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066A - 상용성이 향상된 고충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그성형품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상용성이 향상된 고충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그성형품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6066A
KR20100066066A KR1020080124708A KR20080124708A KR20100066066A KR 20100066066 A KR20100066066 A KR 20100066066A KR 1020080124708 A KR1020080124708 A KR 1020080124708A KR 20080124708 A KR20080124708 A KR 20080124708A KR 20100066066 A KR20100066066 A KR 20100066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methacrylate
weight
meth
acr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3346B1 (ko
Inventor
권기혜
김일진
정진화
박상기
박광수
최진환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4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346B1/ko
Publication of KR20100066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5/06Copolymers with vinyl aromatic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20 내지 95 중량%; (B) (B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0 내지 100 중량% 및 (B2) 비닐계 공중합체 0 내지 100 중량%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수지 4 내지 60 중량%; 및 (C) (C1) 1.495 내지 1.590의 평균 굴절률을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및 (C2) 비닐계 단량체를 공중합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1 내지 50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향상된 상용성으로 인하여 외관이 우수하면서 충격강도, 내스크래치성, 유동성, 성형성, 투명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게 된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비닐계 공중합체, 굴절률, 상용성

Description

상용성이 향상된 고충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그 성형품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High-Impact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Compatibility, Molding Product Thereof and Method for Improving Compatibility between Polycarbonate Resin and Aromatic Vinyl Copolymer Resin}
도 1(a)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수지 조성물의 스크래치 프로파일을 나타내며, (b)는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수지 조성물의 스크래치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2(a)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수지 조성물의 투과전자 현미경(TEM) 사진이며, (b)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수지 조성물의 투과전자 현미경(TEM) 사진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상용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블렌드에 고굴절률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와 비닐계 단량체를 공중합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적용함으로써 상용성이 개선되고, 내스크래치성, 유동성, 성형성, 충격강도, 표면경도, 투명성 등의 물성 발란스가 우수한 고충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적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블렌드의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의 배경
열가소성 수지는 유리나 금속에 비해 비중이 낮으며, 성형성 및 내충격성 등과 같은 우수한 물성을 갖는다. 최근 전기 전자 제품의 저원가, 대형화, 경량화 추세에 따라 플라스틱 제품은 기존의 유리나 금속의 영역을 빠르게 대체하여 전기 전자 제품에서 자동차 부품에까지 사용 영역을 넓히고 있다. 이에 따라 외장재로서의 기능 및 외관의 성능이 중요해지며, 외부의 충격이나 흠집으로부터의 내스크래치성이나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위한 난연성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기계적 강도와 난연성이 매우 탁월하며 투명성 및 내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 열안정성, 자기 소화성, 치수 안정성 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전기 전자 제품, 자동차 부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렌즈 같은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부분에서 유리를 대체할 수 있는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이며, 다른 수 지와의 얼로이를 통하여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 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PC/ABS)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PC/SAN)와 같은 폴리카보네이트/비닐계 공중합체의 블렌드는 비교적 높은 노치 충격강도를 유지하면서 향상된 가공성을 갖는 수지 혼합물이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비닐계 공중합체의 블렌드는 통상적으로 자동차 부품, 컴퓨터 하우징 또는 사무용 기기와 같이 열을 많이 발산시키는 대형 사출물에 적용되고 있다. 아울러 폴리카보네이트/비닐계 공중합체의 블렌드는 난연성이 우수하고 비할로겐(Non-Halogen) 난연이 가능하여 최근의 친환경 이슈와 맞물려 그 사용 영역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PC/SAN의 경우 내스크래치성이 낮고, PC와 SAN간의 상용성 부족으로 인하여 투명성이 떨어져 외관의 고착색이 힘들며, 접합 강도 및 충격 강도가 부족하여 적용에 제한을 가지고 있다. 근래에 들어서, 전자기기 부품의 하우징에 대한 경향이 변화함에 따라 여러 가지 특성이 복합적으로 요구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박육화(thinning) 및 외관 고급화 전략에 따라 높은 충격 강도, 고착색성 및 고투명성이 중요해짐에 따라, PC/SAN의 상용성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비닐계 공중합체의 블렌드에 고굴절률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와 비닐계 단량체를 공중합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상용화제로 첨가함으로써, 향상된 상용성을 가지며, 충격강도, 내스크래치성, 표면경도, 성형성 등이 우수하고, 고착색이 가능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자들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블렌드의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카보네이트,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비닐계 공중합체의 블렌드에 고굴절률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와 비닐계 단량체를 공중합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상용화제로 