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993B1 - 인장커플러 및 그를 이용한 인장봉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인장커플러 및 그를 이용한 인장봉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993B1
KR100351993B1 KR1019990057482A KR19990057482A KR100351993B1 KR 100351993 B1 KR100351993 B1 KR 100351993B1 KR 1019990057482 A KR1019990057482 A KR 1019990057482A KR 19990057482 A KR19990057482 A KR 19990057482A KR 100351993 B1 KR100351993 B1 KR 100351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rod
buckle
lock nut
tens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5437A (ko
Inventor
박유복
Original Assignee
박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복 filed Critical 박유복
Priority to KR1019990057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993B1/ko
Publication of KR20000075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9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6Turnbuck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왼나사(2)가 형성된 제1인장봉(1) 및 오른나사(2')가 형성된 제2인장봉(1')에, 왼나사(2) 및 오른나사(2')가 관통되도록 나사결합된 제1,2로크너트(4)(4'); 왼나사(2)가 및 오른나사(2')와 나사결합되어 그 제1인장봉(1)과 제2인장봉(1')을 연결하는 버클(3); 및 제1로크너트(4)와 제2로크너트(4') 사이에 소정의 인장력을 인가함으로써, 버클(3)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인장수단(B)을 포함한다. 또한, 인장봉 연결방법은, 트러스(23)에 연결되며 왼나사(2)가 형성된 제1인장봉(1)과 중량물(24)에 연결되며 오른나사(2')가 형성된 제2인장봉(1')에, 각각 왼나사(2) 및 오른나사(2')가 관통되도록 제1,2로크너트(4)(4')를 나사결합시키는 로크너트 결합단계(S2); 왼나사(2)와 오른나사(2')와 나사결합되는 버클(3)을 이용하여 그 제1인장봉(1)과 제2인장봉(1')을 연결하는 버클연결단계(S3); 제1로크너트(4)와 제2로크너트(4') 사이에 소정의 인장력을 인가함으로써 버클(3)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인장력인가단계(S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인장커플러를 채용하는 것에 의하여, 큰 인장력이 인가되는 인장봉을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인장커플러 및 그를 이용한 인장봉 연결방법{A tension coupler and method for coupling tension ba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특히 대형 철골 구조로 이루어지는 옥내외 구조물(서스펜싱(suspensing), 캔틸레버(cantilever), 롱 스판 트러스(long span truss)등)을 지지하는 인장봉을 다른 인장봉과 연결하기 위한 인장커플러 및 인장봉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큰 중량의 철골 중량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지주를 세우고, 그 철골 중량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고강력 인장봉을 사용하며, 이러한 인장봉의 직경은 통상적으로 수십 mm 에서 수백 mm 까지 다양하다. 인장봉은 철골 중량물 또는 지주와 연결되는데, 인장봉에는 철골 중량물의 중량에 의해 큰 인장력이 인가되고, 또한 인장봉 자체의 중량에 의하여 인장봉과 인장봉을 적절히 연결시키기가 까다롭다.
이러한 인장봉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서, 버클이 채용되고 있는데, 버클은 그 내부에 오른나사 및 왼나사가 형성된 관통공이 마련되어 있고, 버클에 인장봉의 단부가 나사결합됨으로써 인장봉과 인장봉은 상호 연결된다. 인장봉과 인장봉을 상호 연결한 버클은, 이후 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인장봉과 다른 인장봉을 잡아당김으로써 양 인장봉에 소정이 인장력이 인가되도록 한다.
그런데, 철골 중량물의 중량이나 인장봉 자체의 중량에 의하여 인장봉은 버클에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버클의 나사와 인장봉의 나사 사이에는 큰 마찰력이 작용된다. 인장봉과 인장봉을 잡아당기기 위하여 버클을 회전시켜야 하는데 상기와 같은 마찰력에 의하여 버클을 회전시키기가 어렵게 되고, 따라서 인장봉과 인장봉에 소정의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잡아당기기가 어렵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리를 건설함에 있어서, 교각을 세우고 그 교각 사이에 교량을 설치하며, 교량의 상부에는 트러스가 설치된다. 상기 교량의 중량은 상당하므로 중량을 트러스로 분산시켜야 하는데, 이렇게 하기 위하여 트러스와 교량 사이에 두꺼운 강철빔(H 빔, 또는 □ 빔)을 볼트나 너트등을 이용하여 연결시킨다.
