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2330A -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2330A
KR20100072330A KR1020107009656A KR20107009656A KR20100072330A KR 20100072330 A KR20100072330 A KR 20100072330A KR 1020107009656 A KR1020107009656 A KR 1020107009656A KR 20107009656 A KR20107009656 A KR 20107009656A KR 20100072330 A KR20100072330 A KR 20100072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
frequency
neighbor
handoff
li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9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2203B1 (ko
Inventor
준 왕
마리-피에르 미첼레 다니엘레 알딩어
엠디. 아쉬라푸르 레자
에이티엠 마무두르 라만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72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6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기술들이 설명되어 있다. 액세스 단말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제 1 주파수 상에서 (예를들어 전력 공급시) 제 1 섹터를 포착하고, 상기 제 1 섹터로부터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로부터 이웃 리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예를들어 네트워크 부하를 균형 맞추기 위해서 제 1 주파수로부터 제 2 주파수로 지향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제 2 주파수 상에서 제 2 섹터로 핸드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핸드오프는 액세스 단말이 제 2 섹터의 커버리지 외부인 제 1 섹터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두 개의 섹터들이 함께 위취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성공적이지 않을 수 있다. 핸드오프가 성공적이지 않다면, 액세스 단말은 저장된 이웃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웃 섹터를 결정하고, 다음, 이웃 섹터의 포착을 시도하고, 포착된 경우에는 이웃 섹터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TER-FREQUENCY HANDOF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는 통신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기술들에 관련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음성, 영상, 패킷 데이터, 메시징, 방송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널리 이용된다. 이들 무선 네트워크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을 공유함에 의해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 네트워크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접속 네트워크들의 예에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네트워크들, 시분할 다중 접속(TDMA) 네트워크들,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네트워크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네트워크들, 및 단일-캐리어 FDMA(SC-FDMA) 네트워크들이 포함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중 주파수 채널들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주파수 채널은 무선 주파수(RF) 채널, CDMA 채널, 캐리어 등으로 또한 불릴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다중 주파수 채널들 중에서 액세스 단말들(예를들어 셀룰러 전화들)을 분산시켜서 네트워크 로드가 주파수 채널들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다수의 액세스 단말들이 한 주파수 채널에서 다른 주파수 채널로 핸드오프되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 다른 주파수 채널로의 핸드오프를 적합한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기술들이 설명되어 있다. 액세스 단말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제 1 주파수 상에서 (예를들어 전력 공급시) 제 1 섹터를 포착하고, 상기 제 1 섹터로부터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로부터 이웃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예를들어 네트워크 부하를 균형 맞추기 위해서 제 1 주파수로부터 제 2 주파수로 지향될 수 있다. 다음, 액세스 단말은 제 2 주파수 상에서 제 2 섹터로 핸드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 제 1 섹터와 제 2 섹터는 이들이 함께 위치하고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서비스되는 경우에도 상이한 커버리지 영역들을 가질 수 있다. 제 2 섹터로의 핸드오프는 액세스 단말이 제 2 섹터의 커버리지 외부인 제 1 섹터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경우에 성공적이지 않을 수 있다.
제 2 섹터로의 핸드오프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액세스 단말은 저장된 이웃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웃 섹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 2 주파수 상의 이웃 섹터들의 리스트가 이웃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이웃 섹터가 이 리스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음, 액세스 단말은 이웃 섹터의 포착을 시도할 수 있고 포착된 경우에는 이웃 섹터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단말은 제 2 섹터로의 핸드오프가 성공적이지 않고 오버헤드 메시지가 이웃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제 2 섹터로부터 수신될 수 없는 경우에 시스템 손실을 선언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설명된 기술들은 아이들(idle) 모드 또는 활성 모드에서 동작하면서 전력 공급시 시스템간(inter-system) 핸드오프를 위하여 또한 주파수간(inter-frequency) 핸드오프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과 특징들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2는 수직 배치에서 상이한 주파수들 상의 다중 섹터들을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도시한다.
도3은 상이한 커버리지 영역들을 갖는 수직 배치를 도시한다.
도4는 SectorParameters 메시지의 포맷을 도시한다.
도5는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6은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7은 액세스 단말 및 액세스 포인트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제시되는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및 SC-FDMA 네트워크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네트워크" 및 "시스템"은 종종 서로 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CDMA 시스템은 cdma2000, 유니버셜 지상 무선 액세스(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UTRA는 와이드밴드-CDMA(WCDMA), 저속 칩 레이트(LCR) 등을 포함한다. TDMA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용 범용 시스템(GSM)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이벌브드 UTRA(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플래쉬-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무선 기술들 및 표준들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UTRA, E-UTRA, GSM, UMTS 및 LTE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의 문서들에 제시된다. cdma2000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의 문서들에 제시된다. 3GPP 및 3GPP2 문서들은 널리 이용가능하다.
명확성을 위하여, 상기 기술들의 일부 양상들이 IS-856을 구현하는 고속 패킷 데이터(HRPD) 네트워크에 관하여 설명된다. HRPD는 또한 CDMA2000 1xEV-DO(Evolution-Data Optimized), 1xEV-DO, 1x-DO, DO, 하이 데이터 레이트(HDR) 등으로 또한 불린다. 용어 "HRPD", "EV-DO", 및 "DO"는 종종 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HRPD는 널리 이용가능한, 2007년 3월의 "cdma2000 High Rate Packet Data Air Interface Specification"로 명명된 3GPP2 C.S0024-B에 설명되어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HRPD 용어가 이하의 많은 설명에서 사용된다.