첨가하여, 상용성이 개선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용화제에 의해 개선된 상용성으로 인하여 충격강도, 표면경도 등의 물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용화제에 의해 개선된 상용성으로 인하여 내스크래치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용화제에 의해 개선된 상용성을 인하여 외관의 굴절률 차이가 최소화되어 고착색이 가능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 지의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향상된 상용성을 가지며, 충격강도, 내스크래치성, 유동성, 성형성, 표면경도, 투명성 등이 우수하고, 고착색이 가능한 고충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20 내지 95 중량%; (B) (B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0 내지 100 중량% 및 (B2) 비닐계 공중합체 0 내지 100 중량%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수지 4 내지 60 중량%; 및 (C) (C1) 1.495 내지 1.590의 평균 굴절률을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및 (C2) 비닐계 단량체를 공중합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1 내지 50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C)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 내지 25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C)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단량체(C1) 5 내지 90 중량%와 비닐계 단량체(C2) 10 내지 95 중량%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단량체(C1)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상기 방향족 또는 지방족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혼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84740353-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0~10의 정수이며, X는 사이클로헥실기, 페닐기, 벤질기, 메틸페닐기, 메틸에틸페닐기, 메톡시페닐기, 사이클로헥실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브로모페닐기, 페닐페닐기, 벤질페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84740353-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m은 0~10의 정수이며, Y는 산소(O) 또는 황(S)이고, Ar은 사이클로헥실기, 페닐기, 벤질기, 메틸페닐기, 메틸에틸페닐기, 메톡시페닐기, 사이클로헥실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브로모페닐기, 페닐페닐기, 벤질페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비닐계 단량체(C2)는 스티렌, p-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30∼99 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 릴로니트릴, 무수말레인산, C1-4 알킬 또는 페닐 핵치환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1∼70 중량%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1/8″ 두께 시편의 ASTM D256 규격에 의한 Izod 충격강도가 40~99 kgf·cm/cm 이고, ASTM D785에 의해 측정한 표면 경도(R scale)가 110~117 이며, ASTM D1238에 의한 유동지수(250℃, 5kg)가 10~25 g/10min이고, 볼타입 스크래치 프로파일 (Ball-type Scratch Profile: BSP) 테스트에 의해 측정한 스크래치 폭(Scratch width)이 300~34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압출 또는 사출한 성형품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블렌드에 1.495 내지 1.590의 평균 굴절률을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와 비닐계 단량체를 공중합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부가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B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B2) 비닐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수지; 및 (C) (C1) 1.495 내지 1.590의 평균 굴절률을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및 (C2) 비닐계 단량체를 공중합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한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통상적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분자량 조절제와 촉매의 존재 하에, 디히드릭 페놀계 화합물과 포스겐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디히드릭 페놀계 화합물과 디페닐카보네이트와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에스테르 상호 교환 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디히드릭 페놀계 화합물로는 비스페놀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스페놀 A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다른 종류의 디히드릭 페놀계 화합물로 대체되어도 무방하다. 사용 가능한 다른 종류의 디히드릭 페놀계 화합물의 예로서는, 히드로퀴논, 4,4'-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또는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의 할로겐화 비스페놀 등을 들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디히드릭 페놀계 화합물은 단독 또는 2종 이 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한 종류의 디히드릭 페놀계 화합물을 사용한 단일 중합체이거나, 두 종류 이상의 디히드릭 페놀계 화합물을 사용한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특정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 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예를 들어, 트리멜리틱 무수물 또는 트리멜리틱산 등의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을 디히드릭 페놀계 화합물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시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로는, 예를 들어, 이관능성 카르복실산을 디히드릭 페놀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시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 중 20 내지 95 중 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40 내지 90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내지 90 중량%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폴리카보네이트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이 발현되기 어렵고, 95 중량%를 초과하면 충분한 내스크래치성을 얻기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다.
(B) 공중합체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중합체 수지(B)는 (B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0 내지 100 중량% 및 (B2) 비닐계 공중합체 0 내지 100 중량%로 이루어진다.
