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2876A - 인쇄 제어 방법 및 인쇄 제어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인쇄 제어 방법 및 인쇄 제어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2876A
KR20100072876A KR1020080131415A KR20080131415A KR20100072876A KR 20100072876 A KR20100072876 A KR 20100072876A KR 1020080131415 A KR1020080131415 A KR 1020080131415A KR 20080131415 A KR20080131415 A KR 20080131415A KR 20100072876 A KR20100072876 A KR 20100072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xps
property
data range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1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2876A/ko
Priority to EP09178395A priority patent/EP2199900A3/en
Priority to US12/644,180 priority patent/US8717585B2/en
Publication of KR20100072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8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06F3/1248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by printer language recognition, e.g. PDL, PCL, PD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1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 G06F3/1212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achieving reduced delay between job submission and print start
    • G06F3/1213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achieving reduced delay between job submission and print start at an intermediate node or at the final n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06F3/1246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by handling markup languages, e.g. XSL, XML, HTM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인쇄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인쇄 제어 방법은, XPS(XML Paper Specification)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하면, XPS 파일 내에 XPS 속성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XPS 속성 파일이 XPS 파일 내의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XPS 속성 파일이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XPS 파일의 구조를 조정하는 단계, 조정된 구조의 XPS 파일을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의 XPS 문서 인식 속도가 향상된다.
드라이버, XPS 문서, XPS 속성 파일, 인쇄 제어, 인쇄 제어 단말장치

Description

인쇄 제어 방법 및 인쇄 제어 단말장치{METHOD FOR CONTROLING PRINT, AND TERMINAL UNIT}
본 발명은 인쇄 제어 방법, 및 인쇄 제어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에서의 XPS 파일의 인식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쇄 제어 방법, 및 인쇄 제어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보급되는 화상형성장치는 종래 제공하는 PS(PostScript), PCL(Printer Command Language)과 같은 PDL(Page Description Language)로 작성된 인쇄 데이터뿐만 아니라, XPS 에뮬레이터를 구비하여 XPS 파일에 대한 인쇄 기능까지도 지원하고 있다.
XPS 파일은 문서 서식이 유지되고 파일 공유가 가능한 고정된 레이아웃의 전자 파일로, 해당 문서 또는 작업에 필요로 하는 모든 리소스를 디렉터리 구조로 체 계화한 후 그들 사이의 참조 관계 등이 XML을 써서 기술한 데이터 및 리소스 모두를 ZIP 형태로 묶은 파일이다. 이러한 XPS 파일은 도 9와 같은 복수개의 계층을 갖는 트리 구조의 형태의 논리 구조를 갖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XPS 파일은 작업 레벨, 문서 레벨, 페이지 레벨과 같이 계층적으로 구성되며, 각 문서 레벨, 페이지 레벨에는 복수개의 문서,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문서, 페이지마다 다른 인쇄 옵션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XPS 파일을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식하는 과정은 종래의 PS, PCL 파일을 인식하는 과정과 다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PS, PCL 파일은 단말장치로부터 전달되는 PJL 명령어를 화상형성장치가 분석함으로써 수신되는 파일의 종류가 인식된다. 반면에 XPS 파일은 XPS 파일 내의 XPS 속성 파일을 검출함으로써 수신되는 파일이 XPS 파일임이 인식된다.
