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697A - 에프알피 판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프알피 판 긴장방법 - Google Patents

에프알피 판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프알피 판 긴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6697A
KR20100066697A KR1020080125114A KR20080125114A KR20100066697A KR 20100066697 A KR20100066697 A KR 20100066697A KR 1020080125114 A KR1020080125114 A KR 1020080125114A KR 20080125114 A KR20080125114 A KR 20080125114A KR 20100066697 A KR20100066697 A KR 20100066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ing
frp
frp plat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1376B1 (ko
Inventor
박영환
박종섭
정우태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25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376B1/ko
Publication of KR20100066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085Tensile members made of fiber reinforced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023/0251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by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 E04G2023/0262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anchoring the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e.g. to avoid peeling 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FRP판을 이용하여 긴장력을 가하기 위한 FRP판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FRP판 긴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물에 고정 정착구가 구비된 FRP판을 이용하여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앵커를 통해서 고정되는 정착판을 갖고, 상기 정착판에는 수직판이 돌출되며, 상기 수직판에는 FRP판의 고정 정착구가 삽입되어 긴장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직판과 고정 정착구의 사이에 위치한 FRP판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2분할 볼트가 배치되고, 상기 2분할 볼트의 외면에는 너트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직판에 밀착 지지됨으로써 FRP판의 긴장력을 정착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FRP판을 장착판과 2분할 볼트 및 너트를 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직접 정착시킬 수 있어서 종래에 비하여 구조적인 크기를 작게 하고 그에 따라서 현장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너트 회전을 통하여 2분할 볼트의 위치 이동이 용이하기 때문에, FRP판의 고정 정착구 정착위치를 이동시켜 쉽게 FRP판의 긴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FRP판 정착장치, 정착판, 긴장장치, 2분할 볼트, 고정 정착구

Description

에프알피 판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프알피 판 긴장방법{FIXING APPARATUS FOR FIBER REINFORCED POLYMER PLATES AND THE PRESTRES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량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FRP판을 이용하여 긴장력을 가하기 위한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FRP판 긴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고정 정착구를 갖는 FRP판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정착판에 2분할 볼트와 너트를 통하여 직접 정착시킬 수 있어서 구조적인 크기를 작게하고, 긴장력 크기에 따른 정착위치의 조절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FRP판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FRP판 긴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보강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러한 보강작업은 구조물의 노화에 따른 내하력의 감소와 설계나 시공 오류로 인하여 내하력이 문제되는 경우 등에 있어 내하력 증진을 목적으로 교량, 건축물 등에 대한 보강을 목적으로 한다.
통상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내하력이 감소되고, 대형 차량과 과적 차량의 운행으로 인하여 특히 교량과 같은 구조물의 경우, 파손현 상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내하력의 감소가 발생하므로 교량의 성능 회복을 위해 기존에는 상판 재시공, 강판보강 구조 및 외부강선(또는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싱 구조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구조 중 외부 강선(또는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싱 보강구조는 매우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보강구조로서 PSC 빔교, T빔교, 박스교, 슬래브교등 거의 대부분에 보강이 가능한 한편, 외부강선(또는 강봉) 보강구조의 단점으로는 앵커볼트만으로 정착구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받아주기 