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186A -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186A
KR20100069186A KR1020080127799A KR20080127799A KR20100069186A KR 20100069186 A KR20100069186 A KR 20100069186A KR 1020080127799 A KR1020080127799 A KR 1020080127799A KR 20080127799 A KR20080127799 A KR 20080127799A KR 20100069186 A KR20100069186 A KR 20100069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afety valve
load cell
test apparatus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학
Original Assignee
쎄라텍코 주식회사
김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쎄라텍코 주식회사, 김재학 filed Critical 쎄라텍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7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9186A/ko
Publication of KR20100069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03Machin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1/00Valves and valve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동시험 및 분출압력(Popping Pressure)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는, 유압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장치, 검사대상밸브의 외측에 지지되어 분출시험장치를 구성하는 부재들이 설치 및 지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고정지지부재,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유압장치의 작동으로 발생된 유체에너지를 이용하여 검사대상밸브를 강제로 개방시키는 밸브개방부재, 상기 검사대상밸브를 개방시키는 스핀들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밸브개방부재에 결합되어 밸브개방부재에 의하여 스핀들이 상승하여 검사대상밸브가 개방될 때 그 힘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로드셀,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된 힘을 기록하여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80127799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 고정지지부재, 밸브개방부재, 로드셀, 출력장치

Description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PRESSURE SAFETY VALVE POPPING TEST SYSTEM}
본 발명은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동시험 및 분출압력(Popping Pressure)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석유화학공장, 정유공장 등과 같은 플랜트시설의 압력용기나 배관에는 주로 압력안전밸브(Pressure Safety Valve, 이하 밸브로 표기함)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는 압력용기 또는 배관라인에서 이상 압력이 발생하였을 때 압력용기나 배관의 파열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규정압력(Set Pressure) 이상으로 압력이 상승하면 밸브가 개방되어 유체(Steam, Water, Gas 등)를 외부로 자동으로 배출시켜 장치를 보호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모든 밸브는 법적으로 2년에 한 번씩 작동시험과 분출압력(Popping Pressure)을 테스트하여 확인 및 조정하게 되어있다.
밸브의 일반적인 테스트 방법은 압력용기 또는 배관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테 스트 대상 밸브를 떼어내어 테스트 벤치(Test Bench)에 설치하고, 질소(N2)나 물로 압력을 가한 후, 압력계(Pressure Gauge)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분출압력을 조정하여 밸브 테스트를 완료한 후, 테스트 완료된 밸브를 원래 위치에 설치한다.
그러나 이렇게 밸브를 테스트할 경우에는 육안으로 압력계를 보고 분출된 압력을 읽어야 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떨어지고, 또 수기로 기록해야 하므로 신뢰성이 떨어진다. 또한 압력용기 또는 배관라인에서 밸브를 떼어내야 하기 때문에 압력용기나 배관 내부압력이 있을 경우에는 테스트가 불가능하다. 특히 배관에 용접으로 밸브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몇 배의 작업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를 떼어내지 않고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밸브의 작동시험 및 분출압력을 조정할 수 있는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밸브에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나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밸브의 작동시험 및 분출압력을 조정할 수 있는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는, 유압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장치, 검사대상밸브의 외측에 지지되어 분출시험장치를 구성하는 부재들이 설치 및 지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고정지지부재,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유압장치의 작동으로 발생된 유체에너지를 이용하여 검사대상밸브를 강제로 개방시키는 밸브개방부재, 상기 검사대상밸브를 개방시키는 스핀들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밸브개방부재에 결합되어 밸브개방부재에 의하여 스핀들이 상승하여 검사대상밸브가 개방될 때 그 힘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로드셀,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된 힘을 기록하여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는 시험대상 밸브가 