(B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1)는 고무질 중합체 5∼95 중량%에 비닐계 단량체 혼합물 5∼95 중량%을 통상의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조한 것이다.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1)를 제조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유화중합, 현탁중합, 용액중합, 또는 괴상중합법 중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화중합 또는 괴상중합이다.
상기 비닐계 단량체 혼합물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95 중량%와 불포화니트릴 화합물,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말레이미드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5∼50 중량%를 포함 한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 60∼90 중량%와 불포화니트릴 화합물,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말레이미드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40 중량%을 포함한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2,4-디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로는 C1-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C1-8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를 포함한다. 상기 C1-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또는 C1-8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는 각각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류로서 1∼8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모노히드릴 알코올로부터 얻어진 에스테르류이다. 이들의 구체예로서는,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틸 에스테르, 아크릴산 에틸 에스테르, 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프로필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불포화니트릴 화합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말레이미드계 화합물로는 C1-4 알킬 또는 페닐 N-치환 말레이미드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로는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디엔의 삼원공중합체(EPDM) 및 폴리오가노실록산/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복합체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고무입자의 평균입경은 내충격성 및 성형물의 표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0.05∼4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1)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2,4-디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C1-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C1-8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95 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C1-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C1-8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무수말레인산, C1-4 알킬 또는 페닐 N-치환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5∼50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5∼95 중량%를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의 삼원공중합체(EPDM) 및 폴리오가노실록산/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 5∼95 중량%에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1)의 바람직한 예로는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에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 및 선택적으로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량체를 혼합물의 형태로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1)의 다른 바람직한 예로는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에 (메타)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의 단량체를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1)의 가장 바람직한 예는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이다.
(B2) 비닐계 공중합체
본 발명의 비닐계 공중합체(B2)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95 중량%와 불포화니트릴 화합물,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무수말레산, 말레이미드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5∼50 중량%를 통상의 방법으로 공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중합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유화중합, 현탁중합, 용액중합, 또는 괴상중합법 중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비닐계 공중합체(B2)는 그라프트 공중합체(B1)의 제조 시에 부산물로서 생성될 수 있다. 특히 적은 양의 고무질 중합체에 과량의 단량체 혼합물을 그라프트시키는 경우나 분자량 조절제로 사용되는 연쇄이동제(chain transfer agent)를 과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더욱 많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비닐계 공중합체의 함량은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부산물을 포함하여 나타낸 것은 아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 루엔, 2,4-디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중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이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로는 C1-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C1-8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를 포함한다. 상기 C1-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또는 C1-8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는 각각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류로서 1∼8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모노히드릴 알코올로부터 얻어진 에스테르류이다. 이들의 구체예로서는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틸 에스테르, 아크릴산 에틸 에스테르, 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프로필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불포화니트릴 화합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말레이미드계 화합물로는 C1-4 알킬 또는 페닐 N-치환 말레이미드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비닐계 공중합체(B2)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2,4-디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C1-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C1-8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95 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C1-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C1-8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무수말레인산, C1-4 알킬 또는 페닐 핵치환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5∼50 중량%를 공중합하여 얻은 비닐계 공중합체 또는 이들 공중합체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비닐계 공중합체(B2)로는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 그리고 선택적으로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의 단량체 혼합물; α-메틸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 그리고 선택적으로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의 단량체 혼합물; 또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 그리고 선택적으로 메타크릴산 메틸에스테르의 단량체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닐계 공중합체(B2)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0∼25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비닐계 공중합체(B2)로는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단량체와 선택적으로 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또는 아크릴산 에틸 에스테르의 단량체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것을 들 수 있다.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계 중합체는 유화중합, 현탁중합, 용액중합 또는 괴상중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0∼25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비닐계 공중합체(B2)는 스티렌과 무수말레인산의 공중합체로서, 연속괴상중합법 또는 용액중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두 단량체 성분의 조성비는 넓은 범위에서 변화될 수 있으며, 무수말레인산의 함량이 5∼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무수말레인산계 공중합체의 분자량 역시 넓은 범위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0∼250,000이고, 고유점도가 0.3∼0.9dL/g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 수지(B)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 중 4 내지 6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5 내지 50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40 중량%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수지(B)의 함량이 4 중량% 미만이면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충격강도 등의 우수한 물성을 확보하기 힘들고, 60 중량%를 초과하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물성을 저하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4 내지 60 중량% 범위의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장점을 모두 발현시킬 수 있는 함량 범위가 된다.