때문에 많은 수의 앵커볼트가 필요하고, 정착구의 크기가 대형이면서 고중량이며, 구조 및 형상 또한 복잡해지고 외형상으로도 보기가 나쁜 단점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 FRP판을 이용한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1)의 하부면에 띠 형상의 FRP판(10,FIBER REINFORCED POLYMER PLATES)을 배치하고 긴장장치(미 도시, 유압잭)를 통하여 긴장력을 부여한 다음, 정착장치(20,3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의 하부면에 긴장력을 부여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FRP판(10)을 이용한 방법은 설치 시공이 용이하고, 구조물의 보강능력이 탁월하여 종래의 외부강선(또는 강봉)을 이용하는 보강 구조에 비하여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FRP판(10)을 이용한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 방법 은 FRP판(10)의 일측에는 고정정착기구(20)를 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에 고정하고, 타측에는 인장정착기구(30)를 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에 고정하여 FRP판(10)에 긴장력을 부여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 인장정착기구(3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데, 이는 콘크리트 구조물(1)에 앵커(5)를 통해서 고정되는 정착판(32)에 수직판(34)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판(34)에는 FRP판(10)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 정착구(12)가 관통하는 구멍(3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판(34)의 전방측으로는 FRP판(10)이 내부에 삽입되는 슬릿홈(42)을 구비한 FRP판 고정판(40)이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FRP판 고정판(40)은 그 양측에 각각 볼트(50a)(50b)들이 끼워지며, 상기 볼트(50a)의 전단은 FRP판 고정판(40)의 전방에서 너트(52a)가 각각 고정되고, 볼트(50b)의 후단에는 수직판(34)의 후방에서 각각 너트(52b)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인장정착기구(30)는 FRP판(10)에 긴장력을 가한 다음, FRP판 고정판(40)을 통해서 FRP판(10)의 고정 정착구(12)를 지지하고, 복수의 볼트(50a)(50b)와 너트(52a)(52b)들을 이용하여 수직판(34)에 FRP판 고정판(40)을 고정하면 FRP판(10)의 긴장력은 고정 정착구(12)를 통해 FRP판 고정판(40)에 전달되고, 복수의 너트(52a)(52b)와 볼트(50a)(50b)들을 이용하여 수직판(34)에 전달되어 지지됨으로써 긴장력이 유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FRP판(10)의 긴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너트(52a)(52b) 조정을 통하여 FRP판 고정판(4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FRP판(10)의 긴장력을 더욱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인장정착기구(30)는 정착판(32)과는 다른 별도의 FRP판 고정판(40)과 복수의 볼트(50a)(50b) 및 너트(52a)(52b)들을 구비하는 구조로서 인장정착장치(30)가 크고 설치 면적이 넓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너트(52a)(52b)들을 이용하여 FRP판 고정판(40)의 위치를 조정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과정에서 FRP판 고정판(40)의 좌우측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하는 것이 어려워서 긴장력의 균일한 조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정 정착구를 갖는 FRP판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정착판에 직접 정착시킬 수 있어서 구조적인 크기를 작게 한 FRP판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FRP판 긴장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FRP판의 정착 후에 긴장력 크기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긴장력 크기에 따른 정착위치의 조절이 용이한 FRP판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FRP판 긴장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FRP판 정착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 정착구가 구비된 FRP판을 이용하여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앵커를 통해서 고정되는 정착판을 갖고, 상기 정착판에는 수직판이 돌출되며, 상기 수직판에는 FRP판의 고정 정착구가 삽입되어 긴장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직판과 고정 정착구의 사이에 위치한 FRP판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2분할 볼트가 배치되고, 상기 2분할 볼트의 대향면에는 몸통 홈이 각각 형성되고, 그 사이에 FRP판이 설치되며, 상기 2분할 볼트의 외면에는 길이조정너트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직판에 밀착 지지됨으로써 FRP판의 긴장력을 정착시키게 된다. 