그런데, 트러스와 교량을 강철빔으로 연결할 경우에, 교량 및 트러스 사이에 설치되는 강철빔은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므로, 교량과 트러스 사이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가 없다. 즉, 교량의 중량을 적절하게 트러스로 분산시킬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지진등과 같은 외부의 요인에 의하여 교량이 안전하게 유지될 수 없다. 또한, 강철빔의 두께는 매우 두꺼우므로 시야를 가리는 면적이 크다. 따라서, 교량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큰 인장력이 인가된 인장봉과 다른 인장봉을 연결시킴과 동시에, 그 인장봉에 소정의 인장력이 인가될 수 있도록 용이하게 잡아당길 수 있는 인장커플러 및 그를 이용한 인장봉 연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장커플러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인장커플러의 구성단면도,
도 3은 도 1의 인장커플러가 다리 건축물에 채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인장커플러가 지붕 건축물에 채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인장봉 연결방법의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제1,2인장봉 2, 2' ... 왼나사, 오른나사
3 ... 버클 4, 4' ... 제1,2로크너트
6, 6' ... 제1,2인장대 7, 7' ... 유압실린더
7a, 7a' ... 실린더봉 8, 8' ... 연결구
9, 9' ... 축핀 10 ... 유압잭
11 ... 레버 12 ... 유압게이지
B ... 인장수단 20, 21 ... 교각
23 ... 트러스 24 ... 교량
30 ... 지붕 31 ... 지지기둥
32, 32' ... 인장봉 33 ... 버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장커플러는, 왼나사(2)가 형성된 제1인장봉(1) 및 오른나사(2')가 형성된 제2인장봉(1')에, 상기 왼나사(2) 및 오른나사(2')가 관통되도록 나사결합된 제1,2로크너트(4)(4'); 상기 왼나사(2)가 및 오른나사(2')와 나사결합되어 그 제1인장봉(1)과 제2인장봉(1')을 연결하는 버클(3); 및 상기 제1로크너트(4)와 제2로크너트(4') 사이에 소정의 인장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버클(3)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인장수단(B)을 포함한다.
상기 인장수단(B)은, 상기 제1로크너트(4) 및 제2로크너트(4')의 외측에 설치되어 그 제1,2로크너트(4)(4')에 걸치어지는 제1,2인장대(6)(6')와; 상기 제1,2인장대(6)(6') 사이에 설치되어, 그 제1,2인장대(6)(6')를 인장하기 위한 유압실린더(7)(7')와; 상기 제1인장대(6)와 제2인장대(6')를 인장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압실린더(7)(7')에 유압을 인가하는 유압잭(1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인장수단(B)은, 상기 유압실린더(7)(7')와 연결되어 그 유압실린더에 인가되는 유압을 표시하는 유압게이지(12);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장봉 연결방법은, 적어도 한쌍의 교각(20)(21)에 중량물(24)이 지지되고 그 중량물(24)의 상부에 트러스(23)가 설치되어, 상기 트러스(23)가 하부에 위치되는 중량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트러스(23)와 상기 중량물(24)을 연결하는 인장봉 연결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23)에 연결되며 왼나사(2)가 형성된 제1인장봉(1)과 상기 중량물(24)에 연결되며 오른나사(2')가 형성된 제2인장봉(1')에, 각각 상기 왼나사(2) 및오른나사(2')가 관통되도록 제1,2로크너트(4)(4')를 나사결합시키는 로크너트 결합단계(S2); 상기 왼나사(2)와 오른나사(2')와 나사결합되는 버클(3)을 이용하여 그 제1인장봉(1)과 제2인장봉(1')을 연결하는 버클연결단계(S3); 상기 제1로크너트(4)와 제2로크너트(4') 사이에 소정의 인장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버클(3)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인장력인가단계(S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인장력인가단계(S4)는, 상기 제1로크너트(4) 및 제2로크너트(4')의 외측에 제1,2인장대(6)(6')를 결합시키는 인장대설치단계(S5); 상기 제1,2인장대(6)(6') 사이에 유압실린더(7)(7')를 결합시키는 실린더 결합단계(S6); 상기 유압실린더(7)(7')에 인가되는 유압을 측정하면서 상기 유압실린더(7)(7')에 유압을 인가하는 유압확인단계(S7);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2인장대(6)(6'), 유압실린더(7)(7')를 제거하는 인장대 및 유압실린더제거단계(S8)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장커플러 및 그를 이용한 인장봉 연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장커플러의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장커플러의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장커플러는 왼나사(2)가 형성된 제1인장봉(1)과 오른나사(2')가 형성된 제2인장봉(1')에 설치되는데, 인장커플러는 제1,2로크너트(4)(4'), 버클(3) 및 인장수단(B)을 포함한다.
