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328A - 전환 가능한 컵 태핏 - Google Patents

전환 가능한 컵 태핏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8328A
KR20100068328A KR1020090123426A KR20090123426A KR20100068328A KR 20100068328 A KR20100068328 A KR 20100068328A KR 1020090123426 A KR1020090123426 A KR 1020090123426A KR 20090123426 A KR20090123426 A KR 20090123426A KR 20100068328 A KR20100068328 A KR 20100068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inner body
rotation member
base
cup tap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4185B1 (ko
Inventor
미햐엘 하쓰
롤란트 크랍
마리오 쿨
노르베르트 닛츠
요제프 그뢰셸
루시아 힌코브스카
잔드라 섀퍼
크리스티안 딧츠
올리버 포프
Original Assignee
섀플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카게
Publication of KR20100068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4Tappets; Push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4Tappets; Push rods
    • F01L1/143Tappets; Push rods for use with overhead cam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05Deactiv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01L13/0036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the valves being driven by two or more cams with different shape, size or timing or a single cam profiled in axial and radial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4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F01L2001/467Lost motion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3/00Manufacturing of components used in valv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7/00Preventing the rotation of tapp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컵 태핏(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컵 태핏은 환형 베이스(3)를 포함하는 외부 몸체(2)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3)의 내부 테두리(6)로부터 중공 실린더형 돌출부(7)가 돌출되며, 돌출부의 보어(8) 내에서는 외부 몸체(2)에 대해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내부 몸체(9)가 안내되고, 상기 컵 태핏(1) 내에는 완전 밸브 행정을 달성하기 위해 부품들(9, 2) 중 하나의 수용부(12)로부터 유래하여 섹션별로 각각 다른 부품(2, 9)의 종동면(13)과 맞물릴 수 있는 커플링 수단(11)이 연장되며, 상기 부품들(2, 9) 사이에 설치된 회전 방지 부재(20)는 돌출부(7)의 윈도우형 개구(21) 내에 놓이고 그의 내부면(23)이 내부 몸체(9)의 외부 재킷(16)의 상보적 세로 홈/세로 편평부(24) (내)에 접촉(결합)되며, 상기 회전 방지 부재(20)는 그와 일직선을 이루는, 반경방향으로 맞은편에 놓인 스커트(5)의 영역에 있는 추가의 개구(22)를 통한 공구 접근에 의해 형성된다.
Figure P1020090123426
컵 태핏, 내부 몸체, 외부 몸체, 중공 실린더형 돌출부, 커플링 수단

Description

전환 가능한 컵 태핏 {SWITCHABLE CUP TAPPET}
본 발명은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컵 태핏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컵 태핏은 큰 행정 캠 접촉을 위해 형성된 환형 베이스를 포함하는 외부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의 외부 테두리로부터 떨어져서 중공 실린더형 스커트가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의 내부 테두리로부터 중공 실린더형 돌출부가 돌출되며, 돌출부의 보어 내에서는 외부 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내부 몸체가 안내되고, 내부 몸체의 밑면은 가스 교환 밸브의 지지면의 역할을 하며, 상기 컵 태핏 내에는 캠 기초원 순환 시 완전 밸브 행정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부품들 중 하나의 수용부로부터 유래하여 섹션별로 각각 다른 부품의 종동면과 맞물릴 수 있는 커플링 수단이 연장되며, 상기 부품들 사이를 환형 면이 연결하며, 내부 몸체의 외부 재킷의 하부 영역에 환형 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환형 부재 상에 로스트 모션 스프링의 일측 단부가 지지되며, 상기 로스트 모션 스프링의 타측 단부는 적어도 간접적으로 외부 몸체의 베이스 밑면에 대항하여 작용하며, 상기 부품들 사이에 설치된 회전 방지 부재는 돌출부의 개구 내에 놓이고 그의 내부면이 내부 몸체의 외부 재킷의 상보적 세로 홈/세로 편평부 (내)에 접촉(결합)된다.
