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3677A - 중고전압 전기 케이블용 경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중고전압 전기 케이블용 경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3677A
KR20100063677A KR1020090119351A KR20090119351A KR20100063677A KR 20100063677 A KR20100063677 A KR 20100063677A KR 1020090119351 A KR1020090119351 A KR 1020090119351A KR 20090119351 A KR20090119351 A KR 20090119351A KR 20100063677 A KR20100063677 A KR 20100063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va
polyvinyl acetal
layer
cur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안 쾰블린
토마스 슈툴드라이어
프란쯔 되네카스
마크 하틀리
Original Assignee
넥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쌍 filed Critical 넥쌍
Publication of KR20100063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6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2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surfaces specially treated for preserving insulating properties, e.g. for protection against moisture, dirt,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polyesters; polyethers; polyacetals
    • H01B3/428Polyac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1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lk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H01B9/027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composed of semi-conduct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08L2203/202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use in electrical wires or wire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케이블(1)에 관한 것으로서, 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경화 조성물로 이루어진 경화 전기절연층(4)으로 둘러싸인 전도체(2)를 포함하고, 상기 중합체 매트릭스는 워터트리의 형성을 감소시키는 작용제로서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 및 폴리비닐아세탈(PVA)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양은 10중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 케이블, 전도체, 전기절연층

Description

중고전압 전기 케이블용 경화 조성물{a curable composition for medium and high voltage power cables}
본 발명은 전기 케이블용 전기절연층으로 사용하는 경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습한 조건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때 전기 케이블이 노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압이 6킬로볼트(kV) 내지 60 kV 정도되는 중간전압 전력케이블의 분야에, 나아가 60 kV 이상의 고전압 전기 케이블에도 적용되며, 직류(DC)이든 교류(AC) 이든 상관없이 사용된다.
중고전압 전기 케이블은 사용중에 주변의 습기와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전기장과 중합체물질과 함께 습기가 있게 되면, 케이블의 절연성질이 점차 나빠지게 된다.
이러한 품질저하 메커니즘은 "워터트리성장(water treeing growth)"이라고 불리는데, 결국 케이블을 파손시키게 되어, 전력이송네트워크의 신뢰성에 큰 위협 이 되고, 전기 불능상태로 인해 유발되는 경제적 손실이 확연하게 된다.
유럽특허공보 EP 0 223 180은 워터트리를 제한하기 위해 전기 케이블 내에 전기절연층으로 사용되는 조성물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 조성물은 폴리에틸렌일 수 있는 또한 폴리비닐아세탈도 될 수 있는 중합물질과 함께 워터트리를 줄일 수 있는 활성제로 사용되는 알파-불포화 에스테르와 에틸렌에 기초한 올리고머의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중합물질의 양은, 특히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은 조성물 내에서 적어도 95중량%을 차지하고, 조성물의 나머지는 올리고머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조성물이 실제로 워터트리를 줄여주고 있지만, 워터트리와 관련된 품질저하문제를 현저히 제한하도록 최적화되는 것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케이블의 전기절연층으로 사용되는 신규한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문제되는 문제점들을 줄여, 전기장이 존재할 때 습한 환경에서 노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러한 노화방지를 현저하게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경화 조성물로 이루어진 경화 전기절연층으로 둘러싸인 전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합체 매트릭스는 워터트리의 형성을 감소시키는 작용제로서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 및 PVA로 지칭되는 폴리비닐아세탈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 내 상기 PVA의 함량은 1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5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중량%미만, 나아가서는 1중량%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케이블을 제공한다.
놀랍게도 PVA를 10중량% 미만만큼 사용하면 워터트리 문제를 크게 제한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PVA를 10중량% 이상 사용하면 또다른 필수적인 물성에 해가되고, 즉 탄 델타(tan delta)로 알려진 손실각(loss angle)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손실각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듯이 극성 중합체로써 과도한 양의 PVA 때문에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10중량% 미만이 되면 조성물과 관련하여 비용이 비교적 낮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고 처리하는 것은, 예를 들어 압출 등의 작업은 PVA의 화학적 성질에 의해 훨씬 더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PVA는 히드록실기(또는 비닐알콜기), 아세탈기(또는 비닐아세탈기), 및 경우에 따라서는 아세테이트기(또는 비닐아세테이트기)이다. 일반적으로 알데히드 및 폴리비닐알콜 중합체로부터 제조된다.