따라서 FRP판을 장착판과 2분할 볼트 및 너트를 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직접 정착시킬 수 있어서 종래 에 비하여 구조적인 크기를 작게 하고 그에 따라서 현장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2분할 볼트는 각각 반원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그 각각의 몸통 홈 사이에서 FRP판이 설치되며, 상기 너트의 회전작동으로 FRP판의 길이방향으로 정착위치가 이동하여 FRP판의 고정 정착구를 지지하고, FRP판의 긴장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따라서 FRP판의 고정 정착구 정착위치를 이동시켜 쉽게 FRP판의 긴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너트는 그 외면이 둥근 호형이고, 그 표면은 너어링(knurling) 가공되어 회전이 용이하고 쉽게 긴장력 조절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착판은 길이조정너트가 위치하는 부위는 블록아웃부를 형성시켜 길이조정너트의 회전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FRP판 정착장치를 이용한 긴장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 정착구가 구비된 FRP판을 이용하여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앵커를 통해서 정착판을 고정하고, 상기 정착판에 형성된 수직판의 구멍을 통하여 FRP판의 고정 정착구를 끼워서 FRP판을 긴장시킨 다음, 상기 수직판과 고정 정착구의 사이에 위치한 FRP판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2분할 볼트를 배치하고, 상기 2분할 볼트의 외면에 너트를 나사결합시켜 수직판에 지지하고 FRP판의 긴장력을 정착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FRP판을 장착판과 2분할 볼트 및 너트를 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직접 정착시키고 긴장시킬 수 있어서 종래에 비하 여 구조적인 크기를 작게 하고 그에 따라서 현장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2분할 볼트와 너트는 상기 수직판과 FRP판의 고정 정착구 사이에서 상기 너트의 회전을 통한 볼트의 축방향 이동을 통하여 길이조절되어 FRP판의 긴장력을 조절한다. 따라서 FRP판의 긴장력을 쉽게 정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FRP판의 긴장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FRP판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FRP판 긴장방법에 의하면 장착판의 수직판상에서 2분할 볼트와 너트를 장착하고, 고정 정착구를 갖는 FRP판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직접 정착시킬 수 있어서 종래에 비하여 구조적인 크기를 작게 하고 그에 따라서 현장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FRP판의 정착 후에 긴장력 크기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너트 회전을 통하여 2분할 볼트의 위치 이동이 용이하기 때문에, FRP판의 고정 정착구 정착위치를 이동시켜 쉽게 FRP판의 긴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FRP판 정착장치(100)는 도 5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고정 정착구(112)가 구비된 FRP판(110)을 이용하여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 정착구(112)는 FRP판(110) 단부를 감싸도록 하는 플렉서블한 플라스틱판을 접착제등으로 부착시켜 설치할 수 있다. 이는 FRP판(110)이 플레이트형태로서 고정 정착하기 위해서는 두께가 얇아 이를 두껍게 형성시키도록 하면서 긴장작업 등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FRP판 정착장치(100)는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앵커(105)를 통해서 고정되는 사각판 형태의 정착판(120)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정착판(120) 개략 중앙면에는 수직판(130)이 돌출되는데 상기 수직판(130)에는 FRP판(110)의 고정 정착구(112)가 삽입되어 긴장되는 구멍(132)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후술되는 길이조정너트(150)가 위치하는 부위에는 블록아웃부(S, 빈공간부)를 형성시켜 길이조정너트(150)의 회전작업을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정착판(120)은 수직판(130)의 양측에 각각 반삼각판 형태의 측방 보강벽(134a)(134b)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측방 보강벽(134a)(134b)을 통하여 수직판(130)의 양측이 견고하게 정착판(120)상에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직판(130)의 전면으로도 반삼각판 형태의 복수의 보강 브라켓(136a)(136b)이 고정되어 FRP판(110)의 긴장력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보강 브라켓(136a)(136b)은 상기 측방 보강벽(134a)(134b)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립 설치되며 각각 용접으로 수직판(130)에 고정되어 구조적으로 정착판(120)을 보강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수직판(130)과 상기 수직판(130)의 구멍(132)에 삽입 세팅 된 고정 정착구(112)의 마구리면(112a) 사이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2분할 볼트(140a)(140b)가 배치되는데, 이와 같은 2분할 볼트(140a)(140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반원형의 단면의 분할볼트로 이루어지고, 그 외면에는 나사산(142a)(142b)이 형성되며, 그 각각의 몸통 홈(144a)(144b) 사이에서 FRP판(110)이 통과되도록 상기 몸통 홈(144a)(144b)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2분할 볼트(140a)(140b)의 외면에는 길이조정너트(150)가 나사결합되는데, 상기 길이조정너트(150)는 바람직하게는 그 외면이 둥근 호형이고, 그 표면은 너어링(knurling) 가공되어 회전이 용이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FRP판 정착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다수의 앵커(105)들을 통하여 정착판(120)이 고정되고, 상기 수직판(130)에 마련된 구멍(132)으로는 FRP판(110)과 그 단부에 형성된 고정 정착구(112)가 끼워진 다음 긴장장치(미 도시, 유압잭)를 통하여 긴장력이 부여된다.
