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866B1 -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전력 증폭기 - Google Patents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전력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866B1
KR102585866B1 KR1020160077495A KR20160077495A KR102585866B1 KR 102585866 B1 KR102585866 B1 KR 102585866B1 KR 1020160077495 A KR1020160077495 A KR 1020160077495A KR 20160077495 A KR20160077495 A KR 20160077495A KR 102585866 B1 KR102585866 B1 KR 102585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mplifier
circuit
amplifier
load impedance
mai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041A (ko
Inventor
진윤수
김규석
홍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7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866B1/ko
Priority to US15/431,278 priority patent/US10218314B2/en
Priority to CN201710107406.3A priority patent/CN107528546B/zh
Publication of KR20180000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in field-effect transist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88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using a main and one or several auxiliary peaking amplifiers whereby the load is connected to the main amplifier using an impedance inverter, e.g. Doherty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8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 H03F1/2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by use of cascode coupling, i.e. earthed cathode or emitter stage followed by earthed grid or base stage respectively
    • H03F1/223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detrimental influences of internal impedances of amplifying elements by use of cascode coupling, i.e. earthed cathode or emitter stage followed by earthed grid or base stage respectively with MOSFE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in differenti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6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3F1/565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indu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3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field-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03F3/2171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with field-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03F3/245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179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MOSFET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264Complementary cross coupled typ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87A circuit being added at the output of an amplifier to adapt the output impedance of the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72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stage being a common gate configuration MOSFE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75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stage being a common source configuration MOSFE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differential amplifier amplifying transistors are cascode coupled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031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differential amplifier amplifying transistors are compositions of multiple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034One or more added reactive elements, capacitive or inductive elements, to the amplifying transistors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156At least one capacitor being added at the input of a dif 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에 따른 전력 증폭기는, 일 단이 RF(Radio Frequency) 입력단에 연결되고, 소스단을 입력 및 출력 시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통 소스 증폭 회로 및 일단은 상기 공통 소스 증폭 회로에 연결되고 타단은 RF 출력단에 연결되며, 게이트단을 입력 및 출력 시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는, 주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주 전력 증폭기에 병렬 연결된 보조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는 도허티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전력 증폭기 {RESONANCE APPARATUS AND APPARATUS FOR TRANSMITING POWER WIRELESSL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전력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률이 증가함에 따라, 다중 반송파 방식 등과 같은 복잡한 디지털 변조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변조 방식은 높은 출력 범위에 대한 요구와 동시에, 그러한 출력 범위에서의 선형성을 요구하고 있다.
종래의 전력 증폭기로서, 두 개의 트랜지스터를 쌓아 이용하는 캐스코드 구조의 증폭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캐스코드 증폭기는 선형성에 대한 특성은 가질 수 있으나, 출력 범위에 제한이 있어 백 오프 영역에서의 효율이 낮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92352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5372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7358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넓은 출력 범위를 제공하여 출력 전력의 백 오프 영역에서도 높은 효율을 가지면서도, 출력 범위 전체에서 좋은 선형적 특성을 가질 수 있는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전력 증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전력 증폭기를 제안한다. 상기 전력 증폭기는, 일 단이 RF(Radio Frequency) 입력단에 연결되고, 소스단을 입력 및 출력 시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통 소스 증폭 회로 및 일단은 상기 공통 소스 증폭 회로에 연결되고 타단은 RF 출력단에 연결되며, 게이트단을 입력 및 출력 시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는, 주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주 전력 증폭기에 병렬 연결된 보조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는 도허티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를 제안한다. 