PVA의 구조는 아래의 일반식(I)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9074849915-PAT00001
여기에서 R1 및 R2는 동일할 수도 있고 아니면 다를 수도 있고, 수소 및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또는 부틸기와 같은 C1-C10 알킬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반식(I)는 아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ㆍ75 내지 95중량%의 비닐아세탈기(a);
ㆍ6 내지 30중량%의 비닐알콜기(b); 및
ㆍ0 내지 13중량%의 비닐아세테이트기(c).
바람직하게, PVA는 폴리비닐아세탈의 3량체, 즉 세가지 기 a,b,c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PVA는 유리전이온도 Tg가 50 내지 100℃ 이고, 이 유리전이온도는 일반적으로 ISO 기준 II357을 적용하여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또 다른 특성에 의하면, PVA는 분자량이 20,000 내지 600,000 몰당질량(g/mol)이고,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400,000 g/mol이다.
또 다른 특성으로서, PVA의 히드록실기 함량이 폴리비닐알콜 중합체에 대하여 7 내지 3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콜 중합체에 대하여 12 내지 20중량%이다.
바람직하게, PVA의 연화점 온도 Tr은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고, 연화점 온도 Tr은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DIN EN 1427 기준을 적용하여 비드-링(bead-and-ring)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또 다른 특성에 의하면, PVA 내의 자유염화이온량은 높은 순도의 PVA를 얻을 수 있도록 100 피피엠(ppm) 이하이며, 염화이온량은 ISO 기준 6227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PVA는 "PVB"로 불리는 폴리비닐부티랄 및 "PVF"로 불리는 폴리비닐포말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일반식I의 경우, PVB에 대해서 R1=H, R2=C3H7 이고, PVF에 대해서는 R1=H, R2=H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은 하나 이상의 에틸렌 중합체이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의 단일중합체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에틸렌 중합체는 저밀도 단일에틸렌중합체, 즉 밀도가 0.900 3제곱센티미터당그램(g/cm3) 내지 0.930 g/cm3인 에틸렌 단일중합체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중합체 매트릭스는 용융흐름지수(MFI)가 190℃에서 10분당 0.8 내지 3그램이고, 바람직하게는 190℃에서 10분당 2그램 이하이다. 본 발명의 용융흐름지수는 보통 ASTM D1238 기준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예를 들어, 중합체 매트릭스의 MFI는 190℃에서 10분당 0.8 내지 3그램의 MFI를 갖는 에틸렌 중합체와 PVA를 혼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190℃에서 10분당 0.3 내지 0.8그램의 MFI를 갖는 에틸렌 중합체와 190℃에서 10분당 2 내지 3그램의 MFI를 갖는 에틸렌 중합체로 이루어진 두 개의 에틸렌 중합체를 PVA와 혼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중간전압 케이블의 전기절연층을 제작할 때 사용되는 조성물의 중합체 매트릭스의 MFI는 대략 190℃에서 10분당 2그램 정도이며, 고전압 케이블의 전기절연층을 제작할 때 사용되는 조성물의 중합체 매트릭스의 MFI는 약 190℃에서 10분당 0.8 내지 1그램 정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합체 매트릭스는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 및 PVA로 구성, 다시 말하면 이 중합체 매트릭스는 오직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 및 PVA만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폴리올레핀을 적어도 50중량%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을 적어도 6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을 적어도 70중량 %,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을 적어도 8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을 적어도 90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폴리올레핀을 적어도 99.9중량%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기술에 의해 압출되는데 있어서 적합하며, 예를 들어 압출기 내에서 제조되는 동안 중합체 매트릭스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산화(노화)방지제와 같은 안정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화가 가능하다. 