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3460A -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3460A
KR20100063460A KR1020080121980A KR20080121980A KR20100063460A KR 20100063460 A KR20100063460 A KR 20100063460A KR 1020080121980 A KR1020080121980 A KR 1020080121980A KR 20080121980 A KR20080121980 A KR 20080121980A KR 20100063460 A KR20100063460 A KR 20100063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display panel
roller
panel clean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3670B1 (ko
Inventor
송병열
Original Assignee
(주)와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와이티에스
Priority to KR1020080121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670B1/ko
Publication of KR20100063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11/04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plate glass, e.g. prior to manufacture of windshiel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20/00Type of materials or objects being removed
    • B08B2220/01Adhesive 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의 연마롤러유닛과 클리닝롤러유닛에 채용되는 롤러 축의 외주에 세정 부재의 장착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의 제작, 설치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더욱 유리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시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를 통해서 수행되는 세정공정 및 연마공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에 묻은 칩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의 이물질을 연속적인 회전을 통해 분리시키는 연마롤러유닛을 채용한 패널 연마부와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을 연속적인 회전을 통해 클리닝하는 클리닝롤러유닛을 채용한 클리닝 롤러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에 있어서, 연마롤러유닛과 클리닝롤러유닛에 적용되는 세정 롤러는 외주에 일정 피치 간격으로 일정 깊이를 갖는 나선 형태의 조립홈이 형성되되 조립홈의 바깥쪽 상에는 조립홈에 끼워지는 부재의 이탈방지를 위한 걸림부가 돌출 형성된 롤러 축; 및 조립홈을 따라서 나선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게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길게 형성되되 조립홈의 걸림부에 대응하는 목부를 기준으로 목부의 일측에는 조립홈에 끼워지는 조립부가 형성되는 한편 목부의 다른 일측에는 반원의 단면형태를 갖는 세정부가 형성된 패널 세정 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 롤러, 세정 부재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Polishing roller for display panel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의 연마롤러유닛과 클리닝롤러유닛에 채용되는 롤러 축의 외주에 세정 부재의 장착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의 제작, 설치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더욱 유리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시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를 통해서 수행되는 세정공정 및 연마공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에 묻은 칩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한 종류인 TFT-LCD 패널의 제조공정은 크게 TFT 공정, 컬러 필터(CF) 공정, 셀(Cell) 공정, 모듈 공정으로 나뉘어 진행되는데, TFT 공정과 CF 공정을 거친 두 개의 글라스를 가지고 셀(Cell) 공정을 거쳐 한 개의 패널이 만들어지고, 셀(Cell) 공정을 거친 패널이 모듈 공정을 거쳐 실제로 모니터나 TV에 사용되어지는 TFT-LCD 패널 한 장이 만들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공정 등을 통해서 TFT-LCD 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디 스플레이 패널 상의 이물질 및 입자를 제거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를 위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로는 면포를 이용한 세정장치, 세정 칼날을 이용한 세정장치 및 연마벨트를 이용한 세정장치 등의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세정장치 중 면포와 세정 칼날을 이용한 세정장치의 경우에는 30인치 이상의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세정하는데 있어서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고, 연마벨트를 이용한 세정장치의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연마벨트의 교체주기가 매우 짧아 세정공정을 자주 멈추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ㆍ하부면을 회전을 통해 세정하는 롤러 형태의 세정 롤러 기술이 개발되었다. 세정 롤러를 통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정은 세정롤러유닛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가운데 이송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ㆍ하부면을 연마 및 클리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묻은 이물질 및 입자를 세정하는 방식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2007년 11월 28일자로 디스플레이용 패널 세정 시스템 및 방법(출원번호 10-2007-0122276호)을 출원하였다.