그러나, 이러한 XPS 파일 내의 XPS 속성 파일의 위치는 XPS 파일 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화상형성장치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XPS 파일인지를 인식하기 용이하지 않았다. 특히, 일정 범위 내의 수신된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수신된 인쇄 데이터의 종류를 판단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수신된 데이터를 인식하지 못하고 에러가 발생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서의 XPS 파일의 인식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쇄 제어 장법 및 인쇄 제어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인쇄 제어 방법은, XPS(XML Paper Specification)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XPS 파일 내에 XPS 속성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XPS 속성 파일이 상기 XPS 파일 내의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XPS 속성 파일이 상기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XPS 파일의 구조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구조의 XPS 파일을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XPS 속성 파일은, 'Content_Types.xml' 파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XPS 속성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XPS 속성 파일 내에 'vnd.ms-package.xps' 속성값을 갖는지 확인하여 XPS 속성 파일을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XPS 속성 파일의 물리적인 위치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XPS 파일의 구조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XPS 속성 파일이 상기 데이터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XPS 파일의 구조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XPS 파일의 구조를 조정하는 단계는, XPS 파일임을 알리는 로컬 파일을 상기 데이터 범위 내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인쇄 제어 방법은, 상기 변경된 구조의 XPS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 방법은, XPS(XML Paper Specification)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XPS 파일 내에 XPS 속성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XPS 속성 파일이 상기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XPS 파일임을 알리는 로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로컬 파일 및 상기 XPS 파일을 순차적으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를 인쇄 제어 단말장치는, XPS(XML Paper Specification)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XPS 파일의 XPS 속성 파일이 상기 XPS 파일 내의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XPS 파일의 구조를 조정하는 드라이버부, 및, 상기 속성 파일의 위치가 조정된 XPS 파일을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XPS 속성 파일은, 'Content_Types.xml' 파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드라이버부는, 상기 XPS 파일 내에 XPS 속성 파일을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된 XPS 속성 파일이 상기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XPS 속성 파일이 상기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XPS 파일의 구조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검색부는, 상기 XPS 속성 파일 내에 'vnd.ms-package.xps' 속성값을 갖는지 확인하여 XPS 속성 파일을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판단부는, 상기 XPS 속성 파일의 물리적인 위치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정부는, 상기 XPS 속성 파일이 상기 데이터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XPS 파일의 구조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정부는, XPS 파일임을 알리는 로컬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로컬 파일을 상기 데이터 범위 내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인쇄 제어 단말장치는, 상기 변경된 구조의 XPS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XPS(XML Paper Specification)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XPS 파일의 XPS 속성 파일이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XPS 파일임을 알리는 로컬 파일을 생성하는 드라이버부, 및, 상기 생성된 로컬 파일 및 상기 XPS 파일을 순차적으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 단말장치(1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인쇄 제어 단말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통신 인터페이스부(120), 저장부(130), 드라이버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 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인쇄 제어 단말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터치패드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마우스 및 모니터의 결합을 통한 장치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이용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XPS 파일을 선택할 수 있으며, 해당 XPS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XPS(XML Paper Specification) 파일이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계층을 갖는 트리 구조로 인쇄 옵션이 설정된 인쇄 데이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XPS 파일은 복수의 계층을 갖으며, 각 계층 및 각 트리의 매듭마다 별도의 인쇄 옵션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작업 레벨(10), 문서 레벨(20), 페이지 레벨(30)과 같은 3 개의 레벨의 계층을 갖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문서 레벨(20) 및 페이지 레벨(30)에는 복수개의 문서 및 페이지에 대한 인쇄 옵션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 레벨(10)에 '양면인쇄'가 인쇄 옵션으로 설정되고, 문서 레벨(20)의 제1 문서(21)에 '2-up'이 인쇄 옵션으로 설정되고, 제1 문서(21)의 제1 페이지(31)에 'A4 용지' 인쇄 옵션이 설정되고, 제1 문서(21)의 제2 페이지(32)에 'A5 용지' 인쇄 옵션이 적용되도록 인쇄 옵션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논리 구조의 매듭에서의 인쇄 옵션은 하부 계층에 대해서 유효한 인쇄 옵션으로 적용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화상형성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며, 화상형성장치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의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에 제공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의 인쇄 데이터는, PCL(Printer Command Language), PS(PostScript) 언어 등으로 작성된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데이터 및 XPS 파일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100)를 외부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병렬 포트,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및 무선 모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XPS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생성한 XPS 파일 또는 이전 작업에서 생성한 XPS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이하의 일련의 과정에 의해 파일의 구조가 조정된 XPS 파일을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13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100) 내의 저장매체뿐만 아니라, 외부 저장 매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드라이버부(140)는 XPS 파일의 XPS 속성 파일이 XPS 파일 내의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XPS 파일의 구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부(140)는 XPS 파일의 XPS 속성 파일이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XPS 파일임을 알리는 로컬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라이버부(140)는 검색부(141), 판단부(142), 및 조정부(143)로 구성될 수 있다.