이 조성물은 예를 들어 열을 가하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수소규소화반응(hydrosilylation) 및/또는 퍼옥사이드 경화(peroxide curing); 경화제가 존재할때 이루어지는 실란 경화(silane curing); 전자, 감마선, X선, 또는 극초단파광선에 의한 경화; 광경화 개시제(photo-curing initiator)가 존재할때 이루어지는 자외선에 의한 조사 또는 베타선에 의한 조사와 같은 광화학 경화(photochemical curing)와 같이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경화기술을 이용하여 경화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열을 가하면서 이루어지는 퍼옥사이드 경화가 선호된다. 이러한 특정 상황에서, 조성물은 또한 유기 퍼옥사이드와 같은 경화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경화될 수 있는 조성물은 경화 전기절연층을 얻기 위해서 경화되기 때문에, 작동 온도가 높은 경우에도, 즉 70℃이상, 심지어는 약 90℃이상인 경우에도 본 발 명의 전기 케이블은 그 작동 구조 내에서 치수가 일정하게 되는 안정성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 전기절연층의 경화 중합체 격자구조는 워터트리 문제를 매우 잘 견딜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본 발명의 전기 케이블은 전도체 및 경화 전기절연층(제2 층) 사이에 경화 반도전성층(4)(제1 층)을 더 포함하며, 경화 전기절연층(4)을 둘러싸는 또 다른 경화 반도전성층(5)(제3 층)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제1 경화층, 제2 경화층, 제3 경화층은 전도체를 순서대로 둘러싸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반도전성"이라는 용어는 또한 "도전성"이라는 의미를 포함하는 것임에 유의해야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세개의 연속하는 층을 포함하는 전기 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i) 전도체 둘레에 반도전성 제1 층을 압출하여 형성(deposit)하는 단계;
ii) 제1 층 둘레에 전기 절연성 제2 층을 압출하여 형성하는 단계;
iii) 제2 층 둘레에 반도전성 제3 층을 압출하여 형성하는 단계;
iv) 제1 층, 제2 층, 제3 층을 경화하는 단계.
다른 실시예의 경우, 단계 i) 내지 iii)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단계 iv)는 제1 층, 제2 층, 제 3층을 공동으로 압출하여 공동으로 형성한 후에 수행된다.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단계 i) 내지 iii)이 각각 끝난 후에 단계 iv)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하나인 전기 케이블의 사시도이면서 단면도인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전기 케이블에 대한 실시예(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를 살펴보게 되면,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을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오직 필수 구성요소들만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또한 그 크기 비율도 일치하지 않게 도시되어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케이블에 있어서 전기장이 존재할 때 습한 환경에서의 노화방지를 현저하게 개선함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교류용 중간전압 또는 고전압 전기 케이블(1)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중심 도체소자(2)를 포함하며, 이 소자를 중심으로 그 주위를 둘러싸고 "내부" 반도전성층(3);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획득된 전기절연층(4); "외부" 반도전성층(5); 그라운드 및/또는 금속 보호실드(6); 외부 보호실드(7)를 동축상에 순서대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층(3, 4, 5)들은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 압출되어 경화된 층들이다.
금속 보호실드(6)의 그리고 외부 보호실드(7)의 반도전성층(3, 5)이 있는 것이 선호되지만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다. 금속 보호실드(6)와 외부 보호실 드(7)를 포함하는 보호구조는 또한 다른 보호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 다른 보호소자로서, 바람직하게는 외부 반도전성층과 보호 금속실드 사이에 놓이고 물이 있을 때 부풀어 오르며 반도전성인 보호 스트립(도시 안됨), 또는 바람직하게는 외부 보호실드(7)를 둘러싸고 배치되는 강철 와이어로 만들어진 금속외장(armoring)을 예로 들수 있다. 케이블의 보호구조 자체는 널리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범주의 밖에 있다.