제1,2로크너트(4)(4')는 왼나사(2) 및 오른나사(2')가 관통되도록 나사결합된다.
버클(3)은 제1,2인장봉(1)(1')을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버클(3)을 공지된 것으로서, 그 내부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 왼나사(2) 및 오른나사(2')에 대응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버클(3)은 왼나사(2) 및 오른나사(2')에 제1,2로크너트(4)(4')가 설치된 상태에서, 왼나사(2)가 및 오른나사(2')의 단부가 나사결합된다.
인장수단(B)은 제1로크너트(4)와 제2로크너트(4') 사이에 소정의 인장력을 인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1,2인장봉(1)(1')에 인장력을 인가하고, 이에 따라 버클(3)을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2인장봉(1)(1')에 큰 중량이 걸려 있을 경우에 버클(3)을 회전시키기가 어려우므로, 제1,2인장봉(1)(1')을 잡아당김으로써, 버클(3)을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인장수단(B)은 제1인장봉(1) 및 제2인장봉(1')을 감싸며 제1로크너트(4) 및 제2로크너트(4')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1,2인장대(6)(6')와, 제1,2인장대(6)(6') 사이에 설치되어 그 제1,2인장대(6)(6')를 인장하기 위한 2 개의 유압실린더(7)(7')를 포함한다. 유압실린더(7)(7')는 유압잭(10)과 연결되어 있는데, 유압잭의 레버(11)를 상하 운동시킴으로써 유압실린더(7')(7')에 유압이 인가되도록 한다. 이러한 유압실린더(7)(7') 또는 유압잭(10)에는 유압게이지(12)가 설치되는데, 유압게이지(12)는 유압실린더(7)(7')에 인가되는 유압을 표시함으로써 제1,2인장봉(1)(1') 사이에 인가되는 인장력이 얼마인지를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2인장봉에 인가되어야 할 인장력이 정해질 경우에는, 유압게이지(12)를 확인하면서 유압실린더의 레버를 상하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1,2인장봉에 정확한 인장력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유압실린더(7)(7')는 실린더봉(7a)(7a')이 본체의 양방향에서 출몰되는 양방향 실린더를 채용하고 있다. 실린더봉(7a)(7a')의 축단에는 연결구(8)(8')를 마련되고 연결구(8)(8') 양측으로 제1,2인장대(6)(6')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축핀(9)(9')을 이용하여 제1,2인장대(6)(6') 및 연결구(8, 8')를 관통시키면 실린더(7, 7')는 제1,2인장대(6)(6')에 설치된다. 이러한 실린더의 체결구조는 매우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실린더의 양측단에 고리를 형성하고, 그 고리가 결합되는 고리홈을 제1,2인장대에 마련하게 되면, 별도의 핀을 마련하지 않고도 실린더와 인장봉을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와 제1,2인장대의 체결구조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인장커플러는, 제1,2인장봉(1)(1')을 버클(3)로 임시 체결한 후에, 유압잭(10)을 구동하여 유압실린더(7)(7')에 유압을 인가하면 실린더봉이 본체에 몰입됨으로써 제1,2인장대(6)(6')를 잡아당기고, 이에 따라 제1,2인장대(6)(6')는 제1,2로크너트(4)(4')를 잡아당기게 한다. 그러면, 제1,2인장봉(1)(1')에 의하여 버클(3)에 인가되는 마찰력이 작아지게 되어 버클(3)이 보다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유압게이지(12)에 의하여 유압실린더에 인가되는 유압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제1,2인장봉(1)(1')에 인가되는 인장력이 얼마인지를 체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제1,2인장봉(1)(1')에 소정의 인장력이 인가될 수 있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1,2인장봉(1)(1')이 버클(3)에 의하여 충분히 인장되면,유압실린더(7)(7')에 인가된 유압을 해지한다. 그러면, 실린더봉은 본체에서 돌출되면서 유압실린더(7)(7')에 인가되는 인장력이 0 이 된다. 이 상태에서 유압실린더는 제1,2인장대(6)(6')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제1,2인장대(6)(6')도 제1,2인장봉(1)(1')으로부터 분리한다.