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발명의 기술내용을 대략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디스플레이용 패널 세정장치(10)는 디스플레이용 패널(P)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칩 등)을 제거하는 칩 제거부와 이물질이 제거된 패널 표면을 클리닝하는 패널 클리닝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칩 제거부는 온수 샤워부(22)와 패널 연 마부(24) 및 고압 샤워부(26)로 이루어지고, 패널 클리닝부는 클리닝 롤러부(32), 파이널 샤워부(34) 및 에어 나이프 클리닝부(36)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패널 연마부(24)의 연마롤러유닛(40) 및 클리닝 롤러부(32)의 클리닝롤러유닛(50)을 구성하는 롤러 축의 외주에는 다수의 브러시 등으로 된 패널 세정 부재가 장착될 수 있게 길이방향으로 길게 고정키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 패널 세정 부재의 내주에는 롤러 축에 형성된 고정키 홈에 끼워지기 위한 다수의 고정키가 방사상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편 각 패널 세정 부재의 외주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접촉되기 위한 세정모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10)의 패널 연마부(24) 및 클리닝 롤러부(32)를 구성하는 롤러의 외주에는 다수의 세정 부재들이 촘촘한 간격을 두고 조립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의 연마롤러유닛 및 클리닝롤러유닛을 구성하는 세정 롤러의 제작, 조립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패널 세정 부재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과다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세정 롤러의 외주에 조립된 패널 세정 부재는 소모성 부품인 만큼 일정 간격의 교환이 필요한데, 이때 패널 세정 부재의 교환을 위해서는 롤러 축의 양쪽 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축지지 수단으로부터 해체되어야할 뿐만 아니라 세정 부재가 롤러 축에 안정되게 장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분해해야만 할 부품의 수가 많아 교환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세정 패널 시스템의 패널 연마롤러유닛 및 클리닝롤러유닛을 구성하는 롤러 축의 외주에는 브러시 등 패널 세정 부재가 일정 간격으로 장착됨에 따라서 패널 세정 부재와 패널 세정 부재 사이의 간격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서 패널 세정 부재 사이의 간격이 지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분은 세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부품들의 수 및 조립공정이 간단해지도록 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그 제작, 조립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유리한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시 수행되는 세정공정 및 연마공정 등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묻은 칩 등의 제거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의 이물질을 연속적인 회전을 통해 분리시키는 연마롤러유닛을 채용한 패널 연마부와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을 연속적인 회전을 통해 클리닝하는 클리닝롤러유닛을 채용한 클리닝 롤러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에 있어서, 연마롤러유닛과 클리닝롤러유닛에 적용되는 세정 롤러는 외주에 일정 피치 간격으로 일정 깊이를 갖는 나선 형태의 조립홈이 형성되되 조립홈의 바깥쪽 상에는 조립홈에 끼워지는 부재의 이탈방지를 위한 걸림부가 돌출 형성된 롤러 축; 및 조립홈을 따라서 나선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게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길게 형성되되 조립홈의 걸림부에 대응하는 목부를 기준으로 목부의 일측에는 조립홈에 끼워지는 조립부가 형성되는 한편 목부의 다른 일측에는 반원의 단면형태를 갖는 세정부가 형성된 패널 세정 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에서 조립홈의 단면형태는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는 한편 조립부의 측단면 형태는 목부를 기준으로 내광외협의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에서 패널 세정 부재는 합성수지와 산화 알루미늄이 혼합된 혼합재료로 인발 공정을 통해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에서 롤러 축은 양단에 축결합부가 형성된 중심축과 중심축의 외주에 조립홈이 가공형성된 외곽축이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에서 외곽축의 안지름은 중심축의 바깥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중심축의 외주와 외곽축의 내주 사이에는 환상 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의 연마롤러유닛 및 클리닝롤러유닛에 적용되는 세정 롤러는 롤러 축의 양단이 고정설치된 상태에서도 롤러 축의 외주에 소모품인 패널 세정 부재를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를 제작하는 과정에서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도 유리해질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는 롤러 축의 외주에 패널 세정 부재가 연속된 나선의 형태로 장착되는 한편 롤러 축은 회전 동작하게 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이 고르게 세정 및 클리닝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의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의 정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의 측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 축의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세정 부재의 조립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 장치용 세정 롤러를 지시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100)의 구성을 설명하는 과정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3 내지 도 8 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도 1 및 도 2 에 표시된 도면부호가 인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100)는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서 배경기술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10)의 연마롤러유닛(40) 및 클리닝롤러유닛(50)에 적용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10)는 연속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는 패널 연마부(24)의 패널연마유닛(40)을 디스플레이 패널(P)이 통과하게 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P)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연속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는 클리닝 롤러부(32)의 클리닝롤러유닛(50)을 디스플레이 패널(P)이 통과하게 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P) 표면의 클리닝이 이루어질 수 있게 그 전체적인 구성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10)의 연마롤러유닛(40) 및 클리닝롤러유닛(50)에 채용되는 세정 롤러(100)는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축(110) 및 롤러 축(110)의 외주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P)의 표면에 접촉되는 패널 세정 부재(130)로써 구성이 이루어진다.