실시예
세개층으로 이루어진 절연부를 포함하는 전기 케이블의 제조
처음에, 아래 테이블 1에 설정된 성분을 갖는 조성물(조성물 A 내지 C)이 준비되고, 이 성분들은 조성물의 중량%로 표현되어 있다.
테이블 1
조성물 A B C
폴리에틸렌 (PE) (중량%) 96.8 78.8 97.8
워터트리의 형성을 억제하는 작용제 PVB 1 (중량%) 1 / /
EBA(중량%) / 19 /
산화(노화)방지제 (중량%) 0.2 0.2 0.2
퍼옥사이드 (중량%) 2 2 2
테이블 1의 조성물의 여러가지 성분들은 다음과 같은 출처를 갖고 있다:
ㆍPE는 참조번호 LDPE 2102TX00로서 사빅유럽(Sabic Europe)이라는 제조업자가 판매하는 고순도인 저밀도 에틸렌의 단일중합체이고;
ㆍEBA는 참조번호 Lotryl®17BA07로서 아케마(Arkema)라는 제조업자가 판매하는 에틸렌 및 부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이고;
ㆍPVB1은 참조번호 Pioloform®BL16으로서 바커 폴리머 시스템즈 게엠베하(Wacker Polymer Systems GmbH)라는 제조업자가 판매하는, 유리전이온도 Tg가 84℃이고 비닐알콜함유량이 약 16%이며 분자량은 약 40,000인 분말형태의 폴리비닐부티랄이며;
ㆍ산화(노화)방지제는 참조번호 Irgastab®KV 10으로서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스(Ciba Specialty Chemicals)라는 제조업자가 판매하는 4,6-비스 (옥틸티오메틸)-o-크레솔(4,6-bis (octylthiomethyl)-o-cresol)(액체)이고;
ㆍ퍼옥사이드는 참조번호 Luperox® 801로서 아케마라는 제조업자가 판매하는 터트-부틸쿠밀퍼옥사이드(tert-butylcumylperoxide)(액체)이다.
조성물 A 내지 C 각각에 있어서 모든 성분은, 조성물이 미리 경화되도록 하는 것을 막으면서 용융상태에 있는 중합체 매트릭스를 얻을 수 있도록 110 내지 130℃의 온도에서 "Maillefer" 스크류가 제공되는 38-25D 유형의 일반적인 단일-스크류 압출기 내에서 개별적으로 혼합되었다.
그 후 각각의 조성물은, 참조번호 LEO592로서 보레알리스(Borealis)라는 제조업자가 판매하는 압출혼합물로부터 얻은 제1 반도전성층 내에 이미 덮혀있는 전도성 구리 코드를 둘러싸면서 압출되어 형성되었다.
이어서, 제1 반도전성층과 동일한 제2 반도전성층이 각각의 이미 형성되어 있는 두층으로 된 구조물을 둘러싸고 압출되어 형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런식으로 형성된 세층이 각각의 층에 포함된 유기 퍼옥사이드의 분해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서 가열에 의해 경화되었다.
이로써 세개의 압출되어 경화된 층을 각각 갖는 세개의 전기 케이블 A 내지 C이 제조되었고, 두 개의 반도전성층 사이에 끼워진 전기절연층을 조성물 A 내지 C로부터 개별적으로 얻을 수 있었다.
산화(노화) 및 절연파괴전압 시험
워터트리에 대한 저항성과 관련하여 전기 케이블 A 내지 C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프랑스 베르사이유(Versailles)에서 1991년 6월 24일 내지 28일에 열린 "Conference Proceedings of Jicable 91"에서 H.G. Land and Hans Schaedlich가 발표한 문서 "Model cable test for evaluating the aging behavior under water influence of compounds for medium voltage cables"의 페이지 177 내지 182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첫번째로 70℃에서 1000시간동안 물통 내에서 AC(교류)전압을 가하면서 전기 케이블 A 내지 C를 노화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다음에 노화후에 절연파괴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50 헤르쯔(Hz)의 주파수로 교류전압을 케이블에 인가하는 방법으로 절연파괴시험이 수행되었다. 케이블의 절연파괴전압은 케이블 내에서 전기 아크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전압에 대응한다. 일반적으로, 이는 세층으로 이루어진 전기 케이블의 전기절연층과 내부 반도전성층 사이의 경계면에서의 최대 전기장에 대한 값으로 표현된다.