상기 유형의 컵 태핏은 당업계에 충분히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할 필요가 없다. 컵 태핏의 외부 몸체와 내부 몸체 사이에는 소위 "내부" 회전 방지 부재가 제공된다. 이 회전 방지 부재는 주로, 결합이 요구되는 경우에 부품들 중 하나의 수용부를 적어도 1개의 커플링 수단을 이용하여 각각 다른 부품의 종동면에 일직선으로 보유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럼으로써 커플링이 가능해진다. 경우에 따라, 전술한 회전 방지 부재는 소위 피스톤 인 환형 홈(piston-in-ring groove) 커플링 시에도 효과가 있다. 회전 방지 부재로서 종래 기술에서는 예컨대, 외부 몸체의 돌출부의 개구 내에 놓이며 그 내부면이 내부 몸체의 외부 재킷의 세로 홈 내에 맞물리는 별도의 니들, 볼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저렴한 비용으로 외부 몸체의 돌출부 내에 개구를 형성할 수 있느냐가 문제가 된다. 돌출부의 보어 지름이 너무 작기 때문에, 돌출부의 보어 내에 공구를 접근시켜 개구를 만드는 것은 극도로 어려운 작업이다. 또한, 돌출부의 개구 내로 회전 방지 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문제이다. 이는 특히, 로스트 모션 스프링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환형 부품을 리세스가 없는 단부 영역에 주연 전체에 걸쳐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 내부 몸체의 외부 재킷 내에 제공된 세로 홈이 내부 몸체의, 베이스로부터 먼쪽 단부 앞에서 이미 끝나는 경우에 해당된다. 이 경우, 외부 몸체 베이스의 내부 테두리에 걸쳐 내부 몸체를 삽통식으로 간단하게 삽입하는 작업은,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회전 방지 부재와 내부 몸체가 충돌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리 수월치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단점들이 해소된 상기 유형의 컵 태핏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중공 실린더형 돌출부의 개구가 윈도우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개구와 일직선을 이루는, 반경방향으로 맞은편에 놓인 스커트의 영역에 있는 추가의 개구를 통해 공구를 접근시켜 상기 돌출부의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해결된다.
그럼으로써, 도입부에 언급한 단점들이 해소된 전환 가능한 컵 태핏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돌출부 내 개구가 스커트 내 (상기 개구에 일직선을 이루는) 또 다른 개구를 통해 간단하게, 예컨대 천공 또는 보링에 의해 제공되는 외부 몸체를 갖는 컵 태핏을 제안한다. 그럼으로써 안쪽에서 반경방향으로 공구를 복잡하게 접근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적어도, 물론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내부 몸체의 세로 홈/세로 편평부가 베이스로부터 먼쪽 방향으로는 계속되지 않는 세로 연장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단부 영역에서 로스트 모션 스프링의 일측 단부의 지지를 위한 환형 부재가 전체 주연에 걸쳐서 고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환형 부재의 고정부의 축방향 바로 위에 조립 개구를 형성할 것을 제안한다. 이 조립 개구를 통해, 조립 프로세스에서 내부 몸체에 대한 외부 몸체의 차동 행정(differential stroke)이 최대일 때 일직 선 상에 놓인 돌출부 내 개구 내로 회전 방지 부재 몸체가 삽입된다. 조립 시 실행되는 차동 행정은 컵 태핏의 작동 시(셧다운 모드) 외부 몸체가 내부 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실행하는 차동 행정을 초과한다.
그 대안으로, 세로 홈/세로 편평부가 "끝까지 계속해서" 형성될 수 있고, 그 결과 이전에는 돌출부의 개구 내로 조립되었던 회전 방지 부재의 경우, 내부 몸체가 삽통식으로 상부로부터 조립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몸체의 단부측 영역이 휘어지는 것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게 된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치들은 롤러 태핏 또는 머시룸 태핏(mushroom tappet)과 같은 다른 전환 가능한 캠 팔로워 또는 전환 가능한 지지 부재들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캠 기초원 순환 시 회전 방지 부재가 세로 홈/세로 편평부의 상부 단부면에 부딪침으로써 일측 부품 내 수용부가 타측 부품 내 종동면에 대해 일직선을 이루면서 선택적으로 커플링 유격을 수반하며 배치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예컨대 내부 몸체의 외부 재킷에 스냅 링과 같은 별도의 멈춤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전환 가능한 컵 태핏은 이른바 "행정 차단기"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몸체의 베이스가 예컨대 2개의 인접한 큰 행정 캠과 상호작용한다. 내부 몸체의 베이스는 이러한 경우 이른바 "제로 행정 캠"과 접촉하는 스타트 면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내부 몸체를 위해 작은 행정 캠의 스타트 면도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용이한 한 변형예에 따르면, 내부 몸체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 관형으로 개방된다. 일반적으로, 부품들(외부 몸체, 내부 몸체) 중 적어도 하나는 강판과 같은 경량 형강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 점에 있어서 압출 성형이 고려된다.
