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342A - 미니윈치 - Google Patents

미니윈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6342A
KR20100066342A KR1020090093992A KR20090093992A KR20100066342A KR 20100066342 A KR20100066342 A KR 20100066342A KR 1020090093992 A KR1020090093992 A KR 1020090093992A KR 20090093992 A KR20090093992 A KR 20090093992A KR 20100066342 A KR20100066342 A KR 20100066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motor
winch
planetary gea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5892B1 (ko
Inventor
오성국
Original Assignee
오성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국 filed Critical 오성국
Publication of KR20100066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2Planetary or differential gearings, i.e. with planet gears having movable axes of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25Motor operated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니윈치(1000)는 모터(600)가 내장되는 케이스(100)를 가진다.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에는 상기 모터(600)에 대하여 직렬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내부가 공동인 드럼(300)이 설치된다. 상기 드럼(300)의 내부공동부(S)에는 상기 모터(600)와 직렬로 연결되고 그 출력축(880)은 상기 드럼(300)과 결합된 감속기(800)가 설치된다.
윈치, 감속기, 드럼, 모터

Description

미니윈치{Mini winch}
본 발명은 미니윈치(mini winch)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경량으로 작업현장에서 들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용 윈치에 관한 것이다.
윈치는 동력부와 연결된 드럼을 가져 상기 드럼이 회전하면서 로프 또는 와이어 등을 감아 끌어당기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윈치는 전력공급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하여 사용 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로프에 여러 가닥의 케이블을 묶고 상기 로프를 윈치가 끌어 케이블을 포설하게 된다.
이러한 케이블의 포설용 윈치는 선박건조 또는 건축현장 등에서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윈치는 휴대가 용이할수록 바람직하다. 이러한 휴대의 용이성과 관련되어 윈치는 그 부피가 작고 경량이면서 동시에 그 무게중심이 잘 맞을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복잡한 포설현장에서 쉽게 들고 다니면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종래 케이블 포설용 윈치는 프레임의 상부에 동력전달케이스가 제공되고 상기 동력전달케이스의 일면에 드럼부가 설치되며 반대 면에 모터부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들 드럼부와 모터부는 상호간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동력 전달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드럼의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가 설치된다. 이러한 동력전달기구는 기어기구이거나 또는 체인기구로서 모터의 동력을 상기 드럼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종래의 윈치의 경우, 상기 모터부와 드럼부가 상호간에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어, 로프 등을 견인할 때 이들 모터부와 드럼부의 상호간의 자중으로 인하여 윈치를 회전시키는 모멘트(moment)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모멘트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하여 윈치의 자중을 최대한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윈치의 무게는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터부와 드럼부가 상호간에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윈치의 무게중심은 분산되고 또한 부피가 증대되며, 이에 따라 들기가 어렵고 매우 불편해진다.
이러한 윈치의 예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397114-0000의 선박케이블 포설용 윈치 또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434100-0000의 선박케이블 포설용 윈치에서 보인다.
이중 상기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434100-0000의 선박케이블 포설용 윈치는 감속기를 동력전달케이스에서 상기 드럼이 설치된 면과 동일한 면에 설치하여 전술한 모멘트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경량화를 꾀하고 있으나, 이 경우도 무게중심은 분산되고 부피가 큰 문제는 여전히 상존하며 더불어 그 무게를 일반 작업자가 들고 다닐 정도로 경량화 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일반 작업자 일인이 용이하게 들고 다니 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그 무게와 부피 및 무게중심을 잘 맞출 수 있는 미니윈치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포설용 윈치에 있어서 그 부피와 무게를 줄이고 무게중심이 잘 맞아 휴대가 간편한 미니윈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윈치의 드럼내부의 공간에 유성기어감속기를 설치함에 있어서, 링기어의 파손을 막으며 드럼내부의 공간을 온전히 활용하여 전체부피를 줄일 수 있는 휴대가 간편한 미니윈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란 본 발명은 모터가 내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서 상기 모터에 대하여 직렬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내부에 내부공동부가 형성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부공동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터와 직렬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고, 그 출력축은 상기 드럼과 결합되며, 그 링기어는 회전이 고정되며, 상기 드럼의 내부공동부의 내면과 상기 