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227A - 무선 용신 장치용 집적 전력 증폭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용신 장치용 집적 전력 증폭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8227A
KR20100068227A KR1020090124261A KR20090124261A KR20100068227A KR 20100068227 A KR20100068227 A KR 20100068227A KR 1020090124261 A KR1020090124261 A KR 1020090124261A KR 20090124261 A KR20090124261 A KR 20090124261A KR 20100068227 A KR20100068227 A KR 20100068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rter
wave
transformer
output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9891B1 (ko
Inventor
마이클 알란 오클리
이동호
안규환
이창호
조이 라스카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조지아 테크 리서치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조지아 테크 리서치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68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179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MOSFET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183Long tailed pairs
    • H03F3/45188Non-folded cascode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4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discharge-tube amplifiers
    • H03F1/06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discharge-tube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of amplifying modulated radio frequency waves; to raise the efficiency of amplifiers acting also as modulators
    • H03F1/07Doherty-type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88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using a main and one or several auxiliary peaking amplifiers whereby the load is connected to the main amplifier using an impedance inverter, e.g. Doherty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0Amplifiers in which coupling networks have distributed constants, e.g. with waveguide reson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0Amplifiers in which coupling networks have distributed constants, e.g. with waveguide resonators
    • H03F3/602Combinations of several amplifiers
    • H03F3/604Combinations of several amplifiers using FE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8Combinations of amplifiers, e.g. multi-channel amplifiers for stereophon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집적된 전력 증폭기는 입력이 제1 1/4 파장 트랜스포머에 연결된 캐리어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는 상기 캐리어 증폭기에 병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와, 상기 캐리어 증폭기의 제1 차동 출력을 동상으로 결합하여 제1 단일 종단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복수의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제1 차동 결합 구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 각각의 제2 차동 출력을 동상으로 결합하여 제2 단일 종단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복수의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제2 차동 결합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일 종단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단일 종단 출력 신호는 동상으로 결합되어 전체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 캐리어 증폭기, 피킹 증폭기, 1/4 파장 트랜스포머

Description

무선 용신 장치용 집적 전력 증폭기 시스템{INTEGRATED POWER AMPLIFIER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력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장치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집적 전력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력 증폭기는 나머지 통신 회로에 사용되는 저렴한 CMOS 공정(또는 구조)에서 높은 전력, 높은 효율성 및 높은 선형도를 동시에 획득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단독(stand-alone) 구조를 갖는다. 모방일 단말기에서 전력 증폭기는 배터리 전력의 주요 소모원이므로, 회로 내에서 전력 증폭기의 효율은 전형적인 작동시 요구되는 다양한 전력 레벨에서 최대화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단일 경로 전력 증폭기는 효율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성을 감소시키며, 전력 레벨의 피크에서만 유효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에 반해, 도허티(Doherty) 증폭기 구조는, 증폭기의 일부에서 나타나는 부하를 동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최대 출력보다 낮은 레벨에서 효율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
도허티 증폭기는, 보조 증폭기(피킹 증폭기)와 병렬로 배치되는 주증폭기(캐리어 증폭기)를 포함한다. 도허티 증폭기의 동작시, 변경되는 부하는 캐리어 증폭기가 더욱 신속하게 최대 전압 스윙에 이르게 하여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허티 증폭기에 대한 입력 레벨이 상승함에 따라, 피킹 증폭기는 점진적으로 턴온된다. 주경로의 출력에서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캐리어 증폭기의 전압 스윙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선형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병렬 연결된 캐리어 증폭기 및 피킹 증폭기를 포함하는 도허티 증폭기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 분할기(splitter)(105)는 각 경로로 전력을 균등 분할하고, 1/4 파장 트랜스포머(103)가 캐리어 증폭기(101) 부하 임피던스를 변환(modulating)하는 것을 보조하는데 사용된다. 경로 지연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 부가적인 1/4 파장 트랜스포머(104)가 피킹 증폭기(102)의 전단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도허티 증폭기 구조에서 피킹 증폭기의 점진적인 "턴온(turning on)"은, 적절한 전류 흐름, 클래스 C로 불리는 바이어스 포인트를 위해 임계 전압 레벨 이하에서 동작하는 바이어스 트랜지스터에 의해 달성된다. 클래스 C 증폭기는 감소된 유도각(conduction angle)에 의해 다량의 비선형성을 제공한다. CMOS와 같은 전형적인 비선형 공정(또는 구조)에서, 이러한 증폭기의 비선형 동작은 최근의 무선 통신 표준에서 요구되는 엄격한 선형성 및 전력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다. 특히, 더욱 높은 바이어스 포인트는 너무 낮은 입력 전력에서 부하를 변환하고 이로 인해 캐리어 증폭기가 최대 전압 스윙에 이르지 못하게 함으로써 도허티 증폭기의 효율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적응형 바이어스의 개념이 최대치 미만의 출력 전력 레벨(일반적으로 백오프(back-off) 레벨로 일컬어짐)에서 전력 소모 및 효율의 희생 없이 선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절한 방법이 되고 있다.
헤테로 접합 양극성 트랜지스터(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HBT)는 전력 증폭기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자기 바이어스 효과는 입력 전력을 온도 효과에 의해 증가시킴으로써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를 감소시킨다. "Doherty Linear Power Amplifiers for <obile Handset Applications, Kim et al., IEEE Proceedings of Asia-Pacific Microwave Conference 2006"에 따르면, 이러한 임피던스 변화의 잇점이 가변(uneven) 전력 구동에 동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이용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 토폴로지에서, 도 1에 도시된 통상의 도허티 증폭기 구조의 벌크 전력 분할기(105)가 제거되고 각 경로를 따라 부가적인 90° 라인으로 대체되며, 입력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효율적인 피킹 증폭기에 더 많은 전류를 주입한다. 점진적인 바이어스의 증가에 따라 바람직한 효과가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그 반대의 효과가 CMOS 트랜지스터에서 발생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4 파장 트랜스포머(204) 및 1/2 파장 트랜스포머(205)가 캐리어 증폭기(201)와 피킹 증폭기(202)의 전단에 각각 배치된다. 더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4 파장 트랜스포머(203)는 도 1과 같이 캐리어 증폭기의 후단에 배치된다.