(C)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통상의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C1)와 비닐계 단량체(C2)를 공중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C)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C1) 5 내지 90 중량%와 비닐계 단량체(C2) 10 내지 95 중량%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단량체(C1)는 1.495 내지 1.590의 평균 굴절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단량체(C1)의 평균 굴절률이 1.495 미만이면 전체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의 굴절률을 감소시키면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굴절률 및 상용성 차이에 의한 투과율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단량체(C1)는 전체 단량체 혼합물 중 5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중량%로 사용된다. (메타)아크릴계 단량체(C1)가 5 중량% 이하일 경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A)와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의 상용성 개선 효과가 너무 낮으며 90 중량% 초과하여 사용될 경우 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단량체(C1)로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84740353-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0~10의 정수이며, X는 사이클로헥실기, 페닐기, 벤질기, 메틸페닐기, 메틸에틸페닐기, 메톡시페닐기, 사이클로헥실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브로모페닐기, 페닐페닐기, 벤질페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84740353-PAT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m은 0~10의 정수이며, Y는 산소(O) 또는 황(S)이고, Ar은 사이클로헥실기, 페닐기, 벤질기, 메틸페닐기, 메틸에틸페닐기, 메톡시페닐기, 사 이클로헥실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브로모페닐기, 페닐페닐기, 벤질페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방향족 또는 지방족 메타크릴레이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 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페녹시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티오페닐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아미노페닐 메타크릴레이트, 페닐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2-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3-페닐포로필 메타크릴레이트, 4-페닐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2-메틸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3-메틸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4-메틸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4-프로필페닐)에틸메타크릴레이트, 2-(4-(1-메틸에틸)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4-메톡시페닐)에틸메타크릴레이트, 2-(4-사이클로헥실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2-클로로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3-클로로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4-클로로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4-브로모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3-페닐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4-벤질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단량체(C1)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또는 지방족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 아크릴산 에스테르류, 불포화 카르복실산, 산 무 수물,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벤질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아크릴산 에스테르류;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을 포함하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말레산을 포함하는 산 무수물;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모노글리세롤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비닐계 단량체(C2)의 예로는 스티렌, p-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무수말레인산, C1-4 알킬 또는 페닐 핵치환 말레이미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닐계 단량체(C2)는 스티렌, p-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30∼99 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무수말레인산, C1-4 알킬 또는 페닐 핵치환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1∼70 중량%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p-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95 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무수말레인산, C1-4 알킬 또는 페닐 핵치환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5∼50 중량%의 혼합물이다.
상기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C)는 통상적인 괴상 중합, 유화 중합 또는 현탁 중합법에 의해 중합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공중합체는 비닐계 공중합체 단독에 비해서는 약간 낮은 굴절률을 보이나 통상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굴절률을 보인다. 특히 굴절률이 1.495 내지 1.590사이의 고굴절률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를 적용함으로써 전체 굴절률을 상승시키면서 폴리카보네이트와의 상용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보인다. 통상의 폴리카보네이트의 굴절률은 1.590,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굴절률은 1.490인 것에 비해, 본 발명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C)는 적용 비닐계 단량체의 조성 및 함량에 따라 다르지만 상기 바람직한 함량범위의 경우 1.500이상의 비교적 높은 굴절률을 보인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C)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 내지 25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자량 범위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C)는 기존의 우수한 물성을 유지하면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A)와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간의 상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C)의 구체적인 예로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C1)인 페닐 메타크릴레이트와 비닐계 단량체(C2)인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 혼합물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C)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 중 1 내지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3 내지 40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5 내지 30 중량%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C)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상용성을 얻을 수 없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물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통상의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보다 굴절률이 높은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와 자체 굴절률이 높은 비닐계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제조되어 높은 굴절률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폴리카보네이트,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비닐계 공중합체의 블렌드에 적용하면,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의 높은 굴절률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 및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사이의 굴절률 차이가 감소하여 고착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굴절률이 높은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부분은 폴리카보네이트와, 비닐계 단량체로 중합된 부분은 비닐계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이 증대하여 결과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와 비닐계 공중합체 사이의 상용성을 증가시키는 상용화제의 효과를 보인다. 