도1은 HRPD 네트워크일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를 도시한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임의 갯수의 액세스 단말들(120)에 대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임의 갯수의 액세스 포인트들(110)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일반적으로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하는 고정국이며 기지국, 노드 B, 진화된 노드 B(eNode B) 등으로 또한 불릴 수 있다. 각 액세스 포인트(110)는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용어 "셀"은 이 용어가 사용되는 문맥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그 커버리지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네트워크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액세스 포인트 커버리지 영역은 다수의 더 작은 영역들, 예를들어 3개의 작은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 용어 "섹터"는 이 용어가 사용되는 문맥에 따라 커버리지의 가장 작은 유닛 또는 이 커버리지 영역에 서비스하는 고정국을 나타낼 수 있다. 섹터화된 셀의 경우에, 액세스 포인트는 통상적으로 셀의 모든 섹터들에 서비스한다. 일반적으로, 여기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섹터화된 셀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들뿐만 아니라 비섹터화된 셀들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들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은 섹터화된 셀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를 가정한다.
액세스 단말들(120)은 무선 네트워크(100) 전체에 분산될 수 있으며, 각 액세스 단말들은 정지 또는 이동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이동국, 사용자 장비, 단말, 가입자 유닛, 국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PDA, 무선 장치, 핸드헬드 장치, 무선 모뎀, 랩톱 컴퓨터 등일 수 있다. HRPD에서, 액세스 단말은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순방향 링크를 통해 송신을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로 역방향 링크를 통해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액세스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를 말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액세스 단말들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들로의 통신 링크를 말한다.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액세스 포인트들(110)을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조정과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단일 네트워크 엔티티이거나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집합일 수 있다. HRPD에서,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기지국 제어기(BSC), 패킷 제어 기능(PCF),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 등과 같은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CDMA 채널들로 불릴 수 있는 다중 주파수 채널들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HRPD에서, 각 CDMA 채널은 12.5MHz의 대역폭을 가지며 하나의 CDMA 신호를 전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용량은 다중 CDMA 채널들을 사용함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도2는 수직 배치에서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K개의 CDMA 채널들 상의 K개의 CDMA 신호들을 도시하며, 여기서 K > 1이다. 이 예에서, CDMA 채널 1은 F1의 중심 주파수를 갖고, CDMA 채널 2은 F2의 중심 주파수를 가지며 이러한 방식으로 CDMA 채널 K는 FK의 중심 주파수를 갖는다. 중심 주파수들은 주파수간(inter-channel)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중심 주파수들이 충분히 떨어져서 이격되도록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K개의 CDMA 채널들의 중심 주파수들은 최소 이격 기준하에서 임의 양만큼 떨어져서 이격될 수 있으며, 동일 또는 상이한 주파수 밴드들에 놓일 수 있다. K개의 CDMA 신호들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동일 또는 상이한 전력 레벨들에서 송신될 수 있다. 이들 CDMA 신호들은 액세스 단말들에 의해 동일 또는 상이한 전력 레벨들로 또한 수신될 수 있다.
HRPD에서, 하나의 섹터는 특정 의사-랜덤 수(PN) 오프셋과 특정 중심 주파수(또는 단순히 주파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섹터는 출력 칩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할당된 PN 오프셋에서 상기 섹터의 데이터, 시그날링 및 파일롯을 PN 시퀀스로 스펙트럼 확산시킬 수 있다. 섹터는 할당된 주파수에서 CDMA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출력 칩들을 추가 처리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주어진 주파수 상에서 다수의(예를들어, 3개의) 섹터들을 서비스할 수 있다. 이들 섹터들에 상이한 PN 오프셋들이 할당될 수 있으며 이들 섹터들은 에지들에서 중첩될 수 있는 상이한 커버리지 영역들을 가질 수 있다. 수직 배치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다수의 주파수들 상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상이한 주파수들 상에서 다수의 세트들의 섹터들을 서비스할 수 있다. 예를들어, 액세스 포인트는 각 주파수 상에서 3개의 섹터들을 서비스할 수 있고 2개의 상이한 주파수들 상에서 총 6개의 섹터들을 서비스할 수 있다.
다수의 섹터들이 네트워크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어진 지리적 영역(또는 함께 위치하는(co-located) 영역)에 대하여 상이한 주파수들 상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 지리적 영역 내의 액세스 단말들은 이들 섹터들 상의 로드의 규형을 맞추기 위하여 상이한 주파수들로 지향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함께 위치하는 섹터들은 액세스 단말들이 통신하는 섹터들에 상관없이 동일한 커버리지를 액세스 단말들이 수신할 수 있도록 동일한 커버리지 영역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실제 구현에서는, 함께 위치하는 영역들에 대하여 동일한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 것은 여려울 수 있으며, 이들 섹터들이 상이한 대역 클레스들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특히 그렇다. 함께 위치하는 섹터들에 대한 상이한 커버리지 영역들은 상이한 주파수에서의 상이한 송신기 특성들, 상이한 안테나 특성들, 및/또는 상이한 RF 전파 특성들로부터 야기될 수 있다. 비동일한 섹터 커버리지 영역들은 일부 동작 시나리오들에서 통신 실패를 야기할 수 있다.