가변 전력 구동은 효율의 측면에서 효과적인 것처럼 나타나지만, 전송 선로 가 구현되지 않고 동등한 럼프 요소가 사용되므로 셀룰러 주파수에서 레이아웃 면적이 크게 감소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제작하는 수동 소자들의 집합이 럼프 엘리먼트 등가 회로라 불린다. 더하여, CMOS 공정(또는 구조)에서, 원하는 효율의 이득을 희생하여야 하므로, 선형성의 문제는 동적인 가변 전력 구동을 실행하는데 적합하지 못하다. 지배적인 전력 증폭기 기술과 비교하여 낮은 브레이크다운 전압이 CMOS에서 다른 문제가 된다. 이러한 문제는 몇가지 토폴로지, 특히 차동 캐스코드 구조의 선택을 필요로 하게 한다. 전형적으로, 차동 동작을 위해 요구되는 입력 및 출력 발룬은 큰 온칩 구조이다. 도허티 증폭기를 위해 요구되는 두 개의 럼프 엘리먼트 1/4 파장 트랜스포머에 더하여, 이러한 발룬 구조를 위한 영역은 레이아웃 면적의 관점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성능의 저하를 최소화 하면서 레이아웃 면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성능의 저하를 최소화 하면서 레이아웃 면적을 감소시키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가변(uneven) 전력 구동을 위해 캐리어 증폭기의 입력에 연결된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며, 피킹 증폭기 경로의 트랜스포머 요소들은 출력측에 제공한다. 이러한 배치는 칩 레이아웃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출력측에 요구되는 더 낮은 특성 임피던스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출력측의 발룬 및 하나의 1/4 파장 트랜스포머가 실질적으로 상호 180° 위상차의 두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하나의 구조로 결합될 수 있으며, 디자인을 감소시키고 레이아웃 면적을 감소시킨다. 이는 럼프 요소인 1/4 파장 트랜스포머가 실질적으로 콤포넌트 배치에 따라 네거티브 및 포지티브 90° 위상 시프트를 달성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사용된 구조는, 백오프 영역에서 효율 개선 및 낮은 대기 전류 소모를 가능하게 가면서 CMOS 공정에서 선형 증폭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전력 증폭기 시스템은, 제1 1/4 파장 트랜스포머에 연결된 입력을 갖는 캐리어 증폭기; 상기 캐리어 증폭기와 병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 상기 캐리어 증폭 기의 제1 차동 출력을 동상으로 결합하여 제1 단일 종단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복수의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제1 차동 결합 구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 각각의 제2 차동 출력을 동상으로 결합하여 제2 단일 종단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복수의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제2 차동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복수의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상기 제1 1/4 파장 트랜스포머 및 상기 복수의 제2 1/4 파장 트랜스포머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누적 지연 및 위상 시프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단일 종단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단일 종단 출력 신호는 동상으로 결합되어 전체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른 전력 증폭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다른 전력 증폭기 시스템은, 입력 1/4 파장 트랜스포머에 연결된 입력을 갖는 단일 캐리어 증폭기; 상기 단일 캐리어 증폭기와 병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 일단이 상기 단일 캐리어 증폭기의 제1 차동 출력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제1 단일 종단 출력을 생성하도록 상호 연결되며, 실질적으로 상호 180°의 위상차로 동작하는 제2 1/4 파장 트랜스포머 및 제3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제1 차동 결합 구조; 및 직렬 연결된 두 개의 출력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제1 경로 및 직렬 연결된 두 개의 출력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제2 경로를 포함하는 제2 차동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경로 각각의 일 출력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실질적으로 상호 180°의 위상차로 동작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경로 각각의 나머지 출력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상기 입력 1/4 파장 트랜스포머와 동상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의 제2 차동 출 력 중 하나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경로에 대한 입력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1 및 제2 경로의 출력은 결합되어 제2 단일 종단 출력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일 종단 출력은 동상으로 결합되어 전체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또 다른 전력 증폭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또 다른 전력 증폭기 시스템은, 제1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차동 출력을 생성하는 캐리어 증폭기; 및 상기 캐리어 증폭기와 병렬로 배치되며, 제2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제2 차동 출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동 출력은 제1 복수의 제1 1/4 파장 트랜스포머 및 제1 미스매치 보상 블록에 의해 처리되어 제1 단일 종단 출력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입력 신호 및 제2 입력 신호는 하나의 전체 단일 종단 입력 신호의 적어도 일부에서 생성되며, 상기 제2 차동 출력은 제2 복수의 제2 1/4 파장 트랜스포머 및 제2 미스매치 보상 블록에 의해 처리되어 제2 단일 종단 출력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단일 종단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단일 종단 출력 신호가 동상으로 결합되어 전체 단일 종단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2 복수의 제2 1/4 파장 트랜스포머에 대해 상기 제1 복수의 제1 1/4 파장 트랜스포머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력측의 발룬 및 하나의 1/4 파장 트랜스포머가 실질적으로 상호 180° 위상차의 두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하나의 구조로 결합될 수 있으며, 디자인을 감소시키고 레이아웃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사용된 구조는, 백오프 영역에서 효율 개선 및 낮은 대기 전류 소모를 가능하게 가면서 CMOS 공정에서 선형 증폭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기술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가 개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 개시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형태들은 출원을 위한 법적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된다.