검색부(141)는 XPS 파일 내의 XPS 속성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색부(14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인쇄 명령이 인가된 XPS 파일 내 의 XPS 속성 파일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XPS 속성 파일이란, 현재의 인쇄 데이터가 XPS 파일임을 알리는 XPS 파일 내에 포함된 파일로, XPS 파일 내의 'Content_Types.xml' 파일일 수 있다. 'Content_Types.xml' 파일은 XPS 파일이 어떠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설명하는 파일이며, XPS 파일 내의 사용되는 파일과 파일 확장자 사이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고, 특정 URI(uniform resource indicator)에 대해서 재정의하는 파일이다. 'Content_Types.xml' 파일에서 XPS 파일 내의 사용되는 파일과 확장자 사이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는 예들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검색부(141)는 ZIP 형태로 압축된 XPS 파일 내에 'Content_Types.xml' 파일의 물리적인 위치를 검색하여 XPS 속성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검색부(141)는 현재 인쇄 명령이 인가된 XPS 파일이 실질적인 인쇄 데이터 기능을 가지는 XPS 파일인지를 선행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XPS 파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문서 서식이 유지되는 전자 파일인 동시에 프린터 스풀 파일로, 인쇄 데이터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XPS 파일일 수 있다. 따라서, 검색부(141)는 'Content_Types.xml' 파일 내의 각종 속성값을 확인하여 현재 XPS 파일이 인쇄 데이터 기능을 갖는지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XPS 속성 파일의 'ContentType' 속성이 'application/vnd.ms-package.xps' 값을 갖는 경우, 해당 XPS 파일은 인쇄 데이터 기능을 수행하는 XPS 파일이다.
도 3은 'Content_Types.xml' 파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Content_Types.xml' 파일 내의 'ContentType' 속성의 'application/vnd.ms-package.xps' 속성값이 여러 개 존재한다. 따라서, 검색부(141)는 'Content_Types.xml' 파일 내의 여러 개의 'application/vnd.ms-package.xps' 속성값을 갖는바, 현재 XPS 파일은 인쇄 데이터 기능을 수행하는 XPS 파일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application/vnd.ms-package.xps' 속성값이 'Content_Types.xml' 파일 내에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에도 해당 XPS 파일은 인쇄 데이터 기능을 수행하는 파일이다.
판단부(142)는 검색된 XPS 속성 파일이 XPS 파일의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42)는 검색부(141)에서 전달된 XPS 속성 파일의 물리적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XPS 속성 파일이 XPS 파일의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가 인쇄 제어 단말장치(100)로부터 최초 수신된 500byte 크기의 데이터만을 가지고 인쇄 데이터의 종류를 분류하는 경우, 판단부(142)는 XPS 속성 파일이 XPS 파일의 시작부분으로부터 500byte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XPS 속성 파일이 500byte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XPS 속성 파일은 화상형성장치에 최초 전달되는 500byte 범위 내에 존재하는바, 화상형성장치는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를 XPS 파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에 XPS 속성 파일이 500byte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XPS 속성 파일은 화상형성장치에 최초 전달되는 500byte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바, 화상형성장치는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를 인식하기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판단부(142)는 XPS 파일의 구조가 조정되도록 XPS 속성 파일의 위치 정보 및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등의 정보를 조정 부(143)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데이터의 종류를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데이터의 범위이다. 이러한 데이터 범위는 화상형성장치마다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데이터 범위는 실험을 통해 최적화된 범위가 기설정될 수 있다.