도3은 비동일한 섹터 커버리지 영역들을 갖는 액세스 포인트(110a)에서 수직적 배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섹터들(SA1 및 SA2)은 함께 위치하고 한 지리적 영역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섹터(SB2)는 다른 지리적 영역 위에 배치되어 있다. 섹터(SA1)는 x의 PN 오프셋을 가지며, 주파수 F1에서 동작하며, 커버리지 영역(310)을 갖는다. 섹터(SA2)는 y의 PN 오프셋을 가지며, 주파수 F2에서 동작하며, 커버리지 영역(312)을 갖는다. 섹터(SB2)는 z의 PN 오프셋을 가지며, 주파수 F2에서 동작하며, 커버리지 영역(320)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x, y, 및 z는 임의의 PN 오프셋들일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섹터(SA2)의 커버리지 영역(312)은 섹터(SA1)의 커버리지 영역(310)보다 작다. 섹터(SB2)의 커버리지 영역(320)은 섹터(SA1)의 커버리지 영역(310)과 중첩되나 섹터(SA2)의 커버리지 영역(312)과는 중첩되지 않는다.
액세스 단말(120x)은 섹터들(SA1 및 SB2)의 커버리지 영역들(310 및 320) 각각과 중첩될 수 있는 영역(33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에, 액세스 단말(120x)은 액세스 단말에 저장된 선호 로밍 리스트(preferred roaming list, PRL)에 기초하여 시스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PRL은 액세스 단말(120x)이 액세스할 수 있는 허용된 시스템들/네트워크들을 식별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는 액세스 단말이 액세스할 수 없는 금지된 시스템들/네트워크들을 식별할 수 있다. PRL은 또한 허용된 시스템들/네트워크들의 PN 오프셋들 및 주파수들과 같이 허용된 시스템들/네트워크들을 탐색하는데 이용되는 관련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20x)은 PRL에 기초하여 섹터(SA1)를 포착할 수 있다. 이때, 액세스 단말(120x)은 섹터(SA1)로부터 SectorParameters 메시지와 같은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SectorParameters 메시지는 섹터(SA1)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이용가능한 CDMA 채널들의 갯수, 각 CDMA 채널의 주파수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파수 정보는 주파수들(F1 및 F2)에서 2개의 CDMA 채널들을 표시할 수 있다. 다중 CDMA 채널들이 SectorParameters 메시지에 주어진 경우에, 액세스 단말(120x)은 해시 함수(hash function)에 기초하여 하나의 CDMA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20x)은 해시 함수에 SessionSeed 및 ChannelCount를 제공할 수 있다. SessionSeed는 액세스 단말(120x)에 대한 세션에 대하여 32-비트 의사-랜덤 수일 수 있다. ChannelCount는 SectorParameters 메시지에 의해 표시되는 CDMA 채널들의 수일 수 잇다. 해시 함수는 SectorParameters 메시지 내에 제공된 CDMA 채널들 중에서 특정 CDMA 채널을 선택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해시 값을 제공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20x)은 주파수(F1) 상에서 초기에 섹터(SA1)를 포착할 수 있으며 해시 함수가 주파수(F2)를 선택하는 경우에 섹터(SA2)로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 섹터들(SA1 및 SA2)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커버리지를 가질 수 있으며, 액세스 단말(120x)은 새로운 주파수(F2) 상에서 섹터(SA2)의 커버리지 외부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섹터(SA2)로의 핸드오프는 실패할 수 있다. 이때, 액세스 단말(120x)은 시스템 손실을 선언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의 재포착을 진행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20x)은 액세스 단말에 저장된 PRL 또는 액세스 단말에 의해 유지된 이전에 포착된 섹터들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섹터(SA1)(섹터(SB2) 대신에)를 다시 포착할 수 있다. 이때, 액세스 단말(120x)은 SectorParameters 메시지를 섹터(SA1)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액세스 단말(120x)이 시스템 손실과 재포착을 겪었다 하더라도 동일한 SessionSeed가 해시 함수 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액세스 단말(120x)은 주파수(F2)로 다시 해시(hash)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20x)은 세션이 종료될 때까지 연장된 시간 주기 동안 이 루프에서 계속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서비스 손실을 경험하는 것을 야기하며 배터리 수명을 또한 고갈시킬 수 있는데, 이들 모두는 바람직하지 않다.
일 양상에서, 주파수간 핸드오프로 인한 시스템 손실과 재포착을 회피하기 위하여, 액세스 단말(120x)은 새로운 주파수 상에서 새로운 섹터로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전에 포착된 섹터로부터 이웃 리스트 정보를 획득 및 저장할 수 있다. 핸드오프가 성공적이면, 액세스 단말(120x)은 새로운 섹터 상에서 정상적인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핸드오프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액세스 단말(120x)은 이웃 섹터들을 탐색하기 위하여 저장된 이웃 리스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20x)은 시스템 손실을 선언하는 대신에 이웃 섹터를 포착할 수 있고 이 섹터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것은 액세스 단말(120x)이 반복적으로 제 1 섹터를 포착하고, 다른 주파수 상에서 제 2 섹터로 해시되며, 제 2 섹터의 커버리지의 바깥에 놓이고, 시스템 손실을 선언하고, 제 1 섹터를 재포착하는 등에 관한, 위에서 설명한 시나리오를 회피할 수 있다.