본 ㅂ라명의 일실시형태는, 회로 사이즈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집적된 레이아웃 면적을 감소시키면서 향상된 효율 및 선형성을 갖는 모바일 기기(예를 들어, 모바일 폰, 라이도, 페이저, 랩탑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PDA 등)용 집적 전력 증폭기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표준 CMOS 공정에서 셀룰러 대역 주파수용으로 설계된 집적 전력 증폭기는 차동 결합 및 적응형 바이어스 트랜지스터를 제공함과 동시에, 동적 가변 전력 구동을 갖는 2 단 도허티 증폭기에 적용되는데 필요한 레이아웃 면적을 감소 및/또는 최소화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시형태들은, 전력 증폭 회로의 개선을 위해 수동 소자의 결합에 의해 제공되는 럼프 엘리먼트의 1/4 파장 트랜스포머의 특성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상보적인 럼프 엘리먼트 구조의 특정 배치를 통해, 도허티 전력 증폭기 구조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달성할 수 있는 컴팩트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감소된 전송 전력 레벨에서 감소된 전류 소모, 통상적인 전송 전력 레벨에서 증가된 효율, 및 최대 전송 전력 레벨에서 향상된 선형성.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모바일 장치 회로의 집적이 제공되는 공정에서 제조되는 경우 가능한 추가적인 비용 절감을 포함하여, 전력 증폭기의 전체적인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입력 1/4 파장 트랜스포머에 연결된 입력을 갖는 단일 캐리어 증폭기와, 상기 단일 캐리어 증폭기와 병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전력 증폭 시스템은, 제1 차동 결합 구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차동 결합 구조는, 일단이 캐리어 증폭기의 차동 출력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단일 종단 출력을 형성하도록 상호 연결된 상호 실질적으로 180°의 위상차를 갖는 두 개의 럼프 엘리먼트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 증폭기 시스템은, 제2 차동 결합 구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차동 결합 구조는, 일단이 피킹 증폭기의 차동 출력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호 분리되고 동일한 위상을 갖는 럼프 엘리먼트 1/4 파장 트랜스포머에 각각 연결된 상호 실질적으로 180°의 위상차를 갖는 두개의 럼프 엘리먼트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한다. 두 개의 동일 위상의 럼프 엘리먼트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실질적으로 상호 연결되며 단일 동잔 출력에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집적 전력 증폭기 시스템의 블록도이 다.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증폭기 시스템(300)은, 차동 캐리어 증폭기(301) 및 그에 병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차동 피킹 증폭기(302)를 포함할 수 있다.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3)가 캐리어 증폭기(301)의 입력에 선행 배치될 수 있다.
캐리어 증폭기(301)의 차동 출력은 제1 차동 결합 구조에 제공된다. 상기 제1 차동 결합 구조는 제1 경로를 따라 배치된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4)와, 제2 경로를 따라 배치된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5)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캐리어 증폭기(301)의 제1 차동 출력은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4)의 제1 종단에 의해 수신되고, 캐리어 증폭기(301)의 제2 차동 출력은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5)의 제1 종단에 의해 수신된다. 동시에 캐리어 증폭기(301)의 차동 출력을 부하 변환하고(load modulate) 결합하기 위해,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4)는 동일한 크기의 지연을 갖는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5)와 쌍을 이룰 수 있다.
제1 차동 결합 구조의 단일 종단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트랜스포머(304, 305)의 출력은 동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트랜스포머(304, 305)의 제2 돈단들은 상효 묶여 연결될 수 있다.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4) 및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5)는 180° 위상차를 가지고 동작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즉, 이러한 위상차는,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4)는 실질적으로 90°의 포지티브 시프트를 제공하고,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5)는 실질적으로 90°의 네거티브 시프트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와 유사하게, 트랜스포머(304, 305)는, 트랜스포머(304, 305)의 출력이 동상으로 결합되어 제1 차동 결합 구조의 단일 종단 출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동일한 크기의 지연을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피킹 증폭기(302)의 차동 출력은 제2 차동 결합 구조로 제공된다. 제2 차동 결합구조는, 제1 경로에서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6) 및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8)를 포함하고, 제2 경로에서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7, 309)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피킹 증폭기(302)의 제1 차동 출력은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6)의 제1 종단에 의해 수신되고,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6)는 제2 종단을 통해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8)의 제1 종단과 직렬연결 된다. 피킹 증폭기(302)의 제2 차동 출력은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7)의 제1 종단에 의해 수신되고,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7)는 제2 종단을 통해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9)의 제1 종단과 직렬연결 된다.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6)은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7)과 쌍을 이루며피킹 차동 출력을 동시에 결합하기 위해 동등한 지연을 가질 수 있다. 더하여, 동일한 지연을 갖는 두 개의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8, 309)가, (캐리어 증폭기(301)과 함께 사용된 트랜스포머(303, 304, 305)의)경로 지연 및 위상 시프트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제1 종단에서 트랜스포머(306, 307)의 제2 종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경로의 트랜스포머(308)와 제2 경로의 트랜스포머(309)의 출력은 제2 차 동 결합 구조의 단일 종단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동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트랜스포머(308, 309)의 제2 종단이 상호 묶이고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1/4 파장 트랜스포머(306, 307)는 각각 트랜스포머(308, 309)와 위치가 상호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3, 308, 309) 대신 포지티브 시프트 트랜스포머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는 두 트랜스포머 (308, 309)가 하나의 네거티브 시프트 구로로 결합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캐리어 경로 및 피킹 경로로의 출력 전력 누설 등과 함께 위상 불균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성능 요건들에 대한 보상을 위해, 위상 시프트는 실질적으로 90°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6) 및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7)은 실질적으로 상호 180°의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즉, 이러한 결과는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6)가 포지티브의 90°위상 시프트를 제공하고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7)가 네거티브의 90°위상 시프트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반면,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308, 309)는 동일한 네거티브 90° 위상시프트를 제공하므로 상호 동일한 위상을 갖는다. 