이렇게 증가된 상용성으로 인하여 충격강도 및 표면경도 등의 물성이 증가하며, 우수한 외관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1/8″ 두께 시편의 ASTM D256 규격에 의한 Izod 충격강도가 40~99 kgf·cm/cm 이고, ASTM D785에 의해 측정한 표면 경도(R scale)가 110~117 이며, ASTM D1238에 의한 유동지수(250 ℃, 5kg)가 10~25 g/10min이고, 볼타입 스크래치 프로파일 (Ball-type Scratch Profile: BSP) 테스트에 의해 측정한 스크래치 폭(Scratch width)이 300~340 ㎛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그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계면활성제, 핵제, 커플링제, 충전제, 가소제, 충격보강제, 활제, 항균제, 이형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상용화제, 무기물 첨가제, 착색제, 안정제, 윤활제, 정전기방지제, 안료, 염료, 방염제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성분과 기타 첨가제들을 동시에 혼합한 후에,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펠렛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사출 또는 압축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향상된 상용성으로 인하여 우수한 충격강도, 표면경도, 내스크래치성, 유동성, 성형성, 투명성 등을 가지며, 고착색이 가능하므로 여러 가지 제품의 성형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각종 전기 전자 제품의 외장재, 부품 또는 자동차 부품, 렌즈, 유리창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텔레비전, 오디오, 세탁기, 카세트 플레이어, MP3, DMB, 네비게이션, 휴대폰, 전화기, 게 임기, 오디오 플레이어, 컴퓨터, 프린터, 복사기 등의 전기 전자 제품의 하우징을 제조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은 자동차 계기판, 인스투루먼트 패널, 도어 패널, 쿼터패널, 휠덮개 등의 자동자 내외장재에 적용될 수 있다.
성형방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압출성형, 사출성형, 캘린더 성형, 진공성형 등이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블렌드에 1.495 내지 1.590의 평균 굴절률을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와 비닐계 단량체를 공중합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부가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통상의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에 비해 높은 굴절률을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와 자체 굴절률이 높은 비닐계 단량체로 구성되어, 높은 굴절률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블렌드에 부가하면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지 사이의 굴절률 차이를 감소시켜 상용성을 증가시킨다.
아울러,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에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부분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상용성이 높고, 비닐계 단량체로 중합된 부분은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지와의 상용성이 높아, 결과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지 사이의 상용성을 증가시키는 상용화제의 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및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25,000 g/mol이고, 비스페놀-A 형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인 일본 TEIJIN사의 PANLITE L-1250WP를 사용하였다.
(B) 공중합체 수지
(B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단량체 전량에 대하여 부타디엔 함량이 45 중량부가 되도록 폴리부타디엔 고 무 라텍스를 투입하고, 스티렌 39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16 중량부 및 탈이온수 150 중량부의 혼합물에 필요한 첨가제인 올레인산 칼륨 1.0 중량부, 큐멘히드로퍼옥시드 0.4 중량부, t-도데실 메르캅탄 연쇄이동제 0.3 중량부를 부가한 후 5 시간 동안 75 ℃로 유지하면서 반응시켜 ABS 그라프트 라텍스를 제조하였다. 생성된 중합체 라텍스에 1 % 황산용액을 첨가하고, 응고시킨 후 건조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를 분말 상태로 제조하였다.
(B2) 비닐계 공중합체
스티렌 76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4 중량부 및 탈이온수 120 중량부의 혼합물에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7 중량부, t-도데실 메르캅탄 연쇄이동제 0.4 중량부 및 트리칼슘포스페이트 0.5 중량부를 첨가하여 75 ℃에서 5 시간 동안 현탁 중합하여 SAN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 공중합체를 수세, 탈수 및 건조시켜 분말 상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00인 SAN 공중합체 수지를 얻었다.
(C)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C1)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1
평균 굴절률이 1.570인 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25 중량부, 스티렌 단량체 65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10 중량부를 이용하여 통상의 현탁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중량 평균 분자량 70,000인 고굴절률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C2)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2
평균 굴절률이 1.570인 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20 중량부, 스티렌 단량체 68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12 중량부를 이용하여 통상의 현탁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중량 평균 분자량 70,000인 고굴절률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C3)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3
평균 굴절률이 1.570인 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 중량부, 스티렌 단량체 72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18 중량부를 이용하여 통상의 현탁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중량 평균 분자량 70,000인 고굴절률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C4)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4
평균 굴절률이 1.510인 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25 중량부, 스티렌 단량체 65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10 중량부를 이용하여 통상의 현탁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중량 평균 분자량 70,000인 고굴절률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C5)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5
평균 굴절률이 1.490인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25 중량부, 스티렌 단량체 65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10 중량부를 이용하여 통상의 현탁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중량 평균 분자량 70,000인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
상기 각 구성성분을 하기 표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용융, 혼련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때, 압출은 L/D=29,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80℃에서 6시간 건조 후 6 Oz 사출기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개선된 상용성은 TEM 사진을 통한 상분리 거동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시편의 투명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Nippon Denshoku사의 Haze meter NDH 2000 장비를 이용하여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전광선 투과율(%) = (시편 투과광)/(시편 조사광) × 100
이때, 전광선 투과율이 높을수록 투명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며, 두께가 3mm인 시편을 이용하였다.