도4는 HRPD 내의 SectorParameters 메시지의 포맷을 도시한다. SectorParameters 메시지는 주파수 정보 및/또는 이웃 리스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주파수 정보에 대하여, ChannelCount 필드는 SectorParameters 메시지 내에 담긴 CDMA 채널들의 갯수(M)를 표시하며, 여기서 M은 0 이상일 수 있다. 다음, M개의 채널 필드들이 SectorParameters 메시지 내에서 뒤따르며, 각 채널 필드는 하나의 CDMA 채널의 주파수에 대한 정보(예를들어, 대역 클래스 및 채널 수)를 포함한다. 액세스 단말(120x)은 M>0 이면 M개 CDMA 채널들 중 하나로 해시될 수 있다.
이웃 리스트 정보에 대하여, NeighborCount 필드는 SectorParameters 메시지 내에 전달된 이웃 섹터들의 갯수(N)를 표시하며, 여기서 N은 0 이상일 수 있다. 다음, NeighborPilotPN, NeighborChannelIncluded, 및 NeighborChannel 필드들의 N개 세트들이 각 이웃 섹터에 대하여 한 개 세트씩 SectorParameters 메시지를 뒤따른다. 각 이웃 섹터에 대하여, NeighborPilotPN 필드는 그 이웃 섹터의 PN 오프셋을 포함한다. NeighborChannelIncluded 필드는 NeighborChannel 필드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NeighborChannel 필드는 SectorParameters 메시지를 전송하는 섹터의 주파수와 상이한 주파수 상에서 이웃 섹터가 동작하는 경우에 포함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생략된다. NeighborChannel 필드(포함된다면)는 이웃 섹터의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3을 다시 참조하면, 액세스 단말(120x)은 주파수(F1) 상에서 섹터(SA1)를 초기에 포착할 수 있으며 이 섹터로부터 SectorParameters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20x)은 섹터(SA1)로부터 수신된 SectorParameters 메시지로부터 이웃 리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웃 리스트 정보는 섹터(SA1)와 동일한 주파수뿐만 아니라 M개 채널 필드들 내에 주어진 다른 주파수들 상에서 동작하는 이웃 섹터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섹터(SA1)의 주파수(F1)와 상이한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 이웃 섹터는 SectorParameters 메시지 내에 포함된 자신의 NeighborChannel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3의 실시예에서, 섹터(SA1)에 대한 이웃 리스트 정보는 섹터(SB2)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20x)은 다른 주파수 상에서 다른 섹터로 해시 및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전에 이웃 리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액세스 단말(120x)은 해시 함수가 주파수(f2)를 선택하는 경우에 섹터(SA2)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20x)은 섹터(SA2)의 커버리지 외부에 놓일 수 있고, 핸드오프가 실패할 수 있고, 액세스 단말(120x)이 섹터(SA2)로부터 SectorParameters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을 수 있다. 이 때, 액세스 단말(120x)은 섹터(SA1)로부터 이전에 획득된 이웃 리스트 정보를 리트리브할 수 있으며 이웃 섹터들 중 하나를 포착하도록 시도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액세스 단말(120x)은 액세스 단말(120x)이 해시된 주파수(f2) 상에서 섹터(SB2)를 포착하도록 시도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20x)은 성공적으로 섹터(SB2)를 포착하고, 이 섹터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고, 시스템 손실을 선언하지 않고 상기 섹터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5는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위하여 액세스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500)의 설계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제 1 주파수 상의 제 1 섹터가 포착될 수 있다(블록(512)). 오버헤드 메시지가 제 1 섹터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블록(514)). 무선 네트워크는 HRPD 네트워크이거나 다른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오버헤드 메시지는 SectorParameters 메시지이거나 다른 메시지일 수 있다. 이웃 리스트 정보가 오버헤드 메시지로부터 획득되고 저장될 수 있다(블록(516)).
제 2 주파수 상의 제 2 섹터로의 핸드오프가 수행될 수 있다(블록(518)). 제 2 주파수로의 핸드오프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블록(520)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이웃 섹터가 이웃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블록(522)). 이웃 섹터의 포착이 시도될 수 있다(블록(524)). 이웃 섹터가 포착되면, 이웃 섹터로의 핸드오프가 수행될 수 있다(블록(526)).
일 설계에서, 제 2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이웃 섹터들의 리스트가 이웃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이웃 섹터가 이 리스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 설계에서, 실패된 핸드오프에서와 동일한 주파수 상의 다른 섹터로 포착이 시도될 수 있다. 다른 설계에서, 임의의 또는 모든 주파수들 상에서 동작하는 이웃 섹터들의 리스트가 이웃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이웃 섹터가 이 리스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 설계에서, 임의의 주파수 상의 임의의 섹터 상으로 포착이 시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 2 주파수 상의 이웃 섹터들 상으로, 그 후 제 1 주파수 상의 이웃 섹터들 상으로 진행하는 등등으로 포착이 시도될 수 있다.