상기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는, 캐스코드 구조의 전력 증폭기에 적용 가능한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로서, 주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주 전력 증폭기에 병렬 연결된 보조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는 도허티 증폭기 및 상기 주 전력 증폭기의 부하 임피던스 및 상기 보조 전력 증폭기의 부하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증폭기는, 넓은 출력 범위를 제공하여 출력 전력의 백 오프 영역에서도 높은 효율을 가지면서도, 출력 범위 전체에서 좋은 선형적 특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증폭기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공정에서 형성되므로 무선 송수신기의 구성 블록과 동일 공정에서 생성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력 증폭기에서,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의 유무에 따른 성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력 증폭기에서, 주 전력 증폭기의 동작 경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주 전력 증폭기의 위상 변이값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전력 증폭기에서, 보조 전력 증폭기의 동작 경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보조 전력 증폭기의 위상 변이값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의 증폭 효율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전력 증폭기의 출력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 증폭기(100)는 공통 소스 증폭 회로(110) 및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120)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소스 증폭 회로(110) 및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120)는 캐스코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공통 소스 증폭 회로(110)의 일 단은 RF(Radio Frequency) 입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공통 소스 증폭 회로(110)는 소스단을 입력 및 출력 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공통 소스 증폭 회로(110)에서, 증폭기의 입력단 및 출력단으로서 소스단(또는 이미터단)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120)의 일단은 공통 소스 증폭 회로(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RF 출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120)는 게이트단을 입력 및 출력 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120)에서, 증폭기의 입력단 및 출력단으로서 게이트단(또는 베이스단)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기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공정에서 생산되나, 증폭기를 CMOS 공정에서 생성하는 경우, 낮은 항복 전압 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두 개의 증폭기를 쌓는 캐스코드 구조를 이용하여, 무선 송신기의 요구 출력을 만족시킬 수 있다.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120)는 주 전력 증폭기(121) 및 주 전력 증폭기에 병렬 연결된 보조 전력 증폭기(122)를 포함하는 도허티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120)는 도허티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주 전력 증폭기(121) 및 보조 전력 증폭기(122)는 공통 소스 증폭 회로(110)를 공유하는 구조로, 공통 소스 증폭 회로(11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120)는 주 증 폭기(121)와 보조 전력 증폭기(1220)를 이용한 도허티 증폭기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전력 증폭기(100)의 백오프 전력 지점에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120)는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123)는 주 전력 증폭기(121)의 부하 임피던스와 보조 전력 증폭기(122)의 부하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인 도허티 증폭기는 λ/4 트랜스미션 라인을 이용하여 부하 임피던스를 조절하나, 본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123)는 그의 등가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123)는 CMOS 공정에서도 적용 가능하도록, λ/4 트랜스미션 라인과 등가를 가지는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120)는 위상 변이 회로(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상 변이 회로(124)는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123)에 해당하는 위상 변이값을 가지는 회로일 수 있다.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123)는 주 전력 증폭기(121)와 동일한 제1 경로에 구비되고, 위상 변이 회로(124)는 보조 전력 증폭기(122)와 동일한 제2 경로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123)와 주 전력 증폭기(121)는 서로 직렬 연결되어, 하나의 전류 경로에 형성될 수 있고, 위상 변이 회로(124)와 보조 전력 증폭기(122)는 서로 직렬 연결되어, 다른 전류 경로에 형성될 수 있다.
주 전력 증폭기(121)와 보조 전력 증폭기(122)의 위상은 서로 대응되므로,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123)에 의하여 상기 제1 경로의 위상에 변화가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위상 변이 회로(124)는 상기 제2 경로에서, 상기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123)에 대응되는 위상 변화를 적용함으로서, 상기 제1 경로와 상기 제2 경로의 위상이 서로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증폭기(101)는 공통 소스 증폭기(Mcs)와,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220)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증폭 회로(220)는 메인 증폭기(Mmain)와, 메인 증폭기(Mmain)에 병렬 연결된 보조 전력 증폭기(Maux)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증폭기(Mmain)의 소스 단은 공통 소스 증폭기(Mcs)의 드레인단에 연결되고, 메인 증폭기(Mmain)의 드레인단에는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222)의 일 단이 연결될 수 있다.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222)의 타단은 RF 출력단 및 보조 전력 증폭기(Maux)의 드레인 단과 연결될 수 있다.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222)는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π 구조의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222)는 λ/4 트랜스미션 라인에 대한 등가 회로일 수 있으며, 도시된 예와 같이 하나의 인덕터(L2) 와 두 개의 커패시터(C21, C22)로 구성되는 파이(π) 회로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덕터(L2)의 일단은 주 전력 증폭기(Mmain)의 드레인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RF 출력단 및 보조 전력 증폭기(Maux)의 드레인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C21)의 일단은 주 전력 증폭기(Mmain)의 드레인 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C22)의 일단은 인덕터(L2)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단에 연결될 수 있다.