설치된 상태에서 분출시험을 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밸브 테스트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밸브 테스트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검사대상밸브의 분출압력이 출력장치로 출력되어 자동으로 기록되므로 검사대상 밸브의 분출압력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 검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부호10은 유압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유압장치(10)는 오일탱크(11)와, 이 오일탱크(11)에 저장된 오일에 의하여 발생된 유체에너지의 힘을 외부로 전할 때 그 힘을 높이거나 또는 낮추도록 이루어진 압력조절 다이얼(12)과, 유압장치(10)에서 발생된 유체의 압력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압력계(13)와, 이 유압장치(10)와 유압라인(P)을 통하여 연결되고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유압램(Hydraulic Ram)이 받는 힘이 적당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조절레버(14)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압장치(10)는 유압호스 등으로 이루어진 유압라인(P)을 통하여 전달되며 유압장치(10)의 힘에 의하여 뒤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검사대상 밸브(이 하 "밸브" 로 기재함)(100)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고정지지부재(20)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지지부재(20)는 밸브(100)의 외측에 지지되어 시험장치를 구성하는 부재들이 설치 및 지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밸브(100)의 외측으로 서로간에 간격을 유지하며 마주하는 상태로 놓여지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2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를 관통하여 나사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베이스 플레이트(21)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조절부(2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 사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 대향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2)과, 상기 지지프레임(22)들 사이에 지지되는 헤드(23)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22)는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양쪽 단부에 나사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조절부(22)에 형성된 나사부는 지지프레임(22)의 양측으로 왼나사 및 오른 나사부로 가공되어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왼나사부에 나사 체결되고,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는 오른나사부에 나사 체결되어 조절부(22)를 회전시키면 베이스 플레이트(21)들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조절부(22)에는 기어박스(24)가 제공되어 어느 하나의 조절부(22)를 회전시켜도 기어박스(24)에 의하여 다른 하나의 조절부도 같이 회전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어느 조절부(22)를 회전시켜도 베이스 플레이트(21)는 항상 나란한 상태로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지면서 조절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2)의 하단부에는 연결부(25)가 형성되며, 이 연결부(25)를 조절부(22)가 관통하여 지지프레임(22)이 연결부(25)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연결부(25)가 관통되는 부분의 조절부(22)에는 나사부가 제거되어 조절부(22)를 회전시켜도 지지프레임(22)은 위치를 이동하지 않고 항상 같은 위치에 위치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22) 사이에는 헤드(23)의 양쪽단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이러한 헤드(23)를 고정하기 위하여 지지프레임(22)과 헤드(23) 양쪽으로는 각각 구멍(22a)(23a)이 뚫려지고 이들 구멍(22a)(23a)을 일치시켜 고정핀(26)을 끼우는 방법으로 헤드(23)를 지지프레임(22)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헤드(23)의 높이를 조절하여 위치시킬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22)에 형성된 구멍(22a)은 다른 높이로 다수개가 뚫려진다.
이와 같은 고정지지부재(20)를 구성하는 헤드(23)에는 상기 유압장치에서 발생된 유체에너지를 이용하여 밸브(100)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해당밸브(100)를 강제로 개방시키는 밸브개방부재(30)가 설치된다.
밸브개방부재(30)는 상기 고정지지부재(20)를 구성하는 헤드(23)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유압장치(10)에서 발생된 유체에너지를 전달받아 운동에너지로 바꾸는 유압램(31) 및 이 유압램(31)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승하는 작동로드(32)를 포함한다.
상기 유압램(31)은 헤드(23)에 고정되며 유압장치(10)의 유압라인(P)과 연결 된다. 작동로드(32)는 유압램(31)에 작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하단부에는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가공되어 뒤에서 설명되는 로드셀(40)이 나사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33)로 형성된다.
이러한 밸브개방부재(30)의 구동으로 밸브(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스핀들(110)을 들어올려 밸브(100)를 강제적으로 개방시켜 분출시험을 하게되는데, 이때 분출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도록 밸브개방부재(30)와 밸브(100) 사이에는 로드셀(Load Cell)(40)이 설치된다.