또 다른 한 종속항은 돌출부의 개구 내 회전 방지 부재의 바람직한 형성과 관련된다. 상기 회전 방지 부재는 예컨대, 니들, 롤, 볼, 핀, 스프링 클립 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방지 부재의 가이드는, 내부 몸체의 외부 재킷 내에 형성된 세로 홈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세로 홈의 측벽 또는 바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몸체의 외부 재킷에 형성된 세로 편평부를 이용하는 경우, 회전 방지 부재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면이 상기 편평부와 상호작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회전 방지 부재는 돌출부의 개구 내에 "느슨하게" 배치된다. 그럼으로써, 추가의 고정 조치들이 불필요해지며, 개구의 주변 영역 내에서 재료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는, 회전 방지 부재를 예컨대 개구 내에 압입시켜 그 자리에 용접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 방지 부재의 반경방향 외측 고정은 돌출부의 외부면에 연장되는 링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돌출부 내 개구가 스커트 내에 제공된, 상기 개구에 일직선을 이루는 또 다른 개구를 통해 간단하게 형성되는 외부 몸체를 갖는 컵 태핏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는 전환 가능한 컵 태핏(1)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컵 태핏은 환형 베이스(3)를 갖는 외부 몸체(2)로 형성된다. 환형 베이스는 2개의 큰 행정 캠의 스타트를 위해 형성된다. 베이스(3)의 외부 테두리(4)에서 캠으로부터 먼쪽 방향으로 떨어져서 박벽 스커트(5)가 위치한다. 상기 스커트(5)를 통해 컵 태핏(1)이 내연기관의 수용부 내에서 안내될 수 있다.
베이스(3)의 내부 테두리(6)로부터 중공 실린더형 돌출부(7)가 캠으로부터 먼쪽 방향으로 돌출한다. 돌출부(7)의 보어(8) 내에서는 관형 내부 몸체(9)가 상기 돌출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연장되며, 상기 내부 몸체는 그의 밑면(10)에 걸쳐서 도시되지 않은 가스 교환 밸브의 지지부를 제공한다. 도 1에서는 또한, 내부 몸체(9)가 선택적으로 베이스(28)에 의해 폐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베이스(28)는 작은 행정 캠 또는 제로 행정 캠의 스타트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로써 내부 몸체(9)가 관형으로 개방된 형상을 갖는 경우, 상기 내부 몸체에 어떠한 캠도 부딪치지 않는다. 따라서 컵 태핏(1)은 소위 "행정 차단기"로서 존재한다.
내부 몸체(9)의 크로스 바는 여기서 반경방향 보어로서 형성된 수용부(12)를 가지며, 이 수용부는 서로 정반대편에 놓인 2개의 커플링 수단(11)을 포함한다. 커플링 수단(11)은, 그 외부 단부면에서 시작하여 그 윗면이 섹션별로 편평화된 피스톤으로서 형성된다. 커플링 수단들(11)은 캠 기초원 순환 시, 돌출부(7)의 보어(8) 내에 설치되며 예컨대 포켓 형태로 형성된 종동면(13)과 대치된다(도 1b 참조).
도 1b에는 컵 태핏(1)의 커플링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외부 몸체(2)의 베이스(3)를 가압하는 큰 행정 캠 패킷의 행정이 밑면(10)에 놓인 가스 교환 밸브로 전달된다.
또한, 당업자는 도 1a 및 도 1b로부터 내부 몸체(9)의 외부 재킷(16)의 하부 영역(15)에 박벽 환형 부재(17)가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환형 부재는 내부 몸체(9)를 둘러싸는 로스트 모션 스프링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로스트 모션 스프링의 타측 단부는 베이스(3)의 밑면(19)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작용한다.