다음,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인장커플러를 이용한 인장봉 연결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인장커플러가 다리 건축물에 채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2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적어도 한쌍의 교각(20)(21)이 마련되어 있고, 큰 중량의 중량물, 예컨대 교량(24)이 교각(20)과 교각(21) 사이에 지지되어 있으며, 트러스(23)가 교량(24)의 상부에 원호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교량(24)의 무게는 상당하므로, 교량의 무게를 트러스(23)에 정확하게 부담지우기 위하여 교량(24)과 트러스 사이(23)를 제1,2인장봉(1)(1')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트러스(23)와 교량(24) 사이에 여러개의 인장봉이 연결되고, 교량(24)의 무게를 트러스(23)에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하여 인장봉에 인가되는 인장력을 미리 계산한다. 인장봉에 이러한 인장력이 인가되도록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장봉을 연결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트러스(23)에 왼나사(2)가 형성된 제1인장봉(1)을 연결하고, 오른나사(2')가 형성된 제2인장봉(1')을 교량(24)에 연결시키는 단계(S1)를 수행한다.
다음, 왼나사(2)가 관통되도록 제1로크너트(4)를 나사결합시키고,오른나사(2')가 관통되도록 제2로크너트(4')를 나사결합시키는 로크너트 결합단계(S2)를 수행한다.
다음, 양단에 왼나사 홈(미도시)과 오른나사 홈(미도시)이 형성된 버클(3)로 상기 왼나사(2)와 오른나사(2')를 상호 연결하는 버클연결단계(S3)를 수행한다.
다음, 제1로크너트(4)와 제2로크너트(4') 사이에 소정의 인장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버클(3)을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인장력인가단계(S4)를 수행한다.
이러한 인장력인가단계(S4)는, 인장대설치단계(S5), 유압실린더결합단계(S6), 유압확인단계(S7)를 포함한다.
상기 인장대설치단계(S5)는 제1로크너트(4)와 제2로크너트(4') 외측의 제1,2인장봉(1)(1')에 제1,2인장대(6)(6')를 설치하는 단계로서, 이때 제1,2인장대(6)(6')가 제1로크너트(4) 및 제2로크너트(4')에 걸치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유압실린더결합단계(S6)는, 제1,2인장대(6)(6') 사이에 유압잭(10)과 연결된 유압실린더(7)(7')를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유압확인단계(S7)는, 유압실린더(7)(7')에 인가되는 유압을 유압게이지(12)를 통하여 확인하면서 유압잭(10)의 레버를 작동하여 유압실린더(7)(7')에 유압을 인가시키는 단계이다. 유압실린더(7)(7')에 유압을 형성하여 제1,2인장대(6)(6')를 잡아당김에 따라 제1,2로크너트(4)(4')가 제1,2인장봉(1)(1')을 잡아당기고, 이에 따라 버클과 인장봉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작아지게 되어 버클(3)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유압실린더에 의한 제1,2인장대의 잡아당김과 버클의 회전을 정량적으로 수행함에 다라 점차로 제1,2인장봉을 잡아당길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단계를 통하여 인장봉에 소정의 인장력이 인가되면, 버클(3)의 회전을 멈추고, 제1,2인장대(6)(6'), 유압실린더(7)(7')를 제거하는 인장대 및 유압실린더 제거단계(S8)를 수행하면 트러스(23)와 교량(24) 사이의 인장봉 연결이 완성된다.
도 4는 도 1의 인장커플러가 지붕 건축물에 채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도 1,2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인장커플러는, 교량뿐만 아니라 지붕등을 설치할 때에도 사용되며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 구조물로 지붕(30)등을 구성한 상태에서 그 지붕(30)의 균형을 잡거나 소망하는 상태로 인장하여 평행상태를 유지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그 지붕(30)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기둥(31)을 가설한다. 이후, 지지기둥(31)에 지붕(30)의 일단을 연결하고 지붕(30)의 타단을 인장봉(32)과 버클(33)을 이용하여 지지기둥(31)의 상단과 연결한다.
한편, 경사진 지지기둥(31)에는 지붕(30)이 설치된 방향으로 큰 토오크가 인가되어 있으므로, 그 토오크를 상쇄하기 위하여 지붕(30)과 반대방향의 지면에 지지기둥(31)의 상단을 제1,2인장봉(1)(1')으로 연결하여야 한다. 이때, 제1,2인장봉(1)(1')에는 큰 인장력이 인가되므로 상술한 인장커플러를 이용하여 연결하여야 한다.