제 2 섹터로의 핸드오프가 성공적이면, 블록(520)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제 2 오버헤드 메시지가 제 2 섹터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블록(532)). 제 2 오버헤드 메시지에 의해 표시된 이웃 섹터들에 대한 탐색이 보다 적절한 섹터를 찾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블록(534)). 블록(532) 및 블록(534)이 정상 동작을 위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500)가 전력 공급시(at power up) 액세스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내의 섹터들에 대한 탐색이 전력 공급시 수행될 수 있다. 제 1 섹터가 이 탐색 도중에 탐지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를 액세스하기 위하여 포착될 수 있다.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를 포함하는 주파수들의 세트가 제 1 섹터로부터 수신된 오버헤드 메시지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제 2 주파수가 해시 함수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고, 제 2 주파수 상의 제 2 섹터로의 핸드오프가 해시 함수의 결과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500)는 아이들(idle) 모드 또는 활성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에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위하여 액세스 단말에 의해 또한 수행될 수 있다. 이웃 섹터들에 대한 주파수간 탐색이 제 1 섹터와 통신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제 2 섹터는 주파수간 탐색에 의해 탐지될 수 있으며 제 1 섹터보다 더 나을 수 있다(예를들어 더 강하게 수신될 수 있다). 다음, 제 1 섹터로부터 제 2 섹터로의 주파수간 핸드오프가 더 나은 섹터로부터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하나의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 섹터는 액세스 단말들에 의한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지원하기 위하여 다른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 함께 위치하는 섹터에 대한 이웃 리스트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주어진 섹터에 대한 이웃 리스트는 동일한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 이웃 섹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하나의 섹터는 이 섹터의 이웃 리스트(예를들어 NeighborChannel 필드들을 이용함 없이)뿐만 아니라, 각각 함께 위치하는 섹터에 대한 이웃 리스트(예를들어 NeighborChannel 필드들을 이용하여)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주어진 섹터에 대한 이웃 리스트는 임의의 또는 모든 주파수들 상에서 동작하는 이웃 섹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함께 위치하는 섹터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이웃 리스트들을 가질 수 있다. 어느 경우에든, 제 1 섹터에 대한 이웃 리스트 정보 ― 액세스 단말(120x)이 상기 제 1 섹터로부터 핸드오프됨 ― 는 제 2 섹터에 대한 이웃 리스트 정보 ― 액세스 단말이 제 2 섹터로 핸드오프됨 ― 와 유사할 수 있다. 이 때, 이것은 이웃 리스트 정보가 제 2 섹터로부터 수신된 것과 마찬가지로 액세스 단말(120x)이 제 1 섹터로부터 수신된 이웃 리스트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6은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지원하기 위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600)의 설계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예를들어, HRPD 네트워크)의 제 1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 제 1 섹터에 대한 이웃 리스트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블록(612)). 이웃 리스트 정보는 제 1 주파수와 상이한 제 2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섹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고 제 1 섹터와 함께 위치하는 제 2 섹터에 대한 이웃 리스트가 획득될 수 있다. 이웃 리스트 정보 내의 적어도 하나의 이웃 섹터는 제 2 섹터에 대한 이웃 리스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웃 리스트 정보는 또한 제 1 주파수 및/또는 다른 주파수들 상의 이웃 섹터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웃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메시지(예를들어, SectorParameters 메시지)가 생성될 수 있다(블록(614)). 오버헤드 메시지가 제 1 섹터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블록(616)).
위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액세스 단말들과 무선 네트워크 모두에 이익이 될 수 있다. 이 기술들은 서비스 손실을 회피할 수 있고 액세스 단말들에 대하여는 배터리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술들은 네트워크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이한 주파수들 상에서 섹터들의 수직 배치를 또한 허용할 수 있으며, 이것은 높은 데이터 사용량을 갖는 "핫 스팟들(hot spots)"에 대하여 특히 이익이 된다.
