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740A -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740A
KR20180037740A KR1020160128303A KR20160128303A KR20180037740A KR 20180037740 A KR20180037740 A KR 20180037740A KR 1020160128303 A KR1020160128303 A KR 1020160128303A KR 20160128303 A KR20160128303 A KR 20160128303A KR 20180037740 A KR20180037740 A KR 20180037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lectronic device
mode
information
hom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5670B1 (ko
Inventor
김기열
백동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60128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67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7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Abstract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특정 공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를 구동하는 모드를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 모드가 제어 기기를 구동하는 실제 모드와 일치하는 경우, 예측 모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Home Network}
실시 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류에게 커다란 편의가 제공되고 있다.
네트워크 시스템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 편의성의 더욱 고려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6-0041528호(공개일 2016.04.18)
실시 예의 일 목적은 홈 네트워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홈 네트워크 사용자의 사용 패턴, 홈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구동 패턴에 기초하여, 제어 모드 또는 전자기기의 구동 모드를 예측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특정 공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를 구동하는 모드를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 모드가 상기 제어 기기를 구동하는 실제 모드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예측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다.
우선, 홈 네트워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제공됨으로써, 시스템 효율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의 학습된 패턴, 사용자의 동선 패턴 등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제공됨으로써, 시스템 효율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동하는 컨트롤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전(앞) 또는 후(뒤)”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아래에서는 도 1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에 따르면, 홈네트워크 시스템(1)은 다양한 전자기기, 예를 들면 플러그, 스위치, 온도 조절기, 도어락, 맘카, 가스락, 에너지미터, 열림 센서, 및 가전제품(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오븐, 로봇 청소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예시된 구성보다 많은 또는 적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1)은 반드시 가정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만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공간이 구비된 장소라면 어디라도 적용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1)은 컨트롤 기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기기(100)는 가정 내의 다양한 전자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다양한 전자기기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 기기(100)는 다양한 전자기기를 연결시키는 다양한 중계기(가령, 허브, Wifi 모듈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기기(100)는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홈 네트워크 시스템(1)에 포함된 기기가 상기 컨트롤 기기(10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1)은 홈 네트워크 사용자(U)의 위치에 따라 제어 모드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가령, 홈 네트워크 시스템(1)은 홈 네트워크 사용자(U)가 실내(U-1)에서 실외(U-2)로 이동한 경우, 실내 모드에서 외출 모드로 제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1)은 홈 네트워크 사용자(U)의 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1)은 홈 네트워크 사용자(U)의 전자 기기 사용 패턴을 수집 및 분석하여 특정 시간에 특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령, 홈 네트워크 시스템(1)은 홈 네트워크 사용자(U)의 기상 패턴, 출/퇴근 패턴, 외출 패턴, 취사 패턴, 충전 패턴, 사용 패턴 등을 수집 및 분석하여, 예상되는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1)을 구동하는 컨트롤 기기(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컨트롤 기기(100)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홈 내부의 상황이 어떤지, 특정 시간에 홈 네트워크 시스템(1)에 포함된 전자기기의 사용 패턴은 어떤지(가령, 디바이스가 충전 상태인지, TV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인지, 냉난방이 이뤄지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상황에 맞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1)에 포함된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 기기(100)는 통신부(110), 패턴 수집부(120), 패턴 분석부(130), 메모리(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1)에 포함된 각종 전자기기(3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통신부(110)는 전자기기 간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기(IP공유기, 허브 등)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시스템 이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시스템 이용자에 대응되는 이동 단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은 사용자에 부착된 형태의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안경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통신부(110)는 시스템 이용자의 특정 생체 정보를 통해서도 시스템 이용자의 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시스템 이용자의 지문, 홍제 정보 등을 통해서도 시스템 이용자의 동선을 파악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통신부(11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1)에 포함된 각종 전자기기(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각종 전자기기(300)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각종 전자기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1)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이동 단말(200)과 통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시스템 이용자가 가지고 움질일 수 있다. 해당 이동 단말(200)은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안경 등의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패턴 수집부(120)는 적어도 한명의 시스템 이용자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1)의 이용패턴을 수집할 수 있다. 패턴 수집부(120)는 특정 시간에 시스템 이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패턴 수집부(120)는 현재 시간 정보, 특정 전자기기의 구동 시간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패턴 수집부(12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1)에 배치된 전자기기의 사용 패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가령, 패턴 수집부(120)는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 도어락이 잠김 상태인지, 스위치가 꺼짐 상태인지, 오픈 센서가 닫힘 상태인지 플러그가 꺼진 상태인지 패턴을 수집할 수 있다.