Class AB의 게이트 바이어스를 가지는 주 전력 증폭기의 경우에는 입력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최적(optimum) 부하 임피던스가 크게 변하지 않는다. 하지만 Class C의 게이트 바이어스를 가지는 보조 전력 증폭기는 입력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전환되며, 최적(optimum) 부하 임피던스가 변한다. 여기서 π 구조의 인덕터가 주 전력 증폭기의 드레인 단에는 직렬로 연결이 되고, 보조 전력 증폭기의 드레인 단에는 병렬로 연결이 되면서, 각각의 증폭기가 요구하는 최적(optimum) 부하 임피던스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π 구조 내의 커패시터는 추가적인 임피던스 매칭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각 증폭기의 드레인 단이 묶인 상태로 하나의 트랜스미션 라인 트랜스포머를 이용해 50옴으로 임피던스가 변할 수 있다.
보조 전력 증폭기(Maux)의 소스단은 위상 변이 회로(221)에 연결되고, 드레인단은 RF 출력단 및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222)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위상 변이 회로(221)는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222)에 해당하는 위상 변이값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위상 변이 회로(221)는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222)에 대응되는 파이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서, 메인 증폭기(Mmain)와 보조 전력 증폭기(Maux)는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만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파워에서의 제1 지점까지는 메인 증폭기(Mmain)만이 동작하고, 상기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까지는 메인 증폭기(Mmain)와 보조 전력 증폭기(Maux)가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까지에서, 메인 증폭기(Mmain)와 보조 전력 증폭기(Maux)는 서로 교번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제1 지점에서는 메인 증폭기를 중심으로 출력을 발생시키고, 제2 지점에서는 보조 증폭기를 중심으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후, 2 지점에서 제3 지점까지는 보조 전력 증폭기(Maux)만이 동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지점은 메인 증폭기의 최대 출력점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3 지점은 보조 증폭기의 최대 출력점일 수 있다. 즉, 메인 증폭기의 최대 출력점 보다 보조 증폭기의 최대 출력점이 높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넓은 출력 범위와 선형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코드 구조의 전력 증폭기에서, 공통 게이트 증폭회로를 도허티 증폭기로서 구현함으로써, 선형성을 가지면서도 출력 전력의 백 오프 영역에서 높은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도허티 증폭기의 λ/4 트랜스미션 라인을 대체하여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222)를 사용하므로 하나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공정을 통하여 생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무선 송수신기의 구성 블록과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공정으로 생산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주 전력 증폭기(Main)의 최대 전력 지점 T까지는 주 전력 증폭기(Mmain) 만을 동작시킬 수 있다. 최대 전력 지점 T 이후에서는 주 전력 증폭기(Main)과 보조 전력 증폭기(Maux)를 함께 동작시켜, 주 전력 증폭기(Mmain)의 출력에 보조 전력 증폭기(Maux)의 출력을 합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 전력 증폭기(Main)의 최대 전력 지점 T는, 전체 전력 증폭기(101)의 최대 출력 전력의 전력 백 오프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의 그래프는 전력 증폭기의 드레인 단에 위치한 π 구조의 유무에 따른 주 전력 증폭기와 보조 전력 증폭기의 부하 저항과 부하 리액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굵은 선은 π 구조가 존재할 때의 부하 저항과 리액턴스의 변화를 의미하며, 얇은 선은 π 구조가 존재하지 않을 때의 부하 저항과 리액턴스의 변화를 의미한다.