로드셀(40)은 그 내부에 힘을 받으면 내부의 소자가 약간 압축되거나 늘어나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어 힘을 측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에 제공된 로드셀(4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제공되는 로드셀(40)의 용량은 200kgf, 2000kgf, 5000kgf, 7000kgf 4개의 종류로 구성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의 분출시험용량(Capacity)은 7000kgf(7Ton)까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국내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압력안전밸브를 시험 할 수 있는 용량이다.
이러한 로드셀(40)은 케이블(C)을 통하여 출력장치(50)와 연결되는데, 따라서 로드셀(40)이 힘을 받아 내부의 소자가 변형되면 이 변형량을 측정하여 전기신호로 검출하여 그 신호를 케이블(C)을 통하여 출력장치(50)로 전송하고, 출력장치(50)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바뀌면서 밸브(100)가 개방될 때의 힘이 그래프 또는 숫자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확인 할 수 있도록 나타낸다.
로드셀(40)은 상부면에는 도 4a에서와 같이 돌출된 상태로 외주연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연결부(41)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도 4b에서와 같이 밸브(100)의 스핀들(110)에 고정된 어댑터(A)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핀홀(42)이 형성된 어댑터 플레이트(43)로 이루어진다.
로드셀(40)의 설치는 연결부(41)는 작동로드(32)의 하부의 형성된 고정부(33)에 나사 체결로 연결하고, 로드셀(40)의 하부는 밸브(100)의 스핀들(110) 끝단부에 설치된 어댑터(A)와 연결핀홀(42)에 핀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로드셀(40)을 매개로 밸브개방부재(30)와 밸브(100)를 강제 개방시키기 위한 스핀들(110)은 서로 연결된 형태를 취한다.
상기 출력장치(50)는 출력장치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파워스위치(51)와, 출력장치(50)에서 인쇄될 그래프의 스케일을 조절하는 조절다이얼(52)과, 로드셀(40)이 받는 힘을 출력장치(50)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C) 연결부(53)와, 출력장치(50)에서 출력되는 출력차트(54) 및 이 출력장치(54)에 그래프가 기록되는 시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전압표시부(55)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다이얼(52)은 출력장치(50)의 출력차트(54)에서 출력되는 비율(Scale)을 20%, 50%, 100% 등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변환기로서, 예를 들어 2000kgf 로드셀을 사용하여 분출시험을 할 경우 출력차트(54) 한 장 전체에 기록되는 눈금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400kgf, 1000kgf, 2000kgf가 각각 기록되도록 함으로써 정밀도를 높였다.
이를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출력차트(54)의 규격은 일정하므로 2000kgf 로드셀을 사용할 경우 출력차트 한 장 전체를 400kgf, 1000kgf, 2000kgf로 비율로 나누어 표시할 수 있어 200kgf의 힘이 필요한 밸브는 2000kgf의 로드셀을 사용하고 출력차트의 비율을 20%로 변환시켰을 때 출력차트 한 장 전체는 400kgf가 되고 시험한 힘은 이 출력차트의 1/2인 200kgf로 기록되므로 결국 출력차트의 눈금을 확대하여 읽을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정밀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즉, 만일 밸브 시험에 필요한 힘이 200kgf 정도일 때 2000kgf 로드셀을 사용하게 되는데 비율을 변환시키지 않고 사용할 때 출력차트(100개의 눈금이 있음) 전체는 2000kgf가 되고 한 눈금은 20kgf가 되는 것이며, 이것을 비율을 변환시켜 20%로 했을 때는 출력차트 전체는 400kgf가 되고 한 눈금은 4kgf가 되어 출력차트의 눈금을 읽는 데 따른 오차가 없어지는 것이다.
상기 전압표시부(55)는 상기 출력차트(54)에 그래프가 표시되는 시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디지털 표시방식으로 전압수치를 나타내는 부재이다.