패턴 수집부(120)는 특정 시간에 시스템(1)의 제어 모드가 무엇인지(가령, 실내 모드인지, 외출 모드인지 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패턴 분석부(130)는 패턴 수집부(120)를 통해 수집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시스템(1)을 제어하도록 다양한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패턴 분석부(130)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1) 제어 모드를 도출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 모드는 외출 모드, 출근 모드, 퇴근 모드, 실내 모드, 취침 모드, 충전 모드 및 취사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패턴 분석부(130)는 시간이 오전이고 시스템 이용자가 외출하여 회사에 가는 경우, 출근 모드로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출근 모드로 설정된 경우, 출근 모드에 대응되도록 시스템(1)의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전등 오프, 가스밸브 오프, 열림 센서를 온시키고, 온도를 25도로 설정하고 맘카를 작동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으로 출근 모드에 따라 전자기기가 제어됨으로써, 특별히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출근 모드가 트리거되어 전자기기가 제어되는 종래기술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패턴 분석부(130)는 시스템 이용자가 회사에서 퇴근하여 이용자가 소정 거리 범위 내로 집에 접근하는 정보가 수집되면, 퇴근 모드로 시스템(1)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패턴 분석부(130)는 시스템 이용자가 TV를 시청하다가 TV 전원은 오프시킨 후, 셋탑의 전원은 온 시키는 패턴이 분석되면, 제어부(150)에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제어부(150)는 자동으로 셋탑박스를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패턴 분석부(130)는 특정 공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를 구동하는 모드가 제1 사용자를 위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전자 기기를 구동하는 모드를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패턴 수집/분석을 통해 스마트폰이 충전 중일 때, 충전 완료되면 충전 기기를 오프시키고, 소정 시간 후에 스마트폰이 충전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충전 기기의 전원을 다시 온시킬 수 있다. 이때, 알람이 사용되어 재충전의 시간 설정도 가능하다.
패턴 분석부(130)는 시스템(1) 모드 제어가 비활성화된 경우, 시스템 사용자의 전자 기기 사용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자동으로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패턴 분석부(130)는 시스템 이용자의 위치 정보, 시간 정보, 전자 기기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현재 홈의 상황(가령, 외출 모드인지, 실내 모드인지 등)을 예측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5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수집된 입력 아이템을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스템 제어 모드를 도출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외출할 때, 실내에 있을 때, 취침 시에, 취사 중일 때에 상기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모드(mode) 별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가 제어되도록 설정 값을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도 3은 시스템의 제어 모드를 도출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입력 아이템(310)은 사용자 위치, 사용자 이동 방향, 현재 시간 및 전자 기기 구동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1)은 시스템 이용자의 위치 정보와 홈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홈에서 멀어지는지 가까워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1)은 특정 시간에 전자기기의 구동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입력 아이템(310)이 입력 레이어, 복수의 히든 레이어, 출력 레이어를 통과하면 출력 아이템(320)이 도출될 수 있다. 레이어를 통해 입력 데이터(310)에 기초하여 가장 적합한 출력 데이터(320)가 예측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1)은 입력 아이템(310)을 머신 러닝하여 최적의 출력 아이템(320)을 도출할 수 있다. 출력 아이템(320)은 실내, 외출, 취침, 출근, 퇴근, 기상, 충전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1)은 통계적 기법을 통해 사용자 위치 정보 및 전자기기의 로그를 기초로 각각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외출하고, 집에서 멀어지며, 도어락은 잠기고, 스위치는 꺼져있고, 오픈센서는 닫혀있고, 플러그는 꺼져있는 것과 같은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를 분석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상기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의 실시간 상황을 예측활 수 있다.