그래프 a는 주 전력 증폭기의 부하 저항의 변화를 도시하며, 그래프 b는 주 전력 증폭기의 부하 리액턴스의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그래프 c는 보조 전력 증폭기의 부하 저항의 변화를 도시하며, 그래프 d는 보조 전력 증폭기의 부하 리액턴스의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주 전력 증폭기의 경우에는 부하 저항과 부하 리액턴스가 π 구조의 유무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으나, 보조 전력 증폭기의 경우에는 높은 출력 전력을 가지는 때에 부하 저항과 부하 리액턴스가 크게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스미스 차트로 도시하면 도 4와 같다.
도 4는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의 유무에 따른 부하 임피던스의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의 유무는, 주 전력 증폭기의 부하 임피던스에 대해서는 비교적 작은 영향을 미치나, 보조 전력 증폭기의 부하 임피던스를 최적 부하 임피던스 범위로 조절하여 주게된다. 따라서, 주 전력 증폭기 및 보조 전력 증폭기는 각각 최적 부하 임피던스 범위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
실제 구현예에서, 도 2에 도시된 파이 구조의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는, λ/4 트랜스미션 라인과 비교하여 매우 작은 인덕턴스와 작은 커패시컨스로서 구현 가능하다. 즉,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를 구성하는 인덕터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그에 따라 전력 증폭기의 크기 감소 및 그에 따른 비용 감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력 증폭기에서, 주 전력 증폭기의 동작 경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주 전력 증폭기의 위상 변이값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주 전력 증폭기(Mmain)가 위치한 제1 경로가 활성화 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주 전력 증폭기의 위상 변이값을 도 6의 그래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전력 증폭기에서, 보조 전력 증폭기의 동작 경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보조 전력 증폭기의 위상 변이값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보조 전력 증폭기(Maux)가 위치한 제2 경로가 활성화 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보조 전력 증폭기의 위상 변이값을 도 8의 그래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6 및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주 전력 증폭기가 존재하는 제1 경로에서 발생하는 위상 변이와, 보조 전력 증폭기가 존재하는 제2 경로에서의 위상 변이는 서로 대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 경로에서 발생하는 위상 변이 값은 -20 도에 근사한 값이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의 인덕터 값은 작은 인덕턴스 값에 해당하므로, 그로 인한 위상 변이가 크게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위상 변이 회로가 만족해야 하는 위상 변이 역시 크지 않으며, 따라서, 위상 변이 회로의 인덕터 또한 작은 인덕턴스로 충분하다. 따라서,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 및 위상 변이 회로는 소형으로 구현 가능하며, 그에 따라 비용적 측면에서 유리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의 증폭 효율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9의 그림 a는, 도 2에 도시된 전력 증폭기에서, 전력지점 P1까지 주 전력 증폭기 만이 동작한 경우의 전력-효율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그림 b는 전력지점 P1 이후부터 P2 까지 주 전력 증폭기 및 보조 전력 증폭기가 모두 동작한 경우와, 전력지점 P2 이후부터 P3까지 보조 전력 증폭기 만이 동작한 경우의 전력-효율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기 설명한 바와 같이,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는 주 전력 증폭기 및 보조 전력 증폭기 모두에 대하여 최적의 부하 임피던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전력의 영역(P1 내지 P2)에서는 보조 전력 증폭기와 주 전력 증폭기를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 전력 증폭기의 최대 전력 지점 T까지는 주 전력 증폭기 만을 동작시켜 최대 효율을 가지도록 한다. 주 전력 증폭기의 최대 전력 지점 P1는 전력 증폭기 전체의 최대 출력 전력의 전력 백 오프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증폭기 전체의 최대 출력 전력의 전력 백 오프 영역 P1 이후에는, 보조 전력 증폭기의 출력 전력을 더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전력 증폭기는 전력 백 오프 영역 이후에서도 최대 출력 전력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전력 증폭기에 대한 다른 예는 차동 구조로 구현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10은, 도 2에서 기 설명한 전력 증폭기의 구조를 차동 구조로 구현하고 있으며, 각각의 차동 구조는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1010, 1020) 및 위상 변이 회로(1030, 1040)를 포함할 수 있다.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1010, 1020) 및 위상 변이 회로(1030, 1040)는 대칭적인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시된 예에서는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1010, 1020) 및 위상 변이 회로(1030, 1040)는 하나의 커패시터(C11, C22)를 공유하는 대칭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접지 비아가 존재하지 않는 CMOS 공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동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회로 내부에서 가상 접지 노드를 형성하여 회로 자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 상술한 바와 같이,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1010, 1020) 및 위상 변이 회로(1030, 1040)는 매우 작은 값의 인덕턴스 및 커패시턴스로서 만족된다.