우선,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100)의 롤러 축(110)은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100)에 구비된 프레임 상에 양단이 결합이 될 수 있게 가공대상물인 디스플레이 패널(P)의 폭보다 긴 길이로 이루어진다. 한편, 롤러 축(110) 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112)과 중심축(112)의 외곽에 고정 설치되는 외곽축(114)이 일체화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롤러 축(110)의 양쪽 끝단에는 중심축(112)의 지름보다 가는 지름을 갖는 축결합부(112a)가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10)의 프레임 상에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롤러 축(110)의 외곽축(114) 외주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피치 간격과 일정 깊이를 갖는 조립홈(120)이 나선형태(helical)로 형성된다. 전술한 조립홈(120)은 외곽축(112)의 한쪽에서 다른 한쪽에 이르는 구간에 걸쳐 연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그 중간 구간을 단면을 하여 도시한 상태는 도 5 에 표현된 바와 같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홈(120)의 전체적인 단면 형태는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되 조립홈(120)의 바깥쪽 상에는 조립홈(120)에 끼워질 부재(패널 세정 부재)가 끼워진 상태에서 스스로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한 걸림부(122)가 조립홈(120)의 안쪽 깊숙한 부분에 비하여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뒤에서 다시 설명이 이루어지겠지만, 이 걸림부(122) 상에는 패널 세정 부재(130)의 목부(132)가 위치되어 롤러 축(110)의 외주에 패널 세정 부재(130)가 안정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 축(110)은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외곽축(114)의 안지름은 중심축(112)의 바깥지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지름으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중심축(112)의 외주와 외곽축(114)의 내주 사이에는 환상 공간(116)이 마련 된다. 이때, 중심축(112)와 외곽축(114)은 중심축(112)의 양쪽 끝 부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부재(116)로써 일체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외곽축(114)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늄 합금강 등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세정 롤러(100)의 패널 세정 부재(130)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속 형성된 부재로 우선 형성된 후,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축(110)에 장착시 해당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될 수 있게 이루어진다. 패널 세정 부재(130)는 디스플레이 패널(P)의 연마, 세정, 클리닝 공정 등에서 디스플레이 패널(P)의 표면에 해가 되지 않은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패널 세정 부재(130)는 이중합성고무(EDPM)의 원료에 분말 형태의 산화 알루미늄이 첨가 혼합된 혼잡재료로써 인발 공정을 통해서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패널 세정 부재(130)의 도중을 절단한 단면의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축(110)의 걸림부(122)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된 목부(132)를 기준으로 한쪽에는 조립홈(120)에 끼워지기 위한 조립부(134)가 형성되는 한편 다른 한쪽에는 롤러 축(110)의 외주에 노출되어 디스플레이 패널(P)에 접촉하게 되는 세정부(136)가 형성된다.