그리고 수직판(130)과 FRP판(110)의 고정 정착구(112) 사이에는 2분할 볼트(140a)(140b)가 배치되어 그 몸통길이조정너트(150) 사이에서 FRP판(11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2분할 볼트(140a,140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대향면에는 몸통 홈(144a)(144b)이 각각 형성되고, 그 사이에 FRP판(110)이 설치되며, 이와 같은 2분할 볼트(140a)(140b)의 외주면에는 길이조정너트(150)가 나사결합하고, 상기 수직판(130)에 밀착 지지됨으로써 FRP판(110)의 긴장력을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2분할 볼트(140a)(140b)와 길이조정너트(150)가 장착되면, 긴장장치를 제거하고 본 발명에 따른 FRP판 정착장치(100)를 통해 FRP판(110)의 긴장력을 지지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FRP판(110)을 정착시킨 다음에는 상기 길이조정너트(150)의 회전작동으로 2분할 볼트(140a)(140b)가 각각 FRP판(110)의 길이방향으로 정착위치가 이동하는데, 이와 같은 정착위치의 조정을 통하여 FRP판(110)의 고정 정착구(112)를 이동시키고 FRP판(110)의 긴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FRP판 정착장치(100)는 고정 정착구(112)를 갖는 FRP판(110)을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설치된 정착판(120)에 정착시키는 과정에서 2분할 볼트(140a)(140b)와 길이조정너트(150)를 이용하여 쉽게 정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그 구조적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FRP판(110)의 정착 후에는 긴장력 크기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길이조정너트(150)를 회전시켜서 2분할 볼트(140a)(140b)의 정착위치를 이동시키면 쉽게 FRP판(110)의 긴장력 조절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FRP판 정착장치를 이용한 긴장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FRP판 정착장치를 이용한 긴장방법은 먼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앵커(105)를 통해서 정착판(120)을 고정하고, 이와 같이 고정된 정착판(120)의 수직판(130)에 마련된 구멍(132)을 통하여 FRP판(110)의 고정 정착구(112)를 끼워서 FRP판(110)을 긴장시킨다.
그리고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판(130)과 고정 정착구(112)의 마구리면(112a) 사이에 위치한 FRP판(110)에는 외주면에 나사산(142a)(142b)이 형성된 2분할 볼트(140a)(140b)를 배치한다.
이와 같은 경우, 2분할 볼트(140a)(140b)는 그 몸통 홈(144a)(144b)이 FRP판(110)의 상하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나사산(142a)(142b)이 형성된 호형의 외면은 원형을 형성하는 상태이며, FRP판(110)은 여전히 긴장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으로는 이와 같이 배치된 2분할 볼트(140a)(140b)의 외면에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정너트(150)를 나사결합시켜 수직판(130)에 지지한다.