이 전압표시부(55) 역할은 밸브를 시험할 때 유압장치(10)를 가동시켜 밸브의 스핀들을 위로 들어 올릴 때 로드셀(40)에 가해지는 힘만큼 필요한 전압 수치가 올라가게 되어 전압 표시부(55)에 수치가 나타나게 되므로, 어느 시점에서 기록펜이 작동되는지를 예상할 수 있어 다음 작업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게 된다.
전압표시부가 없을 경우 어느 시점에 그래프가 기록되는지 알 수 없음은 물론이고 케이블선(C)의 단락과 로드셀(40)의 고장 등을 알 수 없다.
로드셀(40)의 용량이 200kgf, 2000kgf, 5000kgf, 7000kgf일 경우 모두 필요 한 전압이 최대 10mV가 필요하도록 제작된다. 즉, 200kgf 로드셀을 사용하였을 때 전압표시부(55)에 5mV 수치가 나타날 경우 100kgf가 되는 것이고 2000kgf 로드셀인 경우 1000kgf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안전밸브 시험장치를 사용하려면, 먼저 출력장치(50)와 로드셀(40)의 변위(오차범위)를 측정하는 시험장비(미도시)를 이용하여 오차범위를 측정한다.
즉, 로드셀(40)은 일정한 힘이 작용할 때 작동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제품이 사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로드셀(40)이 200㎏f, 400㎏f, 800㎏f, 1000㎏f 에서 각각 작동되도록 제작되어있다면 이들 로드셀(40)이 실제로 얼마의 힘(㎏f)으로 작동되는지 측정하여 힘의 변위값을 측정한다. 이러한 변위값을 갖고 실제 현장에서 밸브 분출시험시 출력장치(50)와 로드셀(40)의 변위값을 가감하여 적용하면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변위값이 측정된 로드셀(40)을 준비한 상태에서, 검사대상밸브(100)에 설치된 밸브 캡(미도시)를 분해한 다음, 밸브(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스핀들(110)의 양측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1)가 위치하도록 고정지지부재(20)를 검사대상밸브(100)의 외측에 위치한 밸브 보닛(Bonnet)(120)에 거치 시킨다.
검사대상밸브(100)는 평상시에는 밸브 보닛(Bonnet)(120) 내부에 설치된 탄성부재(130)의 외향탄력을 받으며 디스크(140)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으며, 이러한 디스크(140)는 밸브 보닛(120) 외부로 연장된 스핀들(110)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다.
고정지지부재(20)가 거치되면 스핀들(110)에 어댑터(A)를 장착하고 고정지지부재(20)의 헤드(23)의 높이를 조절한 다음, 밸브개방부재(30)의 고정부(33)와 어댑터(A)에 로드셀(40)을 장착한다. 그리고 유압장치(10)와 유압램(31)은 유압라인(P)으로 연결하고, 출력장치(50)와 로드셀(40)은 케이블(C)로 각각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유압장치(10)를 작동시키면 유압에너지가 발생되면서 유압램(31)에 의하여 작동로드(32)가 상승하면서 밸브스핀들(110)을 들어 올린다.
그러면 탄성부재(130)를 압축하면서 폐쇄된 상태로 있던 밸브 디스크(140)가 열리면서 밸브(100) 내부의 압력이 배출라인으로 분출되며, 이때 로드셀(40)에서 측정된 힘은 케이블(C)을 통하여 출력장치(50)로 전송되어 밸브(100)의 내부압력이 분출될 때의 힘이 출력장치(50)의 출력차트(54)에 그래프 등으로 표시된다.
이때 출력차트(54)에 기록된 힘(kgf)을 밸브(100)의 시트(Seat) 면적(㎠)으로 나누어주면 분출압력(Popping Pressure)이 되는 것이며, 또한 밸브(100)가 설치된 배관라인에 압력이 걸려있을 경우에는 배관내부 압력을 합산하면 분출압력이 된다.