도7은 액세스 단말(120x), 액세스 포인트(110a), 및 네트워크 제어기(130)의 설계의 블록도이다. 역방향 링크 상에서, 액세스 단말(120x)에 의해 송신될 데이터 및 시그날링이 인코더(722)에 의해 처리(예를들어, 포매팅, 인코딩, 및 인터리빙) 될 수 있으며 출력 칩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변조기(MOD)(724)에 의해 추가로 처리(예를들어, 변조, 채널화(channelized), 및 확산)될 수 있다. 송신기(TMTR)(732)가 출력 칩들을 콘디쇼닝(예를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필터링, 증폭 및 주파수 상향변환)하여 역방향 링크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것은 안테나(734)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다. 순방향 링크 상에서, 안테나(734)는 액세스 포인트(110a) 및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송신된 순방향 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기(RCVR)(736)는 안테나(734)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콘디쇼닝(예를들어, 필터링, 증폭, 주파수 하향변환, 및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복조기(DEMOD)(726)는 상기 샘플들을 처리(예를들어, 역확산, 채널화, 및 복조)하여 심볼 추정치들을 제공한다. 디코더(728)는 상기 심볼 추정치들을 추가로 처리(예를들어,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인코더(722), 변조기(724), 복조기(726), 및 디코더(728)는 모뎀 프로세서(7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들 유닛들은 액세스 단말(120x)이 통신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무선 기술(예를들어, HRPD, CDMA 1X, W-CDMA, GSM 등)에 따라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740)는 액세스 단말(120x)에서의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740)는 도5의 프로세스(500) 및/또는 설명된 기술들을 위한 다른 프로세스들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742)가 액세스 단말(120x)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42)는 또한 다른 섹터로의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전에 포착된 섹터로부터 이웃 리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7은 액세스 포인트(110a) 및 네트워크 제어기(130)의 설계를 또한 도시한다. 액세스 포인트(110a)는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 액세스 포인트(110a)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752), 및 액세스 단말들과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송신기/수신기(754)를 포함한다. 제어기/프로세서(750)는 도6의 프로세스(600) 및/또는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을 위한 다른 프로세스들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750)는 액세스 포인트(110a)에 의해 서비스되는 섹터들의 각각에 대하여 이웃 리스트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들 섹터들은 상이한 주파수들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각 섹터에 대하여, 제어기/프로세서(750)는 해당 섹터에 대한 이웃 리스트 정보를 갖는 오버헤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를 섹터의 커버리지 내에서 액세스 단말들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메모리(752)는 액세스 포인트(110a)에 의해 서비스되는 각 섹터에 대하여 이웃 리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제어기/프로세서(760) 및 네트워크 제어기(130)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메모리(762)를 포함한다. 제어기/프로세서(760)는 상이한 섹터들에 대한 이웃 리스트 정보를 결정하여 액세스 포인트(110a)로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기술은 다양한 수단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이들 기술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의 경우에, 하나의 엔티티(예를들어, 액세스 단말, 액세스 포인트, 또는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상기 기술들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처리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회로(ASIC),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전자 장치들, 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컴퓨터,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을 위해서, 상기 기술들이 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를들어, 프로시져(procedure)들, 기능들,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은 메모리(예를들어 메모리(도7의 742, 752, 또는 762)) 내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예를들어 프로세서(740, 750, 또는 76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에서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은 RAM, ROM, 비휘발성 RAM(NVRAM), 프로그램가능 ROM(PROM), 전기적 소거가능 PROM(EEPROM), FLASH 메모리, CD, 자기적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등과 같은 다른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내에 또한 저장될 수 있다.
제시된 개시내용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내용을 생산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개시내용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변형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내용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설계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9)

  1.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제 1 주파수 상에서 제 1 섹터를 포착하고, 상기 제 1 섹터로부터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로부터 이웃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제 2 주파수 상에서 제 2 섹터로 핸드오프를 수행하고, 상기 제 2 섹터로의 상기 핸드오프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상기 이웃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웃 섹터를 결정하고, 상기 이웃 섹터가 결정되면 상기 이웃 섹터의 포착을 시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로부터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를 포함하는 주파수들의 세트를 결정하고, 해시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주파수를 선택하고, 상기 해시 함수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주파수 상에서 상기 제 2 섹터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 2 섹터로의 상기 핸드오프 전에 상기 이웃 리스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섹터로의 상기 핸드오프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이웃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웃 섹터들의 리스트를 결정하고, 상기 이웃 섹터들의 상기 리스트로부터 상기 이웃 섹터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섹터로의 상기 핸드오프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이웃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 이웃 섹터들의 리스트를 결정하고, 상기 이웃 섹터들의 상기 리스트로부터 상기 이웃 섹터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주파수 상에서 상기 이웃 섹터를 포착하고 상기 이웃 섹터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전력 공급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섹터들을 탐색하고, 상기 전력 공급시의 탐색 도중에 상기 제 1 섹터를 탐지하고,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섹터를 포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섹터와 통신하면서 이웃 섹터들에 대한 주파수간(inter-frequency) 탐색을 수행하고, 상기 주파수간 탐색 도중에 상기 제 2 섹터를 탐지하고, 상기 제 1 섹터로부터 상기 제 2 섹터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섹터로의 상기 핸드오프가 성공적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섹터로부터 제 2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오버헤드 메시지에 의해 표시된 이웃 섹터들을 탐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고속 패킷 데이터(HRPD) 네트워크이며,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는 SectorParameters 메시지인 장치.