조정부(143)는 XPS 속성 파일이 기설정된 위치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 XPS 파일의 구조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정부(143)는 판단부(142)의 판단 결과 XPS 속성 파일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 XPS 속성 파일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XPS 속성 파일의 위치를 변경하여, XPS 구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조정부(143)는 XPS 파일임을 알리는 로컬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로컬 파일을 XPS 파일의 기설정된 범위 내에 삽입하여, XPS 파일의 구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조정부(143)는 XPS 파일임을 알리는 로컬 파일 생성하고, XPS 파일 전송 직전에 전송되도록 제어부(150)에 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로컬 파일이란, 화상형성장치에서 XPS 파일임을 알리는 파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일 명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로컬 파일은 별도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일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PJL 명령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조정된 구조의 XPS 파일을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드라이버부(140)에서 전달된 조정된 구조의 XPS 파일 및 별도의 로컬 파일을 화상형성장치에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 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로컬 파일이 드라이버부(140)에서 생성된 경우, 제어부(150)는 로컬 파일 및 XPS 파일을 순차적으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드라이버부(140)에서 조정된 구조의 XPS 파일을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XPS 파일이 반복되어 출력될 수 있는바, 제어부(150)는 조정된 구조의 XPS 파일을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조정된 구조의 XPS 파일을 다른 이름의 XPS 파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종래 XPS 파일에 덮어 쓰이는 형태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진행될 수 있으며, 별도의 사용자 저장명령 없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인쇄 제어 단말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가 어느 에뮬레이터인지를 신속하게 판단될 수 있도록, XPS 파일 내의 XPS 속성 파일이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조정하거나, XPS 파일임을 알리는 로컬파일을 생성하여 이를 전달하는바, 화상형성장치는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가 XPS 에뮬레이터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인쇄 데이터임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드라이버부(140)는 XPS 파일에 대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XPS 프린터 드라이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드라이버부(140)의 검색부(141), 판단부(142), 조정부(143)는 XPS 프린터 필터 파이프라인 패스 내의 하나의 필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XPS 파일의 구조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설명함에 있어, 도시된 예에서는 XPS 파일의 상부 쪽의 데이터부터 차례로 화상형성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가정한다.
먼저, 도 4(a)는 XPS 속성 파일의 위치가 변경되기 이전의 XPS 파일의 구조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면, XPS 파일 내의 XPS 속성 파일이 점선으로 표시된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XPS 파일이 화상형성장치에 전달되는 경우, 기설정된 크기의 초기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의 종류를 파악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의 종류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b) 내지 도 4(e)는 도 4(a)의 XPS 파일이 본 실시예에 따라 처리된 경우의 XPS 파일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b)를 참고하면, XPS 파일 내의 XPS 속성 파일이 점선으로 표시된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의 위치로 이동되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는 기설정된 크기의 초기 데이터 내의 XPS 속성 파일을 검출함으로써 수신된 인쇄 데이터의 종류가 XPS 파일임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c)를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에서 해당 파일임을 인식할 수 있는 로컬 파일이 XPS 파일의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에 추가된 경우의 XPS 파일 구조 형태를 도시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는 기설정된 크기 범위내의 초기 데이터에 로컬 파일을 검출함으로써 수신된 인쇄 데이터가 XPS 파일임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d)를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에서 해당 파일임을 인식할 수 있는 로컬 파일이 별도로 생성되어 있는 경우의 XPS 파일 구조 형태를 도시한다. 따라서, XPS 파일 전송 직전에 로컬 파일이 화상형성장치에 전송되는바, 화상형성장치는 수신된 로컬 파일을 검출함으로써 이후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가 XPS 파일임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4(e)를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에서 해당 파일임을 인식할 수 있는 로컬 파일이 별도로 생성되고, XPS 파일 내의 XPS 속성 파일이 점선으로 표시된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로 이동되었다. 구체적으로, 도 4(e)는 도 4(b)와 도 4(d)의 결합형태이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는 수신된 로컬 파일 또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초기 데이터의 XPS 속성 파일을 검출함으로써 이후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가 XPS 파일임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먼저, XPS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하면(S710), XPS 파일 내에 XPS 속성 파일을 검색한다(S720). 구체적으로, 인쇄 명령이 인가된 XPS 파일에 XPS 속성 파일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XPS 속성 파일이란, 현재의 인쇄 데이터가 XPS 파일임을 알리는 XPS 파일 내에 포함된 파일로, XPS 파일 내의 'Content_Types.xml' 파일일 수 있다. 따라서, ZIP 형태로 압축된 XPS 파일 내에 'Content_Types.xml' 파일의 물리적인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 XPS 속성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인쇄 명령이 인가된 XPS 파일이 실질적인 인쇄 데이터 기능을 가지는 XPS 파일인지를 선행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XPS 파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문서 서식이 유지되는 전자 파일인 동시에 프린터 스풀 파일로, 인쇄 데이터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XPS 파일일 수 있다. 따라서, 'Content_Types.xml' 파일 내의 각종 속성값을 확인하여 현재 XPS 파일이 인쇄 데이터 기능을 갖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XPS 속성 파일이 XPS 파일의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730). 구체적으로,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XPS 속성 파일의 물리적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XPS 속성 파일이 XPS 파일의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가 최초 수신된 500byte 크기의 데이터만을 가지고 인쇄 데이터의 종류를 판단하는 경우, XPS 속성 파일이 XPS 파일의 시작부분으로부터 500byte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여, XPS 속성 파일이 XPS 파일의 기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범위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데이터의 종류를 판단하는데 이용하는 데이터의 범위이며, 화상형성장치마다 다른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설정된 범위는 최적화된 실험값으로 정해 질 수 있다.