출력차트(54)를 확인하여 밸브(100)가 분출 압력의 허용치를 벗어났다면 밸브(100)에 제공된 조절스크류(미도시)를 조이거나 풀어 조정하고 재측정을 실시하면 된다.
이때 안전밸브 테스트는 계산식1과 같이한다.
[계산식 1]
Figure 112008086377115-PAT00001
테스트 대상 밸브 중에는 설치된 시간이 오래 경과한 밸브가 많으며, 밸브가 오래될수록 고착상태가 심하기 때문에 처음의 테스트 값은 제대로 된 값이라 할 수 없으므로 두 번째 테스트 값이 정값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밸브의 분출압력을 규정압력에 맞추어 조정한 다음에는 분출시험장치를 설치할 때의 역순으로 해체하고, 시험이 완료된 밸브는 원상태로 조립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를 구성하는 유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를 구성하는 고정지지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를 구성하는 로드셀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를 구성하는 출력장치를 나타낸 도면.

Claims (11)

  1. 유압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장치;
    검사대상밸브의 외측에 지지되어 분출시험장치를 구성하는 부재들이 설치 및 지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고정지지부재;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유압장치의 작동으로 발생된 유체에너지를 이용하여 검사대상밸브를 강제로 개방시키는 밸브개방부재;
    상기 검사대상밸브를 개방시키는 스핀들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밸브개방부재에 결합되어 밸브개방부재에 의하여 스핀들이 상승하여 검사대상밸브가 개방될 때 그 힘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로드셀;
    상기 로드셀에서 측정된 힘을 기록하여 출력하는 출력장치;
    를 포함하는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재는 밸브의 외측면으로 서로간에 간격을 유지하며 마주하는 상태로 놓여지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나사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베이스 플레이트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조절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 대향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들 사이에 지지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일측 및 타측으로 왼나사 및 오른 나사부가 형성되어 조절부를 회전시키면 베이스 플레이트들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에는 기어박스가 제공되어 어느 하나의 조절부를 회전시켜도 기어박스에 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는 항상 나란한 상태로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지면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그 하단부가 조절부에 지지될 수 있도록 조절부가 관통되는 연결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연결부가 관통되는 부분에는 나사부가 제거되어 조절부를 회전시켜도 지지프레임은 위치를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다른 높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구멍이 뚫려져 헤드의 높이를 조절하여 지지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방부재는 상기 유압장치에서 발생된 유체에너지를 전달받아 운동에너지로 바꾸는 유압램 및 이 유압램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승하는 작동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의 하단부는 로드셀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는 조절다이얼을 조절하여 상기 로드셀의 용량에 따라서 출력차트에서 출력되는 비율(Scale)을 변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는 검사대상밸브가 배관라인에 설치된 상태에서 검사대상밸브에 설치되어 분출시험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분출시험용량은 7000kgf(7Ton)까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
KR1020080127799A 2008-12-16 2008-12-16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 KR20100069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799A KR20100069186A (ko) 2008-12-16 2008-12-16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799A KR20100069186A (ko) 2008-12-16 2008-12-16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186A true KR20100069186A (ko) 2010-06-24

Family