내부 몸체(9)의 외부 재킷(16) 내에는 세로 홈/세로 편평부(24)가 제공된다. 도 1a에 따른 구성에서 상기 세로 홈/세로 편평부(24)는 베이스로부터 먼 쪽에 놓인, 내부 몸체(9)의 단부면(26)에서 끝나지 않고 내부 몸체(9)에 환형 부재(17)가 고정된 부분 상부에서 중단된다. 상기 환형 홈/세로 편평부(24) 내에 회전 방지 부재(20)가 맞물린다. 회전 방지 부재는 돌출부(7)의 개구(21) 내에 장착된다. 회전 방지 부재(20)는 상기 개구(21) 내에 "느슨하게" 장착될 수도 있고, 예컨대 꼭 맞게 장착될 수도 있다. 한 변형예에 따르면, 회전 방지 부재의 외측 단부면(42)이 돌출부(7)의 외부면(40)에 연장되면서 베이스(3)의 밑면(19) 및 스커트(5)의 내부 재킷으로 이어지는 환형 부재(41)에 부딪친다.
전술한 돌출부(7) 내 개구(21)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스커트(5) 내 개구(22)가 일직선으로 대치된다. 그럼으로써 개구(21)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공된다. 상기 개구(21)는 개구(22)를 통해 공구를 접근시키는 방식으 로 형성된다. 거의 한 번의 작업으로 상기 개구들(22, 21)을 형성하는 천공 또는 보링 공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물론 복수의 작업 단계도 고려될 수 있다.
회전 방지 부재(20)의 조립은 세로 홈/세로 편평부(24)의 형성에 따라 상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세로 홈/세로 편평부(24)가 축방향으로 환형 부재(17) 이전에 끝남으로써 상기 환형 부재가 전체 주연면에 걸쳐서 돌출형으로 고정된다면, 상기 세로 홈/세로 편평부(24)는 조립 개구(25)를 구비하게 된다. 이 조립 개구는 차동 행정이 실행중일 때 세로 홈/세로 편평부(24) 내 회전 방지 부재의 가장 깊은 맞물림 지점보다 축방향으로 더 깊게 놓인다. 따라서 외부 몸체(2)는 조립 개구(25)가 돌출부(7) 내 개구(21)에 대해 일직선을 이룰 때까지 내부 몸체(9)에 상대적으로 축방향 아래쪽으로 변위된다. 그러면 회전 방지 부재(20)는 내부로부터 조립 개구(25)를 통해 돌출부(7) 내 개구(21)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세로 홈/세로 편평부(24)가 끝까지 계속해서, 즉 베이스로부터 먼쪽의 내부 몸체(9) 단부면(26)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경우(도 10 참조), 내부 몸체(9)가 돌출부(7)의 보어(8) 내에 설치되기 전에 회전 방지 부재(20)가 돌출부(7) 내 개구(21) 내로 삽입된다.
도 2는 캠 기초원 순환 시 회전 방지 부재(20)가 세로 홈/세로 편평부(24)의 상부 단부면(27)에 부딪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럼으로써 내부 몸체(9) 내에서 커플링 수단들(11)을 포함하는 수용부(12)가 돌출부(7) 내 종동면들(13)에 대해 일직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에는 회전 방지 부재의 다양한 구성들이 도시되어 있다.
회전 방지 부재는 도 2에 따라 돌출부(7)의 개구(21) 내에 수직으로 "세워진" 니들/롤(30)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니들/롤의 내부면(23)이 돌출부(7)의 세로 홈(24) 내에 맞물린다.
도 3에 따르면 "옆으로 누운 형태로" 설치된 니들/롤(30)이 제공된다.
도 4에 따르면 "옆으로 누운 형태의" 중실형 롤(34)이 배치되며, 이 롤의 내측 단부면은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맞물림 칼라(36)를 갖는다. 맞물림 칼라의 축방향 내부면은 돌출부(7)의 보어(8)에 또는 그 전방에 인접한다. 이때, 롤(34)은 환형 부재(41)의 개구(43) 내로 돌출한다.
도 5에는 도 4와 유사한 해결책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롤(37)은 중공형이면서 길이 방향으로 슬롯을 갖는다.
도 6에 따르면 회전 방지 부재(20)가 볼(31)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볼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부(7)의 세로 홈(24) 내에 비틀림이 방지되도록 맞물린다.
도 7에 따르면 회전 방지 부재(20)가 볼록한 내부 맞물림 단부면(33)을 갖는 핀(32)으로 형성된다.
