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895B1 - 세척장치, 이를 포함하는 소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수축형세척링 - Google Patents

세척장치, 이를 포함하는 소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수축형세척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895B1
KR101134895B1 KR1020110032567A KR20110032567A KR101134895B1 KR 101134895 B1 KR101134895 B1 KR 101134895B1 KR 1020110032567 A KR1020110032567 A KR 1020110032567A KR 20110032567 A KR20110032567 A KR 20110032567A KR 101134895 B1 KR101134895 B1 KR 101134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od
semi
drive shaft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철
이승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길조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길조경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길조경산업
Priority to KR1020110032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이 요구되는 봉상 구조물; 상기 봉상 구조물의 표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수축형세척링; 상기 수축형세척링을 상기 봉상 구조물에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켜 상기 수축형세척링을 봉상 구조물의 표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구동축의 양 단부에 부착되어 이동플레이트가 충돌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봉상 구조물의 세척장치, 이를 포함하는 소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수축형세척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세척장치, 이를 포함하는 소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수축형세척링{CLEANING APPARATUS, STERILIZ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ND CLEANING RING USED THERETO}
본 발명은 세척장치, 이를 포함하는 소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수축형세척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기적으로 혹은 비정기적으로 세척을 요하는 봉상 구조물을 세척함에 있어서 별도의 근접센서와 같은 검출장치가 필요없는 세척장치, 상기 세척장치를 포함하며 해체가 용이한 소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수축성이 있어 오래동안 사용이 가능한 수축형세척링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각종 산업시설 및 가정에서 흘러나오는 오폐수의 살균 및 소독처리를 위해 자외선 소독장치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자외선 소독장치는 자외선 램프(1)와 이를 둘러싸는 석영관(2)으로 이루어지며, 오폐수의 특성상 석영관의 표면에 많은 이물질이 부착되어진다. 이와 같이 이물질이 석영관의 표면에 축적되면 자외선이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되지 못해 살균 내지 소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석영관의 표면을 세척해 줄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석영관의 표면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링(3)을 석영관(2)의 외주면에 장착하고 세척링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지만 세척링의 이동방향을 바꾸어주기 위해 별도의 근접센서(4)를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여야 하며, 이 경우 센서장착에 따른 추가 비용의 발생 및 센서의 고장 등을 원인으로 하여 오작동 되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척링(4)은 일정기간 동안 사용하면 석영관과의 마찰에 의해 내주면이 마모되어 밀착성이 떨어져 세척효율이 현저히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정기적으로 혹은 비정기적으로 세척을 요하는 봉상 구조물을 세척함에 있어서 별도의 근접센서와 같은 검출장치가 필요없는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세척장치를 포함하고, 해체가 용이한 소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주면이 마모되더라도 탄성링에 의해 수축되어지므로 세척력을 잃지 않고 오래동안 사용할 수 있는 세척링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세척이 요구되는 봉상 구조물; 상기 봉상 구조물의 표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수축형세척링; 상기 수축형세척링을 상기 봉상 구조물에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켜 상기 수축형세척링을 봉상 구조물의 표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구동축의 양 단부에 부착되어 이동플레이트가 충돌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봉상 구조물의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형세척링은
수평방향으로 체결홈이 형성된 돌출부 및 요홈부를 포함하는 상호 분리된 상부 제1반원링 및 상부 제2반원링으로 이루어진 상부링; 수평방향으로 체결홈이 형성된 돌출부 및 요홈부를 포함하는 상호분리된 하부 제1반원링과 하부 제2반원링으로 이루어진 하부링; 상기 상부링과 하부링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는 탄성링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링의 요홈부 및 돌출부는 각각 상기 하부링의 돌출부 및 요홈부에 대응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3) 자외선조사기; 상기 자외선 조사기의 표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수축형세척링; 상기 수축형세척링을 상기 자외선조사기에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켜 상기 수축형세척링을 자외선조사기의 표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구동축의 양 단부에 부착되어 이동플레이트가 충돌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자외선조사기를 수납하고, 피소독물의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양 말단에 부착되는 모터가 부착된 제1플렌지 및 봉상 구조물이 고정지지되는 제2플렌지를 포함하는 소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일단부는 탈착연결부를 매개하여 모터에 결합된 커플러와 결합되고, 상기 탈착연결부를 커플러와 분리하는 것에 의해 상기 모터가 부착된 플렌지를 하우징과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장치.