유사하게 제1 경로를 따라 트랜스포머(306, 308)에 의해 제공되는 지연은 트랜스포머(307, 309)에 의해 제공되는 지연과 동일하며, 트랜스포머(308, 309)의 출력이 동상으로 결합되어 제2 차동 결합 구조의 단일 종단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차동 결합 구조에 의해 제공되는 누적 지연 및 위상 시프트는 제1 차동 결합 구조와 함께 트랜스포머(303)에 의해 제공되는 지연 및 위상 시프트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차동 결합 구조의 단일 종단 출력 신호는 제2 차동 결합 구조의 단일 종단 신호와 동상으로 결합 가능하고, 전체 입력 단일 종단 신호(IN)가 증폭된 형태의 전체 단일 종단 출력 신호(OUT)를 제공할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3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르면, 입력 트랜스포머(303)은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일 수 있다. 이 변형예에서, 트랜스포머(303)에 의해 제공되는 위상 시프트 및 지연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트랜스포머(308, 309)의 출력은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랜스포터(306, 309)은 직렬로 연결되므로, 그 위치가 상호 변경될 수 있다. 유사하게, 트랜스포머(307, 309)도 직열 연결되므로 그 위치가 상호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칩에서 제공되어야 하는 인덕턴스의 크기를 감소함으로써 전력 증폭기 칩의 레이아웃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딩 와이어의 인덕턴스에 영향을 미치도록 네거티브 시프트 구조에서 션트 인덕터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 인력 트랜스포머(303)는 생략될 수 있으며, 임의의 시프트 또는 임피던스 변환이 입력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요소(예를 들어, 발룬, 매칭 네트워크, 증폭기 (301/302))에 의해 단순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제1 종단 출력 신호와 제2 종단 출력 신호가 동상으로 결합되어 전체 입력 단일 종단 신호(IN)의 증폭된 형태인 전체 단일 종단 출력 신호(OUT)을 생성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차동 결합 구조는 상호 관련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단일 인적터 럼프 엘리먼트 등 가 회로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럼프 엘리먼트 등가회로는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생성하는 수동 소자들의 결합이다. 더욱 상세하게,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의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캐패시터(402, 406) 및 인덕터(404)를 포함하는 티(T) 구조를 갖는다. 캐패시터(402, 406)은 상호 직렬 연결되며, 인덕터(404)는 캐패시터(402, 406) 사이의 연결 노드와 연결된 제1 종단과 접지에 연결된 제2 종단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의 회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캐패시터(502, 506) 및 인덕터(504)를 포함하는 파이(Pi) 구조를 갖는다. 인덕터(504)의 제1 종단은 캐패시터(502)에 연결되고, 인덕터(504)의 제2 종단은 캐패시터(504)에 연결된다. 캐패시터(502, 506)의 나머지 단은 접지에 연결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콤포넌트 레벨의 회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증폭기로 표현되는 주 증폭 블록(601)이 존재한다. 유사하게, 피킹 증폭기로 표현되는 보조 증폭 블록(602)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주 증폭 블록(601) 및 보조 증폭 블록(602)는 차동 캐스코드 C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종단 입력 신호(IN)(예를 들어, RF 입력 신호)는 주 증폭 블록(601)의 입력으로 향하는 제1 신호 경로 및 보조 증폭 블록(602)의 입력으로 향하는 제2 신호 경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신호 경로에서, 네거티브 시프트 럼프 엘리먼트 1/4 파장 트랜스포머 블록(603)이 주 증폭 불록(601)의 입력에 선행 배치될 수 있다. 위상 시프트된 단일 종단 신호는 블록(603)으로부터 입력 발룬 블록(605)으로 제공될 수 있다. 입력 발룬 블록(605)는 단일 종단 신호를 차동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입력 발룬 블록(605)은 1차 권선 및 2차 권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 매칭을 위해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부가 요소(예를 들어, 저항, 캐패시터, 인덕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권선의 제1 종단은 입력으로서 위상 시프트된 단일 종단 신호를 블록(603)으로부터 입력받고, 1차 권선의 제2 종단은 접지될 수 있다. 2차 권선은 1차 권선에 유도 결합될 수 있으며, 2차 권선의 양단은 주 증폭 블록(601)에 의해 수신되는 생성된 차동 신호의 출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주 증폭 블록(601)이 각각 게이트, 소스 및 드레인을 갖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를 포함하는 경우, 2차 권선의 종단은 각 FET들의 각 게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FET 대신 베이스, 에미터 및 콜렉터를 갖는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JT)(또는 헤테로접합 양극성 트랜지스터(HBT))가 사용되는 경우, 2차 권선의 종단은 각 BJT들의 각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통상 가상 접지가 되는 2차 권선의 센터 탭 포트(center tap port)는 게이트(또는 베이스) 바이어싱을 위한 전압원이 연결될 수 있다. 