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5812A -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5812A
KR20100065812A KR1020080124372A KR20080124372A KR20100065812A KR 20100065812 A KR20100065812 A KR 20100065812A KR 1020080124372 A KR1020080124372 A KR 1020080124372A KR 20080124372 A KR20080124372 A KR 20080124372A KR 20100065812 A KR20100065812 A KR 20100065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network
information
building structure
execution plan
service exec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성
문경덕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24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5812A/ko
Priority to US12/465,697 priority patent/US20100141469A1/en
Priority to JP2009168999A priority patent/JP2010140466A/ja
Publication of KR20100065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2Domotique, domestic, home control, automation, smart ho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기술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디바이스와 서비스가 연동하여 동작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응용 서비스의 로직 실행 시 건물 구조 도면 정보를 이용하여 이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홈 네트워크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디바이스 상태정보, 홈 네트워크 상태정보, 시스템 상태정보, 서비스 상태정보, 건물 구조 도면 정보 등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응용 서비스의 로직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124372
홈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건물 구조 도면

Description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OPERATING HOME NETWORK BY USING BUILDING CONSTRUCTION DRAW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수의 디바이스가 연결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디바이스와 서비스가 연결되어 실행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응용 서비스의 동작을 건물 구조 도면 정보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변경하여 동작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66-03, 과제명: 고 신뢰성 유비쿼터스 홈 적응형 미들웨어 개발].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일반 가정 또는 사무실에 설치된 각각의 디바이스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한 후, 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각각의 디바이스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명령의 송수신을 통하여 각각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유무선 단말기와의 연동을 통하여 사용자가 유무선 사용자기기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한 후, 제어 명령을 입력하게 되며, 이에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제어 명령을 토대로 해당 디바이스의 원격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디바이스와, 각각의 디바이스가 연결된 네트워크와,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특징을 미리 설정하여 관리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각각의 디바이스와, 각각의 디바이스가 연결된 네트워크와,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특징을 미리 설정하여 관리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구현하고 있으나, 단순히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만을 토대로 동작하고 있으므로, 조명제어나, 공조제어, 온도제어 시 비효율적인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다수의 디바이스와 서비스가 연동하여 동작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응용 서비스의 로직 실행시 건물 구조 도면 정보를 이용하여 이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실행할 수 있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디바이스 상태정보, 홈 네트워크 상태정보, 시스템 상태정보, 서비스 상태정보, 건물 구조 도면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응용 서비스의 로직을 인지하여 적절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디바이스와 서비스가 연동하여 동작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시스템, 서비스의 유형이 추가될 때마다 건물 구조 도면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자원 선택 정책 중 선택한 자원을 변경하거나 추가하여 새로운 효율적인 자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확장할 수 있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장치는,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응용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홈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토대로 서비스 실행 계획을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실행 계획에 건물 구조 도면 정보를 토대로 건물 구조와 홈 네트워크 구성정보를 판단한 후, 응용서비스의 동작 여부를 보정하여 각각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방법은, 홈 네트워크의 응용서비스의 수행 시, 상기 홈 네트워크 및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토대로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에 건물 구조 도면 정보를 토대로 건물 구조와 홈 네트워크 구성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응용서비스의 동작에 대한 서비스 실행 계획을 보정하여 각각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디바이스 상태정보, 홈 네트워크 상태정보, 시스템 상태정보, 서비스 상태정보, 건물 구조 도면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응용 서비스의 로직을 인지하여 적절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서비스의 유형이 추가될 때마다 건물 구조 도면과의 관계를 자원 선택 정책을 통해 추가하여 새로운 효율적인 자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확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통해서 홈 네트워크 유지보수 분야의 응용에 적용할 수 있고, 조명제어, 공조제어, 온도 등의 제어 시 건물 구조에 따라 효과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디바이스와 서비스가 연동하여 동작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홈 네트워크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디바이스 상태정보, 홈 네트워크 상태정보, 시스템 상태정보, 서비스 상태정보, 건물 구조 도면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응용 서비스의 로직을 인지하여 적절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디바이스, 시스템, 서비스의 유형이 추가될 때마다 건물 구조 도면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자원 선택 정책 중 선택한 자원을 변경하거나 추가하여 새로운 효율적인 자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확장하는 것이다.
도 1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동작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 동작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0), 응용서비스(102), 건물 구조 도면(104), 홈 네트워크(106),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108) 등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용용 서비스(102)의 실행 시 건물 구조 도면(104) 정보를 기반으로 좀 더 효율적인 동작을 제공하는 시스템 환경을 제공한다.