아래 테이블 2에 절연파괴전압(항복전압; breakdown voltage)이 요약되어 있다.
테이블 2
전기 케이블 A B C
초기값
[kV/mm]
105 103 95
1000 h 이후
[kV/mm]
54 55 40
본 발명의 전기 케이블(케이블 A)의 절연파괴전압은 케이블 C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 절연 조성물은 노화와 관련하여 개선되었고 워터트리에 대한 저항성도 향상되었다.
또한, 조성물 A에 있어서 워터트리의 형성을 줄이는 작용제(PVB1)의 양이 조성물 B에 있어서 워터트리의 형성을 줄이는 작용제(EBA)의 양보다 거의 20배정도 더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 A를 사용하면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스트립가능성 시험
스트립가능성 시험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두 층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뉴턴(N) 단위의 개시동력(initiating force)을 측정할 수 있다.
"분리를 일으키는" 힘은 두 층으로 된 개별 시험편에 대해 측정되었는데, 이 시험편은 각각 사각형 블록 형태로서, 폭이 10 밀리미터(mm)이고, 유효길이가 40mm이며, 두께가 약 2mm 즉, 각 층의 두께가 약 1mm로 되어 있다. 각각의 두 층으로 된 블록은 전기절연층과 반도전성층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블록은 125℃에서 두 층을 각각 압축 몰딩하고 이어서 두 층이 서로에 대해 겹쳐 놓여진 상태에서 30분간 180℃로 경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었다.
일단 두 층의 블록이 형성된 후, 두 층의 블록의 한쪽 단부에서 두 층의 각각의 층이 트랙션장치(traction machine)의 각각의 턱(jaw)부분에 배치되었고, 그 트랙션 속도(tranction rate)는 분당 50 밀리미터(50mm/min)로 설정되었다.
스트립가능성 시험 측정값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두 층으로 된 블록을 세개 만들었다.
첫번째의 두 층으로된 블록 G1에서, 제1 층을 조성물 A로부터 제조하고, 다른 층을 참조번호 HFDA-0792 BK로서 다우 케미컬스(Dow Chemicals)라는 제조업자가 판매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하였다.
두번째의 두 층으로된 블록 G2에서는, 제1 층을 조성물 C로부터 제조하고, 다른 층을 참조번호 HFDA-0792 BK인 조성물로부터 제조하였다.
세번째의 두 층으로된 블록 G3에서는, 제1 층을 조성물 A로부터 제조하고, 다른 층을 참조번호 HFDA-0792 BK인 조성물로부터 제조하였다.
아래의 테이블 3에 결과가 요약되어 있다.
테이블 3
두 층 블록 G1 G2 G3
스트리핑 개시동력
(N)
15.8 측정 전
G2 브로크 중 하나
23.4
스트립가능성 시험에 의하면, 두 층으로 된 블록 G1의 층들을 분리하는 것이 두 층으로 된 블록 G3의 층들을 분리하는 것보다 더 쉽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G1에 대한 개시동력이 G3에 대한 개시동력보다 작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두 층 G1을 포함하는 전기 케이블들 연결하는 작업이 훨씬 더 쉬워졌다.