더하여, 게이트(또는 베이스) 바이어싱은 전압원 및 바이어싱 저항을 포함하는 블록(607)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2009년 11월 17일자로 미국 출원된 출원번호 12/620,462(명칭: "SYSTEMS AND METHODS FOR AN ADAPTIVE BIAS CIRCUIT FOR A DIFFERENTIAL POWER AMPLIFIER")에 기술된 것과 같은 다양한 적응형 바이어싱 방법이 게이트(또는 베이스)를 바이어싱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적응형 바이어싱은 낮은 전력 레벨에서 대기 전류(quiescent current)를 최소화 하고 동시에 전력 증폭기(즉, 증폭 블록(601))의 등가 입력 저항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드레인(또는 콜렉터) 바이어싱 및 주 증폭 블록(601)에 대한 출력 매칭이 필요한 경우 매칭 블록(609)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매칭 블록(609)은 전압원과 함께 인덕터 및 캐패시터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또는 콜렉터) 바이어싱 및 주 증폭 블록(601)에 대한 출력 매칭은 백오프 효율을 최적화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주 증폭 블록(601)의 차동 출력은, 적절한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1/4 파장 위상 시프트 및 지연을 제공하는 1/4 파장 트랜스포머(611, 613)를 포함하는 제1 차동 결합 구조에 제공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주 증폭 블록(601)의 제1 차동 출력은 포지티브 시프트 럼프 엘리먼트 등가 1/4 파장 트랜스포머(611)에 제공되며, 주 증폭 블록(601)의 제2 차동 출력은 네거티브 시프트 럼프 엘리먼트 등가 1/4 파장 트랜스포머(613)에 제공에 제공된다. 1/4 파장 트랜스포머(611, 613)의 출력은 결합되거나 합산되어 제1 차동 결합 구조의 단일 종단 제1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일 종단 입력 신호(IN)은 보조 증폭 블록(602)의 입력으로 향하는 제2 신호 경로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입력 발룬 블록(604)는 단일 종단 신호를 차동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입력 발룬 블록(604)은 1차 권선 및 2차 권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 매칭을 위해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부가 요소(예를 들어, 저항, 캐패시터, 인덕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권선의 제1 종단은 입력으로서 단일 종단 입력 신호(IN)를 입력받고, 1차 권선의 제2 종단은 접지될 수 있다. 2차 권선은 1차 권선에 유도 결합될 수 있으며, 2차 권선의 양단은 보조 증폭 블록(602)에 의해 수신되는 생성된 차동 신호의 출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조 증폭 블록(602)이 각각 게이트, 소스 및 드레인을 갖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를 포함하는 경우, 2차 권선의 종단은 각 FET들의 각 게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FET 대신 베이스, 에미터 및 콜렉터를 갖는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JT)가 사용되는 경우, 2차 권선의 종단은 각 BJT들의 각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통상 가상 접지가 되는 2차 권선의 센터 탭 포트(center tap port)는 게이트(또는 베이스) 바이어싱을 위한 전압원이 연결될 수 있다. 더하여, 게이트(또는 베이스) 바이어싱은 전압원 및 바이어싱 저항을 포함하는 블록(606)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것과 유사한 다양한 적응형 바이어싱 방법이 게이트(또는 베이스)를 바이어싱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적응형 바이어싱은 낮은 전력 레벨에서 대기 전류(quiescent current)를 최소화 하고 동시에 전력 증폭기(즉, 증폭 블록(602))의 등가 입력 저항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드레인(또는 콜렉터) 바이어싱 및 보조 증폭 블록(602)에 대한 출력 매칭이 필요한 경우 매칭 블록(60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매칭 블록(608)은 전압원과 함께 인덕터 및 캐패시터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또는 콜렉터) 바이어싱 및 보조 증폭 블록(602)에 대한 출력 매칭은 캐리어 증폭기로부터 피킹 증폭기의 출력 또는 증폭기로 흐르는 누설 전류 를 최소화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보조 증폭 블록(602)의 차동 출력은, 적절한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1/4 파장 위상 시프트 및 지연을 제공하는 1/4 파장 트랜스포머(610, 612, 614, 616)를 포함하는 제2 차동 결합 구조에 제공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보조 증폭 블록(602)의 제1 차동 출력은 포지티브 시프트 럼프 엘리먼트 등가 1/4 파장 트랜스포머(610)에 제공되며, 트랜스포머(610)은 네거티브 시프트 럼프 엘리먼트 등가 1/4 파장 트랜스포머(614)에 직렬로 연결된다. 반면, 보조 증폭 블록(602)의 제2 차동 출력은 네거티브 시프트 럼프 엘리먼트 등가 1/4 파장 트랜스포머(612)에 제공에 제공되며, 트랜스포머(612)는 다른 네거티브 시프트 럼프 엘리먼트 등가 1/4 파장 트랜스포머(616)에 연결된다. 1/4 파장 트랜스포머(614, 616)의 출력은 결합되거나 합산되어 제2 차동 결합 구조의 단일 종단 제2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제1 및 제2 차동 결합 구조에 의해 각각 생성된 단일 종단 출력 신호는 결합되거나 합산되어전체 단일 종단 출력 신호(OUT)(615)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추가적인 매칭이 출력(615)에 사용될 수 있으며, 입력은 그 이전 증폭단에 대해 매칭될 수 있다. 더하여, 입력 발룬 블록(604, 605)에 결합되는 입력측 매칭 요소 또는 기법(입력(IN)의 임피던스에 따라 변화하는)은 각 증폭기(각 경로의 입력에 나타나는 동적으로 변화되는 등가 저항에 반비례하는 주/보조 증폭 블록(601 602) 경로) 사이에 전력을 분할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이러한 입력측 매칭 기법은, 입력 전력이 증폭기의 최대 선형 출력에 해당하는 레벨에 이를 때 이상적인 매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도 6의 변형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요소(601-613)은 동일하다. 그러나, 도 6의 1/4 파장 트랜스포머(614, 616)은 단일 1/4 파장 트랜스포머(716)에 의해 대체된다. 트랜스포머(716)은 입력 1/4 파장 트랜스포머(603)의 임의의 위상 오프셋을 보상할 수 있다. 더하여, 1/4 파장 럼프 엘리먼트 등가회로에서 임의의 콤포넌트 미스매치에 의해 동작 대역에서 고유하게 나타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치(notch)를 제거하기 위해, 미스매치 보상 블록(714, 715)이 1/4 파장 트랜스포머(611/613, 610/612)의 출력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계속 도 7을 참조하면, 미스매치 보상 블록(715)은 1/4 파장 트랜스포머(611)에 연결된 캐패시터(C1) 및 1/4 파장 트랜스포머(613)에 연결된 캐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캐패시터(C1, C2)의 타단은 공통으로 인덕터(L1)의 제1 종단에 연결되며, 인덕터(L1)의 제2 종단은 전체 단일 종단 출력 신호(OUT)(717)에 제공되는 제1 단일 종단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보상 블록(714)는 1/4 파장 트랜스포머(610)에 연결된 제3 캐패시터(C3)와 1/4 파장 트랜스포머(612)에 연결된 제4 캐패시터(C4)를 포함할 수 있다. 캐패시터(C3, C4)의 타단은 공통으로 인덕터(L2)의 제1 종단에 연결되며, 인덕터(L2)의 제2 종단은 단일 1/4 파장 트랜스포머(716)의 입력에 제2 단일 종단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1/4 파장 트랜스포머(716)의 출력은 전체 단일 종단 출력 신호(OUT)(717)에 제공되는 제2 단일 종단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체 단일 종단 출력 신호(OUT)(717)는 제1 단일 종단 신호를 제공하는 보상 블록(715) 및 제2 단일 종단 신호를 제공하는 1/4 파장 트랜 스포머(716)의 출력을 연결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보상 블록(714, 715)은 결합시 그 이전의 1/4 파장 트랜스포머에 의해 생성된 90° 위상 시프트 또는 임피던스 변환에 대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6 또는 도 7의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변형예는 입력 1/4 파장 트랜스포머(603)를 생략할 수 있다. 즉, 1/4 파장 위상 시프트 또는 임피던스 변환이 입력 발룬 블록(605) 및/또는 주 증폭 블록(601) 단독 또는 입력 발룬 블록(604) 및 보조 증폭 블록(602)의 결합을 통해 대신 제공될 수 있다.
성능 및 주파수에 따라 구조의 사이즈가 변화하는데 따라,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대해 레이아웃 감소를 정량화 하는 것은 어려우나, 도식적인 설명을 위해 전형적인 구조 및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구조 사이의 트레이드 오프 관계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해 가능한 레이아웃 절약의 특성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다.