홈에는 비디오 카메라, 텔레비전, 셋톱박스 등과 같은 AV 영상기기와, 전자레인지, 에어컨, 선풍기와 같은 전기제품(appliance)과, 가스밸브, 수도밸브, 창문 및 커튼, 방범 등의 제어기기와, 각종 유무선 기기 및 센서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108)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108)는 각각 홈 네트워크(106)를 토대로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100)에 연결된다.
이에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100)에서는 홈 내에 연결된 모든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108)를 관리하며, 보안, 안전, 건강 등과 같은 응용서비스(102)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기 설정된 서비스가 수행되는 경우,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100)에서 각 응용서비스(102)에 해당하는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108)를 제어하게 되는 것으로서, 조명제어, 공조제어, 온도제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가 될 수 있다.
즉,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100)에서는 각각의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108)별 특징을 인지하고 있으므로, 각각의 응용서비스(102)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때, 응용서비스(102)는 추가로 홈 내부의 건물 구조 도면(104) 정보와 함께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100)에서는 건물 구조 도면(104) 정보를 토대로 홈 네트워크 구성정보를 판단한 후, 응용서비스(102)의 동작 여부를 보정하여 각각의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108)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서 실행되는 응용서비스가 실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100)에서 디바이스, 홈 네트워크, 서비스의 상태정보에 따른 홈 네트워크 응용서비스를 건물 구조 도면 정보를 기반으로 보정하여 효율적인 동작을 지원하는 것으로서, 응용서비스 로직 분석 단계(200)에서는 요청된 응용서비스에 대해 홈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인식하여 수행 가능한 디바이스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실행 계획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방을 조용하게 만들고 싶다는 생각에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100)과 연결된 조작 패널을 통해 "방1 조용히" 기능을 선택한 경우, 또는 소음 감지 센서를 통해 센싱된 소음 정보를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100)에서 전달받은 경우에는 소음 정보를 토대로 소음 여부를 측정하여 소음이 어느 정도 이상 감지된 경우, 이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볼륨 다운 또는 창문이나, 방문 제어 등을 서비스 실행 계획으로 설정한다.
즉, 현재 오디오가 소리를 출력하고 있는 경우에는 오디오의 볼륨을 다운 시킬 수 있도록 오디오 볼륨 제어를 서비스 실행 계획으로 설정하는 것이며, 이때, 오디오가 아닌 창문이 열려 있는 경우에는 창문 닫기 제어 서비스 실행 계획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방1을 시원히" 기능을 선택한 경우, 또는 온도 측정 센서를 통해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100)으로 수신된 센싱값이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쿨링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서비스 실행 계획을 설정한다. 즉, 쿨링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계획을 설정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쿨링 제어를 위한 디바이스의 방1을 시원하게 만들기 위해 창문을 열거나, 선풍기 및 에어컨을 동작시키는 계획이 될 수 있다.
응용 서비스 로직 보정 단계(202)에서는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100)에 설정된 서비스 실행 계획과 홈 내의 디바이스 기능 리스트와,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상태정보, 건물 구조 도면을 정합하여 보정된 서비스 실행 계획을 생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연결된 디바이스와 네트워크가 정상 동작하는 상태인 경우로서, 건물 구조 도면을 참조하여 리소스 선택 정책을 확인한다.
이때, "방1을 조용히" 기능에 대한 리소스 선택 정책으로는 TV 전원 오프, 오디오 전원 오프, 방문 닫기, 창문 닫기 등이 있으며, 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선택하여 동작을 실행 할 수 있다.
또한, " 방1을 시원히" 기능에 대해서는 팬 전원을 온하거나, 창문 열기와, 에어컨 전원 온과 같은 계획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를 선택하여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위에 열거된 리소스 선택 정책은 하나의 예로서, 단순히 전원 온/오프 기능뿐만 아니라, 볼륨 제어, 팬의 속도 제어, 에어컨의 온도제어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응용서비스 로직 실행 단계(204)에서는 응용 서비스 로직 보정 단계(202)에서 건물 구조 도면을 참조하여 보정된 서비스 실행 계획에 따라 실제 디바이스, 네트워크, 시스템 서비스를 동작시켜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응용 서비스 로직 보정 단계(202)의 예에서 선택한 리소스를 토대로 홈 네트워크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방1에 소음이 기 설정된 소음의 이상인 경우, 또는 사용자가 "방1을 조용히" 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TV 전원을 오프하고, 오디오 전원을 오프하며, 방문과 창문을 닫게 된다.