판단 결과, XPS 속성 파일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XPS 파일을 원 상태 그대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한다(S750).
반면, XPS 파일 내의 XPS 속성 파일이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XPS 파일의 구조를 조정한다(S740). 구체적으로, XPS 속성 파일이 기설 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 XPS 속성 파일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XPS 속성 파일의 위치를 변경하여 XPS 파일의 구조를 조정하거나, XPS 파일임을 알리는 로컬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로컬 파일을 XPS 파일의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에 삽입하여, XPS 파일의 구조를 조정할 수 있다. XPS 구조를 변경하는 방법 및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4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하였는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조정된 구조의 XPS 파일을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한다(S750). 이 경우, 조정된 구조의 XPS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XPS 파일이 반복되어 출력될 수 있는바, 조정된 구조의 XPS 파일을 종래 XPS 파일과 다른 이름의 XPS 파일로 저장하거나, 종래 XPS 파일에 덮어 쓰이는 형태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진행될 수 있으며, 별도의 사용자 저장명령 없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에서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가 어느 에뮬레이터인지를 용이하게 판단될 수 있도록, XPS 파일의 구조가 조정되는바, 화상형성장치에서의 XPS 파일의 인식 속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먼저, XPS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하면(S810), XPS 파일 내에 XPS 속성 파일을 검색하고, 검색된 XPS 속성 파일이 XPS 파일의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820). XPS 속성 파일을 검색 및 기설정 된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도 7에서 수행되는 것과 동일한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판단 결과, XPS 속성 파일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XPS 파일을 원 상태 그대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한다(S850).
반면, XPS 파일 내의 XPS 속성 파일이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XPS 파일임을 알리는 로컬 파일을 생성한다(S830). 구체적으로, XPS 속성 파일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 XPS 파일임을 알리는 로컬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로컬 파일이란, 화상형성장치에서 XPS 파일임을 알리는 파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일 명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로컬 파일은 별도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일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PJL 명령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생성된 로컬 파일 및 XPS 파일을 순차적으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한다(S840).
따라서, XPS 파일임을 XPS 로컬 파일이 화상형성장치에 전달되는바, 화상형성장치에서의 XPS 파일의 인식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7 또는 도 8과 같은 인쇄 제어 방법은,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 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 제어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XPS 속성 파일 내의 태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XPS 파일의 구조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새로운 로컬 파일 이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새로운 로컬 파일 내의 PJL 명령어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9는 XPS 파일의 논리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인쇄 제어 단말장치 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0: 통신 인터페이스부 130: 저장부
140: 드라이버부 150: 제어부

Claims (17)

  1. XPS(XML Paper Specification)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XPS 파일 내에 XPS 속성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XPS 속성 파일이 상기 XPS 파일 내의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XPS 속성 파일이 상기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XPS 파일의 구조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구조의 XPS 파일을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PS 속성 파일은, 'Content_Types.xml'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PS 속성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XPS 속성 파일 내에 'vnd.ms-package.xps' 속성값을 갖는지 확인하여 XPS 속성 파일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XPS 속성 파일의 물리적인 위치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PS 파일의 구조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XPS 속성 파일이 상기 데이터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XPS 파일의 구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PS 파일의 구조를 조정하는 단계는,
    XPS 파일임을 알리는 로컬 파일을 상기 데이터 범위 내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구조의 XPS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방법.
  8. XPS(XML Paper Specification)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XPS 파일 내에 XPS 속성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XPS 속성 파일이 상기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XPS 파일임을 알리는 로컬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로컬 파일 및 상기 XPS 파일을 순차적으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제어 방법.