패널 세정 부재(130)의 조립부(134)는 롤러 축(110)의 조립홈(120) 바깥쪽에 마련된 걸림부(122)를 통해 조립홈(120)의 내부로 용이하게 끼워지기는 하되 조립홈(120) 밖으로는 쉽게 빠지지 않게 목부(132)를 기준으로 내광외협의 사다리꼴 형 태로 이루어진다. 즉, 패널 세정 부재(130)의 조립부(134)는 롤러 축(110)의 조립홈(120)에 대하여 훅(hook)의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패널 세정 부재(130)의 세정부(136)는 그 단면의 형태가 반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디스플레이 패널(P)의 직선이동 및 롤러 축(110)의 회전과정에서 부하가 최소화될 수 있는 측면 및 디스플레이 패널(P)의 연마, 세정 및 클리닝 공정 등에서 패널 세정 부재(130)에 걸리는 하중의 지지 측면에서도 유리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패널 세정 부재(130)는 롤러 축(110)에 형성된 조립홈(120)의 전체길이만큼 절단된 후,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10)의 연마롤러유닛(40) 및 클리닝롤러유닛(50)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조립홈(120)에 강제로 끼워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100)가 채용된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1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패널(P)의 연마, 세정 또는 클리닝 공정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세정 부재(130)가 마모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10)의 프레임으로부터 롤러 축(110)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롤러 축(110)의 외주에 기장착된 패널 세정 부재(130)를 우선 제거한 후에 롤러 축(110)의 외주에 구비된 조립홈(120)에 새로운 패널 세정 부재(130)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10)를 제작 및 조립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10)를 유지관리하는 과정에서도 패널 세정 부재(130)의 장착 및 교체에 따른 인적 및 물적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10)의 연마롤러유닛(40) 또는 클리닝롤러유닛(50)에 채용된 세정 롤러(100)의 패널 세정 부재(130)를 교체하는 데 따른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 측면에서도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10)의 연마롤러유닛(40) 및 클리닝롤러유닛(50)을 구성하는 세정 롤러(100)의 롤러 축(110) 상에 장착되는 패널 세정 부재(13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촘촘히 장착되어야 하는 원형의 브러시 타입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패널 세정 부재(130)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100)는 회전동작이 되는 롤러 축(110)의 외주 상에 패널 세정 부재(130)가 나선형태로 장착이 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10)를 통해서 연마, 세정 또는 클리닝 공정이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패널(P)에 대해서 연속적인 접촉이 이루어져 더욱 효율적인 연마, 세정 및 클리닝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부연 설명하면, 패널 세정 부재가 브러시 타입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10)의 연마롤러유닛(40) 및 클리닝롤러유닛(50)에 여러 조의 세정 롤러가 설치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P)에 대하여 브러시와 브러시 사이의 간격에 해당되는 특정 부분은 접촉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롤러 축(110)의 외주에 연속적인 형태의 패널 세정 부재(130)가 나선형태로 장착된 경우에는 그러한 우려를 줄일 수 있 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1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P)의 연마, 세정 또는 클리닝 공정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세정 롤러(100)의 외주에 나선의 형태로 장착된 패널 세정 부재(130)와 디스플레이 패널(P)의 표면과의 마찰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P)의 직진성이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10)의 프레임 상에는 디스플레이 패널(P)의 폭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형태의 패널 이동 가이드(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동작이 되는 세정 롤러(100)의 외주에는 패널 세정 부재(130)가 나선형태로 장착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P)의 직진 이동을 보장하기 위한 아무런 장치가 없게 되면 디스플레이 패널(P)의 연마, 세정 또는 클리닝 공정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P)이 어느 한쪽을 향해서 치우치면서 이동하게 될 것이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10)의 프레임 상에 디스플레이 패널(P)의 이동 경로가 직선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패널 이동 가이드가 설치된다면 그와 같은 염려는 해소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은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 는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의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의 정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의 측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 축의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세정 부재의 조립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 40. 연마롤러유닛