일 예로, 실제로 필요한 캐패시턴스는, 트랜지스터에 의해 유발되는 기생 캐패시턴스에 대응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커패시터(C12, C13, C21, C23)는 실제 커패시터가 아닌 트랜지스터(Mmax1, Mmax2, Q1, Q2)의 기생 커패시턴스에 해당될 수 있다.
트랜스미션 라인 트랜스포머(1050)는, 차동구조에 따란 출력 부분의 임피던스를 소정의 값(예컨대, 50 Ohm)으로 매칭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전력 증폭기의 출력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1에서 도시된 그래프는, 출력 파워에 대한 IMD3 값을 도시하고 있다.
즉, 펀터멘탈 주파수에서 일정 주파수를 각각 가감한 제1 주파수(f1)와 제2 주파수(f1)를 동시에 집어 넣을 때 나오는 3차항 성분을 IMD3로서 도식화할 수 있으며, 도시된 그래프에서는 어퍼 프리퀀시(2f2-f1)와 로워 프리퀀시(2f1-f2)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3차 IMD3 성분은 출력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3차 IMD3 성분이 -30dBc 보다 작은 경우 이는 양호한 특성이 되며, 선형성이 좋은 경우가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력 특성에서 3차 IMD3 성분이 12 dBm 부근과 22 dBm 부근에서 낮아지는 특성을 가지며, 따라서, 출력 파워의 0 내지 대략 23 dBm 까지의 영역 전체에서 좋은 3차 IMD3 특성을 가지게 된다.
이는 일반적인 클래스 A증폭기 등이 출력 파워의 15dBm 이상에서는 선형성이 나빠지는 것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증폭기는 보다 넓은 출력 범위에서 높은 선형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높은 출력 전력 부근에서는 보조 전력 증폭기가 전력 이득을 보강하여 AM-AM을 개선하고, 위상은 주 전력증폭기와 반대의 양상으로 보강해주어서 AM-PM을 개선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 전력 증폭기
110 : 공통 소스 증폭 회로
120 :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
121 : 주 전력 증폭기 122 : 보조 전력 증폭기
123 : 부하 임피던스 조절회로 124 : 위상 변이 회로

Claims (15)

  1. 일 단이 RF(Radio Frequency) 입력단에 연결되고, 소스단을 입력 및 출력 시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통 소스 증폭 회로; 및
    일단은 상기 공통 소스 증폭 회로에 연결되고 타단은 RF 출력단에 연결되며, 게이트단을 입력 및 출력 시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는
    주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주 전력 증폭기에 병렬 연결된 보조 전력 증폭기; 및
    일단이 상기 주 전력 증폭기의 드레인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RF 출력단 및 상기 보조 전력 증폭기의 드레인 단에 연결되는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
    를 포함하는 도허티 증폭기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는
    상기 주 전력 증폭기의 부하 임피던스와 상기 보조 전력 증폭기의 부하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
    를 더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는
    일단이 상기 주 전력 증폭기의 드레인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및 상기 보조 전력 증폭기의 드레인 단에 연결되는 인덕터;
    일단이 상기 주 전력 증폭기의 드레인 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단에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및
    일단이 상기 인덕터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단에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는
    상기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에 해당하는 위상 변이값을 가지는 위상 변이 회로;
    를 더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는
    상기 주 전력 증폭기와 동일한 경로에 구비되고,
    상기 위상 변이 회로는
    상기 보조 전력 증폭기와 동일한 경로에 구비되는 전력 증폭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소스 증폭 회로 및 상기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전력 증폭기.