(5) 수평방향으로 체결홈이 형성된 돌출부 및 요홈부를 포함하는 상호 분리된 상부 제1반원링 및 상부 제2반원링으로 이루어진 상부링; 수평방향으로 체결홈이 형성된 돌출부 및 요홈부를 포함하는 상호분리된 하부 제1반원링과 하부 제2반원링으로 이루어진 하부링; 상기 상부링과 하부링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는 탄성링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링의 요홈부 및 돌출부는 각각 상기 하부링의 돌출부 및 요홈부에 대응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형세척링.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제1반원링과 제2반원링의 양말단에 각각 한쌍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형세척링.
(7) 제 5항에 있어서,
세척이 요구되는 봉상 구조물에 장착시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을 이루는 각 제1반원링과 제2반원링의 사이에 간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형세척링.
본 발명에 의하면, 정기적으로 혹은 비정기적으로 세척을 요하는 봉상 구조물, 예를 들어 자외선조사기과 같은 봉상의 구조물을 세척함에 있어서 별도의 근접센서와 같은 검출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를 포함하는 소독장치는 해체가 특히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링은 내주면이 마모되더라도 탄성링에 의해 수축되어지므로 세척력을 잃지 않고 오래동안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세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의 일측면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의 타측면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의 분리과정을 보여주는 일측면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의 분리과정을 보여주는 타측면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에 사용되는 수축형세척링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에 사용되는 수축형세척링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세척이 요구되는 봉상 구조물; 상기 봉상 구조물의 표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수축형세척링; 상기 수축형세척링을 상기 봉상 구조물에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켜 상기 수축형세척링을 봉상 구조물의 표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구동축의 양 단부에 부착되어 이동플레이트가 충돌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봉상 구조물의 세척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조사기; 상기 자외선 조사기의 표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수축형세척링; 상기 수축형세척링을 상기 자외선조사기에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켜 상기 수축형세척링을 자외선조사기의 표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구동축의 양 단부에 부착되어 이동플레이트가 충돌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자외선조사기를 수납하고, 피소독물의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양 말단에 부착되는 모터가 부착된 제1플렌지 및 봉상 구조물이 고정지지되는 제2플렌지를 포함하는 소독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체결홈이 형성된 돌출부 및 요홈부를 포함하는 상호 분리된 상부 제1반원링 및 상부 제2반원링으로 이루어진 상부링; 수평방향으로 체결홈이 형성된 돌출부 및 요홈부를 포함하는 상호분리된 하부 제1반원링과 하부 제2반원링으로 이루어진 하부링; 상기 상부링과 하부링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는 탄성링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링의 요홈부 및 돌출부는 각각 상기 하부링의 돌출부 및 요홈부에 대응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형세척링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기로 한다.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를 포함하는 오폐수 소독시설의 횡단면도 및 분리도를 나타낸다.
상기 오폐수 소독시설은 오폐수 유입구(27a)와 배출구(27b)를 구비한 하우징(27)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7) 내에 봉상 구조물로서 자외선소독기가 장착되어 있다.
자외선조사기는 예를 들어, 자외선 램프(25)와 이를 둘러싸는 석영관(24)으로 이루어진다. 석영관(24)의 일단은 하우징의 일측단부에 부착된 제2플렌지(28)에 삽입된 연결부재(29)를 통해 위치가 고정되어진다.
이때 연결부재(29)는 제2플렌지(28)로부터 분리하는 것에 의해 석영관(24)을 하우징(27) 밖으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어 교체작업이 특히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도 4 참조).
제2플렌지(28)의 외측면은 보호캡(30)에 의해 보호되어지며, 보호캡(30)도 제2플렌지(28)로부터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부착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는 상기 석영관(24)의 표면을 세척하기 위하여 하우징(27)내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는 석영관(24)의 표면을 닦는 이동가능한 수축형세척링(22)을 포함한다.