도 8 및 도 9는 회전 방지 부재(20)의 구성에 따라, 세로 편평부(24)(도 8)가 설치될 수도 있고, 세로 홈(24)(도 9)이 설치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세로 홈(24)이 사용될 경우, 홈 바닥 또는 좌우 측면에서 안내가 수행될 수 있다.
<도면 부호 리스트>
1) 컵 태핏
2) 외부 몸체
3) 외부 몸체의 베이스
4) 외부 테두리
5) 스커트
6) 내부 테두리
7) 돌출부
8) 돌출부의 보어
9) 내부 몸체
10) 밑면
11) 커플링 수단
12) 수용부
13) 종동면
14) 환형 면
15) 하부 영역
16) 외부 재킷
17) 환형 부재
18) 로스트 모션 스프링
19) 베이스 밑면
20) 회전 방지 부재
21) 돌출부 내 개구
22) 스커트 내 개구
23) 내부 면
24) 세로 홈/세로 편평부
25) 조립 개구
26) 베이스로부터 먼쪽의 내부 몸체 단부면
27) 세로 홈의 단부면
28) 내부 몸체의 베이스
29) 니들/롤
30) 니들/롤
31) 볼
32) 핀
33) 내부 맞물림 단부면
34) 롤
35) 내측 단부면
36) 맞물림 칼라
37) 롤
38) 내측 단부면
39) 맞물림 칼라
40) 외측 단부면
41) 환형 부재
42) 외부 단부면
43) 개구
도 1a는 컵 태핏의 종단면도.
도 1b는 상기 컵 태핏을 90°회전시킨 도.
도 2 내지 도 7은 돌출부 내에 제공된 회전 방지 부재의 변형예들의 세부도.
도 8은 돌출부에 편평부를 갖는 회전 방지 부재의 높이에서의 컵 태핏의 부분 횡단면도.
도 9는 도 8과 같은, 그러나 돌출부에 세로 홈이 형성된 컵 태핏의 부분 횡단면도.
도 10은 도 1a에 따른, 그러나 세로 편평부가 끝까지 연장된 컵 태핏의 부분 횡단면도.

Claims (10)

  1.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컵 태핏(1)이며, 상기 컵 태핏은 큰 행정 캠 접촉을 위해 형성된 환형 베이스(3)를 포함하는 외부 몸체(2)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의 외부 테두리(4)로부터 떨어져서 중공 실린더형 스커트(5)가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3)의 내부 테두리(6)로부터 중공 실린더형 돌출부(7)가 돌출되며, 돌출부의 보어(8) 내에서는 외부 몸체(2)에 대해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내부 몸체(9)가 안내되고, 내부 몸체의 밑면(10)은 가스 교환 밸브의 지지면의 역할을 하며, 상기 컵 태핏(1) 내에는 캠 기초원 순환 시 완전 밸브 행정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부품들(9, 2) 중 하나의 수용부(12)로부터 유래하여 섹션별로 각각 다른 부품(2, 9)의 종동면(13)과 맞물릴 수 있는 커플링 수단(11)이 연장되며, 상기 부품들 사이를 환형 면(14)이 연결하며, 내부 몸체(9)의 외부 재킷(16)의 하부 영역(15)에 환형 부재(17)가 고정되고, 상기 환형 부재 상에 로스트 모션 스프링(18)의 일측 단부가 지지되며, 상기 로스트 모션 스프링의 타측 단부는 적어도 간접적으로 외부 몸체(2)의 베이스(3) 밑면(19)에 대항하여 작용하며, 상기 부품들(2, 9) 사이에 설치된 회전 방지 부재(20)는 돌출부(7)의 개구(21) 내에 놓이고 그의 내부면(23)이 내부 몸체(9)의 외부 재킷(16)의 상보적 세로 홈/세로 편평부(24) (내)에 접촉(결합)되는, 전환 가능한 컵 태핏에 있어서,
    중공 실린더형 돌출부(7)의 개구(21)는 윈도우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개구와 일직선을 이루는, 반경방향으로 맞은편에 놓인 스커트(5)의 영역에 있는 추가의 개구(22)를 통한 공구 접근에 의해 상기 돌출부의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가능한 컵 태핏(1).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 몸체(9)의 세로 홈/세로 편평부(24)는, 베이스측에서 캠 기초원 순환 시 적어도 회전 방지 부재(20)가 맞물리는 곳에서 시작하여 베이스로부터 먼쪽의 방향으로 내부 몸체(9)의 외부 재킷(16)에 제공된 환형 부재(17)에서 또는 상기 환형 부재 이전에 끝나는 세로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세로 홈/세로 편평부(24)는, 차동 행정(differential stroke)(디커플링) 시 세로 홈/세로 편평부(24) 내 회전 방지 부재(20)의 가장 깊은 맞물림 지점보다 축방향으로 더 깊게 놓이는 조립 개구(25)에 의해 단절되며, 상기 조립 개구(25)를 통해 조립 시 내부 몸체(9)에 대한 외부 몸체(2)의 차동 행정이 최대일 때 회전 방지 부재(20)가 반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조립 개구에 일직선을 이루는 돌출부(7) 내 개구(21) 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가능한 컵 태핏(1).