가령,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외출할 때, 각종 전자기기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어락의 잠금, 전자 기기의 전원 오프(off), 가스밸브의 잠금, 창문 클로징(Closing), 경비 센서의 온(on), 수도 잠금이 수행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취침할 때, 상기 설정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조명의 소등, 알람의 설정, 냉난방기 가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실내에 있을 때, 설정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영상 장치의 전원 온(On), 음향 장치의 전원 온, 부재중 전화 알림, 방문자 정보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제어부(150)는 예측된 사용자의 실시간 상황과 실제 사용자의 상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측 실패에 대한 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예측 실패에 대한 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반복적인 예측 실패에 대한 결과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모드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일단, 홈 네트워크 시스템(1)은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정한다(S410).
그 다음, 홈 네트워크 시스템(1)은 예측된 사용자의 실시간 상황과 실제 사용자의 상황이 일치하는 경우(S420) 설정된 방법으로 전자 기기를 제어한다(S430).
만약 디바이스의 상태가 예측된 상황과 일치하는 경우 기 설정된 룰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S440).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시스템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Claims (29)

  1.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상황을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사용자의 실시간 상황이 실제 사용자의 상황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모드(mode) 별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가 제어되도록 설정 값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모드(mode) 별 상기 설정 값을 입력받지 못한 경우 제2 사용자들이 기 설정한 설정 값을 분석하여 사용자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상황 별로 전자 기기의 사용 패턴을 학습하는 단계;
    상기 학습된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반복적인 전자 기기의 사용 패턴에 대응되는 사용자 모드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정하는 단계는
    예측된 사용자의 실시간 상황과 실제 사용자의 상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측 실패에 대한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예측 실패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반복적인 예측 실패에 대한 결과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모드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드는 외출 모드, 취침 모드, 실내 모드, 취사 모드, 충전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드가 외출 모드인 경우 상기 설정된 전자 기기의 제어방법은 도어락의 잠금, 전자 기기의 전원 오프(off), 가스밸브의 잠금, 창문클로징(Closing), 경비 센서의 온(on), 수도 잠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드가 취침 모드인 경우 상기 설정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조명의 소등, 알람의 설정, 냉난방기 가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드가 실내 모드인 경우 설정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영상 장치의 전원 온(On), 음향 장치의 전원 온, 부재중 전화 알림, 방문자 정보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상태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 또는 상기 전자 기기에 관련된 정보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실시간 상태를 예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사용자의 이동 방향 정보, 사용자의 생체 정보,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에 관련된 정보는 전자기기의 구동 정보, 전자기기에 대한 최종 제어 입력 신호 시간 정보, 전자기기의 전원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실시간 상황을 예측하는 단계는 머신 러닝을 통해 입력 레이어, 히든 레이어 및 출력 레이어에 기초하여 도출된 사용자의 실시간 상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실시간 상황을 예측하는 단계는 서비스 가입 인증에 성공한 사용자에 한하여 사용자의 실시간 상황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자 기기의 상태를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전자 기기의 상태와 실제 상기 전자 기기의 상태가 일치하는 경우, 설정된 상기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통해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6.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상황을 예측하는 패턴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예측된 사용자의 실시간 상황이 실제 사용자의 상황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모드(mode) 별로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가 제어되도록 설정 값을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드(mode) 별 상기 설정 값을 입력받지 못한 경우 제2 사용자들이 기 설정한 설정 값을 분석하여 사용자 모드로 설정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상황 별로 전자 기기의 사용 패턴을 학습하고, 상기 학습된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반복적인 전자 기기의 사용 패턴에 대응되는 사용자 모드를 저장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예측된 사용자의 실시간 상황과 실제 사용자의 상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측 실패에 대한 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예측 실패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여, 반복적인 예측 실패에 대한 결과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모드를 저장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드는 외출 모드, 취침 모드, 실내 모드, 취사 모드, 충전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드가 