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043A -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043A
KR20100069043A KR1020080127599A KR20080127599A KR20100069043A KR 20100069043 A KR20100069043 A KR 20100069043A KR 1020080127599 A KR1020080127599 A KR 1020080127599A KR 20080127599 A KR20080127599 A KR 20080127599A KR 20100069043 A KR20100069043 A KR 20100069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shroud
radiator
flange
tab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3917B1 (ko
Inventor
이동근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7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9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69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1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33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2003/008Liquid cooling the liquid being water and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4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ngine or machine coo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수단으로서 팬쉬라우드와의 체결시 절곡되어 팬쉬라우드에 체결 가능하도록 상하부 서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판 형상의 돌출 탭(tab)을 포함하는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팬쉬라우드, 라디에이터, 돌출 탭, 서포트

Description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Assembly Structure of Radiator and Fan Shroud}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수단으로서 팬쉬라우드와의 체결시 절곡되어 팬쉬라우드에 체결 가능하도록 상하부 서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판 형상의 돌출 탭(tab)을 포함하는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의 공조시스템은 계절의 변화에 따라 온도 차이가 심할 때 차실내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실내를 냉,난방하는 냉난방장치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냉방장치는 냉매를 일정한 싸이클로 순환시켜 이 냉매가 상기 싸이클상에 설치된 열교환기에서 차실내로 공급되는 외부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하여, 상기 냉매에 의해 저온화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여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그리고 난방장치는 엔진의 과열을 방지하는 냉각수를 이용한 것으로, 라디에 이터를 경유한 엔진 실내측 난방용 열교환기로 공급하여 이 난방용 열교환기에 의해 고온화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여 차량의 실내를 난방하게 된다.
이때 응축기 및 라디에이터는 자동차가 주행 중 일 때는 주행으로 발생되는 주행풍이 상기 각각의 열교환기를 지나면서 열교환되어 냉매의 응축 및 냉각수를 냉각시키게 된다.
또한, 차량이 정지중일 때는 상기와 같이 주행풍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열교환기 전후방 소정위치에 팬쉬라우드를 설치하여 차량 외부 공기를 강제로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하여 냉매를 응축시키고 냉각수를 냉각시킨다.
상기 팬쉬라우드 어셈블리는 팬과 상기 팬을 고정하는 쉬라우드로 구성되는 데, 상기 쉬라우드는 상기 팬의 회전에 따라 외부 공기를 일측 방향으로 강제 이송시킬 때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팬쉬라우드 어셈블리는 상기 냉방장치의 열교환기의 응축기 또는 냉각장치의 열교환기인 라디에이터 전후방에 이격된 위치에 독립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팬쉬라우드와 라디에이터의 결합구조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은 수직하게 설치된 한 쌍의 헤더 탱크(11, 11)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튜브(13), 상기 한 쌍의 헤더 탱크(11, 11)를 연결하도록 상하로 이격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하부 서포트(15, 15)를 가진다.
도1을 참조하면 라디에이터(10)의 한 쌍의 헤더 탱크(11, 11)에는 각각 볼트공(11-1)이 형성된다.
도1을 참조하면 팬쉬라우드(2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체결편(21)이 형성되고, 체결편(21)에는 볼트공(11-1)과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공(21-1)이 형성된다.