  3. 제1항에 있어서, 내부 몸체(9)의 세로 홈/세로 편평부(24)는, 베이스측에서 캠 기초원 순환 시 적어도 회전 방지 부재(20)가 맞물리는 곳에서 시작하여 내부 몸체(9)의 전체 축방향 연장부를 지나 베이스로부터 먼쪽의 내부 몸체 단부면(26)까지 연장되는 세로 연장부를 가지며, 조립 시 상기 회전 방지 부재(20)는 반경방향으로 내측으로부터 돌출부(7)의 자유 보어(8)를 통해 외측으로 각각의 개구(21) 내로 이동되고, 이어서 내부 몸체(9)가 베이스(3)의 내부 테두리(6)에 걸쳐 삽통식 으로 돌출부(7)의 보어(8)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가능한 컵 태핏(1).
  4. 제1항에 있어서, 캠 기초원 순환 시 내부 몸체(9)의 세로 홈/세로 편평부(24)의 상부 단부면(27)에 회전 방지 부재(20)가 부딪침으로써, 일측 부품(9, 2) 내에 위치하는, 커플링 수단(11)을 포함하는 수용부(12)가 각각의 타측 부품(9, 2) 내에 위치하는 종동면(13)과 일직선을 이루면서 선택적으로 커플링 유격을 수반하는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가능한 컵 태핏(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몸체(9)가 작은 행정 캠 또는 제로 행정 캠의 스타트를 위한 베이스(28)를 구비하거나, 상기 내부 몸체(9)에 캠 스타트 면이 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가능한 컵 태핏(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몸체가 캠 스타트 면을 갖지 않는 변형예와 관련하여, 상기 내부 몸체(9)는 적어도 베이스측에서 또는 양측 모두에서 관 형태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가능한 컵 태핏(1).
  7. 제1항에 있어서, 일직선을 이루는, 돌출부(7) 및 스커트(5) 내의 개구들(21, 22)은 공구를 이용하여 천공되거나 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가능한 컵 태핏(1).
  8. 제1항에 있어서, 돌출부(7)의 개구(21) 내에 제공되는 회전 방지 부재(20)는,
    a) 수직으로 세워진 또는 옆으로 누운 형태의 실린더형 니들/롤(29, 30),
    b) 볼(31),
    c) 볼록한 내부 맞물림 단부면(33)을 갖는, 옆으로 누운 형태의 핀(32),
    d) 옆으로 누운 형태의 중실형 롤(34)로서, 그의 내측 단부면(35)을 반경방향으로 확장시키며 돌출부(7)의 보어(8) 내에 내부면이 인접하는 맞물림 칼라(36)를 갖는 롤(34), 또는
    e) 중공형이면서 길이 방향으로 슬롯을 갖는, 옆으로 누운 형태의 롤(37)로서, 그의 내측 단부면(38)을 반경방향으로 확장시키며 돌출부(7)의 보어(8) 내에 내부면이 인접하는 맞물림 칼라(39)를 갖는 롤(3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가능한 컵 태핏(1).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돌출부(7) 내에 형성된 윈도우형 개구(21)는 회전 방지 부재(20)의 외부 재킷과 상보적이며, 상기 회전 방지 부재(20)는 상기 윈도우형 개구(21) 내에 "느슨하게" 또는 "꼭 맞게" 장착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가능한 컵 태핏(1).