그리고 현재 방1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거나, 사용자에 의해 "방1을 시원히"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는 에어컨의 전원을 온하여 홈 네트워크 제어를 수행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건축 구조 도면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응용서비스의 동작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100)은 응용서비스 로직 분석기(300), 응용서비스 로직 보정기(310), 응용 서비스 로직 실행기(314)를 포함하며, 홈 네트워크 동작 시스템으로부터 연동된 건물 구조 도면 DB(306) 및 자원 선택 정책 DB(308)를 토대로 로직 조합 및 적응적 응용 서비스 로직을 실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응용서비스 로직 분석기(300)는 홈 네트워크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상태를 분석하여 홈 네트워크 상태정보(302)를 생성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홈 네트워크 동작 시스템을 통해 자동적으로 수행할 응용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실행 계획을 설정한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304)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304)는 응용서비스의 수행을 위해 각각의 디바이스에 대한 기능별 제어 계획이 생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생성된 홈 네트워크 상태정보(302) 및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304)는 응용 서비스 로직 보정기(310)로 전달된다.
응용 서비스 로직 보정기(310)에서는 로직 조합기(312)를 이용하여 응용서비스 로직 분석기(300)로부터 전달받은 홈 네트워크 상태정보(302) 및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304), 홈 네트워크 동작 시스템으로부터 연동된 건물 구조 도면 DB(306) 및 자원 선택 정책 DB(308)를 토대로 로직을 조합하여 응용서비스 로직 분석 기(300)에서 설정된 서비스 실행 계획의 보정 여부를 판단하고, 보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응용 서비스 로직 보정기(310)에서는 로직 조합기(312)를 통해 조합된 상태에서 자원 선택 정책 DB(308)의 정보를 토대로 자원 재선택 여부를 판단하여 서비스 실행 계획을 추가 선택하거나 제외하는 것이며, 이때, 자원 선택 정책 DB(308)의 자원 정보에는 각 디바이스의 기능별 서비스 실행 계획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디바이스의 제어 방식 및 형태, 시간대별 제어, 전원 온/오프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응용 서비스 로직 보정기(310)를 통해 기존 서비스 계획을 유지하거나 새로운 서비스 실행 계획이 생성된 경우에는 이를 응용서비스 로직 실행기(314)로 전달하여 응용서비스 로직 해석기(316)에서는 응용서비스 로직 보정기(310)로부터 전달된 서비스 실행 계획을 해석하여 해당 디바이스 별 제어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응용서비스 실행기(318)로 전달하게 된다.
이후 응용서비스 실행기(318)에서는 전달된 해석 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해당 디바이스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건축 구조 도면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응용서비스가 실행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0단계에서 시스템 초기화를 수행하고, 402단계에서 사용자가 특정 응용서비스를 선택하여 이를 입력 받거나,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100)에 연동된 센싱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온도, 소음 등을 초과하거나, 사 용자로부터 예약된 응용서비스가 있는 경우에는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100)에서 자동으로 응용서비스를 구현하게 된다.
즉,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100) 내의 응용서비스 로직 분석기(300)에서 사용자로부터 응용서비스를 입력 받거나,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 응용서비스 수행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먼저 404단계에서 홈 네트워크 상태 정보(302) 즉, 홈 네트워크 및 홈 네트워크와 연결된 디바이스의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홈 네트워크 및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토대로 응용서비스에 해당하는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304)를 생성한다.