또한, 1000시간의 노화후에 절연파괴전압을 가한 경우, 두 개의 층(G1)을 포함하는 전기 케이블은, 두 개의 층(G2)을 갖는 전기 케이블과 달리, 조성물 A로부터 얻은 층에 의해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스트립가능한 장점도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케이블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3)

  1. 중합체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경화 조성물에서 얻은 경화 전기절연층(4)으로 둘러싸인 전도체(2)를 포함하고,
    상기 중합체 매트릭스는 워터트리의 형성을 감소시키는 작용제로서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과 폴리비닐아세탈(PVA)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 내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함량은 10중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케이블(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PVA)은 유리전이온도 Tg가 50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케이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PVA)은 분자량이 30,000 내지 60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케이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PVA)은 연화점 온도 Tr이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케이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PVA)은 자유염화이온 함유량이 100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케이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PVA)은 폴리비닐부티랄(PVB) 및 폴리비닐포말(PVF)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케이블.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하나 이상의 에틸렌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단일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케이블.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중합체는 에틸렌의 저밀도 단일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케이블.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매트릭스는 용융흐름지수가 190℃에서 10분당 0.8 내지 3 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케이블.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매트릭스는 폴리올레핀 및 폴리비닐아세탈(PV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케이블.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전기절연층은 폴리올리펜을 50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케이블.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케이블은 안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케이블.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케이블은 상기 전도체 및 상기 경화 전기절연층(4) 사이에 경화 반도전성층(3)을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경화 전기절연층(4)을 둘러싸는 경화 반도전성층(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케이블.
KR1020090119351A 2008-12-03 2009-12-03 중고전압 전기 케이블용 경화 조성물 KR201000636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58241A FR2939234A1 (fr) 2008-12-03 2008-12-03 Composition reticulable pour cable d'energie a moyenne et haute tension
FR0858241 2008-1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677A true KR20100063677A (ko) 2010-06-11

Family

ID=40580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351A KR20100063677A (ko) 2008-12-03 2009-12-03 중고전압 전기 케이블용 경화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81102B2 (ko)
EP (1) EP2194092B1 (ko)
KR (1) KR20100063677A (ko)
AT (1) ATE540079T1 (ko)
AU (1) AU2009243405A1 (ko)
CA (1) CA2686291A1 (ko)
FR (1) FR29392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9145A (zh) * 2014-11-19 2015-03-11 浙江汉维通信器材有限公司 一种耐寒抗压电缆
CN109799439B (zh) * 2019-03-29 2021-04-13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绝缘多角度倾斜划伤电缆受潮实验评估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3560A (en) * 1938-07-08 1941-05-27 Gen Electric Insulated electrical conductor
NL259310A (ko) * 1959-12-21
US3413148A (en) * 1964-06-18 1968-11-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Polyethylene lubricated enameled wire
US3382298A (en) * 1964-12-17 1968-05-07 Union Carbide Canada Ltd Stress-crack resistant polyethylene containing a polyvinyl acetal
US3822147A (en) * 1972-05-05 1974-07-02 Phelps Dodge Magnet Wire Co Insulated electrical conductor and coils formed thereof
US3842192A (en) * 1973-05-17 1974-10-15 Phelps Dodge Ind Inc Dual insulated magnet wire
US4370517A (en) * 1977-12-29 1983-01-25 Hitachi Cable Limited Polyolefin compositions for electrical insulation
US4299713A (en) * 1979-07-19 1981-11-10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 Electrical tree and water tree resistant polymer compositions
US4400429A (en) * 1980-12-22 1983-08-23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oration Tree retardant additive composition for polymeric insulation
US4543381A (en) * 1982-06-30 1985-09-24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oration Tree retardant additive composition for polymeric insulation