  11.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제 1 주파수 상에서 제 1 섹터를 포착하는 단계;
    상기 제 1 섹터로부터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로부터 이웃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2 주파수 상에서 제 2 섹터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2 섹터로의 상기 핸드오프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상기 이웃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웃 섹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웃 섹터가 결정되면 상기 이웃 섹터의 포착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섹터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로부터 상기 제 1 주파수 및 상기 제 2 주파수를 포함하는 주파수들의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해시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해시 함수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주파수 상에서 상기 제 2 섹터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 섹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웃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 이웃 섹터들의 리스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웃 섹터들의 상기 리스트로부터 상기 이웃 섹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상에서 상기 이웃 섹터를 포착하는 단계; 및
    상기 이웃 섹터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제 1 주파수 상에서 제 1 섹터를 포착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섹터로부터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로부터 이웃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
    제 2 주파수 상에서 제 2 섹터로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2 섹터로의 상기 핸드오프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상기 이웃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웃 섹터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이웃 섹터가 결정되면 상기 이웃 섹터의 포착을 시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섹터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로부터 상기 제 1 주파수 및 상기 제 2 주파수를 포함하는 주파수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해시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해시 함수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주파수 상에서 상기 제 2 섹터로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 섹터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이웃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 이웃 섹터들의 리스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이웃 섹터들의 상기 리스트로부터 상기 이웃 섹터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상에서 상기 이웃 섹터를 포착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이웃 섹터로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9.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제 1 주파수 상에서 제 1 섹터를 포착하고;
    상기 제 1 섹터로부터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로부터 이웃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제 2 주파수 상에서 제 2 섹터로 핸드오프를 수행하고;
    상기 제 2 섹터로의 상기 핸드오프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상기 이웃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웃 섹터를 결정하고;
    상기 이웃 섹터가 결정되면 상기 이웃 섹터의 포착을 시도하는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로부터 상기 제 1 주파수 및 상기 제 2 주파수를 포함하는 주파수들의 세트를 결정하고;
    해시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주파수를 선택하고;
    상기 해시 함수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주파수 상에서 상기 제 2 섹터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명령들을 추가로 저장하기 위한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 이웃 섹터들의 리스트를 결정하고;
    상기 이웃 섹터들의 상기 리스트로부터 상기 이웃 섹터를 선택하는
    명령들을 추가로 저장하기 위한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상에서 상기 이웃 섹터를 포착하고;
    상기 이웃 섹터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명령들을 추가로 저장하기 위한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23.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제 1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 제 1 섹터에 대한 이웃 리스트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이웃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섹터로부터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이웃 리스트 정보는 상기 제 1 주파수와 상이한 제 2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섹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 제 2 섹터 ― 상기 제 2 섹터는 상기 제 1 섹터와 함께 위치함(co-located) ― 에 대한 이웃 리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섹터에 대한 상기 이웃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이웃 리스트 정보 내의 적어도 하나의 이웃 섹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고속 패킷 데이터(HRPD) 네트워크이며,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는 SectorParameters 메시지인 장치.
  26.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제 1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 제 1 섹터에 대한 이웃 리스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웃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섹터로부터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웃 리스트 정보는 상기 제 1 주파수와 상이한 제 2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섹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터에 대한 상기 이웃 리스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 제 2 섹터 ― 상기 제 2 섹터는 상기 제 1 섹터와 함께 위치함 ― 에 대한 이웃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섹터에 대한 상기 이웃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이웃 리스트 정보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웃 섹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8.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제 1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 제 1 섹터에 대한 이웃 리스트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이웃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섹터로부터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웃 리스트 정보는 상기 제 1 주파수와 상이한 제 2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섹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터에 대한 상기 이웃 리스트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2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 제 2 섹터 ― 상기 제 2 섹터는 상기 제 1 섹터와 함께 위치함 ― 에 대한 이웃 리스트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섹터에 대한 상기 이웃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이웃 리스트 정보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웃 섹터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107009656A 2007-10-02 2008-10-0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72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66,254 2007-10-02
US11/866,254 US8792889B2 (en) 2007-10-02 2007-10-02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ter-frequency handof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CT/US2008/078364 WO2009046047A1 (en) 2007-10-02 2008-10-01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ter-frequency handof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330A true KR20100072330A (ko) 2010-06-30
KR101272203B1 KR101272203B1 (ko) 2013-06-10

Family

ID=40259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656A KR101272203B1 (ko) 2007-10-02 2008-10-0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792889B2 (ko)
EP (2) EP2046081B1 (ko)
JP (1) JP5231560B2 (ko)
KR (1) KR101272203B1 (ko)
CN (1) CN101816204A (ko)
AT (1) ATE476846T1 (ko)
CA (1) CA2699857A1 (ko)
DE (1) DE602008002030D1 (ko)
ES (2) ES2348320T3 (ko)
RU (1) RU2461989C2 (ko)
TW (1) TWI387371B (ko)
WO (1) WO20090460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8655B2 (en) * 2007-06-21 2014-09-30 Ubeeairwalk,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user equipment handoff from a macrocellular network to an IP-femtocell network