외출 모드인 경우 상기 설정된 전자 기기의 제어방법은 도어락의 잠금, 전자 기기의 전원 오프(off), 가스밸브의 잠금, 창문클로징(Closing), 경비 센서의 온(on), 수도 잠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드가 취침 모드인 경우 상기 설정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조명의 소등, 알람의 설정, 냉난방기 가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드가 실내 모드인 경우 설정된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영상 장치의 전원 온(On), 음향 장치의 전원 온, 부재중 전화 알림, 방문자 정보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 또는 상기 전자 기기에 관련된 정보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실시간 상태를 예측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사용자의 이동 방향 정보, 사용자의 생체 정보,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에 관련된 정보는 전자기기의 구동 정보, 전자기기에 대한 최종 제어 입력 신호 시간 정보, 전자기기의 전원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2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머신 러닝을 통해 입력 레이어, 히든 레이어 및 출력 레이어에 기초하여 도출된 사용자의 실시간 상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비스 가입 인증에 성공한 사용자에 한하여 사용자의 실시간 상황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160128303A 2016-10-05 2016-10-05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1915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303A KR101915670B1 (ko) 2016-10-05 2016-10-05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303A KR101915670B1 (ko) 2016-10-05 2016-10-05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740A true KR20180037740A (ko) 2018-04-13
KR101915670B1 KR101915670B1 (ko) 2018-11-06

Family

ID=61974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303A KR101915670B1 (ko) 2016-10-05 2016-10-05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6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9255A1 (en) * 2019-01-30 2020-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processing user dat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00134612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웰바스 보안 시스템과 연동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304B1 (ko) * 2020-11-05 2022-11-11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Ai 스위치와 ai 생활 정보기를 활용한 상황 기반 인공지능 스마트 홈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274B1 (ko) * 2010-03-11 2010-09-10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자동 조명제어 시스템
KR101645089B1 (ko) * 2014-07-16 2016-08-03 한국과학기술원 스마트홈 사물인터넷 기기의 상태 표시등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9255A1 (en) * 2019-01-30 2020-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processing user dat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00134612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웰바스 보안 시스템과 연동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670B1 (ko)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4048B2 (en) Controlling an hvac system during demand response events
US10535349B2 (en) Controlling connected devices using a relationship graph
Suh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home control systems based on active sensor networks
US11637716B1 (en) Connected automation controls using robotic devices
US201401359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nergy in home
US201100157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ome automation and energy conservation
CN105765899A (zh) 在家庭网络系统中基于组来控制家庭设备的方法和装置
CN104834223A (zh) 一种信息推送方法及装置
KR101915670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US11493222B2 (en) Advanced monitoring of an HVAC system
CN109188926A (zh) 一种控制智能家居的方法和设备
US20190174599A1 (en) Light control device as internet hub
Poongothai et al. Implementation of iot based smart laboratory
Alsuhaym et al. Toward home automation: an IoT based home automation system control and security
Uzair et al. A low-cost IoT based buildings management system (BMS) using arduino mega 2560 and raspberry pi 4 for smart monitoring and automation
US11734932B2 (en) State and event monitoring
Sharma et al. AI applicat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o reduce carbon footprint
CN114779654A (zh) 家居设备控制方法、家居设备控制装置和可读存储介质
US11102457B1 (en)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oorbell devices
Hagera et al. Implementation of smart home automation with enhanced security
AU2020205651B2 (en) Carbon monoxide purge system for a property
KR101655760B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Tuly A Survey on Novel Services in Smart Home (Optimized for Smart Electricity Grid)
US11908255B2 (en) Power connection for smart lock devices
Aisha et al. Building A Safer And Smarter Home: Exploring Iot-based Automation And Security With Arduino Iot Cloud, Biometric Fingerprint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