충격 강도는 ASTM D256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1/8" 아이조드 시편에 노치(Notch)를 만들어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면 경도는 ASTM D785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Rockwell hardness test를 이용하여 측정되었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유동 지수는 ASTM D1238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250℃, 5kg 조건에서 측정되었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내스크래치성은 볼타입 스크래치 프로파일 (Ball-type Scratch Profile: BSP) 테스트에 의해 측정하였다. BSP 테스트는 시편 표면에 일정 하중과 속도로 10∼20mm의 길이의 스크래치를 가한 뒤, 가해진 스크래치의 프로파일을 표면 프로파일 분석기를 통해 측정하여 내스크래치성의 척도가 되는 스크래치 폭(Scratch width), 스크래치 깊이(Scratch depth), 스크래치 범위(Scratch range), 스크래치 면적(Scratch area)으로부터 내스크래치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스크래치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표면 프로파일 분석기는 접촉식과 비접촉식이 모두 가능하고, 접촉식의 경우 지름 1∼2 ㎛의 금속 스타일러스 팁을 이용한 표면 스캔을 통해 스크래치의 프로파일을 제공하며, 비접촉식의 경우 삼차원 현미경과 AFM과 같은 광학 분석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Ambios사의 접촉식 표면 프로파일 분석기(XP-1)가 사용되었고, 금속 스타일러스의 팁은 지름 2 ㎛인 것을 사용하였다. 측정된 스크래치 프로파일(Scratch Profile)로부터 내스크래치성의 척도가 되는 스크래치 폭(Scratch width), 스크래치 깊이(Scratch depth), 스크래치 범위(Scratch range), 스크래치 면적(Scratch area)을 결정하였다. 이때 측정된 스크래치 폭(Scratch width), 스크래치 깊이(Scratch depth), 스크래치 범위(Scratch range), 스크래치 면적(Scratch area)이 감소할수록 내스크래치성은 증가된다. 스크래치 폭(Scratch width), 스크래치 깊이(Scratch depth), 스크래치 범위(Scratch range)의 단위는 ㎛이고, 스크래치 면적(Scratch area)의 단위는 ㎛2이다. 스크래치 측정 시 가해진 하중은 1000 g, 스크래치 속도는 75 mm/min이고, 스크래치를 발생시키는 금속 팁은 0.7 mm 지름의 구형의 팁이 이용되었다. 내스크래치성 측정에 사용되는 시편은 L90mm×W50mm×T2.5mm으로 측정된 스크래치 폭(Scratch width)은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84740353-PAT00005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를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g-ABS 공중합체) 및 비닐계 공중합체(SAN 공중합체)와 블렌딩한 경우(비교예 1 및 3), 기존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비교예 4)에 비해 내스크래치성 및 유동성이 증가하게 되나, SAN 공중합체의 낮은 충격강도 및 PC와 SAN사이의 저하된 상용성으로 인하여 충격강도가 감소되는 결과를 보인다.