도1을 참조하면 팬쉬라우드는 볼트(도면 부호 미부여)가 체결편(21)의 볼트공(11-1)을 통하여 끼워져 한 쌍의 헤더 탱크(11, 11)의 볼트공(11-1)에 체결됨으로써 라디에이터(10)에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라디에이터(10)와 팬쉬라우드(20)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팬쉬라우드(20)의 폭이 넓은 경우 강성의 부족으로 라디에이터(10)의 전후방향으로 큰 진동이 발생하여 라디에이터(10)의 코어와 충돌을 일으켜 라디에이터(10)의 튜브에 리크(leak)가 발생하거나 큰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상기한 진동 발생시 볼트(도면부호 미부여) 풀림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진동 발생이 더욱 커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조립공정이 간단하고, 팬쉬라우드가 라디에이터의 전후방향으로 진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수직하게 설치된 한 쌍의 헤더 탱크(110, 11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튜브(130), 상기 한 쌍의 헤더 탱크(110, 110)를 연결하도록 상하로 이격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하부 서포트(150, 150), 결합수단에 의하여 상기 상하부 서포트(150, 150)에 결합되는 팬쉬라우드(200)를 포함하는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하부 서포트(150, 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팬쉬라우드(200)와 체결시 절곡되는 판 형상의 돌출 탭(tab)(310, 1310)과 상기 돌출 탭(tab)(310, 1310)에 체결되도록 상기 팬쉬라우드(200)의 상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일자형의 체결판(210, 1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서포트(150, 150)는 일자형의 본체(152)와, 상기 본체(152)로부터 전후방으로 상호 이격되며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일측 플랜지(154) 및 타측 플랜지(156)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판(210)은 돌출 탭(tab)(310)이 끼워지는 체결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팬쉬라우드(200)의 상하단으로부터 수평 으로 절곡된 일자형 평판이고, 상기 돌출 탭(tab)(310)은 상기 일측 플랜지(154)의 돌출단으로부터 내부로 인입된 일측 플랜지 홈(154-1)의 바닥부로부터 연장되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L"자형의 탭(tab)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서포트(150, 150)는 일자형의 본체(152)와, 상기 본체(152)로부터 전후방으로 상호 이격되며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일측 플랜지(154) 및 타측 플랜지(156)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판(1210)은 상기 일측 플랜지(154)에 밀착되도록 상기 팬쉬라우드(200)의 상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일자형 평판이고, 상기 돌출 탭(tab)(1310)은 상기 일측 플랜지(154)의 돌출단에 다수개 돌출 형성되는 일자형의 탭(tab)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체결홈에 돌출 탭(tab)을 끼운 뒤 돌출 탭(tab)을 상하부 서포트의 본체 측으로 절곡시킴으로써 팬쉬라우드가 라디에이터에 체결되므로, 그 조립공정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돌출 탭(tab)이 절곡됨으로써 체결판과의 전후방향(라디에이터의 전후방향) 체결력을 유지하므로, 팬쉬라우드가 라디에이터의 전후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팬쉬라우드가 라디에이터의 튜브와 충돌을 일으켜 튜브에 리크(leak)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고, 팬쉬라우드와 라디에이터의 충돌로 인한 소음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일측 플랜지의 돌출단을 따라 다수개 돌출 형성된 돌출 탭(tab)이 팬쉬라우드가 라디에이터의 전후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억제하므로, 팬쉬라우드가 라디에이터의 튜브와 충돌을 일으켜 튜브에 리크(leak)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고, 팬쉬라우드와 라디에이터의 충돌로 인한 소음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실시예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2는 실시예1의 라디에이터의 사시도를, 도3은 실시예1의 팬쉬라우드의 사시도를, 도4는 실시예1의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상태의 사시도를, 도5는 실시예1의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2를 참조하면 실시예1은 라디에이터(100)를 가진다. 라디에이터(100)는 수직하게 설치된 한 쌍의 헤더 탱크(110, 110), 한 쌍의 헤더 탱크(110, 11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튜브(130), 한 쌍의 헤더 탱크(110, 110)를 연결하도록 상하로 이격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하부 서포트(150, 150)를 가진다.
상부 서포트(150) 및 하부 서포트(150)는 상호 동일한 형상일 수 있으므로 상부 서포트(1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를 참조하면 상부 서포트(150)는 그 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부 서포트(150)는 일자형의 본체(152)와, 본체(152)로부터 전후방으로 상호 이격되며 수직방향인 상측으로 세워지는 일측 플랜지(154) 및 타측 플랜지(1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일측 플랜지(154)는 팬쉬라우드(200)가 결합되는 쪽에 위 치한 플랜지를 말한다.
도2를 참조하면 일측 플랜지(154)에는 돌출단인 상측단으로부터 내부로 인입된 일측 플랜지 홈(154-1)이 형성된다. 일측 플랜지 홈(154-1)은 홈의 깊이 보다 홈의 너비가 긴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2를 참조하면 상부 서포트(150)에 형성된 일측 플랜지 홈(154-1)의 바닥부에는 판 형상의 돌출 탭(tab)(310)이 돌출 형성된다. 돌출 탭(tab)(310)은 일측 플랜지 홈(154-1)의 바닥부로부터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L"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돌출 탭(tab)(310)은 수평 돌출 탭부(도면부호 미부여)와 수직 돌출 탭부(도면부호 미부여)로 이루어진다. 수직 돌출 탭부(도면부호 미부여)는 그 돌출단이 일측 플랜지(154)의 돌출단 보다 길게 돌출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절곡되어 일측 플랜지 홈(154-1)을 통하여 본체(152)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그 양측단의 너비가 일측 플랜지 홈(154-1)의 너비 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된다.
