타낸다(vehicle은 세포주에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경우이다.).
도 4는 균주의 항산화 작용으로, 페록시 라디컬(Peroxyl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낸다(도 왼쪽상단의 농도는 균주가 자란 배지를 100%로 보았을때, 실험에 사용된 농도이다.).
도 5는 균주의 항산화 작용으로, 히드록시 라디컬(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낸다(도 왼쪽상단의 농도는 균주가 자란 배지를 100%로 보았을때, 실험에 사용된 농도이다.).
도 6은 막걸리에 첨가한 와이셀라 시바리아(Weisella cibaria) 148-2 균주의 세포 생장 억제율을 나타낸다.
<110> korea food research lnstitute <120> Weissella cibaria 148-2 lactic bacteria for functional healthy effect and Makgeolli containing the same <160> 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430 <212> DNA <213> Weisella cibaria 148-2 <400> 1 ctcaggatga acgctggcgg cgtgcctaat acatgcaagt cgaacgcttt gtggttcaac 60 tgatttgaag agcttgctca gatatgacga tggacattgc aaagagtggc gaacgggtga 120 gtaacacgtg ggaaacctac ctcttagcag gggataacat ttggaaacag atgctaatac 180 cgtataacaa tagcaaccgc atggttgcta cttaaaagat ggttctgcta tcactaagag 240 atggtcccgc ggtgcattag ttagttggtg aggtaatggc tcaccaagac gatgatgcat 300 agccgagttg agagactgat cggccacaat gggactgaga cacggcccat actcctacgg 360 gaggcagcag tagggaatct tccacaatgg gcgaaagcct gatggagcaa cgccgcgtgt 420 gtgatgaagg gtttcggctc gtaaaacact gttgtaagag aagaatgaca ttgagagtaa 480 ctgttcaatg tgtgacggta tcttaccaga aaggaacggc taaatacgtg ccagcagccg 540 cggtaatacg tatgttccaa gcgttatccg gatttattgg gcgtaaagcg agcgcagacg 600 gttatttaag tctgaagtga aagccctcag ctcaactgag gaattgcttt ggaaactgga 660 tgacttgagt gcagtagagg aaagtggaac tccatgtgta gcggtgaaat gcgtagatat 720 atggaagaac accagtggcg aaggcggctt tctggactgt aactgacgtt gaggctcgaa 780 agtgtgggta gcaaacagga ttagataccc tggtagtcca caccgtaaac gatgagtgct 840 aggtgtttga gggtttccgc ccttaagtgc cgcagctaac gcattaagca ctccgcctgg 900 ggagtacgac cgcaaggttg aaactcaaag gaattgacgg ggacccgcac aagcggtgga 960 gcatgtggtt taattcgaag caacgcgaag aaccttacca ggtcttgaca tcccttgaca 1020 actccagaga tggagcgttc ccttcgggga caaggtgaca ggtggtgcat ggttgtcgtc 1080 agctcgtgtc gtgagatgtt gggttaagtc ccgcaacgag cgcaaccctt attactagtt 1140 gccagcattc agttgggcac tctagtgaga ctgccggtga caaaccggag gaaggtgggg 1200 atgacgtcaa atcatcatgc cccttatgac ctgggctaca cacgtgctac aatggcgtat 1260 acaacgagtt gccaacccgc gagggtgagc taatctctta aagtacgtct cagttcggat 1320 tgtaggctgc aactcgccta catgaagtcg gaatcgctag taatcgcgga tcagcacgcc 1380 gcgggtgaat acgttcccgg gtcttgtaca caccgcccgt cacaccatga 1430

Claims (5)

  1.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Weisella cibaria) 148-2 (KACC 91421P)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항암활성, 면역활성, 항염증활성 및 항산화활성의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Weisella cibaria) 148-2 균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막걸리에서 분리된 젖산균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Weisella cibaria) 148-2 균주.
  4.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Weisella cibaria) 148-2 균주를 포함하는 막걸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막걸리는 항암활성, 면역활성, 항염증활성 및 항산화활성의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Weisella cibaria) 148-2 균주를 포함하는 막걸리.
KR1020080133488A 2008-12-24 2008-12-24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 148-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막걸리 KR101014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488A KR101014317B1 (ko) 2008-12-24 2008-12-24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 148-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막걸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488A KR101014317B1 (ko) 2008-12-24 2008-12-24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 148-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막걸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928A true KR20100074928A (ko) 2010-07-02
KR101014317B1 KR101014317B1 (ko) 2011-02-14