상기 수축형세척링(22)은 테프론 및 기타재질의 링 형상으로 석영관(24)을 둘러싼 상태로 표면을 왕복이동하면서 부착된 이물질을 닦아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수축형세척링(22)은 이동플레이트(21)에 삽입고정된다.
수축형세척링(22)이 삽입고정된 이동플레이트(21)는 중심영역이 구동축(19)에 삽입되어 구동축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되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이동플레이트(21)의 중심영역은 너트구조의 암나사가 형성되어지고, 구동축(19)은 상기 너트구조에 대응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스크류로 이루어진다.
구동축(19)의 일단은 기어드 모터(10)와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이 함께 회전하면서 이동플레이트(21)를 수평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이동플레이트(21)에 지지된 수축형세척링(22)이 석영관(24)의 표면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축(19)의 일단부는 제1플렌지(26)에 고정된 지지대(14)에 고정되고, 탈착연결부(15)를 매개하여 모터(10)에 결합된 커플러(12)와 결합된다. 이때 모터(10)는 지지대(11)를 매개하여 하우징의 타단부에 부착되는 제1플렌지(26) 상에 고정되어진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연결부(15)를 구동축(19)의 단부와 분리하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상기 모터가 부착된 제1플렌지(26)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플렌지(26)의 중앙 관통영역에 메카니컬씰(13)이 도입되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축(19)은 정사각형으로 배치된 4개의 석영관(24)의 중심에 위치되어지고, 4개의 석영관(24)을 하우징내 수평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양단에 각각 제1지지플레이트(16)와 제2지지플레이트(20)가 각각 고정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내 설치되는 석영관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4개의 고정봉(23)이 일정한 간격으로 석영관(24) 사이에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봉(23)의 일단은 제2플렌지(28)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지지플레이트(16)에 의해 석영관과 함께 위치 고정되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9)의 일단을 제1플렌지(26)로부터 분리하고, 제2플렌지(28)를 하우징(27)로부터 분리하는 것에 의해 이에 부착된 고정봉(23)과 구동축(19)을 하우징(27)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축(19)의 양 말단부는 제1탄성부재(17)와 제2탄성부재(18)가 설치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17)의 일단은 제1지지플레이트(16)의 중심영역에 접촉되고, 타단은 이동플레이트(21)와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탄성부재의 일단은 제2지지플레이트(20)의 중앙영역에 접촉되고, 타단은 이동플레이트(21)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의 동작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플렌지(26)에 부착된 기어드 모터(1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에 의해 하우징 내부의 구동축(19)이 회전하고, 이에 의해 상기 구동축(19)에 결합된 이동플레이트(21)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수축형세척링(22)도 석영관(24)의 표면을 타고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석영관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동플레이트(21)가 구동축(19)의 좌측단부에 이르면 제2탄성부재(18)를 압축시키고, 나사선을 벗어난 이동플레이트(21)는 구동축(19)이 회전하여도 이동이 멈춘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모터(10)의 회전방향을 역으로 전환시킨다. 이에 의해 구동축(19)도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동플레이트(21)는 제2탄성부재(18)의 복원력에 의해 우측으로 힘을 받고, 다시 이동플레이트(21)가 구동축(19)의 나사선에 들어오게 되어 역으로 회전하는 구동축(19)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수축형세척링(22)도 석영관(24)의 표면을 타고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석영관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동플레이트(21)가 구동측(19)의 우측단부에 이르면 제1탄성부재(17)를 압축시키고, 이때 모터(10)의 회전방향을 다시 정방향으로 전환시킨다. 이에 의해 구동축(19)도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동플레이트(21)는 제1탄성부재(17)의 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힘을 받고,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축(19)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하나의 사이클(cycle)이 완성되어진다.