도2를 참조하면 하부 서포트(150)에는 상부 서포트(150)에서와 동일한 돌출 탭(tab)(3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팬쉬라우드(200)의 상측단에는 일자형의 체결판(210)이 형성된다. 체결판(210)은 팬쉬라우드(200)의 상측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다. 체결판(210)에는 돌출 탭(tab)(310)이 끼워지는 체결홈(212)이 형성된다. 도4를 함께 참조하면 체결판(210)은 체결홈(212)에 돌출 탭(tab)(310)이 끼워지는 경우 그 외측단부가 일측 플랜지(154)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체결판(210)의 체결홈(212)에 돌출 탭(tab)(310)이 끼워지면 돌출 탭(tab)(310)을 본체(152) 방향으로 절곡시켜 팬쉬라우드(200)가 라디에이터(100)에 체결된다.
즉, 돌출 탭(tab)(310) 및 체결판(210)은 팬쉬라우드(200)를 라디에이터(100)에 체결하는 결합수단을 이룬다.
도3을 참조하면 팬쉬라우드(200)의 하측단에는 팬쉬라우드(200)의 상측단에서와 동일한 체결판(2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부 서포트(150)와 하부 서포트(150)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는 각각 돌출 탭(tab)(310)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판(210)에는 돌출 탭(tab)(310)의 개수에 대응하여 다수개의 체결홈(212)이 형성된다.
실시예1은 체결홈(212)에 돌출 탭(tab)(310)을 끼운 뒤 돌출 탭(tab)(310)을 본체(152) 측으로 절곡시킴으로써 팬쉬라우드(200)가 라디에이터(100)에 체결되므로, 그 조립공정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실시예1은 돌출 탭(tab)(310)이 절곡됨으로써 체결판(210)과의 전후방향(라디에이터의 전후방향) 체결력을 유지하므로, 팬쉬라우드(200)가 라디에이터(100)의 전후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팬쉬라우드(200)가 라디에이터(100)의 튜브(130)와 충돌을 일으켜 튜브(130)에 리크(leak)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고, 팬쉬라우드(200)와 라디에이터(100)의 충돌로 인한 소음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2
실시예2는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2는 실시예1과 유사하므로 설명이 없는 부분은 실시예1에 준한다.
도6은 실시예2의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분해상태의 사시도를, 도7은 실시예2의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6을 참조하면 실시예2의 라디에이터(100)는 상하부 서포트(150, 150)를 가진다. 상부 서포트(150)는 일자형의 본체(152)와, 상기 본체(152)로부터 전후방으로 상호 이격되며 수직방향인 상측으로 세워지는 일측 플랜지(154) 및 타측 플랜지(1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시예1에서와 마찬가지로 하부 서포트(150)는 상부 서포트(150)와 상호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상부 서포트(150)에 형성된 일측 플랜지(154)의 돌출단인 상측단에는 돌출 탭(tab)(1310)이 다수개 돌출 형성된다. 돌출 탭(tab)(1310)은 일측 플랜지(154)의 돌출단인 상측단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는데, 일자형의 판형상일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하부 서포트(150)에는 상부 서포트(150)에서와 동일한 돌출 탭(tab)(1310)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팬쉬라우드(200)의 상측단에는 체결판(1210)이 형성된다. 체결판(1210)은 일자형을 이루며 수직방향으로 세워진다. 즉, 체결판(1210)은 일측 플랜지(154)에 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7을 참조하면 체결판(1210)이 일측 플랜지(154)에 밀착되면 돌출 탭(tab)(1310)을 팬쉬라우드(200) 방향으로 절곡시켜 체결판(1210)과 체결시킴으로써 팬쉬라우드(200)가 라디에이터(100)에 체결된다.
도7을 참조하면 팬쉬라우드(200)의 하측단에는 팬쉬라우드(200)의 상측단에서와 동일한 체결판(1210)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2는 팬쉬라우드(200)를 라디에이터(100)에 체결하는 경우 별도로 볼트 체결을 할 필요가 없어 조립공정이 간단하고, 일측 플랜지(154)의 돌출단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절곡되는 돌출 탭(tab)(1310)으로 인하여 팬쉬라우드(200)가 라디에이터(100)의 전후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도1은 종래의 팬쉬라우드와 라디에이터의 결합구조의 분해도.
도2는 실시예1의 라디에이터의 사시도.
도3은 실시예1의 팬쉬라우드의 사시도.
도4는 실시예1의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5는 실시예1의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6은 실시예2의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분해상태의 사시도.