Family

ID=4263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488A KR101014317B1 (ko) 2008-12-24 2008-12-24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 148-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막걸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31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853B1 (ko) * 2013-03-04 2014-10-29 주식회사 국순당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의 함량 및 안정성이 높은 유산균 막걸리의 제조 방법
KR101667496B1 (ko) * 2015-10-15 2016-10-18 한국식품연구원 김치 유산균 와이셀라 시바리아(Weissella cibaria) WIKIM28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80054029A (ko) * 2016-11-14 2018-05-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웨이셀라 시바리아로부터 유래한 세포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면역력 증강을 위한 조성물
KR102009742B1 (ko) * 2018-12-10 2019-08-12 한국식품연구원 와이셀라 시바리아 wikim28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00070989A (ko) *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웨이셀라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WO2020122448A1 (ko) *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웨이셀라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WO2021153980A1 (ko) * 2020-01-31 2021-08-05 주식회사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시스 와이셀라 시바리아 wikim28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2145900A1 (ko) * 2020-12-28 2022-07-07 주식회사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시스 와이셀라 시바리아 균주 유래 나노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2177411A1 (ko) * 2021-02-22 2022-08-25 주식회사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시스 와이셀라 시바리아 lbml2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RU2792300C2 (ru) * 2018-12-10 2023-03-21 Корея Фуд Рисерч Институт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рака, содержащая weissella cibaria wikim28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612B1 (ko) 2012-06-08 2014-08-06 주식회사 국순당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있는 와이셀라 시바리아 ksd-914
KR101536672B1 (ko) * 2013-09-17 2015-07-2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와이셀라 시바리아 jw15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30010B1 (ko) * 2020-02-26 2021-11-23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제주 토속 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한 와이셀라 사이베리아 jskiu 18-18(kctc18806p)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 항암, 항충치 효능이 있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9197A (ja) 2004-12-17 2006-06-29 Ajinomoto Co Inc 家畜用抗菌剤及び飼料用組成物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853B1 (ko) * 2013-03-04 2014-10-29 주식회사 국순당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의 함량 및 안정성이 높은 유산균 막걸리의 제조 방법
KR101667496B1 (ko) * 2015-10-15 2016-10-18 한국식품연구원 김치 유산균 와이셀라 시바리아(Weissella cibaria) WIKIM28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80054029A (ko) * 2016-11-14 2018-05-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웨이셀라 시바리아로부터 유래한 세포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면역력 증강을 위한 조성물
WO2020122484A1 (ko) * 2018-12-10 2020-06-18 한국식품연구원 와이셀라 시바리아 wikim28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00070989A (ko) *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웨이셀라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WO2020122448A1 (ko) *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웨이셀라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009742B1 (ko) * 2018-12-10 2019-08-12 한국식품연구원 와이셀라 시바리아 wikim28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3164528A (zh) * 2018-12-10 2021-07-23 韩国食品研究院 包含食窦魏斯氏菌wikim28作为有效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癌症的药学组合物
JP2022511893A (ja) * 2018-12-10 2022-02-01 コリア フード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ワイセラ・シバリアwikim28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癌の予防又は治療用薬学組成物
RU2792300C2 (ru) * 2018-12-10 2023-03-21 Корея Фуд Рисерч Институт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рака, содержащая weissella cibaria wikim28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AU2019396103B2 (en) * 2018-12-10 2023-04-13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Weissella cibaria WIKIM28 as active ingredient
WO2021153980A1 (ko) * 2020-01-31 2021-08-05 주식회사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시스 와이셀라 시바리아 wikim28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EP4098271A4 (en) * 2020-01-31 2024-02-28 Liscure Biosciences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COMPRISING WEISSELLA CIBARIA WIKIM28 AS ACTIVE INGREDIENT
WO2022145900A1 (ko) * 2020-12-28 2022-07-07 주식회사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시스 와이셀라 시바리아 균주 유래 나노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2177411A1 (ko) * 2021-02-22 2022-08-25 주식회사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시스 와이셀라 시바리아 lbml2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4317B1 (ko) 2011-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317B1 (ko) 건강기능활성을 가지는 와이셀라 시바리아 148-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막걸리
Roger et al. Nutritional properties and antinutritional factors of corn paste (Kutukutu) fermented by different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KR102000475B1 (ko) 바실러스 세레우스에 대한 항균 활성 및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저해 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ny12-2 균주 및 이를 포함한 조성물
Grosu-Tudor et al. Microbial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wheat bran in traditional Romanian borş production
KR101482068B1 (ko) 전통장류 유래 효모 균주를 이용한 저염 간장의 제조방법
KR100871398B1 (ko) 락토바실러스 부크네리 opυ-2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발효유
KR20210106930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2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40115079A (ko) 감마-아미노부티르산 생산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255 균주
CN111480729B (zh) 一种含菜粕的菌酶协同发酵方法
KR102184142B1 (ko)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신균주 워커하모마이세스 아노말루스 ey2­22 및 이의용도
KR102184119B1 (ko)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신균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ey2-27 및 이의 용도
KRABI et al. Screening of lactic acid bacteria as potential starter for the production of ATTIEKE, a fermented cassava food
KR20150125836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js1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신바이오틱스 기능성 막걸리
KR101313120B1 (ko)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효모 싸카로마이세스 쎄레비지애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케퍼의 제조방법
KR101970148B1 (ko)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r18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068524B1 (ko)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럼 μ23 균주를 포함하는 발효유 및이의 제조방법
KR102353394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tsd 균주를 이용한 귀리 된장 제조방법
KR101744529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1-d-5, 이를 이용한 비피도박테리아 증식방법 및 효소식품 제조방법
KR20140022652A (ko) 신규한 류코노스톡 사이트리움 및 이를 함유한 식품
Adisa et al. Microbiological and probiotic assessment of yeast isolated from wholegrain millet sourdoughs
KR101350796B1 (ko) 생균제제 특성을 갖는 카자크스타니아 엑시구아 ccsy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막걸리 제조
CN113308419A (zh) 一株发酵用的谷糠乳杆菌及其应用
KR101859679B1 (ko) 내산성, 내당성 및 내알코올성 유산균
TWI822167B (zh) 烏龍茶醱酵物、其製造方法、含此之食品組成物及其用於製備具抗氧化及抑制血管張力素轉化酶功效之食品組成物的用途
KR102529533B1 (ko) 현미 베이스 무설탕 콤부차 발효 원액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