이와 같이 2분할 볼트(140a)(140b)에 길이조정너트(150)를 나사결합시키고 길이조정너트(150)를 수직판(130)에 밀착시키면 FRP판(110)의 긴장력을 수직판(130)으로 전달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긴장장치(미 도시)를 제거하여도 FRP판(110)의 긴장력은 정착판(120)과 수직판(130)에 의해서 유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FRP판(110)을 정착판(120)에 2분할 볼트(140a)(140b)와 길이조정너트(150)를 이용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FRP판(110)의 긴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2분할 볼트(140a)(140b)와 길이조정너트(150)는 상기 수직판(130)과 FRP판(110)의 고정 정착구(112) 사이에서 상기 길이조정너트(150)의 회전을 통한 2분할 볼트(140a)(140b)의 축방향 이동을 통하여 길이조절되어 FRP판(110)의 긴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FRP판(110)의 긴장력을 정착 판(120)이 고정시킨 상태에서 길이조정너트(150)를 회전시키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정너트(150)에 나사결합된 2분할 볼트(140a)(140b)들이 FRP판(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FRP판(110)의 고정 정착구(112)를 위치이동시켜서 더욱 FRP판(110)의 긴장력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길이조정너트(150)의 회전을 통하여 수직판(130)과 FRP판(110)의 고정 정착구(112) 사이에 위치된 2분할 볼트(140a)(140b)와 길이조정너트(150)가 차지하는 길이를 증감시킬 수 있음으로써 도 9a에 도시된 상태는 도 9b에 도시된 상태보다 2분할 볼트(140a)(140b)와 길이조정너트(150)가 차지하는 길이가 짧으므로 상대적으로 FRP판(10)의 긴장력은 줄어든 상태이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도 9b에 도시된 상태는 도 9a에 도시된 상태보다 2분할 볼트(140a)(140b)와 길이조정너트(150)가 차지하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이루어지므로 FRP판(10)의 긴장력은 상대적으로 커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2분할 볼트(140a)(140b)와 길이조정너트(150)가 차지하는 길이 조절을 통하여 FRP판(110)의 긴장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정 정착구(112)를 갖는 FRP판(110)을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설치된 정착판(120)에 2분할 볼트(140a)(140b)와 길이조정너트(150)들을 통하여 직접 정착시킬 수 있어서 종래와 같이 복수의 볼트(50a)(50b)와 너트(52a)(52b)들을 필요로 하고 FRP판 고정판(40)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구조적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고, 간편한 현장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FRP판(110)의 정착 후에 길이조정너트(150)를 회전시켜 2 분할 볼트(140a)(140b)의 위치이동을 쉽게 이룰 수 있으며, 이를 통해 FRP판(110)의 긴장력 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에 FRP판을 이용하여 보강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도는 측면도, b)도는 저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FRP판 정착기구에서 인장정착장치의 상세도로서, a)도는 외관 사시도, b)도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FRP판 정착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FRP판 정착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FRP판 정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FRP판 정착장치를 이용한 긴장방법에서 수직판의 구멍을 통해 FRP판과 고정 정착구를 삽입하고 긴장시킨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사시도, b)도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FRP판 정착장치를 이용한 긴장방법에서 2분할 볼트를 장착한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사시도, b)도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FRP판 정착장치를 이용한 긴장방법에서 2분할 볼트에 너트를 고정하고 FRP판의 긴장력을 지지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사시도, b)도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FRP판 정착장치를 이용한 긴장방법에서 2분할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FRP판의 긴장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긴장력을 늦춘 단면도, b)도는 긴장력을 강화시킨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1.... 콘크리트 구조물 5,105.... 앵커