상기 동작과정에서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타이머가 사용될 수 있다. 모터의 회전속도가 정해지면 이동플레이트(21)의 이동속도가 정해지며, 구동축의 길이를 알고 있으므로 타이머를 이용하여 이동거리를 정확하게 셋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에 사용되어지는 수축형세척링(22)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축형세척링(22)은 수평방향으로 체결홈(35)이 형성된 돌출부(33,34) 및 요홈부(36,37)를 포함하는 상호 분리된 상부 제1반원링(31) 및 상부 제2반원링(32)으로 이루어진 상부링; 수평방향으로 체결홈(42)이 형성된 돌출부(40,41) 및 요홈부(43,44)를 포함하는 상호분리된 하부 제1반원링(38)과 하부 제2반원링(39)으로 이루어진 하부링; 및 상기 상부링과 하부링에 형성된 체결홈(35,42)에 삽입되는 탄성링(50)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제1반원링과 제2반원링의 양말단에 각각 한쌍이 설치되어진다. 상기 상부링의 요홈부 및 돌출부는 각각 하부링의 돌출부 및 요홈부에 대응이 되도록 도 6에서와 같이 결합된다.
상부 제1반원링(31)과 제2반원링(32)은 각각 분리된 상태로 석영관(24)의 외주면을 감싸 원형을 이루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부링과 결합을 이루는 하부 제1반원링(40)과 제2반원링(41)도 각각 분리된 상태로 석영관(24)의 외주면을 감싸 원형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링의 체결홈(35)과 하부링의 체결홈(42)이 연결되어 원형의 띠를 이루며, 이 체결홈에 탄성링(50)이 장착된다.
도 7은 상부링과 하부링이 석영관의 외주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삽입공(60)에 석영관(24)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석영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링 및 하부링을 이루는 제1반원링과 제2반원링의 사이에 간극(61)이 형성된다. 따라서, 세척링의 내주면이 석영관의 외주면과 마찰되어 닳는 경우에도 상기 간극(61)이 완충작용을 하여 탄성링(50)에 의해 수축되어지므로 수축형세척링은 상기 간극이 존재하는 한 석영관의 외주면에 항상 밀착되어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자외선살균장치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는 봉상 구조물로서 이물질이 부착되어 세척이 요구되어지는 어떠한 대상에도 적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모터
11: 모터 지지대
12: 커플러
13: 메카니컬씰
14: 구동축 지지대
15: 탈착연결부
16: 제1지지플레이트
17: 제1탄성부재
18: 제2탄성부재
19: 구동축
20: 제2지지플레이트
21: 이동플레이트
22: 수축형세척링
23: 고정봉
24: 봉상 구조물
25: 자외선램프
26: 제1플렌지
27: 하우징
28: 제2플렌지
29: 연결부
30: 보호캡
31: 상부 제1반원링
32: 상부 제2반원링
33,34: 상부링 돌출부
35: 상부링 체결홈
36,37: 상부링 요홈부
38: 하부 제1반원링
39: 하부 제2반원링
40,41: 하부링 돌출부
42: 하부링 체결홈
43,44: 하부링 요홈부
50: 탄성링
60: 삽입공
61: 간극

Claims (7)

  1. 세척이 요구되는 봉상 구조물; 상기 봉상 구조물의 표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수축형세척링; 상기 수축형세척링이 삽입고정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켜 상기 수축형세척링을 봉상 구조물의 표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구동축의 양 단부에 부착되어 이동플레이트가 충돌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수축형세정링은 수평방향으로 체결홈이 형성된 돌출부 및 요홈부를 포함하는 상호 분리된 상부 제1반원링 및 상부 제2반원링으로 이루어진 상부링; 수평방향으로 체결홈이 형성된 돌출부 및 요홈부를 포함하는 상호분리된 하부 제1반원링과 하부 제2반원링으로 이루어진 하부링; 및 상기 상부링과 하부링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는 탄성링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링의 요홈부 및 돌출부는 각각 상기 하부링의 돌출부 및 요홈부에 대응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 구조물의 세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10032567A 2011-04-08 2011-04-08 세척장치, 이를 포함하는 소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수축형세척링 KR101134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567A KR101134895B1 (ko) 2011-04-08 2011-04-08 세척장치, 이를 포함하는 소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수축형세척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567A KR101134895B1 (ko) 2011-04-08 2011-04-08 세척장치, 이를 포함하는 소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수축형세척링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914A Division KR101236084B1 (ko) 2011-11-21 2011-11-21 봉상구조물을 세척하는 수축형세척링