도7은 실시예2의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라디에이터 110:한 쌍의 헤더 탱크
130:튜브
150:상하부 서포트
152:본체 154:일측 플랜지
154-1:상부홈
156:타측 플랜지
200:팬쉬라우드 210:체결판
212:체결홈
310:상부 돌출 탭
1210:체결판 1310:상부 돌출 탭

Claims (3)

  1. 수직하게 설치된 한 쌍의 헤더 탱크(11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튜브(130), 상기 한 쌍의 헤더 탱크(110)를 연결하도록 상하로 이격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하부 서포트(150), 결합수단에 의하여 상기 상하부 서포트(150)에 결합되는 팬쉬라우드(200)를 포함하는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하부 서포트(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팬쉬라우드(200)와 체결시 절곡되는 판 형상의 돌출 탭(tab)(310, 1310)과 상기 돌출 탭(tab)(310, 1310)에 체결되도록 상기 팬쉬라우드(200)의 상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일자형의 체결판(210, 1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서포트(150)는 일자형의 본체(152)와, 상기 본체(152)로부터 전후방으로 상호 이격되며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일측 플랜지(154) 및 타측 플랜지(156)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판(210)은 돌출 탭(tab)(310)이 끼워지는 체결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팬쉬라우드(200)의 상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절곡된 일자형 평판이고,
    상기 돌출 탭(tab)(310)은 상기 일측 플랜지(154)의 돌출단으로부터 내부로 인입된 일측 플랜지 홈(154-1)의 바닥부로부터 연장되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L"자형의 탭(ta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서포트(150)는 일자형의 본체(152)와, 상기 본체(152)로부터 전후방으로 상호 이격되며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일측 플랜지(154) 및 타측 플랜지(156)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판(1210)은 상기 일측 플랜지(154)에 밀착되도록 상기 팬쉬라우드(200)의 상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일자형 평판이고,
    상기 돌출 탭(tab)(1310)은 상기 일측 플랜지(154)의 돌출단에 다수개 돌출 형성되는 일자형의 탭(ta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
KR1020080127599A 2008-12-16 2008-12-16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 KR101513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599A KR101513917B1 (ko) 2008-12-16 2008-12-16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599A KR101513917B1 (ko) 2008-12-16 2008-12-16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043A true KR20100069043A (ko) 2010-06-24
KR101513917B1 KR101513917B1 (ko) 2015-04-21

Family

ID=4236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599A KR101513917B1 (ko) 2008-12-16 2008-12-16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9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4015A (ko) 2011-08-30 2013-03-08 한라공조주식회사 라디에이터와 팬 쉬라우드의 조립체
KR20130119539A (ko) * 2012-04-24 2013-11-0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열교환기
CN103738156A (zh) * 2013-12-30 2014-04-23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适用于横流式散热器系统的安装支架组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9294A (ja) * 2000-10-31 2002-05-17 Toyo Radiator Co Ltd ファンシュラウド付き複合型熱交換器
JP2007009860A (ja) 2005-07-04 2007-01-18 Calsonic Kansei Corp 熱交換器のファンシュラウド取付構造
JP4830700B2 (ja) 2006-04-21 2011-12-07 株式会社デンソー クーリングモジュー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4015A (ko) 2011-08-30 2013-03-08 한라공조주식회사 라디에이터와 팬 쉬라우드의 조립체
KR20130119539A (ko) * 2012-04-24 2013-11-0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열교환기
CN103738156A (zh) * 2013-12-30 2014-04-23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适用于横流式散热器系统的安装支架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3917B1 (ko)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1844B2 (en) Front end structure of vehicle
KR20160029334A (ko) 쿨링 모듈
EP1707421B1 (en) Radiator core support structure and its assemlbly method
JP4320907B2 (ja) 車両のフロントエンド構造
US8033130B2 (en) Refrigerator
US20180347446A1 (en) Cooling module
US20090108717A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08155739A (ja) 車両用エアガイド
KR20100069043A (ko) 라디에이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
KR101286212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JPH0930246A (ja) 車両用熱交換装置
JP2015200442A (ja) 熱交換器
US11701961B2 (en) Assembly
KR101855890B1 (ko) 쿨링모듈
KR100931173B1 (ko) 차량용 열교환 장치
KR20100066639A (ko) 브라켓을 이용한 열교환기와 팬쉬라우드의 결합구조
KR20100066641A (ko) 열교환기와 팬쉬라우드의 조립체
KR101760298B1 (ko) 차량용 쿨링 모듈
JP2014238233A (ja) 複合型熱交換器
JP2017190918A (ja) 蒸発器
KR101081963B1 (ko) 열교환기 및 팬쉬라우드 조립구조
KR101202673B1 (ko) 열교환기의 결합구조
KR100544328B1 (ko) 자동차냉각장치의팬쉬라우드어셈블리고정장치
JP6428178B2 (ja) クーリングモジュール
JP2006290046A (ja) ラジエータコアサポー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