링기어의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장착되는 유성기어감속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윈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유성기어감속기의 출력축은 상기 드럼의 내부공동부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유성기어감속기의 출력축은 상기 유성기어감속기의 캐 리어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링기어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고정된 고정판에 고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링기어의 내부에 다단의 선기어, 피니온 및 캐리어 결합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종래와 달리 동력전달기구를 내장하는 동력전달케이스를 가지지 않아 전체적으로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모터와 드럼이 직렬로 배치되면서 상기 드럼의 내부공동부에 상기 모터와 직렬로 연결되는 감속기가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컴팩트한 배치를 이루게 되며, 이에 따라 그 부피가 크게 감소하게 된다. 나아가서, 윈치에 있어서 무게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모터와 감속기가 드럼과 더불어 일렬로 배치되어, 그 무게중심이 분산되지 않고 모터로부터 감속기를 지나 드럼을 따른 일렬 상에 위치하게 되어 쉽게 드는 것이 가능해지며 편하게 들고 다닐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유성기어감속기의 링기어의 내부의 선기어와 캐리어 및 피니온기어가 일체로 동력전달축과 같은 역할을 하며, 링기어는 상기 드럼의 내부공동부와 베어링을 개재하여 고정설치되어 드럼에 감기는 케이블의 압착력에도 불구하고 파손의 염려가 없다. 또한 이 경우, 유성기어감속기가 드럼의 내부공간을 온전히 활용하여 장착되는 것으로서 불필요한 부피의 증가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니윈치(1000)의 전면사시도를 보인다.
도 1을 참고로, 먼저 상기 미니윈치(1000)는 케이스(100)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상면과 양측면이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120)가 제공되고, 이러한 케이스 본체(120)의 전면과 후면 및 바닥면에 각각 전면판(130), 후면판(140) 및 바닥판(15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판(130), 후면판(140) 및 바닥판(150)은 상기 케이스본체(120)에 나사(8)를 통하여 결합되고 있다.
후술하듯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모터(600)가 내장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에는 인입되는 로프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200)가 설치되고 다시 그 전면에는 드럼(300)이 설치된다.
상기 드럼(300)은 그 전면으로부터 안쪽으로 후퇴되어 전면부(39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부(398)에는 결합캡(320)이 결합되어 있다.
후술하듯, 상기 드럼(300)은 그 내부에 내부공간부(S)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부(S)에 유성기어감속기(800)가 내장되어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유성기어감속기(800)의 출력축(880)의 끝단에 형성되는 결합부(888)가 상기 드럼(300)의 전면부(398)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홈(380)에 결합이 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888)를 덮도록 상기 결합캡(320)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드럼(300)의 전면부(398)의 결합홈(380)은 상기 결합부(888)가 끼워지도록 상기 결합부(888)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4 참조)
상기 케이스(100)의 측면에는 조작판넬(180)이 설치되어 이를 통하여 상기 윈치(1000)의 작동을 조작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손잡이(11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미니윈치(1000)의 후면 사시도로서, 상기 후면판(150)에는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연결부(104)가 설치된다.
도 3은 상기 미니윈치(1000)의 분해사시도를 보인다.
도 3을 참고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모터(600)가 내장되고 있으며, 이러한 모터(600)는 상기 드럼(300)과 직렬방향으로 배치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판(130)과 후면판(150)은 그 중앙위치에서 상부로 연장된 연장부(134)(144)를 각각 가지며, 이들 연장부(134)(144)에는 결합공(1348)(1448)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10)는 그 양단측에 상기 연장부(134)(144)의 결합공(1348)(1448)에 대응되는 결합공(118)(118')이 각각 형성되어 이들 결합공(1348)(118)(1448)(118')을 관통하여 나사(18)가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110)는 상기 윈치(1000)의 상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120)의 전면의 주변두께부에는 결합공(158)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그 전면판(130)에 결합공(138)이 형성되어 이들 결합공(138)(158)을 관통하여 나사(8)가 결합되고 있는 것이 보인다.
도 4는 상기 윈치(1000)의 평면단면을 보이는 것으로서, 상기 드럼(300)과 유성기어감속기(800)와 모터(600)의 결합관계를 보인다. 또한 도 5는 상기 윈치(1000)의 전면과 후면에서의 단면을 보인다. 도 6에서 도 9는 상기 유성기어감속기(800)가 장착되는 구조를 보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고로, 우선, 상기 드럼(300)은 안쪽으로 후퇴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전면을 폐쇄하는 전면부(398)를 가지는데 상기 전면부(398)의 뒤쪽은 빈 공간으로서 내부공동부(S)를 형성한다.
상기 내부공동부(S)에 유성기어감속기(800)가 설치되는데 상기 유성기어감속기(800)는 상기 모터(600)와 직렬로 연결되고 있으며 상기 유성기어감속기(800)의 출력축(880)은 상기 드럼(300)과 결합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6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판(130)에 볼트(68)로 결합되는 모터지지판(650)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장착이 되며, 그 출력축(680)이 상기 유성기어감속기(800)의 입력부에 바로 결합된다.