실시예 1~7에서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비닐계 공중합체의 혼합 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와 비닐계 단량체를 공중합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C1~C5)를 상용화제로 적용하게 되면, 증가된 상용성에 의하여 충격 특성이 개선되며, 동일한 내스크래치성을 유지하면서 유동성이 개선되어 성형성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인다. 도 1의 스크래치 프로파일 (Scratch Profile)에서 비교예 4의 PC에 비해 실시예 1의 개선된 내스크래치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측정된 스크래치 폭(Scratch width)은 표 1에 나타내었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의 함량에 있어서, 실시예 1과 실시예 2 및 3을 비교할 경우 적용함량이 많아짐에 따라 상용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충격강도가 감소하며, 적용함량이 적정범위에 있을 경우 우수한 충격강도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4, 5 및 6을 비교할 경우, 적용한 공중합체의 조성에 있어서는 고굴절률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함량이 높을 수록 또는 굴절률이 높은 단량체를 적용할수록 전체 공중합체의 굴절률은 증가하게 되고, 폴리카보네이트와 비닐 공중합체 사이의 상용성 증가로 인하여 높은 투과율을 보인다. 또한 증가된 상용성으로 인하여 높은 충격강도 및 유동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단독으로 PC/g-ABS의 블렌드에 적용할 때(실시예 3)보다 비닐계 공중합체인 SAN이 혼합된 PC/g-ABS/SAN의 블렌드에 사용할 경우(실시예 1), 상용성 및 충격강도 개선 효과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PC와 SAN 사이의 개선된 상용성은 TEM 사진을 통해 확인하였고, 도 2에서 나타내었다. 비교예 1의 경우 저하된 상용성으로 인하여 PC 베이스에서 SAN의 상이 연속적이며 도메인도 큰 상을 이루나, 실시예 1의 경우 SAN 도메인이 작고 균일한 상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상용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비닐계 공중합체의 블렌드에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와 비닐계 단량체를 공중합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첨가함으로써 상용성이 향상되고, 향상된 상용성에 의하여 우수한 충격강도, 내스크래치성, 표면경도, 투명성을 가지며, 유동성이 개선되어 성형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과 그 성형품을 제공하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6)

  1.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20 내지 95 중량%;
    (B) (B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0 내지 100 중량% 및 (B2) 비닐계 공중합체 0 내지 100 중량%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수지 4 내지 60 중량%; 및
    (C) (C1) 1.495 내지 1.590의 평균 굴절률을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및 (C2) 비닐계 단량체를 공중합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1 내지 50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1)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2,4-디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C1-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C1-8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95 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C1-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C1-8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무수말레인산, C1-4 알킬 또는 페닐 N-치환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5∼50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5∼95 중량%를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의 삼원공중합체(EPDM) 및 폴리오가노실록산/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복합체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 5∼95 중량%에 그라프트 중합한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공중합체(B2)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2,4-디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C1-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C1-8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95 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C1-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C1-8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무수말레인산, C1-4 알킬 또는 페닐 N-치환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5∼50 중량%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공중합체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C)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내지 25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C)는 상기 (메타)아크 릴계 단량체(C1) 5 내지 90 중량%와 비닐계 단량체(C2) 10 내지 95 중량%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단량체(C1)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상기 방향족 또는 지방족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84740353-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0~10의 정수이며, X는 사이클로헥실기, 페닐기, 벤질기, 메틸페닐기, 메틸에틸페닐기, 메톡시페닐기, 사이클로헥실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브로모페닐기, 페닐페닐기, 벤질페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화학식 2]
    Figure 112008084740353-PAT00007
    상기 화학식 2에서 m은 0~10의 정수이며, Y는 산소(O) 또는 황(S)이고, Ar은 사이클로헥실기, 페닐기, 벤질기, 메틸페닐기, 메틸에틸페닐기, 메톡시페닐기, 사이클로헥실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브로모페닐기, 페닐페닐기, 벤질페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또는 지방족 메타크릴레이트는 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 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페녹시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티오페닐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아미노페닐 메타크릴레이트, 페닐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2-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3-페닐포로필 메타크릴레이트, 4-페닐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2-메틸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3-메틸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4-메틸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4-프로필페닐)에틸메타크릴레이트, 2-(4-(1-메틸에틸)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4-메톡시페닐)에틸메타크릴레이트, 2-(4-사이클로헥실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2-클로로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3-클로로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4-클로로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4-브로모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3-페닐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4-벤질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또는 지방족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및 벤질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아크릴산 에스테르류;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을 포함하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말레산을 포함하는 산 무수물;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모노글리세롤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단량체(C2)는 스티렌, p-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30∼99 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무수말레인산, C1-4 알킬 또는 페닐 핵치환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1∼70 중량%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1/8″ 두께 시편의 ASTM D256 규격에 의한 Izod 충격강도가 40~99 kgf·cm/cm 이고, ASTM D785에 의해 측정한 표면 경도(R scale)가 110~117 이며, ASTM D1238에 의한 유동지수(250℃, 5kg)가 10~25 g/10min이고, 볼타입 스크래치 프로파일 (Ball-type Scratch Profile: BSP) 테스트에 의해 측정한 스크래치 폭(Scratch width)이 300~3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핵제, 커플링제, 충전제, 가소제, 충격보강제, 활제, 항균제, 이형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상용화제, 무기물 첨가제, 착색제, 안정제, 윤활제, 정전기방지제, 안료, 염료, 방염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압출 또는 사출한 성형품.