도 8은 2 ㎓에서 전형적인 캐리어 경로 출력 구조 및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경로의 출력 구조를 나란히 비교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CMOS 공정에서 현재 기술 상태에 기반한 전형적인 구조(801)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적어도 일부에 따른 새로운 구조(802)보다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구조(802)는 결합된 도 6의 블록(611, 613) 또는 결합된 도 6의 블록(610, 612)과 동일하다(도 6의 블록(611, 613)과 블록(610, 612)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블록임). 예를 들어, 도 8은 도 6의 블록(611) 과 동일한, 캐패시터(C1, C2) 및 인덕터(L1)를 포함하는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811)를 도시한다. 또한, 도 8은 도 6의 블록(613)과 동일한, 캐패시터(C3, C4) 및 인덕터(L2)를 포함하는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813)를 도시한다.
도 9는 2 ㎓에서 전형적인 피킹 경로 출력 구조 및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피킹 경로의 출력 구조를 나란히 비교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CMOS 공정에서 현재 기술 상태에 기반한 전형적인 구조(801)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적어도 일부에 따른 새로운 구조(802)보다 더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구조(902)는 결합된 도 6의 블록(610, 612, 614, 616)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도 9는 도 6의 블록(610)과 동일한, 캐패시터(C1, C2) 및 인덕터(L1)를 포함하는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910)를 도시한다. 또한, 도 9는 도 6의 블록(612)과 동일한, 캐패시터(C3, C4) 및 인덕터(L2)를 포함하는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912)를 도시한다. 또한, 캐패시터(C5, C6) 및 인덕터(L3)를 포함하는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914)는 도 6의 블록(614)와 동일하다. 또한, 캐패시터(C7, C8)을 포함하는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916)은 도 6의 블록(616)과 동일하다. 구조(902)는 전형적인 구조(901)보다 더 큰 면적을 소비하지만, 구조(902)는 자체가 구조(902)의 사이즈보다 더큰 전력 분할기의 필요성을 제거하는 부가적인 잇점을 제공한다.
도 10은 윌킨슨 전력 분배기(Wiltinson power divider)로 알려진 전형적 구조에서 요구되는 2 ㎓에서의 전력 분할기의 레이아웃을 도시한다. 도 10은 전력 분 할기의 제거를 통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절약할 수 있는 면적을 도시한다. 나머지 추가적인 구조는 비교되지는 않으나, 실직적으로 유사하거나 실직적으로 동일한 면적을 필요로 한다.
전술한 설명 및 첨부 도면에 개시된 기술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많은 변형예와 다른 실시형태들을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변형예 및 다른 실시형태들은 이하 기재되는 특허 청구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일반적이고 설명을 위한 의미로 사용되었을 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병렬 연결된 캐리어 증폭기 및 피킹 증폭기를 포함하는 도허티 증폭기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동적 가변 도허티 선형 전력 증폭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집적 전력 증폭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증폭기 시스템에 사용된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증폭기 시스템에 사용된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증폭기 시스템의 콤포넌트 레벨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도 6의 변형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8은 2 ㎓에서 전형적인 캐리어 경로 출력 구조 및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경로의 출력 구조를 나란히 비교한 도면이다.
도 9는 2 ㎓에서 전형적인 피킹 경로 출력 구조 및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피킹 경로의 출력 구조를 나란히 비교한 도면이다.
도 10은 윌킨슨 전력 분배기(Wiltinson power divider)로 알려진 전형적 구조에서 요구되는 2 ㎓에서의 전력 분할기의 레이아웃을 도시한다.

Claims (20)

  1. 제1 1/4 파장 트랜스포머에 연결된 입력을 갖는 캐리어 증폭기;
    상기 캐리어 증폭기와 병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
    상기 캐리어 증폭기의 제1 차동 출력을 동상으로 결합하여 제1 단일 종단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복수의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제1 차동 결합 구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 각각의 제2 차동 출력을 동상으로 결합하여 제2 단일 종단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복수의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제2 차동 결합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복수의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상기 제1 1/4 파장 트랜스포머 및 상기 복수의 제2 1/4 파장 트랜스포머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누적 지연 및 위상 시프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단일 종단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단일 종단 출력 신호는 동상으로 결합되어 전체 출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각각 제1 종단 및 제2 종단을 갖는 제2 1/4 파장 트랜스포머 및 제3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1/4 파장 트랜스포머 및 상기 제3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실질적으로 상호 180°의 위 상차로 동작하며, 상기 제2 1/4 파장 트랜스포머 및 상기 제3 1/4 파장 트랜스포머의 상기 제1 종단은 각각 상기 캐리어 증폭기의 제1 차동 출력 중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제2 1/4 파장 트랜스포머 및 상기 제3 1/4 파장 트랜스포머의 상기 제2 종단은 상호 연결되어 상기 제1 단일 종단 출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수의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각각 제1 종단 및 제2 종단을 갖는 제4 1/4 파장 트랜스포머, 제5 1/4 파장 트랜스포머, 제6 1/4 파장 트랜스포머 및 제7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및 제5 1/4 파장 트랜스포머 각각의 제1 종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의 상기 제2 차동 출력 중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제4 1/4 파장 트랜스포머의 제2 종단은 상기 제6 1/4 파장 트랜스포머의 제1 종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5 1/4 파장 트랜스포머의 제2 종단은 상기 제7 1/4 파장 트랜스포머의 제1 종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6 및 제7 1/4 파장 트랜스포머의 제2 종단은 상호 연결되어 상기 제2 단일 종단 출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3, 제5, 제6 및 제7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이며, 상기 제2 및 제4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포지티브 시프 트 1/4 파장 트랜스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1) 상기 제4 및 제5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실질적으로 상호 180°의 위상차로 동작하거나,