10,110.... FRP판 20..... 고정정착기구
30..... 인장정착기구 32,120..... 정착판
34,130..... 수직판 34a,132..... 구멍
40..... FRP판 고정판 42..... 슬릿 홈
50a,50b.... 볼트 52a,52b... 너트
100.... FRP판 정착장치 134a,134b.... 측방 보강벽
136a,136b.... 보강 브라켓 140a,140b.... 2분할 볼트
142a,142b.... 나사산 144a,144b.... 몸통 홈
150.... 너트

Claims (6)

  1.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고정 정착구(112)가 구비된 FRP판을 이용하여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앵커(105)를 통해서 고정되는 정착판(120)을 갖고, 상기 정착판(120)에는 수직판(130)이 돌출되며, 상기 수직판에는 FRP판의 고정 정착구(112)가 삽입되어 긴장되는 구멍(132)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직판과 상기 구멍(132)에 삽입된 고정 정착구(112)의 마구리면(112a)의 사이에 위치한 FRP판(110)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2분할 볼트(140a,140b)가 배치되고,
    상기 2분할 볼트(140a,140b)의 대향면에는 몸통 홈(144a)(144b)이 각각 형성되고, 그 사이에 FRP판(110)이 설치되며, 상기 2분할 볼트(140a,140b)의 외면에는 길이조정너트(150)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직판에 밀착 지지됨으로써 FRP판의 긴장력을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판 정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분할 볼트(140a,140b)는 각각 반원형의 단면의 분할볼트로 이루어지고, 그 각각의 몸통 홈(144a)(144b) 사이에서 FRP판(110)이 설치되며, 상기 길이조정너트(150)의 회전작동으로 FRP판(110)의 길이방향으로 정착위치가 이동하여 FRP판의 고정 정착구를 지지하고, FRP판의 긴장력을 조절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FRP판 정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정너트(150)는 그 외면이 둥근 호형이고, 그 표면은 너어링(knurling) 가공되어 회전이 용이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FRP판 정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판(120)은 길이조정너트(150)가 위치하는 부위는 블록아웃부(S)를 형성시켜 길이조정너트(150)의 회전작업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FRP판 정착장치.
  5.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고정 정착구(112)가 구비된 FRP판(110)을 이용하여 긴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앵커(105)를 통해서 정착판(120)을 고정하고,
    상기 정착판(120)에 형성된 수직판(130)의 구멍(132)을 통하여 FRP판(110)의 고정 정착구(112)를 끼워서 FRP판(110)을 긴장시키고,
    상기 수직판(130)과 상기 구멍(132)에 삽입된 고정 정착구(112)의 마구리면(112a)의 사이의 FRP판(110)에는 외주면에 나사산(142a)(142b)이 형성된 2분할 볼트(140a,140b)를 배치하고,
    상기 2분할 볼트(140a,140b)의 외면에 길이조정너트(150)를 나사결합시켜 수직판(130)에 지지하도록 하여 FRP판(110)의 긴장력을 정착시키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판 정착장치를 이용한 에프알피 판 긴장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분할 볼트(140a,140b)와 길이조정너트(150)는 상기 길이조정너트(150)를 회전시켜 2분할 볼트(140a,140b)의 축방향 이동을 통하여 FRP판(110)의 긴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FRP판 정착장치를 이용한 에프알피 판 긴장방법.
KR1020080125114A 2008-12-10 2008-12-10 에프알피 판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프알피 판 긴장방법 KR101011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114A KR101011376B1 (ko) 2008-12-10 2008-12-10 에프알피 판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프알피 판 긴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114A KR101011376B1 (ko) 2008-12-10 2008-12-10 에프알피 판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프알피 판 긴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697A true KR20100066697A (ko) 2010-06-18
KR101011376B1 KR101011376B1 (ko) 2011-01-28

Family

ID=4236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114A KR101011376B1 (ko) 2008-12-10 2008-12-10 에프알피 판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프알피 판 긴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3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5767A (zh) * 2016-02-17 2016-04-27 深圳大学 提高frp加固结构延性和frp利用率的方法及装置