상기 유성기어감속기(800)의 출력축(880)에는 결합부(888)가 형성되어 상기 드럼(300)의 전면부(398)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홈(380)에 결합이 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380)은 상기 감속기 출력축(880)의 형상에 대응한 형태를 가진다.
상기 감속기(800)는 그 전면에 커버(810)가 장착되고 상기 커버(810)와 상기 출력축(880)의 사이에는 베어링(329)이 설치된다.
상기 유성기어감속기(800)의 링기어(8400)는 그 회전이 고정되며 상기 링기어(8400)와 상기 드럼(300)의 내부공동부(S)의 내면의 사이에는 베어링(319)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모터지지판(650)에 상기 링기어(8400)가 볼트(8408)를 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링기어(8400)는 고정 설치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모터(600)가 작동하면 그 동력이 모터의 출력축(680)을 통하여 상기 유성기어감속기(800)로 전달되고, 상기 유성기어감속기(800)에서 감속되어 그 출력축(880)을 통하여 이와 결합된 드럼(300)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드럼(300)이 회전을 이루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링기어(8400)는 상기 드럼(300)의 내부공동부(S)의 내면과 바로 접하지 않으며 베어링(319)이 개재되는 것으로서, 상기 링기어(8400)는 상기 드럼(300)에 감기는 케이블의 압착력은 상기 베어링(319)이 받게 된다. 이에 따라서 고정설치되는 링기어(8400)는 파손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모터(600)와 직렬로 연결된 유성기어감속기(800)가 드럼(300)에 제공되는 내부공동부(S)에 배치되며, 이때, 그 출력축(880)은 드럼(300)과 일체로 결합되고, 링기어(8400)는 상기 드럼(300)의 내부공동부(S)의 내면과 베어링(319)을 개재하여 고정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링기어(8400)의 내부에 배치된 선기어, 피니온기어 및 캐리어 결합체(8300)가 하나의 동력전달축과 같이 작용을 하여 상기 드럼(300)을 회전시키며, 상기 고정설치된 링기어(8400)는 베어링(319)에 의하여 보호를 받아 파손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라 유성기어감속기(800)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드럼(300)의 내부공간(S)에서 무게의 편심이 없이 감속기(80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해지며, 또한, 모터(600)의 출력축(680)과 유성기어감속기(800)의 태양기어와 그 출력축(880)과 드럼(300)이 일렬로 배치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무게의 편심이 없이 일렬의 방향을 따라 무게가 집중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링기어(8400)내부의 선기어, 피니온기어 및 캐리어 결합체(8300)는 3단으로 구성이 되는데, 제1단(G1)은 캐리어(8011a)(8011b)가 제공되고 그 사이에 피니온기어(801)가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8011b)의 전면중심에 선기어(8010)가 출력단으로 설치된다. 상기 피니온기어(801)에 대하여 모터의 출력축(680)이 결합되어 제1단(G1)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제2단(G2)은 캐리어(8012a)(8012b)가 제공되고 그 사이에 피니온기어(802)가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8012b)의 전면중심에 선기어(8020)가 출력단으로 설치된다. 상기 피니온기어(802)에 대하여 상기 제1단(G1)의 선기어(8010)가 결합되어 동력이 전달된다.
제3단(G3)은 캐리어(8013a)(8013b)가 제공되고 그 사이에 피니온기어(803)가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8013b)의 전면중심에 유성기어감속기(800)의 출력축(880)이 설치된다. 상기 피니온기어(803)에 대하여 상기 제2단(G2)의 선기어(8020)가 결합되어 동력이 전달된다.
도 4를 참고로, 하부에는 상기 윈치(1000)의 조작판넬(180)이 보이는데, 인장메타(tension meter)를 표시하는 표시부(181)와, 운전스위치(182)와, 정지스위치(183)와, 전원스위치(184)와, 속도조절스위치(185)와, 그리고 인장메터조절스위치(186)가 설치된 것이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제어부(미도시)가 제공되어 상기 모터(600)의 전류를 조정하여 인장메터를 조절하고 또한 모터(600)의 전압을 조정하여 드럼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인장메터를 넘어서는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는 모터(600)의 전 원을 차단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내부가 공동인 드럼(300)을 제공하고 상기 드럼(300)과 직렬로 배치되는 모터(600)를 가지는 케이스(100)를 제공하며 이들 모터(600)와 드럼(300)의 사이에서 감속기(800)를 상기 드럼(300)의 내부공동부(S)에 배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종래와 달리 동력전달기구가 내장된 동력전달케이스가 불필요하게 되며, 그 만큼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부피가 감소된다. 또한 모터와 드럼이 직렬로 배치되면서 상기 드럼의 내부공동부에 상기 모터와 직렬로 연결되는 감속기가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컴팩트한 배치를 이루게 되며, 이에 따라 그 부피가 크게 감소하게 된다. 나아가서, 윈치에 있어서 상당한 무게부분을 차지하는 모터와 감속기가 드럼과 더불어 일렬로 배치되어 그 무게중심이 분산되지 않고 모터로부터 감속기를 지나 드럼을 따른 일렬 상에 위치하게 되어 쉽게 드는 것이 가능해지며 편하게 들고 다닐 수 있게 된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유성기어감속기의 링기어의 내부의 선기어, 피니온기어 및 캐리어 결합체(8300)가 일체로 동력전달축과 같은 역할을 하며, 링기어는 상기 드럼의 내부공동부와 베어링을 개재하여 고정설치되어 드럼에 감기는 케이블의 압착력에도 불구하고 파손의 염려가 없다. 이러한 경우 상기 드럼의 내부공동부를 온전히 활용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컴팩트한 구성으로 작은 부피로 경량화를 이루게 되며 또한 무게중심이 분산되지 않아 들고 다니면서 작업을 하기 용이하게 되는 것 이다.
이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그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니윈치의 외관을 보이는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미니윈치의 분해사시도;
도 4에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니윈치의 유성기어감속기의 설치구조를 보이는 도면.