    (2) 상기 제4 및 제5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동상을 가지며, 상기 제6 및 제7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실질적으로 상호 180°의 위상차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1/4 파장 트랜스포머 및 제2 복수의 1/4 파장 트랜스포머에 포함된 각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티(T) 구조 또는 파이(Pi) 구조로 배치된 럼프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증폭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적응형 입력 바이어스를 제공하는 적응형 바이어스 구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응형 입력 바이어스는 상기 캐리어 증폭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 각각에 대한 등가 입력 저항이 감소함에 따라 저전력 레벨에서 대기 전류를 최소화하도록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증폭기 및 상기 제1 차동 결합 구조 사이에 제공된 제1 매칭 블록;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 및 상기 제2 차동 결합 구조 사이에 제공된 제2 매칭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매칭 블록은 상기 캐리어 증폭기의 백오프 효율을 최대화 하며, 상기 제2 매칭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가 대기중이거나 상기 전체 출력에 대해 최소 전력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전체 출력에 대한 누설 전류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1/4 파장 트랜스포머 및 상기 캐리어 증폭기 사이에 배치된 제1 발룬; 및 제2 발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단일 종단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발룬으로 위상 시프트된 단일 종단 입력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발룬은 상기 위상 시프트된 단일 종단 입력 신호를 상기 캐리어 증폭기에 의해 수신되는 제1 차동 입력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발룬은 상기 단일 종단 입력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에 의해 수신되는 제2 차동 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제1 발룬은 제1 입력측 매칭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발룬은 제2 입력측 매칭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입력측 매칭 요소는 상기 단일 종단 입력 신호에 관한 입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11. 입력 1/4 파장 트랜스포머에 연결된 입력을 갖는 단일 캐리어 증폭기;
    상기 단일 캐리어 증폭기와 병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
    일단이 상기 단일 캐리어 증폭기의 제1 차동 출력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제1 단일 종단 출력을 생성하도록 상호 연결되며, 실질적으로 상호 180°의 위상차로 동작하는 제2 1/4 파장 트랜스포머 및 제3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제1 차동 결합 구조; 및
    직렬 연결된 두 개의 출력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제1 경로 및 직렬 연결된 두 개의 출력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제2 경로를 포함하는 제2 차동 결합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경로 각각의 일 출력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실질적으로 상호 180°의 위상차로 동작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경로 각각의 나머지 출력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상기 입력 1/4 파장 트랜스포머와 동상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의 제2 차동 출력 중 하나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경로에 대한 입력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1 및 제2 경로의 출력은 결합되어 제2 단일 종단 출력 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일 종단 출력은 동상으로 결합되어 전체 출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 또는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제1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이며, 상기 제1 경로의 두 개의 출력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제1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 및 제2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경로의 두 개의 출력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제3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 및 제4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제1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이며, 상기 제1 경로의 두 개의 출력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제2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 및 제3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며, 상 기 제2 경로의 두 개의 출력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제1 네거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 및 제4 포지티브 시프트 1/4 파장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캐리어 증폭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적응형 입력 바이어스를 제공하는 적응형 바이어스 구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응형 입력 바이어스는 상기 단일 캐리어 증폭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 각각에 대한 등가 입력 저항이 감소함에 따라 저전력 레벨에서 대기 전류를 최소화하도록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캐리어 증폭기 및 상기 제1 차동 결합 구조 사이에 제공된 제1 매칭 블록;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 및 상기 제2 차동 결합 구조 사이에 제공된 제2 매칭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매칭 블록은 상기 단일 캐리어 증폭기의 백오프 효율을 최대화 하며, 상기 제2 매칭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가 대기중이거나 상기 전체 출력에 대해 최소 전력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전체 출력에 대한 누설 전류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1/4 파장 트랜스포머 및 상기 단일 캐리어 증폭기 사이에 배치된 제1 발룬; 및 제2 발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 1/4 파장 트랜스포머는 단일 종단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발룬으로 위상 시프트된 단일 종단 입력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발룬은 상기 위상 시프트된 단일 종단 입력 신호를 상기 캐리어 증폭기에 의해 수신되는 제1 차동 입력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발룬은 상기 단일 종단 입력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에 의해 수신되는 제2 차동 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 발룬은 제1 입력측 매칭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발룬은 제2 입력측 매칭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입력측 매칭 요소는 상기 단일 종단 입력 신호에 관한 입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19. 제1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차동 출력을 생성하는 캐리어 증폭기; 및
    상기 캐리어 증폭기와 병렬로 배치되며, 제2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제2 차동 출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킹 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차동 출력은 제1 복수의 제1 1/4 파장 트랜스포머 및 제1 미스매치 보상 블록에 의해 처리되어 제1 단일 종단 출력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입력 신호 및 제2 입력 신호는 하나의 전체 단일 종단 입력 신호의 적어도 일부에서 생성되며, 상기 제2 차동 출력은 제2 복수의 제2 1/4 파장 트랜스포머 및 제2 미스매치 보상 블록에 의해 처리되어 제2 단일 종단 출력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단일 종단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단일 종단 출력 신호가 동상으로 결합되어 전체 단일 종단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2 복수의 제2 1/4 파장 트랜스포머에 대해 상기 제1 복수의 제1 1/4 파장 트랜스포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스매치 보상 블록 및 상기 제2 미스매치 보상 블록은, 상기 제1 복수의 제1 1/4 파장 트랜스포머 및 상기 제2 복수의 1/4 파장 트랜스포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에서 나타나는 성분 미스매치에 의해, 동작 대역에서 나타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치(notch)를 제거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KR1020090124261A 2008-12-12 2009-12-14 무선 통신 장치용 집적 전력 증폭기 시스템 KR101089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27508P 2008-12-12 2008-12-12
US61/122,275 2008-12-12
US12/623,164 2009-11-20
US12/623,164 US7961048B2 (en) 2008-12-12 2009-11-20 Integrated power amplifier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227A true KR20100068227A (ko) 2010-06-22
KR101089891B1 KR101089891B1 (ko) 2011-12-05

Family

ID=42239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261A KR101089891B1 (ko) 2008-12-12 2009-12-14 무선 통신 장치용 집적 전력 증폭기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61048B2 (ko)
KR (1) KR101089891B1 (ko)