KR1020110121916A Division KR101178328B1 (ko) 2011-11-21 2011-11-21 검출기가 필요없는 스프링반동에 의한 왕복이동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895B1 true KR101134895B1 (ko) 2012-04-13

Family

ID=4614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567A KR101134895B1 (ko) 2011-04-08 2011-04-08 세척장치, 이를 포함하는 소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수축형세척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3314A (zh) * 2018-06-01 2018-11-13 芜湖市百川给水设备有限公司 一种紫外线消毒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6712A (ja) 1997-02-13 1998-08-18 Janome Sewing Mach Co Ltd 浴水循環装置においての洗浄機能を備えた浴水殺菌装置
KR20090039305A (ko) * 2007-10-18 2009-04-22 한성자외선 주식회사 중심가변형 석영관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로용 자외선살균기
KR20090012079U (ko) * 2008-05-23 2009-11-26 (주)유브이플러스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정 구동장치
KR101012754B1 (ko) * 2010-06-11 2011-02-08 주식회사 파나시아 내진기능을 가진 자외선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6712A (ja) 1997-02-13 1998-08-18 Janome Sewing Mach Co Ltd 浴水循環装置においての洗浄機能を備えた浴水殺菌装置
KR20090039305A (ko) * 2007-10-18 2009-04-22 한성자외선 주식회사 중심가변형 석영관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로용 자외선살균기
KR20090012079U (ko) * 2008-05-23 2009-11-26 (주)유브이플러스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정 구동장치
KR101012754B1 (ko) * 2010-06-11 2011-02-08 주식회사 파나시아 내진기능을 가진 자외선 살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3314A (zh) * 2018-06-01 2018-11-13 芜湖市百川给水设备有限公司 一种紫外线消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187B1 (ko) 중심가변형 석영관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로용 자외선살균기
KR100855201B1 (ko) 자외선살균장치
JP2009011878A (ja) 紫外線消毒装置
CN101486500B (zh) 一种紫外线消毒装置
JP5353690B2 (ja) 紫外線殺菌装置
KR200451051Y1 (ko)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정 구동장치
KR101984755B1 (ko) 수로형 자외선 살균기 세척장치 및 그를 장착한 수로형 자외선 살균기
JP2011050830A (ja) 紫外線照射装置
KR101930434B1 (ko) 자외선 살균기 및 그 세척 장치
KR101134895B1 (ko) 세척장치, 이를 포함하는 소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수축형세척링
KR101178328B1 (ko) 검출기가 필요없는 스프링반동에 의한 왕복이동 제어시스템
KR101236084B1 (ko) 봉상구조물을 세척하는 수축형세척링
KR102364173B1 (ko) 광을 이용한 챔버형 살균장치
CN103567194B (zh) 用于明渠的紫外消毒设备套管的清洗装置
JP2004358327A (ja) 流体管又は紫外線発光体の収容管のクリーニング装置
CN211338884U (zh) 一种便于清洗的紫外线消毒器
KR100994696B1 (ko) 개수로 자외선 소독 설비의 석영관 플렉시블 홀더
KR101574848B1 (ko) 자외선 살균장치
KR100454167B1 (ko) 마찰 푸싱 방식 와이퍼 세척장치가 장착된 자외선 살균기
KR102199800B1 (ko) 자외선 살균기의 석영관 세척방법
CN110461773A (zh) 液体处理系统
KR102271578B1 (ko) 자외선 살균 시스템 및 상기 자외선 살균 시스템의 석영관 세척 장치
CN201367362Y (zh) 一种紫外线消毒装置
CN204412710U (zh) 一种石英管在线清洗装置
KR102052355B1 (ko) 수로형 자외선 살균 장치의 효율 증대를 위한 석영관 복합 세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