  13.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블렌드에 있어서, 1.495 내지 1.590의 평균 굴절률을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와 비닐계 단량체를 공중합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부가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지는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 그라프트 공중합체 0~100 중량% 및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0~10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상기 방향족 또는 지방족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8084740353-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0~10의 정수이며, X는 사이클로헥실기, 페닐기, 벤질 기, 메틸페닐기, 메틸에틸페닐기, 메톡시페닐기, 사이클로헥실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브로모페닐기, 페닐페닐기, 벤질페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화학식 2]
    Figure 112008084740353-PAT00009
    상기 화학식 2에서 m은 0~10의 정수이며, Y는 산소(O) 또는 황(S)이고, Ar은 사이클로헥실기, 페닐기, 벤질기, 메틸페닐기, 메틸에틸페닐기, 메톡시페닐기, 사이클로헥실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브로모페닐기, 페닐페닐기, 벤질페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p-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30∼99 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무수말레인산, C1-4 알킬 또는 페닐 핵치환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1∼70 중량%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0124708A 2008-12-09 2008-12-09 상용성이 향상된 고충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그성형품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KR101003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708A KR101003346B1 (ko) 2008-12-09 2008-12-09 상용성이 향상된 고충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그성형품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708A KR101003346B1 (ko) 2008-12-09 2008-12-09 상용성이 향상된 고충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그성형품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066A true KR20100066066A (ko) 2010-06-17
KR101003346B1 KR101003346B1 (ko) 2010-12-22

Family

ID=4236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708A KR101003346B1 (ko) 2008-12-09 2008-12-09 상용성이 향상된 고충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그성형품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34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159B1 (ko) * 2010-06-30 2013-07-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US8536275B2 (en) 2010-06-30 2013-09-17 Lg Chem, Ltd. Acryl-based copolymers and optical film including the same
KR101309808B1 (ko) * 2010-07-30 2013-09-23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438260B1 (ko) * 2011-08-03 2014-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493122B1 (ko) * 2011-06-22 2015-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와 abs 블렌드 수지 조성물
US9359500B2 (en) 2012-12-28 2016-06-07 Cheil Industries Inc. Resin compositions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485A1 (ko) * 2012-12-28 2014-07-03 제일모직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5299A (ja) 2000-09-29 2002-04-10 Asahi Kasei Corp ポリカーボネート系難燃樹脂組成物
KR100504967B1 (ko) * 2004-03-15 2005-07-29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159B1 (ko) * 2010-06-30 2013-07-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US8536275B2 (en) 2010-06-30 2013-09-17 Lg Chem, Ltd. Acryl-based copolymers and optical film including the same
KR101309808B1 (ko) * 2010-07-30 2013-09-23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493122B1 (ko) * 2011-06-22 2015-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와 abs 블렌드 수지 조성물
KR101438260B1 (ko) * 2011-08-03 2014-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9359500B2 (en) 2012-12-28 2016-06-07 Cheil Industries Inc. Resin compositions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3346B1 (ko)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348B1 (ko) 상용성이 개선된 난연 내스크래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170383B1 (ko) 내스크래치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01004040B1 (ko) 상용성이 향상된 난연 내스크래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188349B1 (ko) 투명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01320326B1 (ko) 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9587058B2 (en)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1003346B1 (ko) 상용성이 향상된 고충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그성형품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KR20080063052A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US9631087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s thereof
KR101374360B1 (ko) 난연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080024042A (ko)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투명 abs 수지 조성물
KR20120049963A (ko) 난연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134016B1 (ko) 고내열 내스크래치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664844B1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20070069347A (ko) 저선팽창계수를 가지며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966050B1 (ko) 상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56651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66548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268881B1 (ko) 충격강도가 우수한 내스크래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01447276B1 (ko) 외관특성이 우수한 고충격 난연 내스크래치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KR101277719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비닐계 공중합체의 블렌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