CN107059663A (zh) * 2017-06-19 2017-08-18 桂林理工大学 一种利用预应力frp布加固钢筋混凝土墩柱的装置
CN111851864A (zh) * 2020-07-13 2020-10-30 郝中亮 一种碳纤维板锚具
CN112376447A (zh) * 2020-11-24 2021-02-19 天津市公路工程总公司 一种预应力张拉锚固设备
US11186991B2 (en) * 2018-10-31 2021-11-30 Shenzhen University Early warning device and ductility control method for prestressed FRP reinforced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866B1 (ko) * 2015-01-23 2016-08-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데크 단부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646865B1 (ko) * 2015-01-23 2016-08-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538Y1 (ko) * 1999-09-28 2000-03-15 주식회사퓨트로닉 자동구급통보시스템
KR100489373B1 (ko) * 2003-03-06 2005-05-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부착식 에폭시 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 방법 및그에 사용되는 시트 정착장치
KR20070003424A (ko) * 2005-07-01 2007-01-05 주식회사 엠텍 다각기둥 형상의 섬유보강플라스틱 텐던 및 그 정착구
KR100719959B1 (ko) 2006-10-26 2007-05-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물 보강용 긴장장치를 이용한 구조물보강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5767A (zh) * 2016-02-17 2016-04-27 深圳大学 提高frp加固结构延性和frp利用率的方法及装置
CN105525767B (zh) * 2016-02-17 2017-08-08 深圳大学 提高frp加固结构延性和frp利用率的方法
CN107059663A (zh) * 2017-06-19 2017-08-18 桂林理工大学 一种利用预应力frp布加固钢筋混凝土墩柱的装置
US11186991B2 (en) * 2018-10-31 2021-11-30 Shenzhen University Early warning device and ductility control method for prestressed FRP reinforced structure
CN111851864A (zh) * 2020-07-13 2020-10-30 郝中亮 一种碳纤维板锚具
CN111851864B (zh) * 2020-07-13 2021-12-28 吉林国兴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碳纤维板锚具
CN112376447A (zh) * 2020-11-24 2021-02-19 天津市公路工程总公司 一种预应力张拉锚固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1376B1 (ko) 201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376B1 (ko) 에프알피 판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프알피 판 긴장방법
KR200437568Y1 (ko) 일체형 본체볼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KR100719959B1 (ko) 구조물 보강용 긴장장치를 이용한 구조물보강방법
CN1699710A (zh) 预应力纤维增强塑料板材锚固装置及配套使用的张拉推架
CN111219014B (zh) 使用双腹板的中空复合梁及其构造方法
KR20110095620A (ko) 긴장 및 재긴장이 가능한 긴장장치
JP2007192011A (ja) 構造物のケーブル定着構造および該ケーブル定着構造におけるケーブルの張力調整方法
WO2020087887A1 (zh) 预应力frp加固结构的预警装置及延性调控方法
KR20100057446A (ko) 수직 구조체 전도 방지 장치
KR20080006053U (ko) 거푸집 지지장치
KR200352048Y1 (ko) 빔 하부 강선곡선배치 방법을 이용한 빔 보강장치
KR100400980B1 (ko) 강선을 이용한 교각 보강공법 및 그 장치
KR100734169B1 (ko) 긴장력 조절이 가능한 유지관리용 정착구가 구비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CN110805205B (zh) 混凝土结构塑性铰区纵筋防屈曲装置
KR100465439B1 (ko) 강재 정착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KR100637849B1 (ko) 빔 하부 강선곡선배치 방법을 이용한 빔 보강공법 및 그 보강장치
KR20040062485A (ko) 잭킹유닛을 이용한 구조부재(보, 슬래브)의 포트스텐셔닝 보강공법
KR200198275Y1 (ko) 거푸집 경사 받침대
KR200274922Y1 (ko) 강재 정착장치
JP4933229B2 (ja) 耐震補強構造
KR102405376B1 (ko) 2중 정착 기능을 갖는 케이블 정착구
CN209855046U (zh) 后置预应力调节装置及预应力梁
KR20020039640A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외부 포스트텐션을위한 나사식 텐던 긴장장치
KR100686467B1 (ko) 포스트텐션 연속보(큰 보 또는 작은 보) 보강공법
KR200274881Y1 (ko) 피에스 강선으로 보강된 스틸 박스 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