ID=4236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799A KR20100069186A (ko) 2008-12-16 2008-12-16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9186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0667A (zh) * 2012-06-28 2012-10-10 湖南机油泵股份有限公司 一种机油泵限压阀开启压力的测试方法及装置
CN105698912A (zh) * 2016-03-15 2016-06-22 梅特勒-托利多(常州)精密仪器有限公司 在力标准机上一次测量两只柱式称重传感器的气动测试装置及测试方法
KR20160072464A (ko) 2014-12-15 2016-06-2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안전밸브 성능시험 장치
CN106989913A (zh) * 2017-05-24 2017-07-28 哈尔滨工业大学(威海) 滑块和导轨间隙可调的移动副实验模拟装置
KR20180060461A (ko) 2016-11-29 2018-06-07 에스씨에스 주식회사 무선통신 기반의 고압가스 안전밸브 원격검사시스템
KR20180079594A (ko) * 2016-12-30 2018-07-11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밸브 압력 검사기
CN108731932A (zh) * 2018-06-26 2018-11-02 宁波洛卡特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双工位翻车阀同步试验装置
KR20210026085A (ko) 2019-08-29 2021-03-10 곽영환 고압가스 안전밸브 검사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0667A (zh) * 2012-06-28 2012-10-10 湖南机油泵股份有限公司 一种机油泵限压阀开启压力的测试方法及装置
CN102720667B (zh) * 2012-06-28 2015-10-14 湖南机油泵股份有限公司 一种机油泵限压阀开启压力的测试方法及装置
KR20160072464A (ko) 2014-12-15 2016-06-2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안전밸브 성능시험 장치
CN105698912A (zh) * 2016-03-15 2016-06-22 梅特勒-托利多(常州)精密仪器有限公司 在力标准机上一次测量两只柱式称重传感器的气动测试装置及测试方法
KR20180060461A (ko) 2016-11-29 2018-06-07 에스씨에스 주식회사 무선통신 기반의 고압가스 안전밸브 원격검사시스템
KR20180079594A (ko) * 2016-12-30 2018-07-11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밸브 압력 검사기
CN106989913A (zh) * 2017-05-24 2017-07-28 哈尔滨工业大学(威海) 滑块和导轨间隙可调的移动副实验模拟装置
CN106989913B (zh) * 2017-05-24 2020-02-14 哈尔滨工业大学(威海) 滑块和导轨间隙可调的移动副实验模拟装置
CN108731932A (zh) * 2018-06-26 2018-11-02 宁波洛卡特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双工位翻车阀同步试验装置
CN108731932B (zh) * 2018-06-26 2024-02-02 宁波洛卡特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双工位翻车阀同步试验装置
KR20210026085A (ko) 2019-08-29 2021-03-10 곽영환 고압가스 안전밸브 검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9186A (ko) 안전밸브 분출시험장치
KR101227772B1 (ko) 밀폐형 스프링 행거의 건전성 검사 장비
US4690003A (en) Motor operated valve analysis and testing system
US4566310A (en) Method of inspecting the operation of a valve and mechanical test bench for performing the method
US4542649A (en) Motor operated valve analysis and testing system
US5220843A (en) In situ method of determining the thrust on valve components
KR20070036094A (ko) 안전밸브 테스트장치
KR20090017215A (ko) 안전밸브 시험장치
EP09107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 load
KR101783563B1 (ko) 산업용 설비의 안전변 테스트 장치
KR101439957B1 (ko) Posrv 성능 평가 시험 장치
KR100477920B1 (ko) 현장에 설치된 안전밸브의 직접 시험 데이터 취득 방법
US5809100A (en) Apparatus for detecting changes in preload on a tie rod installed as part of a core shroud repair in a boiling water reactor
KR101182718B1 (ko) 다목적 현장계측기기 테스트 시스템
KR200196268Y1 (ko) 안전밸브의 설정압력 검사장치
CN110044693B (zh) 一种用于结构加载电测试验的传感器状态实时监测方法
KR100729029B1 (ko) 고온 고압 환경 피로 시험기
KR102277177B1 (ko) 고압가스 안전밸브 검사방법
Abid Determination of gasketed and non-gasketed flanged pipe joint’s capacity subjected to combined loading: an experimental approach
KR102489901B1 (ko) 유압변환기를 이용한 증기밸브조절기 및 그 보정방법
WO1993005338A1 (en) Method of monitoring a load and apparatus for use in the method
JPH01245128A (ja) インパイルクリープ試験装置
US20180356198A1 (en) Stem nut thread wear analysis apparatus and method
CN213632994U (zh) 一种后锚固件承载力精准测量装置
CN203037343U (zh) 一种称重传感器受力对比试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