이에 홈 네트워크 상태 정보(302) 및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304)는 응용서비스 로직 보정기(310)로 전달되며, 응용서비스 로직 보정기(310)에서는 408단계에서 건물 구조 도면 DB(306)로부터 해당 건물 구조 도면을 입력 받아 410단계의 로직 조합기에서 홈 네트워크 상태 정보(302)와,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304)에 건물 구조 도면을 포함하여 건물 구조 대비 서비스 실행 계획의 보정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에 서비스 실행 계획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416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서비스 실행 계획은 실행하게 되나, 410단계에서 건물 구조 대비 서비스 실행 계획의 보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412단계로 진행하여 건물 구조 도면을 참조한 서비스 실행 계획을 재생성하고, 414단계에서 자원 선택 정책 DB(308)를 통해 서비스 실행 계획에 해당하는 리소스로 자원 선택을 변경한다. 그리고 416단계에서 보정된 서비스 실행 계획으로 로직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디바이스와 서비스가 연동하여 동작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홈 네트워크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디바이스 상태정보, 홈 네트워크 상태정보, 시스템 상태정보, 서비스 상태정보, 건물 구조 도면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응용 서비스의 로직을 인지하여 적절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디바이스, 시스템, 서비스의 유형이 추가될 때마다 건물 구조 도면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자원 선택 정책 중 선택한 자원을 변경하거나 추가하여 새로운 효율적인 자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확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동작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서 실행되는 응용서비스가 실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건축 구조 도면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응용서비스의 동작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건축 구조 도면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응용서비스가 실행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홈 네트워크 관리시스템 102 : 응용서비스
104 : 건물 구조 도면 106 : 홈 네트워크
108 :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301 : 응용서비스 로직 분석기
302 : 홈네트워크 상태 정보 304 : 서비스 실행 계획
306 : 건물 구조 도면 DB 308 : 자원 선택 정책 DB
310 : 응용서비스 로직 실행기 312 : 응용서비스 로직 해석기
314 : 응용서비스 로직 실행기

Claims (20)

  1.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응용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홈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토대로 서비스 실행 계획을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실행 계획에 건물 구조 도면 정보를 토대로 건물 구조와 홈 네트워크 구성정보를 판단한 후, 응용서비스의 동작 여부를 보정하여 각각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을 포함하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상기 홈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수집된 홈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응용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로직 분석기와,
    상기 로직 분석기로부터 전달된 상기 홈 네트워크 상태 정보 및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에 건물 구조 도면을 조합하여 관계를 파악하고, 파악된 관계를 토대로 새로운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로직 보정기와,
    상기 로직 보정기로부터 전달된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를 해석하여, 해석된 정보를 해당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로직 실행기
    를 포함하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분석기는,
    상기 홈 네트워크의 상태 및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가 수집된 홈 네트워크 상태 정보와,
    상기 응용서비스의 수행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응용서비스의 수행을 위해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별 제어 계획이 생성된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보정기는,
    상기 홈 네트워크 상태정보와, 상기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 및 건물 구조 도면 정보를 조합하고, 건물 구조와의 관계를 통해 상기 서비스 실행 계획에 대한 보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서비스 실행계획을 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조합기는,
    상기 서비스 실행 계획에 대한 보정이 필요한 경우, 연동된 자원 선택 정책 DB에서 보정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자원을 재 선택하거나,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은,
    각 디바이스의 기능별 서비스 실행 계획을 포함하며, 디바이스의 제어 방식 및 형태, 시간대별 제어, 전원 온/오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실행기는,
    상기 로직 보정기로부터 전달된 선택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새로운 서비스 실행계획에 대한 로직 해석을 수행하는 로직 해석기와,
    상기 로직 해석기로부터 해석된 정보를 토대로 각 디바이스로 동작 제어 명 령을 전송하는 로직 실행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명령은,
    조명제어, 공조제어, 온도제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상태정보는,
    상기홈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상기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실행 계획은,
    요청된 응용서비스에 대해 상기 홈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 가능한 디바이스 제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11. 홈 네트워크의 응용서비스의 수행 시, 상기 홈 네트워크 및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토대로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에 건물 구조 도면 정보를 토대로 건물 구조와 홈 네트워크 구성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응용서비스의 동작에 대한 서비스 실행 계획을 보정하여 각각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동작 방법은,
    상기 홈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수집된 홈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응용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홈 네트워크 상태 정보 및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에 건물 구조 도면을 조합하여 관계를 파악하고, 파악된 관계를 토대로 새로운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를 해석하여, 해석된 정보를 해당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홈 네트워크의 상태 및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가 수집된 홈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응용서비스의 수행을 위해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별 제어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홈 네트워크 상태정보와, 상기 서비스 실행 계획 정보 및 건물 구조 도면 정보를 조합하고, 건물 구조와의 관계를 통해 상기 서비스 실행 계획에 대한 보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서비스 실행계획을 재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실행 계획에 대한 보정이 필요한 경우는,
    연동된 자원 선택 정책 DB에서 보정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자원을 재 선택하거나, 제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은,
    각 디바이스의 기능별 서비스 실행 계획을 포함하며, 디바이스의 제어 방식 및 형태, 시간대별 제어, 전원 온/오프 정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된 정보를 해당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새로운 서비스 실행계획 정보에 포함된 선택 자원 정보에 대한 로직을 해석하는 과정과,
    해석된 로직 정보를 토대로 각 디바이스로 동작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명령은,
    조명제어, 공조제어, 온도제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방법.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상태정보는,
    상기 홈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방법.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실행 계획은,
    요청된 응용서비스에 대해 상기 홈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 가 능한 디바이스 제어 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방법.