CN (1) CN10176458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8282B2 (en) 2011-11-21 2015-08-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ower amplifier and amplification method thereof
KR20170117496A (ko) * 2015-02-15 2017-10-23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Am-am 보상을 갖는 도허티 전력 증폭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6023B2 (en) * 2010-06-08 2013-04-09 Nxp B.V.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changes in an output impedance of a power amplifier
JP5483581B2 (ja) * 2010-07-20 2014-05-07 住友電工デバイ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ドハティ増幅器および半導体装置
US8629727B2 (en) 2010-12-23 2014-01-14 Marvell Internatonal Ltd. Techniques on input transformer to push the OP1dB higher in power amplifier design
US8749306B2 (en) 2011-03-16 2014-06-10 Cree, Inc. Enhanced Doherty amplifier
US9419566B2 (en) 2011-04-20 2016-08-1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Amplifiers and related integrated circuits
US8611436B2 (en) * 2011-07-19 2013-12-17 Tektronix, Inc. Wideband balun structure
US20130127542A1 (en) 2011-11-17 2013-05-23 Lothar Schmidt Active antenna arrangement with doherty amplifier
JP5586653B2 (ja) * 2012-05-02 2014-09-10 株式会社東芝 ドハティ回路
US8779856B2 (en) * 2012-10-31 2014-07-15 Infineon Technologies Ag Doherty amplifier circuit with phase-controlled load modulation
EP2806557B1 (en) 2013-05-23 2017-03-08 Ampleon Netherlands B.V. Doherty amplifier
EP2843832B1 (en) * 2013-08-30 2019-07-31 Ampleon Netherlands B.V. A wideband amplifier
US9093984B1 (en) * 2013-09-18 2015-07-28 Rockwell Collins, Inc. Phase shifter with true time delay
EP2933918B1 (en) * 2014-04-15 2017-11-22 Ampleon Netherlands B.V. Ultra wideband doherty amplifier
TWI560999B (en) * 2014-04-23 2016-12-01 Realtek Semiconductor Corp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and method for increasing power added efficiency and linearity
US9831837B2 (en) 2014-11-05 2017-11-2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power divider circuits and methods
KR102603312B1 (ko) * 2015-02-15 2023-11-17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감소된 크기를 갖는 도허티 전력 증폭기
US9899961B2 (en) * 2015-02-15 2018-02-20 Skyworks Solutions, Inc. Enhanced amplifier efficiency through cascode current steering
US9748902B2 (en) * 2015-05-15 2017-08-29 Nxp Usa, Inc. Phase correction in a Doherty power amplifier
EP3145077B1 (en) * 2015-09-16 2019-11-13 Ampleon Netherlands B.V. A power amplifier cell
US9831833B1 (en) 2016-01-28 2017-11-28 Rockwell Collins, Inc. Power amplifier
KR102585866B1 (ko) * 2016-06-21 2023-10-06 삼성전기주식회사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전력 증폭기
US10270396B2 (en) * 2017-04-24 2019-04-23 Gatesair, Inc. Push-pull ampl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DE102017119894A1 (de) * 2017-08-30 2019-02-28 EEA Elektronik Entwicklung Adamietz GmbH Pegelumsetzer mit hoher Bandbreite
DE102017119895B3 (de) * 2017-08-30 2018-11-08 EEA Elektronik Entwicklung Adamietz GmbH Pegelumsetzer mit einem Übertrager
US10819321B1 (en) 2018-06-28 2020-10-27 University Of South Florida Switchable active balanced-to-unbalanced phase shifter
NL2027508B1 (en) * 2021-02-05 2022-09-06 Univ Delft Tech Push-pull amplifying unit and Doherty amplifier comprising the same
CN114094959A (zh) * 2021-11-05 2022-02-25 深圳飞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Doherty射频集成功率放大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8086A (en) 1995-05-25 1996-10-22 Motorola, Inc. Linear power amplifier for high efficiency multi-carrier performance
US5574411A (en) 1995-09-25 1996-11-12 Samsung Semiconductor, Inc. Lumped parameter balun
JPH10200360A (ja) 1997-01-07 1998-07-31 Tdk Corp 積層バルントランス
KR100553252B1 (ko) 2002-02-01 2006-02-20 아바고테크놀로지스코리아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전력 증폭 장치
US7268616B2 (en) * 2004-07-08 2007-09-11 Amalfi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power amplifier
CN2847693Y (zh) * 2005-06-15 2006-12-13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用于3g系统宽带功放预失真校正电路的载波对消单元电路
US7479850B2 (en) 2006-04-05 2009-01-20 Tdk Corporation Miniaturised half-wave balun
KR100749870B1 (ko) * 2006-06-07 2007-08-17 (주) 와이팜 도허티 전력 증폭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8282B2 (en) 2011-11-21 2015-08-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ower amplifier and amplification method thereof
KR20170117496A (ko) * 2015-02-15 2017-10-23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Am-am 보상을 갖는 도허티 전력 증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64581A (zh) 2010-06-30
CN101764581B (zh) 2013-03-13
US20100148877A1 (en) 2010-06-17
KR101089891B1 (ko) 2011-12-05
US7961048B2 (en) 201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891B1 (ko) 무선 통신 장치용 집적 전력 증폭기 시스템
US10250192B2 (en) Class-E outphasing power amplifier with efficiency and output power enhancement circuits and method
KR102618439B1 (ko) 선형의 효율적인 광대역 전력 증폭기들에 관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EP2388912B1 (en) Power control of reconfigurable outphasing Chireix amplifiers and methods
US8339201B1 (en) Wideband doherty amplifier circuit having a constant impedance combiner
CN109327191B (zh) 四路多尔蒂放大器及移动通信基站
US7884668B2 (en) Integrated doherty type amplifier arrangement with high power efficiency
US8203386B2 (en) Reconfigurable outphasing Chireix amplifiers and methods
US20100001802A1 (en) Integrated doherty type amplifier arrangement with high power efficiency
WO2012175106A1 (en) Power amplifier based on doherty power amplifier
US11824501B2 (en) Power amplifier circuit
CN106664062B (zh) 集成3路Doherty放大器
WO2023045542A1 (zh) 应用于5g通信系统的射频功率放大器及射频前端架构
JP2011015240A (ja) 高周波電力増幅器
JPWO2009066353A1 (ja) 電力増幅器
Kim et al. A fully integrated CMOS RF power amplifier with tunable matching network for GSM/EDGE dual-mode application
US9385663B2 (en) Envelope tracking push-pull or differential power amplifier
JP2013026988A (ja) 高周波電力増幅器
Veni et al. A Fully Integrated 28 GHz Class-J Doherty Power Amplifier in 130 nm BiCMOS
EP3997788A1 (en) Power amplifier arrangement comprising ruthroff transformer
CN115473500A (zh) Doherty功率放大电路及功率放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