EP2106171A1 (en) * 2008-03-28 2009-09-30 Nokia Siemens Networks Oy Cell configuration for self-organized networks with flexible spectrum usage
JP5169451B2 (ja) * 2008-05-07 2013-03-27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CN101883312A (zh) * 2009-05-07 2010-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方法、设备和系统
US9204337B2 (en) * 2010-03-09 2015-12-01 Broadcom Corporation Bandwidth mechanisms and successive channel reservation access within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EP2687059B1 (en) 2011-03-15 2014-12-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ode supporting cell reselection in load balanced network
US9042287B2 (en) * 2011-11-14 2015-05-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network loading
CN102781022B (zh) * 2012-07-19 2015-04-22 北京拓明科技有限公司 双频网层间参数的自动优化方法
JP6275882B2 (ja) * 2014-06-09 2018-02-07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アクセス端末によって監視周波数チャネル番号を切り換えるための方法、およびアクセス端末
EP3375242B1 (en) * 2015-11-10 2021-01-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wireless device and radio network node for managing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coverage classes associated with the wireless device
US10397831B1 (en) 2016-04-26 2019-08-27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load balancing between frequency bands based on bandwidth capacity
US10178664B1 (en) 2016-12-13 2019-01-08 Sprint Spectrum L.P. Interference mitiga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3320B2 (ja) 1989-09-19 1999-03-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移動局の在圏セクタ判定方式
GEP19991849B (en) * 1991-11-11 1999-11-05 Motorola Inc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US5839071A (en) * 1993-09-21 1998-11-17 Telstra Corporation Limited Base station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5675629A (en) * 1995-09-08 1997-10-07 At&T Cordless cellular system base station
US5839070A (en) * 1995-10-13 1998-11-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hyperband cell interoperability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3224345B2 (ja) 1996-06-24 2001-10-2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種別判定方法およびcdma移動通信システム
JP3308817B2 (ja) 1996-07-12 2002-07-2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セル/セクタ判定および周波数選択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と移動局装置
KR100264787B1 (ko) 1998-06-15 2000-09-01 김영환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제어방법
US6216004B1 (en) 1998-06-23 2001-04-10 Qualcomm Incorporated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with common channel soft handoff and associated method
US6131030A (en) 1998-08-19 2000-10-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System network and method for the transference of cell handover information
US6167036A (en) * 1998-11-24 2000-12-26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 sectored cell of a cellular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6597911B1 (en) * 1999-05-28 2003-07-22 Ericsson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searching in a next generation overlay of a preexisting network
US7457624B2 (en) 2001-11-29 2008-11-25 Denso Corporation Mobile station expediting location registry to base station
JP3780919B2 (ja) 2001-11-29 2006-05-31 株式会社デンソー 移動通信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6993334B2 (en) 2002-04-30 2006-01-31 Qualcomm Inc. Idle handoff with neighbor list channel replacement
KR100965694B1 (ko) 2004-06-15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 지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724925B1 (ko) * 2004-09-20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및 방법
US7483702B2 (en) * 2004-10-20 2009-01-27 Nokia Corporation Cell reselection for improving network interconnection
KR100690778B1 (ko) 2005-04-19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룰라 이동통신시스템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
US20060274695A1 (en) * 2005-06-03 2006-12-07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ectuating a connection to a network
KR100964842B1 (ko) * 2005-08-25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시스템 및방법
WO2007040451A1 (en) * 2005-10-04 2007-04-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etwork controller selection for ip-connected radio base station
JP2007107789A (ja) 2005-10-12 2007-04-26 Babcock Hitachi Kk ボイラ設備の据付工法
US20090207790A1 (en) * 2005-10-27 2009-08-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tuneawaystatus in an open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61407A (ko) * 2005-12-08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인터넷 시스템의 핸드오버 재설정 방법
KR100753220B1 (ko) 2005-12-30 2007-08-30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와이브로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지원 장치 및 방법
US8027306B2 (en) 2006-02-17 2011-09-27 Lg Electronics Inc. Miscellaneous improvements on the HRPD system
US8498416B2 (en) * 2008-05-05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Validation of stored or incoming messages
US8514778B1 (en) * 2009-03-24 2013-08-20 Zte (Usa) Inc. Interworking overhead message protocols
US8964720B2 (en) * 2009-06-03 2015-02-24 Via Telecom Co., Ltd. MIMO OFDMA and preamble desig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46081A1 (en) 2009-04-08
EP2247140B1 (en) 2013-01-09
EP2046081B1 (en) 2010-08-04
CN101816204A (zh) 2010-08-25
KR101272203B1 (ko) 2013-06-10
CA2699857A1 (en) 2009-04-09
ATE476846T1 (de) 2010-08-15
RU2010117384A (ru) 2011-11-10
EP2247140A1 (en) 2010-11-03
DE602008002030D1 (de) 2010-09-16
JP5231560B2 (ja) 2013-07-10
RU2461989C2 (ru) 2012-09-20
TW200932005A (en) 2009-07-16
ES2348320T3 (es) 2010-12-02
US8792889B2 (en) 2014-07-29
JP2010541490A (ja) 2010-12-24
TWI387371B (zh) 2013-02-21
ES2399592T3 (es) 2013-04-02
US20090088158A1 (en) 2009-04-02
WO2009046047A1 (en)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203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주파수간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340664B2 (en) Cell re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88122B2 (en) Mobility detection and system acquisition in dual standby dual subscriber identity modules (DSDS)
JP4806023B2 (ja) オーバラップしている周波数帯域において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86343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lving paging monitoring conflicts in multimode wireless equipment
EP21406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ter-system searches in idle mode
EP19999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radio technologies
EP2673978B1 (en) Priority measurement rules for channel measurement occasions
KR20090125122A (ko) 핸드오버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US83209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ell resel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10685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stem selection in a wireless multimode terminal
WO2016025157A1 (en) Power scan for establishing circuit switched fallback (csfb) call
US20130252614A1 (en) Methods for preferably camping on and staying in a cell belonging to a high data transmission throughput rat and communications apparatuses utilizing the same
CN112702777A (zh) 在nsa模式下执行移动过程的方法和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