  10. 제8항에 있어서, 돌출부(7)의 외부면(40)에는 박판 링과 같은 환형 부재(41) 가 고정되고, 회전 방지 부재(20)의 외측 단부면(42)이 상기 환형 부재(41)의 내측에 인접하거나, 상기 환형 부재(41)의 포켓(43)이 상보적 개구(7) 내에 섹션별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가능한 컵 태핏(1).
KR1020090123426A 2008-12-13 2009-12-11 전환 가능한 컵 태핏 KR101594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62178.1 2008-12-13
DE102008062178A DE102008062178A1 (de) 2008-12-13 2008-12-13 Schaltbarer Tassenstöß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328A true KR20100068328A (ko) 2010-06-23
KR101594185B1 KR101594185B1 (ko) 2016-02-15

Family

ID=4216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426A KR101594185B1 (ko) 2008-12-13 2009-12-11 전환 가능한 컵 태핏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138908A (ko)
KR (1) KR101594185B1 (ko)
CN (1) CN101818666B (ko)
DE (1) DE1020080621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6165A (zh) * 2020-03-30 2020-07-10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定距块及配气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9945B1 (fr) * 2011-09-12 2016-05-06 Valeo Systemes De Controle Moteur Systeme de transmission du mouvement d'au moins deux cames a au moins une soupape
JP6165177B2 (ja) * 2012-02-03 2017-07-19 アキダ ホールディングス, エルエルシーAkida Holdings, LLC 空気処理システム
DE102017212910A1 (de) * 2017-07-27 2019-01-31 Robert Bosch Gmbh Pumpe, insbesondere Hochdruckpumpe eines Kraftstoffeinspritz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01603A1 (de) * 1998-01-17 1999-07-22 Schaeffler Waelzlager Ohg Auf unterschiedliche Hübe für wenigstens ein Gaswechselventil schaltbarer Nockenfolger eines Ventiltriebs einer Brennkraftmaschine
JP3785634B2 (ja) 2000-08-11 2006-06-14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動弁装置
DE102004039705A1 (de) * 2004-08-17 2006-03-23 Ina-Schaeffler Kg Schaltbarer Stöß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6165A (zh) * 2020-03-30 2020-07-10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定距块及配气机构
CN111396165B (zh) * 2020-03-30 2021-05-18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定距块及配气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18666A (zh) 2010-09-01
KR101594185B1 (ko) 2016-02-15
JP2010138908A (ja) 2010-06-24
CN101818666B (zh) 2014-04-23
DE102008062178A1 (de)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33267A1 (en) Lever-style cam follower
US6513470B1 (en) Deactivation hydraulic valve lifter
KR101701550B1 (ko) 가스 교환 밸브를 작동하기 위한 캠 종동부
KR20100068328A (ko) 전환 가능한 컵 태핏
US20130104818A1 (en) Tappet
JP2006528744A (ja) 特に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のための高圧ポンプ
US20020046718A1 (en) Deactivation roller hydraulic valve lifter
US20120325168A1 (en) Switchable lever for a valve driv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40083380A1 (en) Variable valve mechanis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00126267A (ko) 로커 암 유닛 및 로커 암 유닛의 조립 방법
US7565890B2 (en) Rail used as a torsional stop for the valve trai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roller tappet arrangement
US7823555B2 (en) Low profile valve lifter assembly
US11231000B2 (en) Multi-part roller tappet
US9885330B1 (en) High-pressure fuel pump actuator used in engine
CN111433440B (zh) 用于内燃机的气门传动装置的摇臂以及用于非切削地由钢板制造臂的方法
US8240285B2 (en) Switchable cup tappet
KR20180129938A (ko) 팰릿 상에 수용된 내부 컵을 갖는 태핏
KR101626160B1 (ko) 전환 가능한 컵 태핏
US20040144350A1 (en) Connectable bucket tappet
US7350492B2 (en) Guide gib for the valve operating mechanis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3362581B (zh) 凸轮随动件
US8375910B2 (en) Anti-rotation device for a coupling piston in a switchable component of a valve trai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465281B1 (ko) 스위칭 가능한 버킷 태핏
CN111434913B (zh) 具有防旋转特征的从动件机构
KR20180129939A (ko) 활주하는 내부 컵을 갖는 태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