KR1020080124372A 2008-12-09 2008-12-09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6581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372A KR20100065812A (ko) 2008-12-09 2008-12-09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및 그 방법
US12/465,697 US20100141469A1 (en) 2008-12-09 2009-05-14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home network by using building structure drawing
JP2009168999A JP2010140466A (ja) 2008-12-09 2009-07-17 建物構造図面を用いたホームネットワーク動作装置及びそ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372A KR20100065812A (ko) 2008-12-09 2008-12-09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812A true KR20100065812A (ko) 2010-06-17

Family

ID=4223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372A KR20100065812A (ko) 2008-12-09 2008-12-09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141469A1 (ko)
JP (1) JP2010140466A (ko)
KR (1) KR201000658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269B1 (ko) * 2010-07-29 2015-06-09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전기적 디바이스 동작들의 제어를 통한 음파 노이즈 관리
KR102035818B1 (ko) * 2019-01-07 2019-10-24 주식회사 나라컨트롤 클라우드 기반 건물 냉난방 제어로직 자동 생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25675A1 (en) * 2012-07-19 2014-01-23 Stephen Pineau As-built compil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5370A (en) * 1988-05-05 1996-01-16 Transaction Technology, Inc. Home services delivery system with intelligent terminal emulator
WO2000039964A1 (en) * 1998-12-29 2000-07-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ome control system with distributed network devices
JP2001092762A (ja) * 1999-09-22 2001-04-06 Sanyo Electric Co Ltd 表示方法、表示制御装置、及び集中管理システム
JP2002095072A (ja) * 2000-09-14 2002-03-29 Hitachi Ltd 機器の制御方法
JP2002278604A (ja) * 2001-03-15 2002-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JP2003052093A (ja) * 2001-08-08 2003-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の遠隔制御装置および機器の遠隔制御システム
JP4807927B2 (ja) * 2003-07-08 2011-11-02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中継装置
US20050131991A1 (en) * 2003-12-10 2005-06-16 Sanyo Electric Co., Ltd. Network apparatus and program product
EP1589698A1 (en) * 2004-04-19 2005-10-26 Lg Electronics Inc.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287497B1 (ko) * 2006-01-06 201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269B1 (ko) * 2010-07-29 2015-06-09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전기적 디바이스 동작들의 제어를 통한 음파 노이즈 관리
KR102035818B1 (ko) * 2019-01-07 2019-10-24 주식회사 나라컨트롤 클라우드 기반 건물 냉난방 제어로직 자동 생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40466A (ja) 2010-06-24
US20100141469A1 (en)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9581B (zh) 智慧閘道、智慧家居系統及家電設備的智慧控制方法
EP2988185B1 (en) Smart home system and control method
US102341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tatus of terminal compressor
US10003497B2 (en) System for utility usage triggering action
EP3637243A1 (en) Customized interface based on vocal input
CN110687805A (zh) 智能家居设备联动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设备
JP6140214B2 (ja) 制御装置、制御装置の制御方法、制御システム、環境制御機器、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7962790B2 (en) Inference-based home network error handling system and method
CN103327126A (zh) 家居全方位远程控制系统、控制方法及监控方法
CN106452989B (zh) 建立智能场景的方法及装置
US20070156256A1 (en) Home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outdoor environmental conditions
CN103345232A (zh) 个性化智能家居控制方法及系统
CN105371426A (zh) 一种智能空气净化系统及其使用方法
US10621838B2 (en) External video clip distribution with metadata from a smart-home environment
KR20100065812A (ko) 건물 구조 도면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동작 장치 및 그 방법
CN205139694U (zh) 智能家居系统
DK3050188T3 (en) CONTROL OF ELECTRONIC EQUIPMENT CONTROLS WHICH CAN BE CONTROLLED BY INFRARED CONTROL SIGNALS
CN105159124A (zh) 基于Flash-Net的智能家居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GB2523167A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 appliances
CN105318486A (zh) 用于空调的除湿告警方法和装置
KR20180037740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1590343B1 (ko) 대기환경과 댁내환경 기반의 홈케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기록매체
CN105674492A (zh) 智能除湿机及智能除湿机控制系统
CN111045338A (zh) 一种基于超级链的全屋智慧居家系统
CN116170233B (zh) 一种智能家居的用户终端通信安全认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