US4499013A (en) * 1983-08-17 1985-02-12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oration Electrical tree and water tree resistant compounds and 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US4514535A (en) * 1984-02-01 1985-04-30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oration Electrical tree and water tree resistant compounds and 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US4536530A (en) * 1984-02-01 1985-08-20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oration Water tree resistant compounds and 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US4514536A (en) * 1984-02-01 1985-04-30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oration Silanes useful as anti-treeing additives
US4548865A (en) * 1984-02-01 1985-10-22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ooration Silanes useful as anti-treeing additives
US4512920A (en) * 1984-02-01 1985-04-23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oration Silanes useful as anti-treeing additives
US4492647A (en) * 1984-02-01 1985-01-08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oration Organopolysiloxanes useful as dielectric fluids and anti-treeing additives
US4501688A (en) * 1984-02-01 1985-02-26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oration Silane oligomers useful as anti-treeing additives
US4483954A (en) * 1984-02-01 1984-11-20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oration Silanes useful as water tree and electrical tree resistant additives
IT1178901B (it) * 1984-03-22 1987-09-16 Irfin S P A Procedimento per il recupero selettivo dei materiali costituenti cascami di cavi elettrici isolati
EP0223180A1 (en) * 1985-11-12 1987-05-27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oration Tree retardant high voltage composition and method
DE4235151A1 (de) * 1992-10-19 1994-04-21 Hoechst Ag Polyvinylacetale, die emulgatorfreie wäßrige Dispersionen und redispergierbare trockene Pulver bilden könn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4332114A1 (de) * 1993-09-22 1995-03-23 Hoechst Ag Polypropylen-Formmasse mit verbesserten Oberflächeneigenschaften
DE4437161A1 (de) * 1994-10-18 1996-04-25 Kabelmetal Electro Gmbh Elektrisches oder optisches Kabel
US6127481A (en) * 1995-08-04 2000-10-03 Dsm Copolymer, Inc. Branched polyolefin polymers as additives in fuel and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EP0856545A1 (en) * 1997-01-31 1998-08-05 Dsm N.V. Polyolefin polymer with high molecular weight
DE102004031971A1 (de) * 2004-07-01 2006-01-19 Wacker Polymer Systems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vinylacetalen
WO2006013627A1 (ja) * 2004-08-04 2006-02-09 Sekisui Chemical Co., Ltd.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の製造方法、ポリビニルブチラール樹脂、及び、エステル化された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樹脂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39234A1 (fr) 2010-06-04
CA2686291A1 (en) 2010-06-03
AU2009243405A1 (en) 2010-06-17
EP2194092B1 (fr) 2012-01-04
ATE540079T1 (de) 2012-01-15
EP2194092A1 (fr) 2010-06-09
US20110067898A1 (en) 2011-03-24
US8581102B2 (en) 201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5989B2 (en) Cross-linkable semiconductive composition, and an electric cable having a semiconductive coating
KR101311227B1 (ko) 전력케이블 절연층용 가교 폴리에틸렌 조성물
KR101447778B1 (ko) 가교 폴리에틸렌 조성물
JP6637549B2 (ja) 電圧安定化ポリマー組成物
KR20130025432A (ko) 실란 가교결합성 중합체 조성물
KR20140060255A (ko) 전압 안정화 열가소성 전기 절연층을 가진 에너지 케이블
EP3596739B1 (fr) Câble électrique présentant une conductivité thermique améliorée
KR20070024717A (ko) 전력케이블용 절연 조성물
EP3671769A1 (fr) Câble électrique ayant une tenue au vieillissement en température améliorée
WO2011159611A2 (en) Insulation containing styrene copolymers
KR20180097507A (ko) 반도전성 차폐 조성물
EP3643741B1 (en) Coated conductor with voltage-stabilized inner layer
US20140017494A1 (en) Insulations containing non-migrating antistatic agent
KR20100063677A (ko) 중고전압 전기 케이블용 경화 조성물
KR20180131333A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KR20180131310A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US11205525B2 (en) Insulated wire
TWI768107B (zh) 具有樹生長阻滯劑之聚乙烯組成物
JPH11172057A (ja) 水架橋性の良好な半導電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て製造した電力ケーブル
EP3670601A1 (fr) Câble comprenant une couche semi-conductrice facilement pelable
EP2862896B1 (fr) Câble d'énergie et/ou de télécommunication comprenant une couche polymère résistante aux rayures
EP3772069B1 (fr) Câble électrique présentant une conductivité thermique améliorée
KR20210037585A (ko) 케이블용 가교된 층
EP3671768A1 (fr) Câble électrique résistant aux arborescences d'eau
EP2498264B1 (fr) Câble électrique à moyenne ou haute ten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