먼저, 제1,2인장봉의 제1,2인장봉(1)(1')을 버클(3)로 임시 체결한 후에, 유압잭(10)을 구동하여 유압실린더(7)(7')에 유압을 인가한다. 그러면, 실린더봉이 본체에 몰입됨으로써 제1,2인장대(6)(6')를 잡아당기고, 이에 따라 제1,2인장대(6)(6')는 제1,2로크너트(4)(4')를 잡아당기게 한다. 이때, 제1,2인장봉(1)(1')에 의하여 버클(3)에 인가되는 마찰력이 작아지게 되어 버클(3)을 작은 힘으로 보다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유압게이지(12)에 의하여 유압실린더에 인가되는 유압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제1,2인장봉(1)(1')에 인가되는 인장력이 얼마인지를 체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제1,2인장봉(1)(1')에 소정의 인장력이 인가될 수 있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한 인장커플러는 32, 32' 인장봉을 연결할 때에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인장봉과 인장봉을 연결한 후에, 도 5에 도시된 방법에 의하여 인장대 및 실린더를 제거하면 지붕 건축물이 완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장커플러를 이용하여 인장봉에 인가되는 무게를 감안하여 여러번 나누어서 인장함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인장된 상태에서 버클을 회전시키게 되면 작은 힘으로도 소망하는 대로 중량물의 균형을 잡거나 소망하는 값으로서 인장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인장커플러에 의하여 교량과 트러스를 연결시키면, 인장봉에 소정의 인장력이 인가되도록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교량의 중량을 트러스에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고, 따라서, 교량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 중량이 트러스에 분사되므로, 강력한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큰 내진성을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달리, 두꺼운 강철빔을 사용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매우 가는 인장봉을 사용함으로써, 만들어진 교량의 미관이 수려하게 된다.
그리고, 인장봉에 인가되는 인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수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알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장커플러를 채용함으로써, 큰 인장력이 인가된 인장봉과 다른 인장봉을 연결시키고, 그 인장봉들을 잡아당김과 동시에 버클을 회전시킴으로서 인장봉의 잡아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큰 인장력이 인가되는 인장봉을 보다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트러스와 교량을 인장봉으로 연결할 경우에, 인장커플러를 이용하여 교량의 중량을 트러스로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다리 건축물을 보다 견고하게 만들 수 있고, 종래와 같이 두꺼운 강철빔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다리 건축물의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한편, 인장커플러를 지붕 건축물을 제작에 이용할 경우에는, 지지기둥에 큰 토오크가 인가되더라도, 그 지지기둥을 지면과 견교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왼나사(2)가 형성된 제1인장봉(1) 및 오른나사(2')가 형성된 제2인장봉(1')에, 상기 왼나사(2) 및 오른나사(2')가 관통되도록 나사결합된 제1,2로크너트(4)(4');
    상기 왼나사(2)가 및 오른나사(2')와 나사결합되어 그 제1인장봉(1)과 제2인장봉(1')을 연결하는 버클(3); 및
    상기 제1로크너트(4)와 제2로크너트(4') 사이에 소정의 인장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버클(3)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인장수단(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수단(B)은,
    상기 제1로크너트(4) 및 제2로크너트(4')의 외측에 설치되어 그 제1,2로크너트(4)(4')에 걸치어지는 제1,2인장대(6)(6')와;
    상기 제1,2인장대(6)(6') 사이에 설치되어, 그 제1,2인장대(6)(6')를 인장하기 위한 유압실린더(7)(7')와;
    상기 제1인장대(6)와 제2인장대(6')를 인장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압실린더(7)(7')에 유압을 인가하는 유압잭(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커플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수단(B)은,
    상기 유압실린더(7)(7')와 연결되어 그 유압실린더에 인가되는 유압을 표시하는 유압게이지(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커플러.