  9. XPS(XML Paper Specification)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XPS 파일의 XPS 속성 파일이 상기 XPS 파일 내의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XPS 파일의 구조를 조정하는 드라이버부; 및
    상기 속성 파일의 위치가 조정된 XPS 파일을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XPS 속성 파일은, 'Content_Types.xml'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부는,
    상기 XPS 파일 내에 XPS 속성 파일을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된 XPS 속성 파일이 상기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XPS 속성 파일이 상기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XPS 파일의 구조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XPS 속성 파일 내에 'vnd.ms-package.xps' 속성값을 갖는지 확인하여 XPS 속성 파일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XPS 속성 파일의 물리적인 위치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XPS 속성 파일이 상기 데이터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XPS 파일의 구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XPS 파일임을 알리는 로컬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로컬 파일을 상기 데이터 범위 내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구조의 XPS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
  17. XPS(XML Paper Specification) 파일에 대한 인쇄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XPS 파일의 XPS 속성 파일이 기설정된 데이터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XPS 파일임을 알리는 로컬 파일을 생성하는 드라이버부; 및
    상기 생성된 로컬 파일 및 상기 XPS 파일을 순차적으로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
KR1020080131415A 2008-12-22 2008-12-22 인쇄 제어 방법 및 인쇄 제어 단말장치 KR20100072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415A KR20100072876A (ko) 2008-12-22 2008-12-22 인쇄 제어 방법 및 인쇄 제어 단말장치
EP09178395A EP2199900A3 (en) 2008-12-22 2009-12-08 Printing control method and printing control terminal device
US12/644,180 US8717585B2 (en) 2008-12-22 2009-12-22 Printing control method and printing control terminal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during printing XML paper specification f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415A KR20100072876A (ko) 2008-12-22 2008-12-22 인쇄 제어 방법 및 인쇄 제어 단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876A true KR20100072876A (ko) 2010-07-01

Family

ID=4148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415A KR20100072876A (ko) 2008-12-22 2008-12-22 인쇄 제어 방법 및 인쇄 제어 단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17585B2 (ko)
EP (1) EP2199900A3 (ko)
KR (1) KR201000728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757B1 (ko) * 2009-12-17 201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 제어 단말장치 및 xps 파일 인쇄방법
KR101613600B1 (ko) * 2009-12-21 2016-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xps 파일 식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9464B2 (ja) * 2006-07-31 2011-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文書処理装置および文書処理方法
US7973967B2 (en) * 2006-11-16 2011-07-05 Canon Kabushiki Kaisha Pseudo-multithread framework for XPSDrv filter pipeline
US8537408B2 (en) * 2006-12-20 2013-09-17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4830936B2 (ja) * 2007-03-23 2011-12-07 カシオ電子工業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に使用するホスト機器
JP4799460B2 (ja) * 2007-03-26 2011-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99900A2 (en) 2010-06-23
US8717585B2 (en) 2014-05-06
EP2199900A3 (en) 2012-11-14
US20100157364A1 (en)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2064B2 (en) Thumbnail creation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0093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8085411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print control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program stored therein
KR20100027889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KR20100039167A (ko) 썸네일 표시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
KR101406749B1 (ko)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69492A (ko) 인쇄 제어 단말장치 및 xps 파일 인쇄방법
KR20100058328A (ko) 인쇄 제어 단말장치, 및 인쇄 제어 방법
KR101631605B1 (ko) 인쇄제어 단말장치 및 인쇄제어방법
US2010009132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EP2202631A2 (en) Method to change thumbnail and printing control apparatus
KR20110026721A (ko) 인쇄제어장치,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제어방법
KR20110051052A (ko) 인쇄 제어 방법 및 인쇄 제어 단말장치
JP4817968B2 (ja) 帳票処理装置及び方法
KR101441354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KR20100041136A (ko) 인쇄제어장치 및 프린트 티켓 제어방법
KR101501471B1 (ko) 인쇄 제어 방법, 인쇄 제어 단말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KR20100072876A (ko) 인쇄 제어 방법 및 인쇄 제어 단말장치
US20060262665A1 (en) System and method to store and output print data using a network
KR101613600B1 (ko) 화상형성장치 및 xps 파일 식별방법
US818432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print function grouping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program
JP2004070521A (ja) カラーモノクロ分散印刷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及び装置
JP2017041073A (ja) 印刷データ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印刷データ取得プログラム、方法
US925681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device
JP5932484B2 (ja) 印刷装置、ジョブ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