50. 클리닝롤러유닛 100. 세정 롤러
110. 롤러 축 112. 중심축
112a. 축결합부 114. 외곽축
116. 고정 부재 118. 환상 공간
120. 조립홈 122. 걸림부
130. 패널 세정 부재 132. 목부
134. 조립부 136. 세정부

Claims (6)

  1.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의 이물질을 연속적인 회전을 통해 분리시키는 연마롤러유닛을 채용한 패널 연마부와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을 연속적인 회전을 통해 클리닝을 하는 클리닝롤러유닛을 채용한 클리닝 롤러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마롤러유닛과 클리닝롤러유닛에 적용되는 세정 롤러는,
    외주에 일정 피치 간격으로 일정 깊이를 갖는 나선 형태의 조립홈이 형성되되 상기 조립홈의 바깥쪽 상에는 상기 조립홈에 끼워지는 부재의 이탈방지를 위한 걸림부가 돌출 형성된 롤러 축; 및
    상기 조립홈을 따라서 나선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게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조립홈의 걸림부에 대응하는 목부를 기준으로 목부의 일측에는 상기 조립홈에 끼워지는 조립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목부의 다른 일측에는 반원의 단면형태를 갖는 세정부가 형성된 패널 세정 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의 단면형태는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조립부의 측단면 형태는 목부를 기준으로 내광외협의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세정 부재는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로 성형제작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세정 부재는 이중합성고무(EDPM)와 산화 알루미늄이 혼합된 혼합재료로 인발 공정을 통해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축은 양단에 축결합부가 형성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외주에 조립홈이 가공형성된 외곽축이 일체로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축의 안지름은 상기 중심축의 바깥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심축의 외주와 외곽축의 내주 사이에는 환상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롤러.
KR1020080121980A 2008-12-03 2008-12-03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 KR101073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980A KR101073670B1 (ko) 2008-12-03 2008-12-03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980A KR101073670B1 (ko) 2008-12-03 2008-12-03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460A true KR20100063460A (ko) 2010-06-11
KR101073670B1 KR101073670B1 (ko) 2011-10-14

Family

ID=42363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980A KR101073670B1 (ko) 2008-12-03 2008-12-03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21620A (zh) * 2021-02-05 2021-06-08 台州敏瑞科技有限公司 一种毛绒的底布去污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582B1 (ko) 2015-09-07 2018-04-25 주식회사 디엠에스 디스플레이 패널의 세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107B1 (ko) * 2005-08-02 2006-09-11 박승주 디스플레이 장치의 글라스 세정용 벨트형 롤러 브러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21620A (zh) * 2021-02-05 2021-06-08 台州敏瑞科技有限公司 一种毛绒的底布去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3670B1 (ko) 201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828B1 (ko) 세척 모듈의 브러쉬 세척 장치를 위한 롤러 조립체
CN105124910A (zh) 一种便于安装拆卸的辊轴毛刷
KR101073670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세정장치용 세정 롤러
JP2007007501A (ja) 基板洗浄ブラシ
CN107319734A (zh) 一种长度便于增加的辊刷
KR20060099213A (ko) 가동중 역세정이 가능한 필터장치
KR20190044165A (ko) 벨트 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KR101424647B1 (ko) 롤링형 브러시부재를 포함하는 변형 스트립 대응형 가변 클리닝장치
CN216679416U (zh) 一种撬装式催化臭氧水处理设备用清洗结构
KR100628734B1 (ko) 롤러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기판이송장치
KR10137646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레임 브러쉬 세정장치
US20180332955A1 (en) Bristle band with different types of bristles
JP2009269144A (ja) ブラシロール及び洗浄装置
CN210335531U (zh) 一种含磨料尼龙刷辊
CN211744825U (zh) 一种静电消除装置及静电消除系统
CN110461773A (zh) 液体处理系统
CN210879282U (zh) 游轮刷
CN109048629B (zh) 抛光设备
KR101421012B1 (ko) 바 타입 이오나이저용 브라켓장치
KR101604108B1 (ko) 링타입 조립형 스폰지 롤러
CN206761092U (zh) 一种毛刷辊总成
KR101155623B1 (ko) 기판 세정 유닛 및 이를 갖는 기판 세정 장치
CN207707492U (zh) 多螺旋面板清洁刷
KR101134895B1 (ko) 세척장치, 이를 포함하는 소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수축형세척링
CN212173629U (zh) 一种用于清洁输送带的毛刷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