  4. 적어도 한쌍의 교각(20)(21)에 중량물(24)이 지지되고 그 중량물(24)의 상부에 트러스(23)가 설치되어, 상기 트러스(23)가 하부에 위치되는 중량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트러스(23)와 상기 중량물(24)을 연결하는 인장봉 연결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23)에 연결되며 왼나사(2)가 형성된 제1인장봉(1)과 상기 중량물(24)에 연결되며 오른나사(2')가 형성된 제2인장봉(1')에, 각각 상기 왼나사(2) 및 오른나사(2')가 관통되도록 제1,2로크너트(4)(4')를 나사결합시키는 로크너트 결합단계(S2);
    상기 왼나사(2)와 오른나사(2')와 나사결합되는 버클(3)을 이용하여 그 제1인장봉(1)과 제2인장봉(1')을 연결하는 버클연결단계(S3);
    상기 제1로크너트(4)와 제2로크너트(4') 사이에 소정의 인장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버클(3)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인장력인가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봉 연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인가단계(S4)는,
    상기 제1로크너트(4) 및 제2로크너트(4')의 외측에 제1,2인장대(6)(6')를 결합시키는 인장대설치단계(S5);
    상기 제1,2인장대(6)(6') 사이에 유압실린더(7)(7')를 결합시키는 실린더 결합단계(S6);
    상기 유압실린더(7)(7')에 인가되는 유압을 측정하면서 상기 유압실린더(7)(7')에 유압을 인가하는 유압확인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봉 연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인장대(6)(6'), 유압실린더(7)(7')를 제거하는 인장대 및 유압실린더제거단계(S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봉 연결방법.
KR1019990057482A 1999-05-04 1999-12-14 인장커플러 및 그를 이용한 인장봉 연결방법 KR100351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482A KR100351993B1 (ko) 1999-05-04 1999-12-14 인장커플러 및 그를 이용한 인장봉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07493 1999-05-04
KR2019990007493 1999-05-04
KR1019990057482A KR100351993B1 (ko) 1999-05-04 1999-12-14 인장커플러 및 그를 이용한 인장봉 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437A KR20000075437A (ko) 2000-12-15
KR100351993B1 true KR100351993B1 (ko) 2002-09-12

Family

ID=2663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482A KR100351993B1 (ko) 1999-05-04 1999-12-14 인장커플러 및 그를 이용한 인장봉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9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017B1 (ko) * 2002-10-17 2005-05-17 박유복 처짐보 보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21668B (zh) * 2018-02-02 2023-11-24 柳州桂桥缆索有限公司 一种可调式建筑工程用拉索及其张拉方法
CN108639927B (zh) * 2018-06-06 2024-01-23 运达能源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风电机组大型主轴承热套预紧装置
CN113062560A (zh) * 2021-03-25 2021-07-02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狭窄竖直风道内多节风管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017B1 (ko) * 2002-10-17 2005-05-17 박유복 처짐보 보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437A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454306B (zh) 一种拱形结构整体提升施工方法及装置
US3585771A (en) Connecting precast concrete structural members
CN107842210A (zh) Cfrp板多点支撑预应力加固的结构组件及其预应力施加方法
CN110042767B (zh) 一种缆索吊装系统的扣索锚固方法
CN113700308A (zh) 一种车幅式索承网格结构逆作施工方法
KR100351993B1 (ko) 인장커플러 및 그를 이용한 인장봉 연결방법
CN104900136B (zh) 一种试验用斜拉桥及安装方法
CN2492631Y (zh) 预应力自平衡索桁架
Krishnan Cable-stayed columns and their applications in building structures
CN109235924B (zh) 预应力frp加固结构的双杆预警装置及延性调控方法
US20210131105A1 (en) Early warning device and ductility control method for prestressed frp reinforced structure
CN2603145Y (zh) 张弦梁
CN102913001A (zh) 一种用于建筑结构构件卸载的支撑机构及其使用方法
CN209817203U (zh) 一种外倾式点驳全玻璃幕墙拉索固定装置
KR100707726B1 (ko) 활의 원리를 이용한 비-케이블(B-Cable)장스팬 및이의 시공방법
CN208155576U (zh) 一种栏杆抗水平荷载性能检测装置
KR102394128B1 (ko) 설하중에 강한 케이블 보강형 막구조물
CN220643908U (zh) 一种墩梁支座固定的临时结构
KR102427958B1 (ko) 풍하중에 강한 케이블 보강형 막구조물
CN115961801B (zh) 一种门式钢架的主动加固方法
CN219864360U (zh) 一种无预埋大型景观钢结构柱临时支撑装置
KR20040062485A (ko) 잭킹유닛을 이용한 구조부재(보, 슬래브)의 포트스텐셔닝 보강공법
CN114809704B (zh) 一种收紧式体外预应力cfrp材料加固体系及施工方法
CN220099697U (zh) 一种具有加固效果的桥梁拉索结构
KR200370935Y1 (ko) 장력 조정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