  9. 캐스코드 구조의 전력 증폭기에 적용 가능한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로서,
    주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주 전력 증폭기에 병렬 연결된 보조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는 도허티 증폭기; 및
    상기 주 전력 증폭기의 부하 임피던스 및 상기 보조 전력 증폭기의 부하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는
    일단이 상기 주 전력 증폭기의 드레인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RF 출력단 및 상기 보조 전력 증폭기의 드레인 단에 연결되는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는
    일단이 상기 주 전력 증폭기의 드레인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및 상기 보조 전력 증폭기의 드레인 단에 연결되는 인덕터;
    일단이 상기 주 전력 증폭기의 드레인 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단에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및
    일단이 상기 인덕터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단에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를 포함하는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는
    상기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에 해당하는 위상 변이값을 가지는 위상 변이 회로;
    를 더 포함하는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는
    상기 주 전력 증폭기와 동일한 경로에 구비되고,
    상기 위상 변이 회로는
    상기 보조 전력 증폭기와 동일한 경로에 구비되는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전력 증폭기, 상기 보조 전력 증폭기, 상기 부하 임피던스 조절 회로 및 상기 위상 변이 회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
KR1020160077495A 2016-06-21 2016-06-21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전력 증폭기 KR102585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495A KR102585866B1 (ko) 2016-06-21 2016-06-21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전력 증폭기
US15/431,278 US10218314B2 (en) 2016-06-21 2017-02-13 Common gate amplifier circuit and power amplifier using the same
CN201710107406.3A CN107528546B (zh) 2016-06-21 2017-02-27 共栅极放大器电路和使用共栅极放大器电路的功率放大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495A KR102585866B1 (ko) 2016-06-21 2016-06-21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전력 증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041A KR20180000041A (ko) 2018-01-02
KR102585866B1 true KR102585866B1 (ko) 2023-10-06

Family

ID=60660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495A KR102585866B1 (ko) 2016-06-21 2016-06-21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전력 증폭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18314B2 (ko)
KR (1) KR102585866B1 (ko)
CN (1) CN1075285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0396B2 (en) * 2017-04-24 2019-04-23 Gatesair, Inc. Push-pull ampl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9274339A (zh) * 2018-10-18 2019-01-25 成都嘉纳海威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Doherty驱动Doherty功率放大器
TWI774512B (zh) * 2021-08-11 2022-08-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功率放大器電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2870A1 (en) * 2008-02-21 2009-08-27 National Taiwan University Cascode-cascade power amplifi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1674B2 (ja) * 1992-01-23 2000-07-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利得制御回路
US6046640A (en) * 1997-11-07 2000-04-04 Analog Devices, Inc. Switched-gain cascode amplifier using loading network for gain control
US5999056A (en) * 1998-06-30 1999-12-07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cia Corporation Variable gain amplifier using impedance network
IT1319142B1 (it) * 2000-11-28 2003-09-23 St Microelectronics Srl Amplificatore a basso rumore
US6472934B1 (en) * 2000-12-29 2002-10-29 Ericsson Inc. Triple class E Doherty amplifier topology for high efficiency signal transmitters
KR100546491B1 (ko) * 2001-03-21 2006-01-26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초고주파 도허티 증폭기의 출력 정합 장치
US6801089B2 (en) * 2001-05-04 2004-10-05 Sequoia Communications Continuous variable-gain low-noise amplifier
US6819179B2 (en) * 2003-04-16 2004-11-16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Variable gain low noise amplifier