Claims (5)

  1. (a) 모터가 내장되는 케이스와;
    (b)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서 상기 모터에 대하여 직렬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내부에 내부공동부가 형성되는 드럼과;
    (c) 상기 드럼의 내부공동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터와 직렬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고, 그 출력축은 상기 드럼과 결합되며, 그 링기어는 회전이 고정되며, 상기 드럼의 내부공동부의 내면과 상기 링기어의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장착되는 유성기어감속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윈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감속기의 출력축은 상기 드럼의 내부공동부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윈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감속기의 출력축은 상기 유성기어감속기의 캐리어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윈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고정된 고정판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윈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의 내부에 다단의 선기어, 피니온 및 캐리어 결합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윈치.
KR1020090093992A 2008-12-09 2009-10-01 미니윈치 KR101095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591 2008-12-09
KR20080124591 2008-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342A true KR20100066342A (ko) 2010-06-17
KR101095892B1 KR101095892B1 (ko) 2011-12-21

Family

ID=4236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992A KR101095892B1 (ko) 2008-12-09 2009-10-01 미니윈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8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14323C2 (ru) * 2012-12-18 2014-04-27 Владимир Алексеевич Небольсин Способ перемещения авто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7677A (ja) 1996-12-06 1998-06-23 Komatsu Ltd ウインチ装置
JP2001270686A (ja) * 2000-03-27 2001-10-02 Sumitomo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rane Co Ltd ウインチ装置
KR200434100Y1 (ko) 2006-09-21 2006-12-15 오성국 선박 케이블 포설용 윈치
JP2008133107A (ja) 2006-11-29 2008-06-12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ウイン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14323C2 (ru) * 2012-12-18 2014-04-27 Владимир Алексеевич Небольсин Способ перемещения авто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5892B1 (ko)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02500B2 (en) Hoist drive for mining machine
CA2298730A1 (en) Hoist
AU2011204928A1 (en) Electric capstan
KR101095892B1 (ko) 미니윈치
CN202390133U (zh) 便携式绞磨机
KR200410955Y1 (ko) 차동기어를 포함한 윈치시스템
FI19992673A (fi) Nostolaite
JP2003252573A (ja) ウインチ装置
CN203653130U (zh) 钢丝绳卷绕设备
CN105587835B (zh) 一种用于机器人关节的减速结构
WO2009044039A3 (fr) Module autonome de levage pour fond mobile de piscine
US20120112145A1 (en) Electric capstan
CN210825208U (zh) 一种南极冰下湖勘探用内嵌式绞车
CN110510066B (zh) 一种永磁电动卧式锚机
CN208776245U (zh) 一种便携式提升牵引装置
JP2005263420A (ja) ウインチの構造
US10926980B2 (en) Drive device for the spool of a winch
KR20160033496A (ko) 어닝 작동장치
CN109502495A (zh) 一种推土机用绞车
CN210764074U (zh) 电动葫芦用减速装置
CN202214178U (zh) 卷扬机
CN217051429U (zh) 一种起重机减速器行星架
JP6799871B1 (ja) 魚釣り用リール
KR102050454B1 (ko) 야외활동용 비상발전 장치
CN202272675U (zh) 手提式电动葫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