US7110742B2 (en) * 2004-03-16 2006-09-19 Broadcom Corporation Low noise amplifier with constant input impedance
KR100704926B1 (ko) * 2004-09-07 2007-04-10 인티그런트 테크놀로지즈(주) 멀티플 게이트드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선형성을 개선한능동 회로
JP4354465B2 (ja) * 2006-03-24 2009-10-28 シャープ株式会社 可変利得増幅器及びこの可変利得増幅器を備えた通信装置
US8228112B2 (en) * 2007-07-13 2012-07-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witch with reduced insertion loss
US7961048B2 (en) * 2008-12-12 2011-06-14 Samsung Electro-Mechanics Company Integrated power amplifier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7936220B2 (en) 2008-12-12 2011-05-0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improving amplifier linearity
CN101478289A (zh) * 2009-01-05 2009-07-08 东南大学 应用于低功率输出的e类功率放大器数字式功率控制电路
US8102213B2 (en) * 2009-07-23 2012-01-24 Qualcomm, Incorporated Multi-mode low noise amplifier with transformer source degeneration
FR2955219B1 (fr) * 2010-01-14 2012-08-31 St Microelectronics Sa Amplificateur dephaseur
JP5672975B2 (ja) * 2010-11-01 2015-02-18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可変利得増幅器
US8576006B1 (en) * 2010-11-30 2013-11-0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Wideband variable gain amplifier
US8482348B2 (en) * 2011-08-30 2013-07-09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Class of power amplifiers for improved back off operation
KR101264632B1 (ko) 2011-09-30 2013-05-2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선형 증폭기 및 다단 선형 증폭기
KR101326442B1 (ko) 2011-10-06 2013-11-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잡음 증폭기
CN202444467U (zh) * 2011-12-31 2012-09-19 成都芯通科技股份有限公司 适用于低于1GHz射频通信系统的小体积Doherty电路
JP6361190B2 (ja) * 2014-03-14 2018-07-25 ソニー株式会社 増幅器、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回路システム
US9712117B2 (en) * 2014-12-30 2017-07-18 Skyworks Solutions, Inc. Cascode switch for power amplifi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12870A1 (en) * 2008-02-21 2009-08-27 National Taiwan University Cascode-cascade power amplifi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28546B (zh) 2020-11-10
US20170366140A1 (en) 2017-12-21
CN107528546A (zh) 2017-12-29
US10218314B2 (en) 2019-02-26
KR20180000041A (ko) 201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3610B2 (en)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linear and efficient broadband power amplifiers
US10135408B2 (en) Amplifier with termination circuit and resonant circuit
US10250192B2 (en) Class-E outphasing power amplifier with efficiency and output power enhancement circuits and method
EP3014766B1 (en) Mmic power amplifier
US9065405B2 (en) Compensating for non-linear capacitance effects in a power amplifier
US7768350B2 (en) Output gain stage for a power amplifier
US20200228071A1 (en) Band-Reconfigurable and Load-Adaptive Power Amplifier
JP4485487B2 (ja) 電力増幅器
US10601382B2 (en) Power amplifier circuit
US20050012547A1 (en) High linearity doherty communication amplifier with phase control
US9130511B2 (en) Power amplifier and linearization techniques using active and passive devices
US11658622B2 (en) Power amplifier circuit
US20200195202A1 (en) RF Power Amplifiers with Diode Linearizer
KR20200110663A (ko) 주파수 선택성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를 갖춘 rf 전력 증폭기
KR102585866B1 (ko) 공통 게이트 증폭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전력 증폭기
US20140354363A1 (en) Power amplifier
KR101590605B1 (ko) 무선 송수신기용 선형 전력증폭기
CN110011626B (zh) 功率放大电路
JP6837602B2 (ja) 分布型増幅器
JP2021016046A (ja) バイアス回路
JP2006093857A (ja) 歪補償回路
US11309842B2 (en) Power amplifier circuit
Kim et al. Ka-Band Three-Stacked CMOS Power Amplifier With LC Shunt-Feedback to Enhance Gain and Stability
Arrawatia et al. A CMOS power amplifier with 180° hybrid on-chip coupler for 4G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